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308B1 -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308B1
KR102241308B1 KR1020200100733A KR20200100733A KR102241308B1 KR 102241308 B1 KR102241308 B1 KR 102241308B1 KR 1020200100733 A KR1020200100733 A KR 1020200100733A KR 20200100733 A KR20200100733 A KR 20200100733A KR 102241308 B1 KR102241308 B1 KR 102241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이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이비
Priority to KR1020200100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용자 단말기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한 것으로써,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실물 매체에 부착된 인증 스티커를 스캔하여 인증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정보,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인증정보가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고, 정당한 것인지 여부를 관리서버가 결정하는 단계, 인증정보가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며 정당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관리서버가 제 1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SYSTEM FOR STREAMING CONTEN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실물 매체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를 스트리밍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과거에는 테이프, CD(Compact Disc), DVD(Digital Video Disc), 블루레이(Blu-ray) 디스크와 같은 저장매체를 통해 음반이 발매되었다.
하지만, 최근 스트리밍 콘텐츠가 보편화되었으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는 DVD와 같은 저장매체를 재생시킬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콘텐츠를 즐기기 위하여 스트리밍 콘텐츠를 많이 이용한다.
하지만, 저장매체를 구매한 사용자가 스트리밍 콘텐츠를 중복적으로 구매해야 하므로,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본 개시의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실물 매체에 부착된 인증 스티커를 스캔하여 인증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정보,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인증정보가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고, 정당한 것인지 여부를 관리서버가 결정하는 단계, 인증정보가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며 정당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관리서버가 제 1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관리서버는 인증 스티커를 스캔하여 획득된 인증정보를 미리 결정된 주기로 제 1 사용자 단말기에 요청하는 단계, 관리서버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 스티커를 스캔하여 인증정보를 획득해야 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인증 스티커를 스캔하여 획득된 인증정보,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재수신하는 단계, 재수신된 인증정보가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며 정당하고,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 내에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관리서버가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 내의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유지하는 단계, 재수신된 인증정보가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며 정당하고,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 내에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관리서버가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재수신된 인증정보가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지 않거나, 정당하지 않은 경우, 관리서버가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서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관리서버는 인증 스티커를 스캔하여 획득된 인증정보를 미리 결정된 주기로 제 1 사용자 단말기에 요청하는 단계 및 요청 후 관리서버가 소정의 기간 안에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회신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서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제 1 사용자로부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을 요청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식별정보, 제 1 사용자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요청 정보를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재생 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 내에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관리서버가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제 1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정보,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2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인증정보가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고, 정당한 것인지 여부를 관리서버가 결정하는 단계, 인증정보가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며 정당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관리서버가 제 1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서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제 2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제 2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제 2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인증정보의 송신을 요청하는 경우, 인증정보에 대한 송수신내역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관리서버, 제 1 사용자 단말기,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에 분산하여 공유하는 단계, 관리서버, 제 1 사용자 단말기,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정보에 대한 송수신내역정보에 기초하여 해시값을 각각 도출하는 단계, 관리서버, 제 1 사용자 단말기,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해시값이 상호 일치하면,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정보에 대한 결제정보를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관리서버가 제 1 사용자 단말기로 거래승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인증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정보,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는 실물 매체에 대한 제 1 영상을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정보,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2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는 실물 매체에 대한 제 2 영상을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관리서버가 제 1 영상, 제 2 영상, 및 결제정보에 기반하여 실물 매체에 대한 현재 가격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의 실물 매체에 대한 현재 가격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관리서버가 제 1 영상, 제 2 영상, 실물 매체의 최초가격정보 및 결제정보를 기계학습하여, 실물 매체의 영상과 실물 매체의 가격정보의 관계를 예측하기 위한 기계학습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관리서버가 실물 매체의 현재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관리서버가 현재 영상을 기계학습모델에 적용하여 실물 매체에 대한 가격정보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개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 는 주문형 반도체 (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메모리" 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 (RAM), 판독-전용 메모리 (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 (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100)는 데이터 학습부(110) 또는 데이터 인식부(1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관리서버(100)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10)는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타겟 태스크(target task)를 수행하기 위한 기계학습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10)는 데이터 세트 및 타겟 태스크와 관련된 레이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10)는 데이터 세트와 레이블 정보의 관계에 대해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기계학습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10)가 획득한 기계학습모델은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레이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모델일 수 있다.
데이터 인식부(120)는 데이터 학습부(110)의 기계학습모델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데이터 인식부(120)는 입력 데이터에 기계학습모델을 적용하여 레이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인식부(120)는 입력 데이터, 레이블 정보 및 기계학습모델에 의해 출력된 결과를 기계학습모델을 갱신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10) 및 데이터 인식부(120)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부(110) 및 데이터 인식부(120)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이미 설명한 각종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110) 및 데이터 인식부(120)는 별개의 전자 장치들에 각각 탑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학습부(110) 및 데이터 인식부(120) 중 하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되고, 나머지 하나는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부(110) 및 데이터 인식부(1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하여, 데이터 학습부(110)가 구축한 기계학습모델 정보를 데이터 인식부(120)로 제공할 수도 있고, 데이터 인식부(120)로 입력된 데이터가 추가 학습 데이터로써 데이터 학습부(110)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 학습부(110) 및 데이터 인식부(120) 중 적어도 하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10) 및 데이터 인식부(120) 중 적어도 하나가 소프트웨어 모듈(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메모리 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거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 중 일부는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학습부(110)는 데이터 획득부(111), 전처리부(112), 학습 데이터 선택부(113), 모델 학습부(114) 및 모델 평가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111)는 기계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학습을 위해서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므로, 데이터 획득부(111)는 복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세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레이블 정보가 할당될 수 있다. 레이블 정보는 복수의 데이터의 각각을 설명하는 정보일 수 있다. 레이블 정보는 타겟 태스크(target task)가 도출하고자 하는 정보일 수 있다. 레이블 정보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획득되거나, 메모리로부터 획득되거나, 기계학습모델의 결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태스크가 실물매체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컨텐츠 가격 정보를 예측하기 위한 것이라면, 기계학습에 사용되는 복수의 데이터는 실물 매체에 대한 영상이 될 것이며 레이블 정보는 실물매체에 수록된 컨텐츠의 가격이 될 것이다.
전처리부(112)는 수신된 데이터가 기계학습에 이용될 수 있도록, 획득된 데이터를 전처리할 수 있다. 전처리부(112)는 후술할 모델 학습부(114)가 이용할 수 있도록, 획득된 데이터 세트를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 가공할 수 있다.
학습 데이터 선택부(113)는 전처리된 데이터 중에서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데이터는 모델 학습부(114)에 제공될 수 있다. 학습 데이터 선택부(113)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처리된 데이터 중에서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데이터 선택부(113)는 후술할 모델 학습부(114)에 의한 학습에 의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선택할 수도 있다.
모델 학습부(114)는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어떤 레이블 정보를 출력할 지에 관한 기준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모델 학습부(114)는 데이터 세트 및 데이터 세트 대한 레이블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써 이용하여 기계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델 학습부(114)는 기존에 획득된 기계학습모델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기계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에 획득된 기계학습모델은 미리 구축된 모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학습모델은 기본 학습 데이터를 입력 받아 미리 구축된 모델일 수 있다.
기계학습모델은, 학습모델의 적용 분야, 학습의 목적 또는 장치의 컴퓨터 성능 등을 고려하여 구축될 수 있다. 기계학습모델은, 예를 들어, 신경망(Neural Network)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일 수 있다. 예컨대, Deep Neural Network (DNN),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Long Short-Term Memory models (LSTM), BRDNN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과 같은 모델이 기계학습모델로써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델 학습부(114)는 미리 구축된 기계학습모델이 복수 개가 존재하는 경우, 입력된 학습 데이터와 기본 학습 데이터의 관련성이 큰 기계학습모델을 학습할 기계학습모델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본 학습 데이터는 데이터의 타입 별로 기 분류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계학습모델은 데이터의 타입 별로 미리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학습 데이터는 학습 데이터가 생성된 장소, 학습 데이터가 생성된 시간, 학습 데이터의 크기, 학습 데이터의 생성자, 학습 데이터 내의 오브젝트의 종류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으로 기 분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모델 학습부(114)는, 예를 들어, 오류 역전파법(error back-propagation) 또는 경사 하강법(gradient descent)을 포함하는 학습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기계학습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또한, 모델 학습부(114)는, 예를 들어, 학습 데이터를 입력 값으로 하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을 통하여, 기계학습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모델 학습부(114)는, 예를 들어, 별다른 지도없이 타겟 태스크(target task)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의 종류를 스스로 학습함으로써, 타겟 태스크를 위한 기준을 발견하는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을 통하여, 기계학습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모델 학습부(114)는, 예를 들어, 학습에 따른 타겟 태스크의 결과가 올바른 지에 대한 피드백을 이용하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통하여, 기계학습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
또한, 기계학습모델이 학습되면, 모델 학습부(114)는 학습된 기계학습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델 학습부(114)는 학습된 기계학습모델을 데이터 인식부(12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모델 학습부(114)는 학습된 기계학습모델을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학습된 기계학습모델이 저장되는 메모리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커널,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델 평가부(115)는 기계학습모델에 평가 데이터를 입력하고, 평가 데이터로부터 출력되는 결과가 소정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모델 학습부(114)로 하여금 다시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평가 데이터는 기계학습모델을 평가하기 위한 기 설정된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델 평가부(115)는 평가 데이터에 대한 학습된 기계학습모델의 결과 중에서, 인식 결과가 정확하지 않은 평가 데이터의 개수 또는 비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소정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 기준이 비율 2%로 정의되는 경우, 학습된 기계학습모델이 총 1000개의 평가 데이터 중의 20개를 초과하는 평가 데이터에 대하여 잘못된 인식 결과를 출력하는 경우, 모델 평가부(115)는 학습된 기계학습모델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편, 학습된 기계학습모델이 복수 개가 존재하는 경우, 모델 평가부(115)는 각각의 학습된 기계학습모델에 대하여 소정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하고, 소정 기준을 만족하는 모델을 최종 기계학습모델로써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 기준을 만족하는 모델이 복수 개인 경우, 모델 평가부(115)는 평가 점수가 높은 순으로 미리 설정된 어느 하나 또는 소정 개수의 모델을 최종 기계학습모델로써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학습부(110) 내의 데이터 획득부(111), 전처리부(112), 학습 데이터 선택부(113), 모델 학습부(114) 및 모델 평가부(115)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부(111), 전처리부(112), 학습 데이터 선택부(113), 모델 학습부(114) 및 모델 평가부(115)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전술한 각종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획득부(111), 전처리부(112), 학습 데이터 선택부(113), 모델 학습부(114) 및 모델 평가부(115)는 하나의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개의 전자 장치들에 각각 탑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부(111), 전처리부(112), 학습 데이터 선택부(113), 모델 학습부(114) 및 모델 평가부(115) 중 일부는 전자 장치에 포함되고, 나머지 일부는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획득부(111), 전처리부(112), 학습 데이터 선택부(113), 모델 학습부(114) 및 모델 평가부(115) 중 적어도 하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111), 전처리부(112), 학습 데이터 선택부(113), 모델 학습부(114) 및 모델 평가부(115) 중 적어도 하나가 소프트웨어 모듈(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거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 중 일부는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인식부(120)는 데이터 획득부(121), 전처리부(122), 인식 데이터 선택부(123), 인식 결과 제공부(124) 및 모델 갱신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121)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처리부(122)는 획득된 입력 데이터가 인식 데이터 선택부(123) 또는 인식 결과 제공부(124)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획득된 입력 데이터를 전처리할 수 있다.
인식 데이터 선택부(123)는 전처리된 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데이터는 인식 결과 제공부(124)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인식 데이터 선택부(123)는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처리된 데이터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인식 데이터 선택부(123)는 모델 학습부(114)에 의한 학습에 의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인식 결과 제공부(124)는 선택된 데이터를 기계학습모델에 적용하여 결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기계학습모델은 모델 학습부(114)에 의하여 생성된 기계학습모델일 수 있다. 인식 결과 제공부(124)는 결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모델 갱신부(125)는 인식 결과 제공부(124)에 의해 제공되는 인식 결과에 대한 평가에 기초하여, 기계학습모델이 갱신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델 갱신부(125)는 인식 결과 제공부(124)에 의해 제공되는 인식 결과를 모델 학습부(114)에게 제공함으로써, 모델 학습부(114)가 기계학습모델을 갱신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인식부(120) 내의 데이터 획득부(121), 전처리부(122), 인식 데이터 선택부(123), 인식 결과 제공부(124) 및 모델 갱신부(125)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되어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부(121), 전처리부(122), 인식 데이터 선택부(123), 인식 결과 제공부(124) 및 모델 갱신부(125) 중 적어도 하나는 인공 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위한 전용 하드웨어 칩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기존의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예: GPU)의 일부로 제작되어 전술한 각종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획득부(121), 전처리부(122), 인식 데이터 선택부(123), 인식 결과 제공부(124) 및 모델 갱신부(125)는 하나의 전자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별개의 전자 장치들에 각각 탑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획득부(121), 전처리부(122), 인식 데이터 선택부(123), 인식 결과 제공부(124) 및 모델 갱신부(125) 중 일부는 전자 장치에 포함되고, 나머지 일부는 서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획득부(121), 전처리부(122), 인식 데이터 선택부(123), 인식 결과 제공부(124) 및 모델 갱신부(125) 중 적어도 하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121), 전처리부(122), 인식 데이터 선택부(123), 인식 결과 제공부(124) 및 모델 갱신부(125) 중 적어도 하나가 소프트웨어 모듈(또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포함하는 프로그램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거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 중 일부는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제공되고, 나머지 일부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데이터 학습부(110)의 데이터 획득부(111), 전처리부(112) 및 학습 데이터 선택부(113)가 학습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관리서버(100)는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서버(100)는 데이터 학습부(110) 또는 데이터 인식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학습부(110) 또는 데이터 인식부(120)는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2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관리서버(100)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설명한 제 1 사용자 단말기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도 관리서버(10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개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물 매체(330)는 CD, DVD, 또는 블루레이와 같은 광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물 매체(330)는 USB, SD카드, 카세트테이프, 또는 LP를 포함할 수 있다. 실물 매체(330)는 인증스티커(340)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실물 매체(330)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는 관리서버(100)에 등록될 수 있다. 컨텐츠의 식별정보는 실물 매체(330)에 포함된 음악앨범, 음악, 영화 중 하나에 대한 식별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컨텐츠의 식별정보는 컨텐츠의 제목, 저작권자, 작곡가, 작사가, 가사, 가수, 배우 또는 프로듀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식별정보는 컨텐츠의 제목, 저작권자, 작곡가, 작사가, 가사, 또는 프로듀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된 고유한 정보 일 수 있다. 컨텐츠의 식별정보는 실물 매체(330)별로 고유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컨텐츠의 식별정보는 실물 매체(330)별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식별정보는 실물 매체(330)에 포함된 컨텐츠 별로 고유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컨텐츠의 식별정보는 실물 매체(330)에 포함된 컨텐츠 별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인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인증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실물 매체에 포함된 콘텐츠의 정당 사용권자인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인증정보는 미리 결정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암호화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임의로 생성할 수 없는 정보일 수 있다. 인증정보는 실물 매체(330) 또는 실물 매체(330)에 포함된 컨텐츠에 1대1로 대응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인증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인증정보는 실물 매체(330)별로 고유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인증정보는 실물 매체(330)에 포함된 컨텐츠 별로 고유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인증정보는 실물 매체(330)에 포함된 컨텐츠 각각에 대해 1대1로 대응될 수 있다. 인증정보는 컨텐츠의 앨범정보 또는 버전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관리서버(100)는 컨텐츠의 앨범정보 또는 버전정보에 관련 없이 사용자 단말기(310)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앨범이 발매되는 경우가 있다. 즉, 싱글 앨범에 수록되었던 음악이 정규앨범 또는 컴필레이션 앨범에도 수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관리서버(100)로부터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관리서버(100)의 인증에 기반하여 컨텐츠가 어떠한 앨범에 수록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앨범에 동일한 컨텐츠가 있더라도 하나의 앨범에 포함된 컨텐츠를 인증 받으면, 다른 앨범에 있는 컨텐츠도 즐길 수 있다.
실물 매체(330)의 생산과정에서 인증스티커(340)가 실물 매체(330)에 부착될 수 있다. 실물 매체(330)에 부착된 인증스티커는 인증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인증스티커(340)를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스티커(340)는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
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증스티커(340)로부터 인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스티커(340)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스티커(340)의 통신부는 사용자 단말기(31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블루투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인증스티커(340)와 통신하여 인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물 매체(330)에 부착된 인증스티커(340)는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인증스티커(340)를 스캔하여 실물 매체(330)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실물 매체(330)의 영상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1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인증정보를 관리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수신된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310)에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의 데이터는 음악파일, 복수의 음악파일을 포함한 음반파일, 문서파일(e-book), 사진 파일 또는 영화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관리서버(100)는 인증절차만 수행하고, 클라우드 서버(320)는 관리서버(100)를 통하여 콘텐츠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31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서버(320)는 관리서버(100)를 통하여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310) 및 관리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실물 매체(330)에 부착된 인증 스티커(340)를 스캔하여 인증정보를 획득하는 단계(421)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증스티커(340)로부터 인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인증스티커(340)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스티커(340)의 통신부는 제 1 사용자 단말기(41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블루투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인증스티커(340)와 통신하여 인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정보는 One Time Password일 수 있다. 인증정보는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물 매체(330)는 배터리 및 빛에 의하여 발전하는 발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물 매체(330)의 제어부는 배터리 및 발전부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실물 매체(330)의 제어부는 현재 시간에 소정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인증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 역시 현재 시간에 소정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인증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실물 매체(330)가 생성하는 인증번호는 관리서버(100)가 생성하는 인증번호와 동일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1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실물 매체(300)가 생성한 인증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인증정보,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100)로 송신하는 단계(422)를 수행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는 사용자별로 고유한 정보일 수 있다.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는 이름, 주민등록번호, 생년월일 또는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 식별정보는 이름, 주민등록번호, 생년월일 또는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고유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 식별정보는 제 1 사용자가 입력한 고유 정보일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는 제 1 사용자 단말기 발로 고유한 정보일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는 전화번호, 기기시리얼 넘버, 제조사, 생산 번호, 생산 날짜, 또는 모델명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는 전화번호, 기기시리얼 넘버, 제조사, 생산 번호, 생산 날짜, 또는 모델명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고유 정보일 수 있다.
단계(422)에서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관리서버(100)로 인증을 요청하는 명령을 더 송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인증을 요청하는 명령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단말기(4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사용자 단말기(410)에 인증을 요청하는 명령을 관리서버(100)에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인증정보,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 1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422)에서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인증정보,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100)는 인증정보,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인증정보가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고, 정당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423)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관리서버(100)는 인증정보를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저장하고 있는 인증정보 및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 및 컨텐츠의 식별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저장하고 있는 인증정보 및 컨텐츠의 식별정보가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 및 컨텐츠의 식별정보와 동일한 경우, 관리서버(100)는 인증정보가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며 정당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저장하고 있는 인증정보 및 컨텐츠의 식별정보가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 및 컨텐츠의 식별정보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관리서버(100)는 인증정보가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지 않거나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인증정보가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며 정당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관리서버(100)는 제 1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424)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를 사용자 별로 생성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제 1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제 1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는 인증된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100)에 의하여 인증되지 않은 컨텐츠의 식별정보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인증정보가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지 않거나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관리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기(410)에 인증이 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인증이 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인증을 수행하도록 도울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로 송신하는 단계(425)를 수행할 수 있다.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는 인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는 인증된 컨텐츠의 제목, 제작자, 작곡가, 작사가, 가수, 프로듀서, 또는 발매시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기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426)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증된 컨텐츠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인증 스티커를 스캔하여 획득된 인증정보를 미리 결정된 주기로 제 1 사용자 단말기에 요청하는 단계(521)를 수행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주기는 일주일, 한 달, 일년 또는 3년 중 하나일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주기는 컨텐츠의 발매 시점으로부터 지난 시간에 기반하여 점점 길어질 수 있다. 즉, 미리 결정된 주기는 컨텐츠 발매 시점으로부터 지난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발매 후 1개월까지 미리 결정된 주기는 일주일일 수 있다. 하지만 컨텐츠 발매 후 1개월 이후에는 미리 결정된 주기는 한 달일 수 있으며, 컨텐츠 발매 후 1년 이후에는 미리 결정된 주기는 1 년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발매 후 임계 시간이 지난 이후에는 미리 결정된 주기는 없을 수 있다. 즉, 임계 시간이 지난 이후에는 컨텐츠에 대한 인증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미리 결정된 주기에 관계없이 추가적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사용자의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저장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기가 컨텐츠에 접근하려고 할 때, 도 5와 같은 재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 별로 미리 결정된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미리 결정된 주기가 도래한 경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인증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 1 사용자 단말기(310)가 인증 스티커(340)를 스캔하여 인증정보를 획득해야 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522)를 수행할 수 있다. 출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는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를 이용하여 인증 스티커(340)를 스캔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인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인증 스티커를 스캔하여 획득된 인증정보,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재수신하는 단계(523)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서 관리서버(100)는 인증정보,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였으므로, 도 5에서 재인증을 위하여 관리서버(100)가 수신한 정보를 재수신된 인증정보,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재수신된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라고 칭한다.
재수신된 인증정보가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며 정당하고,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 내에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관리서버(100)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 내의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유지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와 다르게, 관리서버(100)는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 내에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 내의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재수신된 인증정보가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며 정당하고,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 내에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관리서버가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컨텐츠를 깜박하고 관리서버(100)에 등록하지 않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재수신된 인증정보가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지 않거나, 정당하지 않은 경우, 관리서버(100)가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서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에 사용자가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요청하더라도, 관리서버(100)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 1 사용자 단말기(410)에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관리서버(100)는 인증정보를 미리 결정된 주기로 제 1 사용자 단말기(410)에 요청하는 단계(521)를 수행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인증정보를 획득해야 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제 1 사용자는 실물 매체(330)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실물 매체(330)로부터 인증정보를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인증정보 요청 후 관리서버(100)가 소정의 기간 안에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회신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서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기간은 일주일, 한 달, 일년 또는 3년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리서버(100)는 소정의 기간이 컨텐츠 발매 시점으로부터 지난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발매 후 1개월까지 소정의 기간은 일주일일 수 있다. 하지만 컨텐츠 발매 후 1개월 이후에는 소정의 기간은 한 달일 수 있으며, 컨텐츠 발매 후 1년 이후에는 소정의 기간은 1 년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발매 후 임계 시간이 지난 이후에는 소정의 기간은 없을 수 있다. 즉, 임계 시간이 지난 이후에는 컨텐츠에 대한 인증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제 1 사용자로부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을 요청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621)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관리서버(100)로부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은 영상 또는 소리로 될 수 있다.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는 인증된 컨텐츠의 제목, 제작자, 작곡가, 작사가, 가수, 프로듀서, 또는 발매시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사용자 단말기(410)의 입력부를 이용하여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 중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 1 사용자 단말기(410)에 입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식별정보, 제 1 사용자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요청 정보를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622)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별도의 명령어 없이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식별정보, 제 1 사용자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100)에 송신하는 것 만으로도 관리서버(100)는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재생을 요청하는 명령어를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식별정보, 제 1 사용자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함께 관리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재생을 요청하는 명령어에 기반하여 제 1 사용자 단말기(410)까 재생을 요청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관리서버(100)가 재생 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 내에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지 결정하는 단계(623)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재생 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의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획득된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 내에 재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관리서버(100)는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로 송신하는 단계(624)를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의 데이터는 관리서버(100)가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리서버(100)는 별도의 컨텐츠 클라우드 서버가 컨텐츠의 데이터를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의 데이터는 음악파일, 또는 영상파일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는 실물 매체에 포함되지 않은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서버(100)는 사용자들이 관리서버(100)에 인증할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는 인증정보를 획득하는 단계(721)를 수행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는 제 1 사용자 단말기(410)와 다를 수 있다. 또한 제 2 사용자 단말기(710)의 소유자는 제 1 사용자 단말기(410)의 소유자와 다를 수 있다. 제 1 사용자는 실물 매체(330)를 최초로 구입한 사용자일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실물 매체(330)를 최초로 인증한 사용자 단말기 일 수 있다. 제 2 사용자는 제 1 사용자로부터 실물 매체(330)를 구입한 사람일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는 제 2 사용자의 단말기 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사용자 단말기(710)가 인증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제 1 사용자 단말기(410)가 인증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증스티커(340)로부터 인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인증스티커(340)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스티커(340)의 통신부는 제 2 사용자 단말기(71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블루투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는 인증스티커(340)와 통신하여 인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인증정보는 One Time Password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사용자 단말기(710)가 인증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제 1 사용자 단말기(410)가 인증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다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과 함께 설명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로 인증정보의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기(410)가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로 인증정보의 송신을 요청하는 경우, 제 1 사용자 단말기(410)가 인증정보에 대한 송수신내역정보를 관리서버, 제 1 사용자 단말기,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에 분산하여 공유하는 단계(810)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서버, 제 1 사용자 단말기,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내역정보는 인증정보와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자명을 포함하는 저작권자 상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내역정보는 인증정보와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장르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상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내역정보는 인증정보와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만료일, 재판매 가능횟수제한 또는 재판매 유효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저작권 상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내역정보는 인증정보와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디지털콘텐츠를 구매한 제 1 사용자 단말기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 관련 상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 제 1 사용자 단말기(410),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는 인증정보에 대한 송수신내역정보에 기초하여 해시값을 각각 도출하는 단계(815)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 제 1 사용자 단말기(410),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는 음악, 영상, 사진(Digital Picture) 또는 문서(E-BOOK)를 포함하는 다양한 콘텐츠의 데이터의 송수신내역정보를 해싱알고리즘에 의해 가공처리하여 해시값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 제 1 사용자 단말기(410),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710)의 해시값이 상호 일치하면, 제 2 사용자 단말기(710)가 인증정보에 대한 결제정보를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820)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 제 1 사용자 단말기(410),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710)의 해시값이 일치하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각각의 장치에서 생성된 해시값은 상호 공유될 수 있다. 즉, 관리서버(100)에서 생성된 해시값은 제 1 사용자 단말기(410)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로 공유될 수 있고, 제 1 사용자 단말기(410)에서 생성된 해시값은 관리서버(100)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로 공유될 수 있으며, 제 2 사용자 단말기(710)에서 생성된 해시값은 관리서버(100)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로 공유될 수 있다. 관리서버(100), 제 1 사용자 단말기(410),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는 상호 공유된 해시값이 서로 일치함을 결정할 수 있다.
인증정보에 대한 결제정보는 제 2 사용자가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를 이용하여 실물 매체 또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 1 사용자로부터 구입하기 위한 결제정보일 수 있다. 결제정보는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정보는 결제금액, 신용카드에 대한 정보, 또는 결제 은행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기(710)가 인증정보에 대한 결제정보를 관리서버(100)로 송신하는 것은 제 2 사용자 단말기(710)가 관리서버(100)로 결제금액을 지불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가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관리서버(100)는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로 거래승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825)를 수행할 수 있다. 거래승인정보는 관리서버(100)가 제 1 사용자 단말기(410)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710) 사이의 컨텐츠 데이터의 거래를 승인했음을 나타낼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제 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금액 중 서비스 업체의 수수료 또는 저작권자에 대한 저작권료를 차감한 금액을 제 1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거래승인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로 인증정보를 송신하는 단계(830)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거래승인정보를 수신하고, 거래승인정보가 정당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인증정보를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로 송신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기(410)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710) 사이에서는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는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관리서버(100)를 통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제까지 제 2 사용자 단말기(710)가 인증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7과 함께 제 2 사용자 단말기(710)가 인증정보에 기초하여 관리서버(100)에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를 갱신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사용자 단말기(710)가 인증정보,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2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100)로 송신하는 단계(722)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722)는 수행의 주체만 다를 뿐, 단계(422) 또는 단계(523)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관리서버(100)는 인증정보가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고, 정당한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단계는 단계(423)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인증정보가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며 정당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관리서버(100)는 제 1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서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삭제하는 단계(723)를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리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이전되었으므로, 관리서버(100)는 제 1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서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삭제함으로써, 제 1 사용자가 더이상 컨텐츠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제 1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서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삭제하기 전에,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서 컨텐츠의 식별정보가 삭제될 것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기(410)에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가 제 2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710)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723)를 수행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정당한 권리를 확보하였으므로, 관리서버(100)는 제 1 사용자 컨텐츠 리스트에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제 2 사용자 단말기(710)가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제 2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로 송신하는 단계(725)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725)는 단계(425)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2 사용자 단말기(710) 제 2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726)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726)는 단계(426)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 사용자 단말기(410)가 인증정보,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410)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100)로 송신하는 단계(422)는, 실물 매체에 대한 제 1 영상을 관리서버(100)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실물 매체로부터 인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물매체에 대한 제 1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도 4의 단계(422)를 수행할 때 제 1 영상을 관리서버(10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사용자 단말기(410)는 도 5의 단계(523)를 수행할 때, 실물 매체에 대한 영상을 관리서버(100)에 송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실물 매체에 대한 영상을 시간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기(710)가 인증정보,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2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722)는 실물 매체에 대한 제 2 영상을 관리서버(100)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물매체에 대한 제 1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기(710)가 인증정보를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때, 제 2 사용자는 제 1 사용자로부터 실물 매체를 받을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는 도 7의 단계(722)를 수행할 때 제 2 영상을 관리서버(100)에 송신할 수 있다. 제 2 영상은 제 1 영상의 이후의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는 관리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주기적으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는 도 5와 같이 실물 매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사용자 단말기(710)는 실물 매체에 대한 영상을 관리서버(10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리서버(100)는 실물 매체에 대한 영상을 시간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제 1 영상, 제 2 영상, 및 결제정보에 기반하여 실물 매체에 대한 현재 가격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 1 영상은 제 1 사용자 단말기(410)가 관리서버(100)에 실물 매체를 인증하는 과정에서 획득된 영상일 수 있다. 즉, 제 1 영상은 실물 매체가 발매되었을 때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제 1 영상의 가격은 실물 매체가 발매되었을 때의 최초가격에 대응될 수 있다.
제 2 영상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소유권이 이전될 때의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 2 사용자가 제 2 사용자에게 결제한 금액은 결제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 2 영상을 결제정보와 대응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회귀분석 또는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영상에 따른 현재 가격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모델은 상대적으로 깨끗한 실물 모델의 영상에 대하여 높은 가격을 책정하고, 상대적으로 지저분한 실물 모델의 영상에 대하여 낮은 가격을 책정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실물 매체에 대한 현재 가격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하와 같은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의 단계는 도 1의 데이터 학습부(1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제 1 영상, 제 2 영상, 실물 매체의 최초가격정보 및 결제정보를 기계학습하여, 실물 매체의 영상과 실물 매체의 가격정보의 관계를 예측하기 위한 기계학습모델(960)을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 1 영상 및 제 2 영상은 실물 매체에 대한 영상(911)에 포함될 수 있다. 실물 매체의 최초가격정보는 실물 매체의 발매 당시의 가격을 의미할 수 있다. 결제정보는 제 2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게 지불한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실물 매체의 최초가격정보 및 결제정보는 컨텐츠 가격 정보(912)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가격 정보(912)는 최초가격정보에 대한 결제정보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격 정보(912)는 최초가격정보에 대한 현재 시세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단순화하여 도시하였으나, 많은 사용자가 실물 매체를 거래하는 경우, 관리서버(100)는 기계학습을 유의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기계학습을 통하여 기계학습모델(960)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기계학습모델(960)을 이용하여 가격을 예측할 수 있다. 기계학습모델(960)은 다른 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외부의 기계학습모델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하의 단계는 도 1의 데이터 인식부(1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실물 매체의 현재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관리서버(100)의 요청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실물 매체에 대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미리 결정된 주기로 인증을 수행할 때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영상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실물 매체에 대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현재 영상은 실물 매체에 대한 최근의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현재 영상은 새로운 실물 매체에 대한 영상(950)일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현재 영상을 기계학습모델(960)에 적용하여 실물 매체에 대한 가격정보를 예측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측된 가격정보는 실물 매체에 대한 현재 영상에 기반한 예측된 시세일 수 있다. 또한 예측된 가격정보는, 실물 매체에 대한 현재 영상에 기반하여, 최초가격정보에 대한 현재 시세의 예측된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실물 매체에 대한 예측된 가격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출력된 예측된 가격정보에 기초하여 실물 매체의 적정가격을 확인해볼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관리서버(100)에 누적하여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실물매체의 영상 및 복수의 실물매체의 영상에 각각 대응되는 가격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실물 매체에 대한 영상 및 대응되는 가격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실물 매체의 가격을 예측해볼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관리서버(100)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에 따른 실물매체의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구매자는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실물 매체의 시간에 따른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구매자는 실물 매체의 품질을 의심하지 않고 구매를 결정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관리서버(100)에 누적하여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실물매체의 영상에 각각 대응되는 가격정보를 이용하여 통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100)는 거래된 복수의 실물 매체의 평균가격, 가격의 분산, 가격의 표준편차를 산정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통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관리서버(100)에 누적하여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실물매체에 대한 거래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실물 매체의 최근 거래량을 산정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거래량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도 9에서 예측된 가격정보에 거래량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100)는 소정의 함수에 기초하여 거래량 정보가 많을 수록 예측된 가격정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소정의 함수에 기초하여 거래량 정보가 적을 수록 예측된 가격정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실물 매체의 발매된 시점에 기반하여서 예측된 가격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100)는 발매된 시점부터 임계 시점까지는 시간이 흐를수록 예측된 가격정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임계 시점부터는 시간이 흐를수록 예측된 가격정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임계 시점은 미리 결정된 정보일 수 있다.
이제까지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Claims (8)

  1. 사용자 단말기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실물 매체에 부착된 인증 스티커를 스캔하여 인증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인증정보, 상기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정보가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고, 정당한 것인지 여부를 상기 관리서버가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인증정보가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며 정당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 1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인증 스티커를 스캔하여 획득된 인증정보를 미리 결정된 주기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인증 스티커를 스캔하여 인증정보를 획득해야 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인증 스티커를 스캔하여 획득된 인증정보, 상기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재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수신된 인증정보가 상기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며 정당하고, 상기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 내에 상기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상기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 내의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재수신된 인증정보가 상기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며 정당하고, 상기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 내에 상기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상기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상기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상기 재수신된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재수신된 인증정보가 상기 재수신된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지 않거나, 정당하지 않은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서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인증 스티커를 스캔하여 획득된 인증정보를 미리 결정된 주기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후 상기 관리서버가 소정의 기간 안에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회신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서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제 1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을 요청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식별정보, 제 1 사용자 식별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재생 요청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재생 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 내에 상기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식별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상기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식별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인증정보, 상기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2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정보가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고, 정당한 것인지 여부를 상기 관리서버가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인증정보가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며 정당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 1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서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 2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 2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 2 사용자의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인증된 컨텐츠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인증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인증정보의 송신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인증정보에 대한 송수신내역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상기 관리서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에 분산하여 공유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인증정보에 대한 송수신내역정보에 기초하여 해시값을 각각 도출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해시값이 상호 일치하면,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인증정보에 대한 결제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로 거래승인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인증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인증정보, 상기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1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물 매체에 대한 제 1 영상을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인증정보, 상기 실물 매체에 포함된 컨텐츠의 식별정보, 제 2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 2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실물 매체에 대한 제 2 영상을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 1 영상, 상기 제 2 영상, 및 상기 결제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실물 매체에 대한 현재 가격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 매체에 대한 현재 가격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제 1 영상, 상기 제 2 영상, 상기 실물 매체의 최초가격정보 및 상기 결제정보를 기계학습하여, 실물 매체의 영상과 실물 매체의 가격정보의 관계를 예측하기 위한 기계학습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실물 매체의 현재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현재 영상을 상기 기계학습모델에 적용하여 상기 실물 매체에 대한 가격정보를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200100733A 2020-08-11 2020-08-11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241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733A KR102241308B1 (ko) 2020-08-11 2020-08-11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733A KR102241308B1 (ko) 2020-08-11 2020-08-11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308B1 true KR102241308B1 (ko) 2021-04-16

Family

ID=75743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733A KR102241308B1 (ko) 2020-08-11 2020-08-11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3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191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플레이컴퍼니 Qr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저의 데이터 통계를 관리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191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플레이컴퍼니 Qr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저의 데이터 통계를 관리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4032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reation and the exchange of a copyright for each AI-generated multimedia via a blockchain
US10311121B2 (en) Validation and delivery of digital assets
US202203985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chain-Based Collaborative Content Generation
US20210264517A1 (en) Internet meme economy
CN104050217A (zh) 媒体内容替换方法和系统
US20220270084A1 (en) Leveraging Non-Fungible Tokens and Blockchain to Maintain Social Media Content
KR102476471B1 (ko) 숏폼 비디오 커머스 플랫폼에서 숏폼 비디오의 리뷰영상에 대해 리워드를 지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JP2017023348A (ja) ゲームシステム、スコア処理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の管理装置及びスコア処理方法
KR20220122952A (ko) 인터넷 만화 컨텐츠에 대해 음원을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US20200160887A1 (en) Hash table responsive content alteration
KR102241308B1 (ko)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US115617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281894B1 (ko) 의류 또는 잡화를 이용한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153790B1 (ko) 허위매물을 검수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20200109889A (ko)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11868820A (zh) 音乐活动系统
WO2022134516A1 (zh) Ai服务平台的商品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计算机程序产品
KR20180039029A (ko)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 파일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 파일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61777B1 (ko) 근거리 통신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 파일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근거리 통신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컨텐츠 파일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201800487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180002073A (ko) Nfc를 이용한 유아용 오디오 재생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US20230394080A1 (en) Electronic system for digital and physical media
KR102495344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의 nft화 및 nft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7162364B2 (ja) 目標達成補償支払い方法
US202303984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alidating software use on an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