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854B1 - 열수축 튜브에 대한 차별적 가열이 가능한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열수축 튜브에 대한 차별적 가열이 가능한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854B1
KR102244854B1 KR1020200101526A KR20200101526A KR102244854B1 KR 102244854 B1 KR102244854 B1 KR 102244854B1 KR 1020200101526 A KR1020200101526 A KR 1020200101526A KR 20200101526 A KR20200101526 A KR 20200101526A KR 102244854 B1 KR102244854 B1 KR 102244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ing
pair
tube
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전자
Priority to KR102020010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854B1/ko
Priority to KR1020210011080A priority patent/KR102290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854B1/ko
Priority to US17/635,519 priority patent/US20220266539A1/en
Priority to CN202180005564.2A priority patent/CN114450137A/zh
Priority to PCT/KR2021/010700 priority patent/WO20220352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6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e.g. shrinking of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6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e.g. shrinking of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using auxiliary shrink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06Heat shrinkable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38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 B29C63/4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ot gases (e.g. combustion gases) or flames coming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heat trea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29C2035/046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dri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29C2035/082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I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62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2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by radia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 튜브 가열 장치는, 서로 면대칭의 구조를 가지갖는 한 쌍의 열원(熱源) 박스들을 포함하는 가열부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열원 박스들 각각의 내부에는, 에어 분출공들이 일렬로 형성된 송풍관과 한 쌍의 가열관들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은 각기 적외선을 방사(放射)하는 열선을 포함한 채로, 열원 박스에서 개방된 영역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관은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의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보다 상기 개방된 영역에서 볼 때 더 내측에 위치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송풍관은, 상기 송풍관으로 유입되는 가압 공기가 상기 에어 분출공들을 통해, 상기 개방된 영역을 양분하는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지점, 즉, 가열을 위해 놓이는 열수축 튜브의 양 측 중 어느 일 측을 향하여 분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열수축 튜브에 대한 차별적 가열이 가능한 가열장치 {Heating apparatus capable of heating a heat-shrinkable tube differentially}
본 발명은, 전선과 전선의 도체가 직접 또는 단자를 통해 서로 연결된 부분의 전기적 접점이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도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열수축 튜브에 열을 가함으로써 그 연결 부부분을 밀봉시키기 위한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람들의 일상적인 생활, 업무, 여가 활동 또는 의료 행위 등에는 많은 종류의 기기나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은 거의 대부분, 의도된 동작이나 기능을 부품들 간의 전기적 신호교환을 기반으로 수행한다. 특히, 대형의 장치, 예를 들어, 차량, 통신기기, 의료기기 등은 수많은 부품들간에 많은 종류의 케이블들을 서로 연결시켜 부품들 간의 전기적 통신이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그리고, 많은 종류의 케이블들을, 부품들이 마운트(mount)된 기판 등에 구비된 커넥터에 손쉽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케이블을 이루는 전선들의 심선부( 피복체가 벗겨진 와이어 )를 금속성 단자(terminal)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후 이를 압착시켜 하우징(housing)에 장착시키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서,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선과 전선의 심선부들(1a,1b)을 결합용 단자(2)에 서로 삽입한 상태로 압착하여 양 전선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1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선과 전선을 연결시킬 때는, 연결 단자와 함께 그 전기적 접점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열수축 튜브(10)를 사용한다. 이 열수축 튜브(10)는, 전선들의 연결 부분에 외삽된 상태에서, 열이 가해지면,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튜브(10')가 수축되면서 동시에 그 내주면에 도포된 열가소성 레진(resin)이 녹아서 연결된 단자를 감싸게 되고, 튜브 밖으로까지 유출된다.
이 상태에서 튜브가 냉각되면, 전선들 간의 연결 부분이, 수축된 튜브(10')와 응고된 레진(10a)에 의해 완벽히 밀봉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 등에 그 전기적 접점이 영향을 받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게 되므로 안정된 접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선들 간의 연결에 대해 열수축 튜브를 사용하여 밀봉시킬 때는, 일반적으로, 튜브 밖으로 응고된 레진(10a)이 일정 간격(10b), 예를 들어 약 1mm만큼 돌출된 상태를 연결품질의 합격기준으로 본다. 레진이 돌출되지 않은 상태이면, 튜브 내주의 레진층이 충분히 녹지 않은 상태일 수가 있고, 그보다 더 많이 돌출된 상태이면 레진액의 과다 유출로 내부에 공극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열수축 튜브를 가열함으로써,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선 간의 연결 부분을 밀봉시키는 작업에서는, 도 2a와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100)가 사용된다.
상기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100)는, 크게, 프레임(110)과, 적치대(120), 그리고 가열부(130)로 구성된다. 도 2a에서는, 상기 가열부(130)에 대해서, 그 내부 구성을 알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10)에는, 상기 적치대(120)를 상부에 고정시키는 4쌍의 지지대(111)가 구비되고, 상기 가열부(130)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전후로 왕복이동할 수 있는 1쌍의 이동축(112)이 바닥면(113)과 평행하게 구비된다.
상기 적치대(120)는, 열수축 튜브(141)가 연결 부분에 각기 외삽된 일련의 전선들(140)이 끼워진 채로 고정될 수 있는 폭을 두고서 나린히 배열된 복수의 고정구들(122a,122b)과, 그 고정구들(122a,122b)이 동일한 수로써 2열로 결합 고정된, 상기 가열부(130)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장착된 1쌍의 거치대(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열부(130)는, 내외부가 서로 면대칭으로 구성된 한 쌍의 열원(熱源) 박스(131,132)를 포함한다. 상기 열원 박스(131,132)는,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된 채로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의 열원 박스(132)의 하단에는, 상기 이동축(112)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슬라이드 봉(133)이 결합고정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봉(133)은, 모터 등의 구동에 따라 상기 이동축(112)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그에 결합고정된 상기 열원 박스(131,132)도, 도 2a에 도시된 위치와 도 2b에 도시된 위치 간을 왕복이동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이동축(112)은, 상기 가열부(130)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적치대(120)에 놓여서 임시 고정되는 전선들(140)과 상기 한 쌍의 열원 박스(131,132) 까지의 상하 간격이 서로 동일해 지는 위치가 되게 하는 높이에서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의 열원 박스(131)와 상기 하부의 열원 박스(132)에 의한 열수축 튜브(141)에 대한 가열이 상부와 하부에서 동일하게 작용하게 된다.
하나의 열원 박스(131,132)에는, 공간을 사이에 둔 이중벽으로 된 박스형의 하우징에 3개의 가열관(13i, i=1,2,3)이 내장되어 있으며, 각 가열관(13i)은, 'U'자형으로 형성된 금속관에 그 관로를 따라 나선형으로 꼬여 있는 열판(13a)이 삽입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중벽의 사이(14)에는 단열재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 열판(13a)은, 공급되는 전류, 즉 전기적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게 되며,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열판(13a)이 발열하는 온도가 지정된다. 상기 열판(13a)의 발열은 금속관을 통해 내부 포켓(pocket)의 공기를 가열시킨다.
또한, 각 열원 박스(131,132)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가열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사각형 형태의 열풍(熱風)구(15)가 천공되어 있다. 상기 열풍구(15)는, 상기 거치대(121)에, 각각의 전선에 와삽된 채로 나란히 안치되는 일련의 열수축 튜브들을 대향하는 영역에, 그 열수축 튜브들이 차지하는 면적의 크기보다 다소 작은 면적으로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내장된 가열관들(13i)의 후방, 즉 박스의 더 내측으로는 한 쌍의 송풍관(16)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송풍관(16)에는, 상기 열풍구(15)를 이루는 가상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에어(air) 분출공들(16a)이 길이방향을 따라 원주면에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전술한 바의 열원 박스의 구성에서의 요소들에 대하여, 서로 간의 위치 관계를 보다 더 명확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송풍관(16)은, 상기 가열부(130)의 하우징의 후면에 관통 형성된 홈을 통해 삽입되고, 그 종단에는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호스(hose)가 연결되어 있어서, 이 호스를 통해 공급하는 가압된 공기가 일련의 에어 분출공들(16a)을 통해 상기 열풍구(15)를 향해 수직 하방( 및 수직 상방 )으로 분출된다(30). 이러한 가압 공기의 흐름은, 상기 가열관(13i)들에 의해 높은 온도로 가열된 내부 포켓의 공기를 휩쓸어 상기 열풍구(16) 쪽으로 분출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100)가 도 2b에 예시된 동작상태일 때면, 상기 열원 박스(131,13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거치대(121)에 나란히 놓여진 전선들(140)의 열수축 튜브(141)가 상부와 하부측에서 분출되는 열풍에 의해 동시에 가열되어, 도 1b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레진막이 녹으면서 또한 수축됨으로써 전선 간의 연결 부분을 밀봉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100)는, 상기 거치대(121)의 상기 고정구들(122a,122b)로써 한번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전선들의 수만큼을 한꺼번에 열수축 튜브로써 전선들의 연결부분을 밀봉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상기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100)는, 설정된 온도에 따라 가열되는 상기 가열관들(13i, i=1,2,3)에 의해 뜨거워진 내부 공기를 가압된 공기의 흐름을 통해 상기 열풍구(15) 쪽으로 휩쓸어 분출시키므로 상기 열풍구(15)의 전방과 그 주변까지의 공간(31)은 그 열풍에 의해 거의 동일 온도로 상승한다.
한편, 전선과 전선을 서로 연결시켜야 하는 경우, 그 연결되는 전선의 내열 특성이 서로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이와 같이 상이한 내열 특성의 전선 간의 연결에 열수축 튜브(40)가 적용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내열성이 있는 외피플 갖는 전선(41)과 내열성이 없거나 약한 내피로만 감싸진 전선(42)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전선 간의 연결에 있어서 그 연결 부분을 밀봉시키고자 하여, 전술한 상기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100)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열풍구(15)로부터 분출되는 열풍이 열수축 튜브(40) 뿐만 아니라, 주변으로 퍼지면서 양측의 전선측으로도 부분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도체를 감싸고 있는 피복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때, 내열성의 외피는 그러한 열풍에 의해 상승하는 온도를 견딜 수 있지만, 내열성이 없거나 약한 내피는 부분적으로 재질이 녹아내릴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열수축 튜브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도체 부분이 노출되어 전선 연결에서 불량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100)는, 열수축 튜브로써 그 연결 부분이 밀봉되어야 하는 양 전선이 내열성 특성에서 상이하면 사용할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도 4와 같이 내열성이 다른 전선의 연결 부분에 열수축 튜브를 적용하여 밀봉시킬 때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소형의 가열장치를 이용해 열수축 튜브에만 열풍이 작용하도록 가열방향을 조절하면서 레진막이 녹아 나오는 것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작업해야만 내열성이 없거나 약한 피복체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수작업은 생산성을 지나치게 저하시키며, 응고된 레진의 돌출정도가 균일하지 않아 불량율 또한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선 간의 연결 부분을 밀봉시키기 위한 열수축 튜브에 대해 차별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치수의 열수축 튜브의 길이에 따라 가열 환경을 변경하여 열수축 튜브를 차별적으로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기 위한 부품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는 가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기 위한 부품의 전기적 고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가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명시적으로 서술된 목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하기의 설명에서 도출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그 목적에 당연히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는, 서로 연결된 전선들이 양측으로 삽입된 열수축 튜브들이 병렬로 배치되어 놓일 수 있는 적치대와, 상기 적치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프레임과, 서로 면대칭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적치대를 향하는 면의 소정 영역이 각기 개방되어 있는 한 쌍의 열원(熱源) 박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축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되, 상기 적치대로 이동되었을 때는, 상기 열원 박스들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적치대에 놓이는 열수축 튜브들이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에 장착된 가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열원 박스들 각각의 내부에는, 에어 분출공들이 일렬로 형성된 송풍관과 한 쌍의 가열관들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은 각기 적외선을 방사(放射)하는 열선을 포함한 채로 상기 개방된 영역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관은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의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보다 상기 개방된 영역에서 볼 때 더 내측에 위치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송풍관은, 상기 송풍관으로 유입되는 가압 공기가 상기 에어 분출공들을 통해, 상기 개방된 영역을 양분하는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지점을 향하여 분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이 각기, 상기 열선이 길이 방향으로 삽입장착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 하우징은, 적어도 상기 개방된 영역을 향하는 면에 대해서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 분출공들을 통해 가압 공기가 분출되는 방향이,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개방된 영역에 노출된 면을 연직방향으로 연장하였을 때, 상기 적치대에 놓이는 열수축 튜브와 만나서 이루는 폭 내의 임의 지점을 향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관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임의 지점은, 상기 적치대에 놓이는 열수축 튜브의 일측단에서 그 열수축 튜브의 길이의 20%~40%의 거리에 해당하는 지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수축 튜브들의 각각은, 그 양측에서, 내열특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피복체를 갖는 전선이 삽입된 측이, 가압 공기가 상기 에어 분출공들을 통해 분출되는 측에 있도록 상기 적치대에 놓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은, 그 배치된 폭, 즉 한 쌍의 가열관들의 외측면 간의 거리가, 상기 적치대에 놓이는 열수축 튜브의 길이의 40~60%의 범위에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열원 박스들의 각각의 서로 마주보는 양 면에,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에 대하여 그 배치된 면상에서 이동시킨 임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구를 삽입할 수 있는 가이드 홈들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관들 모두가, 그 양단에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체결홈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열원 박스들 각각의 일측면에, 상기 송풍관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삽입되는 결착링이 결합되어 고정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관은, 상기 결착링에 결합되는 고정구에 의해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풍관에서 상기 한 쌍의 열원 박스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된 부분에, 상기 에어 분출공들을 통해 가압 공기가 분출되는 방향, 또는 그 분출 방향과 위상이 180도가 되는 방향을 알 수 있게 하는 표식이 부가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 분출공들이, 상기 적치대에 놓이는 열수축 튜브들의 각각에 하나씩 대응하도록, 상기 열수축 튜브들이 놓이는 서로 간의 간격과 동일 간격으로 상기 송풍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적치대의 하부에, 소정 크기의 중심각을 이루게 되는 원주 상의 양 지점에 각기 천공된 한 쌍의 에어 분출공들이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형성되어 있는, 냉각을 위한 제 2송풍관이 상기 프레임에 더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중심각은, 상기 한 쌍의 에어 분출공들을 통해 분출되는 가압 공기가,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의 일 측면을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하였을 때 상기 적치대에 놓이는 열수축 튜브와 만나서 이루는 서로 이격된 양 구간을 각각 향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다.
전술한 본 발명 또는,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는, 열수축 튜브의 양측에 대해 차별적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측 중 어느 일측에는 반대측과 다른 가열환경으로 가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열성이 차이가 있는 전선 간의 연결 부분을 밀봉시킬 열추축 튜브를 가열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즉, 내열성이 없거나 약한 전선 측의 피복체에 열손상없이 열수축 튜브를 가열시켜 그 내주면에 도포된 레진막을 녹이면서 열수축 튜브를 수축시켜 전선 간의 연결 부분을 밀봉시키케 된다.
따라서, 내열성 특성이 상이한 전선 간의 연결 부분을 열수축 튜브를 사용해 밀봉시키는 작업이 본 발명의 가열장치에 의해 대량으로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어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열수축 튜브의 양측을 각각 가열하는 가열용 구성에 대해서 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 이와 함게, 양측 중 어느 한쪽을 지향하여 분출시키는 가압 공기의 방향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내열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전선 간의 연결 부분을 밀봉시키기 위한 열수축 튜브의 길이가 달라져도, 그 길이에 대응하여 집중 가열해야 할 지점에 알맞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길이의 열수축 튜브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장치에서는,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기 위한 구성이, 적외선을 방사하는 열선을 채택하고 있고 그 적외선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재질로 하우징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열선에 전기적 에너지가 공급될 때는, 그 열선이 붉은색으로 빛나는 것을 시각적으로 지각할 수가 있다. 이에 반해, 전술한 바의 종래의 가열관은 불투명한 금속관내에 열을 발생시키는 나선형의 열판이 내장된 구성이어서, 가열장치의 열원(熱源)에 전기적 에너지를 공급하는 회로에 단선 등의 장애가 발생하여 이로 인해 일련의 열수축 튜브들의 일부에서 밀봉의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즉각적으로 어떤 열원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본 발명의 가열용 구성에서는, 붉은 색으로 빛나는 것이 확인되지 않는 열선이 바로 고장임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가열장치에 대한 장애 원인의 파악과 수리를 재빨리 조치할 수 있다. 이는, 장치의 유지 보수에 있어 종래에 비해 현저히 개선됨을 의미한다.
도 1a 및 1b는, 전선과 전선의 도체 연결부분에 대해, 열수축 튜브를 사용해 밀봉시키는 일반적인 방법을 예시한 것이고,
도 2a와 2b는, 종래의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의 구성과 작동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가 열수축 튜브를 상하측에서 동시에 가열할 때의 가열방식을 일측에 대해서만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의 예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가열방식이, 내열성에 차이가 있는 전선 간의 연결 부분을 밀봉하기 한 열수축 튜브에 대해 적용되었을 때의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에서,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는 구성에 대해 부분적으로 절개하고 또한 작동에 따라 왕복하게 되는 양 상태를 함께 도시한 갸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가, 내열 특성이 상이한 전선 간의 연결 부분을 밀봉시키기 위한 열수축 튜브를 상하측에서 동시에 가열할 때의 가열방식을 일측에 대해서만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의 예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에서, 가열된 열수축 튜브를 냉각시켜 녹은 레진액을 바로 응고시킴으로써 수축된 열수축 튜브로써 밀봉을 신속히 완료하기 위한 공기 냉각의 구성과 동작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 튜브를 적외선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한 쌍의 가열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관련된 부분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열수축 튜브의 양측 중 일측에 편형시켜 가압 공기를 분출시키는 방향을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에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부기된 동일 번호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물론, 설명의 편의와 이해에의 도움을 위해,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번호로 부기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갖는, 열수축 튜브에 대하여 양측을 차별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가열장치(200)를 예시한 것이다.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가열장치(200)는, 크게, 프레임(210)과, 적치대(220) 그리고 가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상기 가열부(230)에 대해서, 그 내부를 알 수 있도록 부분 절개한 구성과, 상기 적치대(220)에 전선 간의 연결 부분의 밀봉을 위해 놓여진 복수의 열수축 튜브들을 가열하기 위해 이동된 구성을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가열부(230)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한 쌍의 열원 박스(231,232)로써 구성되며, 이들은 서로 면대칭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하부 열원 박스(232)의 저면에 결착된 한 쌍의 슬라이드 봉(133)이 상기 프레임(210)에 설치된 한 쌍의 이동축(212)에 결합되어 그 이동축(212)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동축(212)은, 상기 가열부(230)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적치대(220)에 서로 병렬로 나란히 놓이는 열수축 튜브들과 상기 한 쌍의 열원 박스(231,232) 까지의 상하 간격이 서로 동일해 지는 위치가 되게 하는 높이에서 상기 프레임(110)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의 열원 박스(231)와 상기 하부의 열원 박스(232)에 의한 열수축 튜브에 대한 가열이 상부와 하부에서 동일하게 작용하게 된다.
각각의 열원 박스(231,232)에는, 공간을 사이에 둔 이중벽으로 된 박스형의 하우징에 2개의 가열관(21)이 내부 포켓(pocket)에 내장되어 있으며, 각 가열관(21)은 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의 사각형의 케이스내에 나선형의 열선(21a)이 삽입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열선(21a)을 하우징하는 케이스는, 다른 예로서 함께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A1). 상기 케이스는 적외선을 투과시키는 성질만 충족하면 그 형태는 임의적일 수 있다. 상기 열원 박스의, 이중벽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 투명 케이스에 구비된 상기 나선형의 열선(21a)은, 공급되는 전류, 즉 전기적 에너지를 적외선으로 방출하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열선(21a)은 전기적 에너지가 공급되면 적외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붉은색으로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그 붉은색의 발광여부를 통해, 전기적 에너지의 공급회로에서의 문제 발생이나 열선의 단선 등으로 인한 열원으로서의 장애를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가열관(21)이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에 대하여 사이에 공간을 두어 단열재를 충진하는 구조의 이중벽으로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벽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으로써 상기 각 열원 박스(231,232)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각 하우징의 내부 포켓에, 적외선 반사물질을 도포하거나 적외선 반사물질이 코팅된 거울 등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열수축 튜브의 가열을 위해 사방으로 방사되는 적외선에 의해 단일벽으로 구성된 하우징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각의 열원 박스(231,232)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상기 열선(21a)에서 방사(放射)되는 적외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사각형 형태로 개방된 방출구(25)가 천공되어 있다. 상기 방출구(25)는, 상기 적치대(220)에, 각각의 전선에 외삽된 채로 나란히 안치될 수 있는 복수의 열수축 튜브들을 대향하게 되는 영역에, 그 열수축 튜브들로써 이루어진 면과 비교하여 그 폭( 가열부의 슬라이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치수 )은 넓지 않게 그리고 그 깊이( 가열부의 슬라이드 방향과 평행하는 방향에서의 치수 )는 더 깊도록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가열관(21)은, 상기 방출구(25)가 형성된 면에 걸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관(21)은 상기 방출구(25)에 대응되는 구간에서는 전부 상기 열선(21)이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써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열관(21)은, 배치되었을 때의 폭(64)이, 가열할 열수축 튜브의 길이의 40~60% 범위에 있도록 배치된다. 물론, 열수축 튜브의 특성에 따라 이 수치는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관(21)에서 상기 방출구(25)를 향하는 면을 제외한 면에는, 적외선 반사물질을 도포하여, 적외선 반사막이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전기 에너지에서 변환된 열 에너지의 거의 전부가 상기 방출구(26)를 향하게 되어, 열수축 튜브의 가열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보다 적은 전기 에너지를 투입하여 원하는 가열 조건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각 열원 박스(231,232)에서, 내장된 한 쌍의 가열관(21)의 중앙의 후방에는 단일의 송풍관(22)이 구비되어 있다. 이 송풍관(22)의 한쪽 끝은 막힌 채로 종단되어 있으며, 그 송풍관에는, 에어 분출공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원주면에 일렬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관(22)은, 상기 에어 분출공들이 상기 방출구(25)를 양분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치우친 지점을 향하도록 상기 열원 박스(231,232)에 각각 설치 고정된다.
도 6은, 전술한 바의 열원 박스(231,232)의 구성에서의 요소들에 대하여, 서로 간의 위치 관계를 보다 더 명확히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관(22)은, 그 원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된 일련의 에어 분출공들(22a)의 관통 방향(61)이, 상기 한 쌍의 가열관(21)에서 하나에 대해 그 중심선을 연직방향으로, 상기 적치대(220)에 놓여지는 열수축 튜브(240)에 연장하였을 때 만나게 되는 지점(62)을 향하도록 수직방향에서 소정각도(θ) 틀어져 설치 고정되어 있다. 또는, 상기 가열관(21)의 일측면을 연직방향으로 연장하였을 때 상기 열수축 튜브(240)와 만나서 이루는 폭 내의 임의 지점을 향하도록 수직방향에서 소정각도(θ) 틀어져 설치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에어 분출공들(22a)이 열수축 튜브(240)에 대해 지향하는 지점(62)이, 내열성의 외피로 도체가 감싸진 전선(241)이 삽입된 측의 종단으로부터, 열수축 튜브 전체 길이(tL)의 약 20~40%의 범위에 해당하는 구간 상의 임의 지점이 되게 한다.
이상에서 그 구성이 상세히 설명된 상기 가열부(230)외의 상기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200)의 구성요소인 상기 프레임(210)과 상기 적치대(220)는, 그 구성이 종래의 가열장치(100)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각 열원 박스(231,232)가, 종래의 가열장치(100)의 U자형 가열관(13i)의 단면적에 비해 매우 좁은 단면적을 갖는 적외선 열선의 가열관(21)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또한, 가열을 위한 열원(熱源)으로서 수평으로 배치된 2개의 가열관(21)으로도 열수축 튜브의 수축에 필요한 충분한 열에너지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열원 박스(131,132)에 비해 그 부피를 크게 축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210)도 그에 맞게, 종래의 가열장치에 비해 더 좁은 공간을 차지하는 치수로써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적외선을 방사하는 열선으로 구성된 가열관(21)은, 종래의 U자형 가열관(13j)에 비해 매우 좁은 폭을 차지하므로, 종래의 가열 방식에 비해, 가열하는 대상에 대해 서로 영향을 주는 요인이 크게 줄어들고, 또한 가열 영역을 집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에는 가열된 공기를 대류 방식으로 열수축 튜브에 전달함으로써, 양측에의 가열을 서로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가열관은 주로 복사 방식으로 열 에너지를 전달하기 때문에, 열수축 튜브의 양측에 대한 가열에서의 분리가 어느 정도 가능하다. 즉, 적외선에 의해 집중적으로 가열되는 부분이 열수축 튜브 상에서 어느 정도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적치대(220)에 가열을 위해 놓이는 열수축 튜브(240)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은 상대적 위치 관계로 상기 가열부(230)가 위치한 상태가 되면, 상기 한 쌍의 가열관(21)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이 상기 방출구(25)를 통해 상기 열수축 튜브(240)의 상하에서 조사(照射)된다. 이와 함께, 상기 송풍관(22)에 유입시킨 가압 공기는 에어 분출공(22a)으로부터 분출되어 상기 열수축 튜브의 일측, 즉 내열성이 있는 외피체를 갖는 전선(241)이 삽입된 측으로 편향되어 지속적으로 부딪힌다.
애에 따라 열수축 튜브(240)에서 적외선이 조사되는 부근부터 가열되어 내부의 레진막의 용융과 튜브의 수축이 시작된다. 그리고, 가입 공기가 가해지는 열수축 튜브 측은, 적외선에 의한 가열 뿐만 아니라, 가열된 튜브에 의해 데워진 주변의 공기 입자도 또한 지속적으로 부딪히면서, 가입 공기가 가해지지 않는 측에 비해 좀 더 높은 온도로 가열되고( 즉, 열수축 튜브의 양측이 차별적으로 가열된다. ), 그 가열된 온도는 열수축 튜브의 열전도에 따라 양측으로 전달되면서 튜브가 수축되고 내부 레진막이 녹는 부분이 확장된다.
이 동안에, 가압 공기가 가해지지 않는 열수측 튜브 측도 조사되는 적외선에 의해 가열되면서 그 조사되는 부근부터 수축되면사 내부에 도포된 레진막이 녹게 되고, 이러한 진행은 양측으로 번져나간다.
위와 같은, 각 열원 박스(231,232)를 통한 가열 방식에 따라, 내열성이 있는 피복체를 갖는 전선(241) 쪽으로, 열수측 튜브의 일측을 좀더 높은 온도로 가열사키기 위한 가압 공기가 일부 흐르게 되어, 데워진 주변 온도가 그 피복체에 전달되어도 피복체의 내열성으로 인해 열손상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위와 같은 차별적 가열방식에 따라 가압 공기가 가해지지 않는 열수측 튜브의 일측에서는, 적외선에 의해 가열되는 열수축 튜브의 부분이 열전도에 의해 양측으로 확대되면서 튜브가 수축되고 내부 레진막이 녹기 때문에, 그 열이, 내열성어 없거나 약한 내피만으로 피복된 전선(242)에 전달되는데 까지, 가압 공기가 가해지는 반대 측에 비해 긴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적외선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내열성이 없거나 약한 전선(242)이 연결된 측에서 내부 레진액이 열수축 튜브 밖으로 흘러 나오게 되는 시간까지만 가열되도록 한 후, 상기 가열부(230)를 상기 적치대(220)에서 원래 위치로 돌아가도록 설정해 두면, 비내열성의 전선(242)이 전혀 열손상되지 않고, 열수측 튜브에 의해 양 전선(241,242)의 연결 부분이 밀봉된다.
녹은 레진액에 의해 밀봉되는 것은 그 녹은 레진액이 다시 응고됨으로써 완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녹은 레진액의 응고가 보다 빨리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200)는, 상기 프레임(210)에 냉각용 송풍관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레임(210)에 냉각용 송풍관(26)이 추가로 구비된 구성에 대해서, 상기 적치대(220)와 그 적치대에 놓여진 일련의 전선들을 함께 도시한 것으로서, (a)는 부분 사시도이고, (b)는, 상기 냉각용 송풍관(26)에 대해서, 그 단면과 함께 적치대에 놓여진 열수축 튜브가 외삽된 전선과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용 송풍관(26)에는, 열수축 튜브(240)가 놓이는 상부를 향해, 소정 크기의 중심각(δ)을 이루는 한 쌍의 에어 분출공들(26a,26b)이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에어 분출공들(26a,26b)이 소정 크기의 중심각(δ)을 이루면서 천공되어 있어서, 그 천공된 방향이, 상기 적치대(220)에 놓여지는 열수축 튜브(240)에서 양측 부분,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가열관(21)의 중앙선( 또는 일 측면 )을 수직으로 연장하였을 때 열수축 튜브와 만나게 되는 지점( 또는 영역의 임의 지점 )을 각기 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용 송풍관(26)에 대해서, 이와 같이 냉각용 가압 공기의 분출이 의도되는 방향을 상기 한 쌍의 에어 분출공들(26a,26b)이 향하도록 한 상태로 상기 프레임(210)에 설치 고정된다.
상기 가열부(210)가, 상기 적치대(220)에 놓인 일련의 열수축 튜브들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차벌적으로 가열한 후, 원래의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나면, 상기 냉각용 송풍관(26)으로 압축된 공기가 유입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에어 분출공들(26a,26b)을 통해 열수축 튜브의 양측을 지향하여 가압 공기가 분출되어 뜨거워진 열수축 튜브들을 강제 냉각시키게 된다.
이 강제 냉각에 의해, 녹은 레진액이 바로 응고됨으로써, 서로 연결된 전선들의 전기적 연결 부분에 대한 밀봉 작업이 신속히 완료된다.
상기 냉각용 송풍관(26)에 2열로 나란히 천공되는 에어 분출공들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치대(220)에 최대로 안치 고정시킬 수 있는 열수축 튜브들의 수의 2배이다. 즉, 열수축 튜브 하나당 한 쌍의 에어 분출공(26a,26b)이 대응하도록 상기 냉각용 송풍관(26)에 에어 분출공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각 열원 박스(231,232)에 구비되는 전술한 바의 가열을 위한 송풍관(21)에 대해서도, 열수축 튜브 하나당 하나의 에어 분출공이 대응하도록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송풍관(21)과 냉각용 송풍관(26)이 상기 가열부(230)와 상기 프레임(210)에 각기 장착될 때는, 에어 분출공들이, 열수축 튜브들이 각기 놓이게 되는 상기 적치대(220)의 지점들과 정확히 일대일로 동일 수직면 상에 있게 되는 위치에 고정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각 열원 박스(231,232)에 장착되는 한 쌍의 가열관(21)이, 그 위치가 고정된 것을 전제한 것이다. 하지만, 전선들의 연결 부분을 밀봉시키기 위한 열수축 튜브의 길이가 달라지면, 가열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적외선을 주로 조사하는 영역을 변경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열원 박스(231,232)가, 그 내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열관에 대해서 그 간격( 물론, 위치도 함께 )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열관에 대해서 간격조절이 가능한 열원 박스의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의 투명 케이스에 열선이 장착된 각 가열관(21')의 양측의 단자부(21b)에는 그 중앙에 가열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사식으로 홈이 소정 깊이로 형성된 체결홈(21c)이 구비된다. 그리고, 각 열원 박스의 정면과 배면에는 일련의 가이드 홈들(27)이 수평으로 연이어져 형성된다. 이 가이드 홈들(27)은, 각 열원 박스가 단열재 충진을 위한 이중의 벽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부분 절개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이중의 벽을 모두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21c)과 상기 가이드 홈들(27)의 각각은 모두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며, 그 직경은, 종단부가 수나사 형태를 갖는 긴 봉의 체결구(250)의 직경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200)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전선들의 연결 부분을 밀봉시킬 열수축 튜브의 타입이나 길이가 변경됨에 따라, 가열관(21')의 위치나 간격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는, 상부와 하부의 열원 박스의 전면과 배면에서, 현재의 가이드 홈에 체결된 체결구(250)를 풀어서 가열관(21')의 체결홈(21c)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가열관들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그 이동된 위치에서 체결구(250)를 전면과 배면에서 다시 체결홈(21c)에 삽입되게 하여 나사결합시켜서 고정한 후에, 새로운 치수를 갖는 열수축 튜브에 대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각 열원 박스에 대해서 그 가열관(21')의 위치/간격을 변경시킬 때는, 상기 송풍관(22)으로부터의 가압 공기의 분출 방향도 미세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풍관(22)이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송풍관(22)에 대하여 원하는 가압 공기 분출각도로 조정할 수 있는 상기 송풍관(22)에 대한 설치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가열관을 배제하고, 가압 공기가 공급되는 측인 열원 박스의 배면 일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열원 박스에서 상기 송풍관(22)이 삽입되는 부분에는, 상기 송풍관(22)이 그를 통해 삽입되는, 단차진 외주면을 갖는 원통 형상의 결착링(28)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착링(28)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나사식의 홈(28a)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관통홈(28a)이 수평방향으로 또는 임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송풍관(22)은, 상기 결착링(28)과 열원 박스의 배면의 관통홈을 통해 열원 박스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작업자는, 밀봉작업을 진행할 열수축 튜브의 치수에 맞는 가압 공기 분출방향이 정해지면, 상기 송풍관(22)을 필요한 만큼 회전시켜, 에어 분출공들(22a)들이 그 정해진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고정용 나사(260)를 상기 관통홈(28a)에 삽입하여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용 나사(260)가 관통홈 안쪽으로 진입하면서 상기 송풍관(22)에 강하게 밀착하여 상기 송풍관(22)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송풍관(22)에서 가압 공기가 분출되는 방향을, 열수축 튜브의 일측에서 원하는 지점을 향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200)의 구성요소들이 모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송풍관(22)의 에어 분출공(22a)이 향하는 방향을 보면서 상기 송풍관(22)을 원하는 만큼 회전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에어 분출공(22a)의 방향은 상기 방출구(25)를 통해서 확인할 수 밖에 없는데, 한 쌍의 열원 박스가 좁은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어서, 그 사이로 에어 분출공을 보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풍관(22)이 정상적 동작에 필요한 정위치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결착링(28)에 인접하게 되는 상기 송풍관(22)의 외주면에, 에어 분출공(22a)의 방향을 알 수 있게 하는 특정 표식(22b)이 부가된다. 이 표식은, 특정 색상으로 가압 공기 분출방향을 나타내도록 표기된 마크일 수도 있고, 또는 외주면에 새겨진 홈일 수 있다.
작업자는, 이와 같이 부가된 표식(22b)를 보면서 상기 송풍관(22)를 적절히 회전시켜 원하는 가압 공기 분출방향에 맞춘 후 상기 고정용 나사(260)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분출방향의 조정작업어 편리해 진다.
상부와 하부의 열원 박스에 각기 장착된 송풍관의 가압 공기 분출방향은 서로 소정 각도로 틀어진 상태이긴 하지만, 하나는 위쪽으로 다른 하나는 아래쪽을 향한다. 따라서, 가압 공기 분출방향에 대해서만, 상기 표식(22b)을 하게 되면, 작업자의 사선에서는 어느 하나가 송풍관의 뒤쪽 외주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작업자가 상기 송풍관(22)을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고자 할 때, 하나의 송풍관에 대해서는 서서 조정작업을 진행하고 다른 하나에 대해서는 앉아서 해야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정 작업에서의 번거로움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풍관(22)에 대해서, 가압 공기 분출방향은 물론, 그 분출방향의 정반대측, 즉, 가압 공기 분출방향과 180도 위상차가 있는 원주상의 지점에 별도의 표식을 부가한다. 이 별도의 표식은, 가압 공기 분출방향을 나타내는 표식(22b)과 구별되는 마크 또는 형태의 표기이거나 새겨진 홈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표식이 있게 되면, 작업자는, 현재의 시선에서 보이는 표식이 가압 공기 분출방향인지 아니면 그 반대 방향인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동일한 작업 자세에서, 상부와 하부 열원 박스의 상기 송풍관(22)을 원하는 각도로 모두 조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열수축 튜브에 대한 차별적 가열이 가능한 가열장치 에 대해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과 그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와 작용 등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호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1a,1b: 심선부 2: 단자( terminal )
10,10',40,141,240: 열수축 튜브 10a: 돌출 레진
13i: 가열관 13a: 열판
15: 열풍구 16: 송풍관
16a: 에어 분출공 21,21': 가열관
21a: 열선 21b: 단자부
21c: 체결홈 22: 송풍관
22a: 에어 분출공 22b: (에어 분출공)의 표식
25: 방출구 26: 냉각용 송풍관
26a,26b: 에어 분출공 27: 가이드 홈
28: 결착링 28a: 관통홈
40,42,140,241,242: 전선 100,200: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
110,210: 프레임 111: 지지대
112: 이동축 113: 바닥면
120,220: 적치대 121: 거치대
122a,122b: 고정구 130,230: 가열부
131,132,231,232: 열원(熱源) 박스 133,233: 슬라이드 봉
250: 체결구 260: 고정용 나사

Claims (11)

  1.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서로 연결된 전선들이 양측으로 삽입된 열수축 튜브들이 병렬로 배치되어 놓일 수 있는 적치대(220)와,
    상기 적치대(220)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프레임(210)과,
    서로 면대칭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적치대(220)를 향하는 면의 소정 영역(25)이 각기 개방되어 있는 한 쌍의 열원(熱源) 박스들(231,232)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210)에 구비된 축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되, 상기 적치대(220)로 이동되었을 때는, 상기 열원 박스들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적치대(220)에 놓이는 열수축 튜브들이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에 장착된 가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열원 박스들 각각의 내부에는, 에어 분출공들(22a)이 일렬로 형성된 송풍관(22)과 한 쌍의 가열관들(21)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은 각기 적외선을 방사(放射)하는 열선을 포함한 채로 상기 개방된 영역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관은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의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보다 상기 개방된 영역에서 볼 때 더 내측에 위치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송풍관은, 상기 송풍관으로 유입되는 가압 공기가 상기 에어 분출공들을 통해, 상기 개방된 영역을 양분하는 가상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지점을 향하여 분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열원 박스들 각각의 일측면에는, 상기 송풍관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삽입되는 결착링(28)이 결합되어 고정장착되어 있되, 상기 송풍관은, 상기 결착링에 결합되는 고정구(260)에 의해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송풍관에서 상기 한 쌍의 열원 박스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된 부분에는, 상기 에어 분출공들을 통해 가압 공기가 분출되는 방향, 또는 그 분출 방향과 위상이 180도가 되는 방향을 알 수 있게 하는 표식(22b)이 부가되어 있는 것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의 각각은, 상기 열선이 길이 방향으로 삽입장착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상기 개방된 영역을 향하는 면에 대해서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은, 상기 에어 분출공들을 통해 가압 공기가 분출되는 방향이,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개방된 영역에 노출된 면을 연직방향으로 연장하였을 때, 상기 적치대에 놓이는 열수축 튜브와 만나서 이루는 폭 내의 임의 지점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인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 지점은, 상기 적치대에 놓이는 열수축 튜브의 일측단에서 그 열수축 튜브의 길이의 20%~40%의 거리에 해당하는 지점인 것인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 튜브들의 각각은, 그 양측에서, 내열특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피복체를 갖는 전선이 삽입된 측이, 가압 공기가 상기 에어 분출공들을 통해 분출되는 측에 있도록 상기 적치대에 놓이는 것인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은, 그 배치된 폭(64)이, 상기 적치대에 놓이는 열수축 튜브의 길이의 40~60%의 범위에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인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열원 박스들 각각에는,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에 대하여 그 배치된 면상에서 이동시킨 임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구를 삽입할 수 있는 가이드 홈들(250)이 서로 마주보는 양 면에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열관들의 각각은, 그 양단에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체결홈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것인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출공들은, 상기 적치대에 놓이는 열수축 튜브들의 각각에 하나씩 대응하도록, 상기 열수축 튜브들이 놓이는 서로 간의 간격과 동일 간격으로 상기 송풍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대의 하부에는, 소정 크기의 중심각을 이루게 되는 원주 상의 양 지점에 각기 천공된 한 쌍의 에어 분출공들(26a,26b)이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형성되어 있는 제 2송풍관(26)이 상기 프레임에 더 설치되어 있되,
    상기 중심각은, 상기 한 쌍의 에어 분출공들을 통해 분출되는 가압 공기가, 상기 한 쌍의 가열관들의 일 측면을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하였을 때 상기 적치대에 놓이는 열수축 튜브와 만나서 이루는 서로 이격된 양 구간을 각각 향하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 것인 장치.
KR1020200101526A 2020-08-13 2020-08-13 열수축 튜브에 대한 차별적 가열이 가능한 가열장치 KR102244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526A KR102244854B1 (ko) 2020-08-13 2020-08-13 열수축 튜브에 대한 차별적 가열이 가능한 가열장치
KR1020210011080A KR102290459B1 (ko) 2020-08-13 2021-01-26 열수축 튜브에 대한 차별적 가열이 가능한 가열장치
US17/635,519 US20220266539A1 (en) 2020-08-13 2021-08-12 Heating apparatus capable of heating a heat-shrinkable tube differentially
CN202180005564.2A CN114450137A (zh) 2020-08-13 2021-08-12 可对热收缩管进行差别性加热的加热装置
PCT/KR2021/010700 WO2022035242A1 (ko) 2020-08-13 2021-08-12 열수축 튜브에 대한 차별적 가열이 가능한 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526A KR102244854B1 (ko) 2020-08-13 2020-08-13 열수축 튜브에 대한 차별적 가열이 가능한 가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080A Division KR102290459B1 (ko) 2020-08-13 2021-01-26 열수축 튜브에 대한 차별적 가열이 가능한 가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854B1 true KR102244854B1 (ko) 2021-04-27

Family

ID=757260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526A KR102244854B1 (ko) 2020-08-13 2020-08-13 열수축 튜브에 대한 차별적 가열이 가능한 가열장치
KR1020210011080A KR102290459B1 (ko) 2020-08-13 2021-01-26 열수축 튜브에 대한 차별적 가열이 가능한 가열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080A KR102290459B1 (ko) 2020-08-13 2021-01-26 열수축 튜브에 대한 차별적 가열이 가능한 가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66539A1 (ko)
KR (2) KR102244854B1 (ko)
CN (1) CN114450137A (ko)
WO (1) WO20220352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242A1 (ko) * 2020-08-13 2022-02-17 주식회사 세원전자 열수축 튜브에 대한 차별적 가열이 가능한 가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651B1 (ko) * 2021-12-24 2022-06-13 이윤희 케이블 제작 장치 및 이에 의한 케이블 제작 방법
CN117162512A (zh) * 2022-05-25 2023-12-0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运动机构、加热装置和热缩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681A (ko) * 2002-01-30 2003-08-09 엘지전선 주식회사 초고압 케이블의 케이블 절연체의 표면 처리 방법
KR101409910B1 (ko) * 2012-09-11 2014-06-19 양기선 수축튜브용 열성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009507D1 (de) * 1999-11-09 2005-03-17 Ct Therm Elek Sche Anlagen Gmb Strahlungsheizung mit einer hohen infrarot-strahlungsleistung für bearbeitungskammern
KR200224650Y1 (ko) * 2000-10-23 2001-05-15 이화기계공업주식회사 섬유열처리기의 열풍분사구
KR200381168Y1 (ko) * 2005-01-03 2005-04-11 한일전기주식회사 온풍 기능을 가진 원적외선 히터
CN101500452B (zh) * 2006-06-16 2012-11-28 泰姆普科电热器公司 辐射加热器
JP2008118749A (ja) * 2006-11-01 2008-05-22 Hitachi Cable Ltd 熱収縮ケーブルの加熱装置および加熱方法
JP5605295B2 (ja) * 2011-04-19 2014-10-15 日立金属株式会社 加熱収縮装置及び封止加工方法
WO2013067631A1 (en) * 2011-11-10 2013-05-16 Shawcor Ltd. Apparatus containing multiple sequentially used infrared heating zones for tubular articles
KR200470696Y1 (ko) * 2011-12-12 2014-01-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열수축 튜브 가열기
KR101282212B1 (ko) * 2012-10-16 2013-07-05 권재범 케이블 고정식 수축튜브 가열장치
JP6405571B2 (ja) * 2013-06-28 2018-10-17 株式会社フジシール シュリンクフィルム付き容器の製造方法
JP7115673B2 (ja) * 2018-02-19 2022-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ワークの製造方法
CN208398511U (zh) * 2018-04-26 2019-01-18 河南森隆动物保健品有限公司 一种鼓风干燥装置
CN208269462U (zh) * 2018-04-27 2018-12-21 藤泽电工(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蒸发器的玻璃管加热器
CN108889581A (zh) * 2018-07-02 2018-11-27 广州市朗普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光导热能装置的烘干加热设备
CN208609221U (zh) * 2018-07-11 2019-03-15 合肥蒯科砾电气有限公司 一种具有调节加热方向功能的中波红外加热管
CN209409302U (zh) * 2018-12-13 2019-09-20 上海发之源电气有限公司 一种自动烘热装置
CN209914085U (zh) * 2019-01-14 2020-01-07 山东宝阳干燥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红外线辐射加热管
CN110821861A (zh) * 2019-01-16 2020-02-21 王宝全 便携送风装置
CN209232878U (zh) * 2019-02-02 2019-08-09 三星(天津)电池有限公司 卷曲机的吹气装置
CN211084722U (zh) * 2019-09-10 2020-07-24 上海恒安聚氨酯股份有限公司 一种聚氨酯面料加工用烘干搅拌仓
CN111293572A (zh) * 2020-03-23 2020-06-16 诸暨中澳自动化设备有限公司 多位置同步热缩的线束热缩设备、集成装置及方法
KR102244854B1 (ko) * 2020-08-13 2021-04-27 주식회사 세원전자 열수축 튜브에 대한 차별적 가열이 가능한 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681A (ko) * 2002-01-30 2003-08-09 엘지전선 주식회사 초고압 케이블의 케이블 절연체의 표면 처리 방법
KR101409910B1 (ko) * 2012-09-11 2014-06-19 양기선 수축튜브용 열성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242A1 (ko) * 2020-08-13 2022-02-17 주식회사 세원전자 열수축 튜브에 대한 차별적 가열이 가능한 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66539A1 (en) 2022-08-25
WO2022035242A1 (ko) 2022-02-17
CN114450137A (zh) 2022-05-06
KR102290459B1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854B1 (ko) 열수축 튜브에 대한 차별적 가열이 가능한 가열장치
JPH06168795A (ja) プラズマガン
CA2813369C (en) Insulated led device
CN101182966B (zh) 冰箱
CA2132178C (en) A plasma gun head
US75650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ing an infrared-initiated splice seal
US4532396A (en) Flexible induction brazing wand for hollow tubes
KR20180108494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어레인지먼트
WO2010035593A1 (ja) 光源装置
CN105065945A (zh) 一种led球泡灯
CN102112808A (zh) 电路排布
CN111525334B (zh) 一种散热防松脱线缆接头
CN109595807A (zh) 燃烧设备
JP2019509010A (ja) 電気的なケーブル接続部において接触箇所をシール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A1169403A (en) Luminaire
CA2383813A1 (en) Electromagnetic irradiating device
US4730332A (en) Laser oscillating apparatus
CN112309650A (zh) 一种电缆填充材料挤出装置及其填充层挤出方法
ITMI20090948A1 (it) Dispositivo radiante di riscaldamento
KR101342451B1 (ko) 복수의 전선의 피복들을 융착하는 장치
CN215204034U (zh) 灯具及胶印机
CN108461867B (zh) 液冷管接头及液冷装置
US6543908B1 (en) Submersible light generator for glass or plastic optical fibres
CN109378617B (zh) 一种焊锡环连接器
CN207179482U (zh) 一种能耗低的led装饰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