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210B1 -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210B1
KR102244210B1 KR1020150001923A KR20150001923A KR102244210B1 KR 102244210 B1 KR102244210 B1 KR 102244210B1 KR 1020150001923 A KR1020150001923 A KR 1020150001923A KR 20150001923 A KR20150001923 A KR 20150001923A KR 102244210 B1 KR102244210 B1 KR 102244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packet
signal
transmitted
full dupl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5051A (ko
Inventor
임종부
설지윤
이병환
한광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1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210B1/ko
Priority to US15/542,389 priority patent/US10819494B2/en
Priority to PCT/KR2016/000136 priority patent/WO2016111559A1/ko
Publication of KR20160085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45Interference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carrier sensing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노드가 동일한 자원을 이용하여 동시에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목적지 기반으로 서로 다른 3개 이상의 노드 간 풀 듀플렉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제2수신기에서 패킷 수신 방법으로, 제1송신기가 제1수신기로 송신하는 송신 요구(request-to-send, RTS) 신호를 청취(overhearing)하는 단계; 상기 청취한 RTS 신호의 수신 세기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송신기와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상기 제2송신기로 보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송신기로부터 패킷 데이터가 수신될 시 패킷 데이터의 복조 및 복호하고,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FULL DUPLEX SYSTEM}
본 발명은 하나의 노드가 동일한 자원을 이용하여 동시에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일 주파수 또는/및 동일 시간의 자원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특정 노드가 송신만을 또는 수신만을 수행하는 하프 듀플렉스(half duplex) 방식이 있다. 하프 듀플렉스 방식은 특정한 노드가 송신을 수행할 시 상대측 노드는 수신만을 수행하고, 반대로 특정 노드가 수신을 수행할 시 상대측 노드는 송신만을 수행한다. 따라서 하나의 노드가 송신 또는 수신만을 수행하게 된다.
둘째, 특정 노드가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풀 듀플렉스(full duplex) 방식이 있다. 풀 듀플렉스 방식은 특정한 노드가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며, 상대측 노드 또한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최근, 와이파이(Wi-Fi) 시스템에서는 풀 듀플렉스(FD) 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와이파이(Wi-Fi) 시스템에서는 풀 듀플렉스(FD) 방식의 시나리오는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한 쌍의 풀 듀플렉스(pair-wise FD) 방식으로 양방향 통신(bi-directional transmission)이라고도 한다. 이 시나리오는 양방향 트래픽이 존재할 경우만 하프 듀플렉스 대비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시나리오는 기존의 방식에 대한 호환(backward compatibility)이 용이하다.
다른 시나리오는 제한 없는 풀 듀플렉스(unrestricted FD) 방식으로 서로 다른 세 노드간 통신(three nodes transmission)이라고도 한다. 이 시나리오는 스케줄링 기회(scheduling opportunity)를 제공하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만 동시 송수신 기능이 있으면 동작이 가능하다.
한편, 풀 듀플렉스 방식에 대한 맥(MAC) 계층의 프로토콜(protocol)은 첫 번째 시나리오에 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러면 첫 번째 시나리오에서 제안하고 있는 맥 계층의 프로토콜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기로 하자.
첫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긍정 응답(ACK)에 대한 요구(requirement)를 수정하여 긍정 응답(ACK)을 기다리는 것보다 긍정 응답(ACK)을 보내는 것에 대해서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이를 통해 첫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긍정 응답(ACK) 정보를 동시에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현재 표준에서 제공하고 있는 청취 동작(overhearing behavior)에 대한 요구(requirement)를 수정함으로써 형평성(fairness)을 개선하였으며, 송신 요구(request-to-send, RTS)와 송신 가능(clear-to-send, CTS) 교환 과정 후에 2차 전송(secondary transmission)을 시작하도록 보완함으로써 한 쌍의(pair-wise) FD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다른 한편, 두 번째 시나리오를 지원하기 위해서 기존 프로토콜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완전히 새로운 맥 계층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Pair-wise FD를 위한 기술은 양방향 트래픽(traffic)이 존재할 경우만 하프-듀플렉스 대비 이득을 얻을 수 있고, 양쪽 노드 모두 FD 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동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두 번째 시나리오를 지원하기 위해서 제안된 종래기술은 이전 기술과의 호환(backward compatibility)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현재 Wi-Fi 시스템에 적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한 없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이전 기술과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맥(MAC)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한 없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노드 간 발생하는 간섭을 해소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풀 듀플렉스 방식의 전송 효율 이득을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목적지 기반으로 서로 다른 3개 이상의 노드 간 풀 듀플렉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제2수신기에서 패킷 수신 방법으로, 제1송신기가 제1수신기로 송신하는 송신 요구(request-to-send, RTS) 신호를 청취(overhearing)하는 단계; 상기 청취한 RTS 신호의 수신 세기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송신기와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상기 제2송신기로 보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송신기로부터 패킷 데이터가 수신될 시 패킷 데이터의 복조 및 복호하고,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목적지 기반으로 서로 다른 3개 이상의 노드 간 풀 듀플렉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제1수신기와 제2송신기로 동작하는 노드에서 패킷 송신 및 수신 방법으로, 제1송신기로부터 송신 요구(request-to-send, RTS) 신호 수신 시 미리 설정된 시간 후 송신 가능(clear-to-send, CTS)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CTS 신호를 송신하는 자원 중 동일한 적어도 일부의 자원을 통해 제2수신기 후보들로부터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에 근거하여 제2수신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송신기로부터 패킷을 수신할 시 동일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2수신기로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소스 기반으로 서로 다른 3개 이상의 노드 간 풀 듀플렉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제2송신기 후보가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1송신기가 제1수신기로 전송하는 송신 요구(request-to-send, RTS) 신호 와 상기 제1수신기가 상기 제1송신기로 송신 가능(clear-to-send, CTS) 신호를 청취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CTS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수신기의 간섭 신호 세기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간섭 신호 세기를 추정 결과 송신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랜덤 백-오프 시간만큼 대기한 후 제2수신기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소스 기반으로 서로 다른 3개 이상의 노드 간 풀 듀플렉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제1송신기 및 제2수신기로 동작하는 노드에서 패킷 송신 및 수신 방법으로, 제1수신기로 전송하는 송신 요구(request-to-send, RTS)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제1송신기로 송신 가능(clear-to-send, CTS)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수신기로 패킷을 전송하며, 제2송신기로부터 상기 제1수신기로 패킷을 전송하는 동일한 자원을 통해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수신기로 패킷 전송이 완료될 시 상기 제1수신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송신기로 수신된 패킷에 대한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한 없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이전 기술과의 호환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노드 간 발생하는 간섭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풀 듀플렉스 방식의 전송 효율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자원할당 없이 간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에드-혹(Ad hoc) 시스템과 인프라구조 모드(infrastructure mode) 모두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를 갖는 시스템 모델,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 방식으로 노드 간 패킷의 전송 및 전송되는 패킷으로 인한 노드 간 간섭의 세기 측정 및 간섭의 세기를 보고하는 경우의 타이밍도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라 CTS 구간에서 노드 간 간섭 신호 세기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식들의 예시도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 방식으로 패킷을 송신 및 수신하는 경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목적지 기반 서로 다른 세 노드의 풀 듀플렉스 기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시의 타이밍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스 기반 서로 다른 세 노드 풀 듀플렉스 시스템 모델의 일 예시도,
도 7a 및 도 7b는 소스 기반 서로 다른 3개의 노드에서 풀 듀플렉스 방식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의 타이밍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풀 듀플렉스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의 기능적 블록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 중 통신 장치가 제2수신기로 동작하는 경우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 중 통신 장치가 제2수신기로 동작하는 경우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 중 통신 장치가 제1수신기 및 제2송신기로 동작하는 경우에 따른 제어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스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 중 통신 장치가 제2송신기 후보로 동작하는 경우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스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 중 통신 장치가 제2송신기 후보로 동작하는 경우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스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 중 통신 장치가 제1송신기 및 제2수신기로 동작하는 경우에 따른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 첨부된 본 발명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된 형태 또는 배치 등에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한 없는 풀 듀플렉스(unrestricted FD) 방식의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맥 프로토콜(MAC protocol)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Unrestricted FD 시스템에서는 한 쌍의 풀 듀플렉스(pair-wise FD) 시스템과 달리 노드 간 간섭(inter-node interference)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노드 간 간섭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도 함께 설명할 것이다. 이처럼 노드 간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노드 간 간섭 성분을 추정하고, 이를 피드백(feedback)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기술될 것이다. 또한 추정된 간섭 정보를 기반으로 스케줄링(scheduling)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 사이에서 통신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서로 다른 3개의 노드 상호간 링크(link)를 구성하는 방법에 따라 2가지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러면 먼저, 각 링크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첫 번째 링크는 제1노드에서 제2노드로 신호 및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제1송신기(primary transmitter)와 제1수신기(primary receiver)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두 번째 링크 또한 제2노드에서 제3노드로 신호 및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제2송신기(secondary transmitter)와 제2수신기(secondary re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최종 노드가 목적지인 경우와 최종 노드가 소스인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최종 노드가 목적지인 경우를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destination based three nodes FD)"로 명명할 수 있고, 최종 노드가 소스인 경우를 "소스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source based three nodes FD)"라 명명할 수 있다.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인 경우 제1송신기(primary transmitter)를 갖는 첫 번째 노드, 제1수신기((primary receiver)와 제2송신기(secondary transmitter)를 갖는 두 번째 노드 및 제2수신기(secondary receiver)를 갖는 세 번째 노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첫 번째 노드와 세 번째 노드에 각각 수신기와 송신기를 가질 수 있으나, 3노드의 동작에서는 필요한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고려되지 않는 것이다.
다음으로, 소스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인 경우는, 제1수신기(primary receiver)를 포함하는 첫 번째 노드, 제1송신기(primary transmitter)와 제2수신기(secondary receiver)를 포함하는 두 번째 노드 및 제2송신기(secondary transmitter)를 포함하는 세 번째 노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도 첫 번째 노드와 세 번째 노드에 각각 송신기와 수신기를 가질 수 있으나, 3노드의 동작에서는 필요한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고려되지 않는 것이다.
도 1은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를 갖는 시스템 모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4개의 노드들(110, 120, 130, 140)이 도시되어 있다. 제1노드(110)는 송신할 데이터를 가진 노드이며, 제2노드(120)는 제1노드(1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노드가 될 수 있다. 또한 최종 목적지의 후보로 제3노드(130)와 제4노드(140)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도 1의 제1노드(110) 내지 제4노드(140)는 모두 동일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의 구성을 이용하여 앞에서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의 구성에서 정의한 바에 따라 살펴보도록 하자. 상기한 정의에 따르면, 제1노드(110)는 제1송신기(primary transmitter)로 동직하며, 제2노드(120)는 제1수신기 및 제2송신기(primary receiver and secondary transmitter)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노드(110)는 제2노드(120)로 전송할 패킷이 있는 경우가 된다.
다음으로, 제3노드(130)와 제4노드(140)는 제2노드(120)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후보 노드들이 될 수 있다. 가령, 제3노드(130)가 제2노드(120)로부터 수신할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한 정의에 따르면, 제3노드(130)가 제2수신기(secondary receiver)가 될 수 있다. 또한 제4노드(140) 또한 제3노드(130)와 동일하게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제4노드(140)가 제2노드(120)로부터 수신할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한 정의에 따르면 제4노드(140)가 제2수신기(secondary receiver)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노드(110)에서 제2노드(120)로 패킷을 송신하는 경우 제3노드(130)와 제4노드(140)는 제1노드(110)에서 제2노드(120)로 전송한 패킷으로 인해 노드 간 간섭(inter-node interference)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 또는 제4노드(140) 중 어느 노드로 데이터를 전송할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제1노드(110)에서 제2노드(120)로의 패킷 전송 시 제3노드(130)와 제4노드(140)가 받는 간섭의 정도에 대한 정보를 알아야 한다. 또한 제3노드(130) 또는 제4노드(14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체는 제1노드(110)가 아닌 제2노드(120)이므로, 제3노드(130)와 제4노드(140)에서 측정된 간섭 정보는 제2노드(120)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처럼 제3노드(130)와 제4노드(140)는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송신하는 패킷을 청취(overhearing)하여 노드 간 간섭의 세기를 측정하고, 간섭 세기의 정보를 제2노드(120)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제3노드(130) 또는/및 제4노드(140)가 제1노드(110)로부터 제2노드(120)로 전송한 패킷으로 인한 노드 간 간섭의 세기를 측정하고, 간섭의 세기를 제2노드(120)로 보고하기 위해 새로운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자원의 낭비를 초래할 뿐 아니라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backward compatibility)을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존 시스템과 호환성을 보장하면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지 않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 방식으로 노드 간 패킷의 전송 및 전송되는 패킷으로 인한 노드 간 간섭의 세기 측정 및 간섭의 세기를 보고하는 경우의 타이밍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살펴본 도 1을 참조하여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 방식으로 노드 간 패킷의 전송 및 노드간 간섭 세기 측정 방식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도 2a 및 도 2b의 타이밍도는 풀 듀플렉스 방식에 따라 제2노드(120)가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임에 유의하자.
도 2a는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 방식의 제2노드(120)가 제1노드(110)로부터 패킷을 수신함과 동시에 다른 노드 예컨대, 제3노드(130)로 패킷을 송신하는 경우이며, 제1노드(110)가 송신하는 패킷과 제2노드(120)가 송신하는 패킷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경우이다.
그러면, 도 2a를 참조하여 제1노드(110)에서 제2노드(120)로 패킷이 전송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도 2a는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송신할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제1노드(110)는 t00의 시점부터 t01의 시점까지 제2노드(120)로 송신 요구(request-to-send, RTS) 신호(201)를 송신한다. 그러면 제2노드(120)는 WiFi 시스템에서 정의된 프레임 대기 시간(Short Interframe Space, SIFS)(210)만큼 대기한 후 t02의 시점부터 t03의 시점까지 송신 가능(clear-to-send, CTS) 신호(202)를 제1노드(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노드(110)는 프레임 대기 시간(SIFS)(210)만큼 대기한 후 t04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제2노드(120)로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노드(120)는 제1노드(110)로부터 t04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패킷(203)을 수신하면, t06의 시점부터 t07의 시점까지인 프레임 대기 시간(SIFS)(210)만큼 대기한 후 응답 신호(204)를 생성하여 제1노드(110)로 t07의 시점부터 t08의 시점까지 전송할 수 있다. 도 2a에서는 긍정 응답(ACK)을 송신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노드(110)에서 제2노드(120)로의 패킷 송신 동작은 일반적인 WiFi 시스템에서 적용되고 있는 하프 듀플렉스 방식에 해당한다.
그러면 풀 듀플렉스 방식에 따라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의 설명에 앞서, 하프 듀플렉스 방식에 따른 간섭의 측정 및 보고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제3노드(130)와 제4노드(140)는 제1노드(110)에서 제2노드(120)로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전송하는 RTS 신호(201)를 송신할 시 RTS를 청취(overhearing)하여 노드 간 간섭(Inter Node Interference, INI)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노드 간 간섭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해 제1노드(110)가 별도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 시스템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3노드(130)와 제4노드(140)는 측정된 노드 간 간섭(INI) 세기 정보를 제2노드(120)로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자원을 할당하지 않아야만 기존 시스템과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풀 듀플렉스(FD) 시스템의 특징을 이용한다. 즉, 제2노드(120)가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이 풀 듀플렉스(FD)를 지원하는 노드이므로 제2노드(120)가 특정한 노드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 다른 노드로부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노드이다. 따라서 제2노드(120)는 CTS 신호(202)를 송신하면서 동시에 다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3노드(130) 및 제4노드(140)는 각각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송신하는 RST 신호(201)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들(221, 222)을 각각 제2노드(120)가 제1노드(110)로 CTS 신호(202)를 송신하는 구간 내에서 송신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3노드(130)는 제2노드(120)로 측정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221)를 제2노드(120)가 제1노드(110)로 CTS 신호를 송신하는 구간 내에서 송신하며, 제4노드(140) 또한 제2노드(120)로 측정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222)를 제2노드(120)가 제1노드(110)로 CTS 신호를 송신하는 구간 내에서 송신한다.
그러면, 제2노드(120)는 제3노드(130)와 제4노드(140)로부터 수신된 간섭 세기에 기반하여 제2수신기(secondary receiver)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2노드(120)는 제3노드(130)와 제4노드(140) 중 하나를 제2수신기로 결정할 시 수신된 간섭 신호 뿐 아니라 다른 정보들을 함께 고려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와 제4노드(140) 중 하나를 제2수신기로 결정할 시 간섭 세기 뿐 아니라 공평성(fairness), 우선순위(priority), 트래픽 버퍼(traffic buffer)의 상태 등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간섭의 세기만을 이용하여 제2수신기(secondary receiver)가 결정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에서 측정한 간섭 세기가 낮아 제3노드(130)를 제2수신기(secondary receiver)로 결정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제3노드(130)가 제2수신기(secondary receiver)로 결정된 경우 제2노드(120)는 제1노드(110)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면서 동시에 제3노드(130)로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2노드(120)로부터 제3노드(130)로 전송되는 패킷의 길이가 제1노드(110)로부터 제2노드(120)로 전송되는 패킷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노드(110)에서 제2노드(120)로 전송되는 패킷이 t04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전송됨에 반하여 제2노드(120)에서 제3노드(130)로 전송되는 패킷은 t04의 시점부터 t05의 시점까지 전송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른 노드들 예를 들어 제4노드(140) 또는 그 밖의 다른 노드들(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노드들)은 제1노드(110)에서 제2노드(120)로 패킷이 전송 중임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노드(110)에서 제2노드(120)로 패킷이 전송 중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노드는 제2노드(120)에서 제3노드(130)로 패킷 전송이 완료된 t05의 시점부터 SIFS 시간만큼 대기한 후 RTS를 송신하여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이처럼 RTS를 송신하여 새로운 전송을 시작하고자 하는 경우 시스템 내에 서로 다른 2개의 기준 시점이 발생하므로, 전체 시스템 동기가 틀어져 시스템 전체의 통신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2노드(120)는 제3노드(130)로 패킷 전송이 완료되었으나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패킷을 송신 중인 시간 동안 즉, t05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특정한 신호 예컨대, 비지 톤(Busy Tone)(224)을 삽입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노드(120)에서 제3노드(130)로 전송되는 패킷(223)의 길이가 제1노드(110)로부터 제2노드(120)로 전송되는 패킷(203)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 패킷이 전송되지 않는 시간인 t05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비지 톤(224) 또는 특정 노드 간 데이터가 전송중임을 알릴 수 있는 신호를 삽입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전송한 패킷의 완료 시점과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로 전송한 패킷의 완료 시점을 일치시킴으로써 시스템의 동기가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노드(130)는 제2노드(120)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면, SIFS(210)의 시간만큼 대기한 후 응답 신호(225)를 제2노드(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제2노드(120)가 제1노드(110)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과 동일한 시점이 된다. 도 2a에서는 제3노드(130)가 제2노드(120)로 긍정 응답 신호(ACK)를 송신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2b를 도 2a와 대비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도 2b에서 도 2a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자. 또한 도 2b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들은 도 2a에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자.
도 2b를 참조하면,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로 전송할 패킷의 길이가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전송하는 패킷(203)의 길이와 같거나 긴 경우이다. 이때, 제1노드(110)는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로 전송해야 할 패킷의 길이는 알 수 없다. 반면에, 제2노드(120)는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전송하는 패킷의 길이를 미리 알 수 있다.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로 전송할 패킷의 길이가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전송할 패킷의 길이와 같거나 또는 긴 경우 제2노드(120)는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전송하는 패킷(203)의 길이에 맞춰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로 전송할 패킷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로 전송할 패킷의 길이가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전송할 패킷의 길이와 동일한 경우라면 제1노드(110)가 전송하는 길이에 맞춰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반면에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로 전송할 패킷의 길이가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전송할 패킷의 길이 보다 긴 경우 제2노드(120)는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전송하는 길이가 되도록 제2노드(120)에서 제3노드(130)로 전송할 패킷의 길이를 결정하여 전송한다. 이때, 제2노드(120)에서 제3노드(130)로 전송되어야 할 나머지 패킷은 다음 전송 시점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3노드(130)는 제2노드(120)로부터 패킷 전송이 완료되는 t06의 시점에서 SIFS(210)의 시간만큼 대기한 후 t07의 시점부터 t08의 시점까지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2b에서도 앞서 설명한 도 2a에서와 같이 긍정 응답(ACK)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제2노드(120) 또한 제1노드(110)로부터 t06의 시점까지 패킷(203)을 수신하고, SIFS(210)의 시간만큼 대기한 후 t07의 시점부터 t08의 시점까지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도 도 2a에서와 마찬가지로 긍정 응답(ACK)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 2a 및 도 2b의 방식과 같이 서로 다른 3개의 노드 간 풀 듀플렉스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제2노드(120)에서 시스템 전체의 전송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자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제2노드(120)가 WiFI 시스템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인 경우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함으로써 해당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의 처리량(throughput)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노드 간 간섭(INI) 세기 정보를 전달할 시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노드들 예컨대, 제3노드(130) 및 제4노드(140)로부터 간섭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노드(120)는 서로 다른 노드들에서 제2노드(120)로 제공되는 노드 간 간섭 세기 정보가 중첩되지 않아야만, 서로 다른 각 노드들로부터 제공된 노드 간 간섭 세기 정보를 정확히 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노드에서 서로 다른 노드들로부터 서로 다른 노드 간 간섭 세기 정보를 정확히 수신하기 위해 노드 간 간섭 세기를 전달하는 노드들에서의 노드 간 간섭 신호 세기 전달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 따른 노드 간 간섭 세기 정보 전달하기 위한 방법을 도 1의 구성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노드 간 간섭 세기 정보를 보고하기 위해서는 크게 2가지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첫째, 노드 간 간섭 세기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받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둘째, 노드 간 간섭 세기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노드 간 간섭(I(NI) 세기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 노드들은 특정한 자원 예를 들어, 부반송파(subcarrier) 또는 서브 밴드(subband) 또는 타임 슬롯(time slot)을 할당받아야 하고, 해당 자원을 통해 노드 간 간섭 세기 정보를 송신해야만 노드 간 간섭 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노드에서 정상적으로 노드 간 간섭 세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노드(120)는 제3노드(130) 및 제4노드(140)로부터 노드 간 간섭 세기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따라서 제2노드(120)는 제3노드(130)와 제4노드(140)가 사용하도록 할 서로 다른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러면 제3노드(130)와 제4노드(140)는 각각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전송하는 신호 또는 패킷의 신호 세기 정보를 획득하고, 할당된 자원을 통해 노드 간 간섭 신호 세기 정보를 제2노드(120)로 송신할 수 있다.
노드 간 간섭 세기 정보를 제공하는 다른 방법으로,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 및 제4노드(140)에 특별한 자원을 할당하지 않는 경우를 살펴보자. 이러한 경우 노드 간 간섭 신호 세기 정보를 보고해야 하는 노드들 예컨대, 제3노드(130) 및 제4노드(140)는 자신이 사용할 자원에 대한 정보를 제2노드(120)로부터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3노드(130) 및 제4노드(140)는 자체적으로 사용할 자원을 결정해야 한다. 이때, 제3노드(130)와 제4노드(140)가 랜덤(random)한 방식으로 자원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랜덤한 방식으로 자원을 선택하도록 하는 경우 제3노드(130)와 제4노드(140)가 서로 동일한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노드 간 간섭 세기 정보를 송신하는 각 노드들이 동일한 자원을 선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각 노드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 정보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맥 주소(MAC address)를 기반으로 자원을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자원은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부반송파(subcarrier) 또는 서브 밴드(subband) 또는 타임 슬롯(time slot)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노드 간 간섭 세기 정보를 전송하는 각 노드들은 실제 측정된 노드 간 간섭 세기 정보를 간섭 채널을 고려하여 역 에코 전력(inverse echo power)을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간섭이 존재하는 환경 여부 즉, 제1노드(110)에서 제2노드(120)로 전송되는 패킷의 검출 유무만을 알려줄 수도 있다.
그러면 노드 간 간섭 세기(INI)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자원의 종류 및 해당 자원에서 할당되는 방식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라 CTS 구간에서 노드 간 간섭 신호 세기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식들의 예시도들이다.
도 3a는 CTS 구간에서 특정한 부반송파(subcarrier)를 이용하여 노드 간 간섭 세기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식의 예시도이며, 도 3b는 CTS 구간에서 특정한 타임 슬롯의 일부를 이용한 노드 간 간섭 세기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식의 예시도이고, 도 3c는 CTS 구간에서 특정한 타임 슬롯을 이용하여 노드 간 간섭 세기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식의 예시도이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노드 간 간섭 정보 전달 시 역 에코 전력(Inverse echo power)에 기반하여 송신할 수 있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CTS 구간은 3개의 타임 슬롯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CTS의 타임 슬롯들 중 중앙의 한 타임 슬롯에서 하나의 부반송파(300)를 이용하여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3a에 예시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를 송신하는 하나의 타임 슬롯에서 하나의 부 반송파는 하나의 노드에 할당된 자원 또는 하나의 노드가 선택한 자원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제3노드(130)에 도 3a와 같이 하나의 자원(300)이 할당되거나 또는 제3노드(130)가 도 3a의 자원(300)을 선택한 경우 제4노드(140)는 다른 자원 즉, 제3노드(130)에 할당되거나 제3노드(130)가 선택하지 않은 나머지 자원들 중 하나의 자원이 할당되거나 또는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자원을 통해 제공되는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는 역 에코 전력(Inverse echo power)에 기반하여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5001423651-pat00001
여기서, PC는 제3노드 또는 제4노드가 간섭 정보를 제2노드로 보낼 때 사용하는 전송 전력이며, K는 상수이고, PA는 제1노드의 전송 전력이며, hAC는 제1노드와 제3노드 간 또는 제1노드와 제4노드간 채널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CTS 구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3개의 타임 슬롯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CTS의 타임 슬롯들 중 중앙의 한 타임 슬롯에서 3개의 하나의 부반송파들을 하나의 서브밴드(subband)(310)로 구성하여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3b에 예시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를 송신하는 하나의 서브 밴드는 하나의 노드에 할당된 자원 또는 하나의 노드가 선택한 자원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제3노드(130)에 도 3b와 같이 하나의 자원(310)이 할당되거나 또는 제3노드(130)가 도 3b의 자원(310)을 선택한 경우 제4노드(140)는 다른 자원 즉, 제3노드(130)에 할당되거나 제3노드(130)가 선택하지 않은 나머지 자원들 중 하나의 자원이 할당되거나 또는 선택할 수 있다.
이때에도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역 에코 전력(Inverse echo power)에 기반한 <수학식 1>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3c를 참조하면, CTS 구간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3개의 타임 슬롯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CTS의 타임 슬롯들 중 마지막의 한 타임 슬롯 전체의 부반송파들(320)을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3c에 예시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를 송신하는 하나의 타임 슬롯(320)은 하나의 노드에 할당된 자원 또는 하나의 노드가 선택한 자원이 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의 제3노드(130)에 도 3c와 같이 하나의 자원(320)이 할당되거나 또는 제3노드(130)가 도 3c의 자원(320)을 선택한 경우 제4노드(140)는 다른 자원 즉, 제3노드(130)에 할당되거나 제3노드(130)가 선택하지 않은 나머지 자원들 중 하나의 자원이 할당되거나 또는 선택할 수 있다.
이때에도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역 에코 전력(Inverse echo power)에 기반하여 <수학식 1>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하나의 부반송파 또는 하나의 서브밴드 또는 하나의 타임슬롯을 결정할 시 통신 장치의 맥 주소(MAC address)를 이용할 수 있다. 가령, 특정한 통신 장치에 사용된 맥 주소가 "08:56:27:6f:2b:9c"라 하면, "08:56:27"은 공급자의 식별자(vender ID)이며, 이후 "6f:2b:9c"는 장치 식별자(Card ID)이다. 따라서 장치 식별자 중 마지막 2자리를 이용하여 할당 가능한 자원의 수로 모듈러 연산을 통해 할당할 자원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9c"는 10진수로 표현하면 156이 된다. 이때, 할당 가능한 자원의 수가 "52X4"개만큼 있는 경우 156을 208로 모듈러 연산하면, 156이 된다. 다른 예로 "E6"인 경우 10진수로 표현하면 230이 된다. 이때, 할당 가능한 자원의 수가 "52X4"개만큼 있는 경우 230을 208로 모듈러 연산하면, 22가 된다. 이처럼 모듈러 연산을 통해 결정된 수에 대응하는 자원을 통해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을 사용하면, 제2노드(120)는 제3노드(130) 및 제4노드(140)로부터 수신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기반으로 신호 대비 간섭비(Signal to Interference Ratio, SIR)를 추정할 수 있어, 변조 및 부호화(MCS) 레벨을 보다 정확히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노드(120)가 각 링크의 채널 품질(channel quality)을 반영하여 스케줄링(scheduling)에 반영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용량(capac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임계값(threshold) 이하의 간섭을 받는 노드와 특정 임계값(threshold) 이상의 간섭을 받는 노드는 CTS 타임 슬롯 내의 서로 다른 부분에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노드 간 간섭 신호 세기를 피드백(feedback)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CTS 타임 슬롯 내에서 OFDM 심볼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앞부분은 특정 임계값 이하의 간섭을 받는 노드들에게 할당하고, 뒷부분은 특정 임계값 이상의 간섭을 받는 노드들에게 할당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임계값 이하의 간섭을 받는 노드들에게 할당하는 OFDM 심볼의 수를 더 많이 할당하는 경우 패킷 수신이 가능한 노드들간 충돌(collision) 확률을 낮출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 방식으로 패킷을 송신 및 수신하는 경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기본적으로 도 1과 유사한 형태이나, 특정한 노드에서 RT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도 4를 참조하면, 제1노드(110)와 제3노드(130) 사이에 제2노드(120)가 위치하는 경우이다. 또한 제3노드(130)는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없음을 참조부호 401로 예시하였다. 따라서 제3노드(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노드(110)가 송신한 RTS 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제3노드(130)는 제2노드(120)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보고할 수 없다. 이처럼 제3노드(130)는 제1노드(110)가 송신하는 RTS 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앞서 설명한 노드 간 간섭 신호를 보고하지 않음을 참조부호 411로 예시하였다. 또한 제3노드(130)가 제1노드(110)로부터 제2노드(120)로 제공되는 RTS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는 것은 제3노드(130)는 제1노드(110)로부터 제2노드(120)로의 전송되는 패킷에 의한 간섭의 영향이 없거나 크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에 제4노드(140)는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제공하는 RTS 신호를 청취할 수 있으며, RTS 신호의 청취 가능함을 참조부호 402로 예시하였다. 따라서 제4노드(140)는 RTS를 청취한 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노드(120)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제4노드(140)가 제2노드(120)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는 앞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음에 유의하자.
한편, 제2노드(120)는 제2노드(120)와 통신이 가능한 영역에 제1노드(110), 제3노드(130) 및 제4노드(140)가 위치하고 있음을 미리 알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제2노드(120)는 제1노드(110)로부터 RTS를 수신하고, 제1노드(110)로 CTS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 구간 중 어느 구간에서 제4노드(140)로부터 노드 간 간섭 신호 세기를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제2노드(120)는 제1노드(110)로 CTS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 구간 중 어느 구간에서도 제3노드(123)로부터 노드 간 간섭 신호 세기를 수신하지 않는다.
이처럼, 제2노드(120)는 제3노드(130)로부터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에 대한 피드백(feedback)이 없는 경우 제3노드(130)는 제1노드로부터 노드 간 간섭이 없거나 매우 적은 상태를 알리는 피드백을 수신한 것처럼 동작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특정한 노드로부터 노드 간 간섭 신호 세기에 대한 피드백이 없는 경우를 "암묵적인 CQI 피드백(Implicit CQI Feedback)"이 존재하는 경우라 칭하기로 한다.
결국 도 4의 경우는 제2노드(120)는 제3노드(130)로부터는 암묵적인 CQI 피드백을 수신하고, 제4노드(140)로부터는 제4노드(140)가 측정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획득한 경우가 된다. 따라서 제2노드(120)는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 방식에서 제2수신기(secondary receiver)를 결정할 시 제4노드(140)로부터 수신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와 암묵적인 CQI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제2수신기(secondary receiver)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 4의 동작을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목적지 기반 서로 다른 세 노드의 풀 듀플렉스 기반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시의 타이밍도이다.
도 5는 앞서 설명한 도 2a와 동일한 경우를 상정한 타이밍도이다. 즉,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며, 동시에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로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이다. 또한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로 송신하는 패킷 데이터의 길이가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송신하는 패킷 데이터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이다.
도 5의 전반적인 동작은 도 2a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즉,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송신할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제1노드(110)는 t00의 시점부터 t01의 시점까지 제2노드(120)로 송신 요구(request-to-send, RTS) 신호(201)를 송신한다. 그러면 제2노드(120)는 WiFi 시스템에서 정의된 프레임 대기 시간(Short Interframe Space, SIFS)(210)만큼 대기한 후 t02의 시점부터 t03의 시점까지 송신 가능(clear-to-send, CTS) 신호(202)를 제1노드(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노드(110)는 프레임 대기 시간(SIFS)(210)만큼 대기한 후 t04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제2노드(120)로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노드(120)는 제1노드(110)로부터 t04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패킷(203)을 수신하면, t06의 시점부터 t07의 시점까지인 프레임 대기 시간(SIFS)(210)만큼 대기한 후 응답 신호(204)를 생성하여 제1노드(110)로 t07의 시점부터 t08의 시점까지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노드(130)와 제4노드(140)는 제1노드(110)에서 제2노드(120)로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전송하는 RTS 신호(201)를 송신할 시 RTS를 청취(overhearing)하여 노드 간 간섭(Inter Node Interference, INI)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노드(130)는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전송한 RTS 신호(201)를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4노드(140)만이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송신하는 RST 신호(201)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신호(222)를 제2노드(120)가 제1노드(110)로 CTS 신호(202)를 송신하는 구간 내에서 송신하도록 한다.
또한 제3노드(130)는 실제로 제2노드(120)로 노드 간 간섭 신호 세기(510)를 송신할 수 없다. 이처럼 제3노드(130)가 실제로 제2노드(120)로 노드 간 간섭 신호 세기 정보를 송신할 수 없음을 의미하기 위해 점선으로 표시하였음에 유의하자. 즉,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노드(120)는 암묵적 QCI 피드백을 수신하는 경우이며, 암묵적 CQI 피드백(510)은 실제로 전송되는 신호가 아님에도 유의하자.
제2노드(120)는 암묵적 CQI 피드백(510)과 실제로 수신된 노드 간 간섭 신호 세기 정보(222)를 기반으로 목적지 기반 서로 다른 세 노드의 풀 듀플렉스 방식을 적용할 시 제3노드(130)를 제2수신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노드(120)로부터 제3노드(130)로 전송되는 패킷의 길이가 제1노드(110)로부터 제2노드(120)로 전송되는 패킷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노드(110)에서 제2노드(120)로 전송되는 패킷이 t04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전송됨에 반하여 제2노드(120)에서 제3노드(130)로 전송되는 패킷은 t04의 시점부터 t05의 시점까지 전송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패킷 전송 시점이 달라져 동기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노드(120)는 제3노드(130)로 패킷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었으나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패킷을 송신 중인 시간 동안 즉, t05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특정한 신호 예컨대, 비지 톤(Busy Tone)(224)을 삽입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노드(120)에서 제3노드(130)로 전송되는 패킷(223)의 길이가 제1노드(110)로부터 제2노드(120)로 전송되는 패킷(203)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 패킷이 전송되지 않는 시간인 t05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비지 톤(224) 또는 특정 노드 간 데이터가 전송중임을 알릴 수 있는 신호를 삽입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전송한 패킷의 완료 시점과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로 전송한 패킷의 완료 시점을 일치시킴으로써 시스템의 동기가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노드(130)는 제2노드(120)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면, SIFS(210)의 시간만큼 대기한 후 응답 신호(225)를 제2노드(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제2노드(120)가 제1노드(110)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과 동일한 시점이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도 2b와 같은 경우 즉,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전송하는 패킷 데이터의 길이보다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로 전송하는 패킷 데이터의 길이가 긴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노드(120)는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전송하는 패킷 데이터의 길이에 맞춰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로 전송하는 패킷 데이터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는 제1노드(110)는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로 전송해야 하는 패킷 데이터의 길이를 알 수 없으므로, 제1노드(110)에서는 제2노드(120)가 전송하는 패킷 데이터의 길이에 맞춰 데이터가 전송 중임을 알릴 수 없기 때문이다.
이때, 제2노드(120)가 제3노드(130)로 전송하지 못한 나머지 패킷 데이터는 다음 전송 구간(transmission period / access period)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스 기반 서로 다른 세 노드 풀 듀플렉스 시스템 모델의 일 예시도이다.
제1노드(610)는 본 발명에 따른 소스 기반 서로 다른 세 노드의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제1송신기(primary transmitter)와 제2수신기(secondary receiver)를 갖는 노드이다. 또한 제1노드(610)는 제2노드(620)로 전송할 패킷이 있는 경우이다. 또한 제3노드(630)와 제4노드(640)는 제2송신기(secondary transmitter) 후보들로, 제1노드(610)로 송신할 패킷이 있는 노드들이 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세 노드들 간 풀 듀플렉스가 가능한 시스템이므로, 제3노드(630) 또는 제4노드(640) 중 하나의 노드가 제1노드(610)로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면, 제1노드(610)는 제3노드(630) 또는 제4노드(640)가 송신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노드(610)는 패킷을 수신함과 동시에 제2노드(620)로 패킷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제1노드(610)의 관점에서 볼 때, 풀 듀플렉스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위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제2노드(620)는 제3노드(630) 또는 제4노드(640)가 제1노드(610)로 전송하는 패킷 데이터에 의해 노드 간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3노드(630) 또는 제4노드(640)는 제1노드(610)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제1노드(610)가 제2노드(620)로 전송하는 패킷에 미치는 간섭 영향을 고려하여 패킷을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3노드(630) 및 제4노드(640)는 제1노드(610)가 제2노드(620)로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전송하는 RTS 신호와 제2노드(620)가 송신을 허락하기 위해 제1노드(610)로 송신하는 CTS 신호를 청취(overhearing)한다. 그런 후 제3노드(630) 및 제4노드(640)는 제2노드(620)가 제1노드(610)로 송신한 CTS를 기반으로 노드 간 간섭 세기를 추정하고, 추정된 간섭 세기를 기반으로 전력 제어(power control)를 수행한 후 제1노드(610)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노드(610)로 패킷을 전송할 노드는 특별히 정해진 규칙에 의거하여 제3노드(630) 또는 제4노드(640)에서 결정할 수도 있다.
제3노드(630) 또는 제4노드(640)에서 제1노드(610)로 패킷 전송 여부를 결정은 제2노드(620)가 제1노드(610)로 전송하는 CTS 신호의 간섭 신호 세기를 추정하여 패킷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3노드(630) 또는 제4노드(640)에서 간섭 신호의 세기 추정에 따라 패킷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3노드(630)에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로써 살펴보기로 하자.
제3노드(630)는 패킷 전송 여부를 결정할 시 제2노드(620)가 제1노드(610)로 전송하는 CTS 신호의 세기를 추정하여 패킷 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제3노드(630)는 제2노드(620)가 제1노드(610)로 전송하는 CTS 신호의 세기를 추정해야 한다. 이처럼 추정된 CTS 신호의 세기를 미리 설정된 제1임계값 및 제2임계값과 비교를 통해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첫 번째 예로, 제3노드(630)가 제1노드(610)가 전송하는 RTS 신호는 청취(overhearing)하였으나, 제2노드(620)가 전송하는 CTS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노드(620)와 제3노드(630) 사이에는 간섭이 존재하거나 거의 간섭이 없는 경우로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RTS를 청취하고, CTS는 청취하지 못한 경우 제3노드(630)는 제1노드(61)로 아무런 제약없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노드(630)는 제1노드(610)가 제2노드(620)로 전송한 RTS 신호와 제2노드(620)가 제1노드(610)로 전송한 CTS 신호를 모두 청취(overhearing)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아래와 같이 3가지로 구분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1) 제2노드(610)가 제1노드(610)로 전송하는 CTS 신호의 세기를 추정한 값이 미리 설정된 제1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3노드(630)는 아무런 제약 없이 제1노드(610)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2) 제2노드(620)가 제1노드(630)로 전송하는 CTS 신호의 세기를 추정한 값이 미리 설정된 제1임계값 보다 큰 경우 제3노드(630)는 추정된 CTS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2임계값 이하인가를 검사할 수 있다. 제3노드(630)는 제2노드(620)가 제1노드(610)로 전송하는 CTS 신호의 세기를 추정한 값이 미리 설정된 제1임계값 보다 크고 제2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3노드(630)는 제1노드(610)로 전력 제어를 통해 패킷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3) 제2노드(620)가 제1노드(610)로 전송하는 CTS 신호의 세기를 추정한 값이 제2임계값보다 큰 경우 제3노드(630)는 패킷을 전송할 수 없는 경우가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임계값은 아무런 제약없이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최대 간섭 신호의 세기 값이 될 수 있으며, 제2임계값은 제1노드(610)로 패킷을 전송할 시 간섭을 고려하여 전력을 낮춰 전송해야 하는 최대 간섭 신호의 세기 값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식은 제4노드(640)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제3노드(630) 또는 제4노드(640)는 제2송신기(second transmitter)가 되며, 제1노드(610)는 제2수신기(second receiver)가 된다. 따라서 제2송신기가 제2수신기로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조건은 하기 <표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5001423651-pat00002
도 7a 및 도 7b는 소스 기반 서로 다른 3개의 노드에서 풀 듀플렉스 방식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의 타이밍도이다.
도 7a는 소스 기반 서로 다른 3개의 노드에서 풀 듀플렉스 방식으로 패킷을 전송할 시 제1송신기가 제1수신기로 전송하는 패킷의 길이가 제2송신기가 제2수신기로 전송하는 패킷의 길이보다 긴 경우의 예시도이고, 도 7b는 소스 기반 서로 다른 3개의 노드에서 풀 듀플렉스 방식으로 패킷을 전송할 시 제1송신기가 제1수신기로 전송하는 패킷의 길이가 제2송신기가 제2수신기로 전송하는 패킷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의 예시도이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제1노드(610)가 제2노드(620)로 송신할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제1노드(610)는 t00의 시점부터 t01의 시점까지 제2노드(620)로 송신 요구(request-to-send, RTS) 신호(701)를 송신한다. 그러면 제2노드(620)는 WiFi 시스템에서 정의된 프레임 대기 시간(Short Interframe Space, SIFS)(710)만큼 대기한 후 t02의 시점부터 t03의 시점까지 송신 가능(clear-to-send, CTS) 신호(702)를 제1노드(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노드(610)는 프레임 대기 시간(SIFS)(710)만큼 대기한 후 t04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제2노드(620)로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노드(620)는 제1노드(610)로부터 t04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패킷(703)을 수신하면, t06의 시점부터 t07의 시점까지인 프레임 대기 시간(SIFS)(710)만큼 대기한 후 응답 신호(704)를 생성하여 제1노드(610)로 t07의 시점부터 t08의 시점까지 전송할 수 있다. 도 7a에서는 긍정 응답(ACK)을 송신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노드(610)에서 제2노드(620)로의 패킷 송신 동작은 일반적인 WiFi 시스템에서 적용되고 있는 하프 듀플렉스 방식에 해당한다.
그러면 풀 듀플렉스 방식에 따라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의 설명에 앞서, 하프 듀플렉스 방식에 따른 간섭의 측정 및 보고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기로 하자.
먼저 제3노드(630)와 제4노드(640)는 제1노드(610)가 제2노드(620)로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 전송하는 RTS 신호(701)를 청취(overhearing)하고, 제2노드(620)가 제1노드(610)로 RTS 신호(701)에 대응한 응답 신호인 CTS 신호(702)를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제3노드(630)와 제4노드(640)는 청취한 CTS 신호(702)를 기반으로 하여 노드 간 간섭(Inter Node Interference, INI)의 세기를 추정할 수 있다.
제3노드(630)와 제4노드(640)는 실제 노드 간 간섭을 측정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제3노드(630)에서 또는 제4노드(640)가 제1노드(610)로 패킷을 전송하는 시간은 제2노드(620)가 제1노드(610)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시간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3노드(630) 또는 제4노드(640)는 제1노드(610)로 패킷을 송신할 시 제2노드(620)가 제1노드(610)로 전송한 CTS 신호(702)를 기반으로 하여 제2노드(620)와 제3노드(630)간 또는 제2노드(620)와 제4노드(640)간의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실제 제2노드(620)와 제3노드(630) 또는 제2노드(62)와 제4노드(640)간은 서로 패킷 또는 신호를 주고받지 않지만, 풀 듀플렉스 방식을 사용함으로 인해 상호간 채널 상태를 추정할 필요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2노드(620)가 제1노드(610)로 전송하는 CTS 신호(702)를 근거로 하여 제2송신기로 동작할 후보인 제3노드(630) 또는 제4노드(640)가 제1수신기로 동작하는 제2노드(620)와의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노드 간 간섭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해 제2노드(610)가 별도의 제2송신기 후보들(630, 640)로 신호를 송신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a는 제3노드(630)에서 추정한 채널 상태가 제1임계값 이하이거나 또는 제2임계값 이하로, 패킷 전송이 가능한 경우이고, 제4노드(640)에서 추정한 채널 상태가 제2임계값 보다 커서 패킷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경우의 예시도이다. 따라서 제3노드(630)가 제2송신기(secondary transmitter)로 결정되어 제1노드(610)로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3노드(630)로부터 제1노드(610)로 전송되는 패킷의 길이가 제1노드(610)로부터 제2노드(620)로 전송되는 패킷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노드(610)에서 제2노드(620)로 전송되는 패킷이 t04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전송됨에 반하여 제3노드(620)에서 제1노드(610)로 전송되는 패킷은 t04의 시점부터 t05의 시점까지 전송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른 노드들 예를 들어 제4노드(640) 또는 그 밖의 다른 노드들(도 6에 도시되지 않은 노드들)은 제3노드(630)에서 제1노드(610)로 패킷이 전송 중임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제3노드(630)에서 제1노드(610)로 패킷이 전송 중임을 인지하지 못하는 노드는 제3노드(620)에서 제1노드(610)로 패킷 전송이 완료된 t05의 시점부터 SIFS 시간만큼 대기한 후 RTS를 송신하여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이처럼 RTS를 송신하여 새로운 전송을 시작하고자 하는 경우 시스템 내에 서로 다른 2개의 기준 시점이 발생하므로, 전체 시스템 동기가 틀어져 시스템 전체의 통신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3노드(630)는 제1노드(610)로 패킷 전송이 완료되었으나 제1노드(610)가 제2노드(620)로 패킷을 송신 중인 시간 동안 즉, t05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특정한 신호 예컨대, 비지 톤(Busy Tone)(724)을 삽입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3노드(630)에서 제1노드(610)로 전송되는 패킷(723)의 길이가 제1노드(610)로부터 제2노드(620)로 전송되는 패킷(703)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 패킷이 전송되지 않는 시간인 t05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비지 톤(724) 또는 특정 노드 간 데이터가 전송중임을 알릴 수 있는 신호를 삽입하여 전송하도록 한다. 따라서 제1노드(610)가 제2노드(620)로 전송한 패킷의 완료 시점과 제3노드(630)가 제1노드(610)로 전송한 패킷의 완료 시점을 일치시킴으로써 시스템의 동기가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노드(610)는 제3노드(630)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면, SIFS(710)의 시간만큼 대기한 후 응답 신호(725)를 제3노드(6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제2노드(620)가 제1노드(610)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과 동일한 시점이 된다. 도 7a에서는 제1노드(610)가 제3노드(630)로 긍정 응답 신호(ACK)를 송신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7b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도 7b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노드(630)가 제1노드(610)로 전송하는 패킷의 길이가 제1노드(610)가 제2노드(620)로 전송하는 패킷의 길이보다 긴 경우이다. 따라서 도 7a와 대비하여 각 노드에서 전송되는 패킷들에 대해서만 참조번호를 변경하였음에 유의하자. 또한 이하에서는 도 7a와 동일한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설명을 생략한다.
도 7b는 도 7a에서와 동일하게 제1노드(610)는 제1송신기(first transmitter)이며, 제2노드(620)는 제1수신기(first receiver)가 된다. 또한 제2송신기 후보들(630, 640) 중 제3노드(630)가 제2송신기(second transmitter)로 설정된 경우의 예시도이다.
제1노드(610)는 RST 신호(701)를 제2노드(620)로 전송하며, 제2노드(620)는 RTS 신호(701)를 수신하면, SIFS 시간(710)만큼 대기한 후 CTS 신호(702)를 제1노드(610)로 전송한다. 제2노드(620)에서 전송된 CTS 신호(702)를 기반으로 하여 제3노드(630)와 제4노드(640)는 제2노드(620)와의 채널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3노드(630)와 제4노드(640)는 제2노드(620)와 채널 상태가 안 좋은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패킷을 전송하도록 결정된다. 이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1노드(610)는 CTS 신호(702)를 수신하면, SIFS 시간(710)만큼 대기한 후 제2노드로 전송할 패킷(731)을 전송한다.
한편, 제3노드(630)가 제1노드(610)로 패킷(741)을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3노드(630)는 제1노드(610)로 패킷(741)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노드(610)에서 제2노드(620)로 전송되는 패킷(731)과 제3노드(630)에서 제1노드(610)로 전송되는 패킷은 각각 자신이 전송되는 패킷의 길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킷의 길이 정보는 특정한 매핑 규칙을 갖도록 하거나 또는 패킷의 헤더(header)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노드(620)는 제1노드(610)가 전송하는 패킷(731)이 t04의 시점부터 t05의 시점까지 전송됨을 알 수 있고, 제1노드(610)는 제3노드(630)가 전송하는 패킷(741)이 t04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전송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노드(630)가 전송하는 패킷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나, 제1노드(610) 또는 제2노드(620)와 통신이 가능한 다른 노드는 제1노드(610)의 패킷 송신이 종료되는 시점으로부터 SIFS 시간(710)만큼 대기한 후 RTS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제3노드(63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특정한 노드가 RST 신호를 송신하게 되면, 제3노드(630)와 제1노드(610)간의 동기 외에 새로운 기준 동기 시점이 만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노드(610)는 제3노드(610)만 패킷을 송신하는 시간 구간인 t05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현재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리는 특정한 신호 예컨대, 비지 톤(busy tone)과 같은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구성한다.
이처럼 제1노드(610)가 제2노드(620)로 전송할 패킷(731)을 모두 전송하였으나, 제3노드(630)가 제1노드(620)로 패킷(741)이 전송 중인 경우 제1노드(610)가 전송이 계속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림으로써 다른 노드들이 해당 전송 구간 즉, t05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전송 시도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기준 동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노드(610)는 제3노드(630)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면, SIFS(710)의 시간만큼 대기한 후 응답 신호(725)를 제3노드(6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제2노드(620)가 제1노드(610)로 응답 신호(704)를 송신하는 시점과 동일한 시점이 된다. 도 7b의 예시에서도 제1노드(610)가 제3노드(630)로 긍정 응답 신호(ACK)를 송신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되지 않았으나, 소스 기반 풀 듀플렉스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제3노드(630) 또는 제4노드(640) 모두 제1노드(610)로 패킷을 전송이 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제3노드(630)과 제4노드(640)의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랜덤 백-오프(random back-off) 만큼의 시간 이후부터 패킷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한 하나의 노드 예를 들어 제3노드(630)가 패킷 전송을 시작하는 경우 제4노드(640)는 패킷 전송을 포기하게 된다. 반대로 제4노드(640)가 패킷 전송을 시작하는 경우 제3노드(630)가 패킷 전송을 포기하게 된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노드가 경합할 때에도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풀 듀플렉스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의 기능적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안테나(ANT)는 미리 설정된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처리부(801)로 제공하거나 무선 처리부(801)에서 출력된 무선 대역의 신호를 방사한다.
무선 처리부(801)는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된 무선 대역의 신호를 기저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803)으로 출력한다. 또한 모뎀(803)으로부터 수신된 기저대역의 신호를 송신 대역의 신호로 대역 상승 변환하여 안테나(ANT)로 출력한다. 또한 무선 처리부(801)는 본 발명에 따라 풀 듀플렉스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모뎀(803)은 기저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 및 복호 동작을 수행하고, 복조 및 복호된 신호를 제어부(805)로 출력한다. 또한 모뎀(803)은 음성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할 시 보코더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805)는 앞서 설명한 목적지 기반 서로 다른 3개의 노드 중 하나의 노드로 동작하는 통신 장치로서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목적지 기반 서로 다른 3개의 노드가 풀 듀플렉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경우 해당하는 노드로써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805)는 소스 기반 서로 다른 3개의 노드가 풀 듀플렉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경우 해당하는 노드로써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807)는 제어부(805)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및 제어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807)는 앞서 설명한 제1임계값 또는/및 제2임계값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그 외에 필요에 따라서 메모리(807)는 추가적인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RTS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 측정 또는 CTS 신호의 수신 세기 측정은 무선 처리부(801)에서 측정되어 모뎀(803)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805)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805)는 다른 노드와의 채널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805)가 소스 기반 서로 다른 3노드의 풀 듀플렉스 방식에서 제2송신기로 동작하기 위한 후보인 경우 CTS 신호의 측정된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제1수신기로 동작하는 노드와의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본 발명에 필요한 구성만을 예로써 도시하였다. 따라서 통신 장치는 필요에 따라 도 8에 예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키 입력 장치 또는 터치스크린 또는 음성 인식 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외부의 다른 장치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장치의 상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특정한 동작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갖는 통신 장치가 특정한 노드로 동작 시의 제어 과정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하자.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 중 통신 장치가 제2수신기로 동작하는 경우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다.
제2수신기로 동작하는 제어부(805)는 900단계에서 무선 처리부(801) 및 모뎀(803)을 통해 RTS 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이러한 RTS 신호를 도 1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살펴보면,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함을 알리는 신호이다. 제어부(805)는 900단계에서 RTS 신호를 청취하고, 902단계에서 청취한 RTS 신호를 기반으로 간섭 신호 세기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RTS 신호를 수신하였다는 것은 제1노드(110)와 자신의 노드 사이에 채널을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805)는 제1노드(110)와 자신의 노드 사이의 채널을 추정하고, 추정된 채널 상태에 따라 간섭 신호의 세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에 제2노드(1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야 하기 때문에 제1노드(110)로부터의 간섭량을 추정하고, 이를 제2노드(120)로 알려야만 한다.
그러므로 제어부(805)는 902단계에서 추정된 간섭 신호의 세기를 904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형태로 가공하여 제2노드(1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미리 설정된 형태로 가공이라 함은 도 3a 내지 도 3c에서와 같은 형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시점은 도 2a 및 도 2b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2노드(120)가 제1노드(110)로 CTS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 중 일부가 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805)는 906단계로 진행하여 제2노드(120)로부터 패킷이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906단계의 검사는 WiFi 시스템에서 정의된 SIFS 시간동안 대기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906단계의 검사결과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805)는 908단계로 진행한다. 반면에 906단계의 검사결과 패킷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805)는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패킷을 전송하는 시간 구간에서 자신이 제2수신기로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도 9의 루틴을 종료할 수 있다.
906단계에서 908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805)는 무선 처리부(801) 및 모뎀(803)을 제어하여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의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805)는 908단계를 수행하면서 910단계로 진행하여 패킷 수신이 완료되는가를 검사할 수 있다. 910단계의 검사결과 패킷 수신이 완료되는 경우 제어부(805)는 912단계로 진행하여 SIFS 시간만큼 대기한 후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반면에 패킷 수신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805)는 908단계를 계속 수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 중 통신 장치가 제2수신기로 동작하는 경우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다.
제2수신기로 동작하는 제어부(805)는 1000단계에서 무선 처리부(801) 및 모뎀(803)을 통해 RTS 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이러한 RTS 신호를 도 1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살펴보면,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함을 알리는 신호이다. 제어부(805)는 1000단계에서 RTS 신호를 청취하고, 1002단계에서 RTS의 복호에 성공하였는가를 검사한다. 1002단계의 검사결과 RTS 복호에 성공한 경우 제어부(805)는 1004단계로 진행하고, 1002단계의 검사결과 RTS 복호에 실패한 경우 제어부(805)는 1008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1008단계로 진행한다는 의미는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1002단계에서 1004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805)는 청취한 RTS 신호를 기반으로 간섭 신호 세기를 추정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805)는 1004단계에서 추정된 간섭 신호의 세기를 1006단계에서 역 전력 에코(Inverse power echo) 방식으로 간섭 신호 세기 정보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형태로 가공하여 제2노드(1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미리 설정된 형태로 가공이라 함은 도 3a 내지 도 3c에서와 같은 형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송 시점은 도 2a 및 도 2b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2노드(120)가 제1노드(110)로 CTS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 중 일부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역 전력 에코는 제1노드로부터 받은 간섭 세기(간섭량)에 반비례하는 전송 전력으로 제2노드로 전송하는 것이다. 제2노드는 이 값을 이용하여 제3노드 또는 제4노드가 제1노드로부터 받은 간섭 세기(간섭량)를 유추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805)는 1008단계로 진행하여 제2노드(120)로부터 패킷이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패킷 수신 여부 검사는 1002단계에서 1008단계로 진행한 경우와 1006단계에서 1008단계로 진행한 경우 모두 동일하게 패킷 수신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1006단계를 수행하고, 1008단계로 진행하여 패킷이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경우 제어부(805)는 1006단계 이후 WiFi 시스템에서 정의된 SIFS 시간동안 대기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에 1002단계 이후 1008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805)는 CTS 신호를 청취한 후 SIFS 시간동안 대기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1008단계의 검사결과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805)는 1010단계로 진행한다. 반면에 1008단계의 검사결과 패킷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805)는 제1노드(110)가 제2노드(120)로 패킷을 전송하는 시간 구간에서 자신이 제2수신기로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도 10의 루틴을 종료할 수 있다.
1008단계에서 1010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805)는 무선 처리부(801) 및 모뎀(803)을 제어하여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의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805)는 1010단계를 수행하면서 1012단계로 진행하여 패킷 수신이 완료되는가를 검사할 수 있다. 1012단계의 검사결과 패킷 수신이 완료되는 경우 제어부(805)는 1014단계로 진행하여 SIFS 시간만큼 대기한 후 응답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반면에 패킷 수신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805)는 1010단계를 계속 수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 중 통신 장치가 제1수신기 및 제2송신기로 동작하는 경우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다.
제1수신기 및 제2송신기로 동작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부(805)는 1100단계에서 제1송신기(primary transmitter)로부터 RT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805)는 1102단계로 진행하여 모뎀(803) 및 무선 처리부(801)를 제어하여 제1송신기로 CTS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805)는 1102단계에서 제1송신기로부터 CTS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제1송신기가 CTS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 구간의 자원들 전체 또는 일부를 이용하여 제2수신기 후보들로부터 노드 간 간섭(INI) 신호의 세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는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수신기 및 제2송신기로 동작하는 제어부(805)는 제2수신기 후보들로부터 수신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에 근거하여 1104단계에서 제2수신기를 결정할 수 있다. 제2수신기의 결정은 수신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 전송해야 하는 패킷의 서비스 품질, 버퍼의 상태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만으로 제2수신기를 결정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1104단계에서 제2수신기를 결정한 후 제1수신기 및 제2송신기로 동작하는 제어부(805)는 1106단계로 진행하여 제1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의 길이(L1)가 제2수신기로 전송해야 하는 패킷의 길이(L2) 보다 긴 길이를 갖는가를 검사한다. 1106단계의 검사결과 제1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의 길이(L1)가 제2수신기로 전송해야 하는 패킷의 길이(L2) 보다 긴 경우 제어부(805)는 110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즉, 제1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의 길이(L1)가 제2수신기로 전송해야 하는 패킷의 길이(L2)와 같거나 짧은 경우 제어부(805)는 1120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1106단계에서 1120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는 제1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의 길이(L1)가 제2수신기로 전송해야 하는 패킷의 길이(L2)와 같거나 짧은 경우이다. 따라서 제어부(805)는 1120단계에서 제1송신기로부터의 패킷 수신 완료 시점에 맞춰 전송할 패킷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제1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의 길이(L1)와 제2수신기로 전송해야 하는 패킷의 길이(L2)가 동일한 경우는 그대로 전송하면 된다. 하지만, 제1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의 길이(L1)보다 제2수신기로 전송해야 하는 패킷의 길이(L2)가 긴 경우 제어부(805)는 제2수신기로 전송해야 하는 패킷의 길이(L2)가 제1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의 길이(L1)가 되도록 결정한다.
이후 제어부(805)는 1122단계에서 무선 처리부(801) 및 모뎀(805)를 제어하여 제1송신기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며, 제2수신기로 패킷을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하나의 노드가 제1수신기 및 제2송신기로 동작함으로써 풀 듀플렉스 전송이 가능하다. 제어부(805)는 1122단계를 완료한 후 1124단계로 진행하면, 제1송신기로부터 패킷 수신이 완료되었으므로, 미리 SIFS 시간만큼 대기한 후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805)는 1124단계에서 제2수신기로 전송한 패킷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1106단계에서 1108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는 제1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패킷의 길이(L1)가 제2수신기로 전송해야 하는 패킷의 길이(L2) 보다 긴 경우이다. 따라서 1108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805)는 제1송신기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 같은 시간에 제2수신기로 패킷을 전송한다. 하지만, 제2수신기로 전송해야 하는 패킷의 길이가 제1송신기로부터 수신하는 패킷의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제2수신기로 패킷 전송을 마치는 시점이 제1송신기가 전송을 마치는 시점 이전에 이루어진다. 이러한 현상은 앞서 설명한 도 2a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따라서 제어부(805)는 1110단계로 진행하면, 제2수신기로 패킷 전송이 완료되면, 제1송신기로부터 패킷 수신 완료 시까지 즉, 도 2a에서 t05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제2수신기로 비지 톤(busy tone)을 전송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네트워크에 다른 동기를 갖는 단말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후 제1송신기로부터 모든 패킷을 수신하면, 제어부(805)는 1112단계로 진행하여 제1송신기로부터 패킷 수신이 완료되었으므로, 미리 SIFS 시간만큼 대기한 후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805)는 1112단계에서 제2수신기로 전송한 패킷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스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 중 통신 장치가 제2송신기 후보로 동작하는 경우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다.
제2송신기 후보로 동작하는 제어부(805)는 1200단계에서 제1송신기가 제1수신기로 전송하는 RTS를 청취(overhearing)할 수 있으며, 제1수신기가 제1송신기로 응답하는 CTS 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이를 앞서 설명한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3노드(630) 또는 제4노드(640)가 제2송신기 후보가 될 수 있다. 제3노드(630)를 제2송신기 후보로 가정하면, 제1노드(610)가 제2노드(620)로 송신하는 RST를 청취할 수 있으며, 제2노드(620)가 제1노드(610)로 응답하는 CTS 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이처럼 RTS 신호와 CTS 신호를 청취한 제어부(805)는 1202단계에서 청취한 CTS 신호에 기반하여 간섭 세기를 추정할 수 있다. 즉, 제2노드(620)와 제3노드(620)간의 채널을 추정하는 것이다. 제어부(805)는 채널 추정 후 1204단계로 진행하여 자신이 제2수신기 즉, 제1송신기로 동작하는 노드로 패킷을 전송하여도 제2노드(620)에 간섭이 없거나 적을 수 있는지 검사할 수 있다. 이러한 검사가 송신 조건이 충족하는가를 검사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제어부(805)는 1204단계의 검사결과 송신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1206단계로 진행하고, 전송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 1220단계로 진행하여 패킷 전송을 포기한다. 전송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는 제2송신기 후보와 제1수신기 사이의 채널이 미리 설정된 제1임계값 이하의 신호 수신 세기를 갖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제어부(805)는 1204단계에서 송신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1206단계로 진행하여 랜덤 백-오프 시간을 설정하고, 해당 시간만큼 대기한다.
이후 제2송신기 후보의 제어부(805)는 1208단계에서 다른 노드의 전송이 시작되었는가를 검사할 수 있다. 만일 랜덤 백-오프 시간만큼 대기하고 있는 중에 다른 노드가 전송을 시작한 경우 1220단계로 진행하여 전송을 포기한다. 반면에 노드에서 패킷을 전송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805)는 1210단계로 진행하여 무선 처리부(801) 및 모뎀(803)을 제어하여 제2수신기로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두 노드가 동시에 패킷을 전송하게 되는 충돌을 회피하면서 풀 듀플렉스 전송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12에서는 1210단계에서 제2수신기로 패킷 전송을 완료한 후 제2수신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음에 유의하자.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스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 중 통신 장치가 제2송신기 후보로 동작하는 경우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다.
제2송신기 후보로 동작하는 제어부(805)는 1300단계에서 제1송신기가 제1수신기로 전송하는 RTS를 청취(overhearing)할 수 있으며, 제1수신기가 제1송신기로 응답하는 CTS 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이를 앞서 설명한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3노드(630) 또는 제4노드(640)가 제2송신기 후보가 될 수 있다. 제3노드(630)를 제2송신기 후보로 가정하면, 제1노드(610)가 제2노드(620)로 송신하는 RST를 청취할 수 있으며, 제2노드(620)가 제1노드(610)로 응답하는 CTS 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이처럼 RTS 신호와 CTS 신호를 청취한 제어부(805)는 1302단계에서 모뎀(803)에서 청취한 RTS 신호의 복호에 성공하였는가를 검사할 수 있다. RTS 신호의 복호에 성공한 경우 제어부(805)는 1304단계로 진행하고, 복호에 실패한 경우 제어부(805)는 1310단계로 진행하여 제2송신기로 동작하여 제2수신기로 패킷을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805)는 1304단계로 진행하면, 모뎀(803)에서 청취한 CTS 신호의 복호에 성공하였는가를 검사할 수 있다. CTS 신호의 복호에 성공한 경우 제어부(805)는 1306단계로 진행하고, 복호에 실패한 경우 도 13의 루틴을 종료한다. 여기서도 도 13의 루틴을 종료한다는 것은 제2송신기로 동작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후 제어부(805)는 1306단계로 진행하면, 수신된 RTS 및 CTS 신호 중 CTS 신호에 기반하여 간섭 신호 세기를 추정할 수 있다. 이처럼 RTS 신호가 아닌 CTS 신호에 기반하여 간섭 신호 세기를 추정하는 것은 제2노드(620)와 제3노드(620)간의 채널을 추정하는 것이다. 제어부(805)는 채널 추정 후 1308단계로 진행하여 추정된 간섭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1임계값 이하인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제1임계값은 아무런 제약 없이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간섭 세기의 최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805)는 1308단계의 검사결과 추정된 간섭 신호 세기가 제1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1310단계로 진행하여 제2송신기로 동작하여 제2수신기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앞서 설명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3노드(640)가 제1노드(610)로 패킷을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1308단계의 검사결과 추정된 간섭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제1임계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805)는 1312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805)는 1312단계에서 추정된 간섭 신호의 세기가 제2임계값 이하인가를 검사한다. 결국 1312단계의 검사는 추정된 간섭 신호의 세기가 제1임계값보다 크고 제2임계값 이하인가를 검사하는 것이다. 추정된 간섭 신호의 세기가 제1임계값보다 크고 제2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805)는 1314단계로 진행하여 제2송신기로 동작하되, 제2수신기로 송신하는 패킷에 대하여 보다 낮은 전력으로 전력 제어하여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가 된다.
반면에 1312단계의 검사결과 추정된 간섭 신호의 세기가 제2임계값보다 큰 경우는 도 13의 루틴을 종료한다. 이처럼 도 13의 루틴을 종료한다는 것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2송신기로써 동작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13에서도 1310단계 또는 1314단계 이후 제2수신기로 패킷 전송을 완료한 후 제2수신기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음에 유의하자.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스 기반 풀 듀플렉스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3개의 노드 중 통신 장치가 제1송신기 및 제2수신기로 동작하는 경우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다.
제1송신기 및 제2수신기로 동작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부(805)는 1400단계에서 제1수신기로 RTS를 송신한다. 이러한 동작을 앞서 설명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노드(610)가 제2노드(620)로 RTS를 송신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805)는 1402단계에서 제1수신기로부터 CTS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앞서 설명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노드(620)가 제1노드(610)로 CTS를 전송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CTS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805)는 SIFS 시간만큼 대기한 후 1404단계에서 제1수신기로 패킷을 전송하며, 제2송신기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805)는 제1송신기로 동작하기 때문에 제1수신기로 전송하는 패킷의 길이(L1)는 이미 알고 있다. 또한 제2송신기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패킷의 헤더를 모뎀(803)에서 복조 및 복호하여 제2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의 길이(L2)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805)는 1406단계에서 제1송신기로 전송하는 패킷의 길이(L1)와 제2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의 길이(L2)를 비교하여 제1송신기로 전송하는 패킷의 길이(L1)가 제2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의 길이(L2) 보다 짧거나 같은가를 검사한다. 제어부(805)는 1406단계에서 제1송신기로 전송하는 패킷의 길이(L1)가 제2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의 길이(L2) 보다 길거나 같은 경우 1408단계로 진행하고, 제1송신기로 전송하는 패킷의 길이(L1)가 제2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의 길이(L2) 보다 짧은 경우 1410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제3노드(630)는 제3노드(630)가 제1노드(610)로 전송하는 패킷의 길이(L2)가 제1노드(610)가 제2노드(620)로 전송하는 패킷의 길이(L1)보다 짧은 경우 제3노드(630)가 제1노드(610)로 전송하는 패킷의 전송이 완료된 후 t05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비지 톤을 송신한다. 따라서 제어부(805)는 비지 톤 수신이 완료되는 시점이 제2노드(620)로 패킷 전송이 완료되는 시점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어부(805)는 제2송신기인 제3노드(630)로부터 1412단계에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시점에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1송신기로 전송하는 패킷의 길이(L1)가 제2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의 길이(L2) 보다 짧아 1410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를 도 7b를 참조하여 살펴보자. 1410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는 제1노드(610)가 제2노드(620)로 전송하는 패킷의 길이(L1)가 제3노드(630)가 제1노드(610)로 전송하는 패킷의 길이(L2)보다 짧은 경우이다. 따라서 제어부(805)는 패킷 전송이 완료되는 경우 1410단계에서 제2노드(620)로 패킷의 전송이 완료되면, 제3노드(630)가 제1노드(610)로 전송하는 패킷의 길이에 맞춰 비지 톤(732)을 t05의 시점부터 t06의 시점까지 송신한다. 이처럼 두 패킷의 길이를 맞춰 전송이 완료된 후 제어부(805)는 1423단계에서 SIFS 시간 이후에 제2노드(620)로부터 응답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120, 130, 140, 610, 620, 630, 640 : 노드들
ANT : 안테나
801 : 무선 처리부
803 : 모뎀
805 : 제어부
807 : 메모리

Claims (20)

  1. 패킷 수신 방법에 있어서,
    세 개 이상의 노드들 간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제2수신기로 동작하는 제3노드가, 제1송신기로 동작하는 제1노드로부터 제1수신기로 동작하는 제2노드로 송신하는 송신 요구(request-to-send, RTS) 신호를 청취(overhearing)하는 단계;
    상기 제3노드가 상기 청취한 RTS 신호의 수신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노드와 관련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3노드가 상기 생성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제2송신기로 동작하는 제2노드로 보고하는 단계;
    상기 제3노드는 상기 제2송신기로부터 패킷 데이터가 수신될 시 상기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복조 및 복호하는 단계;
    상기 제3노드는 상기 패킷 데이터에 응답으로 상기 제2노드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는,
    상기 제1노드로부터 상기 제1노드로 송신 가능(clear-to-send, CTS)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할당된 자원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수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는,
    상기 CTS 신호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중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임 슬롯을 통해 전송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수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TS 신호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중 상기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의 적어도 일부는 통신 장치의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는 자원의 수를 모듈러 연산하여 선택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수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는,
    역 에코 파워 방식으로 계산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수신 방법.
  6. 패킷 송신 및 수신 방법에 있어서,
    세 개 이상의 노드들 간 목적지 기반 풀 듀플렉스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제2송신기 및 제1수신기로 동작하는 제2노드가 제1송신기로 동작하는 제1노드로부터 송신 요구(request-to-send, RTS) 신호 수신 시, 미리 설정된 시간 후 송신 가능(clear-to-send, CTS)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노드가 상기 CTS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할당된 자원 중 적어도 일부의 자원을 이용하여 통해 제2수신기 후보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노드들로부터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노드가 상기 수신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에 근거하여 제2수신기 후보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노드들 중에서 제2수신기로 동작하는 제3노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노드가 상기 제1노드로부터 시간 자원 동안 패킷을 수신할 시 상기 시간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3노드로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송신 및 수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드가 상기 제3노드로 전송될 패킷의 길이가 상기 제1노드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길이보다 긴 경우, 상기 제3노드로 전송될 패킷의 길이를 상기 제1노드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송신 및 수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드는 상기 제3노드로 전송될 패킷의 길이가 상기 제1노드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3노드로 상기 패킷의 전송이 완료될 때까지 통신 중임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송신 및 수신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드는 상기 패킷 송신 및 수신이 완료될 시 상기 수신된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노드로 패킷 수신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노드는 상기 제3노드로부터 상기 송신한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송신 및 수신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는,
    상기 제2노드로부터 상기 제1노드로 송신 가능(clear-to-send, CTS)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할당된 자원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송신 및 수신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는,
    상기 CTS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할당된 자원 중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밴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타임 슬롯을 통해 수신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송신 및 수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TS 신호 전송을 위해 할당된 자원 중 상기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의 적어도 일부는 통신 장치의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는 자원의 수를 모듈러 연산하여 선택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송신 및 수신 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간 간섭 신호의 세기 정보는,
    역 에코 파워 방식으로 계산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송신 및 수신 방법.
  14.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세 개 이상의 노드들 간 소스 기반 풀 듀플렉스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제2수신기로 동작하는 제3노드가, 제1송신기 및 제2수신기로 동작하는 제1노드로부터 제1수신기로 동작하는 제2노드로 송신 요구(request-to-send, RTS) 신호와 상기 제2노드로부터 상기 제1노드로 전송되는 송신 가능(clear-to-send, CTS) 신호를 청취하는 단계;
    상기 제3노드가 상기 청취한 CTS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노드의 간섭 신호 세기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간섭 신호 세기가 송신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랜덤 백-오프 시간만큼 대기한 후 제1노드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송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노드는 상기 청취한 RTS 신호를 복호하는 단계; 및
    상기 제3노드가 상기 청취한 CTS 신호의 복호가 불가능한 경우 제2송신기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송신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조건은,
    상기 청취한 CTS 신호를 기반으로 추정한 간섭 신호 세기가 제1임계값 이하인 경우인,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송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한 CTS 신호를 기반으로 추정한 간섭 신호 세기가 상기 제1임계값 이상이고 제2임계값 이하인 경우 송신할 패킷의 전력을 낮춰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송신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백-오프 시간만큼 대기한 후 다른 노드에서 상기 제1노드로 패킷 전송이 검출될 시 패킷 전송을 포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송신 방법.
  19. 패킷 송신 및 수신 방법에 있어서,
    세 개 이상의 노드들 간 소스 기반 풀 듀플렉스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제1송신기 및 제2수신기로 동작하는 제1노드가 제1수신기로 동작하는 제2노드로 송신 요구(request-to-send, RTS)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노드가 상기 RTS 신호에 응답으로 상기 제2노드로부터 송신 가능(clear-to-send, CTS)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노드가 미리 결정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노드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노드가 상기 미리 결정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제2송신기로 동작하는 제3노드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노드가 상기 제2노드로 패킷 전송이 완료될 시 상기 제2노드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노드가 상기 제3노드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응답으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송신 및 수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드가,
    상기 제3노드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길이가 상기 제2노드로 전송할 패킷의 길이보다 긴 경우, 상기 제3노드로부터 패킷 수신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제2노드로 패킷을 수신하는 시간 동안 통신 중임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패킷 송신 및 수신 방법.
KR1020150001923A 2015-01-07 2015-01-07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2244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923A KR102244210B1 (ko) 2015-01-07 2015-01-07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15/542,389 US10819494B2 (en) 2015-01-07 2016-01-07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ata in full duplex system
PCT/KR2016/000136 WO2016111559A1 (ko) 2015-01-07 2016-01-07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923A KR102244210B1 (ko) 2015-01-07 2015-01-07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051A KR20160085051A (ko) 2016-07-15
KR102244210B1 true KR102244210B1 (ko) 2021-04-26

Family

ID=5635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923A KR102244210B1 (ko) 2015-01-07 2015-01-07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19494B2 (ko)
KR (1) KR102244210B1 (ko)
WO (1) WO20161115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210B1 (ko) * 2015-01-07 2021-04-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WO2017082650A1 (ko) * 2015-11-10 2017-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Fdr 시스템에서 tx/rx capability의 변경과 관련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218487B2 (en) * 2015-12-21 2019-02-26 Intel Corporation Radio configuration optimization for full-duplex communications
JP7297400B2 (ja) * 2016-03-18 2023-06-2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55388B1 (ko) * 2017-11-06 2020-01-2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976482B1 (ko) * 2017-11-06 2019-05-10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981164B1 (ko) * 2017-11-06 2019-05-2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및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71865A1 (en) * 2012-09-07 2014-03-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full duplex mac designs based on backoff in frequency domai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2829A (ko) * 2008-06-23 2009-12-31 나극환 릴레이 형 다자간 양방향 무선통신시스템
US8472467B2 (en) * 2009-06-25 2013-06-25 Intel Corporation Wireless device and methods for opportunistic scheduling in a contention-based wireless network
EP2554006A1 (en) * 2010-03-29 2013-02-06 Nokia Corp. Handshaking protocol using bursts in ofdma frame structure
WO2012034268A1 (en) * 2010-09-14 2012-03-2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aware wireless communications
US20120099450A1 (en) * 2010-09-27 2012-04-26 Qualcomm Incorporated Spatial reuse in a wireless network
US8913510B2 (en) * 2010-09-30 2014-12-16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ision detection in wider bandwidth operation
US10230419B2 (en) 2011-02-03 2019-03-1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Adaptive techniques for full duplex communications
US9326158B2 (en) * 2011-08-20 2016-04-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extended range in a wireless network
US20130083684A1 (en) * 2011-09-30 2013-04-0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s of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KR101785964B1 (ko) 2011-12-16 2017-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장을 이용하여 풀 듀플렉스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제1 노드 및 제2 노드의 통신 보안 방법 및 장치
US9271307B2 (en) * 2012-12-19 2016-02-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full-duplex MAC timing modifications
KR102244210B1 (ko) * 2015-01-07 2021-04-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71865A1 (en) * 2012-09-07 2014-03-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for full duplex mac designs based on backoff in frequency dom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19494B2 (en) 2020-10-27
KR20160085051A (ko) 2016-07-15
US20180048455A1 (en) 2018-02-15
WO2016111559A1 (ko)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210B1 (ko) 풀 듀플렉스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US106873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source pool
CN110521264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由v2x终端执行的v2x通信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终端
EP3952421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nd reporting channel state in sidelink communication
JP7010212B2 (ja) 低複雑度の狭帯域端末のためのランダムアクセス手順でのharqメッセージに割り当てられたリソースを示すための方法
KR102087656B1 (ko)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의 분산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TWI661741B (zh) 通訊系統,通訊裝置及方法
US201800983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source pool
WO2016188250A1 (zh) 一种资源分配的方法和装置
TW202019201A (zh) 在非授權頻譜上處理通訊方法及相關通訊裝置
KR20160114606A (ko) 통신 디바이스 및 방법
KR20210007881A (ko) 무선랜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링크 전송을 위한 링크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07153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매크로 셀과 스몰 셀 간 스위칭을 위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WO2017128454A1 (zh) 通信方法、网络侧设备及终端
US20160037572A1 (en) Method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for supporting same
US11844072B2 (en) Simultaneous data transmission between an access point and a plurality of stations
US20230156670A1 (en) Partial sensing method and device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0130625A (ja) 無線基地局、無線端末局、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22005410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3065497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490365B2 (en) Method to handle joint restriction of transmission resource and data QoS requirement
JP6350837B2 (ja) 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端末
TWI659665B (zh) 一種資源調度和碰撞指示的方法及設備
WO2016127348A1 (zh) 接入点ap、站点sta、通信系统及数据传输方法
KR20200127850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채널 상태 측정 및 보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