KR102244902B1 -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902B1
KR102244902B1 KR1020160181409A KR20160181409A KR102244902B1 KR 102244902 B1 KR102244902 B1 KR 102244902B1 KR 1020160181409 A KR1020160181409 A KR 1020160181409A KR 20160181409 A KR20160181409 A KR 20160181409A KR 102244902 B1 KR102244902 B1 KR 102244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aromatic hydrocarbon
conjugated diene
vinyl aromatic
block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827A (ko
Inventor
이세경
이춘화
신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81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9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9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06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oxygen or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중 가지형, 이중 가지형 및 디블록 구조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하되, 이때 이중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전체 혼합물 내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아스팔트 개질제로 사용하는 경우 아스팔트 조성물과의 상용성이 우수여 아스팔트 조성물의 저온 물성, 고온 물성, 저장 안정성 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ASPHALT MODIFIER AND MODIFIED ASPHALT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스팔트에 대한 상용성이 우수하며 아스팔트의 열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는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스팔트는 석유의 성분 중에서 휘발성 유분이 대부분 증발하고 난 후의 잔류물로서, 고온에서는 점성이 높은 액체 또는 반고체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온 이하의 온도에서는 딱딱하게 굳어지는 물성을 가지고 있다.
아스팔트는 가소성이 풍부하고 방수성·전기절연성·접착성이 크며, 화학적으로 안정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로포장재나 방수재 등의 건축 재료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스팔트는 사용 중 고온에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 소성 변형이 발생하고, 저온에서는 외부 충격에 의해 균열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고분자를 첨가하여 아스팔트 조성물의 물성을 개선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tyrene Butadiene Styrene; SBS) 블록 공중합체와 같은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아스팔트 조성물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질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아스팔트 개질제로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시 고온에서 용해를 위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아스팔트 개질제로 사용되는 블록 공중합체의 가장 중요한 물성은 아스팔트 조성물과의 상용성이다.
하지만 최근 원유의 가격 상승과 에너지 절감 정책으로 인해 정유 시설의 고도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정유 부산물인 아스팔텐(asphaltene)의 함량이 높아지고 있다. 아스팔텐은 방향족 탄화수소의 집합체로서 말단에 극성 작용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극성 작용기가 없는 블록 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열악하다. 이는 아스팔트의 가공시간 또는 제조시간을 크게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개질된 아스팔트의 탄성, 고온 물성을 저하시키는 등 아스팔트의 품질 저하를 야기한다.
따라서 아스팔트 조성물에 대한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 SBS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을 조절하거나 커플링 효과를 부가할 수 있도록 블록 공중합체의 미세 구조를 변경 또는 가공 보조제로서 오일 등의 첨가제를 투입하는 방법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52310호는 피크 분자량(Mp)을 갖는 이종의 공액디엔 블록을 특정 함량으로 포함하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아스팔트 개질제로 사용하여 아스팔트 조성물과의 상용성 및 아스팔트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02869호는 아스팔트 개질제로 공액디엔 블록의 주쇄에 알데히드기가 결합되어 있는 관능화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아스팔트 조성물과의 혼련성과 아스팔트의 저온 물성 및 저장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특허들은 아스팔트 조성물와의 상용성을 어느 정도 개선하였으나, 그 효과가 충분치 않다. 또한, 원유에 따른 아스팔트별 품질 편차를 크며 이에 따라 얻어지는 개질 효과 또한 다르기 때문에 궁극적인 해결방법이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아스팔트 조성물과의 우수한 상용성과 함께 뛰어난 개질 성능을 가지는 아스팔트 개질제로서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52310호(2016.05.12),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02869호(2015.09.08), 관능화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삼중 가지형, 이중 가지형 및 디블록 구조의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하고 이때 이중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일정 함량 이상으로 포함하는 아스팔트 개질제를 아스팔트 조성물에 이용할 경우 아스팔트 조성물과의 상용성이 개선되며 아스팔트의 고온 물성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아스팔트 조성물에 대한 용해성과 열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아스팔트 개질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아스팔트 개질제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삼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하기 화학식 2의 이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하기 화학식 3의 디블록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되, 하기 화학식 2의 블록 공중합체가 전체 혼합물 내 5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개질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128709312-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6128709312-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6128709312-pat00003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Q, R1 내지 R7, X 및 p는 명세서 내 설명한 바를 따른다.)
상기 R1은 C1 내지 C6의 알킬기, C1 내지 C10의 할로알킬기, C3 내지 C1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C6 내지 C15의 아릴기이고 p는 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학식 1의 삼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전체 혼합물 내 10 내지 3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학식 2의 이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전체 혼합물 내 55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학식 3의 디블록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전체 혼합물 내 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계 단량체, 공액디엔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를 혼합하고 중합하여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블록 공중합체와 3관능 실란계 커플링제를 혼합하고 커플링 반응을 통하여,
삼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이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디블록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3관능 실란계 커플링제는 중합개시제 1몰 당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3.0 몰 당량으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관능 실란계 커플링제는 트리클로로(메틸)실란, 트리클로로(에틸)실란, 트리클로로(프로필)실란, 트리클로로(부틸)실란, 트리클로로(데실)실란, 트리클로로(사이클로헥실)실란, 트리클로로(페닐)실란, 트리클로로-3-클로로프로필실란,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메틸)실란,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실란,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란, 트리클로로(1H,1H,2H,2H-트리데카플루오로-n-옥틸)실란 및 트리클로로(1H,1H,2H,2H-퍼플루오로데실)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아스팔트, 가교제 및 상기 아스팔트 개질제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개질제는 삼중 가지형, 이중 가지형 및 디블록 구조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이중 가지형 블록 공중합체를 특정 함량 이상으로 포함함으로써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이 뛰어나며, 이를 아스팔트 조성물에 이용함으로써 작업성이 크게 개선될 뿐만 아니라 아스팔트의 저온 및 고온 물성, 저장 안정성 등 다양한 물성을 효과적으로 개질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성되어야만 한다.
아스팔트 조성물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아스팔트 개질제로 사용한다.
아스팔트 조성물은 크게 네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아스팔트 개질제인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와 상용성이 가장 나쁜 성분은 아스팔텐이다. 아스팔텐은 화학적으로 많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극성 작용기를 가진 고도로 농축된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이다. 종래 아스팔트 개질제로 많이 사용되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극성 작용기가 없기 때문에 아스팔트 조성물과의 상용성이 좋지 않으며 이로 인해 가공성, 작업성이 저하된다. 이에 더해서, 아스팔트 개질제가 아스팔트 조성물에 충분히 혼화되지 못하여 아스팔트의 탄성, 연화점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블록 공중합체의 구성 또는 분자량 범위를 변경하거나 블록 공중합체에 친수성 작용기를 도입하거나 오일을 첨가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었으나, 블록 공중합체의 사슬 끊어짐 현상이 발생하여 분자량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아스팔트 조성물의 물성이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아스팔트와의 우수한 상용성과 열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 세 가지 구조의 다관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이중 이중 가지형(di-arm)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특정 함량 범위로 포함하는 아스팔트 개질제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개질제는 하기 화학식 1의 삼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하기 화학식 2의 이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하기 화학식 3의 디블록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128709312-pat00004
[화학식 2]
Figure 112016128709312-pat00005
[화학식 3]
Figure 112016128709312-pat00006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Q는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112016128709312-pat00007
이고,
이때 A 내지 C 블록은 서로 독립적으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 또는 공액디엔 블록이고, m, n 및 o는 1 이상의 정수이며,
X는 극성기이고,
R1은 C1 내지 C20의 알킬기, C1 내지 C20의 할로알킬기, C3 내지 C2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C6 내지 C20의 아릴기 중에서 선택되며,
R2 내지 R7은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10의 알킬렌기이고,
p는 0 또는 1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 내지 20, 구체적으로 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할로알킬기”는 다른 설명이 없는 한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할로겐”은 다른 설명이 없는 한 불소(F), 염소(Cl), 브롬(Br) 또는 요오드(I)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사이클로알킬기”는 적어도 3개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비(non)-방향족 탄소계 고리를 의미한다. 예컨대,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알킬렌기”는 2가의 알킬기를 의미하며,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 내지 20, 구체적으로 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메틸렌, 에틸렌, n-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n-부틸렌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아릴기”는 탄소수 6 내지 20의 탄소수를 가지며 단일 또는 다중의 방향족 탄소계 고리를 의미한다. 예컨대, 페닐기, 비페닐기, 플루오렌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스팔트 개질제는 커플링제로부터 유래된 다관능성 작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삼중 가지형(tri-arm)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이중 가지형(di-arm)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디블록(diblock)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1의 삼중 가지형(tri-arm)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기존 아스팔트 개질제에 사용되는 블록 공중합체와 비교하여 열화에 의해 공액디엔 블록 내 존재하는 이중결합이 절단되고 이로 인한 분자량 및 연화점 감소의 영향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연화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아스팔트 조성물의 열안정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화학식 1의 삼중 가지형(tri-arm)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 해당하는 경우 열화에 따른 아스팔트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기 때문에 아스팔트의 고온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이중 가지형(di-arm)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커플링제로부터 유래된 다관능성 작용기 내 극성기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아스팔트의 극성기와의 반응성이 우수하며, 아스팔트와 높은 상용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용성의 향상은 또한 용해도의 상승을 가져온다. 상기 극성기는 하이드록시기(-OH) 또는 카르복실기(-COOH)일 수 있다. 이때 용해도 특성은 상분리 시험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며, 하기 설명되는 표 1에 의거하여 기존의 아스팔트 개질제를 사용한 것 대비 우수한 용해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해서 상기 화학식 2의 이중 가지형(di-arm)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전술한 화학식 1의 삼중 가지형(tri-arm)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과 함께 아스팔트 조성물의 열안정성 향상을 도모한다.
상기 화학식 2의 이중 가지형(di-arm)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 해당하는 경우 아스팔트와의 상용성과 열안정성을 높여 아스팔트의 탄성, 강도, 수명, 사용 온도 범위 등 전반적인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의 디블록(diblock)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커플링제로부터 유래된 다관능성 작용기 내 극성기인 하이드록시기(-OH)기를 2개 포함하며, 이에 따라 아스팔트 극성기와의 반응성을 한층 향상시킨다.
상기 화학식 3의 디블록(diblock)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 해당하는 경우 아스팔트와의 상용성을 높여 충분한 개질 성능을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아스팔트 개질제는 상용성과 열안정성을 둘다 향상시키는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이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상기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5 중량%로 포함함으로써 용해성과 연화점을 동시에 개선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은 스티렌, 비닐 나프탈렌, 비닐 톨루엔 또는 비닐 자일렌 등과 같은 비닐 함유 C6 내지 C30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단량체로 이루어진 고분자 단위부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은 스티렌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스티렌 블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은 스티렌; 알파(α)-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4-프로필스티렌 등과 같은 C1 내지 C20의 알킬)스티렌; 4-사이클로헥실스티렌과 같은 C3 내지 C30의 사이클로알킬)스티렌; 4-(파라-메틸페닐)스티렌과 같은 C6 내지 C30의 아릴스티렌 및 C7 내지 C30의 아릴알킬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의 최대피크 분자량(Mp)은 3,000 내지 35,000 g/mol, 바람직하기로 10,000 내지 25,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이 상기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아스팔트의 고온 물성 및 저장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저온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공액디엔 블록은 1쌍의 공액 이중 결합을 가지는 디올레핀으로 부타디엔계 화합물로부터 유래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액디엔 블록은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3-부틸-1,3-옥타디엔, 2-메틸-1,3-부타디엔, 1,3-펜타디엔, 1,3-헥사디엔 및 2-페닐-1,3-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액디엔 블록의 최대피크 분자량(Mp)은 10,000 내지 150,000 g/mol, 바람직하기로 20,000 내지 10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공액디엔 블록의 최대피크 분자량(Mp)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블록 공중합체의 기계적 응용 물성 발현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로서 스티렌 또는 알파-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공액디엔으로서 부타디엔 또는 2-메틸-1,3-부타디엔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과 공액디엔 블록의 중량 비율은 1:1 내지 1:4일 수 있다. 상기 중량 비율이 상기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아스팔트 조성물에 안정적으로 용해되어 충분한 개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만약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이 물리적 가교점을 이루기 힘들어 아스팔트의 물성이 저하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아스팔트에 대한 용해성이 불량하고 저온 물성이 저하된다.
상기 [A-B-C] 블록으로 표시되는 블록 공중합체는 선형, 분지형, 대칭형, 비대칭형, 또는 방사형의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또는 스티렌-부타디엔(SB) 이중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또는 스티렌-부타디엔(SB)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티렌-부타디엔(SB)일 수 있다.
또한, 상기 [A-B-C] 블록으로 표시되는 블록 공중합체는 최대피크 분자량(Mp)이 15,000 내지 1,000,000 g/mol, 바람직하기로 30,000 내지 800,000 g/mol 일 수 있으며 직쇄형이거나 분지형 또는 이의 혼합형이 될 수 있다.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의 분자량이 너무 작아서 고온 물성이 저하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아스팔트에 대한 용해성이 현저하게 나빠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은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계 단량체, 공액디엔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를 혼합하고 중합하여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블록 공중합체와 3관능 실란계 커플링제를 혼합하고 커플링 반응을 통하여 제조한다.
상기 단계를 거쳐 삼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이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디블록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 형태의 아스팔트 개질제를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계 단량체를 탄화수소계 용매 중에서 중합개시제를 이용하여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을 제조한다.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계 단량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닐기 함유 C6 내지 C30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계 단량체는 최종 제조되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에서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의 함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용매는 후술하는 중합개시제와 반응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중합 반응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탄화수소계 용매는 부탄, n-펜탄, n-헥산, n-헵탄 또는 이소옥탄 등의 선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 화합물; 사이클로펜탄,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헵탄, 메틸 사이클로헥산, 메틸 사이클로헵탄 등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환형 탄화수소 화합물; 및 벤젠, 톨루엔, 크실렌, 나프탈렌 등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화수소 용매에는 공액디엔 단량체 중합시 비닐 함량을 조절하고 중합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극성 용매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극성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틸 에테르, 에트라메틸에틸렌 디아민 및 벤조퓨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일반적으로 음이온 중합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유기 금속 화합물 또는 상기 중합개시제로부터 개시된 음이온 말단을 가진 고분자 사슬인 리빙 음이온일 수 있다.
상기 유기 금속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의 유기 리튬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16128709312-pat00008
(상기 화학식 4에서,
R8은 C1 내지 C20의 알킬기, C3 내지 C20의 사이클로알킬기, C1 내지 C20의 알콕시기, C6 내지 C20의 아릴기 또는 C7 내지 C20의 아릴알킬기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알콕시기”는 다른 설명이 없는 한 탄소사슬 말단에 에테르 결합을 통해 산소 원자를 가지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의미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아릴알킬기”는 알킬기가 치환된 아릴기를 의미한다. 예컨대, 벤질기, 클로로벤질기, α-메틸벤질기, α, α-디메틸벤질기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 금속 화합물은 n-부틸리튬, sec-부틸리튬, tert-부틸리튬, 메틸리튬, 에틸리튬, 이소프로필리튬, 사이클로헥실리튬, 알릴리튬, 비닐리튬, 페닐리튬 및 벤질리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과 중합개시제 및 공액디엔 단량체를 혼합하고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상기 공액디엔 단량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타디엔계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공액디엔 단량체는 최종 제조되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에서의 공액디엔 블록의 함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액디엔의 중합 반응 역시 전술한 단계와 마찬가지로 음이온 중합반응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합개시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전술한 2단계에 걸친 중합 반응에서 상기 중합개시제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전체 함량을 기준으로 0.3 내지 3.3 mmol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분자량이 매우 커져 반응기 교반 효율이 떨어짐으로 인해 후술하는 커플링제와 반응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다관능성 작용기를 도입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후처리 공정에서 생산성이 심각하게 저하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 중합 반응은 0 내지 150 ℃ 및 반응물이 액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압력범위 (0.1 내지 10 bar) 하에서 공액디엔 단량체의 소모율이 99% 이상일 때까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합 반응을 통해 전술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과 공액디엔 블록이 교차 배열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제조되며, 이때 상기 화학식 1에서 A 내지 C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와 3관능 실란계 커플링제를 혼합하고 커플링 반응을 실시하여 혼합물 형태의 아스팔트 개질제를 제조한다.
상기 커플링 반응은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에 다관능성 작용기를 도입시키는 동시에 블록 공중합체간 공액디엔 블록끼리 연결하여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블록 공중합체를 형성한다.
상기 3관능 실란계 커플링제는 반응기기 3개인 실란계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3관능 실란계 커플링제는 트리클로로(메틸)실란 (Trichloro(methyl)silane), 트리클로로(에틸)실란(Trichloro(ethyl)silane), 트리클로로(프로필)실란(Trichloro(propyl)silane), 트리클로로(부틸)실란(Trichloro(butyl)silane), 트리클로로(데실)실란(Trichloro(decyl)silane), 트리클로로(사이클로헥실)실란(Trichloro(cyclohexyl)silane), 트리클로로(페닐)실란(Trichloro(phenyl)silane), 트리클로로(3-클로로프로필)실란(Trichloro(3-chloropropyl)silane),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메틸)실란(trichloro(trifluoromethyl)silane),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실란(trichloro(trifluoroethyl)silane),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란(trichloro(trifluoropropyl)silane), 트리클로로(1H,1H,2H,2H-트리데카플루오로-n-옥틸)실란(Trichloro(1H,1H,2H,2H-perfluoro-n-octyl)silane) 및 트리클로로(1H,1H,2H,2H-퍼플루오로데실)실란(Trichloro(1H,1H,2H,2H-perfluorodecyl)sil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플링제는 트리클로로(메틸)실란, 트리클로로(에틸)실란, 트리클로로(프로필)실란, 트리클로로(페닐)실란 및 트리클로로(3-클로로프로필)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3관능 실란계 커플링제는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에서의 블록 말단의 음이온 활성 부위와 반응하여 블록 공중합체간 공액디엔 블록 사이를 연결시키는 동시에 관능화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3관능 실란계 커플링제는 전술한 단계에서 사용한 중합개시제 1몰 당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3.0몰 당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6몰 당량으로 투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3관능 실란계 커플링제 를 중합개시제 대비 과량으로 투입함으로써 본 발명의 아스팔트 개질제는 이중 가지형(di-arm)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일정 함량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커플링 반응을 통해 상기 화학식 1 내지 3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제조된다. 이때 커플링 반응의 결과로 얻어지는 수득물에는 커플링 반응을 하지 않은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혼합되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스팔트, 가교제 및 전술한 아스팔트 개질제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아스팔트는 원유를 정제하여 얻어지는 잔류물로, 주로 수소 및 탄소로 구성되어 있고, 소량의 질소, 황 또는 산소가 결합된 탄화수소화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아스팔트는 통상의 것으로 천연 및 석유에서 나오는 아스팔트 모두를 포함하며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아스팔트는 천연 아스팔트(Buton natural asphalt), 스트레이트 아스팔트(stright asphalt), 블로운 아스팔트(blown asphalt), 구스 아스팔트(guss asphalt), 컷백 아스팔트(cutback asphalt), 유화 아스팔트, 피지(PG) 등급 아스팔트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일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원유를 상압증류탑에서 증류시킨 수 상압잔사유를 다시 감압증류하여 얻은 최종 잔류분으로서 분해되지 않는 역청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다양한 석유계 아스팔트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통해 직접 제조하거나 시판되고 있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용화되어 시판되고 있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로는 SK에너지 또는 GS칼텍스 등에서 제공하는 AP-3, AP-5 등이 있다.
상기 아스팔트는 전체 함량 중에 1 내지 40 중량%, 구체적으로 5 내지 30 중량%의 아스팔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 개질제는 아스팔트와의 상용성과 열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바를 따른다.
상기 가교제는 전술한 아스팔트 개질제의 아스팔트에 대한 상용성이 보다 높아지도록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교제로는 황 또는 황산철을 함유하는 황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황 원소를 들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은 아스팔트 개질제 1 내지 10 중량부, 아스팔트 87 내지 98.95 중량부 및 가교제 0.05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아스팔트 조성물의 우수한 저장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아스팔트 개질제의 함량이 상기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의 제조 원가가 상승하고,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상기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가교 반응으로 인해 개질 아스팔트의 탄성을 잃고 젤화 (gelation) 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반면, 아스팔트 개질제 및 가교제의 각각의 함량이 상기의 범위 미만인 경우 아스팔트 개질 정도가 낮아 개질 아스팔트의 고온 물성 및 탄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아스팔트 개질제, 가교제 및 아스팔트를 고속 전단 믹서기와 저속 전단 믹서기로 아스팔트와 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얻는다.
상기 가교제는 황 또는 황산철을 함유하는 황 화합물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황 원소를 들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 조성물은 가황 조건하에서 상기 개질제가 약 4 내지 5 중량%로 포함된 경우, 이를 기준으로 용융속도가 1 내지 10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8 시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이 범위 내에서 아스팔트 조성물의 물성 균형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일례로, 상기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의 배합 과정은 다음과 같다. 아스팔트를 1L 용기에 넣고 온도 150 내지 170 ℃, 바람직하기로 160 내지 165 ℃로 30분 내지 2시간, 바람직하기로 40분 이상 유지하여 충분히 용융상태로 되었을 때 아스팔트 내로 상기의 화학식 1의 아스팔트 개질제를 교반속도를 서서히 증가하면서 넣는다. 이때 고속 전단 믹서기 속도를 2,500 rpm 유지하여 180 내지 195 ℃, 바람직하기로 190 ℃로 조절하면서 1 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후 임펠러(Impeller) 형태의 교반기로 옮겨 동일 온도로 250 rpm을 유지하며 추가 4시간 이상, 바람직하기로 5 내지 8 시간 동안 교반하며 일정한 시간별로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샘플링하여 물성을 측정한다. 이때 일정한 시간별로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샘플링하여 물성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을 배합 시간별로 알루미늄 재질의 튜브에 샘플링하여 180 ℃의 오븐에 일정시간 보관한 후 알류미늄 튜브의 상층과 하층의 연화점 차이로 용해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은 연화점 65 ℃, 신도 20 cm 이상, 점도 3,000 cPs 이하의 점도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신도와 점도는 어떠한 특정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신도는 20 cm 이상으로 클수록 좋으며, 점도는 3,000 cPs 이하로 작을수록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신도는 20 내지 80 cm의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점도는 300 내지 3,000 cPs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아스팔트 개질제 및 아스팔트 조성물 제조
(1)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
질소로 치환된 10 ℓ의 반응기에 정제된 사이클로헥산 4,285 g 및 스티렌 272.8 g을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60 ℃로 승온하였다. 상기 사이클로헥산과 스티렌 혼합용액에 n-부틸리튬 0.98 g을 투입하여 스티렌 블록을 중합한 다음, 여기에 부타디엔 607.2 g을 투입하고, 상기 부타디엔이 완전히 소모될 때까지 중합하였다.
상기 중합 반응 완료 후 커플링제로서 트리클로로(메틸)실란 1.34 g을 투입하여 커플링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반응 종결제로 물 0.5 g을 투입하여 반응 활성을 제거한 후, 혼합 용액에 산화방지제인 1차 산화방지제와 2차 산화방지제가 혼합시킨 용액 6.16 g를 중합 용액에 첨가하였다. 얻어진 고분자 샘플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HF)에 30분간 녹인 후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waters사)에 로딩하여 흘려준 후, PS (polystyrene) 표준의 표준분자량과 비교하여 커플링 효율 및 각 구조별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최대피크 분자량은 약 116 ㎏/mol이고, 스티렌 블록 함량은 29 중량%이며, 이때 각 구조별 함량은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 용액에서 블록 공중합체만을 회수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스트리핑(Stripping)의 과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3 ℓ의 물에 분산제인 Tamol (BASF) 0.7 g과 CaCl2 0.5 g을 넣고 끓인 후, 상기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용액을 천천히 끓는 물에 천천히 투입하여 블록 공중합체를 물에서 응집시켰다. 응집된 블록 공중합체를 60 ℃ 오븐에서 16 시간 건조하여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펠렛을 제조하였다.
(2) 아스팔트 조성물의 제조
배합 용기(heating mantle) 내에 아스팔트(AP-5, SK) 500g을 투입하고, 200 에서 2,500 rpm의 고속의 전단속도로 교반하면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아스팔트 개질제를 각각 아스팔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4.2 중량%의 함량으로 첨가하였다.
이어서, 1 시간 후 250 rpm의 낮은 전단속도로 교반하였다. 이때 형광현미경을 관찰하면서 SBS 공중합체의 용해시까지 교반하여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아스팔트 개질제 및 아스팔트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커플링제의 투입량을 1.43 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대피크 분자량은 약 117 ㎏/mol이고, 스티렌 블록 함량은 29 중량%인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각 구조별 함량은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아스팔트 개질제 및 아스팔트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커플링제의 투입량을 1.57 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대피크 분자량은 약 117 ㎏/mol이고, 스티렌 블록 함량은 29 중량%인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각 구조별 함량은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아스팔트 개질제 및 아스팔트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커플링제의 투입량을 1.71 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대피크 분자량은 약 117 ㎏/mol이고, 스티렌 블록 함량은 29 중량%인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각 구조별 함량은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아스팔트 개질제 및 아스팔트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커플링제인 트리클로로(메틸)실란을 사용하는 대신 디클로로디메틸실란을 0.96 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대피크 분자량은 약 100 ㎏/mol이고, 스티렌 블록 함량은 31.4 중량%이며, 커플링 효율은 86.7 %인 선형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각 구조별 함량은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아스팔트 개질제 및 아스팔트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커플링제의 투입량을 1.25 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대피크 분자량은 약 116 ㎏/mol이고, 스티렌 블록 함량은 29 중량%인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각 구조별 함량은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의 물성을 하기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톨루엔 용액 점도(Toluene Solution Viscosity; TSV )
점도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아스팔트 개질제를 톨루엔 상에 5v/v%로 용해시킨 후 25 ℃에서 측정하였다.
(2) 연화점
연화점은 ASTM (American Society Testing and Materials) D36에 따라 측정한 개질 아스팔트의 고온 물성 척도로, 1분당 5 ℃씩 물 또는 글리세린 가열시 이에 의해 시편이 연화하기 시작하여 시편 위에 위치한 직경 9.525 mm, 무게 3.5 g의 구슬이 1 인치만큼 처졌을 때 온도를 측정하였다.
(3) 상분리 온도
알루미늄 튜브에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50 g을 개량하고, 180 ℃의 오븐에서 72 시간 방치한 후, 삼등분하여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연화점을 ASTM D36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온도 차이를 계산하였다.
(4) 신도
신도는 ASTM D 113에 따라 측정한 개질 아스팔트의 저온 물성 척도로서, 5 로 유지되는 항온조 내에서 시편을 양 방향으로 당겼을 때 그 시편이 끊어지기 직전까지 늘어난 길이를 측정하였다.
중합개시제:커플링제 화학식 1/화학식 2/화학식 3의 비율
(중량%)
TSV
(cSt)
연화점
(℃)
상분리 온도
(T, ℃)
5 신도
(㎜)
실시예 1 1:2.0 25.1/62.9/9.3 18.9 95.6 12.3 281.5
실시예 2 1:2.2 26.5/59.4/12.2 18.0 94.3 10.2 290.0
실시예 3 1:2.4 18.5/62.4/17.3 16.2 93.0 6.2 301.0
실시예 4 1:2.6 13.9/63.6/20.5 15.8 92.7 5.1 326.0
비교예 1 1:1 0/84.1/15.9 15.7 90.4 9.2 292.0
비교예 2 1:1.8 43.3/46.6/10.6 19.2 96.3 15.3 270.0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개질제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의 경우 연화점, 신도 등의 개질 아스팔트의 기본 물성이 우수하며, 상분리 온도가 크게 낮아져 아스팔트 조성물에 대한 용해성이 매우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라 삼중 가지형(tri-arm), 이중 가지형(di-arm) 및 디블록(diblock) 구조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이중 이중 가지형(di-arm) 블록 공중합체를 일정 함량 이상으로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4의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은 비교예에 비해 연화점이 상승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에동일 교반시간 하에서 비교예 1에 비해 상분리 온도가 약 40 % 이상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의 용해성과 열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개질제는 아스팔트 조성물과의 상용성이 높아 우수한 저온 및 고온 물성, 저장 안정성 및 개질 작업성이 우수한 아스팔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의 삼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하기 화학식 2의 이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하기 화학식 3의 디블록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되,
    하기 화학식 2의 이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전체 혼합물 내 55 내지 8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개질제:
    [화학식 1]
    Figure 112021024925379-pat00009

    [화학식 2]
    Figure 112021024925379-pat00010

    [화학식 3]
    Figure 112021024925379-pat00011

    (상기 화학식 1 내지 3에서,
    Q는 각각 독립적으로
    Figure 112021024925379-pat00012
    이고,
    이때 A 내지 C 블록은 서로 독립적으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 또는 공액디엔 블록이고, m, n 및 o는 1 이상의 정수이며,
    X는 극성기이고,
    R1은 C1 내지 C20의 알킬기, C1 내지 C20의 할로알킬기, C3 내지 C2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C6 내지 C20의 아릴기 중에서 선택되며,
    R2 내지 R7은 서로 같거나 다르며,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10의 알킬렌기이고,
    p는 0 또는 1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C1 내지 C6의 알킬기, C1 내지 C10의 할로알킬기, C3 내지 C1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C6 내지 C15의 아릴기이고,
    p는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개질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삼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전체 혼합물 내 10 내지 3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개질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의 디블록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는 전체 혼합물 내 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개질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블록은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4-프로필스티렌, 4-사이클로헥실스티렌 및 4-(파라-메틸페닐)스티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개질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액디엔 블록은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및 2-페닐-1,3-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개질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개질제의 최대피크 분자량은 15,000 내지 1,00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개질제.
  9.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계 단량체, 공액디엔 단량체 및 중합개시제를 혼합하고 중합하여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블록 공중합체와 3관능 실란계 커플링제를 혼합하고 커플링 반응을 통하여,
    삼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이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및 디블록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3관능 실란계 커플링제는 중합개시제 1몰 당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3.0 몰 당량으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3관능 실란계 커플링제는 트리클로로(메틸)실란, 트리클로로(에틸)실란, 트리클로로(프로필)실란, 트리클로로(부틸)실란, 트리클로로(데실)실란, 트리클로로(사이클로헥실)실란, 트리클로로(페닐)실란, 트리클로로-3-클로로프로필실란,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메틸)실란,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실란,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란, 트리클로로(1H,1H,2H,2H-트리데카플루오로-n-옥틸)실란 및 트리클로로(1H,1H,2H,2H-퍼플루오로데실)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
  12. 아스팔트, 가교제 및 아스팔트 개질제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 개질제는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아스팔트 개질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KR1020160181409A 2016-12-28 2016-12-28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KR102244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409A KR102244902B1 (ko) 2016-12-28 2016-12-28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409A KR102244902B1 (ko) 2016-12-28 2016-12-28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827A KR20180076827A (ko) 2018-07-06
KR102244902B1 true KR102244902B1 (ko) 2021-04-26

Family

ID=6292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409A KR102244902B1 (ko) 2016-12-28 2016-12-28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9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192B1 (ko) * 2018-08-09 2020-07-14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41925B1 (ko) 2018-11-26 2021-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20210090369A (ko) 2020-01-10 2021-07-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408B1 (ko) * 2009-12-03 2013-0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칭형 다중가지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1242313B1 (ko) * 2010-04-07 2013-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안정성이 개선된 아스팔트 조성물
KR101411159B1 (ko) * 2010-08-03 2014-06-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스팔트의 열 안정성 개선을 위한 삼중 가지형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1551002B1 (ko) * 2013-09-30 2015-09-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JP6257007B2 (ja) 2014-11-04 2018-01-1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アスファルト改質剤及びこれを含むアスファルト組成物
KR101627072B1 (ko) 2015-08-21 2016-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관능화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827A (ko)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6448B2 (en) Asphalt modifier and asphalt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1984725B1 (ko)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20150037452A (ko)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KR102244902B1 (ko)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US20210054209A1 (en) Asphalt Modifier And Asphalt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101204611B1 (ko) 아스팔트의 저온물성 개선을 위한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2140125B1 (ko)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KR101234408B1 (ko) 대칭형 다중가지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2140124B1 (ko)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KR102207520B1 (ko) 아스팔트 개질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
KR102584984B1 (ko)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102241925B1 (ko)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CN114207049B (zh) 嵌段共聚物、其制备方法和包含其的沥青组合物
KR20210036016A (ko) 블록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20210032811A (ko)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KR20210090369A (ko) 블록 공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