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690B1 - V2x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 하는 관제서버 - Google Patents

V2x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 하는 관제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690B1
KR102244690B1 KR1020200037376A KR20200037376A KR102244690B1 KR 102244690 B1 KR102244690 B1 KR 102244690B1 KR 1020200037376 A KR1020200037376 A KR 1020200037376A KR 20200037376 A KR20200037376 A KR 20200037376A KR 102244690 B1 KR102244690 B1 KR 102244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ouncement
terminals
group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평
김백철
Original Assignee
(주)양진텔레콤
씨에스와이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양진텔레콤, 씨에스와이커뮤니케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양진텔레콤
Priority to KR1020200037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별정보를 통해 안내방송단말기를 식별하고, 통신부와 개별 안내방송단말기의 통신 연결세기를 측정하여, 통신 연결세기에 따라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를 복수의 그룹단위로 그룹핑하는 그룹정보를 생성하는 그룹정보생성부, 통신 연결세기가 강한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가 통신 연결세기가 약한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에게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도록 전달경로를 설정하고,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에 설정된 업데이트데이터 전달경로가 포함된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정보생성부 및 경로정보에 따라 순차적으로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되도록 각 안내방송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어신호와 업데이트데이터를 포함한 업데이트정보를 생성하여 통신 연결세기가 가장 큰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에게 업데이트정보가 전송되도록 하여 계층적 업데이트를 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 하는 관제서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V2X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 하는 관제서버 {CONTROL SERVER FOR UPDATING BUS ANNOUNCEMENT TERMINAL USING V2X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의 업데이트데이터 전달을 제어하는 관제서버에 관한 것이다.
버스 안내방송 기술은, 버스를 탑승한 탑승객에게 버스의 운행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근래의 버스 안내방송 기술은 승강장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특정 승강장에 도달하였을 때, 탑승객에게 해당 승강장에 인접 위치한 광고주사업장의 광고 영상, 광고 멘트 등의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광고 플랫폼으로도 각광 받고 있다.
버스 안내방송 기술은, 버스 내부에 설치되는 안내방송단말기가 GPS 위성신호를 통해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위치정보가 지정된 지점에 근접하였을 때, 내부에 저장된 승강장에 대한 정보 및 승강장에 인접한 광고주사업장의 광고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버스 정보안내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6164호(출원일 : 2009.04.27., 등록일 : 2010.03.02., 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에 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승강장 정보 또는 광고정보에 변동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 버스의 운행 이전에 차고지 등의 대기지점에서 안내방송단말기에 새로운 승강장 정보, 광고정보를 입력하거나, 기 저장된 정보를 변경하는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무선통신방식으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바, 동시에 여러 대의 안내방송단말기의 업데이트가 요구되는 경우,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무선 중계망에 부하가 발생되어 업데이트 정보의 누락 및 업데이트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그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의 업데이트 시에 서버 또는 중계망에 부하를 감소시키는 버스 안내방송단말기의 관제서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업데이트 시의 서버 또는 중계망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업데이트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버스 안내방송단말기의 관제서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복수의 버스를 수용하는 차고지에 설치되어 복수의 버스 내부에 설치된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하는 관제서버로서: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업데이트데이터 및 안내방송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식별정보를 통해 안내방송단말기를 식별하고, 통신부와 개별 안내방송단말기의 통신 연결세기를 측정하여, 통신 연결세기에 따라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를 복수의 그룹단위로 그룹핑하는 그룹정보를 생성하는 그룹정보생성부;
통신 연결세기가 강한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가 통신 연결세기가 약한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에게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도록 전달경로를 설정하고,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에 설정된 업데이트데이터 전달경로가 포함된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정보생성부; 및
경로정보에 따라 순차적으로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되도록 각 안내방송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어신호와 업데이트데이터를 포함한 업데이트정보를 생성하여 통신 연결세기가 가장 큰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에게 업데이트정보가 전송되도록 하여 계층적 업데이트를 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 하는 관제서버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 연결세기가 가장 작은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가 업데이트를 완료한 후 업데이트 완료를 알리는 알림응답을 제어부에 송신하도록 하고,
통신 연결세기가 가장 작은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 전부로부터 알림응답이 수신된 경우 업데이트를 완료하고,
알림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안내방송단말기의 전달경로 내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와 통신하여 업데이트가 진행되지 않은 안내방송단말기에게 업데이트정보를 다시 전송하여 누락된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신부와 개별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세기인 제1연결세기를 수집하고, 특정 안내방송단말기와 다른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세기인 제2연결세기를 수집하여, 관제서버와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를 2차원 평면상에 배치시킨 좌표정보를 생성하는 좌표정보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경로정보생성부는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이격거리를 계산하고,
다른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에서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될 때, 이격거리가 짧은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에서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되도록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a) 차고지에 설치된 관제서버가 차고지에 주차된 버스의 안내방송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관제서버가 개별 안내방송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세기를 측정하여, 통신 연결세기의 강약에 따라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를 복수의 그룹단위로 그룹핑하는 단계;
(c) 상기 관제서버가 통신 연결세기가 가장 강한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에게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 및
(d) 통신 연결세기가 가장 강한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가 통신 연결세기가 두번째로 강한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에게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 하는 관제서버의 업데이트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b) 단계는
관제서버가 관제서버와 개별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세기인 제1연결세기를 수집하는 단계;
특정 안내방송단말기가 자신과 다른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세기인 제2연결세기를 수집하여 관제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관제서버가 제1연결세기 및 제2연결세기를 이용하여, 관제서버와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를 2차원 평면상에 배치시킨 좌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관제서버가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이격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관제서버가 다른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에서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될 때, 이격거리가 짧은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에서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되도록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제서버의 제어부에서 생성한 제어신호에 의해, 차고지 내에 위치한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가 상호간에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도록 제어됨으로써, 통신망과 서버의 부하 발생을 억제하여 업데이트데이터의 데이터 누락과 통신 지연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관제서버의 경로정보생성부가 관제서버와 안내방송단말기의 통신상태를 확인하고, 각 안내방송단말기간의 통신상태 또는 각 안내방송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통해 각 안내방송단말기의 업데이트데이터 전달에 유리한 전달 경로를 선정하여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에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가 그룹정보를 생성하는 일예를 시각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가 그룹정보와 좌표정보를 생성하는 일예를 시각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가 그룹정보와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일예를 시각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고지 외부에 설치된 관제서버가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구역을 나누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관제서버(100)는 복수의 버스(B) 내부에 설치된 안내방송단말기(200)를 업데이트한다. 관제서버(100)는 버스 차고지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무선통신망을 통해 안내방송단말기(200)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다만, 아래 실시예는 관제서버가 차고지 내부에 있는 경우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안내방송단말기(200)는 버스 내부에 설치되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버스(B)의 운행에 대한 운행정보를 안내하고, 운행경로 상에 위치한 광고주사업장의 광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안내방송단말기(200)는 버스(B)의 운행경로가 저장되며, 수신된 위치정보를 통해 현재 버스(B)의 위치가 운행경로 중 어디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방송단말기(200)는 버스(B)에 탑승한 탑승객에게 이후에 정차할 승강장이 어떤 승강장인지 안내할 수 있으며, 해당 승강장에 인접한 광고주사업장의 광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안내방송단말기(200)는 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안내방송단말기(200)는 4G, 5G 기반의 이동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안내방송단말기(200)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통신방식으로 AP(Access Point) 및 인접한 또 다른 안내방송단말기(200) 등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안내방송단말기(200)는 고유한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관제서버(100)가 안내방송단말(200)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안내방송단말기(20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갖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Wi-Fi,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에 할당되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값이 고유한 식별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안내방송단말기(200)는 소정의 주기단위로 GPS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소정의 주기단위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관제서버(100)에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관제서버(100)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제서버(100)는 차고지 내부에 위치한 복수의 버스(B)에 개별적으로 배치된 각 안내방송단말기(200)의 업데이트데이터 전달을 제어하며, 통신부(110), 저장부(120), 그룹정보생성부(130), 좌표정보생성부(140), 경로정보생성부(150), 제어부(160) 및 확인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망을 제공하여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20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LAN(Local Area Network) 카드에 유/무선 공유기 등과 같은 AP(Access Point)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무선 통신망을 제공하면서 인터넷 망과 연결되어 통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차고지 내부에 설치되어 무선 통신 망을 제공하는 통신안테나(111)가 포함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저장부(120)는 업데이트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업데이트데이터는 버스(B)의 운행경로(노선), 승강장에 대한 안내정보와 각 승강장에 인접 위치한 광고주사업장의 광고정보가 포함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안내방송단말기(200)의 기기 펌웨어업데이트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저장부(120)는 버스(B)의 운행경로, 승강장 위치 또는 명칭 등이 바뀌거나 광고정보에 갱신이 발생될 때 생성된 업데이트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20)는 안내방송단말기(200)의 식별정보가 저장된다.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안내방송단말기(200)의 식별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방송단말기(120)의 IMEI, 통신모듈을 MAC주소일 수 있으며, 안내방송단말기(120) 기기 자체의 시리얼넘버(Serial number)일 수도 있다. 저장부(120)는 안내방송단말기(200)의 식별정보를 해당 안내방송단말기(200)가 설치되는 버스(B)의 운행번호, 운행경로, 운행 스케줄 등과 함께 매칭시켜 저장할 수도 있다.
그룹정보생성부(13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통해 통신부(110)의 무선통신망에 연결된 안내방송단말기(200)를 식별할 수 있다.
그룹정보생성부(130)는 통신부(110)와 개별 안내방송단말기의 통신 연결세기를 측정하여, 통신 연결세기에 따라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를 복수의 그룹단위로 그룹핑하는 그룹정보를 생성 한다.
좌표정보생성부(140)는 통신부(110)와 개별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세기인 제1연결세기를 수집한다. 좌표정보생성부(140)는 특정 안내방송단말기와 다른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세기인 제2연결세기를 수집한다. 차고지에 주차된 버스가 복수 개이므로, 제2연결세기는 차고지에 주차된 버스의 개수와 같이 복수 개이다.
좌표정보생성부(140)는 제1연결세기 및 제2연결세기를 분석하여, 관제서버와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를 2차원 평면상에 배치시킨 좌표정보를 생성 한다.
경로정보생성부(150)는 그룹정보생성부(130)에서 생성된 그룹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세기가 강한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가 통신 연결세기가 약한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에게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도록 전달경로를 설정 하고,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에 설정된 업데이트데이터 전달경로가 포함된 경로정보를 생성한다.
제어부(160)는 경로정보에 따라 순차적으로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되도록 각 안내방송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 하고, 제어신호와 업데이트데이터를 포함한 업데이트정보를 생성하여 통신 연결세기가 가장 큰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에게 업데이트정보가 전송되도록 하여 계층적 업데이트를 개시한다.
제어부(160)는 통신 연결세기가 가장 작은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가 업데이트를 완료한 후 업데이트 완료를 알리는 알림응답을 제어부에 송신하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통신 연결세기가 가장 작은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 전부로부터 알림응답이 수신된 경우 업데이트를 완료한다.
제어부(160)는 알림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안내방송단말기가 있는 경우, 알림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안내방송단말기의 전달경로 내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와 통신하여 업데이트가 진행되지 않은 안내방송단말기에게 업데이트정보를 다시 전송하여 누락된 업데이트를 진행 한다.
알림응답의 확인을 위해 제어부(160)는 확인부(170)를 이용할 수도 있다.
확인부(170)는 알림응답 수신여부를 통해 차고지 내부에 존재하는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200)에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의해 통신 연결세기가 가장 약한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가 통신부(110)에 알림응답을 송신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운행 중인 버스(B)에 탑승한 탑승객의 탑승객단말(300)과 통신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탑승객단말(30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통상의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 등의 스마트기기일 수 있다. 탑승객단말(300)은 Wi-Fi, 블루투스, NFC, RFID 등 다양한 무선통신방식으로 버스(B)에 배치된 안내방송단말기(200)로부터 식별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탑승객단말(300)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안내방송단말기(2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안내방송단말기(200)는 버스(B)의 운행경로, 운행 스케줄 등의 정보를 탑승객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안내방송단말기(200)는 안내방송단말기(200)에서 수신한 위치정보를 통해, 현재의 버스(B)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방송단말기(200)에서 제공되는 운행정보 또는 광고정보와 관련한 부가적인 정보를 탑승객단말(300)에게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안내방송단말기(200)는 버스(B)에 탑승한 탑승객이 탑승객단말(300)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하차할 승강장을 선택하면, 탑승객단말(300)의 애플리케이션에 하차할 승강장에 도달하는데 소요될 예상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가 그룹정보를 생성하는 일예를 시각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그룹정보생성부(130)는 관제서버(100)와 개별 안내방송단말기의 통신 연결세기를 측정하여, 통신 연결세기에 따라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를 복수의 그룹단위로 그룹핑하는 그룹정보를 생성 한다. 예를들어, 관제서버(100)는 관제서버(100)와 가장 통신 연결세기가 강한 안내방송단말기(201, 202)를 제1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관제서버(100)와 두번째로 강한 통신 연결세기를 갖는 안내방송단말기(203, 204, 205)를 제2그룹으로 그룹핑하고, 관제서버(100)와 가장 약한 통신 연결세기를 갖는 안내방송단말기(206, 207, 208)를 제3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가 그룹정보와 좌표정보를 생성하는 일예를 시각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좌표정보생성부(140)는 관제서버와 개별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세기인 제1연결세기를 수집하고, 특정 안내방송단말기와 다른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세기인 제2연결세기를 수집하여, 관제서버와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를 2차원 평면상에 배치시킨 좌표정보를 생성 한다. 이때, 좌표정보는 (x, y)와 같은 2차원 좌표일 수 있다.
좌표정보생성부(140)는 제1연결세기와 제2연결세기를 분석하여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 상호간의 좌표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연결세기가 강할수록 y좌표값은 작을 것이고, 제1연결세기가 약할수록 y좌표값은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제1그룹에 속한 안내방송단말기 201과 202는 y좌표값을 1로 설정하고, 제2그룹에 속한 안내방송단말기 203, 204, 205 y좌표값을 2로 설정하고, 제3그룹에 속한 안내방송단말기 206, 207, 208은 y좌표값을 3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세기는 x, y좌표 상에서 안내방송단말기 상호간의 거리를 의미할 것이다. 안내방송단말기 203과 206은 y좌표값이 2와 3으로 서로 다르지만 제2연결세기가 강하다. 그러므로 안내방송단말기 203과 206의 x좌표값은 서로 동일할 가능성이 높다.
안내방송단말기 201, 203, 204의 좌표정보는 다음과 같이 추정될 수 있다. 201과 204의 제2연결세기는 강, 201과 203의 제2연결세기는 중이다. 따라서, 201과 204의 x좌표는 동일할 가능성이 높고, 201과 203의 x좌표는 서로 다를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203의 x좌표가 201의 x좌표보다 클것인지 작을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일한 그룹에 속한 204와 205의 제2연결세기가 약인 반면 203과 205의 제2연결세기는 측정되지 않을 정도로 약하므로, 203은 204보다 x좌표가 작을 것이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안내방송단말 사이의 제2연결세기를 제1연결세기와 종합하여 분석하면 좌표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좌표정보를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내방송단말기 201은 x축 2열 및 y축 1행인 (2, 1)의 좌표를 갖는다. 안내방송단말기 202는 x축 3열 및 y축 1행인 (3, 1)의 좌표를 갖는다. 안내방송단말기 203은 x축 1열 및 y축 2행인 (1, 2)의 좌표를 갖는다. 안내방송단말기 204는 x축 2열 및 y축 2행인 (2, 2)의 좌표를 갖는다. 안내방송단말기 205는 x축 4열 및 y축 2행인 (4, 2)의 좌표를 갖는다. 안내방송단말기 206은 x축 1열 및 y축 3행인 (1, 3)의 좌표를 갖는다. 안내방송단말기 207은 x축 3열 및 y축 3행인 (3, 3)의 좌표를 갖는다. 안내방송단말기 208은 x축 4열 및 y축 3행인 (4, 3)의 좌표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제서버가 그룹정보와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일예를 시각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경로정보생성부(150)는 기본적으로 앞서 설명한 제1연결세기가 강한쪽에서 낮은쪽의 그룹으로 업데이트가 진행되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관제서버(100)는 제1그룹에 속한 안내방송단말기 201 및 202에게 업데이트를 시작한다. 관제서버(100)가 총 8대의 버스를 동시에 업데이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관제서버(100)의 부하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제1그룹에서 제2그룹으로 업데이트를 전파할 때는 이격거리가 짧은 안내방송단말기로 전달경로를 설정한다. 즉, 201은 이격거리가 짧은 203, 204에게, 205는 208에게 업데이트를 전파한다. 마찬가지로 제2그룹에서 제3그룹으로 업데이트를 전파하면, 203은 206에게, 204는 207에게, 205는 208에게 업데이트를 전파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경로정보생성부(150)는 이격거리가 동일한 경우가 발생할 때, 안내방송단말기가 전파해야할 수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전달경로를 설정한다. 예를들어, 204 및 207의 이격거리와 205 및 207의 이격거리가 동일한 경우 204가 207에게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도록 한다. 왜냐하면 205가 207 및 208에게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는 것보다, 205가 208에게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고, 207에게는 204가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 205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2국면에 따른 V2X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 하는 관제서버의 업데이트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고지에 설치된 관제서버가 차고지에 주차된 버스의 안내방송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 및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다음, 관제서버가 개별 안내방송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세기를 측정하여, 통신 연결세기의 강약에 따라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를 복수의 그룹단위로 그룹핑한다.
다음, 관제서버가 통신 연결세기가 가장 강한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에게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한다.
다음, 통신 연결세기가 가장 강한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가 통신 연결세기가 두번째로 강한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에게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한다.
이와 같은 순서로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면 관제서버와 안내방송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부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에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안내방송단말기 상호 간의 업데이트데이터 전달경로를 결정하기 위해서, 관제서버가 관제서버와 개별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세기인 제1연결세기를 수집하는 단계, 특정 안내방송단말기가 자신과 다른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세기인 제2연결세기를 수집하여 관제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관제서버가 제1연결세기 및 제2연결세기를 이용하여, 관제서버와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를 2차원 평면상에 배치시킨 좌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관제서버가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이격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관제서버가 다른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에서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될 때, 이격거리가 짧은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에서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되도록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연결세기 및 제2연결세기를 동시에 고려하여 업데이트데이터의 전달경로를 결정하면 어느 하나의 안내방송단말기에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차고지 외부에 설치된 관제서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고지 외부에 설치된 관제서버가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구역을 나누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관제서버(100)는 버스 차고지 외부에 설치되어 무선통신망을 통해 안내방송단말기(200)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앞서 버스 차고지 내부에 관제서버가 존재하는 도 1 내지 도 4의 경우와 차이점을 주로 설명한다. 또한 모순되지 않는 부분은 앞선 설명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하의 설명을 읽고 난 후, 대부분의 차이점이 “통신부와 안내방송단말기의 통신 연결세기”를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세기로 치환하는 부분에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관제서버(100)는 차고지에 주차된 복수의 버스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용하여 좌표정보를 생성하고, 좌표정보를 이용하거 근거리에 위치한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가 하나의 구역에 배치되도록 구역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제서버(100)는 차고지에 주차된 복수의 버스 중 동일한 구역에 배치된 안내방송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1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후 관제서버(200)는 제1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와 통신 연결세기가 강한 안내방송단말기를 제2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관제서버(100)는 차고지에 주차된 복수의 버스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 상호간의 통신 연결세기인 제2연결세기를 이용하여 전달경로를 설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좌표정보생성부는 제2연결세기를 분석하여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를 2차원 평면 상에 배치시킨 좌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룹정보생성부는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근거리에 있는 안내방송단말기를 복수의 구역으로 나누는 구역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안내방송단말기는 하나의 구역에만 속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그룹정보생성부는 상호 간의 통신 연결세기가 약인 안내방송단말기가 서로 다른 구역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약한 통신 연결세기를 갖는 안내방송단말기 상호간에 전달경로가 생성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통신 연결세기가 강할수록 업데이트데이터의 전달효율을 높이고 실패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룹정보생성부는 동일한 구역에 포함된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1그룹으로 선정한다.
제1그룹은 1) 임의로 선정할 수 있고, 2) 동일한 구역 내의 중앙이나 일측에 배치된 안내방송단말기를 선정할 수 있고, 3) 관제서버와 통신 연결세기가 가장 강한 안내방송단말기를 선정할 수 있고, 4) 다른 안내방송단말기와 통신 연결세기가 강하게 연결된 빈도수가 가장 많은 안내방송단말기를 선정할 수도 있다.
그룹정보생성부는 제1그룹에 인접한 안내방송단말기를 제2그룹으로 선정한다. 필요한 경우 제2그룹에 인접한 안내방송단말기를 제3그룹으로 선정할 수 있다.
경로정보생성부는 관제서버가 서로 다른 구역에 속한 제1그룹의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하도록 전달경로를 설정하고, 제1그룹에 속한 안내방송단말기가 동일한 구역에 포함된 제2그룹에 속한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하도록 전달경로를 설정한다.
예를들어, 좌표정보생성부가 도 5와 같이 버스의 좌표정보를 생성한다.
그룹정보생성부는 근거리에 있는 201 및 202가 배치된 구역을 제1구역으로 설정하고, 203, 204, 206가 배치된 구역을 제2구역으로 설정하고, 205, 207, 208이 배치된 구역을 제3구역으로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그룹정보생성부는 다른 안내방송단말기와 통신 연결세기가 강하게 연결된 빈도수가 가장 많은 안내방송단말기를 제1그룹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제1그룹에서 제2그룹으로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될 때의 성공확률 및 전달효율이 상승한다. 즉, 제2구역에서 203은 204와 통신 연결세기가 강이고 206과의 통신 연결세기도 강이다. 따라서, 203을 제1그룹으로 설정하고 204 및 206을 제2그룹으로 설정하면, 제1그룹에서 제2그룹으로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할 때 모든 통신 연결세기가 강한 전달경로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6)

  1. 복수의 버스 내부에 설치된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하는 관제서버로서: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업데이트데이터 및 안내방송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세기인 제2연결세기를 수집하여,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2차원 평면상에 배치시킨 좌표정보를 생성하는 좌표정보생성부;
    식별정보를 통해 안내방송단말기를 식별하고,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근거리에 있는 안내방송단말기가 동일한 구역에 포함되도록 2차원 평면을 복수의 구역으로 나누는 구역정보를 생성하고, 동일한 구역에 포함된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1그룹으로 선정하고, 제1그룹에 인접한 안내방송단말기를 제2그룹으로 선정하여,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를 복수의 그룹단위로 그룹핑하는 그룹정보를 생성하는 그룹정보생성부;
    관제서버가 제1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고, 제1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가 제2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에게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도록 전달경로를 설정하고,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에 설정된 업데이트데이터 전달경로가 포함된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정보생성부; 및
    경로정보에 따라 순차적으로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되도록 각 안내방송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계층적 업데이트를 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정보생성부는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이격거리를 계산하고,
    다른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에서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될 때, 이격거리가 짧은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에서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되도록 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이격거리가 동일한 경우가 발생할 때, 안내방송단말기가 전파해야할 수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전달경로를 설정하여 중계망에 부하를 감소시키는,
    V2X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 하는 관제서버.
  2. 복수의 버스를 수용하는 차고지에 설치되어 복수의 버스 내부에 설치된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하는 관제서버로서: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업데이트데이터 및 안내방송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식별정보를 통해 안내방송단말기를 식별하고, 통신부와 개별 안내방송단말기의 통신 연결세기를 측정하여, 통신 연결세기에 따라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를 복수의 그룹단위로 그룹핑하는 그룹정보를 생성하는 그룹정보생성부;
    통신 연결세기가 강한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가 통신 연결세기가 약한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에게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도록 전달경로를 설정하고,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에 설정된 업데이트데이터 전달경로가 포함된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경로정보생성부; 및
    경로정보에 따라 순차적으로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되도록 각 안내방송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어신호와 업데이트데이터를 포함한 업데이트정보를 생성하여 통신 연결세기가 가장 큰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에게 업데이트정보가 전송되도록 하여 계층적 업데이트를 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경로정보생성부는,
    이격거리가 동일한 경우가 발생할 때, 안내방송단말기가 전파해야할 수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전달경로를 설정하여 중계망에 부하를 감소시키는,
    V2X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 하는 관제서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마지막 전달경로에 속한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가 업데이트를 완료한 후 업데이트 완료를 알리는 알림응답을 제어부에 송신하도록 하고,
    마지막 전달경로에 속한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 전부로부터 알림응답이 수신된 경우 업데이트를 완료하고,
    마지막 전달경로에 속한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 전부로부터 알림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알림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안내방송단말기의 전달경로 내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와 통신하여 업데이트가 진행되지 않은 안내방송단말기에게 업데이트정보를 다시 전송하여 누락된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것인,
    V2X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 하는 관제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통신부와 개별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세기인 제1연결세기를 수집하고, 특정 안내방송단말기와 다른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세기인 제2연결세기를 수집하여, 관제서버와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를 2차원 평면상에 배치시킨 좌표정보를 생성하는 좌표정보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정보생성부는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이격거리를 계산하고, 다른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에서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될 때, 이격거리가 짧은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에서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되도록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V2X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 하는 관제서버.
  5. (a) 차고지에 설치된 관제서버가 차고지에 주차된 버스의 안내방송단말기로부터 위치정보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관제서버가 개별 안내방송단말기와의 통신 연결세기를 측정하여, 통신 연결세기의 강약에 따라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를 복수의 그룹단위로 그룹핑하는 단계;
    (c) 상기 관제서버가 통신 연결세기가 가장 강한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에게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
    (d) 통신 연결세기가 가장 강한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가 통신 연결세기가 두번째로 강한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에게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
    (e) 안내방송단말기간 이격거리가 동일한 경우, 중계망에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안내방송단말기가 전파해야할 수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전달경로를 설정하여 업데이트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2X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 하는 관제서버의 업데이트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관제서버가 관제서버와 개별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세기인 제1연결세기를 수집하는 단계;
    특정 안내방송단말기가 자신과 다른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통신 연결세기인 제2연결세기를 수집하여 관제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관제서버가 제1연결세기 및 제2연결세기를 이용하여, 관제서버와 복수의 안내방송단말기의 상대적인 위치를 2차원 평면상에 배치시킨 좌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관제서버가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의 이격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관제서버가 다른 그룹에 포함된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에서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될 때, 이격거리가 짧은 안내방송단말기 사이에서 업데이트데이터가 전달되도록 경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V2X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 하는 관제서버의 업데이트방법.
KR1020200037376A 2020-03-27 2020-03-27 V2x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 하는 관제서버 KR102244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376A KR102244690B1 (ko) 2020-03-27 2020-03-27 V2x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 하는 관제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376A KR102244690B1 (ko) 2020-03-27 2020-03-27 V2x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 하는 관제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690B1 true KR102244690B1 (ko) 2021-04-26

Family

ID=7573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376A KR102244690B1 (ko) 2020-03-27 2020-03-27 V2x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 하는 관제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6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8149A (ja) * 2009-07-08 2011-01-27 Renesas Electronics Corp バス位置表示方法、バス映像取得方法、交差点映像取得方法及び映像配信方法
KR20150001221A (ko) * 2013-06-26 2015-01-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그룹핑을 이용한 측위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8149A (ja) * 2009-07-08 2011-01-27 Renesas Electronics Corp バス位置表示方法、バス映像取得方法、交差点映像取得方法及び映像配信方法
KR20150001221A (ko) * 2013-06-26 2015-01-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그룹핑을 이용한 측위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52779B (zh) 一种基于蓝牙通信的乘车引导系统及方法
WO2014104168A1 (ja) 車両通信システム、車載器、記録媒体、及び、通信方法
CN106485340A (zh) 自动驾驶车辆的派遣系统
CA2972698C (en) Local positioning with communication tags
CN109191603B (zh) 一种自由流天线的并行交易数据处理系统和方法
US64598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a user to find a communication resource of sufficient capacity
EP2760228B1 (en) In-vehicle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US20110312369A1 (en) System, base st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system
CN103164751A (zh) 一种无限定站点无固定线路公共交通运营系统及运营方法
EP24998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passenger information in a vehicle to mobile terminals
TWI268342B (en)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route
KR20130082567A (ko) 택시 호출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0392341A (zh) 一种高铁移动网络用户识别方法和系统
CN111080819A (zh) Rsu与obu的匹配方法及系统、存储介质、电子装置
JP2017174203A (ja) 運行管理システム
CN112203255A (zh) 车载单元的控制方法和系统、存储介质及电子装置
US20080318519A1 (en) Wireless network system and relay node
CN106559755A (zh) 基于冲突检测下QoS保障的车联网电子交通标识广播方法
KR102244690B1 (ko) V2x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 안내방송단말기를 업데이트 하는 관제서버
US20220269288A1 (en) Electronic device, serv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030007467A1 (en) Radio communication us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CN106332274A (zh) 一种定位方法及设备
CN103228057A (zh) 一种无线mesh网络的分布式资源分配方法
JP3561795B2 (ja) 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列車運行管理方法
JP2006166307A (ja) 狭域通信装置及び狭域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