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061B1 -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 Google Patents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061B1
KR102243061B1 KR1020200053318A KR20200053318A KR102243061B1 KR 102243061 B1 KR102243061 B1 KR 102243061B1 KR 1020200053318 A KR1020200053318 A KR 1020200053318A KR 20200053318 A KR20200053318 A KR 20200053318A KR 102243061 B1 KR102243061 B1 KR 102243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door
unit
sectio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순
강준기
차영주
Original Assignee
(주)동화엠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엠피에스 filed Critical (주)동화엠피에스
Priority to KR1020200053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84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 A47B87/0292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each casing having a cross-section with a closed periphe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1Concea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을 안내하는 장치로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고정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회전부;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가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 간을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 및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가 회전될 때, 상기 도어의 닫힘 위치와 인접한 닫힘 구간, 상기 도어의 완전 개방 위치와 인접한 개방 구간 및 상기 닫힘 구간과 상기 개방 구간 사이의 중간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이동량이 다르도록 상기 회전부의 회전 이동량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Hinge and Furnitur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을 안내하는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사무용 또는 가정용으로 분류되는데, 특히 사무용 가구 중에서 학교에 사용되는 사물함의 경우 다단으로 종횡의 사물함이 구비되고 이들 사물함마다 여닫이식 도어가 구비된다.
상기 사물함의 경우 학교 복도에 주로 설치되므로 도어가 잠기지 않을 경우 스스로 열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경우 지나다니는 학생들의 부주의로 인하여 부딪히는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09174호(2018.01.26. 공개)에서는 가구용 경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탄성을 가하는 탄성부재(33)가 비틀림 스프링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자유단이 쉽게 휘어지어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손이나 불량의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을 안내하는 장치로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고정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회전부;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가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 간을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 및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가 회전될 때, 상기 도어의 닫힘 위치와 인접한 닫힘 구간, 상기 도어의 완전 개방 위치와 인접한 개방 구간 및 상기 닫힘 구간과 상기 개방 구간 사이의 중간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이동량이 다르도록 상기 회전부의 회전 이동량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에 의하면 파손이나 불량의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의 개략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의 개략 평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을 안내하는 장치로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고정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회전부;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가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 간을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 및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가 회전될 때, 상기 도어의 닫힘 위치와 인접한 닫힘 구간, 상기 도어의 완전 개방 위치와 인접한 개방 구간 및 상기 닫힘 구간과 상기 개방 구간 사이의 중간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이동량이 다르도록 상기 회전부의 회전 이동량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조절부는 상기 중간 구간보다 상기 닫힘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 하는 제1 조절부 및 상기 중간 구간보다 상기 개방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 하는 제2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회전부 상에 배치되는 제1-1 조절부 및 상기 고정부 상에 배치되는 제1-2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조절부 및 상기 제1-2 조절부는 상호 마찰되어 상기 중간 구간보다 상기 닫힘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1 조절부 및 상기 제1-2 조절부는 각각 상기 회전부 및 상기 고정부 상에서 회전되도록 롤러일 수 있다.
또,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회전부 상에 배치되는 제2-1 조절부 및 상기 고정부 상에 배치되는 제2-2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1 조절부 및 상기 제2-2 조절부는 상호 마찰되어 상기 중간 구간보다 상기 개방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1 조절부 및 상기 제2-2 조절부는 각각 상기 회전부 및 상기 고정부 상에서 회전되도록 롤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는 상기 경첩, 본체 및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의 개략 사시도로서 회전부가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의 개략 평면도로서 조절부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10)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미 도시)와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미 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을 안내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사물함 등과 같이, 물건을 저장할 수 있는 상기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가구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도어는 가구의 일 구성요소로서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문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경첩(10)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고정부(100) 및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회전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100)는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회전부(200)는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일례로, 상기 고정부(100)는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 때, 상기 회전부(200)는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에 연결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래에서는 상기 고정부(100)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200)가 상기 도어에 연결된 것으로 가정하겠다.
일례로, 상기 회전부(200)는 상기 고정부(100)를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의 상태와 같이, 상기 회전부(200)가 상기 고정부(100)와 오버랩된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폐쇄하는 닫힘 위치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200)가 회전되어 도 2의 상태인 상기 고정부(100)와 직교하는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임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도 2의 상태인 상기 회전부(200)가 상기 고정부(100)와 직교하는 위치가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완전히 개방한 완전 개방 위치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완전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는 앞서 설명한 상기 회전부(200)의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서도 구현 가능함은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하다.
또한, 일례로, 상기 회전부(200)는 도 2의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100)를 기준으로 더 회전되어 직교를 넘어서서 상기 고정부(100)와 둔각을 이룰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상태와 같이 상기 회전부(200)가 상기 고정부(100)와 오버랩된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폐쇄하는 닫힘 위치임으로 가정하고, 도 2의 상태와 같이 상기 회전부(200)가 상기 고정부(100)와 직교하는 위치가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완전히 개방한 완전 개방 위치임으로 가정하겠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200)는 도 1의 상태에서 도 2의 상태로, 도 2의 상태에서 도 1의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도어의 닫힘 위치로부터 완전 개방 위치까지 및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까지의 위치 이동 구간 내에서 반복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200)의 위치 이동 구간을 크게 3개로 구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부(200)의 위치 이동 구간은 상기 도어의 닫힘 위치와 인접한 닫힘 구간, 상기 도어의 완전 개방 위치와 인접한 개방 구간 및 상기 닫힘 구간과 상기 개방 구간 사이의 중간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닫힘 구간은 상기 도어의 닫힘 위치로부터 상기 완전 개방 위치 방향으로 위치 이동 구간의 1/3에 해당하는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개방 구간은 상기 도어의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닫힘 위치 방향으로 위치 이동 구간의 1/3에 해당하는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중간 구간은 상기 닫힘 구간과 상기 개방 구간 사이의 구간으로서 위치 이동 구간의 1/3에 해당하는 구간일 수 있다.
상기 닫힘 구간, 상기 개방 구간 및 상기 중간 구간의 크기는 해당 가구의 종류 등에 따라 각각 달리 설정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 위치 이동 구간의 1/3임을 가정하겠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회전부(200)와 대향하며, 아래에서 설명될 힌지부(300)가 체결되는 제1 고정부(110) 및 상기 제1 고정부(110)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본체와 고정되도록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제2 고정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일례로, 상기 회전부(200)는 상기 제1 고정부(110)와 대향하며,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힌지부(300)가 체결되는 제1 회전부(210) 및 상기 제1 회전부(210)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도어와 고정되도록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제2 회전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경첩(10)은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200)가 상기 고정부(100)를 기준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부(200)와 상기 고정부(100) 간을 힌지 결합 시키는 힌지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고정부(110)는 상기 힌지부(300)가 삽입되는 힌지 삽입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1 회전부(210)도 상기 힌지부(300)가 삽입되는 힌지 삽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힌지부(300)는 힌지 삽입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회전부(200)를 연결시키되, 상기 회전부(200)가 상기 고정부(100)를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호 힌지 결합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첩(10)은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200)가 회전될 때, 상기 도어의 닫힘 위치와 인접한 상기 닫힘 구간, 상기 도어의 완전 개방 위치와 인접한 상기 개방 구간 및 상기 닫힘 구간과 상기 개방 구간 사이의 상기 중간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이 다르도록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을 조절하는 조절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조절부(400)는 상기 도어가 세게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부(200)의 상기 회전 이동량을 조절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조절부(400)는 동일한 외력이 상기 도어에 가해질 때, 상기 회전부(200)가 어느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상기 회전 이동량이 적고, 다른 어느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상기 회전 이동량이 많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절부(400)의 특징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조절부(400)는 상기 중간 구간보다 상기 닫힘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 하는 제1 조절부(410) 및 상기 중간 구간보다 상기 개방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 하는 제2 조절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조절부(410)는 상기 중간 구간과 비교할 때 상기 닫힘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하여 상기 도어가 세게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세게 닫히는 경우 상기 도어, 상기 경첩(10) 및/또는 상기 본체의 파손이 유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제1 조절부(410)는 상기 닫힘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하여 상기 도어, 상기 경첩(10) 및/또는 상기 본체의 파손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조절부(420)는 상기 중간 구간과 비교할 때 상기 개방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하여 상기 도어가 세게 완전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 상에서 세게 열리는 경우 상기 도어, 상기 경첩(10) 및/또는 상기 본체의 파손이 유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제2 조절부(420)는 상기 개방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하여 상기 도어, 상기 경첩(10) 및/또는 상기 본체의 파손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일례로, 상기 닫힘 구간과 상기 개방 구간을 비교하자면, 상기 닫힘 구간보다 상기 개방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이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2 조절부(420)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1 조절부(410)보다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이 더 작게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닫히는 경우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커 외력이 분산되어 전달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상에서 완전 개방되는 경우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외력이 상기 힌지부(300) 등 상기 경첩(10)에 집중된다는 점에서 상기 힌지부(300)의 파손을 방지하고자, 상기 제2 조절부(420)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1 조절부(410)보다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이 더 작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조절부(410)는 상기 회전부(200) 상에 배치되는 제1-1 조절부(411) 및 상기 고정부(100) 상에 배치되는 제1-2 조절부(413)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조절부(411) 및 상기 제1-2 조절부(413)는 상호 마찰되어 상기 중간 구간보다 상기 닫힘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조절부(410)는 상기 중간 구간보다 상기 닫힘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하도록 상기 닫힘 구간 내에서 상호 마찰되는 상기 제1-1 조절부(411) 및 상기 제1-2 조절부(41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1 조절부(411)는 상기 제1 회전부(2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부(300)를 기준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제2-1 조절부(421)보다 상대적으로 멀게 이격되어 상기 제1 회전부(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1 조절부(411)는 상기 제1 회전부(210)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 고정부(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회전부(210)보다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조절부(413)는 상기 제1 고정부(1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부(300)를 기준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제2-2 조절부(423)보다 상대적으로 멀게 이격되어 상기 제1 고정부(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2 조절부(413)는 상기 제1 고정부(110)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 회전부(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고정부(110)보다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1 조절부(411) 및 상기 제1-2 조절부(413)는 상기 중간 구간에서는 상호 마찰되지 않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닫힘 구간에서 상호 마찰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중간 구간보다 상기 닫힘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1 조절부(400)는 상기 위치 이동 구간에서 상기 제1 고정부(110)와 이격되어 상기 제1 고정부(110)와 마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제1-2 조절부(413) 역시 상기 위치 이동 구간에서 상기 제1 회전부(210)와 이격되어 상기 제1 회전부(210)와 마찰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1 조절부(411) 및 상기 제1-2 조절부(413)는 각각 상기 회전부(200) 및 상기 고정부(100) 상에서 회전되도록 롤러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1 조절부(411)는 상기 제1 회전부(210)에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서 회전되는 원통부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2 조절부(413)는 상기 제1 고정부(110)에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서 회전되는 원통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1 조절부(411)와 상기 제1-2 조절부(413)가 상호 마찰되되, 회전되어, 상기 제1-1 조절부(411)와 상기 제1-2 조절부(413)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일례로, 상기 제2 조절부(420)는 상기 회전부(200) 상에 배치되는 제2-1 조절부(421) 및 상기 고정부(100) 상에 배치되는 제2-2 조절부(423)를 구비하며, 상기 제2-1 조절부(421) 및 상기 제2-2 조절부(423)는 상호 마찰되어 상기 중간 구간보다 상기 개방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조절부(420)는 상기 중간 구간보다 상기 개방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하도록 상기 개방 구간 내에서 상호 마찰되는 상기 제2-1 조절부(421) 및 상기 제2-2 조절부(423)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1 조절부(421)는 상기 제1 회전부(2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부(300)를 기준으로 상기 제1-1 조절부(411)보다 상대적으로 가깝게 이격되어 상기 제1 회전부(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1 조절부(421)는 상기 제1 회전부(210)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 고정부(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회전부(210)보다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2 조절부(423)는 상기 제1 고정부(1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부(300)를 기준으로 상기 제1-2 조절부(413)보다 상대적으로 가깝게 이격되어 상기 제1 고정부(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2 조절부(423)는 상기 제1 고정부(110)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 회전부(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고정부(110)보다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1 조절부(421) 및 상기 제2-2 조절부(423)는 상기 중간 구간에서는 상호 마찰되지 않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방 구간에서 상호 마찰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중간 구간보다 상기 개방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1 조절부(400)는 상기 위치 이동 구간에서 상기 제1 고정부(110)와 이격되어 상기 제1 고정부(110)와 마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제2-2 조절부(423) 역시 상기 위치 이동 구간에서 상기 제1 회전부(210)와 이격되어 상기 제1 회전부(210)와 마찰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1 조절부(421) 및 상기 제2-2 조절부(423)는 각각 상기 회전부(200) 및 상기 고정부(100) 상에서 회전되도록 롤러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1 조절부(421)는 상기 제1 회전부(210)에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서 회전되는 원통부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2 조절부(423)는 상기 제1 고정부(110)에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서 회전되는 원통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2-1 조절부(421)와 상기 제2-2 조절부(423)가 상호 마찰되되, 회전되어, 상기 제2-1 조절부(421)와 상기 제2-2 조절부(423)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200)가 상기 고정부(100)를 기준으로 회전될 때, 상기 힌지부(300)에 가해지는 회전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의 외력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제1-1 조절부(411)는 상기 고정부(100)와 대향하고, 상기 제1-2 조절부(413)는 상기 회전부(200)와 대향하며, 상기 제2-1 조절부(421)는 상기 고정부(100)와 대향하고, 상기 제2-2 조절부(423)는 상기 회전부(200)와 대향할 수 있다.
한편, 일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닫힘 구간과 상기 개방 구간을 비교하자면, 상기 닫힘 구간보다 상기 개방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이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2 조절부(420)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1 조절부(410)보다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이 더 작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1 조절부(421)와 상기 제2-2 조절부(423) 간의 마찰력 및/또는 마찰 거리는 상기 제1-1 조절부(411)와 상기 제1-2 조절부(413) 간의 마찰력 및/또는 마찰 거리보다 더 크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1 조절부(421)와 상기 제2-2 조절부(423) 간의 마찰력 및/또는 마찰 거리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제2-1 조절부(421)와 상기 제2-2 조절부(423)는 상호 접촉되는 접촉 면적 및/또는 깊이가 상대적으로 상기 제1-1 조절부(411)와 상기 제1-2 조절부(413) 간의 상호 접촉되는 접촉 면적 및/또는 깊이보다 더 클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2 조절부(420)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1 조절부(410)보다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 이동량이 더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는 앞서 설명한 경첩(10), 본체 및 도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구는 사물함, 서랍장, 옷장 등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고정부
200: 회전부
300: 힌지부
400: 조절부

Claims (7)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을 안내하는 경첩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고정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회전부;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가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 간을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부; 및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가 회전될 때, 상기 도어의 닫힘 위치와 인접한 닫힘 구간, 상기 도어의 완전 개방 위치와 인접한 개방 구간 및 상기 닫힘 구간과 상기 개방 구간 사이의 중간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이동량이 다르도록 상기 회전부의 회전 이동량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중간 구간보다 상기 닫힘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 하는 제1 조절부 및 상기 중간 구간보다 상기 개방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 하는 제2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회전부 상에 배치되는 제1-1 조절부 및
    상기 고정부 상에 배치되는 제1-2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조절부 및 상기 제1-2 조절부는,
    상호 마찰되어 상기 중간 구간보다 상기 닫힘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 하고,
    상기 제1-1 조절부 및 상기 제1-2 조절부는,
    각각 상기 회전부 및 상기 고정부 상에서 회전되도록 롤러이며,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회전부 상에 배치되는 제2-1 조절부 및
    상기 고정부 상에 배치되는 제2-2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1 조절부 및 상기 제2-2 조절부는,
    상호 마찰되어 상기 중간 구간보다 상기 개방 구간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 이동량을 작게 하며,
    상기 제2-1 조절부 및 상기 제2-2 조절부는,
    각각 상기 회전부 및 상기 고정부 상에서 회전되도록 롤러이고,
    외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가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때,
    상기 힌지부에 가해지는 회전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의 외력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제1-1 조절부는 상기 고정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1-2 조절부는 상기 회전부와 대향하며,
    상기 제2-1 조절부는 상기 고정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2-2 조절부는 상기 회전부와 대향하는,
    경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따른 경첩, 본체 및 도어를 포함하는,
    가구.
KR1020200053318A 2020-05-04 2020-05-04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2243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318A KR102243061B1 (ko) 2020-05-04 2020-05-04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318A KR102243061B1 (ko) 2020-05-04 2020-05-04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061B1 true KR102243061B1 (ko) 2021-04-30

Family

ID=75740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318A KR102243061B1 (ko) 2020-05-04 2020-05-04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0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886B1 (ko) * 2005-11-02 2007-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힌지구조
KR101535001B1 (ko) * 2014-01-10 2015-07-08 (주)지안디앤씨 경첩 구조
KR101654915B1 (ko) * 2016-02-22 2016-09-22 주식회사 다인스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 브레이크
KR102096316B1 (ko) * 2019-09-23 2020-04-02 (주)동화엠피에스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886B1 (ko) * 2005-11-02 2007-0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글로브 박스의 힌지구조
KR101535001B1 (ko) * 2014-01-10 2015-07-08 (주)지안디앤씨 경첩 구조
KR101654915B1 (ko) * 2016-02-22 2016-09-22 주식회사 다인스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 브레이크
KR102096316B1 (ko) * 2019-09-23 2020-04-02 (주)동화엠피에스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3649B1 (ko) 조절가능한 토크 힌지
US11686140B2 (en) Dishwasher door with counterbalance assembly
US8413298B2 (en) Universal damping mechanism
US5282293A (en) 180° concealed hinge
SG188842A1 (en) Stay for opening and closing of door
TW201428197A (zh) 鉸鏈
US3083403A (en) Hidden hinge structure
JP2018521241A (ja) 低嵩高ヒンジ
US3975791A (en) Door closing device
KR102243061B1 (ko)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2243060B1 (ko)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2096316B1 (ko) 경첩 및 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2069705B1 (ko) 도어용 경첩
KR101482725B1 (ko)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AU2015261476B2 (en) Hinge for furniture or domestic appliances
US11781359B2 (en) Small bulkiness hinge
KR102177949B1 (ko) 구조가 개선된 도어 클로저 장치
JP6709406B1 (ja) カム式ドアクローザー
KR20200046450A (ko)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KR20210035029A (ko) 경첩
US12000190B2 (en) Closure device and self-closing pivot hinge
RU2519982C2 (ru) Петля для поворот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створки с рамой
KR101951230B1 (ko) 가구 도어용 경첩
CN105401811A (zh) 一种铰链
KR200266486Y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