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867B1 -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867B1
KR102244867B1 KR1020200172892A KR20200172892A KR102244867B1 KR 102244867 B1 KR102244867 B1 KR 102244867B1 KR 1020200172892 A KR1020200172892 A KR 1020200172892A KR 20200172892 A KR20200172892 A KR 20200172892A KR 102244867 B1 KR102244867 B1 KR 102244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load
fixed guide
top body
guide rail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순옥
Original Assignee
왕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순옥 filed Critical 왕순옥
Priority to KR1020200172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83Position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58Conveyor systems, e.g. rollers or bearing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대상체와 결합하여 이를 이동시키되 고정 가이드레일과 이동블럭 사이의 클리어런스(Clearance) 발생을 방지하고 동시에 클리어런스 발생시 예압모듈을 이용하여 이동블럭을 고정 가이드레일측으로 가압하여 이동블럭이 일체로 결합된 탑바디를 이동시켜 고정 가이드레일과의 클리어런스에 따른 이동 오류, 수평 변형 등을 방지하고, 나아가 전체 크기를 소형화함으로써 활용범위를 넓힌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Transfer device equipped with preload module for preventing clearance of top body and fixed guide rail}
본 발명은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대상체와 결합하여 이를 이동시키되 고정 가이드레일과 이동블럭 사이의 클리어런스(Clearance) 발생을 방지하고 동시에 클리어런스 발생시 예압모듈을 이용하여 이동블럭을 고정 가이드레일측으로 가압하여 이동블럭이 일체로 결합된 탑바디를 이동시켜 고정 가이드레일과의 클리어런스에 따른 이동 오류, 수평 변형 등을 방지하고, 나아가 전체 크기를 소형화함으로써 활용범위를 넓힌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송장치는 이동 대상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엘엠가이드, 전송라인슬리브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엘엠가이드는 직선형 레일을 접촉점이 한점으로 된 볼이 구르면서 블럭을 직선으로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볼의 직경이 클 수록 큰 힘을 견디고 내충격성도 강하며 마찰력과 마모가 적어 장기간의 정밀도 유지가 가능하고 고속주행 시에도 정숙한 구동을 실현할 수 있고, 정마찰과 동마찰의 차이나 속도로 인한 마찰변동이 적어 미세이동시에도 응답성이 우수하여 고정밀의 위치결정과 고속주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반면 엘엠가이드의 단점은 외부하중을 받으며 주행하는 경우 레일과 블럭의 궤도면과 전동체가 지속적으로 반복하중을 받을 때 생기는 응력으로 피로파괴가 발생하며 박리현상(플레이킹)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엘엠가이드를 구성하는 블럭으로 외부하중이 집중되면 집중된 부위가 레일 외부하중을 받으면 외부하중이 집중된 부위는 레일측으로 밀착되며 외부하중이 집중되지 않은 반대 방향의 블럭은 레일과 이격되어 틈새 즉, 클리어런스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레일의 이동성이 저하되고 수평도가 변경되어 이동 및 정지 정밀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블럭으로 가해지는 외부하중이 클수록 블럭에 배치되어 레일과 접촉하는 볼들이 레일에 형성된 가이드 홈을 강하게 가압하여 볼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볼과 가이드 홈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블럭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은 물론 이동 및 정지에 소요되는 동력 또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기술의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31688호(2011.12.07. 공개)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5384호(2016.06.27. 등록)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각각 엘엠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5384호는 ‘하이브리드 엘엠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레일가이드 및 엘엠블럭 사이에 간격조절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간격조절모듈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을 통해 레일가이드 및 엘엠블럭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간격조절모듈에 유체를 공급해야 하는 구성과, 유체의 공급 및 배출 그리고 이동을 위해 다수 개의 가공홀이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고, 각각의 가공홀이 기밀성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기밀유지수단이 추가로 필요하여 결국 비용이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블럭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활용범위가 좁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31688호(2011.12.07.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5384호(2016.06.27. 등록)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고정 가이드레일과 이동블럭 사이의 클리어런스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블럭을 고정 가이드레일측으로 가압하는 예압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예압모듈을 구성하는 예압볼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이동블럭의 위치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동블럭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고 미세 조절이 가능하여 고정 가이드레일과의 클리어런스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격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 가이드레일;
상기 고정 가이드레일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에서 하방으로 요입 형성된 안치홈을 포함한 바텀베이스;
상기 바텀베이스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면에 이동 대상체가 결합하고, 상기 바텀베이스의 안치홈에 배치되며 구동축이 결합하는 결합공이 형성된 주행부를 포함한 탑바디;
상기 탑바디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블럭;
상기 탑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블럭을 고정 가이드레일측으로 가압하는 예압모듈; 및
상기 탑바디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예압모듈은,
상기 주행부의 상면에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며 내주면에 승강용나사산이 형성된 승강공과,
상기 주행부의 외면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공과 연통되는 인입장공과,
외주면에 상기 승강용나사산과 맞물리는 이동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공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단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직경을 갖는 쐐기 형태의 경사면이 형성된 예압볼트와,
상기 인입장공에 배치되며 일면은 상기 예압볼트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배치되며 타면은 상기 이동블럭에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예압볼트의 승강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예압블럭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센싱부는, 상기 바텀베이스에 결합되는 센싱레일과, 상기 센싱레일에서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센서와, 상기 탑바디의 외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센서를 향해 배치된 센싱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고정 가이드레일과 이동블럭의 클리어런스(틈새) 발생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할 수 있고, 외부하중 또는 고정 가이드레일과의 클리어런스에 의한 수평도 변화를 센싱부를 통해 감지하여 오동작 발생시 신속한 후속조치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예압모듈을 구성하는 예압볼트의 상승 또는 하강을 통해 이동블럭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미세조절이 가능하고, 이동블럭이 일체로 결합된 탑바디의 위치를 변위시킴으로써 이동 대상체의 안정적인 이동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을 분해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예압모듈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동블럭과 예압모듈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격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 가이드레일(10)과, 상기 고정 가이드레일(10)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21)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21) 사이에서 하방으로 요입 형성된 안치홈(22)을 포함한 바텀베이스(20)와, 상기 바텀베이스(20)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면에 이동 대상체가 결합하고, 상기 바텀베이스(20)의 안치홈(22)에 배치되며 구동축(MA)이 결합하는 결합공(33)이 형성된 주행부(32)를 포함한 탑바디(30)와, 상기 탑바디(30)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블럭(40)과, 상기 탑바디(30)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블럭(40)을 고정 가이드레일(10)측으로 가압하는 예압모듈(50) 및 상기 탑바디(3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6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가이드레일(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한 쌍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는 것으로, 이동 대상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 가이드레일(10)은 상호 마주보는 면에 후술하는 이동블럭(40)에 배치된 이동용볼(42)이 맞닿아 안내되는 레일홈(11)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볼트 결합공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텀베이스(20)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바텀베이스(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 가이드레일(10)이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고정 가이드레일(10)이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21) 사이에서 하방으로 요입 형성된 안치홈(22)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고정부(21)는 바텀베이스(20)의 상면에서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 가이드레일(10)에 형성된 결합공에 매칭되는 위치와 개수로 대응결합공이 형성되어 고정 가이드레일(10)이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안치홈(22)은 바텀베이스(20)의 중앙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후술하는 탑바디(30)의 주행부(32)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안치홈(22)은 주행부(32)의 형태 및 크기에 대응하는 형태 및 크기로 이루어지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부(32)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주행부(32)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바텀베이스(20)의 폭 방향 양측의 외면에는 각각 후술하는 센싱부(60)를 구성하는 센싱레일(61)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레일결합홈(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결합홈(23)이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은 바텀베이스(20)가 배치된 환경에 따라 센싱부(60)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어느 일측에만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레일결합홈(23)을 바텀베이스(2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하여 센싱부(60)를 바텀베이스(20)이 폭 방향 양측 중 어디라도 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탑바디(30)는 상기 바텀베이스(20)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면에 이동 대상체가 결합하고, 상기 바텀베이스(20)의 안치홈(22)에 배치되는 주행부(32)를 포함한 것으로, 여기서 상기 주행부(32)에는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축(MA)이 결합하는 결합공(33)이 형성된다.
상기 탑바디(30)는 상면에 결합된 이동 대상체를 고정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동 대상체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압력을 지지하고 이동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면이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행부(32)는 중앙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텀베이스(20)의 안치홈(22)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결합공(33)에 구동축(MA)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MA)의 일 실시예로서 인가된 전원 및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구동수단(M)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볼 스크류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결합공(33)의 내주면에는 볼 스크류와 치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볼 스크류와 맞물리면서 탑바디(30)를 이동시킨다. 물론 상기 결합공(33)은 상기 구동축(MA)과 구동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이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탑바디(30)에는 후술하는 이동블럭(40)이 인입되는 내홈(34)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홈(34)은 상기 주행부(32)를 기준으로 폭방향 양측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각각에 이동블럭(40)이 배치되며 배치된 이동블럭(40)은 고정용볼트를 통해 탑바디(30)에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이동블럭(40)은 상기 탑바디(30)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이동블럭(40)은 적어도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2개씩 모두 2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됨으로써 이동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블럭(40)은 일면은 상기 예압모듈(50)측에 배치되고 타면은 상기 고정 가이드레일(10)측에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 가이드레일(10)측에 배치되는 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슬롯(41)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41)에는 고정 가이드레일(10)의 레일홈(11)에 맞닿게 배치되는 다수 개의 이동용볼(42)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때 상기 슬롯(4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이동용볼(4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드(411)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가드(411)는 이동블럭(4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길이 및 형태는 상기 고정 가이드레일(10)의 레일홈(11)에 이동 가능하게 인입되되 레일홈(11)과 맞닿는 면이 없어 이동 중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 되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반원형의 플레이트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예압모듈(50)은 상기 이동블럭(40)의 위치를 변위시켜 이동블럭(40)에 배치된 이동용볼(42)이 고정 가이드레일(10)에 형성된 레일홈(11)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이송장치 그 중에서도 엘엠가이드에서 예압이란 이동하는 블럭과 고정된 레일사이의 흔들림을 줄이기 위해 전동체에 부하된 내부하중을 지칭하는 것으로, 예압이 낮을수록 블럭이 하중압력 및 외부충격에 의한 흔들림이 높아진다.
종래에 예압을 조절하는 방법은 레일에 형성된 레일홈의 직경에 대해 크거나 작은 직경을 갖는 이동볼을 배치하는 것으로 예압을 조절하였는데, 즉 예압을 높이기 위해서는 레일홈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이동볼을 배치하고, 예압을 낮추기 위해서는 레일홈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이동볼을 배치하였다.
예압이 높을수록 이동볼이 레일홈에 맞닿는 면적 및 압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블럭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하중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편차가 적고, 반면 예압이 낮을수록 블럭이 외부 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편차가 크며 쉽게 흔들리나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마찰이 적은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예압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일홈의 직경에 비해 크거나 작은 이동볼을 배치해야 했기 때문에 예압의 미세조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예압 조절 과정에서 적절한 값을 찾기 위해 블럭을 레일에서 분리하거나 블럭 자체를 분해하여 이동볼을 교환해야 했기 때문에 예압 조절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이동볼의 교체, 마찰력 또는 이동성 측정 등과 같은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송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이동 및 정지 상황에서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즉각적으로 대처하기가 어렵고 상술한 과정 즉 이동볼의 교체, 이동성 및 마찰력 측정 등의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탑바디가 이동하는 블럭이며 바텀베이스에 결합된 고정 가이드레일이 고정된 레일인데, 상기 탑바디와 바텀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블럭을 예압모듈을 통해 고정 가이드레일측으로 가압하여 예압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예압모듈(50)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주행부(32)의 상면에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며 내주면에 승강용나사산(511)이 형성된 승강공(51)과, 상기 주행부(32)의 외면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공(51)과 연통되는 인입장공(53)과, 외주면에 상기 승강용나사산(511)과 맞물리는 이동나사산(523)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공(51)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단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직경을 갖는 쐐기 형태의 경사면(522)이 형성된 예압볼트(52)와, 상기 인입장공(53)에 배치되며 일면은 상기 예압볼트(52)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배치되며 타면은 상기 이동블럭(40)에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예압볼트(52)의 승강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예압블럭(54)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공(5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바디(30)의 상면에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며 내주면에 승강용나사산(511)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승강공(51)은 적어도 한 쌍이 상기 탑바디(30)의 폭 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블럭(40)의 배치 개수와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개수 및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인입장공(53)은 상기 주행부(32)의 외면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보다 정확하게는 주행부(32)의 외면에서 상기 승강공(51)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공(51)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장공(5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후술하는 예압블럭(54)에 대응하는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된 것으로 예압블럭(54)의 형태 및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예압볼트(52)는 상기 승강공(51)에 배치되는 외주면에 이동나사산(523)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용나사산(511)과 맞물려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며, 상하 길이 방향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하방 부위는 하단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쐐기 형태의 경사면(522)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예압볼트(52)는 상단에 공구가 인입되는 공구삽입홈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승강공(51)에서 상승 또는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예압볼트(52)의 하방에 형성된 경사면(522)은 하단을 향할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것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 예압블럭(54)과 맞닿는 면의 위치가 달라지면서 예압블럭(54)의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 예압블럭(54)은 상기 인입장공(53)에 배치되어 일면은 예압볼트(52)와 맞닿도록 배치되고 타면은 상기 이동블럭(40)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예압볼트(52)와 맞닿는 일면은 볼록한 반구 형태로 이루어져 예압볼트(52)와 점접촉하고, 상기 이동블럭(40)과 맞닿는 일면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이동블럭(40)과 면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예압블럭(54)은 반구 형태로 돌출된 일면이 예압볼트(52)에 점접촉 형태로 맞닿아 미세한 상승 또는 하강에도 반응할 수 있도록 하고, 타면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미세하게 전달된 압력도 이동블럭(40)에 넓은 범위로 전달함으로써 이동블럭(40)을 이동시키는 힘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예압모듈(50)은 예압볼트(52)를 작업자가 상승 또는 하강시켜 이동블럭(40)의 위치를 변경하여 이동블럭(40)에 배치된 이동용볼(42)이 고정 가이드레일(10)에 형성된 레일홈(11)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이러한 예압 조절 과정을 예압볼트(5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나아가 탑바디(30)와 이동블럭(40)을 분리하거나 이동블럭(40)에 배치된 이동용볼(42)을 교체하지 않아도 예압 조절이 가능하여 예압 조절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한 효과가 있고, 나아가 사용 중 이상(異常)상태가 될 때도 이동 대상체만을 탑바디에서 분리한 후 예압볼트를 조절하여 이상상태를 해소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예압 조절에 소요되는 시간 및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은 주로 자동화 공정 또는 절단기 등과 같은 전동기계공구에 사용되는 이송장치를 수리하기 위해 자동화 공정을 정지시키거나 전동기계공구를 분해하는 공정 및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정 수율을 높일 수 있고 이는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예압모듈(50)의 동작 상태는 도 4a 및 4b에 도시되었는데, 도 4a에서는 예압볼트(52)를 하강시켜 이동블럭(40)을 고정 가이드레일(10)측으로 가압하며, 도 4b는 예압볼트(52)를 상승시켜 이동블럭(40)을 고정 가이드레일(1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탑바디(30)의 위치를 감지하여 예압 조절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거나 이상상태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6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센싱부(60)는 상기 바텀베이스(20)에 결합되는 센싱레일(61)과, 상기 센싱레일(61)에서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센서(62)와, 상기 탑바디(30)의 외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센서(62)를 향해 배치된 센싱바(63)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레일(6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텀베이스(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텀베이스(20)에 구비된 레일결합홈(23)에 일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센서(62)는 상기 센싱레일(61)에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각각의 센서(62)는 제어부(도면 중 미도시됨) 또는 알람램프(도면 중 미도시됨) 중 어느 하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센싱바(63)는 상기 탑바디(30)의 외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을 향해 절곡 형성되고 절곡된 부위가 상기 센서(62)에 의해 감지되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센싱부(60)는 탑바디(3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탑바디(30)에 결합된 센싱바(63)를 센서(62)가 측정하여 탑바디(30)의 위치를 감지하며, 이를 통해 탑바디(30)의 현재 위치, 정확하게는 탑바디(30)가 고정 가이드레일(10)에 배치된 위치를 확인하여 필요한 후속 조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
10 : 고정 가이드레일
20 : 바텀베이스
21 : 고정부 22 : 안치홈
23 : 레일결합홈
30 : 탑바디
31 : 결합부 32 : 주행부
33 : 스크류 결합공 34 : 내홈
40 : 이동블럭
41 : 슬롯 42 : 이동용볼
411 : 가드
50 : 예압모듈
51 : 승강공 52 : 예압볼트
53 : 인입장공 54 : 예압블럭
60 : 센싱부
61 : 센싱레일 62 : 센서
63 : 센싱바

Claims (2)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격된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 가이드레일(10);
    상기 고정 가이드레일(10)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부(21)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21) 사이에서 하방으로 요입 형성된 안치홈(22)을 포함한 바텀베이스(20);
    상기 바텀베이스(20)의 상방에 배치되며 상면에 이동 대상체가 결합하고, 상기 바텀베이스(20)의 안치홈(22)에 배치되며 구동축(MA)이 결합하는 결합공(33)이 형성된 주행부(32)를 포함한 탑바디(30);
    상기 바텀베이스(20)와 상기 탑바디(30) 사이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며 상기 고정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블럭(40);
    상기 탑바디(30)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블럭(40)을 고정 가이드레일(10)측으로 가압하는 예압모듈(50); 및
    상기 탑바디(3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예압모듈(50)은,
    상기 주행부(32)의 상면에서부터 하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며 내주면에 승강용나사산(511)이 형성된 승강공(51)과,
    상기 주행부(32)의 외면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공(51)과 연통되는 인입장공(53)과,
    외주면에 상기 승강용나사산(511)과 맞물리는 이동나사산(523)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공(51)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단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직경을 갖는 쐐기 형태의 경사면(522)이 형성된 예압볼트(52)와,
    상기 인입장공(53)에 배치되며 일면은 상기 예압볼트(52)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배치되며 타면은 상기 이동블럭(40)에 맞닿도록 배치되고, 상기 예압볼트(52)의 승강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예압블럭(54)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60)는,
    상기 바텀베이스(20)에 결합되는 센싱레일(61)과,
    상기 센싱레일(61)에서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센서(62)와,
    상기 탑바디(30)의 외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센서(62)를 향해 배치된 센싱바(6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
KR1020200172892A 2020-12-11 2020-12-11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 KR102244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892A KR102244867B1 (ko) 2020-12-11 2020-12-11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892A KR102244867B1 (ko) 2020-12-11 2020-12-11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867B1 true KR102244867B1 (ko) 2021-04-26

Family

ID=7573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892A KR102244867B1 (ko) 2020-12-11 2020-12-11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8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4410A (ja) * 1998-04-08 1999-10-26 Smc Corp ガイド機構
KR20100133357A (ko) * 2009-05-28 2010-12-21 (주)팜코 예압 조절형 리니어 가이드 시스템
KR20110131688A (ko) 2010-05-31 2011-12-0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Lm 가이드
KR20140139297A (ko) * 2013-05-27 2014-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m 가이드
KR101635384B1 (ko) 2015-04-17 2016-07-01 주식회사 스맥 하이브리드 엘엠가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4410A (ja) * 1998-04-08 1999-10-26 Smc Corp ガイド機構
KR20100133357A (ko) * 2009-05-28 2010-12-21 (주)팜코 예압 조절형 리니어 가이드 시스템
KR20110131688A (ko) 2010-05-31 2011-12-07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Lm 가이드
KR20140139297A (ko) * 2013-05-27 2014-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m 가이드
KR101635384B1 (ko) 2015-04-17 2016-07-01 주식회사 스맥 하이브리드 엘엠가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4275B1 (en) Device for monitoring thickness of wheel valve hole on line
JP6067743B2 (ja) 電子回路部品装着ヘッド
KR102092216B1 (ko) 산업용 로봇
US10767741B1 (en) Linear transmission device
US20090267281A1 (en) Work positioning method, and positioning device
CN102214593A (zh) 被处理体的支撑机构、支撑方法及搬运系统
US10466028B2 (en)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US10118262B2 (en) Bearing insertion device
KR101321322B1 (ko) 기판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
WO2014080473A1 (ja) 電子回路部品装着ヘッド
KR102060245B1 (ko) 산업용 로봇의 핸드 및 산업용 로봇
EP3378609A1 (en) Passive compliance mechanism
EP1821000A2 (en) Friction drive unit
KR102244867B1 (ko) 탑바디와 고정 가이드레일의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이송장치
KR20080073966A (ko) 예압을 이용한 고정밀 서보 전동 프레스
US4934278A (en) Moving apparatus with track recessed portion to dissipate drive roller contact pressure
KR102294595B1 (ko) 클리어런스 방지용 예압모듈이 구비된 소형 엑츄에이터를 이용한 이송가이드
AU2019219324B2 (en) Automated parking device
KR20150048787A (ko) 토글 레버 기구를 구비한 승강 장치
CN211997433U (zh) 一种链板输送线传动导向机构
KR102207660B1 (ko) 지면에 매립된 실린더부를 지니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
CN215100159U (zh) 一种轨道小车托盘定位机构
CN105666108A (zh) 一种下压机构
CN218950219U (zh) 号牌驳送平衡装置
CN219293394U (zh) 一种驱动装置和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