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666B1 -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0666B1 KR102240666B1 KR1020200102115A KR20200102115A KR102240666B1 KR 102240666 B1 KR102240666 B1 KR 102240666B1 KR 1020200102115 A KR1020200102115 A KR 1020200102115A KR 20200102115 A KR20200102115 A KR 20200102115A KR 102240666 B1 KR102240666 B1 KR 1022406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communication equipment
- broadcasting
- pull
- broadcas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4—Monitoring of server processing errors or hardware fail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인코딩 및 변조하여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TV, 스피커 등으로 출력하는 방송통신장비에 감시모니터와 원격제어모듈을 구비하여 방송통시장비를 현장과 원격에서 직접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인코딩 및 변조하여 송신하고,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방송통신장비; 상기 방송통신장비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감시모니터;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방송통신장비의 원격감시 및 원격제어를 지원하는 원격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인코딩 및 변조하여 송신하고,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방송통신장비; 상기 방송통신장비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감시모니터;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방송통신장비의 원격감시 및 원격제어를 지원하는 원격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인코딩 및 변조하여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TV, 스피커 등으로 출력하는 방송통신장비에 감시모니터와 원격제어모듈을 구비하여 방송통시장비를 현장과 원격에서 직접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송통신장비는 지상파 방송신호, 위성 방송신호, 구내 방송신호 등을 외부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내부의 TV, 스피커 등에 출력하여 방송하고, 내부에서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인코딩 및 복조하여 외부로 송신하는 장비이다.
방송통신장비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10-0466069 "디지털 오디오 방송 송수신 장치", 등록특허 10-1367203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등이 개시되었다.
종래기술에 따른 방송통신장비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방송통신장비를 조작하여 셋업상태를 확인하고, 계측기를 통해 송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세기, SNR, 해상도 등의 상태를 체크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방송통신장비의 작동상태를 현장에서 확인하는데 시간이 소요되고, 계측기 등의 체크장비가 필요하다.
그리고 종래기술은 현장이 아닌 원격에서 방송장비의 작동상태를 감시하거나 제어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발송통신장비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감시모니터와 원격에서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원격제어모듈을 구비하여 방송통신장비의 관리효율이 우수한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방송통신장비의 함체의 케이싱과 커버가 체결블럭유닛을 통해 간편신속하게 체결되어서 유지보수가 편리한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인코딩 및 변조하여 송신하고,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방송통신장비;
상기 방송통신장비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감시모니터;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방송통신장비의 원격감시 및 원격제어를 지원하는 원격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방송통신장비, 감시모니터 및 원격제어모듈이 장착되는 함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함체는 상기 방송통신장비, 감시모니터 및 원격제어모듈이 장착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을 덮는 커버와, 상기 케이싱과 상기 커버를 체결시키는 체결블록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블록유닛은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제1블록과,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이 인입되는 인입홀이 형성된 제2블록, 상기 제1블록 내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홀에 형성된 끼움홈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팔 및 상기 제1블록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 후퇴를 제한하는 승하강봉돌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이 상기 인입홀에 인입되면, 상기 승하강봉돌이 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을 양측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팔이 상기 끼움홈에 내삽되어 제1블록을 제2블록에 고정하고,
상기 하강한 승하강봉돌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팔이 후퇴를 제한하여 상기 제1블록과 제2블록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블록 하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 하면에 밀착되며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복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복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복귀부재가 상기 승하강봉돌의 하면을 타격하여 승하강봉돌을 상승시키면, 상기 고정팔의 후퇴를 허용하여 상기 제1블록을 제2블록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방송통신장비의 작동상태를 현장에서 즉시 확인 가능하고, 원격에서도 방송통신장비의 작동상태를 감시하고 방송통신장비를 제어할 수 있고, 방송통신장비, 감시모니터 및 원격제어모듈이 장착된 함체의 케이싱과 커버를 체결블럭유닛을 통해 간편신속하게 체결 및 분리시킬 수 있어서 유지보수작업의 매우 효율적인 발명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장비, 감시모니터 및 원격제어모듈이 장착된 함체의 사시도.
도 3 은 도2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블럭유닛의 구조와 작동 매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장비, 감시모니터 및 원격제어모듈이 장착된 함체의 사시도.
도 3 은 도2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블럭유닛의 구조와 작동 매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방송통신장비(10), 감시모니터(40), 원격제어모듈(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송통신장비(10)는 외부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내부의 TV나 스피커 등으로 출력하는 방송수신모듈(20)과, 내부에서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방송송신모듈(30)과,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13)와, 조작신호를 분석처리하고 상기 방송수신모듈(20)과 방송송신모듈(30)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1)와, 상용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컨트롤러(11)와 방송수신모듈(20) 및 방송송신모듈(30)에 공급하는 파워서플라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송수신모듈(20)은 수신부(21), 복조부(23), 디코더(25), 출력부(27)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21)는 지상파 방송신호, 위성 방송신호, 구내 방송신호 등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한다.
상기 복조부(23)는 상기 수신부(2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대역폭 정보를 이용해 복조한다.
상기 디코더(25)는 상기 복조부(23)에서 복조된 방송신호를 디코딩한다.
상기 출력부(27)는 상기 디코더(25)에서 디코된 방송신호를 TV나 스피커 등으로 출력하여 방송되도록 한다.
상기 방송송신모듈(30)은 입력부(31), 인코더(33), 변조부(35), 송신부(37)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31)는 마이크, PC 등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인코더(33)는 상기 입력부(31)에서 입력된 방송신호를 인코딩하여 압축한다.
상기 변조부(35)는 상기 인코더(33)에서 인코딩된 방송신호를 변조한다.
상기 송신부(37)는 상기 변조부(35)에서 변조된 방송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롤 송신한다.
상기 컨트롤러(11)는 상기 조작부(13)에서 입력되는 조작신호를 분석하여 처리하고, 상기 방송송신모듈(30)과 방송수신모듈(20)의 작동을 위한 각종 설정값을 설정하고, 여러 방송신호가 동시에 수신되거나 입력되는 때에 우선순위가 빠른 방송신호가 먼저 처리되도록 하는 등으로 방송통신장비(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1)는 상기 방송송신모듈(30)과 방송수신모듈(20)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감시모니터(4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상기 감시모니터(40)와 원격제어모듈(50)에서 입력되는 명령신호를 분석처리한다.
상기 감시모니터(40)는 상기 방송통신장비(10)의 작동상태, 즉, 상기 방송수신모듈(20)과 방송송신모듈(30)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11)로부터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방송수신모듈(20)과 방송송신모듈(30)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로는 방송신호의 세기(dB), 신호대잡음비(SNR), 비디오신호의 해상도, 오디오신호의 볼륨, 송수신 주파수 대역 등이 있다.
상기 감시모니터(40)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상태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컨트롤러(11)에 요청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모듈(50)은 상기 컨트롤러(11)에 연결되고, 인터넷망이나 통신망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PC나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단말기(예; 스마트폰)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모듈(50)은 사용자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방송수신모듈(20)과 방송송신모듈(30)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PC나 단말기로 다운받아 실시간 원격감시를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값 변경, 방송신호의 송수신 차단이나 허용 등의 명령신호를 PC나 단말기를 이용해 전송하여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시모니터(40)와 원격제어모듈(50)은 상기 방송통신장비(10)와 분리설치되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지만, 그리하면 설치공간이 늘어나고 관리의 효율이 떨어진다.
그래서 상기 방송통신장비(10)와 감시모니터(40) 및 원격제어모듈(50)은 하나의 함체에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에는 상기 감시모니터(40) 및 원격제어모듈(50)이 구비된 방송통신장비(10)의 함체(6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함체(60)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커버(67)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과 커버(67)는 체결블록유닛을 통해 간편신속하게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케이싱은 'ㄷ'자 모양의 장착패널(61)과 상기 장착패널(6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결합되는 전면패널(63)과 후면패널(65)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패널(61)에는 PCB와 이에 실장된 각종 전자소자로 이루어지는 방송통신장비(10)와, 또 다른 PCB와 이에 실장되는 각종 전자소자들로 이루어지는 원격제어모듈(50)이 장착된다.
상기 전면패널(63)에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71)과, 방송통신장비(10)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보여주는 감시모니터(40)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패널(63)의 내면에는 상기 버튼(71)들과 감시모니터(40)를 상기 방송통신장비(1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의 터미널단자가 접속되는 커넥터(72)가 구비된다.
상기 후면패널(65)에는 접속포트홀(75)들이 형성된다. 상기 방송통신장비(10)의 PCB에서 상기 접속포트홀(75)들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접속포트가 실장된다. 접속포트에는 방송신호의 송수신과 입출력을 위한 케이블의 단자가 접속된다.
상기 체결블록유닛(B)은 상기 커버(67)를 케이싱에 간편하며 신속하게 체결 및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블록유닛(B)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7)에 구비되는 제1블록(B1)과, 케이싱의 장착패널(63)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이 인입되는 인입홀(B21)이 형성된 제2블록(B2), 상기 제1블록(B1) 내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홀(B21)에 형성된 끼움홈(B22)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팔(B14) 및 상기 제1블록(B1)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후퇴를 제한하는 승하강봉돌(B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블록(B1)이 상기 인입홀(B21)에 인입되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을 양측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팔(B14)이 상기 끼움홈(B22)에 내삽 되어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고정하고,
상기 하강한 승하강봉돌(B13)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팔(B14)이 후퇴를 제한하여 상기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블록(B1) 하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B13) 하면에 밀착되며 복귀스프링(B163)을 포함하는 복귀부재(B16)가 구비되어,
상기 복귀스프링(B16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복귀부재(B16)가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하면을 타격하여 승하강봉돌(B13)을 상승시키면, 상기 고정팔(B14)의 후퇴를 허용하여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4a 및 도4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상기 도4a의 [A]는 상기 체결블록유닛(B)이 설치되는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상기 도4a의 [B], [C], 도4b의 [D], [E], [F]는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결합하는 동작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며, 명세서 보기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부호는 도4a에만 도시하였으며, 이하 나머지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으로 도면부호는 도4a를 참조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2블록(B2)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4a의 [A] 및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 일측에 돌출되도록 결합되며, 상하 개방된 인입홀(B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입홀(B21)에는 양측으로 끼움홈(B2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팔(B14)이 내삽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인입홀(B21)에는 상기 제1블록(B1)이 내삽 되는 것으로, 도4a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블록(B1)은 커버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커버의 저면보다 하향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커버를 케이싱에 결합할 때 상기 제1블록(B1)의 하부가 상기 인입홀(B2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블록(B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승하강봉돌(B13)이 상하로 승하강 동작을 할 수 있는 이동공간부(B11)가 상기 제1블록(B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공간부(B11)의 상부에는 상기 이동공간부(B11)보다 넓은 공간을 갖는 승하강공간부(B126)가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B1)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구성요소들을 내부에 조립하기 위하여 상분체 및 하분체의 두 분체로 이루어져 상호간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이동공간부(B11)는 승하강봉돌(B13)이 승하강하는 공간이고, 상기 승하강공간부(B126)는 후술하는 풀업부재(B12)가 승하강하는 공간으로, 상기 이동공간부(B11)의 상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멈춤턱(B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공간부(B11)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복귀부재(B16)의 하강을 제한하는 하부단턱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자성에 영향을 받는 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부는 평탄하고 하부에는 진입뾰족부(B13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팔(B14)을 벌리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진입뾰족부(B131)의 양측에는 상기 진입뾰족부(B131)보다 경사가 완만한 완만경사부(B132)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팔(B14)의 인입 동작 시 이를 간섭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상기 고정팔(B14)은 상기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고정팔(B14)의 양측에는 스프링지지날개(B141)가 형성되고, 이 스프링지지날개(B141)를 지지하는 제2스프링(B143)이 구비되어 도4a의 [B]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고정팔(B14)이 상기 제1블록(B1)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팔(B14)의 내측 상부에는 진입안내경사부(B142)가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손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블록(B1) 상부에는 풀업부재(B12)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풀업부재(B12)는 상기 승하강공간부(B126)에 구비되어 상하로 승하강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마그넷몸체(B121)와, 상기 마그넷몸체(B121)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되는 풀업손잡이(B1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그넷몸체(B121) 상부에는 제1스프링(B123)이 구비되어, 상기 풀업부재(B12)가 아랫방향으로 밀릴 수 있는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으며, 상기 풀업손잡이(B122)에는 후술하는 풀업라인(B124)이 결합되는 라인결합부(B122a)가 더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임의 상승을 제한하는 회전스토퍼(B15)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스토퍼(B15)는 상기 제1블록(B1) 내부 양측에 제1탄성힌지부(B154)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토핑몸체(B151)와, 상기 스토핑몸체(B151)에 제2탄성힌지부(B155)를 통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이동공간부(B11)를 침범하도록 돌출되는 스토핑다리(B152)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스토핑다리(B152)는 상기 스토핑몸체(B151)를 기준으로 아랫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는 제한적 회전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탄성힌지부(B155)와 상기 풀업부재(B12)의 풀업손잡이(B122)를 연결하는 풀업라인(B124)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풀업라인(B124)이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블록(B1)의 내측에는 라인공간부(B125)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풀업부재(B12) 및 풀업라인(B12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봉돌(B13)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탄성힌지부(B154) 또한 도4a의 [B]의 형상과 같이 상기 풀업부재(B12)를 아랫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코일스프링이 더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제1블록(B1)의 하부에는 복귀부재(B16)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복귀부재(B16)는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진입뾰족부(B131)가 내삽 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뾰족부수용홈(B161a)이 형성된 복귀몸체(B161)와, 상기 복귀몸체(B161)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 하부로 돌출 구비되는 복귀핸들(B162) 및 상기 복귀몸체(B161) 하부에서 상기 복귀핸들(B162)을 외삽 하도록 구비되는 복귀스프링(B1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귀핸들(B162)의 하부에는 직경이 넓은 핸들홀딩부(B162a)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홀딩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체결블록유닛(B)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4a의 [B]와 같이,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이 결합되기 전에는 상기 풀업부재(B12)가 상기 승하강봉돌(B13)을 자력에 의해 고정하여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이동공간부(B11)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 후, 상기 제1블록(B1)을 인입홀(B21)에 끼워 넣은 후, 도4a의 [C]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풀업손잡이(B122)를 잡고 풀업부재(B12)를 상승시키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멈춤턱(B111)에 의해 상승이 불허되고, 상기 마그넷몸체(B121)와 승하강블록이 멀어져 자성이 약해짐에 따라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회전스토퍼(B15)는 풀업라인(B124)이 당겨지면서 회전하여 상기 스토핑다리(B152)가 이동공간부(B11)를 침범하게 되나, 상기 스토핑다리(B152)는 도4a의 [C]와 같은 방향으로는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승하강봉돌(B13)의 하강을 방해하지 않는다.
사익 승하강봉돌(B13)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 상기 진입뾰족부(B131)가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의 진입안내경사부(B142)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을 제1블록(B1) 양측으로 전진시켜 도4b의 [D]와 같이, 상기 고정팔(B14)이 상기 제2블록(B2)에 끼움홈(B22)에 내삽 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사이에 승하강봉돌(B13)이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의 후퇴를 불허하여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하강하면 도4b의 [D]와 같이 상기 복귀부재(B16)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조금 하강시킨 후, 상기 도4b의 [E]와 같이 중력가속도에 의한 힘이 없어지면 상기 복귀부재(B16)의 복귀스프링(B163)의 탄성력에 의해 일부 상승하여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상부에 상기 회전스토퍼(B15)의 스토핑다리(B152)가 밀착되어 승하강봉돌(B13)의 임의 상승을 제한하게 된다.
즉, 상기 도4b의 [D]와 같은 상태를 통하여 상기 도4a의 [C]와 같이 접혀진 스토핑다리(B152)가 다시 펼쳐지는 공간이 확보되고, 도4b의 [E]와 같이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상부를 지지하여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4b의 [F]와 같이, 상기 복귀부재(B16)의 복귀몸체(B161) 하단이 하부단턱부(B112)에 밀착될 때 까지 상기 복귀핸들(B162)을 잡고 당기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자중에 의해 함께 하강하고, 이 때 사용자가 복귀부재(B16)를 놓으면 복귀스프링(B16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승하강봉돌(B13)을 위로 타격시키며, 승하강봉돌(B13)이 상승하다가 상기 풀업부재(B12)의 마그넷몸체(B121)와 자력에 의해 붙어 앞서 도4커버의 [B]와 같은 상태로 원위치 되어 제1블록(B1)을 손쉽게 제2블록(B2)으로부터 빼 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은 보다 손쉽게 결합, 고정유지 및 분리를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방송통신장비 20 : 방송수신모듈
23 : 복조부 25 : 디코더
30 : 방송송신모듈 33 : 인코더
35 : 변조부 40 : 감시모니터
50 : 원격제어모듈 60 : 함체
B : 고정블록유닛 B1 : 제1블록
B11 : 이동공간부 B12 : 풀업부재
B13 : 승하강봉돌 B14 : 고정팔
B15 : 회전스토퍼 B16 : 복귀부재
B2 : 제2블록 B21 : 인입홀
B22 : 끼움홈
23 : 복조부 25 : 디코더
30 : 방송송신모듈 33 : 인코더
35 : 변조부 40 : 감시모니터
50 : 원격제어모듈 60 : 함체
B : 고정블록유닛 B1 : 제1블록
B11 : 이동공간부 B12 : 풀업부재
B13 : 승하강봉돌 B14 : 고정팔
B15 : 회전스토퍼 B16 : 복귀부재
B2 : 제2블록 B21 : 인입홀
B22 : 끼움홈
Claims (3)
-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인코딩 및 변조하여 송신하고,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방송통신장비(10);
상기 방송통신장비(10)의 작동상태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감시모니터(40);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상기 방송통신장비(10)의 원격감시 및 원격제어를 지원하는 원격제어모듈(50);
상기 방송통신장비(10), 감시모니터(40) 및 원격제어모듈(50)이 장착되는 함체(60);
상기 함체(60)는 상기 방송통신장비(10), 감시모니터(40) 및 원격제어모듈(50)이 장착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을 덮는 커버(67)와, 상기 케이싱과 상기 커버(67)를 체결시키는 체결블록유닛(B);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블록유닛(B)은
상기 커버(67)에 구비되는 제1블록(B1)과,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이 인입되는 인입홀(B21)이 형성된 제2블록(B2), 상기 제1블록(B1) 내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홀(B21)에 형성된 끼움홈(B22)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팔(B14) 및 상기 제1블록(B1) 내부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후퇴를 제한하는 승하강봉돌(B1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B1)이 상기 인입홀(B21)에 인입되면,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을 양측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팔(B14)이 상기 끼움홈(B22)에 내삽되어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고정하고,
상기 하강한 승하강봉돌(B13)이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4)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팔(B14)이 후퇴를 제한하여 상기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의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블록(B1) 하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B13) 하면에 밀착되며 복귀스프링(B163)을 포함하는 복귀부재(B16)가 구비되어,
상기 복귀스프링(B16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복귀부재(B16)가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하면을 타격하여 승하강봉돌(B13)을 상승시키면, 상기 고정팔(B14)의 후퇴를 허용하여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블록(B1)의 내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상하로 승하강 동작을 할 수 있는 이동공간부(B11)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공간부(B11)의 상부에는 풀업부재(B12)가 승하강하는 공간으로 상기 이동공간부(B11)보다 넓은 공간을 갖는 승하강공간부(B126)가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봉돌(B13)은 자성에 영향을 받는 쇠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평탄하고 하부에는 진입뾰족부(B131)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팔(B14)을 벌리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진입뾰족부(B131)의 양측에는 상기 진입뾰족부(B131)보다 경사가 완만한 완만경사부(B13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팔(B14)의 인입 동작 시 이를 간섭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고정팔(B14)은 평상시 상기 제1블록(B1)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제2스프링(B143)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내측 상부에는 상기 승하강봉돌(B13)이 손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안내경사부(B142)가 형성되고,
상기 풀업부재(B12)는 상기 승하강공간부(B126)에 구비되어 상하로 승하강운동이 가능한 마그넷몸체(B121)와, 상기 마그넷몸체(B121)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되는 풀업손잡이(B122)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그넷몸체(B121) 상부에는 제1스프링(B123)이 구비되어, 상기 풀업부재(B12)가 아랫방향으로 밀릴 수 있는 탄성력을 부여하고,
상기 제1블록(B1) 내부 양측에 제1탄성힌지부(B154)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스토핑몸체(B151)와, 상기 스토핑몸체(B151)에 제2탄성힌지부(B155)를 통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이동공간부(B11)를 침범하도록 돌출되는 스토핑다리(B152)로 이루어져서, 상기 승하강봉돌(B13)의 임의 상승을 제한하는 회전스토퍼(B15)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토핑다리(B152)는 상기 스토핑몸체(B151)를 기준으로 아랫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는 제한적 회전형 부재이고,
상기 제2탄성힌지부(B155)와 상기 풀업부재(B12)의 풀업손잡이(B122)를 연결하는 풀업라인(B124)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풀업라인(B124)이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블록(B1)의 내측에는 라인공간부(B125)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2115A KR102240666B1 (ko) | 2020-08-14 | 2020-08-14 |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2115A KR102240666B1 (ko) | 2020-08-14 | 2020-08-14 |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0666B1 true KR102240666B1 (ko) | 2021-04-15 |
Family
ID=7544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2115A KR102240666B1 (ko) | 2020-08-14 | 2020-08-14 |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0666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9570A (ko) * | 2002-11-02 | 2004-05-12 | 주식회사 휴맥스 |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 원격 제어방법 |
KR20100057318A (ko) * | 2008-11-21 | 2010-05-31 | (주)토필드 | 공용화형 쉴드케이스를 구비한 셋탑박스 |
KR101590929B1 (ko) * | 2015-08-21 | 2016-02-02 |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 광대역통신망(bcn)의 멀티데이터 송신을 위한 통신 셋탑 박스 |
KR20170084851A (ko) * | 2016-01-13 | 2017-07-21 | 주식회사 케이티 | 디지털 방송용 셋톱 박스와 이를 이용한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단말과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 |
KR20200061037A (ko) * | 2018-11-23 | 2020-06-02 | 오현구 | 셋톱박스 기능이 포함된 다용도 방송수신장치 |
-
2020
- 2020-08-14 KR KR1020200102115A patent/KR102240666B1/ko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39570A (ko) * | 2002-11-02 | 2004-05-12 | 주식회사 휴맥스 |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수신기 원격 제어방법 |
KR20100057318A (ko) * | 2008-11-21 | 2010-05-31 | (주)토필드 | 공용화형 쉴드케이스를 구비한 셋탑박스 |
KR101590929B1 (ko) * | 2015-08-21 | 2016-02-02 | (주)삼우씨엠건축사사무소 | 광대역통신망(bcn)의 멀티데이터 송신을 위한 통신 셋탑 박스 |
KR20170084851A (ko) * | 2016-01-13 | 2017-07-21 | 주식회사 케이티 | 디지털 방송용 셋톱 박스와 이를 이용한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단말과 원격 컴퓨팅 서비스 제공 방법 |
KR20200061037A (ko) * | 2018-11-23 | 2020-06-02 | 오현구 | 셋톱박스 기능이 포함된 다용도 방송수신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188307A1 (en) | Wireless door intercom apparatus and system comprising same | |
US7012523B2 (en) | System for surveillance of and communication with residential entryway from remote location using existing telephone lines | |
KR102240666B1 (ko) | 방송통신장비 모니터링 시스템 | |
WO2001069567A3 (en) | State-based remote control system | |
US20070105591A1 (en) | Wireless handheld input device | |
DE102006058540A1 (de) | Telefonsystem mit Türklingel | |
CN100505869C (zh) | 一种可视门铃系统 | |
CN102957901B (zh) | 一种显示系统 | |
CN205657785U (zh) | 一种新型智能楼宇可视对讲系统 | |
US20200145711A1 (en) | Cable for connecting an image displaying device to a digital computer network | |
CN104409230A (zh) | 基于干簧管的矿用急停闭锁装置 | |
CN219250112U (zh) | 一种内窥镜冷光源的遮光板开合机构 | |
EP3790266A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deo intercom transmission of images | |
WO2000021269A1 (en) | Camera system remotely controlled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 |
CN205427095U (zh) | 一种用于机电安装的新型管线检测装置 | |
KR100738556B1 (ko) | 영상기기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 |
ITMI982630A1 (it) | Apparato citofonico-audio-video ad onde elettromagnetiche | |
CN108268142A (zh) | 一种语音手势双操作的语音控制终端 | |
CN204231548U (zh) | 楼宇可视对讲主机 | |
CN116939027A (zh) | 一种基于物联网的楼宇信息智能推送系统 | |
CN219419631U (zh) | 一种输入端子防尘机构 | |
ES2273578B1 (es) | Sistema de videoportero para redes tcp/ip. | |
WO2008059486A2 (en) | System and method for cellular repeater antenna tuning | |
CN206100301U (zh) | 一种智能小区楼宇对讲系统 | |
CN216162794U (zh) | 网络连接控制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