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492B1 -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그를 내장한 복합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그를 내장한 복합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492B1
KR102242492B1 KR1020190158708A KR20190158708A KR102242492B1 KR 102242492 B1 KR102242492 B1 KR 102242492B1 KR 1020190158708 A KR1020190158708 A KR 1020190158708A KR 20190158708 A KR20190158708 A KR 20190158708A KR 102242492 B1 KR102242492 B1 KR 102242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comb
row
odd
wall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덕기
Original Assignee
한양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양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8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1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comprising two or more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honeycom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60Multitubular or multicompartmented articles, e.g. honeycomb
    • B29L2031/608Honeycomb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소재 또는 자동차용 소재, 산업용 소재, 조경용 소재로 사용되는,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그를 내장한 복합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기술의 성형 또는 압출방식이 아닌,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 복합물 재질의 기재인 다수개의 필름 또는 시트를 이용하여,
기재인 다수개의 필름 또는 시트가 필름 또는 시트의 압출방향으로 홀수층과 짝수층을 형성하거나, 압출방향으로 홀수층을 형성하고 홀수층의 구성을 180° 수평회전 역배열한 짝수층이 연속적으로 적층되며, 단일 벌집체벽을 연결하는 힌지부 및 벌집체 기재열 홀수층의 일측에서 4n(n=1,2,3...)번째 단일벽 표면과 벌집체 기재열 짝수층의 같은 일측에서 4n+2(n=0,1,2,3...)번째 단일벽 표면에 형성된 접합부(40), 단일 벌집체벽에 에어홀인 천공부(50)를 갖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111), 그를 내장한 복합성형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그를 내장한 복합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Laminated Variable Honeycomb with hole, Composite molded body having it built i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축용소재 또는 자동차용소재, 산업용소재, 조경용소재로 사용되는,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그를 내장한 복합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기술의 성형 또는 압출방식이 아닌,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 복합물의 필름 또는 시트를 이용하여,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기재인 다수개의 필름 또는 시트를 필름 또는 시트의 압출방향으로 두개층 이상으로 적층하거나 또는 필름 또는 시트의 압출방향으로 제1층을 압출하면서 제1층의 압출방향과 180° 평면회전 역배열하여 제2층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홀수 짝수층의 조합을 두개층 이상 연속적으로 적층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벌집체 각 기재는 벌집체 구조물의 단일벽, 각 단일벽의 연결부에 형성하는 힌지부 및 압출방향 홀수층의 일측에서 4n(n=1,2,3...)번째 단일벽 표면과 압출방향 짝수층의 같은 일측에서 4n+2(n=0,1,2,3...)번째 단일벽 표면에 형성하는 접합부와
벌집체 구조물의 각 단일 벌집체간 공기가 유통되도록 벌집체 단일벽에 에어홀(AIR HOLE)인 천공부가 구비된,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그를 내장한 복합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허 등록 제 10-1384381호(2014. 04. 04. 등록) "합성수지를 이용한 허니컴 구조체 연속생산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허니콤 구조체" 및;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허 등록 제 10-1826254호(2018. 01. 31. 등록) "접이식 허니컴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인용하면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및 종래 기술의 추가 문제점을 기술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소재로 사용되는 기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니컴(HONEYCOMB)(111)과, 허니컴(111)의 양측 표면에 형성된 다양한 표면재(112)로 구성되는데,
허니컴 기재가 대부분 종이 재질로 구성되어 표면재와의 접합력이 저하되고, 흡습시에 내구성 등의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폴리우레탄 발포층을 허니컴에 충전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제조비용이 상승되고 여러 종류의 재질이 혼합되어 있어 재활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종이 재질의 허니컴의 단점을 보완키 위하여 원통형태로 압출 후 접착, 단면이 절단되는 성형 방식 또는 일체형 압출방식으로 제조된 플라스틱 재질의 허니컴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수작업이 많아 대량 생산이 곤란하여 생산성과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과,
원형 압출물을 접착하는 공간이 많아 접착제를 많이 사용하게 되거나 접착 면적이 작아 접착력이 현저히 저하되며, 접착강도가 불균일한 문제점과,
재생 플라스틱 사용이 제한되어, 폐자원 재활용의 저하 및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과,
생산 후 허니컴 셀(CELL) 모양 변경이 불가능하여, 용도에 따른 다양한 셀 형태의 허니컴의 제조가 불가능하고, 허니컴 구조가 완성된 상태로 운반 및 보관되어 운반 및 보관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충진제의 사용에 제한이 있어, 열 가소성수지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에이비에스(ABS), 피이티(PET), 염화비닐 수지 또는 열 경화성수지인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우레탄 수지로 구성된 플라스틱 수지; 또는, 상기 플라스틱 수지에 강성, 난연성, 내충격성 등의 기능성 물성 보강을 위하여 첨가되는 천연섬유나 첨가제가 첨가된 복합수지로 제조가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허니컴 양산 중에 허니컴 셀(CELL) 높이 조절이 곤란하고, 기재두께 1.0㎜ 이상의 두꺼운 두께와 기재두께 0.5㎜ 이하의 얇은 두께의 허니컴 제조가 불가한 문제점과,
허니컴의 각 셀(CELL)이 각기 독립적으로 밀폐된 구조의 셀로서 셀(CELL) 간에 통기성이 미부여되어, 흡음성이 저하되고 중량이 과다하여 운반 및 보관이 곤란하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선행기술인 특허 등록 제 10-1384381호(2014. 04. 04. 등록) "합성수지를 이용한 허니콤 구조체 연속생산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허니콤 구조체"는;
압출기로부터 합성수지 용융액을 제공받아 넓게 분산시키는 티다이와, 상기 티다이로부터 합성수지 용융액을 공급받아 허니컴 구조체로 성형하는 성형기와, 상기 성형기로부터 허니컴 구조체를 전달받아 냉각시키는 냉각수조를 포함한, 합성수지를 이용한 허니컴 구조체 연속생산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밀도를 갖는 허니컴 구조체의 생산을 자동화하여 생산시간을 절감 및 제조단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이 또한, 허니컴의 각 셀(CELL)이 각기 독립적으로 밀폐된 구조의 셀로서 셀(CELL)간에 통기성이 미부여되어, 흡음성이 저하되고 중량이 과다하여 운반 및 보관이 곤란하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과,
용도에 따라 인취의 길이 조절이 곤란하여, 허니컴의 육각형 형태를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과,
허니컴 양산 중에 허니컴 셀(CELL) 높이 조절이 곤란하고, 허니컴 셀 구조 형성을 위한 힌지가 구비되어야 함에 의한 기재두께 1.0㎜ 이상의 두꺼운 두께의 허니컴 제조가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특허 등록 제 10-1826254호(2018. 01. 31. 등록) "접이식 허니컴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은;
허니컴의 각 셀(CELL)이 각기 독립적으로 밀폐된 구조의 셀로서 셀(CELL)간의 통기성이 미부여되어, 흡음성이 저하되고 중량이 과다하여 운반 및 보관이 곤란하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과,
종, 횡방향의 힌지부와 절곡부, 절단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공정이 번잡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허니컴 및 본 출원인의 등록 특허인 접이식 허니컴 구조물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신규하고 진보된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그를 내장한 복합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특허등록 제 10-1384381호(2014. 04. 04. 등록) 특허등록 제 10-1826254호(2018. 01. 31. 등록)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원통형태로 압출 후 접착, 단면이 절단되는 성형, 압출 방식 또는 접이식 방식의 허니컴 및 제조방법에 비하여;
벌집체 구조물의 셀(CELL)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기재 두께 1.0㎜ 이상의 두꺼운 두께와 기재 두께 0.5㎜ 이하의 얇은 두께의 벌집체 구조물의 제조가 공히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며;
벌집체 구조물의 각 셀(CELL)간에 통기성이 부여되어 흡음성 향상과, 벌집체 구조물이 경량화 되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원가절감이 가능하며;
벌집체 구조물의 용도에 따라 전개의 길이를 조절하여 벌집체 육각형 형태 외에 수평 수직 전단응력에 맞추어 다양하게 변화가 가능하고;
벌집체 구조물 완제품의 높이를 용도에 따라 원하는 높이로 조절이 가능하며;
특히, 벌집체 기재인 다수개의 필름 또는 시트가 필름 또는 시트의 압출방향 2중 적층 또는 압출방향 및 그 방향과 180° 평면회전 역배열로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허니컴 구조물의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내구성과 접합력이 강화된 동시에,
시중에서 유통되는 필름 또는 시트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작 가능한; 구성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그를 내장한 복합성형체,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 및 본 발명이 이루고저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 구성의,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 복합물 재질의 벌집체 기재인 다수개의 필름 또는 시트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필름 또는 시트를 필름 또는 시트의 압출방향으로 두개층 이상으로 적층하거나 또는 필름 또는 시트의 압출방향으로 제1층을 압출하면서 제1층의 압출방향과 180° 평면회전된 순서로 벌집체 단일벽을 거울상 역배열하여 제2층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홀수 짝수층의 조합을 두개층 이상 연속적으로 적층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기재에서 벌집체 구조물의 단일벽, 각 단일벽의 연결부에 형성하는 힌지부 및 압출방향 홀수층의 일측에서 4n(n=1,2,3...)번째 단일벽 표면과 압출방향 짝수층의 같은 일측에서 4n+2(n=0,1,2,3...)번째 단일벽 표면에 형성하는 접합부와
벌집체 구조물의 각 단일 벌집체간 공기가 유통되도록 벌집체 단일벽에 에어홀(AIR HOLE)인 천공부가 구비된,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그를 내장한 복합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 구성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그를 내장한 복합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성형, 압출 방식 또는 접이식 방식의 허니컴 및 제조방법에 비하여;
특히, 다수개의 필름 또는 시트가 필름 또는 시트의 압출방향 2중 적층 또는 압출방향 및 그 방향과 180° 평면회전 역배열로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허니컴 구조물의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내구성과 접합력이 강화된 동시에,
벌집체 셀(CELL)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고, 기재 두께 1.0㎜ 이상의 두꺼운 두께와 기재 두께 0.5㎜ 이하의 얇은 두께의 적층식 벌집체 구조물의 제조가 공히 가능하고,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고;
적층식 벌집체 구조물의 셀(CELL)간의 통기성이 부여되어 흡음성 향상과, 벌집체 구조물이 경량화 되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원가절감이 가능하며;
벌집체 구조물이 용도에 따라 전개의 길이를 조절하여 종 또는 횡방향 전단응력에 맞추어 벌집체 육각형 형태를 다양하게 변화가 기능하며;
벌집체 구조물 완제품의 높이를 용도에 따라 원하는 높이로 조절이 가능하고; 시중에서 유통되는 필름 또는 시트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작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내장 복합성형체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의 변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의 힌지부
도 4는 본 발명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의 접합부
도 5는 본 발명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의 천공부
도 6은 본 발명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기재의 적층방법
도 7은 본 발명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를 내장한 복합성형체 제조공정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층과 180° 평면회전 역배열된 거울상 제 2 층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그를 내장한 복합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내장 복합성형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표면재(112) 사이에 중간층으로서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구조물(111)이 내장된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내장 복합성형체(110)이다.
상하 표면재(112)는 플라스틱 보강판재, 직물,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표면요철(EMBOSS)을 주거나 유색 필름, 기능성 다층 및 단층 필름 또는 직물이나 부직포(Non Woven Fabric)을 접착하여 외관을 좋게 하거나 접착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평행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응력과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에 변형이 되지 않도록 강도를 가지거나, 또는 본 발명의 가변 특성 벌집체 구조물을 표면층 내부로 내장시, 벌집체 셀 형태에 변형을 가할 경우, 표면재로서 신축성 있는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굴곡부분의 보강재로서 기능을 조절하여 최대화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는 벌집체 기재 1열(10-1: 벌집체벽 ①,②,③,④,⑤,⑥,⑦,⑧,⑨), 벌집체 기재 2열(10-2: ⑨',⑧',⑦',⑥',⑤',④',③',②',①'), 벌집체 기재 3열(10-3: 벌집체벽 ①'',②'',③'',④'',⑤'',⑥'',⑦'',⑧'',⑨''), 벌집체 기재 4열(10-4: 벌집체벽 ⑨''',⑧''',⑦''',⑥''',⑤''',④''',③''',②''',①''') 과 같이 반복 조합되는 벌집체 기재열(1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벌집체 기재의 구성은 기재 1열과 기재 3열이 동일한 구성이고, 기재 2열과 기재 4열이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홀수열과 짝수열이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벌집체 기재열(10)은 홀수열을 180° 평면회전 역배열하여 짝수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벌집체 기재열(10)의 홀수열과 짝수열은 180° 평면회전 역배열 즉 거울상 역배열된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벌집체 기재의 힌지부 구성은 기재 1열(홀수열)의 경우 벌집체벽 ①과 ②, ②와 ③ 사이 및 벌집체벽 ⑤와 ⑥, ⑥과 ⑦ 사이에 표면힌지부를 형성하고, 벌집체벽 ③과 ④, ④와 ⑤ 사이 및 벌집체벽 ⑦과 ⑧, ⑧과 ⑨ 사이에 이면힌지부를 형성한다. 표면힌지부와 이면힌지부의 의미는 벌집체 기재열(10)의 내외 다른면에 형성한다는 의미이다. 적층된 벌집체 기재가 전개되어 셀이 형성될 경우 힌지부의 작용에 의해 육면체 또는 사면체 또는 가로전개육면체가 용이하게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벌집체 기재가 얇은 경우 힌지부의 형성을 생략하여 셀 모양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벌집체 기재 2열(짝수열)의 힌지부의 구성은 벌집체 기재 1열(홀수열)의 힌지부의 구성을 180° 평면회전 역배열하여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벌집체 기재 2열(짝수열)의 힌지부의 구성은 벌집체 기재 2열(짝수열) 벌집체벽 ⑨'와 ⑧', ⑧'와 ⑦'사이 및 벌집체벽 ⑤'와 ④', ④'와 ③' 사이에 이면힌지부를 형성하고, 벌집체벽 ⑦'과 ⑥', ⑥'와 ⑤'사이 및 벌집체벽 ③'와 ②', ②'와 ①' 사이에 표면힌지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벌집체 기재 1열(홀수열)의 벌집체벽 ④번과 벌집체벽 ⑧번의 표면에 접착부를 형성하며, 본 발명의 벌집체 기재 2열(짝수열)의 접착부는 벌집체벽 ⑧'번과 ④'번의 표면에 형성한다. 벌집체 기재 1열(홀수열)의 접착부와 벌집체 기재 2열(짝수열)의 접착부는 180° 평면회전 역배열의 위치로서 4번째 셀마다 접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셀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벌집체가 되도록 하며, 접착제 도포 또는 핫멜트 필름부착 위치는 표면으로 고정되어 양면에 접착제 도포 또는 핫멜트 필름부착을 함에 따른 낭비요인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정의하면, 본 발명의 벌집체 기재의 접착부는 홀수층의 일측에서 4n(n=1,2,3...)번째 단일 벌집체벽 표면과 짝수층의 같은 일측에서 4n+2(n=0,1,2,3...)번째 단일 벌집체벽 표면에 형성하는 것이다. 즉, 홀수층의 일측에서 4n(n=1,2,3...)번째 단일 벌집체벽 표면과 짝수층의 같은 일측에서 4n(n=1,2,3...)번째 단일 벌집체벽 후면이 접착되며, 같은 형태로 짝수층의 일측에서 4n+2(n=0,1,2,3...)번째 단일 벌집체벽 표면과 홀수층의 일측에서 4n+2(n=0,1,2,3...)번째 단일 벌집체벽 후면이 접착하게 됨으로써 적층된 벌집체를 상하 전개시 각각의 단일 벌집체 셀이 엇갈려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벌집체 기재 1열(홀수열)의 홀수번 벌집체벽(①,③,⑤,⑦,⑨)에 천공부(AIR HOLE)를 형성한다. 벌집체 기재 2열(짝수열)의 천공부도 홀수번 벌집체벽(⑨', ⑦', ⑤', ③', ①')에 천공부를 형성한다. 천공부를 형성함으로서 공기(AIR)의 흐름이 가능하여 셀내로 공기를 유입하거나 배기를 할 수 있으며, 셀내의 유독가스 정체를 방지할 수 있고, 방습이 가능하며, 흡음의 기능을 나타낼 수 있고 벌집체벽의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고 에너지 및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모든 벌집체벽에 천공부를 형성하여 모든 셀간 통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짝수번 벌집체벽에만 천공부를 형성하여 해당 셀간 공기가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는 다양한 형태로 벌집체 셀의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 2와 같이 벌집체 표준(정육각)형(A), 최소폭(사각)형(B), 최대폭(가로전개육각)형(C)의 경우 단위면적당 중량, 전단응력을 계산 및 측정하였다.
단위면적당 중량은 표준(정육각)형 벌집체의 경우 632g/㎡, 최소폭(사각)형 벌집체의 경우 820 g/㎡, 최대폭(가로전개육각)형 벌집체의 경우 879g/㎡로서, 표준형 벌질체의 경우가 단위면적당 가장 가벼워 에너지 절감이나 소재 절감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각 경우 강도를 측정해 본 결과 표준형과 대비하여, 최소폭(사각형)벌집체의 경우는 종방향 전단응력이 매우 우수하고, 최대폭(가로전개육각)벌집체의 경우는 횡방향 전단응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각 용도에 맞추어 벌집체의 형태를 변형하여 복합성형체를 생산할 수 있는 점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벌집체의 경우 각 단위 벌집체벽에 통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중량을 경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를 내장한 복합성형체(110)는 신규하고 진보된 기술을 가진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당연히 신규하고 진보된 물건으로서 이 발명의 기술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 1 실시예로서 필름 또는 시트의 압출방향으로 2층 적층하는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제조방법, 제 2 실시예로서 필름 또는 시트의 압출방향으로 1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압출방향과 180° 평면회전 역배열로 적층하여 2층을 형성하는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제조방법, 제 3 실시예로서 필름 또는 시트를 압출하여 1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양면 접착제 및 핫멜팅 준비된 필름 또는 시트를 2층으로 적층하는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 1 실시예) 벌집체를 압출방향으로 2개층 이상 적층하는 제조방법
본 발명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111)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S1 내지 S6 단계로 구성된 실시예 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S1 단계: 벌집체 구조물 기재의 원료 배합물 생성 및 원료 배합물을 용융 가공하여 두께 0.1 내지 1.0㎜의 필름 또는 시트상의 벌집체 구조물 기재의 생성단계;
배합기에,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 복합물인 기재 구성물 및 목분 또는 대나무, 마, 왕겨, 셀룰로즈 중 선택된 1종 또는 1종 이상이 혼합된 유기물 충전제와, 탈크 또는 탄산칼슘, 유리섬유 중 선택된 1종 또는 1종 이상이 혼합된 무기물 충전제와, 난연제, 안료를 투입 혼합하여, 벌집체 구조물 기재의 원료 배합물 생성 및,벌집체 구조물 기재의 원료 배합물을 압출기 티다이(T-DIE) 또는 카렌다(CALENDER), 브로우(BLOW) 성형기에서, 용융 가공하여 두께 0.1 내지 1.0㎜ 의 필름 또는 시트상의 허니컴 구조물 기재가 생성된다.
S2 단계: 벌집체 구조물 기재의 표면층과 이면층에 힌지부 형성단계로서, 필름 또는 시트상의 벌집체 구조물 기재의 온도를 기재의 융점보다 20 내지 50% 낮은 온도로 유지하고,
기재 두께의 20 내지 80%의 돌출부위로 구성된 압착물 또는 금형이 내장된 프레스로 가압하여, 절곡각도 50 내지 60°, 힌지 깊이는 기재 두께의 20 내지 80% 범위로 종방향 배열의 다수개의 힌지부(30)가 성형되며, 힌지의 개수가 4의 배수에 역방향 배열시 접착부 교차를 위해 한개를 더한 4의 배수 +1로 생성된 다수개의 힌지 열이 구비된 힌지부의 형성 단계로서
기재 1열(10-1: 홀수열)의 경우 벌집체벽 ①과 ②, ②와 ③ 사이 및 벌집체벽 ⑤와 ⑥, ⑥과 ⑦ 사이에 표면힌지부(31)를 형성하고, 벌집체벽 ③과 ④, ④와 ⑤ 사이 및 벌집체벽 ⑦과 ⑧, ⑧과 ⑨ 사이에 이면힌지부(32)를 형성한다. 표면힌지부(31)와 이면힌지부(32)의 의미는 벌집체 기재열(10)의 내외 다른면에 형성한다는 의미이다.
벌집체 기재 2열(10-2: 짝수열)의 힌지부(30)의 구성은 벌집체 기재 2열(10-2) 벌집체벽 ⑨'와 ⑧', ⑧'와 ⑦' 및 벌집체벽 ⑤'와 ④', ④'와 ③' 사이에 이면힌지부(32)를 형성하고, 벌집체벽 ⑦'과 ⑥', ⑥'와 ⑤' 및 벌집체벽 ③'와 ②', ②'와 ①' 사이에 표면힌지부(31)를 형성 기재 1열(10-1: 홀수열)의 상면에 적층한다.
벌집체 구조물 기재(10)의 절곡이 용이하도록, 벌집체 기재(10)인 필름 또는 시트상의 벌집체 구조물 기재의 표면층과 이면층의 온도를 기재의 융점보다 20 내지 50% 낮은 온도로 유지하고, 기재 두께의 20 내지 80%의 돌출부위로 구성된 압착롤(ROLL) 또는 금형이 내장된 프레스(PRESS)로 가압하여,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절곡각도(33)는 50 내지 60°, 힌지 깊이(34)는 기재 두께의 20 내지 80% 범위로 종방향 배열의 다수개의 힌지부(30)가 형성된다.
S3 단계: 벌집체 구조물 기재(10) 표면에 접착이 가능하도록 접착제 도포 또는 핫멜트 필름이 접착된 접합부(40)의 형성단계:
접합부 형성은 열융착, 접착제, 핫멜트 필름, 고주파융착, 초음파융착 등 다양한 방법 중에 기재의 특성 및 공정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한다.
도 4 및 도 6과 같이 벌집체 구조물 기재에 생성된 벌집체 기재 1열(10-1)의 벌집체벽 ④번과 벌집체벽 ⑧번의 표면에 접착부(40)를 형성하며, 본 발명의 벌집체 기재 2열(10-2)의 접착부는 벌집체벽 ⑧'번과 ④'번의 표면에 형성하여 벌집체 기재 1열(10-1) 위에 적층한다.
본 발명의 벌집체 기재의 접착부는 홀수층의 압출방향 일측에서 4n(n=1,2,3...)번째 단일 벌집체벽 표면과 짝수층의 압출방향 같은 일측에서 4n+2(n=0,1,2,3...)번째 단일 벌집체벽 표면에 형성하는 것이다. 즉, 홀수층의 압출방향 일측에서 4n(n=1,2,3...)번째 단일 벌집체벽 표면과 짝수층의 압출방향 같은 일측에서 4n(n=1,2,3...)번째 단일 벌집체벽 후면이 접착되며, 같은 형태로 짝수층의 압출방향 일측에서 4n+2(n=0,1,2,3...)번째 단일 벌집체벽 표면과 홀수층의 압출방향 일측에서 4n+2(n=0,1,2,3...)번째 단일 벌집체벽 후면이 접착하게 됨으로써 벌집체를 상하 전개시 각각의 단일 벌집체가 엇갈려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벌집체 기재열의 압출시 각 벌집체 단일벽, 힌지부, 접합부의 형성방법은 압출방향의 앞부분에서 뒷부분으로 횡방향으로 차례로 형성하거나, 또는 압출방향과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혹은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종방향으로 차례로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숫자가 부여된 방향으로 압출할 경우 종방향으로 차례로 벌집체 단일벽, 힌지부, 접합부를 형성하는 실시예에 해당하며, 숫자가 부여되지 않은 방향으로 압출하는 경우 횡방향으로 차례로 벌집체 단일벽, 힌지부, 접합부를 형성하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S4 단계: 벌집체 구조물 기재의 홀수번열의 벌집체벽에 에어홀(AIR HOLE)인 천공부(50) 성형단계:
도 4 및 도 6과 같이 벌집체 구조물의 공기흡입 및 배출기능, 흡음성 부여 또는 경량화를 위한 벌집체 구조물의 각 셀(CELL)간의 통기성 기능 부여를 위해, 벌집체 기재 1열(10-1)의 홀수번 벌집체벽(①,③,⑤,⑦,⑨)에 프레스기 또는 천공기로 천공부(AIR HOLE)를 형성한다. 천공부의 형성에 의해 모든 벌집체 셀은 통공이 가능하다. 벌집체 기재 2열(10-2)에는 홀수번 벌집체벽(⑨', ⑦', ⑤', ③', ①')에 천공부(50)를 형성한다. 적층된 벌집체 기재 1열(10-1)과 2열(10-2) 그리고 반복되는 동일한 조합에서 힌지부(30)열을 수직으로 일치시킴으로서 기재의 홀수열에 동일하게 천공부를 성형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벌집체 기재의 물성 및 크기에 따른 강도가 허락하는 경우 모두 단위 벌집체벽에 천공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벌집체벽 짝수번열인 2, 4, 6, 8, 10, 12번 벌집체 기재열에도 프레스기 또는 천공기로 천공된 에어홀(AIR HOLE)인 천공부를 추가하여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짝수열만의 에어홀은 공기가 통과하는 기능을 시현할 경우 유용하다.
S5 단계: 힌지부(30), 접합부(40) 및 천공부(50)가 형성된 벌집체 기재열 1열(10-1) 위에 벌집체 기재열 2열(10-2)을 별도로 압출하여 절단기로 절단하여 파레트에 적재 연속적으로 적층되는 단계:
상기 S2 내지 S4 단계로 힌지부(30) 및 접합부(40), 천공부(50)가 형성된 벌집체 구조물 기재(10)를 절단기로 1 내지 2m의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적재 후, 각 기재열의 힌지라인(HINGE LINE) 연결선이 수직구조로 연속적으로 팔렛트(PALLET)에 적층된다. (도 6 참조)
S6 단계: 압출방향으로 벌집체 기재 1열(홀수층, 10-1)과 2열(짝수층, 10-2)을 한개의 조합으로 홀수층과 짝수층을 다층 접합 적층한 후 재단되어, 완제품인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가 제조되는 단계:
상기 S5 단계에서 연속적으로 팔렛트에 적층된 다수개의 벌집체 기재열을 합지설비에서 가온 또는 가압, 가습, 건조, 숙성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고, 이어서 재단기에서 벌집체의 높이에 해당된 폭으로 각각 횡방향 배열로 재단되어 벌집체의 접은 모양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완제품인 적층식 벌집체의 제조가 완료된다.
(제 2 실시예) 제 1 실시예 S5 단계에서, 필름 또는 시트의 압출방향으로 기재 1열(홀수층, 10-1) 1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압출방향과 180° 수평회전 역배열로 압출하여 기재 2열(10-2) 1층을 형성하는 형태로 기재 홀수열과 기재 짝수열을 반복하여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제조방법.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기재 1열(10-1: 홀수열)만을 압출하여 1 내지 2m의 길이로 재단하고, 기재 2열(10-2: 짝수열)은 기재 1 열(10-1) 위에 또 다른 기재 1열(10-1)을 180° 평면회전 역배열로 압출(재단)하여 2층을 형성하는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제조방법이다.
(제 3 실시예) 제 1 실시예 S5 단계에서, 필름 또는 시트를 압출하여 1층을 형성하고 그 위양면에 접착제 또는 핫멜트 필름이 부착된 필름 또는 시트를 2층으로 적층하는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제조방법. 제 3 실시예는 필름 또는 시트를 압출하여 1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제 1 실시예의 기재열 1의 접합부(40)와 기재열 2의 접합부(40)를 상하로 적용한 기재열을 적층하는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벌집체의 힌지부는 벌집체벽과 벌집체벽의 경계에서 벌집체 기재(10)가 용이하게 접혀 벌집체 셀이 성형될 수 있도록 힌지부(30)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힌지 깊이(34)는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기재 시트(10) 두께의 20 내지 80% 범위내에서 힌지구 깊이(34)를 형성하고, 각각의 힌지구(30)의 입구 절곡각도(33)는 절곡시 간섭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45도 이상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접합부(40)는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기재 시트(10)열이 적층된 상태에서 전개되어 벌집체 구조가 형성될 때 적층된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기재열(10)이 벌집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기재열(10-1: 홀수열)과 기재열(10-2: 홀수열)이 접합되는 구성으로서, 도 4 및 도 6에서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정방향과 역방향 기재열 조합의 짝수번째 벌집체벽에 하나 건너 교대로 접착 형성하므로써 적층 기재열을 상하 양방향으로 전개할 경우 적층 기재 전체적으로 연결된 벌집체 구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새롭고 진보된 기술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벌집체벽(홀수번째)에 천공부(50)를 형성함으로써 모든 벌집체 셀이 모두 통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충전 방출이 용이하고, 흡음효과를 가져오며 이를 내장하는 복합성형체(100)의 중량을 가볍게 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자원절약을 통한 원가 절감효과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벌집체벽의 천공부(50)는 벌집체 구조의 응력을 고려하여 성형한다. 벌집체 구조물은 그 자체로서 높은 전단응력과 압축응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험례에 의하면, 동일한 성형재료로서 한개의 벌집체벽 면적의 0 내지 60% 에 해당하는 천공부의 설치할 경우 압축응력의 변화가 80% 이내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므로, 바람직한 천공부의 면적은 벌집체벽면의 크기에 맞추어 40 내지 60% 범위내에서 천공부(40)를 성형하면 압축응력에 문제가 없음을 밝혔다.
본 발명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111)는 셀 형태를 전단응력의 용도에 맞추어 조정 성형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벌집체 표준(정육각)형(A), 최소폭(사각)형(B), 최대폭(가로전개육각)형(C)의 경우 단위면적당 중량, 전단응력을 계산 및 측정한 결과, 단위면적당 중량은 표준(정육각)형 벌집체의 경우 632g/㎡, 최소폭(사각)형 벌집체의 경우 820 g/㎡, 최대폭(가로전개육각)형 벌집체의 경우 879g/㎡로서, 표준형 벌집체의 경우가 단위면적당 가장 가벼운 관계로 에너지 절감이나 소재 절감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시험은 천공홀이 없는 경우이고, 천공홀이 있는 경우 추가하여 중량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벌집체의 최대폭은 재단 후 펼치기 전 상태이나 이 상태로는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일반적으로 사용이 많은 벌집체 각 내각 60° 를 기준으로 사용한다. 한편, 각 경우 강도를 측정해 본 결과 표준형과 대비하여, 최소폭(사각형)벌집체의 경우는 종방향 전단응력이 매우 우수하고, 최대폭(가로전개육각)벌집체의 경우는 횡방향 전단응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각 용도에 맞추어 벌집체의 형태를 변형하여 복합성형체를 생산할 수 있는 점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벌집체 구조물의 하중변형은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구조물의 높이 h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아래 실험예를 참조하면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구조물의 높이 h의 변화를 주어 표면층을 포함한 높이 H의 변화에 대한 하중변형을 보면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내장 복합성형체의 높이 H 를 2배 증가시킬 경우 하중변형은 약 20% 감소, 3배 증가시킬 경우 하중변형은 약 75~9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내장 복합성형체(110)는 표면재(112) 및 벌집체(111)의 압축강도 또는 하중변형 인자인 물성 Q, 벌집체 구조물의 높이 h, 셀의 너비 a, 셀면적(A)를 변형하여 용도에 맞추어 벌집체를 제조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압축강도 또는 하중변형 인자 = Q (벌집체의 물성) * h (벌집체 구조물의 높이) * s(벌집체 셀의 형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S6 단계의 이후 공정으로, 본 발명 적층식 벌집체의 외부에 용도에 따른 기능성 추가를 위해 자외선차단층, 항균층, 표면보호층 등의 용도에 따른 기능성 부여층을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S4 단계의 천공부의 생성단계가 생략된, S1 내지 S3 단계, S5, S6단계의 제조방법으로 구성된, 적층식 벌집체 구조물의 제조방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상기 S1 단계의 기재를 용융압출하여 사용하는 대신 시중에 판매되는 필름 또는 시트를 구입하여 기재(10)로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은 벌집체 구조물(111)이 용도에 따라 인취의 길이를 조절하여 벌집체 구조물(111)의 육각형 형태를 다양하게 변화가 가능하고, 벌집체 구조물 완제품의 전체 높이(h,H)를 용도에 따라 압축응력을 계산하여 이에 맞춘 두께로 조절이 가능하고, 시중에서 유통되는 필름 또는 시트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작 가능한 기술구성의 적층식 벌집체 구조물(110)로 구성된다.
[계산예] 적층식 벌집체 형태에 따른 단위면적당 중량 계산법
a(Cell Size 셀 한변의 길이) = 10mm, h(벌집체 높이) = 10mm, x(횡방향 셀 갯수)=5개, y(종방향 셀 갯수)=4개 경우, W(횡방향폭), L(종방향길이), A(소재폭), B(소재길이) 계산법
구분 표준(정육각형) 최소폭(사각형) 최대폭(가로전개육각형)
W (0.5a+a+0.5a+a)x=3ax
3*10*5=150mm
(a+a)x=2ax
2*10*5=100mm
(√3/2a+a+√3/2a+a)x=3.732ax
3.732*10*5=186.6mm
L (0.5*√3a*2)*0.5y =0.866ay
√3/2*10*4=34.6mm
(a*2)*0.5y =ay
10*4=40mm
(0.5*a*2)*0.5y =0.5ay
0.5*10*4=20mm
A
(W%)
4*a*x=4*10*5=200mm
(150/200 = 75%)
4*a*x
4*10*5=200mm
(100/200 = 50%)
4*a*x
4*10*5=200mm
(186.6/200 = 93.3%)
B
(L%)
2*h*y=2hy=2*10*4=80mm (34.6/80 = 43.3%) 2*h*y=2hy
2*10*4=80mm
(40/80 = 50%)
2*h*y=2hy
2*10*4=80mm
(20/80 = 25%)
벌집체 기재 두께(t) 0.2mm, 비중(d) 0.9 인 PP 필름 기준으로, 규격 200*80mm 에서 벌집체의 중량은 0.2*0.2*0.08*0.9*1000=2.88g 이며, 접착 필름 두께 0.1mm, 비중 1.0 인 3층 필름 기준으로, 중량은 0.1*ah*x*2y=0.1*0.01*0.01*1000*5*2*4=0.4g 이며, 벌집체 중량에 대해 상기 계산으로 구한 팩터를 적용한 각 형태별 벌집체의 면적과 총중량은 다음과 같다.
구분 표준(정육각형) 최소폭(사각형) 최대폭(가로전개육각형)
면적 0.15*0.0346=0.00519㎡ 0.1*0.04=0.004㎡ 0.1866*.02=0.003732㎡
총중량 (2.88+0.4)/0.00519 = 632g/㎡ (2.88+0.4)/0.004 = 820g/㎡ (2.88+0.4)/0.003732= 879g/㎡
주) 이 중량은 천공홀이 없는 경우이고 천공홀이 있는 경우는 추가하여 중량 절감이 가능하다.
[실험예] 적층식 벌집체 구조물 구조에 따른 하중변형 측정 실험예
본 발명의 표준 적층식 가변 통공 허니컴 구조물 내장 성형체로서 폴리프로필렌 0.2mm 기재에 셀(cell) 한 변의 길이가 10mm 벌집체를 제조하여 벌집체 높이, 원형의 통공부 형성, 셀(Cell)의 각도 조정을 하여 코어(Core)층을 제조하였고 아래위 양면에 목분 2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 1.0mm PP Sheet를 접착한 50CmX50Cm 크기의 벌집 구조체를 만들었고, 평면에 폭 20mm, 높이 100mm의 나무판재 두개를 바깥 길이가 50Cm가 되도록 고정하고 그 위에 이들 벌집 구조체를 올려놓고 중앙에 직경이 10Cm인 5Kg의 추를 올려놓고 20±5℃에서 한시간 방치후 하중 변형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래 표에서 측정결과 내부 숫자는 변형된 샘플의 횟수를 나타낸다.
샘플 종류 정육각형(120도) 사각형(180도) 가로전개육각형(60도)
높이 통공(5mm)
15mm 없음 0 0 0 0 0 0
홀수열 0 0 0 0 0 0
짝수열 1 1 2 1 2 0
전면 3 1 4 2 3 2
10mm 없음 0 0 1 0 0 0
홀수열 1 1 2 1 1 0
짝수열 5 3 7 5 5 3
전면 10 8 12 9 8 7
5mm 없음 12 10 14 10 12 9
상기의 실험 예에서 알수 있는 것처럼 높이가 15mm에서는 통공의 영향이 거의 없으나 10mm 에서는 홀수열이 짝수열보다 변형이 적고 5mm 에서는 변형이 많아 사용이 불가능한 수준이다.
10mm 높이에서 가로전개 육각형이 하중 변형이 좋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은 셀(Cell)의 개수가 많아서 상면과 하면의 접착부분이 증가하여 취약부분을 보완한 결과로 해석되며 15Cm높이에서 천공의 영향이 적은 것은 셀(Cell)의 면적에 비해 천공부의 면적이 작아 영향이 적은 것으로 해석된다.
전반적으로 종방향보다 횡방향 변형이 적은 것은 두개의 필름이 접착되어 강도가 우수한 접착부가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변형방지에 도움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벌집체의 구성의 설명을 위해 번호를 부여하고 있으나, 각 구성이 부여된 번호에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설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그 조합 내지 구성이 되풀이 되는 것이 가능하다.
110: 본 발명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내장 복합성형체(구조물)
111: 벌집체, 112: 표면재
10: 기재열부
10-1, 10-2, 10-3, 10-4: 벌집체 기재 1열, 기재 2열, 기재 3열, 기재 4열
20: 벌집체벽
30: 힌지부, 31: 표면힌지부, 32: 이면힌지부
33: 힌지구 절곡각도, 34: 힌지구 깊이, 35: 힌지구 골부분
40: 접합부
50: 천공부

Claims (8)

  1. 삭제
  2. 벌집체 홀수 기재열(10-1, 10-3 ...)과 짝수 기재열(10-2, 10-4 ...)이 교대로 적층되면서, 각 기재열은 단일 벌집체벽(20), 벌집체벽을 연결하는 힌지부(30), 벌집체 기재열 홀수층의 일측에서 4n(n=1,2,3...)번째 단일벽 표면과 벌집체 기재열 짝수층의 같은 일측에서 4n+2(n=0,1,2,3...)번째 단일벽 표면에 형성된 접합부(40), 단일 벌집체벽에 에어홀인 천공부(50)를 갖춘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111)에 있어서,
    가변 통공 벌집체(111)는 벌집체 기재 1열(홀수열, 10-1, 벌집체벽 ①,②,③,④,⑤,⑥,⑦,⑧,⑨), 벌집체 기재 2열(짝수열, 10-2, ⑨',⑧',⑦',⑥',⑤',④',③',②',①'), 벌집체 기재 3열(홀수열, 10-3, 벌집체벽 ①'',②'',③'',④'',⑤'',⑥'',⑦'',⑧'',⑨''), 벌집체 기재 4열(짝수열, 10-4, 벌집체벽 ⑨''',⑧''',⑦''',⑥''',⑤''',④''',③''',②''',①''') 과 같이 반복 조합되는 벌집체 기재열(10)로서, 각 벌집체 기재열(10)의 구성은 기재 1열(홀수열, 10-1)과 기재 3열(홀수열, 10-2)이 동일한 구성이고, 기재 2열(짝수열, 10-3)과 기재 4열(짝수열, 10-4)이 동일한 구성으로 다수의 홀수열과 다수의 짝수열이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벌집체 기재열(10)은 홀수열을 180° 수평회전 역배열하여 짝수열을 구성하며,
    힌지부(30)는, 기재 1열(홀수열)의 경우 벌집체벽 ①과 ②, ②와 ③ 사이 및 벌집체벽 ⑤와 ⑥, ⑥과 ⑦ 사이에 표면힌지부를 형성하고, 벌집체벽 ③과 ④, ④와 ⑤ 사이 및 벌집체벽 ⑦과 ⑧, ⑧과 ⑨ 사이에 이면힌지부를 형성하며, 벌집체 기재 2열(짝수열)의 힌지부의 구성은 벌집체 기재 1열(홀수열)의 힌지부의 구성을 180° 수평회전 역배열하여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벌집체 기재 2열(짝수열)의 힌지부의 구성은 벌집체 기재 2열(짝수열) 벌집체벽 ⑨'와 ⑧', ⑧'와 ⑦' 및 벌집체벽 ⑤'와 ④', ④'와 ③' 사이에 이면힌지부를 형성하고, 벌집체벽 ⑦'과 ⑥', ⑥'와 ⑤' 및 벌집체벽 ③'와 ②', ②'와 ①' 사이에 표면힌지부를 형성하며,
    접착부(40)는 벌집체 기재 홀수층의 일측에서 4n(n=1,2,3...)번째 단일 벌집체벽 표면과 벌집체 기재 짝수층의 같은 일측에서 4n+2(n=0,1,2,3...)번째 단일 벌집체벽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홀수층의 압출방향 일측에서 4n(n=1,2,3...)번째 단일 벌집체벽 표면과 짝수층의 압출방향 같은 일측에서 4n(n=1,2,3...)번째 단일 벌집체벽 후면이 접착되며, 같은 형태로 짝수층의 압출방향 일측에서 4n+2(n=0,1,2,3...)번째 단일 벌집체벽 표면과 홀수층의 압출방향 일측에서 4n+2(n=0,1,2,3...)번째 단일 벌집체벽 후면이 접착하게 됨으로써, 셀이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벌집체가 되며,
    천공부(50)는 기재 1열(10-1)의 홀수번 벌집체벽(①,③,⑤,⑦,⑨)에 천공부(50: AIR HOLE)를 형성하고, 벌집체 기재 2열(10-2)의 천공부도 홀수번 벌집체벽(⑨', ⑦', ⑤', ③', ①')에 천공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111).
  3. 제 2항에 있어서, 벌집체 단위셀 모양은 힌지부의 작용에 의해 육면체 또는 사면체 또는 가로전개육면체, 또는 힌지부가 생략된 타원형으로 가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111).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90158708A 2019-12-03 2019-12-03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그를 내장한 복합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242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708A KR102242492B1 (ko) 2019-12-03 2019-12-03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그를 내장한 복합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708A KR102242492B1 (ko) 2019-12-03 2019-12-03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그를 내장한 복합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492B1 true KR102242492B1 (ko) 2021-04-20

Family

ID=7574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708A KR102242492B1 (ko) 2019-12-03 2019-12-03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그를 내장한 복합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49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30B2 (ja) * 1977-03-12 1983-01-12 日本碍子株式会社 耐熱衝撃性セラミツクハニカム構造体
JPH0852829A (ja) * 1994-05-18 1996-02-27 Yoshimasa Yokoyama 積層用段ボール素材
WO2005108328A1 (ja) * 2004-05-06 2005-11-17 Ibiden Co., Ltd. ハニカム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99848A (ko) * 2006-03-06 2008-11-13 세키스이케미칼가부시키가이샤 건축 구조체, 구조 유닛 및 그 공법
KR101384381B1 (ko) 2013-12-27 2014-04-10 여현모 합성수지를 이용한 허니콤 구조체 연속생산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허니콤 구조체
KR20150143015A (ko) * 2014-06-13 2015-12-23 윤교진 압출형재에 의한 허니컴구조체개발
KR101652228B1 (ko) * 2014-07-15 2016-08-31 (주) 길텍 순차압공 방식에 의한 허니콤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826254B1 (ko) 2016-03-14 2018-03-22 캠코아 주식회사 접이식 허니컴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30B2 (ja) * 1977-03-12 1983-01-12 日本碍子株式会社 耐熱衝撃性セラミツクハニカム構造体
JPH0852829A (ja) * 1994-05-18 1996-02-27 Yoshimasa Yokoyama 積層用段ボール素材
WO2005108328A1 (ja) * 2004-05-06 2005-11-17 Ibiden Co., Ltd. ハニカム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99848A (ko) * 2006-03-06 2008-11-13 세키스이케미칼가부시키가이샤 건축 구조체, 구조 유닛 및 그 공법
KR101384381B1 (ko) 2013-12-27 2014-04-10 여현모 합성수지를 이용한 허니콤 구조체 연속생산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허니콤 구조체
KR20150143015A (ko) * 2014-06-13 2015-12-23 윤교진 압출형재에 의한 허니컴구조체개발
KR101652228B1 (ko) * 2014-07-15 2016-08-31 (주) 길텍 순차압공 방식에 의한 허니콤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826254B1 (ko) 2016-03-14 2018-03-22 캠코아 주식회사 접이식 허니컴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3595B (zh) 折叠式蜂窝状结构及其制造方法
US20070256379A1 (en) Composite panels
US20060062993A1 (en) Laminated member for automobile interior ceiling material
KR101567777B1 (ko) 경량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차량 내장재용 기재
US20110033655A1 (en) Energy saving honeycomb having enhanced strength
CN103180141A (zh) 用于汽车内装材料的多层构造物以及其制造方法
KR101274748B1 (ko) 친환경 경량화 다층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66139A (ko) 천연섬유를 이용한 합성목재 및 그의 제조방법
EP3140098B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panels for floor and wall coverings
KR102242492B1 (ko) 적층식 가변 통공 벌집체, 그를 내장한 복합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611949B1 (ko) 다층 구조의 단열재
WO2005019583A2 (en) Composite doo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and composite door and method of making same
ES2308915B1 (es) Panel estratificado termoconformable y procedimiento para su obtencion.
JP3109649U (ja) 共押出多層発泡複合板
CA2861843C (en) Large format polystyrene panel
CN110944833A (zh) 由层压层覆盖的聚碳酸酯多壁片材制成的复合面板
KR102004856B1 (ko) 다층구조의 합성수지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56026B1 (ko) 건축물의 내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79418A (ko) 고분자 복합패널 및 그 제조 장치
CN111844927A (zh) 内置发泡蜂窝体的连续纤维预浸一体复合板及其制造方法
US20230405980A1 (en) Low-Density Foam at Least Partially Covered with a Skin Material
KR100814104B1 (ko) 표면 돌출된 알루미늄 압출형재를 내심으로 포함하는플라스틱 적층 구조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발포플라스틱 적층 구조재
KR200386960Y1 (ko) 복합방음판
US20120012245A1 (en) Production method for a panel
EP3632678A1 (en) Sound absorbing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