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466B1 - Blower using vinyl tube - Google Patents

Blower using vinyl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466B1
KR102242466B1 KR1020200108857A KR20200108857A KR102242466B1 KR 102242466 B1 KR102242466 B1 KR 102242466B1 KR 1020200108857 A KR1020200108857 A KR 1020200108857A KR 20200108857 A KR20200108857 A KR 20200108857A KR 102242466 B1 KR102242466 B1 KR 102242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vinyl tube
intake part
house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8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대
Original Assignee
이병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대 filed Critical 이병대
Priority to KR1020200108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4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4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er using a vinyl tube, the blower comprising: an intake unit for sucking in and discharging air; a vinyl tube connected to the intake unit to form an air transmission path;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rough the vinyl tube. The blower is provided inside a house to inject external air into the inside of a facility house to circulate the air, there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house to provide a suitable growing environment for cultivated crops.

Description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BLOWER USING VINYL TUBE}Blower using vinyl tube {BLOWER USING VINYL TUBE}

본 발명은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의 공기를 시설하우스의 내부로 주입하여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시설하우스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ing device using a vinyl tube, and more specifically, to a blowing device using a vinyl tub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facility house by injecting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facility house to circulate the air. will be.

일반적으로 시설하우스는 딸기, 고추 등의 작 물을 재배하거나 재배작물을 건조시키는데 사용한다. 이때, 시설하우스는 기본 골격을 갖으며, 그 기본 골격의 외면으로 유리나 플라스틱 또는 비닐을 씌워져 온실형태의 구조를 갖는다.In general, facility houses are used to grow crops such as strawberries and peppers or to dry crops. At this time, the facility house has a basic fram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asic frame is covered with glass, plastic or vinyl to have a greenhouse-type structure.

통상 시설하우스의 경우, 외면을 비닐로 씌워 온실형태의 구조를 갖춘 비닐하우스로 많이 사용되며,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외부 기후로부터 받은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작물재배에 알맞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In general, facility houses are often used as green houses with a greenhouse-type structure covered with plastic on the outside, and these greenhouses can create an environment suitable for crop cultivation by minimizing the influence from the outside climate.

그러나, 하절기에 비닐하우스는 고온의 대류와 복사에 의한 열전달과정의 영향으로 인해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고 습도가 낮아짐으로써, 내부에 열기가 축적되고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낮에는 비닐하우스 내의 농작물의 성장 관리에 어려움이 수반될 뿐 아니라 지속적인 작업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in the summer, the greenhouse temperature rises sharply and the humidity decreases due to the effect of the heat transfer process due to high-temperature convection and radiation, so that heat accumulates inside and ventilation is poor. Not only was it difficult to manage the growth of the crops inside, but there was also a difficulty in continuous work management.

또한, 흙먼지 등이 비닐하우스 표면에 쌓이게 되면 비닐하우스 내부에 파종된 각종 농작물의 원활한 광합성작용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농작물의 성장을 지연하고 병충해 발생이나 품질이 크게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발생하였다.In addition, when soil dust or the like accumulates on the surface of the green house, it affects the smooth photosynthesis of various crops sown inside the green house, thereby delaying the growth of the crops and causing problems such as the occurrence of diseases and insects, or greatly deteriorating the quality.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의 상승과 습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 내부에는 건조시스템이나 작물의 생육환경 조절시스템으로 온열램프(원적외선 램프), 열풍기, 보일러 등의 온방용 설비와 냉각기, 냉풍기 등의 냉방용 설비가 설치되기 시작하였다.In order to prevent the increase in temperature and decrease in humidity inside the greenhouse, there is a drying system or a crop growth environment control system inside the greenhouse, such as a heating lamp (far-infrared ray lamp), a hot fan, a boiler, etc., as well as a cooler and a cooler. Cooling equipment began to be installed.

그런데, 종래에는 시설하우스 내 설치된 냉온방설비를 통한 건조시스템이나 작물의 생육환경 조절시스템의 가동 시 비닐하우스 내부 전체에 걸쳐 고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인해 냉방효과 또는 온방효과의 향상을 이끌어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건조시스템이나 생육환경 조절시스템의 가동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 및 운용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when the drying system through the cooling/heating facility installed in the facility house or the control system of the growing environment of crops are operated, the cooling effect or the heating effect cannot be improved due to the fact that it does not have an even effect over the entire green house. As a resul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efficiency of the drying system or the growing environment control system was lowered, and the operation cost was excessively consum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48050호(비닐하우스에 구비되는 외부 찬공기 공급용 송풍장치, 2018년 05월 10일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48050 (A blower device for supplying external cold air provided in a vinyl house, published on May 10, 2018)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63301호(비닐하우스용 송풍장치, 2019년 06월 07일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63301 (Vinyl house blower, published on June 07, 201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0990호(비닐하우스용 송풍장치, 2017년 09월 18일 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80990 (Vinyl house blower, registered on September 18, 2017)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의 공기를 하우스의 내부로 주입하고 하우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하우스 내부의 재배작물의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wing device using a vinyl tube to provide a suitable environment for cultivated crops inside the house by injecting outside air into the inside of the house and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house.

본 발명은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그 비용이 저렴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철거 또는 이동이 용이하여 시설물의 작업공간 활용이 용이한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wing device using a vinyl tub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its cost is inexpensive, and it is easy to remove or move when not in use, so that the working space of a facility can be easily utilized. .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흡기부(110)와 상기 흡기부(110)와 연결되어 공기전달통로를 형성하는 비닐튜브(120); 및 상기 비닐튜브(120)를 관통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튜브를 갖는 송풍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ake part 110 for inhaling and discharging air and a vinyl tube 120 connected to the intake part 110 to form an air transmission path; And it provides a blowing device having a vinyl tub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upport 130 that can be supported by passing through the vinyl tube (120).

또한, 상기 흡기부(110)는 상호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제 1 흡기부(111) 및 제 2 흡기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비닐튜브(120)는 상기 제 1 흡기부(111) 및 상기 제 2 흡기부(112) 사이를 연결하며, 제 1, 2 흡기부(111, 112) 각각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ntake part 110 includes a first intake part 111 and a second intake part 112 provid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vinyl tube 120 includes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It connects between the second intake parts 112 and transmits air sucked from the first and second intake parts 111 and 112, respectively.

또한, 상기 흡기부(110)는 제 1 흡기부(111) 및 제 2 흡기부(112)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흡기부(1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흡기부(113)는 상기 비닐튜브(120)를 통해 제 1, 2 흡기부(111, 112) 각각과 연결되어,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제 1, 2 흡기부(111, 112) 각각을 향하도록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ntake part 110 further includes a third intake part 113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and the third intake part 113 comprises the It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take parts 111 and 112 through the vinyl tube 120, and the air is sucked from the bottom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intake parts 111 and 112,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비닐튜브(120)는 상기 흡기부(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전달과정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좌우측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배출공(121)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공(121)은 32mm 내지 34mm의 크기로 형성되고, 배출공(121)간의 간격은 20cm 내지150cm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도록 한다.Here, the vinyl tube 12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21 formed in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unit 110 can be discharged during the delivery process, and the discharge hole 121 Is formed in a size of 32mm to 34mm,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discharge holes 121 is arranged at intervals of 20cm to 150cm.

또한, 상기 흡기부(110)에는 외부의 이물질 또는 빗물 등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엘보형의 마운트(140)가 더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마운트(140)의 일측 내부에는 흡기부(110)의 작동에 따라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버터플라이 형상의 벨브(141)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take part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bow-shaped mount 140 so as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external foreign matter or rainwater, and the intake part 110 is provided inside one side of the mount 140. A butterfly-shaped valve 141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operation is further provided.

이러한, 송풍장치는 하우스(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스(200)의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습도가 기설정된 기준 습도 값 이상일 경우, 상기 흡기부(110)로 트리거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흡기부(110)는 상기 트리거 신호의 인가 여부에 따라 작동되도록 하며, 상기 흡기부(110)에는 냉방장치 또는 온열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Such a blower is provided inside the house 200 and senses the humidity inside the house 200, and when the sensed humidity is higher than a preset reference humidity value, a trigger signal is sent to the intake unit 110. Is applied, and the intake unit 110 is opera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trigger signal is applied, and the intake unit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oling device or a heating device. By providing an apparatus, it is possible to better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스의 내부로 용이하게 전달하며, 하우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하우스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여 지속적으로 하우스 내부의 재배작물의 적합한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rnal air is sucked and transferred to the interior of the house easily, and by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hous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house are controlled to continuously maintain a suitable environment for cultivated crops inside the hous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또한, 전체적으로 비닐튜브를 이용함으로써 송풍장치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및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vinyl tube as a whol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d construct a blower at low cost.

또한, 사용하지 않을 시 간편하게 철거 또는 이동시켜 시설물의 내부 작업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when not in use, it can be easily removed or moved to utilize the internal working space of the fac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에서 일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에서 흡기부(110)에 제 3 흡기부(113)가 포함된 상태에서 일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일실시예 따른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에서 마운트(140)가 구성된 상태에서 일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에서 비닐튜브(120)가 다수개로 구성된 상태에서 일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가 하우스(200)에 구비되는 경우, 지지대(130)가 걸이부(500)에 거치되어 하우스(200)의 종프레임(220)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에서 지지대(130)가 흡입부(110)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에서 비닐튜브(120)가 지지대(130)를 기준으로 권치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에서 비닐튜브(120)가 지지대(130)를 기준으로 편향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가 하우스(200)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의 공기순환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artially disassembled state in a blowing apparatus using a viny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partially disassembled state in which the third intake part 113 is included in the intake part 110 in the blowing device using a viny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partially disassembled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mount 140 is configured in the blower device using a viny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vinyl tube 120 is disassembl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vinyl tubes 120 are formed in a blower using a viny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ase where a blower using a viny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house 200, the support 130 is mounted on the hook 500 so that the vertical frame 220 of the house 200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fixed to.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130 is coupled to the suction unit 110 in the blower using a vinyl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inyl tube 120 is woun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130 in a blower using a viny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inyl tube 120 is deflec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130 in the blowing device using the viny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lowing device using a vinyl tube is provided in the hous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 air circulation form of a blower using a viny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에서 일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에서 흡기부(110)에 제 3 흡기부(113)가 포함된 상태에서 일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일실시예 따른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에서 마운트(140)가 구성된 상태에서 일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에서 비닐튜브(120)가 다수개로 구성된 상태에서 일부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가 하우스(200)에 구비되는 경우, 지지대(130)가 걸이부(500)에 거치되어 하우스(200)의 종프레임(220)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에서 지지대(130)가 흡입부(110)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에서 비닐튜브(120)가 지지대(130)를 기준으로 권치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에서 비닐튜브(120)가 지지대(130)를 기준으로 편향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가 하우스(200)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의 공기순환형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partially disassembled state in a blowing apparatus using a viny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hird intake part 113 is included in the intake part 110 in a blowing apparatus using a viny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rt of it is disassembled. 3 is a view showing a partially disassembled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mount 140 is configured in the blower device using a viny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vinyl tube 120 is disassembl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vinyl tubes 120 are formed in a blower using a viny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ase in which a blower device using a viny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house 200, the support 130 is mounted on the hook 500 so that the vertical frame 220 of the house 200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fixed to.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130 is coupled to the suction unit 110 in a blower using a vinyl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inyl tube 120 is woun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130 in a blower using a viny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inyl tube 120 is deflec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130 in a blower using a viny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lowing device using a vinyl tube is provided in the hous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 air circulation form of a blower using a vinyl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송풍장치(100)는 공기를 흡입 및 특정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다, 송풍장치(100)는 후술할 하우스(2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의 공기를 하우스(200)의 내부로 전달하고, 하우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여 하우스(20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재배작물에 적합한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때, 송풍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부(110), 비닐튜브(120), 지지대(130)로 구성될 수 있다,The blow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hale and discharge air in a specific direction. The blowing device 100 may be provided in a house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external air is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house 200. It is possible to create a growing environment suitable for cultivated crops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house 200 by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house and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house to the outside. Likewise, it may be composed of an intake unit 110, a vinyl tube 120, and a support 130,

여기서, 상기와 같이 비닐튜브(120)를 공기의 이동통로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은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 및 플랙시블하고 하중이 가벼워 시설물에 가해지는 적재하중을 저감시키며 시설물의 내부공간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Here, making the vinyl tube 120 act as a passage for air as described above reduces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and is flexible and has a light load, which reduces the loading load applied to the facility, and facilitates the us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facility. It is to be able to do.

상기 흡기부(110)는 하우스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타측으로 방출할 수 있다.The intake unit 110 is for supplying air outside the house to the inside, and may suck air from one side and discharge it to the other side.

여기서 상기 흡기부(110)는 단순 외부공기를 흡기팬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비닐하우스와 같은 시설물의 내부에 공급하기도 하지만, 외부상황에 따라 시설물의 내부에 냉기가 필요한 경우나, 온열이 필요한 경우 냉방장치 또는 온열장치를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Here, the intake unit 110 supplies simple external air to the interior of a facility such as a green house using a means such as an intake fan. A device or a heating devic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이때, 상기 흡기부(110)는 '흡기팬'을 적용할 수 있다. 흡기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흡기부는(110)는 일 예로, 제 1 흡기부(111)와 제 2 흡기부(112) 한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흡기부가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take part 110 may be applied with an'intake fan'. The intake unit 11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r more, and more specifically, the intake unit 110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pair of a first intake unit 111 and a second intake unit 112, each The intake portions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이때, 제 1 흡기부(111)와 제 2 흡기부(112)는 각각이 흡입한 공기를 상호 대향하여 방출할 수 있으며, 흡기부(110)는 타측으로 방출되는 공기가 선택된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후술할 비닐튜브(120)와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may discharge the air inhaled by each of them to face each other, and the intake part 110 may transmit the air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in a selected direction. It may be connected to the vinyl tube 12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부(110)가 다수개로 이루어질 경우, 제 3 흡기부(113)를 포함한다. 제 3 흡기부(113)는 제 1 흡기부(111)와 제 2 흡기부(1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3 흡기부(113)는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양측으로 방출할 수 있다. 제 3 흡기부(113)가 제 1 흡기부(11)와 제 2 흡기부(112)의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하부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제 1 흡기부(111)와 제 2 흡기부(112) 각각을 향하도록 방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when a plurality of intake parts 110 are formed, a third intake part 113 is included. The third intake part 11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The third intake unit 113 may suck air from the bottom and discharge it to both sides. When the third intake part 113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take part 11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the air sucked from the lower part is transferred to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 Can be emitted to face each.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장치(100)는 후술할 하우스(200)에 구비됨에 따라 흡기부(110)의 일부가 하우스(200)의 외부에 돌출되는 경우에 외부의 이물질 또는 내리는 비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엘보형의 마운트(140)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as the blower 100 is provided in the house 200 to be described later, when a part of the intake part 11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e 200, external foreign matter or falling An elbow-shaped mount 140 may be provided to minimize the influence on the rain.

이때, 마운트(140)는 중공의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이 특정 각도로 경사지는 엘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마운트(140)는 타단이 흡기부(110)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흡기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마운트(140)은 경사진 부분이 하방을 향한 상태로 흡기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마운트(140)는 흡기부(110)가 제 1 흡기부(111)와 제 2 흡기부(112)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2 흡기부(111, 112)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마운트(140)의 일측 내부에는 흡기부(110)가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되는 경우, 일단이 개폐될 수 있도록 버터플라이 형상의 벨브(14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마운트(140)의 밸브(141)는 두 개의 반원판(142)이 상호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기준으로 두 개의 반원판(142)이 상호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unt 14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one end may be formed in an elbow shape inclined at a specific angle. The other end of the mount 140 may b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intake part 110 to be coupled to the intake part 110. The mount 140 may be coupled to the intake unit 110 with the inclined portion facing downward. When the intake part 110 includes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the mount 140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take parts 111 and 112. In addition, when the intake unit 110 is operated to suck air in one side of the mount 140, a butterfly-shaped valve 141 may be further provided so that one end can be opened and closed. Here, in the valve 141 of the mount 140, the two semi-discs 142 are hing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wo semi-discs 142 may be rotat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따라서, 마운트(140)은 흡기부(110)가 공기를 흡입하도록 작동되는 경우, 두 개의 반원판(142)이 상측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벨브(141)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공기가 통과될 수 있다. 반대로, 흡기부(110)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 밸브(141)의 하중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하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차폐되며, 마운트(140)의 일단이 차폐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차단 및 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intake unit 110 is operated to intake air, the mount 140 opens and closes the valve 141 as the two semi-discs 142 rotate in the upward direction, thereby allowing air to pass through. I can. Conversely, when the intake part 110 is not operated, it is moved downwardly around the hinge by the load of the valve 141 to be shielded, and one end of the mount 140 is maintained in a shielded state, thereby It can block foreign substances and prevent the penetration of rain.

상기 비닐튜브(120)는 흡기부(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선택된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비닐튜브(120)는 흡기부(110)의 타측에 결합되며, 중공의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vinyl tube 120 may deliver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unit 110 in a selected direction. The vinyl tube 120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intake unit 110 and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상기와 비닐튜브(120)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비닐튜브(120)를 예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천, 종이, 고무 등과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above and the vinyl tube 120 have been described with the vinyl tube 120 as an example fo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cloth, paper, rubber, or the like.

여기서, 비닐튜브(120)는 무게감 없는 비닐 재질로 이루어짐이 설치 및 철거에 용이하게 작용될 수 있다. 비닐튜브(120)는 흡기부(110)를 통해 타측으로 방출되는 공기를 특정 방향으로 전달하는 공기전달통로일 수 있다.Here, since the vinyl tube 120 is made of a vinyl material without weight, it can be easily operated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The vinyl tube 120 may be an air transmission path for delivering air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through the intake unit 110 in a specific direction.

비닐튜브(120)는 흡기부(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전달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vinyl tube 120 may be formed long in a direction in which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unit 110 is transmitted.

또한, 비닐튜브(120)는 일단과 타단이 제 1 흡기부(111)와 제 2 흡기부(112)의 각각에 결합되도록 제 1 흡기부(111)와 제 2 흡기부(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비닐튜브(120)는 제 1, 2 흡기부(111, 112)의 각각으로부터 방출되는 공기가 하나의 공기전달통로를 통해 전달되도록 제 1 흡기부(111)와 제 2 흡기부(112)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비닐튜브(120)는 제 1 흡기부(111)와 제 2 흡기부(112)가 상호 이격될 경우, 그 이격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nyl tube 12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Can be. The vinyl tube 120 mutually connects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take parts 111 and 112 is transmitted through one air transmission path. I can connect. In this case, when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vinyl tube 120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또한, 흡기부(110)가 다수개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 3 흡기부(113)를 포함하는 경우, 비닐튜브(120)는 제 1 흡기부(111)와 제 3 흡기부(113) 사이 그리고 제 3 흡기부(113) 와 제 2 흡기부(112)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비닐튜브(120)는 제 1 흡기부(111)와 제 2 흡기부(112)를 각각 제 3 흡기부(113)와 연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intake part 110 is formed in a plurality, when including the third intake part 113, the vinyl tube 12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third intake part 113, and the third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take part 113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vinyl tube 120 may connect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to the third intake part 113, respectively.

여기서, 비닐튜브(120)에는 외주면 둘레에 고루 형성되거나 하부측 또는 좌우측에 다수개로 배출공(121)이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비닐튜브(120)를 통해 전달되는 공기는 배출공(12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비닐튜브(120)의 배출공(121)은 비닐튜브(120)의 좌우측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vinyl tube 120 may be formed evenly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may be formed by perforat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21 on the lower side or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air delivered through the vinyl tube 12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1 It can be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21 of the vinyl tube 120 may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nyl tube 120.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공(121)은 비닐튜브(120)의 좌우측에 상호 대응되도록 다수개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배출공(121)은 비닐튜브(120)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공(121)은 32mm 내지 34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로 형성될 경우 배출공(121) 상호 간의 간격은 20cm 내지 150cm일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discharge holes 121 are formed in a plurality so as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nyl tube 120, and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21 ar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nyl tube 120. I can. At this time, the discharge hole 121 may be formed in a size of 32mm to 34mm, and when formed in a plurality, the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holes 121 may be 20cm to 150cm.

예를 들어, 비닐튜브(120)의 좌측에 형성되는 배출공(121)은 비닐튜브(120)의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비닐튜브(12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되며, 비닐튜브(120)의 좌측에서 다수의 행과 열로 형성될 수 있다. 비닐튜브(120)의 우측에 형성되는 배출공(121) 또한 비닐튜브(120)의 좌측에 형성되는 배출공(121)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행과 열로 형성될 수 있다. 행과 열로 형성되는 배출공들은 비닐튜브(120)의 좌우측에서도 비닐튜브(120)의 하부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비닐튜브(120)의 배출공(121)이 다수의 행과 열로 형성될 경우, 행의 수는 1행 내지 5행으로 열의 수는 1열 내지 6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비닐튜브(120)의 측면을 기준으로 1/2 지점 또는 1/3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charge hole 121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vinyl tube 120 is formed in a plurality from one end of the vinyl tube 120 to the other e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nyl tube 120. It may be formed in a number of rows and columns on the left side of the tube 120. The discharge hole 121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vinyl tube 120 may also be formed in a number of rows and columns, similar to the discharge hole 121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vinyl tube 120.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holes formed in rows and columns are located clos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inyl tube 120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nyl tube 120. Here, when the discharge hole 121 of the vinyl tube 12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the number of rows may be 1 to 5 rows, and the number of columns may be 1 to 6 columns, and the vinyl tube 120 ) It may be more preferable to be located at a point of 1/2 or 1/3 of the side.

이는 비닐하우스와 같은 시설물에 식재되는 식물 등에 외부 공기가 직접적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비닐하우스 등의 시설물의 측면에 형성되는 환기창으로 외부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prevent external air from being directly supplied to plants planted in facilities such as a green house, and to allow external air to be discharged through a ventilation window formed on the side of a facility such as a green house.

또한, 비닐튜브(120)는 도 4를 참조하면, 제 1 흡기부(111)와 제 3 흡기부(113) 및 제 2 흡기부(112)와 제 3 흡기부(113) 각각의 사이에 배치될 경우,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비닐튜브(120)가 연결부(300)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nyl tube 120 is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third intake part 113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and the third intake part 113, referring to FIG. 4. If so, 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and a plurality of vinyl tubes 120 may be interconnected by the connection part (300).

연결부(300)는 일 예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으며, 적어도 두 개의 비닐튜브(120)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의 비닐튜브(120) 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비닐튜브들이 연결부(300)를 통해 상호 연결되되, 연결부(3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각각의 비닐튜브(120) 단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걸림띠(4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300)는 적어도 두 개의 비닐튜브(120)를 연결하기 위해 비닐튜브(120) 각각의 단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그 길이는 비닐튜브(120)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300 has, for example,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positioned between at least two vinyl tubes 120 and inserted into the ends of each of the vinyl tubes 120. In addition, the vinyl tubes are inter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300, and may be fixed by a locking strip 400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end of the vinyl tube 120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30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art 300 is formed to be relatively shorter than the vinyl tube 120 so that the connection part 30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each end of the vinyl tube 120 to connect the at least two vinyl tubes 120. It may be more desirable.

따라서, 비닐튜브(120)는 각각의 흡기부(11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공기전달통로를 통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의 전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inyl tube 120 may perform a role of transmitting air by allowing air to be discharged to the surroundings while air sucked by each intake unit 110 is transmitted through the air transmission path.

또한, 비닐튜브(120)는 처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지지대(130)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nyl tube 120 may be supported through the support 130 to prevent sagging.

상기 지지대(130)는 비닐튜브(120)의 내측을 관통하여 비닐튜브(12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대(130)는 와이어, 철사나 실 또는 로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대(130)는 비닐튜브(120)의 내측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대(130)는 비닐튜브(12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130)는 비닐튜브(120)의 내측 상단부에 부착되어 비닐튜브(1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The support 130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vinyl tube 120 to support the vinyl tube 120. The support 130 may be made of a wire, wire, thread, or rope. The support 130 may be located on the inner upper end of the vinyl tube 120. The support 130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vinyl tube 120. In this case, the support 130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upper end of the vinyl tube 120 and fixed to the vinyl tube 120.

또한, 지지대(130)는 송풍장치(100)가 후술할 하우스(200)에 설치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500)에 의해 하우스(200)의 종프레임(220)에 고정되어 비닐튜브(1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지지대(130)가 일단이 종프레임(220)에 걸리는 걸이부(500)의 타단에 거치되되, 비닐튜브(120)의 상단부에 다수개로 통공(122)이 형성됨에 따라 통공(미도시)을 관통하는 걸이부(500)에 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걸이부(500) 다수개로 구성되면 지지대(130)를 보다 안정적으로 하우스(200)의 종프레임(22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비닐튜브(120)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130, when the blower 100 is installed in the house 200 to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ure 5, by the hook 500 to the vertical frame 220 of the house 200 It is fixed and can support the vinyl tube 120, at this time, the support 130 is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hook portion 500 that is caught in the vertical frame 220, the support 130, a plurality of the upper end of the vinyl tube 120 As the through hole 122 is formed, it may be mounted on the hook portion 500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not shown). In this case, if a plurality of hook portions 500 are formed, the support 130 is more stably housed 200 In the state fixed to the vertical frame 220 of ), the vinyl tube 120 can be supported.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대(130)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비닐튜브(120)의 내측을 관통하고, 단부가 흡기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흡기부(110)가 제 1 흡기부(111)와 제 2흡기부(112)를 포함하는 경우, 지지대(130)의 양단이 제 1 흡기부(111)와 제 2 흡기부(112)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Further, referring to FIG. 6, the support 130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vinyl tube 120 and have an end connected to the intake part 1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intake part 110 includes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both ends of the support 130 are connected to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respectively. Can be connected.

이 경우, 지지대(130)의 양단이 각각 제 1 흡기부(111)와 제 2 흡기부(112)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제 1, 2 흡기부(111, 112) 각각에 걸림공(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공(114)은 흡기부(110)의 타측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locking hole 114 is form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take parts 111 and 112 so that both ends of the support 130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respectively. Can be. In this case, the locking hole 114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upper end of the intake part 110.

이에 따라, 지지대(130)의 일단이 제 1 흡기부(111)의 걸림공(114)을 관통하여 감겨질 수 있으며, 타단은 제 2 흡기부(112)의 걸림공(114)을 관통하여 감겨짐으로써, 비닐튜브(120)를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ly, one end of the support 130 may be wound through the locking hole 114 of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other end may be wound through the locking hole 114 of the second intake part 112. By loading,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vinyl tube 120.

또한, 흡기부(110)가 제 3 흡기부(113)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제 3 흡기부(113)에도 양단으로 걸림공(114)이 각각 형성되어, 제 1 흡기부(111)와 제 3 흡기부(113) 사이에는 양단이 각각 제 1 흡기부(111)와 제 3 흡기부(113) 각각의 걸림공(114)을 관통하여 감져질 수 있으며, 제 3 흡기부(113)와 제 2 흡기부(112) 사이에서는 양단이 각가 제 3 흡기부(113)와 제 2 흡기부(112) 각각의 걸림공(114)을 관통하여 감겨질 수 있도록 지지대(130)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ntake part 110 further includes the third intake part 113, locking holes 114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third intake part 113,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first intake part 113 3 Between the intake part 113, both ends may be wound through the locking holes 114 of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third intake part 113, respectively, and the third intake part 113 and the third intake part 113 2 Between the intake part 112, a plurality of supports 130 may be formed so that both ends may be wound through the locking holes 114 of each of the third intake part 113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

이로서, 지지대(130)는 각각의 흡기부 사이에 배치되는 비닐튜브(120)를 지속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발생되는 늘어짐으로 인해 비닐튜브(120)도 함께 처지는 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최소화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support 130 may more efficiently minimize the phenomenon that the vinyl tube 120 also sags due to sagging caused by continuously supporting the vinyl tube 120 disposed between each intake part.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지지대(130)를 기준으로 비닐튜브(120)를 접어 말아 올려 지지대(130)에 권치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튜브(120)를 어느 하나의 흡기부(110) 방향으로 편향시켜 부피를 줄임으로써, 흡기부(110)를 작동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vinyl tube 120 can be folded and rolled up on the basis of the support 130 as necessary and wound on the support 130, and as shown in FIG. 8, the vinyl tube ( By deflecting 120 in the direction of any one intake part 110 to reduce the volume, it can be easily arranged when the intake part 110 is not operated.

이로서, 본 발명에 따라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스(2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송풍장치(100)가 하우스(200)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하우스(200의 내부로 주입함으로써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Thus, the blowing device using a vinyl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house 200, as shown in Figure 9, in this case, a state in which the blowing device 100 is provided inside the house 200 Air can be circulated by sucking air from the outside of the furnace and injecting it into the inside of the house 200.

이때, 하우스(200)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양단이 지면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루프프레임(210)과 루프프레임(210)들을 상호 결속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종프레임(220)을 갖는 통상의 시설하우스 골격 구조체를 갖는다. 또한, 하우스(200)는 외면으로 유리나 플라스틱 또는 비닐이 씌워져 온실형태의 구조를 갖을 수 있다. 여기서, 하우스(200)는 루프프레임(210)과 종프레임(220)의 외면으로 비닐(230)이 씌워지는 형태인 '비닐하우스'일 수 있다. 또한, 하우스(200)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일부 비닐(230)을 필요에 따라 하우스(200)의 감아올림으로써 환풍창을 형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ouse 200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s a plurality of roof frames 210 fixed to the ground at both ends and a vertical frame 220 extending in a direction that binds the roof frames 210 to each other. It has a facility house skeleton structure. In addition, the house 200 may have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greenhouse by being covered with glass, plastic, or vinyl as an outer surface. Here, the house 200 may be a'green house' in which a vinyl 230 is cover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roof frame 210 and the vertical frame 220. In addition, in order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house 200 to the outside, some vinyl 230 may be rolled up of the house 200 as necessary to form a ventilation window.

이에 따라, 송풍장치(100)를 하우스(200) 내부에 구비하는 경우, 제 1 흡기부(111)와 제 2 흡기부(112)가 하우스(2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시키며, 제 3 흡기부(113)를 하우스(200)의 중앙에 위치시키도록 한다. 이때, 제 3 흡기부(113)은 필요에 따라 제 1 흡기부(111), 또는 제 2 흡기부(112)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도 있다.Accordingly, when the blower 100 is provided inside the house 200,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are respectively loc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ouse 200, and the third The intake part 113 is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house 200. In this case, the third intake part 113 may be located close to the first intake part 111 or the second intake part 112 as necessary.

또한, 송풍장치(100)를 하우스(200) 내부에 온도 및 습도에 따라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하우스(200)에는 센서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nsor unit 600 may be provided in the house 200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device 100 in the house 20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humidity.

센서부(600)는 일 예로, 하우스(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하우스(20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600)는 하우스(2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흡기부(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600)는 흡기부(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부(600)는 '온도센서'일 수 있다. 센서부(600)는 하우스(2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 온도 값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흡기부(110)로 트리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흡기부(110)가 제 1 흡기부(111), 제 2 흡기부(112) 및 제 3 흡기부(113)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 흡기부(111), 제 2 흡기부(112) 및 제 3 흡기부(1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트리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기부(110)는 센서부(600)로부터의 트리거 신호의 인가 여부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6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e 200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house 200. The sensor unit 6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ntake unit 110 by sen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e 200. The sensor unit 600 may be connected to the intake unit 110 by wire or wirelessly. The sensor unit 600 may be a'temperature sensor'. The sensor unit 600 senses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e 200 and may apply a trigger signal to the intake unit 110 when the detected temperature is detected above a preset reference temperature value. At this time, when the intake part 110 is composed of the first intake part 111, the second intake part 112, and the third intake part 113, the first intake part 111, the second intake part 112 And a trigger signal may be applied to at least one or more of the third intake unit 113. Accordingly, the intake unit 110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trigger signal from the sensor unit 600 is applied.

또한, 센서부(600)는 일 예로, 후술할 하우스(200)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600)는 흡기부(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600)는 하우스(200) 내부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 값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흡기부(210) 및 송풍부(230)로 트리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흡기부(110)가 제 1 흡기부(111), 제 2 흡기부(112) 및 제 3 흡기부(113)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 1 흡기부(111), 제 2 흡기부(112) 및 제 3 흡기부(1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트리거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기부(110)는 센서부(600)로부터의 트리거 신호의 인가 여부에 따라 작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or unit 600 may be, for example, a humidity sensor that detects humidity inside the house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nsor unit 600 may be connected to the intake unit 110 by wire or wirelessly.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600 may apply a trigger signal to the intake unit 210 and the air blower 230 when the humidity inside the house 200 is detected to be higher than a preset humidity value. At this time, the intake unit When 110 is composed of a first intake part 111, a second intake part 112, and a third intake part 113, the first intake part 111, the second intake part 112, and the third intake part A trigger signal may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units 113. Accordingly, the intake unit 110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trigger signal from the sensor unit 600 is applied.

이때, 센서부(600)의 트리거 신호에 따라 흡기부(110)가 작동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흡기부(111) 및 제 2 흡기부(11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비닐튜브(120)의 공기전달통로를 통해 제 3 흡기부(113)를 항하여 전달 및 배출공(121)으로 배출되며, 또한, 제 3 흡기부(113)를 통해 하우스(200)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제 1, 2 흡기부(111, 112)를 향하여 전달 및 배출공(121)으로 배출됨에 따라 하우스(200)의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intake unit 110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trigger signal of the sensor unit 600, as shown in FIG. 10, the air sucked through the first intake unit 111 and the second intake unit 112 is The air inside the house 200 is transmitted through the air transmission path of the vinyl tube 120 and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intake part 113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121, and also through the third intake part 113. The air of the house 200 may be circulated as is sucked and delivered to the first and second intake units 111 and 112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121.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스(200)의 양측 비닐(230)을 말아 올려 환풍창을 형성시킨 상태에서는 공기가 직접적으로 작물에 영향을 주지 않고, 환풍창을 향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in a state in which the vinyl 230 on both sides of the house 200 is rolled up to form a ventilation window, air can be easily discharged toward the ventilation window without directly affecting the crops. have.

따라서, 센서부(600)을 통해 하우스(200의 내부의 온도 또는/및 습도를 지속적으로 감지를 하며, 하우스(200) 내부의 온도 또는/및 습도의 변화에 따라 흡기부(1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한 온도 또는/및 습도 보다 그 이상으로 하우스(200)의 내부의 온도 또는/및 습도가 상승하지 않도록 적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시킴으로써, 하우스(200) 내의 재배작물의 적합한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nsor unit 600 continuously senses the temperature or/and humidity inside the house 200, and operates the intake unit 110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emperature or/and humidity inside the house 200. The user maintains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humidity so that the temperature or/and humidity inside the house 200 does not rise above the set temperature or/and humidity, thereby appropriate growth of the cultivated crops in the house 200. It can provide an environment.

또한, 공기전달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비닐튜브(120)와 비닐튜브(120)의 처짐 및 정리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 지지대(400)가 이용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숭풍장치(200)를 하우스(200)의 내부에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 및 철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400 is used to facilitate the sagging and tidying of the vinyl tube 120 and the vinyl tube 120 to form an air transmission path, the whole Sungpung device 200 is It can be constructed and demolished inside at low cost.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form it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are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송풍장치 110 : 흡기부
111 : 제 1 흡기부 112 : 제 2 흡기부
113 : 제 3 흡기부 114 : 걸림공
120 : 비닐튜브 121 : 배출공
130 : 지지대 140 : 마운트
200 : 하우스 210 : 루프프레임
220 : 종프레임 230 : 비닐
300 : 연결부 400 : 걸림띠
500 : 걸이부 600 : 센서부
100: blower 110: intake part
111: first intake part 112: second intake part
113: third intake part 114: engaging hole
120: vinyl tube 121: discharge hole
130: support 140: mount
200: house 210: roof frame
220: vertical frame 230: vinyl
300: connection part 400: locking strip
500: hook part 600: sensor part

Claims (9)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흡기부(110);와
상기 흡기부(110)와 연결되어 공기전달통로를 형성하는 비닐튜브(120); 및
상기 비닐튜브(120)를 관통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130)로 구성되되,
상기 흡기부(110)는 상호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제 1 흡기부(111) 및 제 2 흡기부(112)를 포함하고,
상기 비닐튜브(120)는 상기 제 1 흡기부(111) 및 상기 제 2 흡기부(112) 사이를 연결하며, 제 1, 2 흡기부(111, 112) 각각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전달하고,
제 1 흡기부(111) 및 제 2 흡기부(112)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흡기부(1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흡기부(113)는 상기 비닐튜브(120)를 통해 제 1, 2 흡기부(111, 112) 각각과 연결되어,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제 1, 2 흡기부(111, 112) 각각을 향하도록 전달하고, 상기 흡기부(110)에는 외부의 이물질 또는 빗물 등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엘보형의 마운트(140)가 더 구비되며, 다수개의 비닐튜브(120)를 연장하여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300)와 상기 연결부(300)로부터 비닐튜브(120)가 이탈되지 않도록 각각의 비닐튜브(120) 단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걸림띠(4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
An intake unit 110 for inhaling and discharging air; And
A vinyl tube 120 connected to the intake unit 110 to form an air transmission path; And
Consisting of a support 130 that can be supported through the vinyl tube 120,
The intake part 110 includes a first intake part 111 and a second intake part 112 provided to face each other,
The vinyl tube 120 connects between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and transfers air sucked from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take parts 111 and 112,
Further comprising a third intake part 113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take part 111 and the second intake part 112,
The third intake part 113 is connect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take parts 111 and 112 through the vinyl tube 120, and sucks air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intake parts 111 and 112. Each of the intake units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elbow-shaped mount 140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external foreign matter or rainwater, and a plurality of vinyl tubes 120 are extended to mutually A vinyl tub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part 300 for connection and a locking strip 400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end of the vinyl tube 120 so that the vinyl tube 120 is not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300 Blower device u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튜브(120)는 상기 흡기부(11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전달과정에서 배출될 수 있도록 좌우측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배출공(1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inyl tube 12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121 formed in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unit 110 can be discharged during the delivery process. Devic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140)의 일측 내부에는 흡기부(110)의 작동에 따라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버터플라이 형상의 벨브(14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blower device using a vinyl tube, characterized in that a butterfly-shaped valve 141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intake unit 110 is further provided inside one side of the mount 14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121)은 32mm 내지 34mm의 크기로 형성되고, 배출공(121)간의 간격은 20cm 내지150cm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discharge hole 121 is formed in a size of 32mm to 34mm,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discharge holes 121 is a blowing apparatus using a vinyl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ed by being arranged at a distance of 20cm to 150cm.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스(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스(200)의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 및 습도가 기설정된 온도값 또는 습도값 이상일 경우, 상기 흡기부(110)로 트리거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흡기부(110)는 상기 트리거 신호의 인가 여부에 따라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is provided inside the house 200 and detect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house 200, and when the sensed temperature and humid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emperature value or humidity value, a trigger signal to the intake unit 110 And
The intake unit 110 is a blowing device using a vinyl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trigger signal is applied.
제 1항, 제4항 또는 제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110)에는 냉방장치 또는 온열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튜브를 이용한 송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or 6 to 8,
A blower device using a vinyl tube, characterized in that a cooling device or a heating device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intake part 110.
KR1020200108857A 2020-08-27 2020-08-27 Blower using vinyl tube KR1022424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857A KR102242466B1 (en) 2020-08-27 2020-08-27 Blower using vinyl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857A KR102242466B1 (en) 2020-08-27 2020-08-27 Blower using vinyl tub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466B1 true KR102242466B1 (en) 2021-04-19

Family

ID=7571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857A KR102242466B1 (en) 2020-08-27 2020-08-27 Blower using vinyl tub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46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3700A (en) * 1993-03-04 1994-09-13 Aipii Tsusho:Kk Device for raising chicken
KR19980064585U (en) * 1997-04-30 1998-11-25 강희정 Wind Lake for Vinyl House
KR200193559Y1 (en) * 2000-03-29 2000-08-16 주식회사신흥콘트롤 Heating equipment of a vinyl-hothouse
KR200463072Y1 (en) * 2010-07-22 2012-10-18 이경임 Equipment house with air circulation equipment for improving cold and warmth effect
KR101780990B1 (en) 2016-03-31 2017-09-25 김명한 Blower unit for vinyl house
KR20180048050A (en) 2016-11-02 2018-05-10 조신제 A ventilator for Supplying outside air in vinyl house
KR20190063301A (en) 2017-11-29 2019-06-07 자동차부품연구원 Blower unit for vinyl hous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3700A (en) * 1993-03-04 1994-09-13 Aipii Tsusho:Kk Device for raising chicken
KR19980064585U (en) * 1997-04-30 1998-11-25 강희정 Wind Lake for Vinyl House
KR200193559Y1 (en) * 2000-03-29 2000-08-16 주식회사신흥콘트롤 Heating equipment of a vinyl-hothouse
KR200463072Y1 (en) * 2010-07-22 2012-10-18 이경임 Equipment house with air circulation equipment for improving cold and warmth effect
KR101780990B1 (en) 2016-03-31 2017-09-25 김명한 Blower unit for vinyl house
KR20180048050A (en) 2016-11-02 2018-05-10 조신제 A ventilator for Supplying outside air in vinyl house
KR20190063301A (en) 2017-11-29 2019-06-07 자동차부품연구원 Blower unit for vinyl ho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8852B2 (en) Greenhouse sidewall ventilation system
US20180125016A1 (en) Multi-level horizontal air flow distribution system
MX2012005610A (en)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BRPI0613961A2 (en) controlled ventilation air curing system
KR101525172B1 (en) Indoor temperature-humidity controlling apparatus
CN107593283A (en) A kind of White mushroom plantation frame and its application method
JP3227371U (en) Plant and mushroom breeding equipment
KR101779695B1 (en) Natural circulation type airhouse using geothermy
KR102151951B1 (en)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cultivating mushroom
KR102141718B1 (en) Ventilation Apparatus for cultivating mushroom
US20220192105A1 (en) Hvac system for hydroponic farm
KR102242466B1 (en) Blower using vinyl tube
CN105961341A (en) Intelligent fly breeding room
KR101396436B1 (en) Cultivation system of greenhouse plant
EP1553816B1 (en) Method of removing warm and/or moist air from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greenhouse
CN209732113U (en) Greenhouse is planted to controllable chinese-medicinal material of humiture
KR101263333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of facility horticulture by using air conditioner
US11957093B2 (en) Greenhouse
KR20210137389A (en) Cultivating apparatus
CN213044429U (en) Plant and fungus planting equipment
KR102147546B1 (en) Energy Saving Type Cultivation Chamber
CN106070070A (en) One is novel educates fly room
KR102520262B1 (en) Air conditioning device including a heater and indoor environmen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63301A (en) Blower unit for vinyl house
KR102209112B1 (en) Mushroom cultiv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