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951B1 -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cultivating mushroom - Google Patents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cultivating mushroo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1951B1 KR102151951B1 KR1020180105228A KR20180105228A KR102151951B1 KR 102151951 B1 KR102151951 B1 KR 102151951B1 KR 1020180105228 A KR1020180105228 A KR 1020180105228A KR 20180105228 A KR20180105228 A KR 20180105228A KR 102151951 B1 KR102151951 B1 KR 1021519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ushroom
- medium
- air
- water
- vertical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887 hydrat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456 HOTAI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e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754 Grower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9 length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9—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nvironment, e.g. sprinkl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재배용 수분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단에 지지부를 구비하여 다단으로 배열된 버섯배지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기둥; 양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분사노즐이 기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물분사부; 분사노즐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버섯배지의 위치와 버섯의 위치를 센싱하는 초음파 센서; 기둥의 내측을 따라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유로; 및 초음파 센서를 통해 센싱된 버섯배지와 버섯배지에 식생되는 버섯의 생육상태에 따라 물분사부의 각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정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upplying moisture for mushroom cultivation, comprising: a pillar extending upward of a mushroom medium arranged in multiple stages having a support at a lower end; A water spray unit having at least one or more spray nozzles disposed in both directions along the pillar; An ultrasonic sensor disposed adjacent to the spray nozzle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mushroom medium and the position of the mushroom; A flow path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along the inner side of the column; And an elevating driver for adjusting each position of the water spray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growth state of the mushroom medium and the mushroom vegetated on the mushroom medium sensed through the ultrasonic sensor.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섯 재배용 수분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버섯재배실의 환경을 버섯재배에 적합하도록 버섯배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버섯 재배용 수분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isture supply device for mushroom cultiv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isture supply device for mushroom cultivation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a mushroom medium so that the environment of the mushroom cultivation room is suitable for mushroom cultivation.
일반적으로 버섯재배사내의 온도와 습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키고 탄산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환기관리 작업은 실제로 매우 까다롭다. 느타리 또는 양송이 버섯재배사는 측창과 지붕에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측창과 천장배기구의 개방정도에 따라 환기가 이루어지는 자연환기가 보편적이다. 이와 같은 자연환기방법을 개선한 강제 환기방법은 버섯재배사 벽면에 송풍팬을 설치하고 타이머에 의해 버섯재배인의 재배경험에 따라 설정된 시간에 송풍팬을 작동시켜 환기를 이루는 방법이다.In general, ventilation management work to properly mainta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mushroom cultivation house and remove carbon dioxide gas is actually very difficult. Oyster or mushroom cultivation houses have vents installed on side windows and roofs, and natural ventilation is common depending on the degree of opening of side windows and ceiling vents. The forced ventilation method, which has improved the natural ventilation method, is a method of installing a blower fan on the wall of a mushroom cultivator and operating the blower fan at a set time according to the re-background experience of the mushroom grower by a timer to achieve ventilation.
자연화기방법의 경우에는 바람이 많이 부는 날씨나, 겨울철 추운날씨, 여름철 냉방하여 버섯을 재배할 때에는 버섯재배사내 온습도를 적절히 관리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외부공기의 온습도는 버섯재배에 적합한 환경조건과는 큰 차이가 있으므로 송풍기를 설치하여 환기를 할 경우에도 외부의 건조하며, 차거나 더운공기가 직접 들어오게 되므로 버섯재배사 내부온도와 습도에 급격한 변화를 주어 버섯의 생육저하 및 병해발생의 우려가 크다.In the case of the naturalization method, it is difficult to properly manag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mushroom cultivation company when growing mushrooms by cooling in windy weather, cold weather in winter, or cooling in summer. In general,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outside air is largely different from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suitable for mushroom cultivation, so even when ventilating by installing a blower, the outside dry, cold or hot air comes in directly, so there is a rapid change i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the mushroom cultivation company. By giving it, there is a great concern about the growth of mushrooms and the occurrence of diseases.
아직까지 버섯재배사의 환경관리방법은 보일러에 의한 난방, 가습기에 의한 습도조절, 환기팬에 의한 환기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As for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method of mushroom cultivation companies, heating by a boiler, humidity control by a humidifier, and ventilation by a ventilation fan are still used, but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재배사내의 탄산가스농도에 따른 환기의 자동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둘째, 겨울철 외부의 찬공기와 여름철 외부의 더운공기가 버섯재배사 내부공기와 직접 환기됨에 따라 환기열에너지 손실이 대단히 크다. 셋째, 외부공기가 재배사내부에 직접 유입되므로 재배사내의 공기 온습도가 급격히 변화한다. 넷째, 버섯재배 하는 계절의 외부공기는 건조하므로 버섯재배사 습도조절을 위해 충분하고 균일한 가습이 미흡한 실정이다.First, automatic control of ventilat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cultivation company is not performed. Second, ventilation heat energy loss is very large as cold air outside in winter and hot air outside in summer are directly ventilated with the air inside the mushroom cultivation house. Third, since outside air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cultivation house, the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cultivation house changes rapidly. Fourth, since the outside air during the mushroom cultivation season is dry, sufficient and uniform humidification for the humidity control of the mushroom cultivation is insufficient.
본 발명의 목적은 버섯재배실의 환경을 버섯재배에 적합하도록 버섯배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버섯 재배용 수분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isture supply device for mushroom cultivation capable of supplying water to a mushroom medium so that the environment of the mushroom cultivation room is suitable for mushroom cultiv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섯을 재배하는 버섯재배실에 다단으로 형성된 버섯배지 거치대에 배치된 버섯배지에 수분을 공급하는 버섯 재배용 수분공급 장치는 하단에 지지부를 구비하여 다단으로 배열된 버섯배지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기둥; 양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분사노즐이 기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물분사부; 분사노즐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버섯배지의 위치와 버섯의 위치를 센싱하는 초음파 센서; 기둥의 내측을 따라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유로; 및 초음파 센서를 통해 센싱된 버섯배지와 버섯배지에 식생되는 버섯의 생육상태에 따라 물분사부의 각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정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isture supply device for mushroom cultivation for supplying moisture to the mushroom medium arranged in the multi-stage mushroom medium holder in the mushroom cultivation room for cultivating mushroo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pport at the bottom A column extending upward of the mushroom medium arranged in multiple stages; A water spray unit having at least one or more spray nozzles disposed in both directions along the pillar; An ultrasonic sensor disposed adjacent to the spray nozzle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mushroom medium and the position of the mushroom; A flow path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along the inner side of the column; And an elevating driver for adjusting each position of the water spray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growth state of the mushroom medium and the mushroom vegetated on the mushroom medium sensed through the ultrasonic sensor.
여기서, 기둥은 소정간격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홀이 형성되며, 분사노즐은 슬릿홀 사이에 배치되어 승강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슬릿홀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Here, the pillar has a slit hol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injection nozzle is disposed between the slit holes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lit hol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elevating driver.
본 발명에 의한 버섯 재배용 수분공급 장치는 버섯배지에 따라 독립적으로 높이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버섯배지에 맞는 최적의 공기 및 물공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moisture supply device for mushroom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ptimum air and water supply environment suitable for each mushroom medium because the height can be independently changed according to the mushroom medium.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환기 장치의 물공급장치의 노즐의 상세도이다.
도 2는 도 5의 "A"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환기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환기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환기 장치의 조리개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환기 장치의 LED 조명의 배열상세도이다.1 is a detailed view of a nozzle of a water supply device of a ventilation device for mushroom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in FIG. 5.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ventilation device for mushroom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ventilation device for mushroom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erture of a ventilation device for mushroom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etailed arrangement of the LED lighting of the ventilation device for mushroom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 “on” means that it is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target part,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it is positioned above the direction of grav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환기 장치의 물공급장치의 노즐의 상세도이며, 도 2는 도 5의 "A" 부분 단면도이다.1 is a detailed view of a nozzle of a water supply device of a ventilation apparatus for mushroom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in FIG. 5.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장치(170)는 버섯에 기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기둥(171), 물분사부(172), 초음파 센서(173), 유로(174) 및 승강구동부(1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2, the
기둥(171)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에 지지부(1711)를 구비하여 다단으로 배열된 버섯배지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각 물분사부(172)의 분사노즐(1721)과 대응되는 위치에 슬릿홀(1712)이 형성된다. 슬릿홀(1712)은 상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분사노즐(1721)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The
기둥(171)은 중공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측에 유로(174)를 수용한 상태에서 기둥(171)의 내주면과 유로(174)의 외주면 사이에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는 공기 이동유로(F1)를 형성하며, 승강구동부(175)의 구동에 따른 물분사부(172)가 상하로 이동하더라도 외부로 돌출된 분사노즐(1721)의 외주면과 슬릿홀(1712)에 간극(G))이 형성된다. 따라서 그 간극(G)을 통하여 공기가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버섯배지에 효과적으로 공기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또한, 지지부(1711)는 하단에 구동바퀴(1714)를 구비하여 일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바퀴(1714)는 물분사부(172)를 통해 버섯배지에 제공되는 물공급량에 따라 자동으로 전후 이동하기 때문에 물이 한 곳에 집중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버섯배지(G)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물분사부(172)는 양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분사노즐(1721)과 기둥(171)에 형성된 슬릿홀(1712)의 간극(G)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버섯배지에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물분사부(172)는 버섯배지의 다단에 대응되도록 4개가 소정간격으로 적층배열된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그 다단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분사노즐(1721)은 외주면에 스파이럴 형상으로 공기유로홈(1722)이 형성된다. 또한, 물분사부(172)는 후술하는 유로(174)와 연통되는 일영역은 고정금속관(1723)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금속관(1723)은 후술하는 승강구동부(175)와 결합되어 고정금속관(1723)을 통해서 유로(174)의 길이조절부(1742)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유로홈(1722)은 후술하는 공기 이동유로(F1)를 통해 공기가 슬릿홀(1712)의 간극(G) 따라 이동할 때에, 분사노즐(1721)을 통해 통과하는 물의 토출압력을 증대시켜 물이 버섯배지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The
초음파 센서(173)는 분사노즐(172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버섯배지(B)의 위치와 버섯의 위치를 센싱한다.The
유로(174)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기둥(171)의 내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분사노즐(1721)과 각각 연결되는 연결노즐(1741)이 형성된다. 연결노즐(1741)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174)는 상하 각각의 방향으로 길이의 수축 및 확장이 가능한 자바라와 같은 길이조절부(1742)를 구비한다. 길이조절부(1742)는 초음파 센서(173)를 통해 각 배지에 필요한 높이가 확정되면, 승강구동부(175)를 통해 물분사부(172)의 분사노즐(1721)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켜 각 배지에 있는 버섯의 가장 적절한 위치에 물이 효과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The
유로(174)의 하단에서 물공급유로(1743)와 공기공급유로(1744)이 결합된다. 공기공급유로(1744)는 버섯배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유로(1743)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물공급유로(1744)를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물공급유로(1744)와 함께 이중관으로 형성된다. 공기공급노즐(1744)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추가공기 공급노즐(1354)의 제2 밸브(1356)의 개폐에 따라 이송되는 것으로서, 제어부(160)를 통해서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개폐됨으로써 내부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유로를 따라 물과 공기가 함께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버섯재배공간에 전체적으로 공기가 균일해지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물을 각 뱃지에 서로 독립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균일한 생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is way, by providing water and air together along the flow path, air can be formed to be uniform throughout the mushroom cultivation space, and by supplying water independently to each badge, a uniform growth state can be maintained.
승강구동부(175)는 초음파 센서(173)를 통해 센싱된 버섯배지(B)와 버섯배지에 재배되는 버섯의 생육상태에 따라 물분사부(172)의 각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정한다. The
승강구동부(175)는 각 물분사부(172)의 고정금속관(1723)과 연결되도록 기둥의 내부로 연통하여 결합되고, 외주면에 구동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고정금속관(1723)이 상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길이조절부(1742)의 길이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확장되거나 수축되면서 분사노즐(1721)의 토출방향을 조정하게 된다. 고정금속관(1723)은 금속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승강구동부(175)와 연결되어 상하측으로 이동하더라도 그 직경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토출되는 물의 분사량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elevating
승강구동부(175)는 각 버섯배지에 따라 독립적으로 높이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버섯배지에 맞는 최적의 공기 및 물공급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본 발명에서 물공급장치(170)는 하나가 배치된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버섯재배실(R)에 직렬로 연결되어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에 더하여, 물공급장치(170)는 버섯배지 측정부(1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버섯배지 측정부(180)는 기둥(171)의 외주면 분사노즐(172) 하측에 각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길이조절구(181) 및 버섯배지 센서(182)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길이조절구(181)는 버섯배지를 향하여 일방향으로 다단으로 돌출되며, 버섯배지 센서(182)는 버섯배지와 접촉하면서 버섯배지의 습윤상태를 센싱한다. 버섯배지 습도측정부(180)는 습도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버섯배지와의 접촉을 통해 측정된 버섯배지의 습윤상태를 바탕으로 분사노즐(172)에서 토출되는 물분사의 횟수, 물의 토출량 및 토출시간이 조정되도록 센싱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환기 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환기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환기 장치의 조리개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환기 장치의 LED 조명의 배열상세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ventilation device for mushroom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a ventilation device for mushroom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ventilation for mushroom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diaphragm of the device, and FIG. 6 is a detailed view of the arrangement of LED lighting of the ventilation device for mushroom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섯 재배용 환기 장치는 온습도 센서(110), 농도측정센서(120), 항습장치(130), LED 장치(140), IoT 카메라(150), 제어부(160), 물공급장치(170) 및 버섯배지 습도측정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하에서는 온습도 센서(110), 농도측정센서(120), 항습장치(130), LED 장치(140), IoT 카메라(150), 제어부(16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3 to 6, the ventilation device for mushroom cultiv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erature and
온습도 센서(110)는 버섯재배실에 구비되어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며, 버섯재배실의 전체 온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온습도 센서(110)는 IoT 기반으로 형성되어 서버(S)에 실시간으로 온습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농도측정센서(120)는 버섯을 재배할 때에 버섯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을 센싱하는 역할을 한다. 농도측정센서(120)는 IoT 기반으로 형성되어 서버(S)에 실시간으로 버섯재배실의 이산화탄소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온습도 센서(110) 및 농도측정센서(120)는 함체(H)의 외주면에 부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온습도 센서(110) 및 농도측정센서(120)는 버섯재배실의 실내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and
항습장치(130)는 버섯재배실의 온도, 습도 및 이산화탄소량을 기설정된 기준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외기유입관(131), 혼합챔버(132), 열교환기(133), 송풍기(134) 및 토출부(135)를 구비한다. 혼합챔버(132), 증발기(133), 송풍기(133)는 함체(H)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외기유입관(131)은 일단이 버섯재배실(R)의 외측에 위치하고, 타단이 버섯재배실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기를 버섯재배실(R)로 유입시킨다. 외기유입관(131)은 필터를 추가로 구비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The outside
혼합챔버(132)는 내측에 위치하는 외기유입관(131)의 타단과 연결되어 유입되는 외기와 함체(H)에 형성된 유입구(H1)를 통해 유입된 버섯재배실(R)의 내기를 혼합하여 제1 공기를 형성한다.Mixing
열교환기(133)는 혼합챔버(132)에 연결되어 제1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기설정된 조건으로 교환하여 제2 공기를 형성한다. 열교환기(133)는 공지된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The
송풍기(134)는 외기와 버섯재배실(R) 내측의 공기가 혼합챔버(132)로 유입되도록 하며, 제1 공기가 열교환기(133)를 따라 이송되도록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타측방향으로 제2 공기의 토출력을 발생시킨다.The
토출부(135)는 송풍기(134)를 통해 유출되는 제2 공기를 버섯재배실(R)의 외측 및 내측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버섯재배실(R)의 바깥으로 토출되는 배출관(1351)과 버섯재배실(R)의 내측으로 제2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유로(1352)로 분기되어 형성된다.The
덕트유로(1352)는 선단에 구동모터를 통해 구동되는 가변형 조리개(1353)가 배치된다. 가변형 조리개(1353)는 도 5와 같이 직경이 가변적으로 미세하게 조정되어 덕트유로(1352)로 유입되는 제2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가변형 조리개(1353)의 직경은 버섯재배실(R)의 이산화탄소농도 및 온습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되어 버섯재배실(R)로 토출되는 제2 공기량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가변형 조리개(1353)는 버섯재배실(R)로 전달되는 유로만 제어하게 되면, 바깥으로 토출되는 양을 별로도 조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스템을 보다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The
덕트유로(1352)는 물공급장치(170)로 분기되어 공기를 추가 공급하는 추가공기 공급유로(135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추가공기 공급유로(1354)는 물공급장치(170)를 통해서 버섯에 물이 공급될 때에 물과 함께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물의 분사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버섯의 수분이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추가공기 공급유로(1354)는 버섯재배실(R)의 실내환경 상태에 따라 공급되는 것으로서, 물공급장치(170)를 통해서 물이 공급될 때에 항상 같이 공급되는 것은 아니다.The
또한, 덕트유로(1352) 및 추가공기 공급유로(1354)는 각각 제1 밸브(1355) 및 제2 밸브(135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밸브(1355) 및 제2 밸브(1356)는 가변형 조리개(1353)를 통과한 공기가 덕트유로(1352) 또는 추가공기 공급유로(1354)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공기의 방향이 덕트팬을 통해서 전달되거나 물공급장치(170)를 통해서 전달될 수 있도록 공기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공기순환이 목적인 경우, 제1 밸브(1355)만 열리고 제2 밸브(1356)는 닫혀있게 된다. 그로 인해서, 덕트유로(1352)에 구비되는 복수의 덕트팬을 통해서 순환공기가 공급된다. 물공급이 목적인 경우, 제2 밸브(1356)만 열리고 제1 밸브(1355)는 닫혀 있게 된다. 그로 인해서, 물공급장치(170)를 통해서 물이 공급될 때에, 제2 공기가 함께 제공되면서 물의 공급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인 버섯재배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air circulation is the purpose, only the
LED 장치(140)는 버섯재배실(R)에 다단으로 형성된 버섯배지 거치대(141)의 각각의 층에 배치된 버섯배지에 LED 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LED 장치(140)는 서로 다른 파장대를 갖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칩(B)으로 형성된 LED 칩(142)이 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된다. 즉, 일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파장대를 갖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칩(B)이 차례대로 배열되어 LED 칩(142)이 형성되고, LED 칩(142)이 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된다. The
각각의 칩의 파장대는 청색 450 nm, 적색 650 nm, 녹색 525 nm으로 형성되어 독립적으로 제공되거나, 각 복수의 칩이 혼합되어 혼합광을 형성할 수 있다. 혼합광을 형성하는 경우, 청색광+적색광, 청색광+녹색광, 적색광+녹색광, 청색광+적색광+녹색광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광의 조합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LED 장치(140)는 버섯배지에서 상측으로 25 ~ 40cm 이내의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velength band of each chip is formed of 450 nm in blue, 650 nm in red, and 525 nm in green and provided independently, or a plurality of chips may be mixed to form mixed light. When the mixed light is formed,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blue light + red light, blue light + green light, red light + green light, blue light + red light + green light, and the combination method of the light is not limited thereto. The
이와 같이, 복수의 LED 칩은 버섯의 생장조건에 따라 복수의 칩을 선택적으로 발광하거나 혼합시켜 발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버섯의 종류 및 생장 조건을 고려하여 LED 칩(142)의 조합을 조정함으로써 버섯에 따라 최적의 생장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lurality of LED chips may emit light by selectively emitting or mixing the plurality of chips according to the growing condition of the mushroom. Therefore, by adjusting the combination of the
각 거치대(141)의 상측면에는 LED 칩(141)을 통해 제공되는 빛이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필름(143)이 배치될 수 있다. 거치대(141)는 대략적으로 판상의 판넬로 형성되기 때문에 LED 칩(142)을 통해 광이 제공되면 거치대(141)를 통해 하부로 빛이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로 빛이 전달되면, 하단에 위치하는 버섯배지에 더욱 많은 광량이 제공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광이 추가로 공급되어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차단필름(143)은 빛을 반사하는 것보다는 흡수할 수 있도록 흑색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blocking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단필름(143)은 하부로 빛이 전달되는 것을 완전히 차폐시키고, 각각의 공간을 완전히 독립된 공간으로 유지시킴으로써 LED 칩(142)에서 전달되는 빛이 각 독립된 거치대(141) 공간에서 집중적으로 비추어지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버섯 생장조건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The blocking
IoT 카메라(150)는 버섯재배실(R)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역할을 하며, 버섯재배실(R) 전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IoT 카메라(150)는 사용자 단말기(M)와 연동되어 사용자 단말기(M)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확대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되는 영상정보는 실시간으로 서버(S)에 저장된다. 서버(S)는 실시간 영상정보와 기저장된 버섯의 생장정보를 비교분석하여 현재 버섯의 생장상태가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저장된 생장정보는 기존의 생장상태와 빅데이터로 구현된 영상정보이며, 생장상태에 이상여부가 발생한 위치가 있다면, IoT 카메라(150)를 통해 해당 위치를 확대 촬영하고, 사용자 단말기(M)에게 전송하여 생장상태의 이상 여부를 알람으로 제공함으로써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The IoT camera 150 serves to photograph the mushroom cultivation chamber R in real time,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 so as to photograph the entire mushroom cultivation chamber R. The IoT camera 15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user terminal M to enlarge a location desir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M, and image information to be photographed is stored in the server S in real time. The server S compares and analyzes the real-time image information and the previously stored growth information of mushrooms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mushroom growth state is appropriate. The previously stored growth information is image information implemented with the existing growth state and big data, and if there is a location where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growth state, the corresponding location is enlarged through the IoT camera 150 and sent to the user terminal (M). It is possible to take immediate action by sending an alarm to indicat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growing state.
제어부(160)는 온습도 센서(110) 및 농도측정센서(120)를 통해 센싱된 온습도 및 이산화탄소량을 바탕으로 버섯재배실(R)과 외부로 토출되는 제2 공기 이동 양을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56)는 토출부(135)에 구비되는 조리개(1353)의 크기를 조절한다. 따라서 버섯재배실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유입되는 제2 공기량이 각각 결정되기 때문에 버섯재배실의 실내 온습도 및 이산화탄소량이 기설정된 값이 되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The
또한, 제어부(160)는 물공급장치(170)의 작동상태에 따라 제1 밸브(1355) 또는 제2 밸브(1356)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버섯재배실(R) 내부에 덕트팬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거나, 물공급장치를 통해 물과 함께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에 더하여, 제어부(160)는 전술한 버섯배지 측정부(180)를 통해 센싱된 버섯배지의 습윤상태를 바탕으로 분사노즐(172)에서 토출되는 물분사의 횟수, 물의 토출량 및 토출시간을 추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버섯재배실의 실내환경 뿐만 아니라 버섯배지도 최적의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최적의 버섯재배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specific examples to facilitat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10 : 온습도 센서 120 : 농도측정센서
130 : 항습장치 131 : 외기유입관
132 : 혼합챔버 133 : 열교환기
134 : 송풍기 135 : 토출부
140 : LED 장치 150 : IoT 카메라
160 : 제어부 170 : 물공급장치110: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20: concentration measurement sensor
130: humidity control device 131: outside air inlet pipe
132: mixing chamber 133: heat exchanger
134: blower 135: discharge part
140: LED device 150: IoT camera
160: control unit 170: water supply device
Claims (2)
하단에 지지부를 구비하여 다단으로 배열된 버섯배지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기둥;
양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분사노즐이 상기 기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물분사부;
상기 분사노즐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버섯배지의 위치와 버섯의 위치를 센싱하는 초음파 센서;
상기 기둥의 내측을 따라 상기 분사노즐과 연결되는 유로; 및
상기 초음파 센서를 통해 센싱된 상기 버섯배지와 상기 버섯배지에 식생되는 버섯의 생육상태에 따라 상기 물분사부의 각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정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은,
소정간격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홀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슬릿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슬릿홀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기둥의 내측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분사노즐에 연결되는 연결노즐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노즐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수축 및 확장이 가능한 자바라 구조의 길이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를 통해 각 배지에 필요한 높이가 확정되면, 각 배지에 있는 버섯의 적절한 위치에 물이 공급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수축 또는 확장되어 상기 분사노즐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재배용 수분 공급 장치.In the mushroom cultivation moisture supply device for supplying moisture to a mushroom medium arranged in a multi-stage mushroom medium holder in a mushroom cultivation room for growing mushrooms,
A pillar extending upward of the mushroom medium arranged in multiple stages by having a support at the lower end;
A water spray unit having at least one spray nozzle disposed in both directions along the pillar;
An ultrasonic sensor disposed adjacent to the spray nozzle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mushroom medium and the position of the mushroom;
A flow path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along the inner side of the pillar; And
Including; an elevation driving unit for adjusting each position of the water spray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growth state of the mushroom medium and the mushroom vegetation in the mushroom medium sensed through the ultrasonic sensor, and,
The pillar,
Slit hole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formed,
The injection nozzle,
It is disposed between the slit holes and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lit hol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elevating driver,
The flow path is,
A connection nozzl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ide of the column and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 is formed, and a length adjustment part of a bellows structure is formed tha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connection nozzle and is capable of contraction and expansion along the length direction,
The length adjustment unit,
When the height required for each medium is determined through the ultrasonic sensor, the mushroom is contracted or expanded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so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appropriate position of the mushroom in each medium to guide the spray nozzle upward or downward. Hydrating device for cultiv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5228A KR102151951B1 (en) | 2018-09-04 | 2018-09-04 |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cultivating mushroo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5228A KR102151951B1 (en) | 2018-09-04 | 2018-09-04 |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cultivating mushroo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7208A KR20200027208A (en) | 2020-03-12 |
KR102151951B1 true KR102151951B1 (en) | 2020-09-04 |
Family
ID=6980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5228A KR102151951B1 (en) | 2018-09-04 | 2018-09-04 |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cultivating mushroo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195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0064B1 (en) * | 2020-05-13 | 2022-09-16 | (주)케이앤제이 비전코리아 | Cocoon breeding automation device |
CN111903434B (en) * | 2020-08-18 | 2022-12-16 | 邵阳市云新高科农业开发有限公司 | Mushroom is planted and is used cultivation frame |
CN112219599A (en) * | 2020-10-16 | 2021-01-15 | 苏州煊凯智能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flower planting and breed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36298B2 (en) * | 1992-12-08 | 1998-04-02 | 株式会社クボタ | Nursery facilities |
JP3328366B2 (en) * | 1993-04-26 | 2002-09-24 | ニューデルタ工業株式会社 | Irrigation equipment |
KR20100002954U (en) | 2008-09-05 | 2010-03-15 | 김용희 | Mushroom medium sterilization and fermentation system |
-
2018
- 2018-09-04 KR KR1020180105228A patent/KR102151951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7208A (en) | 2020-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1951B1 (en) |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cultivating mushroom | |
US11412668B2 (en) |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 |
MX2012005610A (en) | Greenhouse and forced greenhouse climate control system and method. | |
KR101525172B1 (en) | Indoor temperature-humidity controlling apparatus | |
CN203764273U (en) | Artificial climate device | |
KR101889217B1 (en) | Air conditioning device for plant cultivation | |
KR102141718B1 (en) | Ventilation Apparatus for cultivating mushroom | |
KR20060118035A (en) | Ventilation apparatus for mushroom cultivation house | |
KR101779695B1 (en) | Natural circulation type airhouse using geothermy | |
EP2941952A2 (en) | Greenhouse provided with ventilation system | |
KR200483298Y1 (en) | Air guid chamber and air circulation system having the same | |
JPH05284860A (en) | Suction air device for plant culture house | |
KR200263476Y1 (en) | Cool and heat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house | |
KR101263333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of facility horticulture by using air conditioner | |
JP2001211763A (en) | Air conditioner of horticultural facility | |
KR101729170B1 (en) | A heating and cooling systems of circulation blower type for a greenhouse | |
TW201900007A (en) | Agricultural house | |
KR200392394Y1 (en) | Ventilation apparatus for mushroom cultivation house | |
KR102264424B1 (en) | Greenhouse ventilation system | |
KR102147546B1 (en) | Energy Saving Type Cultivation Chamber | |
CA3144288A1 (en) | Greenhouse | |
KR100345058B1 (en) | Control apparatu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mushroom cultivation shed | |
US20220192105A1 (en) | Hvac system for hydroponic farm | |
JP342737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ultivation environment in mushroom cultivation room | |
KR102051537B1 (en) | Low Power and High Efficiency Plant Factory for saving energ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