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156B1 - 단추형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단추형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156B1
KR102243156B1 KR1020190082221A KR20190082221A KR102243156B1 KR 102243156 B1 KR102243156 B1 KR 102243156B1 KR 1020190082221 A KR1020190082221 A KR 1020190082221A KR 20190082221 A KR20190082221 A KR 20190082221A KR 102243156 B1 KR102243156 B1 KR 102243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agnetic body
pin
coaxial connecto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207A (ko
Inventor
정재영
아이쿠 필립
빈티 이브라힘 파티아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2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156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자성 핀을 포함하는 제 1 자성체, 제 1 자성체의 내측에 마련된 내부 홀 및 제 1 자성체와 내부 홀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절연체를 포함하는 제 1 본체; 및 자성 핀과 결합 가능한 자성 홀을 포함하는 제 2 자성체, 제 2 자성체의 내측에 마련된 내부 핀 및 제 2 자성체와 내부 핀 사이에 마련되는 제 2 절연체를 포함하는 제 2 본체를 포함하는 단추형 동축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단추형 동축 커넥터{SNAP-ON COAXIAL CONNECTOR}
본 발명은 단추형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석에 의해 결합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단추형 동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기술은 더 많은 정보를 더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방향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무선통신기기는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를 넘어 의류 또는 인체에 착용 가능한(wearable)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 의류산업뿐 아니라 IT, 의료 및 국방산업에서 전도성 스마트 천(Conductive smart textile)을 활용한 웨어러블 기기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전도성 스마트 천은 높은 도전율로 인해 일반 금속과 같이 전류를 흘+릴 수 있고 천재질 만의 유연성과 신축성을 유지하여 의류 통합 웨어러블 기기 구현의 핵심 소재이다.
의류 통합 웨어러블 통신기기 구현의 가장 큰 걸림돌은 전도성 스마트 천으로 제작된 안테나와 PCB기판을 결합하는 연결 인터페이스, 즉 커넥터의 부재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커넥터는 부피가 크고 즉각적인 결합이 불가하여 전도성 스마트 천으로 만들어진 안테나에서 적용이 어렵기 때문에 간단한 결합 방식을 제공하는 소형화된 동축 커넥터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188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74593호 미국등록특허 제US7,901,216B2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자석의 인력을 이용하여 복잡한 절차 없이 간편하게 부착 및 탈착시킬 수 있는 단추형 동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 핀을 포함하는 제 1 자성체, 제 1 자성체의 내측에 마련된 내부 홀 및 제 1 자성체와 내부 홀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절연체를 포함하는 제 1 본체; 및 자성 핀과 결합 가능한 자성 홀을 포함하는 제 2 자성체, 제 2 자성체의 내측에 마련된 내부 핀 및 제 2 자성체와 내부 핀 사이에 마련되는 제 2 절연체를 포함하는 제 2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 핀은 내부 홀에 삽입하기 위 해 원통의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내부 홀은 내부 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컵(cup)의 형태로 함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자성체의 극성과 제 2 자성체의 극성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본체와 제 2 본체가 결합하면, 자성 핀이 자성 홀에 삽입되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본체와 제 2 본체가 결합하면, 내부 핀은 내부 홀에 삽입되어 통신 모듈과 웨어러블 안테나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본체는 솔더링(soldering)을 사용하여 통신 모듈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바늘 구멍(sewing holes)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안테나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자성체의 지름과 제 2 자성체의 지름이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추형 동축 커넥터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안테나와 통신 모듈 간의 전기적 신호 전송을 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부착 및 탈착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의 제 1 자성체의 자성 핀(pin)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의 제 2 자성체의 자성 홀(hole)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 웨어러블 안테나 및 통신 모듈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 및 웨어러블 안테나와 통신 모듈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의 주파수(Frequency, ㎓) 변화에 따른 반사 손실 및 삽입 손실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의 주파수(Frequency, ㎓) 변화에 따른 정재파 비율(VSWR)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의 주파수(Frequency, ㎓) 변화에 따른 임피던스 특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추형 동축 커넥터(10)는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30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 본체(100)는 제 1 자성체(110), 제 1 자성체(110)의 내측에 마련된 내부 홀(150) 및 제 1 자성체(110)와 내부 홀(150)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절연체(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자성체(110)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본체(100)의 내부 홀(150)과 제 2 본체(300)의 내부 핀(35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강력한 자기적 결합을 위해 네오디뮴(Neodymium)을 주성분으로 할 수 있다.
제 1 자성체(110)는 자성체이고, 원형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원형의 경우 지름이 18㎜일 수 있고, 내측에 마련된 내부 홀(150)과 제 1 절연체(170) 부분을 제외하면 9.91㎜ 가량이 결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내부 홀(150)은 제 1 자성체(110) 내측에 마련되며, 내부 홀(150)의 재질은 구리(copper)로 제작될 수 있고, 내부 홀(150)의 지름은 2.42㎜일 수 있다.
내부 홀(150)은 제 2 본체(300)와 결합하는 방향에는 후술하는 내부 핀(350)과의 접지를 위해 내부 핀(350)이 돌출된 높이에 대응하여 약간의 홈이 파여진 컵(cup)형태일 수 있다.
내부 홀(150)은 통신 모듈(500)과 결합하는 방향에는 통신 모듈(500)과의 접지를 위해 막혀 있을 수 있다.
제 1 절연체(170)는 내부 홀(150)의 전기적 신호와 제 1 자성체(110)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을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절연체(170)는 내부 홀(150)과 제 1 자성체(110)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형태로 내부 홀(15)을 둘러싸고 있다.
제 1 절연체(170)는 절연 기능을 가지는 테플론(Teflon) 또는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절연체(170)는 충분한 절연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적절한 두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지름이 8.09㎜일 수 있다.
제 2 본체(300)는 제 2 자성체(310), 제 2 자성체(310)의 내측에 마련된 내부 핀(350) 및 제 2 자성체(310)와 내부 핀(350) 사이에 마련되는 제 2 절연체(370)를 포함하는 제 2 본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자성체(310)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본체(300)의 내부 핀(350)과 제 1 본체(100)의 내부 홀(15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강력한 자기적 결합을 위해 네오디뮴(Neodymium)을 주성분으로 할 수 있다.
제 2 자성체(310)는 자성체이고, 원형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원형의 경우 지름이 18㎜일 수 있고, 내측에 마련된 내부 핀(350)과 제 2 절연체(370) 부분을 제외하면 11.58㎜ 가량이 결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2 자성체(310)는, 지름이 18㎜일 수 있고, 내측의 제 2 절연체(370) 부분을 제외하면 11.58㎜ 가량이 결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2 자성체(310)는 내측의 내부 핀(350)의 지름이 제 1 자성체(110)의 내측의 내부 홀(150)의 지름보다 작기 때문에 제 1 자성체(110)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내부 핀(350)은 제 2 자성체(310) 내측에 마련되며, 내부 홀(150)의 재질은 구리(copper)로 제작될 수 있고, 내부 핀(350)의 지름은 1.92㎜일 수 있으며, 내부 홀(150)에 삽입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내부 핀(350)은 제 1 본체(100)와 결합하는 방향에는 상술하는 내부 홀(150)과의 접지를 위해 내부 홀(150)에 함몰된 높이에 대응하여 약간의 돌출된 원통 형태일 수 있다.
내부 핀(350)은 웨어러블 안테나(700)와 결합하는 방향에는 웨어러블 안테나(700)와의 접지를 위해 원통 형태로 약간 돌출될 수 있다.
제 2 절연체(370)는 내부 핀(350)의 전기적 신호가 제 2 자성체(310)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 핀(350)을 제 2 절연체(370)가 둘러싸고 있다.
제 2 절연체(370)는 절연 기능을 가지는 테플론(Teflon) 또는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제 1 자성체(110)의 극성과 제 2 자성체(310)의 극성은 서로 반대되는 극성을 가져야 하며, 제 1 자성체(110)의 극성과 제 2 자성체(310)의 극성이 가지는 인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조립 과정 없이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2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의 제 1 자성체의 자성 핀(pin)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의 제 2 자성체의 자성 홀(hole)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 1 자성체(110)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 핀(magnetic pin)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자성체(110)와 제 2 자성체(310)의 자기력에 의해 결합하더라도 자기력만으로는 헛도는 현상을 막을 수 없으므로 회전을 방지하고, 측면에서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요철(凹凸)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자성체(110)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 핀(magnetic pin)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 핀(magnetic pin)은 제 1 자성체(110)에서 돌출된 구조이며, 후술하는 제 2 자성체(310)의 자성 홀(magnetic hole)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자성체(110)는 좌 상단의 제 1 핀(131), 좌 하단의 제 2 핀(133), 우 상단의 제 3 핀(135) 및 우 하단의 제 4 핀(137)으로 네 개의 자성 핀(1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a에 따른 제 1 자성체(110)에 포함되는 자성 핀(13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더 적은 개수 또는 더 많은 개수의 자성 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 핀(130)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결합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원형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 2 자성체(310)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 홀(magnetic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자성체(310)는 제 1 자성체(110)에 돌출된 자성 핀(130)에 대응하여 자성 핀(1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된 자성 홀(magnetic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 상단의 제 1 핀(331), 좌 하단의 제 2 핀(333), 우 상단의 제 3 핀(335) 및 우 하단의 제 4 핀(337)으로 네 개의 핀(hole)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제 2 자성체(310)에 포함되는 자성 홀(330)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더 적은 개수 또는 더 많은 개수의 자성 홀(33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 홀(330)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결합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원형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 웨어러블 안테나 및 통신 모듈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모듈(500), 제 1 본체(100), 제 2 본체(300) 및 웨어러블 안테나(700)의 결합 순서를 알 수 있다.
통신 모듈(500)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 1 본체(100) 및 제 2 본체(300)를 거쳐 웨어러블 안테나(700)를 통해 송신할 수 있고, 반대의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500)은 이동성을 갖거나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모듈(500)은, 서버(server) 또는 엔진(engine) 형태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smartphone), 디바이스(device), 기구(apparatus), 단말(terminal),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통신 모듈(500)과 제 1 본체(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나, PCB기판인 통신 모듈(500)과 제 1 본체(100)의 결합은 주로 솔더링(soldering) 방식을 이용하여 영구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신 모듈(500)은 내부 홀(150)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며, 통신 모듈(500)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내부 홀(150) 및 내부 핀(350)을 거쳐서 웨어러블 안테나(7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안테나(700)가 수신한 전기적 신호는 내부 핀(350) 및 내부 홀(150)을 거쳐서 통신 모듈(500)이 수신할 수 있다.
웨어러블 안테나(700)는 전도성 스마트 천(Conductive smart textile)을 활용한 안테나로 전도성 스마트 천은 높은 도전율로 인해 일반 금속과 같이 전류를 흘릴 수 있고 천 재질 특유의 유연성과 신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 2 본체(300)와 웨어러블 안테나(700)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나, 웨어러블 안테나(700)가 천 재질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제 2 본체(300)의 바늘 구멍(390)을 통해 실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웨어러블 안테나(700)는 수신한 전기적 신호의 전달 및 통신 모듈(500)이 생성한 전기적 신호의 전달을 위해 내부 핀(350)의 일부분이 제 1 본체(100)에서 돌출되어 접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300)가 결합했을 때의 측면의 구조를 알 수 있다.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300)는 홀(150)과 내부 핀(350)을 연결시키기 위해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300)는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하여 옷의 걸림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300)는 제 1 자성체(110)와 제 2 자성체(310)의 자성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300)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립 과정 없이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고, 약간의 힘을 주어 탈착할 수 있다.
자성 핀(130)은 제 1 자성체(110)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제 2 자성체(310)에서 함몰되어 있는 자성 홀(330)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내부 핀(350)은 제 2 본체(300)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제 1 본체(100)에서 함몰되어 있는 내부 홀(150)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내부 핀(350)은 내부 홀(150)에 삽입될 수 있어야 하므로 내부 핀(350)의 지름은 내부 홀(150)의 내측 지름보다 작아야 한다. 다만, 결합한 후에는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하므로 가능한 크게 제작하여야 한다.
제 1 절연체(170)는 제 1 자성체(1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내부 홀(150)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제 2 절연체(370)는 제 2 자성체(3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내부 홀(150)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제 2 본체(300)는 웨어러블 안테나(700)와 연결하기 위해 제 1 본체(100)와 달리 바늘 구멍(3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본체(100)의 두께는 통신 모듈(500)의 두께 및 결합 방식 및 마감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제 2 본체(300)의 두께는 웨어러블 안테나(700)의 두께, 마감 방식 및 옷 맵시를 고려하여 달라질 수 있으며, 제 1 본체(100)의 두께와 제 2 본체(300)의 두께의 총합은 5㎜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 및 웨어러블 안테나와 통신 모듈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모듈(500), 제 1 본체(100), 제 2 본체(300) 및 웨어러블 안테나(700)가 결합된 형태를 알 수 있다.
통신 모듈(500)은 제 1 본체(100)와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 1 본체(100)의 내부 핀(350)과 접지되어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제 1 본체(100)의 내부 홀(150)은 속이 뚫린 원형 튜브(tube)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통신 모듈(500) 측이 막힌 컵(cup)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웨어러블 안테나(700)는 전도성 스마트 천으로 의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외부 신호를 수신하여 내부 핀(350) 및 내부 홀(150)을 통해 통신 모듈(500)과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제 2 본체(300)의 내부 핀(350)은 내부 홀(15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원통 막대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부 핀(350)은 웨어러블 안테나(700)로 돌출된 형태로 웨어러블 안테나(700)와 접지될 수 있고, 돌출되지 않고 맞닿는 형태로도 웨어러블 안테나(700)와 접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의 주파수(Frequency, ㎓) 변화에 따른 반사 손실 및 삽입 손실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의 주파수(Frequency, ㎓) 변화에 따른 반사 손실 및 산입 손실을 알 수 있다.
산입 손실(S11)은 0㎓에서부터 35㎓까지 -10㏈ 이하의 값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고, 반사 손실(S21)은 0㎓에서부터 35㎓까지 -0.46㏈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의 주파수(Frequency, ㎓) 변화에 따른 정재파 비율(VSWR)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주파수(Frequency, ㎓) 변화에 따른 정재파비(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를 알 수 있다.
정재파비(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는 0㎓에서부터 35㎓까지 1.83의 값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추형 동축 커넥터의 주파수(Frequency, ㎓) 변화에 따른 임피던스 특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주파수(Frequency, ㎓) 변화에 따른 임피던스(impedance) 특성을 알 수 있다.
실수(Real)측 임피던스(impedance) 특성은 모든 구간(0㎓ 내지 40㎓)에서 50
Figure 112019069827714-pat00001
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안된 단추형 동축 커넥터를 이용하면 전도성 스마트 천을 이용하여 제작한 의류인 웨어러블 안테나와 외부 통신 모듈을 간단하게 탈착 및 부착할 수 있다.
얇은 두께로 의류에서 돌출되지 않으며, 광대역 주파수에서 임피던스를 유지하고, 낮은 반사 계수 및 낮은 삽인 손실로 인해 고주파 신호를 손실없이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제 1 본체
110: 제 1 자성체
130: 자성 핀
150: 내부 홀
170: 제 1 절연체
300: 제 2 본체
310: 제 2 자성체
330: 자성 홀
350: 내부 핀
370: 제 2 절연체
390: 바늘 구멍(sewing hole)
500: 통신 모듈
700: 웨어러블 안테나

Claims (9)

  1. 복수의 자성 핀을 포함하는 제 1 자성체, 상기 제 1 자성체의 내측에 마련된 내부 홀 및 상기 제 1 자성체와 상기 내부 홀 사이에 마련되는 제 1 절연체를 포함하는 제 1 본체; 및
    상기 자성 핀과 결합 가능한 복수의 자성 홀을 포함하는 제 2 자성체, 상기 제 2 자성체의 내측에 마련된 내부 핀 및 상기 제 2 자성체와 상기 내부 핀 사이에 마련되는 제 2 절연체를 포함하는 제 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핀은 상기 내부 홀에 삽입하기 위해 원통의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내부 홀은 상기 내부 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컵(cup)의 형태로 함몰되며,
    상기 복수의 자성 핀은 상기 내부 홀을 중심으로 좌우 또는 상하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자성 홀은 상기 복수의 자성 핀과 대응되는 개수 및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자성 핀은 상기 제1 자성체에서 돌출된 구조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자성 홀은 상기 제2 자성체에서 함몰된 구조로 마련되어,
    자기력에 의해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가 결합하면,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가 이탈되거나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凹凸)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자성 핀은 상기 복수개의 자성 홀에 삽입되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는 단추형 동축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체의 극성과 상기 제 2 자성체의 극성은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동축 커넥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가 결합하면,
    상기 내부 핀은 상기 내부 홀에 삽입되어 통신 모듈과 웨어러블 안테나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동축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는,
    솔더링(soldering)을 사용하여 통신 모듈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동축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바늘 구멍(sewing holes)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안테나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동축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체의 지름과 상기 제 2 자성체의 지름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추형 동축 커넥터.

KR1020190082221A 2019-07-08 2019-07-08 단추형 동축 커넥터 KR102243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221A KR102243156B1 (ko) 2019-07-08 2019-07-08 단추형 동축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221A KR102243156B1 (ko) 2019-07-08 2019-07-08 단추형 동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207A KR20210006207A (ko) 2021-01-18
KR102243156B1 true KR102243156B1 (ko) 2021-04-21

Family

ID=7423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221A KR102243156B1 (ko) 2019-07-08 2019-07-08 단추형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8051A (ko) *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1526B2 (en) 2005-09-26 2007-12-25 Apple Inc. Magnetic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
KR101674593B1 (ko) 2014-11-21 2016-11-09 서동진 자석을 이용한 커넥터
KR200489678Y1 (ko) 2014-11-25 2019-07-23 (주)에스피에스 박막형 마그네틱 커넥터 모듈
KR20160095896A (ko) * 2015-02-04 2016-08-1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스마트 의복
CN106505363B (zh) * 2016-12-23 2019-11-26 深圳市泰科汉泽精密电子有限公司 磁性电极纽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207A (ko) 202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0819B2 (en) RFID antenna structure
US20060028383A1 (en) Earphone antenna
Chen et al. Paired snap-on buttons connections for balanced antennas in wearable systems
US6891505B2 (en) EMC- arrangement for a device employing wireless data transfer
CA2662472A1 (en) Wireless microphone device with high frequency signals
JP2007312024A (ja) 折り曲げ広帯域アンテナ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243156B1 (ko) 단추형 동축 커넥터
KR100477278B1 (ko) 마이크로스트립 듀얼밴드 안테나
CN106662612A (zh) 射频测试座及测试探针
JP2010081563A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TWI460922B (zh)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190143096A1 (en) Electrical connector, in particular for a cutaneous device
CN111769357B (zh) 电子设备
EP2144330A1 (en) Wideband antenna
TWI539668B (zh)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16186091A1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670976B2 (ja) 通信装置
KR101665111B1 (ko)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연성 인쇄 회로 기판 장치
Shi et al. Investigation on the radiation features of the flexible antenna at 5.8 GHz
CN111276801B (zh) 一种用于无线通信体域网方向图的可重构天线
US20140347250A1 (en) Antenna apparatus
CN106229655A (zh) 一种地辐耦合的五频段可穿戴天线
KR20200129679A (ko) 전자파 흡수율을 저감시킬 수 있는 안테나 급전 장치
CN215989221U (zh) 天线装置及电子设备
KR101801734B1 (ko) 인체통신망을 위한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