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501B1 - 이종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501B1
KR102241501B1 KR1020200139392A KR20200139392A KR102241501B1 KR 102241501 B1 KR102241501 B1 KR 102241501B1 KR 1020200139392 A KR1020200139392 A KR 1020200139392A KR 20200139392 A KR20200139392 A KR 20200139392A KR 102241501 B1 KR102241501 B1 KR 102241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hering
interface
terminal
management server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익동
조영중
Original Assignee
(주)한드림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드림넷 filed Critical (주)한드림넷
Priority to KR1020200139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501B1/ko
Priority to JP2021172528A priority patent/JP7266317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5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4L49/351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area network [LAN], e.g. Ethernet switches
    • H04L61/1511
    • H04L61/201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0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 H04L61/4511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standardised directories; using standardised directory access protocols using domain name system [D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종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은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 서버에 접속된 상태에서 테더링(tethering)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면,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강제로 비활성화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종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METHOD OF TERMINAL CONTROLL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INTERFACES AND APPARATUF THEREOF}
본 발명은 이종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L2 스위치, 산업용 장비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장비는 이더넷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그런데, 이더넷 통신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이더넷 통신 게이트웨이가 구비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통신 자체가 불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테더링은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를 이용하여, 다른 주변 기기에도 인터넷에 1:1 연결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테더링은 인터넷 통신 단말을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하기만 하면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하여 접근성이 좋다.
그런데, 네트워크 장비에 이더넷 통신 인터페이스와 테더링 통신 인터페이스와 같이 이종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라우팅 우선순위 문제로 새로 추가된 테더링 통신 인터페이스는 사용할 수 없다. 네트워크 장비에 테더링 통신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면, 네트워크 장비는 테더링 통신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테더링 단말을 디폴트 게이트웨이로 설정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장비는 이더넷 통신 게이트웨이와 테더링 단말이라는 두개의 디폴트 게이트웨이가 생성되므로, 이들 디폴트 게이트웨이에 대한 라우팅 우선순위 문제가 발생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종의 통신 인터페이스, 예를들어, 이더넷 인터페이스와 테더링 인터페이스가 동시에 활성화된 경우에,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우선 사용하도록 강제함으로써, 서로 다른 규격의 통신 인터페이스로 인한 충돌 문제를 해결하는 단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 특징에 따르면,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 서버에 접속된 상태에서 테더링(tethering)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면,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강제로 비활성화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이후,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의 연결 유무 또는 활성화 유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가 연결 또는 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관리 서버와의 통신을 유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가 연결 해지되거나 또는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관리 서버와의 통신 경로를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테더링 단말의 단말 식별자가 사전에 등록된 식별자인 경우,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비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테더링 단말로부터 IP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획득한 IP 주소를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에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IP 주소가 설정된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관리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IP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테더링 단말에게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테더링 단말로부터, 상기 테더링 단말에 의해 할당된 IP 주소를 포함하는 DHC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더링 단말에 의해 할당된 IP 주소는,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에 할당될 수 있다.
상기 DHCP 응답 메시지는, 상기 테더링 단말이 보유하는 사설망 IP 대역에서 선택된 제1 사설망 IP 주소 및 제2 사설망 IP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설망 IP 주소는,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에 할당되고, 상기 제2 사설망 IP 주소는, 상기 단말의 게이트웨이 주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DHCP 응답 메시지는, 상기 테더링 단말이 설정한 도메인 네임 서버의 주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에게 상기 관리 서버의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쿼리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로부터 수신한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접속할 수 있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는 이더넷 게이트웨이와 이더넷 통신으로 연결되는 이더넷 모듈, 테더링 단말과 테더링(tethering) 통신으로 연결되는 테더링 모듈, 이종의 통신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이더넷 모듈과 연결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 그리고 상기 테더링 모듈과 연결되는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와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가 동시 활성화되면,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를 우선하고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강제로 비활성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테더링 단말의 고유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할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확인한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유무에 따라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로 전환하고,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확인한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유무에 따라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더넷 통신 인터페이스와 테더링 통신 인터페이스가 동시에 활성화된 경우에도, 서로 다른 규격의 통신 인터페이스로 인한 충돌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더넷 통신 외에 테더링 통신도 가능하므로, 이동중이거나 네트워크 인프라, 즉, 게이트웨이 등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도,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통한 관리 서버와의 접속 경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서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통한 관리 서버와의 접속 경로를 나타낸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단말과 관리 서버 간의 접속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단말의 테더링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단말의 관리 서버와의 통신 경로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로 구성되고, 지정된 장소에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하드웨어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구성과 성능을 가진다. 프로그램은 도면들을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동작 방법을 구현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하고, 프로세서와 메모리 장치 등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본 발명을 실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송 또는 제공"은 직접적인 전송 또는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를 통해 또는 우회 경로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전송 또는 제공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로 기재된 표현은 "하나" 또는 "단일" 등의 명시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은 이상, 단수 또는 복수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도면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 은 언급된 구성 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임의의 실시예로 단독 구현될 수도 있고, 여러 실시예가 병합되거나 분할될 수도 있고, 각 실시예에서 특정 동작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통한 관리 서버와의 접속 경로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1에서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통한 관리 서버와의 접속 경로를 나타낸다.
이때, 단말 관리 시스템의 구성은 실시예에 따른 설명을 위해 필요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할 뿐 이러한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단말(100)은 게이트웨이(200)를 통하여 인터넷(300)에 접속할 수 있다. 인터넷(300)에는 관리 서버(400)가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 단말(100)은 인터넷(300)을 통해 관리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다.
호스트 단말(100)은 관리 서버(400)에 의해 관리되는 통신 장치이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호스트 단말(100)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예를들어, L2 이더넷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호스트 단말(100)은 관리 서버(400)와 연동하여 특정 기능 또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예를들어, 산업용 로봇,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더넷 게이트웨이(200)는 호스트 단말(100)과 인터넷(300) 사이에서 관문 역할을 하는 장비로서, 보통 L3 스위치가 사용된다. 이더넷 게이트웨이(200)는 호스트 단말(100) 및/또는 인터넷(300)으로부터 수신한 IP(internet protocol) 패킷의 DST(destination)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보고 패킷을 목적지로 전달한다.
관리 서버(400)는 관리자측에 설치된 서버 컴퓨터로서, 인터넷(300)을 통해 연결된 호스트 단말(100)로부터 호스트 단말(100)에 관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인터넷(300)에 접속된 호스트 단말(100)에 대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메모리, 디스크, 트래픽 등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조치를 취하는 NMS(Network Management Servic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호스트 단말(100)은 외부의 디바이스, 즉, 테더링 단말(500)을 통하여 인터넷(3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호스트 단말(100)은 테더링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테더링 단말(500)을 통하여 인터넷(300)에 연결된 관리 서버(400)로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테더링은 테더링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두 장치, 즉, 호스트 단말(100)과 테더링 단말(500) 중에서 인터넷(300)에 접속이 가능한 테더링 단말(500)이 호스트 단말(100)을 인터넷(300)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이때,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테더링 단말(500)이 호스트 단말(100)의 모뎀 역할을 하게 된다.
테더링 단말(500)은 통신 기능이 구비된 단말로서, 호스트 단말(100)과 테더링 인터페이스 연결이 가능하고 테더링 기능이 구비된 통신 장치로 정의된다. 예를들어, 테더링 단말(5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테더링 단말(500)은 이동통신 기지국(600) 및 이동통신 사업자 시스템(700)을 통해 인터넷(3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동통신 사업자 시스템(700)은 이동통신 사업자의 통신 국사 또는 엣지(Edge) 국사에 설치되는 코어(Core)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기지국(600)과 이동통신 사업자 시스템(700)을 통틀어 이동통신망이라 할 수 있다.
또는 테더링 단말(500)은 WiFi-AP(Access Point)(800)를 통하여 인터넷(300)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테더링 단말(500)에 연결된 호스트 단말(100)은 이동통신망(600, 700) 또는 WiFi-AP(Access Point)(800)를 통하여 인터넷(300)에 연결된 관리 서버(400)로 접속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600, 700) 및 WiFi-AP(800)는 DNS(Domain name server)(900)와 연결된다.
호스트 단말(100)은 관리 서버(400)의 IP 주소를 사전에 알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호스트 단말(100)은 사전에 저장된 관리 서버(400)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400)에 접속한다. 혹은, 호스트 단말(100)은 관리 서버(400)가 클라우드 서버일 경우, 관리 서버(400)의 주소를 도메인 네임 주소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호스트 단말(100)은 DNS(Domain name server)(900)에게 관리 서버(400)의 도메인 네임 주소로 쿼리하여 관리 서버(400)의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호스트 단말(100)은 이더넷 인터페이스만 활성화되어 있으면, 이더넷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인터넷(300)에 연결된 DNS(900)로부터 관리 서버(400)의 IP 주소를 획득한다.
또한, 호스트 단말(100)은 테더링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테더링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테더링 단말(500)로부터 할당받은 DNS(900)에게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 서버(400)의 도메인 네임 주소를 쿼리하여 대응하는 IP 주소를 수신한다.
테더링 단말(500)은 이동통신망(600, 700) 또는 WiFi-AP(800)를 통해 연결된 망은 공용망으로 인식하고, 호스트 단말(100)과의 테더링 네트워크는 사설망으로 인식하여, 호스트 단말(100)에 대한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를 수행한다.
이 경우, 테더링 단말(500)은 호스트 단말(100)에 대한 게이트웨이 및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 역할을 한다. 즉, 호스트 단말(100)이 테더링 단말(500)에게 DHCP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 테더링 단말(500)은 자신의 사설망 IP 대역에서 선택한 제1 사설망 IP 주소를 호스트 단말(100)의 테더링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할 IP 주소로 설정한다. 그리고 테더링 단말(500)에 할당된 사설망 IP 주소(이하, 제1 사설망 IP 주소와 구분하기 위해 제2 사설망 IP 주소로 기재함)를 게이트웨이 주소로 설정한다. 테더링 단말(500)은 제1 사설망 IP 주소, 제2 사설망 IP 주소와 함께 자신의 DNS 주소를 호스트 단말(100)에게 DHCP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DNS(900)는 인터넷(300)에 연결된 하나만 도시하였지만, 테더링 단말(500)과 연결된 DNS가 별개로 존재할 수도 있다.
테더링 단말(500)이 호스트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소스 IP 주소는 테더링 인터페이스에 할당한 제1 사설망 IP 주소로 되어 있고, 게이트웨이 주소는 테더링 단말(500)의 제2 사설망 IP 주소로 되어 있으며, 목적지 IP 주소는 관리 서버(400)의 IP 주소로 되어 있다. 테더링 단말(500)은 호스트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소스 IP 주소를 제1 사설망 IP 주소에서 테더링 단말(500)의 공중망 IP 주소로 NAT 변환하고 이를 관리 서버(400)로 전달한다.
테더링 단말(500)이 관리 서버(400)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의 목적지 IP 주소는 테더링 단말(500)의 공중망 IP 주소로 되어 있다. 따라서, 목적지 IP 주소를 제1 사설망 IP 주소로 NAT 변환하고, 이를 호스트 단말(100)로 전달한다.
호스트 단말(100)은 이더넷 인터페이스 또는 테더링 인터페이스중에서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관리 서버(400)로 접속하여 통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호스트 단말(100)이 테더링 단말(500)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호스트 단말(100)은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게이트웨이(200)로 접속한다. 호스트 단말(100)은 '호스트 단말(100) ↔ 게이트웨이(200) ↔ 인터넷(300) ↔ 관리 서버(400)'의 경로로 관리 서버(400)와 접속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호스트 단말(100)이 테더링 단말(500)과 연결된 상태이다. 이때, 호스트 단말(100)은 이더넷 인터페이스 외에도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구비한다. 호스트 단말(100)은 두개의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경우,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우선 사용하도록 강제한다. 호스트 단말(100)은 테더링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테더링 단말(500)을 통해 인터넷(300)에 접속한다. 호스트 단말(100)은 '호스트 단말(100) ↔ 테더링 단말(500) ↔ 이동통신망(600, 700) 또는 WiFi-AP(800) ↔ 인터넷(300) ↔ 관리 서버(400)'의 경로로 관리 서버(400)와 접속된다.
도 4는 한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종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호스트 단말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호스트 단말(100)은 이더넷 모듈(101), 이더넷 인터페이스(103), 테더링 모듈(105), 테더링 인터페이스(107), 테더링 인터페이스 제어부(109) 및 단말 통신 제어부(111)를 포함한다. 즉, 호스트 단말(100)은 이종의 통신 방식, 즉, 이더넷 통신 방식과 테더링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인터넷(30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더넷 모듈(101)은 이더넷 케이블과 연결되기 위한 접속 포트(또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연결된 이더넷 케이블을 통해 게이트웨이(2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더넷 모듈(101)은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독립된 칩셋(Chipset), 예를들어, ENC28J60 칩셋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더넷 인터페이스(103)는 이더넷 모듈(101) 및 단말 통신 제어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단말 통신 제어부(111)가 이더넷 모듈(101)에 연결된 게이트웨이(200)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한다. 호스트 단말(100)의 통신은 이더넷 통신이 디폴트 통신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더넷 인터페이스(103)는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이더넷 인터페이스(103)에는 고정 IP가 할당되어 있거나 또는 DHCP 서버(미도시)를 통하여 획득된 IP가 할당될 수도 있다. 이때, DHCP 서버(미도시)는 인터넷(3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호스트 단말(100)은 이더넷 게이트웨이(200)-인터넷(300)을 통해 DHCP 서버(미도시)로 접속하여 호스트 단말(100)의 동적 IP를 할당받아 이를 이더넷 통신에서 사용할 수 있다.
테더링 모듈(105)은 테더링 단말(500)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하드웨어에 해당된다. 테더링 모듈(105)은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105A) 및/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05B)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05B)은 블루투스 모듈, WiFi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05B)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테더링 단말(500)과 연결되는 하드웨어로서, 통신 칩셋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는 테더링 단말(500)과 연결되어 호스트 단말(100)에 테더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테더링 모듈(105), 테더링 인터페이스 제어부(109) 및 단말 통신 제어부(111)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연결된다.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는 단말 통신 제어부(111)가 테더링 모듈(105)에 연결된 테더링 단말(500)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는 USB 포트(105A)와 연결되는 USB 인터페이스(107A) 및/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05B)과 연결되는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107B)를 포함할 수 있다.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는 네트워크 드라이버 프로그램, 즉, USB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테더링 인터페이스 제어부(109)는 테더링 모듈(105)과 테더링 단말(500) 간의 연결이 감지되면,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를 생성한다. 테더링 인터페이스 제어부(109)는 테더링 모듈(105)과 테더링 단말(500) 간의 연결이 해제되면,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를 삭제한다.
단말 통신 제어부(111)는 이더넷 인터페이스(103) 또는 테더링 인터페이스(107)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이더넷 인터페이스(103)와 테더링 인터페이스(107)가 동시 생성되어 있으면, 디폴트 게이트웨이가 2개가 되므로 라우팅 우선순위 문제가 발생하므로, 새로 생성된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로 통신이 불가능하게 된다.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는 이더넷 인터페이스(103)가 생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추가로 생성된다. 그런데, 이더넷 인터페이스(103)로 통신하고 있는 상태라면, 호스트 단말(100)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이더넷 인터페이스(103)의 IP 주소, 게이트웨이(200)의 IP 주소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스트 단말(100)은 테더링 단말(500)로부터 테더링 인터페이스(107)에 사용할 IP 주소, 게이트웨이 IP 주소, DNS 서버 주소를 할당받는다. 그런데, 디폴트 게이트웨이는 통신 인터페이스 별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므로, 호스트 단말(100) 입장에서는 두개의 디폴트 게이트웨이가 존재하게 된다. 이런 경우, 호스트 단말(100)은 두개의 디폴트 게이트웨이, 즉, 이더넷 게이트웨이(200)와 테더링 단말(500)로 부하 분산하여 통신하려고 시도하므로, 결국 정상적인 통신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단말 통신 제어부(111)는 이더넷 인터페이스(103) 및 테더링 인터페이스(107)가 동시 생성 또는 동시 활성화된 경우, 이더넷 인터페이스(103)를 비활성화하고 테더링 인터페이스(107)의 활성화를 우선한다. 이후, 테더링 기능이 비활성 상태이고 테더링 인터페이스(107)가 삭제되면, 이더넷 인터페이스(103)와의 연결을 복원한다.
테더링 인터페이스 제어부(109)는 테더링 모듈(105)에 테더링 단말(500)이 연결되고 테더링 단말(500)에서 테더링 서비스를 활성화 하면,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를 자동으로 생성하지만, 호스트 단말(100)의 테더링 기능이 비활성 상태로 되어 있을 경우, 테더링 단말(500)이 연결되어 있어도 테더링 통신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 통신 제어부(111)는 테더링 연결 상태, 테더링 단말(500)의 테더링 서비스를 활성화 상태 및 호스트 단말(100)의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 상태를 모두 확인하고 관리 서버(400)와의 접속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테더링 연결 상태는 테더링 모듈(105)과 테더링 단말(500) 간의 물리적인 연결 유무 및 테더링 단말(500)의 테더링 서비스를 활성화 상태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호스트 단말(100)의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 상태는 단말 통신 제어부(111)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확인되는데, 단말 통신 제어부(111)는 운용자 설정에 따른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통신 제어부(1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로부터 운용자의 메뉴 설정을 통해 테더링 기능의 활성화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단말 통신 제어부(111)는 테더링 인터페이스(107)의 생성 유무 및/또는 활성화 유무에 기초하여 관리 서버(400)와의 접속 경로를 결정하거나 또는 현재 접속 경로를 유지할지 판단할 수 있다.
단말 통신 제어부(111)는 테더링 인터페이스(107)가 생성되지 않은 상태 및/또는 비활성 상태에서는 이더넷 인터페이스(103)를 사용하는 경로, 즉, 도 2의 경로를 디폴트 경로로 설정한다.
단말 통신 제어부(111)는 이더넷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관리 서버(400)에 접속된 상태에서, 테더링 인터페이스(107)가 생성 및/또는 활성화되면, 이더넷 인터페이스(103)를 통한 관리 서버(400)와의 접속 경로를 강제로 차단한다. 그리고 단말 통신 제어부(111)는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를 사용하는 경로, 즉, 도 3의 경로를 강제 설정한다. 그러면, 단말 통신 제어부(111)는 호스트 단말(100)의 데이터를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로만 출력하고,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만 입력받아 처리한다.
단말 통신 제어부(111)는 테더링 인터페이스(107)가 삭제 및/또는 비활성화되면, 이더넷 인터페이스(101)를 활성화시키고 이더넷 인터페이스(103)를 사용하는 경로, 즉, 도 2의 경로를 관리 서버(400)와의 접속 경로로 복원한다.
이와 같이, 단말 통신 제어부(111)는 테더링 인터페이스(107)의 생성 유무 및/또는 활성화 유무에 기초하여, 관리 서버(400)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경로를 도 2 또는 도 3의 경로 중 하나로 스위칭한다.
단말 통신 제어부(111)는 호스트 단말(100)이 사용할 테더링 단말(500)의 고유 식별자를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고유 식별자는 테더링 단말(500)의 제품 일련번호 또는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통신 제어부(111)는 테더링 단말(500)과 연결되더라도, 테더링 단말(500)의 고유 식별자가 사전에 설정된 고유 식별자가 아니라면,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로의 연결을 차단한다.
호스트 단말(100)이 테더링 단말(500)과 연결되고 테더링 단말(500)에서 테더링 서비스를 활성화하면, 테더링 인터페이스(107)가 생성되는데, 이때, 테더링 인터페이스 제어부(109)는 테더링 단말(500)의 고유 식별자를 확인하여 등록된 테더링 단말(500)인지를 확인한다. 테더링 인터페이스 제어부(109)는 테더링 단말(500)의 고유 식별자를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를 통해 테더링 단말(500)에 질의하여 획득할 수 있다. 등록된 테더링 단말(500)로 확인되면, 테더링 인터페이스 제어부(109)는 테더링 인터페이스(107)에 고유 이름(예, USB0)을 할당한다.단말 통신 제어부(111)는 관리 서버(400)와 통신을 위해 호스트 단말(100)에 관리 서버(400)의 IP 주소 혹은 관리 서버(400)의 도메인 네임 주소(DNS 주소)를 설정할 수 있다.
테더링 인터페이스 제어부(109) 및 단말 통신 제어부(111)는 호스트 단말(100)에 임베디드된 프로그램이거나 또는 관리 서버(500)로부터 다운로드된 설치 프로그램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5는 한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단말과 관리 서버 간의 접속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호스트 단말(100)은 관리 서버(400)와의 통신 경로를 이더넷 인터페이스(도 4의 103)를 사용하는 통신 경로(도 2에 도시함)를 디폴트(Default)로 설정한다(S101). 따라서, 호스트 단말(100)은 이더넷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관리 서버(400)와 접속되어 통신한다(S103).
호스트 단말(100)은 테더링 단말(500)과 연결(S105)되면, 테더링 인터페이스(도 4의 107)를 생성한다(S107). 호스트 단말(100)은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로 연결된 테더링 단말(500)로부터 테더링 단말(500)의 고유 식별자를 획득한다(S109).
호스트 단말(100)은 S109에서 획득한 고유 식별자가 등록된 주소인지 판단한다(S111). 등록된 고유 식별자가 아니라면, 호스트 단말(100)은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를 통한 관리 서버(400)로의 접속(도 3에 도시함)은 불허 또는 차단 설정한다(S113).
반면, 등록된 고유 식별자라면, 호스트 단말(100)은 테더링 인터페이스(107)에 관리 서버(400)로의 접속을 위한 고유 식별자(예, USB 0)를 할당(S115)한다. 테더링 인터페이스(107)의 고유 식별자는 DHCP 기능 및 DNS 기능에서 호스트 식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고유 식별자는 호스트 단말(100)에 설정된 경우로 설명하였지만, 기본적으로 호스트 단말(100)은 이더넷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관리 서버(400)에 접속이 되어 있으므로, 관리 서버(400)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즉, 호스트 단말(100)에 연결 가능한 테더링 단말(500)의 고유 식별자는 관리 서버(400)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S109와 S111 사이에, 호스트 단말(100)은 관리 서버(400)에게 S109에서 획득한 고유 식별자를 전달하고 등록된 단말인지를 문의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전달받은 고유 식별자가 등록된 고유 식별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호스트 단말(100)에 응답할 수 있다. 호스트 단말(100)은 관리 서버(400)의 응답에 기초하여, S111을 수행할 수 있다.
호스트 단말(100)은 DHCP 요청 메시지를 테더링 단말(500)로 전달(S117)한다. 이때, DHCP 요청 메시지에는 테더링 인터페이스(107)의 이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테더링 단말(500)은 자신이 보유한 사설망 IP 대역에서 제1 사설망 IP 주소,제2 사설망 IP 주소를 선택하고, 제1 사설망 IP 주소를 호스트 단말(100)의 게이트웨이 주소로 설정하고, 제2 사설망 IP 주소를 호스트 단말(100)의 테더링 인터페이스(107)에서 사용할 IP 주소로 설정하며, 이러한 제1 사설망 IP 주소, 제2 사설망 IP 주소와 함께 자신의 DNS 주소를 호스트 단말(100)에게 DHCP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전송한다. DNS 주소는 DNS(900)의 주소일 수도 있고, 이동통신 사업자 시스템(700)에 연결된 로컬 DNS(미도시)의 주소일 수도 있다.
호스트 단말(100)은 테더링 단말(500)로부터 S119에서 할당한 IP 주소들을 포함하는 DHC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121).
호스트 단말(100)은 S121에서 수신한 DHCP 응답 메시지에 수록된 제2 사설망 IP 주소를 테더링 인터페이스(107)에 설정한다(S125).
호스트 단말(100)은 관리 서버(400)의 도메인 네임을 포함하는 DNS 쿼리 메시지를 S121에서 수신한 DHCP 응답 메시지에 수록된 DNS 주소로 전송하는데, 이러한 DNS 쿼리 메시지는 테더링 단말(500)을 통해 전송된다(S127). 이때, 테더링 단말(500)은 DNS(900)를 사용하는 것으로 기재하였다.
DNS(900)는 관리 서버(400)의 도메인 네임에 대응하는 IP 주소를 포함하는 DNS 응답 메시지를 테더링 단말(500)을 통해 호스트 단말(100)로 전송한다(S129, S131).
호스트 단말(100)은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로 연결된 테더링 단말(500)을 통하여 S131에서 수신한 관리 서버(400)의 IP 주소를 사용하여 관리 서버(400)로 접속한다(S133).
도 6은 한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단말의 테더링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 4의 테더링 인터페이스 제어부(109)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테더링 인터페이스 제어부(109)는 테더링 연결이 감지(S201)되면,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S203).
테더링 인터페이스 제어부(109)는 테더링 연결 해제가 감지(S205)되면,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삭제한다(S207).
이와 같이, 테더링 인터페이스 제어부(109)는 테더링 연결 유무에 다라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생성 및 삭제한다.
도 7은 한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단말의 관리 서버와의 통신 경로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 6의 단계들과 연관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통신 제어부(111)는 기 설정된 주기가 도래하면(S301), 테더링 인터페이스 제어부(109)에게 테더링 인터페이스 연결 상태를 쿼리한다(S303).
테더링 인터페이스 제어부(109)는 도 6에서 설명한 동작을 수행하며, 현재 테더링 인터페이스(도 4의 107)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응답한다(S305).
도 6에서 S203 단계 이후에 S303의 쿼리가 수신되었다면, "테더링 인터페이스 연결 상태=연결"로 응답한다(S305).
도 6에서 S207 단계 이후에 S303의 쿼리가 수신되었다면, "테더링 인터페이스 연결 상태=연결 해제"로 응답한다(S305).
통신 제어부(111)는 S305에서 수신한 테더링 인터페이스 연결 상태가 활성 상태 또는 연결 상태인지 판단(S307)한다.
S307에서 연결 또는 활성 상태가 아니라면, 통신 제어부(111)는 호스트 단말(100)과 관리 서버(400) 간의 통신 경로를 이더넷 인터페이스(도 4의 103)로 유지하거나 또는 이더넷 인터페이스(103)로 스위칭한다(S309). 즉, 통신 제어부(111)는 현재 통신 경로가 이더넷 인터페이스(103)를 사용하고 있다면, 통신 경로를 이더넷 인터페이스(103)로 유지하고, 현재 통신 경로가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를 사용하고 있다면, 통신 경로를 테더링 인터페이스(107)에서 이더넷 인터페이스(103)로 스위칭한다.
S307에서 연결 또는 활성 상태라면, 통신 제어부(111)는 호스트 단말(100)과 관리 서버(400) 간의 통신 경로를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로 유지하거나 또는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로 스위칭한다(S311). 즉, 현재 통신 경로가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를 사용하고 있다면, 통신 경로를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로 유지하고, 현재 통신 경로가 이더넷 인터페이스(103)를 사용하고 있다면, 통신 경로를 이더넷 인터페이스(103)에서 테더링 인터페이스(107)로 스위칭한다.
한편,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조도로서, 도 1 ~ 도 7에서 설명한 호스트 단말(100) 및/또는 테더링 단말(500)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장치(1100)로 구현될 수 있고, 본 개시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instructions)이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1000)의 하드웨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3), 스토리지(1005), 통신 인터페이스(1007)를 포함할 수 있고, 버스(Bus)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등의 하드웨어가 포함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0)는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운영 체제를 비롯한 각종 소프트웨어가 탑재될 수 있다.
프로세서(1001)는 컴퓨팅 장치(10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컴퓨터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들, 즉, 즉, 테더링 인터페이스 제어부(109), 단말 통신 제어부(111)의 동작을 처리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서일 수 있고,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 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01)는 위에서 설명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003)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003)는 앞서 도 1 ~ 도 7에서 설명한 설정 정보, 즉, 등록된 테더링 단말(500)의 고유 식별자, 테더링 기능 설정 정보, DHCP 서버(900)의 IP 주소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03)는 본 개시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이 프로세서(1001)에 의해 처리되도록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을 스토리지(1005)로부터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1003)는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 일 수 있다. 스토리지(1005)는 본 개시의 동작을 실행하는데 요구되는 각종 데이터, 컴퓨터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05)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05)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스토리지(1005)는 단말(100, 500)의 내부 저장소일 수 있으며, 스토리지(1005)는 이더넷 드라이버 프로그램, 테더링 드라이버 프로그램 및 내부 저장소인 스토리지(1005)로의 접근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007)는 게이트웨이(200), 인터넷(300), 테더링 단말(500)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동작하는 에이전트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각종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호스트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상기 호스트 단말과 관리 서버 간의 디폴트 통신 인터페이스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테더링(tethering)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면,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테더링 단말로부터 단말 식별자를 획득하여, 상기 단말 식별자가 상기 호스트 단말 또는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된 식별자인지 판단하는 단계,
    등록된 식별자이면,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강제로 비활성화하고,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의 연결 유무 또는 활성화 유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가 연결 또는 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관리 서버와의 통신을 유지하는 단계,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가 연결 해지되거나 또는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호스트 단말과 상기 관리 서버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로 전환된 이후,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의 연결 유무 또는 활성화 유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가 연결 또는 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강제로 비활성화하고 상기 관리 서버와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가 연결되지 않거나 또는 비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단말은,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거나 또는 상기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특정 기능 또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인, 동작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테더링 단말로부터 IP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획득한 IP 주소를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에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IP 주소가 설정된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관리 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동작 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IP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테더링 단말에게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테더링 단말로부터, 상기 테더링 단말에 의해 할당된 IP 주소를 포함하는 DHC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테더링 단말에 의해 할당된 IP 주소는,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는, 동작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DHCP 응답 메시지는,
    상기 테더링 단말이 보유하는 사설망 IP 대역에서 선택된 제1 사설망 IP 주소 및 제2 사설망 IP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설망 IP 주소는,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에 할당되고,
    상기 제2 사설망 IP 주소는, 상기 단말의 게이트웨이 주소로 사용되는, 동작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DHCP 응답 메시지는,
    상기 테더링 단말이 설정한 도메인 네임 서버의 주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에게 상기 관리 서버의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쿼리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도메인 네임 서버로부터 수신한 IP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 서버로 접속하는, 동작 방법.
  8. 이더넷 게이트웨이와 이더넷 통신으로 연결되는 이더넷 모듈,
    테더링 단말과 테더링(tethering) 통신으로 연결되는 테더링 모듈,
    이종의 통신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이더넷 모듈과 연결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 그리고 상기 테더링 모듈과 연결되는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디폴트 통신 인터페이스로 설정하고,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와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가 동시 활성화되면,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를 우선하고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강제로 비활성하고,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테더링 단말로부터 획득한 단말 식별자가 등록된 식별자이면,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의 연결 유무 또는 활성화 유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가 연결 또는 활성화 상태이면,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관리 서버와의 통신을 유지하고,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가 연결 해지되거나 또는 비활성화 상태이면, 호스트 단말과 상기 관리 서버 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로 전환하고,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확인한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유무에 따라 상기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테더링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이더넷 통신 또는 상기 테더링 통신으로 접속된 관리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호스트 단말의 동작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특정 기능 또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단말의 동작을 지시하는 프로그램을 추가로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39392A 2020-10-26 2020-10-26 이종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KR102241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392A KR102241501B1 (ko) 2020-10-26 2020-10-26 이종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JP2021172528A JP7266317B2 (ja) 2020-10-26 2021-10-21 異種の通信インターフェースを制御する端末の動作方法およびその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392A KR102241501B1 (ko) 2020-10-26 2020-10-26 이종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501B1 true KR102241501B1 (ko) 2021-04-16

Family

ID=7574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392A KR102241501B1 (ko) 2020-10-26 2020-10-26 이종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266317B2 (ko)
KR (1) KR1022415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3147A (zh) * 2021-07-16 2021-10-22 杭州迈冲科技有限公司 基于Android系统的以太网共享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7797A (ko) * 2008-06-23 2011-03-1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프로세서 컴퓨팅 환경에서 데이터 서비스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113001A (ko) * 2011-04-04 2012-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무선 융합용 정보 보호 단말기 및 정보 보호 통신 방법
KR101690498B1 (ko) * 2015-07-24 2016-12-28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스위치에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이를 사용한 스위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355732B2 (en) 2013-11-27 2017-04-13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6444964B2 (ja) 2016-11-30 2018-12-26 株式会社パイオリンクPiolink, Inc. スイッチのネットワークを設定する方法、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と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7797A (ko) * 2008-06-23 2011-03-1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프로세서 컴퓨팅 환경에서 데이터 서비스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20113001A (ko) * 2011-04-04 2012-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무선 융합용 정보 보호 단말기 및 정보 보호 통신 방법
KR101690498B1 (ko) * 2015-07-24 2016-12-28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스위치에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이를 사용한 스위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3147A (zh) * 2021-07-16 2021-10-22 杭州迈冲科技有限公司 基于Android系统的以太网共享方法
CN113543147B (zh) * 2021-07-16 2024-02-13 杭州迈冲科技有限公司 基于Android系统的以太网共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70227A (ja) 2022-05-12
JP7266317B2 (ja)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2926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AU76551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USB interface
US20120311184A1 (en) IP Address Assignment System,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Server, And Method Of Assigning An IP Address
US106305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networking of gateway device
US98177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changing USB information with selected remote devices
US20110153879A1 (en) Method for accessing usb device attached to home gateway, home gateway and terminal
US9025562B2 (en) Local mobility solution with wired and wireless interface switching
EP246996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inter-network roam, querying and attaching network
WO2020001281A1 (zh) 一种TBox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241501B1 (ko) 이종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및 그 장치
KR101853398B1 (ko)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서버접속 등록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8510538A (ja) ネットワーク共有実施方法及び装置
JP2018512808A (ja) アクセスポイント間の自動切り替え方法、及び無線ルーティング装置
CN100423503C (zh) 通信适配器切换方法和设备
JP2013005110A (ja) 仮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構成変更方法、トンネル終端装置、トンネル接続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4169859A1 (zh) 一种网络数据的处理方法、终端和数据卡
CN105429884A (zh) 通过终端来管理不同网络中路由器的方法和系统
KR20060069886A (ko) 이동 통신 단말, 이동 통신 관리 장치,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통신용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및 이동 통신 방법
CN104796883A (zh) 通信方法、无线接入点、无线控制器及通信系统
JP2015171088A (ja) ネットワーク中継装置
JP2003283536A (ja) 携帯型ルータ装置
KR20060018539A (ko) 전력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억세스 포인트
JP6052876B2 (ja) 中継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WO2016090858A1 (zh) 网络设备及网络适配方法、计算机存储介质
JP2003018184A (ja) 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