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593B1 -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593B1
KR102243593B1 KR1020200119126A KR20200119126A KR102243593B1 KR 102243593 B1 KR102243593 B1 KR 102243593B1 KR 1020200119126 A KR1020200119126 A KR 1020200119126A KR 20200119126 A KR20200119126 A KR 20200119126A KR 102243593 B1 KR102243593 B1 KR 102243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adjustment
spring guide
upper cap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9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5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mounted at the bottom of wings, e.g. details related to seals, covers, connections to the wings, embedding in the floor
    • E05F3/226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mounted at the bottom of wings, e.g. details related to seals, covers, connections to the wings, embedding in the floor with means to adjust the closed position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 수납장 내부 측면에 설치되어 길이 조절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가구 수납장의 전면 도어를 쉽게 개폐할 수 있는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되, 상면 일측에 수용공간과 연통된 관통공을 구비한 상부캡(102)과; 상기 상부캡(102)의 수용공간에 위치되되, 회전 가능하게 외면 일부가 관통공을 통해 도출된 조절핸들(104)과; 상기 상부캡(102)의 수용공간에 위치되되, 조절핸들(104)에 나사결합되어 조절핸들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는 조절캡볼트(105)와; 상기 상부캡(102)의 수용공간에 위치됨과 아울러 조절캡볼트(105)의 내부 일측에 억지 끼움되어 조절캡볼트(105)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진하되, 통형상의 본체(106)와 축(108)을 구비하는 스프링가이드(110)와; 상기 상부캡(102)의 수용공간에 위치됨과 아울러 내부 중앙 일측에 스프링가이드(110)의 축(108)을 위치시키되, 스프링가이드(110)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진하는 관형상의 바디(112)와; 상기 스프링가이드(110)의 축(108) 일측을 감싸되, 수축(또는 압축)과 원위치(또는 팽창)하는 스프링(114)과; 상기 스프링(11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관형상의 바디(112)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핀(116) 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easy-to-adjust furniture door switchgear}
본 발명은 가구도어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구 수납장 내부 측면에 설치되어 길이 조절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가구 수납장의 전면 도어를 쉽게 개폐할 수 있는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구도어용 개폐장치는 일반적으로 가정의 실내 또는 사무실에서 쓰이는 장식장, 싱크대 및 옷장과 같은 가구의 여닫이문 등의 경첩으로 결합되어 개폐되는 도어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여주며 도어가 부딪히는 충격을 완화하여 가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많은 가구에 적용하여 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는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가구 도어를 단순하게 누르는 동작만으로 구동체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는 구조를 갖도록 장치가 제작되며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장치의 내부에 영구자석이 설치되고 도어의 내면에 금속체가 설치되어 자력에 의해 상호 끌어당겨져 도어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 가구도어용 개폐장치는 도어를 개방 하고자할 때 구동체 내부에 포함된 스프링의 탄성력이 약하거나 저하되어 도어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자성체가 영구자석에 흡착되어 도어가 완전 개방 되지 않으며 장치의 길이 및 크기가 다소 크게 형성되어 수납공간을 간섭하게 되는 문제를 두고 고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현재 가구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편의와 가구의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가구 도어의 개방 및 폐쇄 장치는 내측에 영구자석이 구비되어 단순한 도어의 폐쇄 고정만을 하는 것과 내측에 영구자석뿐만 아니라 스프링이 구비되어 탄성력에 의해 원터치 개방이 가능한 장치로 나누어지는데 영구자석이 구비되어 단순한 도어의 폐쇄 고정만을 하는 장치는 도어의 폐쇄 고정은 용이하지만 개방시 사용자가 자기력 보다 더한 힘을 가하여 개방해야 하고 내측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원터치로 개방이 가능한 장치와 비교하였을 때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져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가구 도어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4-0125581호를 통해 가구용 도어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는 가구 도어의 개방 및 폐쇄하는 것에만 그칠 뿐, 장치에 일반적 스프링이 적용되어 사용 기한의 흐름에 따라 장치의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도어의 개방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고질적인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체의 고정을 위해 내측 홈을 길게 하였으나 이는 이탈을 방지하여 고정을 원활하게 하나 장치를 제작하는 장비의 1회 보링 최소치를 벗어 날 수 있으며 장치의 내측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장치의 크기가 커지므로 인해 가구 내측의 수납공간에 간섭을 초래하게 되어 비효율적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15년 02월 23일자 출원번호 제20-2015-0001185호(고안의 명칭 : 가구 도어의 개폐 장치)로 특허청에 출원된 바 있으며,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청구범위를 살펴보면, " 하부가 개방되어 홀더결합부가 구비되며 전면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을 통해 인입되고, 내부에 영구자석이 수납되는 몸통부와, 후면 일측에 형성된 고정부몸통과, 상기 고정부몸통과 이격되어 형성된 스프링고정부를 포함하는 작동체; 상기 작동체의 후면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하우징에 고정되는 스프링; 상기 작동체에 결합부가 결합되며 타측에 로드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양측면으로 회전작동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핀; 및 상기 하우징의 홀더결합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핀의 로드가 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후면 내측 상부에 접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격벽과, 내측 후면 일측에 상기 스프링의 타측이 고정되는 스프링가이드부가 형성되고, 내부가 작동공간부와 홀더결합부로 나누어지며, 측면 외측에 볼트가 결합되는 설치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도어의 개폐 장치. " 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가구 도어의 개폐장치는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길이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도어를 작동하여 폐쇄할 시 종종 접하는 전면에 틈이 발생하여 소리가 나거나 또는 틈 사이로 먼지나 파리, 바퀴벌레와 같은 해충들이 수납장 내부에 들어가 번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 수납장 내부 측면에 설치되어 길이 조절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가구 수납장의 전면 도어를 쉽게 개폐할 수 있는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되, 상면 일측에 수용공간과 연통된 관통공을 구비한 상부캡(102)과;
상기 상부캡(102)의 수용공간에 위치되되, 회전 가능하게 외면 일부가 관통공을 통해 도출된 조절핸들(104)과;
상기 상부캡(102)의 수용공간에 위치되되, 조절핸들(104)에 나사결합되어 조절핸들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는 조절캡볼트(105)와;
상기 상부캡(102)의 수용공간에 위치됨과 아울러 조절캡볼트(105)의 내부 일측에 억지 끼움되어 조절캡볼트(105)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진하되, 통형상의 본체(106)와 축(108)을 구비하는 스프링가이드(110)와;
상기 상부캡(102)의 수용공간에 위치됨과 아울러 내부 중앙 일측에 스프링가이드(110)의 축(108)을 위치시키되, 스프링가이드(110)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진하는 관형상의 바디(112)와;
상기 스프링가이드(110)의 축(108) 일측을 감싸되, 수축(또는 압축)과 원위치(또는 팽창)하는 스프링(114)과;
상기 스프링(11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관형상의 바디(112)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핀(116)과;
상기 관형상의 바디(112)의 내부에 위치됨과 아울러 스프링(114)의 전방 스프링가이드(110)의 축(108) 일측을 감싸 스프링(114)의 움직에 따라 전, 후진하되, 전방 일측 저면에 걸림턱(118)을 구비하는 헤드(120)와;
상기 상부캡(102)의 하단부 내면에 설치되어 조절핸들(104)과 조절캡볼트(105)와 스프링가이드(110)와 관형상의 바디(112)가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줌과 아울러 가구도어의 닫힘경로에 볼트결합되는 조절식플레이트(122)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가이드(110)는,
조절캡볼트(105)의 내부 일측에 억지 끼움되는 통형상의 본체(106)와;
상기 통형상의 본체(106) 전방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축(108)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는 가구 수납장의 내부 측면에 설치되어 길이 조절을 편리하게 할 수 있음으로써,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면에 틈이 발생하지 않아 소리가 나거나 또는 먼지나 파리, 바퀴벌레와 같은 해충들이 가구 수납장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구 수납장의 전면 도어를 쉽게 개폐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구 도어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도어 개폐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가 가구 수납장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되, 상면 일측에 수용공간과 연통된 관통공을 구비한 상부캡(102)과;
상기 상부캡(102)의 수용공간에 위치되되, 회전 가능하게 외면 일부가 관통공을 통해 도출된 조절핸들(104)과;
상기 상부캡(102)의 수용공간에 위치되되, 조절핸들(104)에 나사결합되어 조절핸들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는 조절캡볼트(105)와;
상기 상부캡(102)의 수용공간에 위치됨과 아울러 조절캡볼트(105)의 내부 일측에 억지 끼움되어 조절캡볼트(105)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진하되, 통형상의 본체(106)와 축(108)을 구비하는 스프링가이드(110)와;
상기 상부캡(102)의 수용공간에 위치됨과 아울러 내부 중앙 일측에 스프링가이드(110)의 축(108)을 위치시키되, 스프링가이드(110)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진하는 관형상의 바디(112)와;
상기 스프링가이드(110)의 축(108) 일측을 감싸되, 수축(또는 압축)과 원위치(또는 팽창)하는 스프링(114)과;
상기 스프링(11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관형상의 바디(112)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핀(116)과;
상기 관형상의 바디(112)의 내부에 위치됨과 아울러 스프링(114)의 전방 스프링가이드(110)의 축(108) 일측을 감싸 스프링(114)의 움직에 따라 전, 후진하되, 전방 일측 저면에 걸림턱(118)을 구비하는 헤드(120)와;
상기 상부캡(102)의 하단부 내면에 설치되어 조절핸들(104)과 조절캡볼트(105)와 스프링가이드(110)와 관형상의 바디(112)가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줌과 아울러 가구도어의 닫힘경로에 볼트결합되는 조절식플레이트(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가이드(110)는
조절캡볼트(105)의 내부 일측에 억지 끼움되는 통형상의 본체(106)와;
상기 통형상의 본체(106) 전방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축(108)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관형상의 바디(112), 헤드(120)는 마그네틱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의 분해도이다.
상기 상부캡(102)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에 관통공을 구비한 제1날개(124)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식플레이트(122)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에 관통공을 구비한 제2날개(12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10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100)의 조립과정은 조립자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수용공간과 관통공을 구비한 상부캡(102)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조절핸들(104)을 위치시킨 후, 상기 조절핸들(104)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조절캡볼트(105)를 나사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102)의 수용공간을 통해 상부캡(102)의 관통공에 조절캡볼트(105)와 나사결합된 조절핸들(104)의 외면 일측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통형상의 본체(106)와 축(108)을 구비한 스프링가이드(110)를 위치시킨 후, 조절캡볼트(105)의 내부 일측에 통형상의 본체(106)를 억지 끼움시킨다.
그리고, 관형상의 바디(112)를 위치시킨 후, 상기 관형상의 바디(112) 내부에 고정핀(116)을 설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102)의 수용공간으로 고정핀(116)이 설치된 관형상의 바디(112)를 밀어 넣는다. 이때, 상기 관형상의 바디(112) 내부 중앙에 축(108)이 위치된다.
그리고, 스프링(114)을 위치시킨 후, 상기 스프링(114)을 축(108) 일측을 감싸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전방 일측 저면에 걸림턱(118)을 구비한 헤드(120)를 위치시킨 후, 상기 관형상의 바디(112)의 내부로 헤드(120)를 밀어 넣는다. 이때, 헤드(120)의 내부 중앙 일측에 축(108)이 끼움된다.
그리고, 가구도어의 닫힘경로에 볼트결합되는 조절식플레이트(122)를 위치시킨 후, 상기 상부캡(102)의 하단부 내면에 조절식플레이트(122)를 설치한다. 이때, 조절식플레이트(122)는 조절핸들(104)과 조절캡볼트(105)와 스프링가이드(110)와 관형상의 바디(112)가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준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100)의 동작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절핸들(104)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조절핸들(104)의 회전에 따라 조절핸들(104)에 나사결합된 조절캡볼트(105)가 전진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캡볼트(105)의 전진에 따라 통형상의 본체(106)와 축(108)을 구비한 스프링가이드(110)가 전진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가이드(110)의 전진에 따라 관형상의 바디(112) 및 전방 일측 저면에 걸림턱(118)을 구비한 헤드(120)가 동시에 전진한다.
그리고, 헤드(120) 전면을 누르면, 상기 헤드(120)는 축(108)을 타고 후진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120)의 후진에 따라 스프링(114)이 수축(또는 압축)한다.
그리고, 고정핀(116)에 헤드(120)의 걸림턱(118)이 걸린다.
그리고, 헤드(120) 전면을 다시 누르면, 상기 헤드(120)의 걸림턱(118)에 걸린 고정핀(116)이 제거되고, 스프링(114)이 원위치(또는 팽창)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14)의 원위치에 따라 헤드(120)는 축(108)을 타고 원위치로 전진한다.
반대로, 조절핸들(104)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조절핸들(104)의 회전에 따라 조절핸들(104)에 나사결합된 조절캡볼트(105)가 후진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캡볼트(105)의 후진에 따라 통형상의 본체(106)와 축(108)을 구비한 스프링가이드(110)가 후진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가이드(110)의 후진에 따라 관형상의 바디(112) 및 전방 일측 저면에 걸림턱(118)을 구비한 헤드(120)가 동시에 후진한다.
그리고, 헤드(120) 전면을 누르면, 상기 헤드(120)는 축(108)을 타고 후진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120)의 후진에 따라 스프링(114)이 수축(또는 압축)한다.
그리고, 고정핀(116)에 헤드(120)의 걸림턱(118)이 걸린다.
그리고, 헤드(120) 전면을 다시 누르면, 상기 헤드(120)의 걸림턱(118)에 걸린 고정핀(116)이 제거되고, 스프링(114)이 원위치(또는 팽창)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14)의 원위치에 따라 헤드(120)는 축(108)을 타고 원위치로 전진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
102 : 상부캡
104 : 조절핸들
105 : 조절캡볼트
106 : 통형상의 본체
108 : 축
110 : 스프링가이드
112 : 관형상의 바디
114 : 스프링
116 : 고정핀
118 : 걸림턱
120 : 헤드
122 : 조절식플레이트
124 : 제1날개
126 : 제2날개

Claims (5)

  1.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되, 상면 일측에 수용공간과 연통된 관통공을 구비한 상부캡(102)과;
    상기 상부캡(102)의 수용공간에 위치되되, 회전 가능하게 외면 일부가 관통공을 통해 도출된 조절핸들(104)과;
    상기 상부캡(102)의 수용공간에 위치되되, 조절핸들(104)에 나사결합되어 조절핸들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는 조절캡볼트(105)와;
    상기 상부캡(102)의 수용공간에 위치됨과 아울러 조절캡볼트(105)의 내부 일측에 억지 끼움되어 조절캡볼트(105)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진하되, 통형상의 본체(106)와 축(108)을 구비하는 스프링가이드(110)와;
    상기 상부캡(102)의 수용공간에 위치됨과 아울러 내부 중앙 일측에 스프링가이드(110)의 축(108)을 위치시키되, 스프링가이드(110)의 움직임에 따라 전,후진하는 관형상의 바디(112)와;
    상기 스프링가이드(110)의 축(108) 일측을 감싸되, 수축(또는 압축)과 원위치(또는 팽창)하는 스프링(114)과;
    상기 스프링(11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관형상의 바디(112)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핀(116)과;
    상기 관형상의 바디(112)의 내부에 위치됨과 아울러 스프링(114)의 전방 스프링가이드(110)의 축(108) 일측을 감싸 스프링(114)의 움직에 따라 전, 후진하되, 전방 일측 저면에 걸림턱(118)을 구비하는 헤드(120)와;
    상기 상부캡(102)의 하단부 내면에 설치되어 조절핸들(104)과 조절캡볼트(105)와 스프링가이드(110)와 관형상의 바디(112)가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해 줌과 아울러 가구도어의 닫힘경로에 볼트결합되는 조절식플레이트(122)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가이드(110)는,
    조절캡볼트(105)의 내부 일측에 억지 끼움되는 통형상의 본체(106)와;
    상기 통형상의 본체(106) 전방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축(108)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02)은,
    외면에 관통공을 구비한 제1날개(124)가 설치된 것이고,
    상기 조절식플레이트(122)는,
    외면에 관통공을 구비한 제2날개(12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의 바디(112), 헤드(120)는 마그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00119126A 2020-09-16 2020-09-16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 KR102243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126A KR102243593B1 (ko) 2020-09-16 2020-09-16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126A KR102243593B1 (ko) 2020-09-16 2020-09-16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593B1 true KR102243593B1 (ko) 2021-04-21

Family

ID=7574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126A KR102243593B1 (ko) 2020-09-16 2020-09-16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5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810A (ja) * 1999-03-03 2000-09-12 Wakama Kanamono Kk マグネットキャッチ及びこのマグネットキャッチが取り付けられている家具
KR100690067B1 (ko) * 2006-05-10 2007-03-08 김준경 가구용 도어 홀드
KR20170002393U (ko) * 2015-12-24 2017-07-04 오세진 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810A (ja) * 1999-03-03 2000-09-12 Wakama Kanamono Kk マグネットキャッチ及びこのマグネットキャッチが取り付けられている家具
KR100690067B1 (ko) * 2006-05-10 2007-03-08 김준경 가구용 도어 홀드
KR20170002393U (ko) * 2015-12-24 2017-07-04 오세진 도어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5954B2 (en) Compact hing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8650711B1 (en) Hinge assembly with damping device
US11098509B2 (en) Double-door lock assembly
JP6416583B2 (ja) 錠装置及び建具
KR20140016751A (ko) 멀티타입 래치볼트
GB2111116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curity devices
KR102243593B1 (ko) 길이 조절이 편리한 가구도어용 개폐장치
US7275770B2 (en) Interlock system for enclosures
US5655261A (en) Closing mechanism for cabinet hinge
US6938302B2 (en) Door closing mechanism
US2926037A (en) Latch mechanism
JP5918308B2 (ja) 開閉体緩衝装置
KR102382392B1 (ko) 고압용 도어경첩
CN111550143A (zh) 隐藏式天地铰链
KR101030373B1 (ko) 자석손잡이를 이용한 자동식 도어 잠금장치
KR100507534B1 (ko) 자동차용 도어첵커의 작동억압장치
KR200481499Y1 (ko) 가구 도어의 개폐 장치
JPH07119347A (ja) 自動閉扉式スライド蝶番
KR100246209B1 (ko) 문 개폐장치
JPH0643405Y2 (ja) プッシュラッチ
JPS5922868Y2 (ja) 扉固着機構
KR102472400B1 (ko) 안티 도어 클로징 장치
KR200486898Y1 (ko) 미닫이 창호용 핸들장치
JPH0611356Y2 (ja) 戸当り装置
JPH08170467A (ja) 開き戸のロック保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