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640B1 -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640B1
KR102240640B1 KR1020140083211A KR20140083211A KR102240640B1 KR 102240640 B1 KR102240640 B1 KR 102240640B1 KR 1020140083211 A KR1020140083211 A KR 1020140083211A KR 20140083211 A KR20140083211 A KR 20140083211A KR 102240640 B1 KR102240640 B1 KR 102240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ent
units
outpu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630A (ko
Inventor
김운영
장혜란
이령화
이건식
이고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640B1/ko
Priority to EP14003777.1A priority patent/EP2963934B1/en
Priority to US14/543,934 priority patent/US9612733B2/en
Priority to CN201510217708.7A priority patent/CN105323620B/zh
Publication of KR2016000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순차적으로 나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일부 컨텐츠들이 각각 출력되도록 기 설정된 개수로 구획된 복수의 유닛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유닛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다른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원격제어장치,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각 유닛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상기 유닛의 개수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표시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동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프로젝터, 테블릿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영상표시기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방송이나,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기능 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영상표시기기가 스마트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 텔레비전)로서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기기는 인터넷 등의 실행은 물론 이동 단말기나 컴퓨터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의 기능 증대는 부팅시간의 증가를 수반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기기의 부팅과 관련하여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영상표시기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표시장치에 의하여 제공되는 컨텐츠의 양이 방대해 짐에 따라 사용자는 풍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잇다. 다만, 방대한 양의 컨텐츠 중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하여 여러 차례 제어단계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의 검색 및 확인이 용이하도록 컨텐츠를 출력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순차적으로 나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일부 컨텐츠들이 각각 출력되도록 기 설정된 개수로 구획된 복수의 유닛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7), 상기 복수의 유닛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다른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원격제어장치,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각 유닛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상기 유닛의 개수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에 의한 제스처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복수의 유닛에 상기 컨텐츠를 다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휠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휠키의 회전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휠키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유닛의 크기가 축소된 경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어명령에 따른 무선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유닛의 크기 및 상기 유닛의 개수를 복구 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를 기 설정된 제1 기준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연속적인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기준과 다른 제2 기준으로 상기 컨텐츠를 재분류하고, 재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기준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에 의하여 결정되며, 저장된 날짜, 수신된 날짜,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의 장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준에 의하여 상기 컨텐츠가 분류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기준과 대응되는 제3기준을 근거로 상기 컨텐츠를 재분류하고, 상기 제2 기준에 의하여 상기 컨텐츠가 분류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에 근거하여 상기 제2 기준과 대응되는 제4 기준을 근거로 상기 컨텐츠를 재분류하며, 상기 제2 기준이 상기 제1 기준의 하위기준인 경우, 상기 제4 기준은 상기 제3 기준의 하위기준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기준으로 상기 컨텐츠를 재분류하는 경우, 상기 유닛의 크기를 더 축소시켜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복수의 그룹 중 일부 그룹을 출력하는 동안,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하는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그룹 중 나머지 그룹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그룹 중 하나의 그룹이 선택된 경우,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하는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그룹에 포함된 나머지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에 근거하여 각 그룹에 포함되는 나머지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하여 추천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크기의 추천 유닛 상에 상기 추천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추천 유닛의 크기는 상기 축소된 유닛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천 유닛에 추천 정보를 함께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유닛은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기준시간 내에 기 설정된 기준횟수의 무선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유닛의 크기 및 상기 유닛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은 순차적으로 나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일부를 기 설정된 개수로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구획된 복수의 유닛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유닛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상기 유닛의 개수를 증가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유닛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무선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하여 추천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무선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기 설정된 기준에 의하여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머지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반복적으로 인가되는 경우 컨텐츠 각각의 크기를 줄여서 보다 많은 컨텐츠를 함께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보다 빠르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복적인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컨텐츠를 특정 기준에 의하여 분류하여 제공하거나, 특정 기준에 의하여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 원격제어장치 및 서버를 포함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b 및 도 3e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3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a 내지 도 4c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컨텐츠를 그룹화하여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a 내지 도 5c는 추천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복수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추천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a 내지 도 7d는 제어명령에 따른 컨텐츠를 그룹화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a 내지 도 8c는 원격제어장치의 다른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명령이 형성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a 및 도 10b는 커서에 의하여 컨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컨텐츠들의 출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a 및 도 11b는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된 상태에서 제어명령이 인가된 경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2는 컨텐츠의 출력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출력목록창을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3a 및 도 13b는 설정에 따른 제어명령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100), 원격제어장치(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와 상기 표시장치(100)는 RF통신 규격에 따라 무선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07) 상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메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는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외부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0)는 방송국 또는 인터넷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100)는 방송국 등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100)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el/Internet Protocol)에 의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100)는, 방송 수신 모듈(101), 복조부(1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104), 메모리(105), 제어부(106), 디스플레이부(107), 오디오 출력부(108), 전원 공급부(109)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11)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01)은, 예컨대 RF 튜너로 설계할 수도 있고 또는 STB 등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로 설계 가능하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01)은, 예를 들어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조부(102)는, 방송 수신 모듈(10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0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경우, 복조부(102)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02)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04)는 외부 장치와 표시장치(100)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04)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STB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04)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106)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06)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104)는, 예를 들어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는, 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05)는, 제어부(106)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05)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04)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05)는, 예를 들어 다양한 OS, 미들웨어 및 플랫폼을 저장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1)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06)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06)로부터의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11)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06)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06)는, 방송 수신 모듈(101), 복조부(1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04)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6)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제어부(106)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04)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display) 등이 가능하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108)는, 제어부(106)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5.1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08)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09)는, 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06)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07)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08)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6)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3)는 특정 서버에 접속한다. 나아가, 상기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한 IR 코드값들은 메모리(105)에 저장되도록 설계한다. 한편, 상기 IR 코드값들은,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104)로 연결된 전자 디바이스를 컨트롤 하기 위해 필요한 값들이다.
마지막으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전자 디바이스의 특정 기능에 대응하는 IR 코드값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11)를 통해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송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때 블루투스 통신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3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순차적으로 나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일부 컨텐츠들을 디스플레이부(107) 상에 기 설정된 개수의 복수의 유닛에 각각 출력한다(S201). 상기 순차적으로 나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일부만 디스플레이부(107)에 출력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는 수신(또는 저장)된 날짜(시간) 순서, 컨텐츠에 부여된 제목 순서, 각 컨텐츠의 종류 등에 의하여 배열될 수 있으나, 그 기준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순차적으로 나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일부만 상기 디스플레이부(107)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이 표시되도록 구획된 복수의 유닛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유닛(U1) 및 제2 유닛(U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유닛(U1, U2)은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제1 및 제2 유닛(U1, U2)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거나 3이상의 서로 다른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서로 동일한 유닛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획된다.
하나의 유닛에는 하나의 컨텐츠가 출력된다. 즉 상기 컨텐츠는 상기 유닛의 크기에 맞추어 확대되거나 축소되어 출력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제1 및 제2 유닛(U, U2)을 포함하는 최초 화면정보(301)를 출력한다.
상기 원격제어장치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유닛에 다른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다(S202). 여기에서 원격제어장치는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사용자 입력부로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모듈은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으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마이크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스크롤입력이 가능한 휠키(210)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휠키(210)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유닛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휠키(210)에 의하여 아래방향으로 스크롤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6)는 순차적으로 나열된 컨텐츠 중 현재 출력된 컨텐츠 다음으로 나열된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크롤 입력이 인가된 정도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07)에 출력될 컨텐츠가 결정될 수 있다.
도 3b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U, U2)에 다른 컨텐츠를 표시한다. 이 경우, 스크롤 입력의 정도에 근거하여 최초 출력된 컨텐츠을 포함하는 일부 유닛이 디스플레이부(107) 상에 출력될 수 잇다.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한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상기 유닛 상에 표시되는 새로운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추가 화면정보(301')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07)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한 복수의 무선신호가 수신한다(S203).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의 상기 휠키(210)는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을 연속적으로 복수 번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들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휠키(210)가 회전한 횟수,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휠키가 회전한 범위 등을 통하여 제어명령이 연속적으로 인가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빠르게 복수면 휠키(210)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휠키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복수 번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 번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무선신호를 연속적으로 송신한다. 또는 사용자가 많은 힘을 가하여 상기 휠키(210)가 회전하는 범위가 크도록 하는 경우, 상기 휠 키는 큰 각도록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는 기 설정된 휠키의 기준 회전각을 하나의 제어명령으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휠 키(210)의 회전각을 기준 회전각으로 나누어 복수의 제어명령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무선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복수의 무선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각 유닛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07) 상의 유닛의 개수를 증가하여,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S204).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제3 및 제4 유닛(U3, U4)에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로 이루어지는 변형 화면정보(302)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U1, U2) 보다 작은 크기로 제3 및 제4 유닛(U3, U4)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유닛(U1, U2)의 개수보다 상기 제3 및 제4 유닛(U3, U4)가 증가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상기 제3 및 제4 유닛(U3, U4) 각각에 서로 구별되는 컨텐츠를 출려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보다 많은 컨텐츠들을 보다 작은 크기로 출력한다.
상기 제3 및 제4 유닛(U3, U4)은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 및 제4 유닛(U3, U4)의 배열은 일정하게 배치되지 아니하여도 무관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유닛(U1, U2) 보다 크기가 작은 하나의 유닛으로 디스플레이부(107)가 구획되어도 무관하다.
상기 제3 및 제4 유닛(U3, U4)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U1, U2)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와 중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유닛의 크기 및 개수가 변할 때 마다, 각 유닛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바뀌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연속적으로 인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7) 상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개수를 증가하여 제공한다. 즉, 상기 제어명령이 복수 번 인가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가 제공되지 아니하는 것을 판단하고 더 많은 컨텐츠를 한번에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유닛의 수를 증가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많은 컨텐츠를 한번에 제공받을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도 3b의 (b)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제어명령이 다시 연속적으로 복수 번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3 및 제4 유닛(U3, U4) 보다 작은 크기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구획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도3b의 (b)에서, 상기 제어명령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3 및 제4 유닛(U3, U4)에 새로운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순차적으로 나열된 복수의 컨텐츠 중 나머지를 상기 제3 및 제4 유닛(U3, U4)에 출력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여, 유닛의 크기 및 개수를 복구 시키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센서는 자이로센서, 가속도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는 상기 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하여 감지된 움직임을 무선신호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c의 (a)는 상기 제3 및 제4 유닛(U3, U4)에 각각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7)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제3 및 제4 유닛(U3, U4)으로 이루어지는 변형 화면정보(302)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7)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형성된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따른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변형 화면정보(302)를 상기 최초 화면정보(301)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상기 최초 화면정보(301)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U1, U2)으로 이루어지는 최초 화면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최초 화면정보는 상기 컨텐츠들을 출력하기 위하여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된 경우 가장 먼저 출력되며 복수의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화면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닛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단계가 수행된 경우,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따른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이전 단계의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의 방향이 복수 번 변경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최초 화면정보를 출력하고, 특정 방향으로 단수 번 변경되는 것으로 감지되면 이전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크기가 축소된 많은 개수의 컨텐츠를 제공받는 중에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유닛의 크기를 다시 확장할 수 있다.
도 3d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명령에 근거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d의 (a)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U1, U2)에 복수의 컨텐츠를 출력하는 최초 화면정보(301)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07)를 도시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인가되는 복수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복수의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3 및 제4 유닛(U3, U4)에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로 이루어지는 변형 화면정보(302)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도 3d의 (b)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한 한번의 무선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제3 및 제4 유닛(U3, U4)로 이루어지며, 다른 컨텐츠가 표시되는 추가 화면정보(302')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한편, 도 3d의 (b) 및 (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복수의 제어명령에 근거한 연속적인 무선신호가 송신되면, 제7 유닛(U7)에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변형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7 유닛(U7)은 상기 제1 내지 제4 유닛(U1, U2, U3, U4)보다 크기가 작도록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07) 상에 상기 제7 유닛(U7)의 개수는 상기 최초 화면정보(301) 및 상기 변형 화면정보(302)에 포함되는 유닛의 개수보다 많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복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화면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연속적인 무선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와 한 번의 무선신호가 송신되는 경우를 구별하여, 유닛의 크기 및 개수를 유지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무선신호는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휠키(210)을 회전시켜 형성되거나, 한번에 빠른 속도로 휠키(210)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e는 추가적인 컨텐츠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e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제3 및 제4 유닛(U3, U4)으로 이루어지는 화면정보를 출력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화면정보는 상기 제3 및 제4 유닛(U3, U4)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복수의 유닛들로 이루어지는 화면정보에 해당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현재 화면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보다 뒤에 배열되어 현재 출력이 제한되어 있는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인디케이터(511)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상기 제1 인디케이터(51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7)이 하부과 인접하도록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인디케이터(511)는 사용자가 아래 방향으로 휠키(210)를 회전시켜 형성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추가적인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 제1 인디케이터(511)는 출력이 대기중인 추가적인 컨텐츠가 없는 경우, 출력이 제한된다.
도 3e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7)의 상부와 인접하도록 제2 인디케이터(512)를 출력한다. 상기 제2 인디케이터(512)는 휠키(210)를 위방향으로 회전시켜 형성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출력가능한 컨텐츠가 존재함을 알려준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휠키(210)를 아래방향으로 회전시켜 형성되는 제어명령에 따른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화면정보를 그대로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 인디케이터(512)에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위 방향으로의 제어명령을 유도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컨텐츠를 한번에 제공받는 경우 추가적인 컨텐츠가 있는지 여부를 보다 쉽게 판단하고, 보다 많은 컨텐츠를 한번에 제공받을 것인지에 대하여 선택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컨텐츠를 그룹화하여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그룹화하여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4a의 (a)는 제3 및 제4 유닛(U3, U4)에 컨텐츠들이 표시된 상기 변형 화면정보(302)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07)를 도시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변형 화면정보(302)가 출력되는 동안, 연속적인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들을 그룹화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기 설정된 횟수로 연속적인 무선신호가 수신되거나, 기 설정된 크기의 유닛이 포함된 상태에서 연속적인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를 그룹화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6)는 메모리에 포함되거나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들을 기 설정된 기준으로,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그룹화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하여 활성화된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에 포함되는 날짜정보, 상기 컨텐츠가 미디어 파일인 경우 상기 미디어 파일의 장르, 상기 컨텐츠가 수신된 출처 등에 해당될 수 있다.
도 4a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달 별로 그룹화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컨텐츠들이 그룹화된 경우, 제5 유닛(U5)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07)의 일 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그룹화된 컨텐츠들을 각각 제5 유닛(U5)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상기 제5 유닛(U5)은 상기 제3 및 제4 유닛(U3, U4) 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복수의 제5 유닛(U5)에 표시된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제1 그룹(311) 및 상기 복수의 제5 유닛(U5)에 표시된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제2 그룹(312)로 이루어지는 제1 화면정보(310)를 출력한다. 상기 제1 및 제2 그룹(311, 312)은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된다.
도 4a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그룹(311. 312)이 서로 구별되도록 출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상기 제1 및 제2 그룹(311, 312)의 정보(2014.03, 2014.02)를 함께 출력한다.
한편, 도 4a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제1 화면정보(310)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복수의 연속적인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제2 화면정보(32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상기 제2 화면정보(320)는 제3 및 제4 그룹(321, 322)을 포함한다. 상기 제3 및 제4 그룹(321, 322)은 복수의 제 5 유닛(U5)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및 제4 그룹(321, 322)은 상기 제1 및 제2 그룹(311, 312)보다 상위 개념으로 상기 컨텐츠들을 그룹화한다. 상기 제3 및 제4 그룹(321, 322)은 상기 컨텐츠를 연도별로 구분한 일 그룹에 해당된다. 상기 제1 및 제2 그룹(311, 312)에 포함된 컨텐츠는 상기 제3 그룹(321)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그룹(321, 322)은 각각에 해당되는 정보(2014, 2013)와 함께 출력된다.
즉,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복수의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상위개념 또는 하위개념으로 다시 그룹화하여 출력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유닛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출력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휠키(210)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보다 하위개념으로 상기 컨텐츠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 상에서 윗방향으로 휠키(210)이 회전하는 제어명령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6)는 주단위로 상기 컨텐츠를 분류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6)는 단일한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다른 연도로 분류된 나머지 컨텐츠들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에 복수의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포함된 컨텐츠들을 그룹화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그룹화에 따라 컨텐츠의 크기를 변경하여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제1 및 제2 그룹(311, 312)로 이루어지는 제1 화면정보(310)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복수의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1 및 제2 그룹(311, 312)은 제5 유닛(U5)에 각각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복수의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3 및 제4 그룹(321, 322)으로 이루어지는 제3 화면정보(33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상기 제3 및 제4 그룹(321, 322)은 복수의 제6 유닛(U6)에 각각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한다. 상기 제6 유닛(U6)은 상기 제5 유닛(U5)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된다. 도 4b의 (b)를 참조하면 제6 유닛(U6)은 상기 제5 유닛(U5)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3 및 제4 그룹(321, 322)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그룹(311, 312) 보다 더 많은 컨텐츠를 함께 출력한다.
즉, 상위개념으로 상기 컨텐츠들이 그룹화되는 경우 더 작은 유닛을 형성하여 더 많은 컨텐츠들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도 4c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그룹화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c의 (a)는 제1 및 제2 유닛(U1, U2)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7)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는 미디어와 관련된 이미지들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들은 영화 포스터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U1, U2)로 이루어지는 제1 화면정보(401)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따른 복수의 무선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한 경우, 상기 컨텐츠들을 그룹화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미디어의 장르에 근거하여 상기 이미지를 분류할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7)는 제1 장르(ACTION, 411) 및 제2 장르(ROMANCE, 412)를 포함하는 제2 화면정보(410)를 출력하며, 상기 제1 및 제2 장츠(411, 412)에 포함되는 복수의 컨텐츠는 제5 유닛(U5)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5 유닛(U5)은 상기 제1 및 제2 유닛(U1, U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더 많은 개수의 컨텐츠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컨텐츠들이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들을 분류할 수 있는 바, 사용자는 컨텐츠를 분류하기 위한 기준을 별도로 설정하지 아니하고도 적절한 기준으로 분류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추천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5a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제1 및 제2 유닛(U1, U2)에 각각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제1 화면정보(402)를 출력한다. 상기 제1 및 제2 유닛(U1, U2)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제1 화면정보(402)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의 휠키(210)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형성된 복수의 무선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추천 컨텐츠를 추출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모든 컨텐츠 중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서정된 기준은, 사용자의 제어패턴을 분석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주 재생한 컨텐츠의 장르, 사용자가 컨텐츠를 제공받는 시간대, 사용자가 별도로 저장해둔 컨텐츠의 종류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추천 컨텐츠들 간에는 관련성이 없어도 무관하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추천 컨텐츠가 추출되면, 상기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3 화면정보(403)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상기 제3 화면정보(403)는 제3 및 제4 유닛(U3, U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추천 컨텐츠는 상기 제3 유닛(U3)에 표시되고, 나머지 컨텐츠들은 각각 제4 유닛(U4)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추천 컨텐츠가 표시되는 추천 유닛인 제3 유닛(U3)은 상기 제4 유닛(U4)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제3 유닛(U3)이 상기 제4 유닛(U4)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나, 유닛들의 배치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상기 제어부(106)는 추천 컨텐츠를 보다 큰 유닛에 표시하고, 나머지 컨텐츠들을 보다 작은 유닛들에 표시하여, 사용자는 추천된 컨텐츠를 보다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를 찾기 어려운 경우 제어명령을 복수번 인가하게 되며, 이 경우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U1, U2)으로 이루어지는 제1 화면정보(402)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7) 상에 출력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제어명령에 근거한 무선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추천 컨텐츠를 추출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연속적인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7)상에 복수의 제4 유닛(U4)으로 이루어지는 제4 화면정보(404)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4 유닛(U4)은 상기 제1 및 제2 유닛(U1, U2)의 크기보다 작으며, 상기 제1 및 제2 유닛(U1, U2)의 개수보다 많게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더 많은 컨텐츠를 한번에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제4 유닛(U4)에 표시된 복수의 컨텐츠 중, 상기 추처 컨텐츠에는 기 설정된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추천 컨텐츠가 표시되는 제4 유닛(U4)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특정 이미지를 함께 출력하거나, 하이라이트 처리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가 업는 경우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보다 많은 컨텐츠를 함께 제공받고, 추출된 추천 컨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라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5c의 (a)는 제1 및 제2 유닛(U1, U2)에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 화면정보(402)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07)를 도시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연속적인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무선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복수의 컨텐츠들이 각각 표시되는 제4 유닛(U4)으로 구성되는 제4 화면정보(404)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상기 제4 유닛(U4)은 상기 제1 및 제2 유닛(U1, U2)의 크기 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 5c의 (b)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인가되는 복수의 제어명령에 근거한 연속적인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복수의 컨텐츠들 중 추천 컨텐츠를 추출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복수의 컨텐츠가 각각 표시되는 제3 및 제4 유닛(U3, U4)으로 이루어지는 제3 화면정보(403)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제3 유닛(U3)에 상기 추천 컨텐츠들을 각각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상기 제3 유닛(U3)은 상기 제4 유닛(U4)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106)는 특정 크기의 유닛에 복수의 컨텐츠가 각각 출력된 상태에서, 연속적인 무선신호를 다시 수신하는 경우, 보다 큰 크기의 유닛을 형성하여 추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받은 후 원하는 컨텐츠를 찾기 어려운 경우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추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은 복수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추천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의 (a)는 복수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복수의 제4 유닛(U4)으로 이루어지는 제4 화면정보(404)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07)를 도시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인가되는 복수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연속적인 무선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추천 컨텐츠를 추출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7) 상에 출력된 컨텐츠 중 추천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6)는 제1 기준에 의하여 추천 컨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복수의 제4 유닛(U4) 중 일부에 시각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6)는 현재 가격을 할인하여 판매하는 컨텐츠(414)가 표시되는 유닛의 밝기를 조절하거나, 하이라이트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컨텐츠(414) 상에 제1 기준에 관한 문자(SALE)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연속적인 무선신호가 다시 수신되면, 제1 기준과 다른 제2 기준에 의하여 다른 추천 컨텐츠를 선택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106)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07) 상에 출력된 복수의 컨텐츠 중 추천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제2 기준에 의하여 선택된 다른 추천 컨텐츠에 시각정보를 출력하거나, 제2 기준에 대한 문자(LOVE)를 함께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기준은 분석된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컨텐츠의 장르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다량의 컨텐츠를 한번에 제공받는 상태에서 추가적인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다양한 기준에 따른 추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제어명령에 따른 컨텐츠를 그룹화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의 (a)는 제1 기준으로 그룹화되어 상기 제5 유닛(U5)에 표시되는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변형 화면정보(302)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07)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1 기준은 연도에 해당되며, 상기 제3 그룹(321)은 2014년에 관련된 컨텐츠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4 그룹(322)는 2013년에 관련된 컨텐츠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한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기준에 의한 2012년 및 2011년에 관련된 컨텐츠 들로 이루어진 추가 그룹(32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제1 기준에 의하여 나열된 추가 그룹들을 상기 휠키(210)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도 7a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인가되는 복수의 제어명령에 근거한 연속적인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제1 및 제2 유닛(U1, U2)으로 이루어지는 최초 화면정보(301)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상기 제1 및 제2 유닛(U1, U2)에는 각각 컨텐츠가 출력되며, 상기 유닛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컨텐츠가 출력되는 크기 또한 증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6)는 컨텐츠가 출력되는 유닛의 크기가 최소 크기인 경우, 상기 연속적인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다시 최초 설정된 유닛에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즉, 사용자는 계속적으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최초의 출력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여, 그룹화의 기준을 변경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따른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순차적으로 나열된 추가 그룹(32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6)는 제1 방향으로 상기 휠키(210)가 회전하도록 인가되는 복수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 기준으로 컨텐츠를 그룹화하여 출력한다.
도 7b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휠키(210)가 회전하도록 인가되는 복수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컨텐츠들을 다른 기준에 의하여 다시 분류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6)는 제2 기준(연도)에 의하여 분류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동안,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휠키(210)가 회전하도록 인가되는 복수의 제어명령에 따른 무선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제1 기준(달)로 분류된 제1 및 제2 그룹(321, 322)을 포함하는 화면정보(32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도 7c의 (a)는 제2 기준(연도)으로 분류된 그룹을 포함하는 제2 화면정보(320)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07)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들은 제5 유닛(U5)에 표시된다.
도 7c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복수의 제어명령에 근거한 연속적인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기준에 의한 각 그룹을 나타내는 폴더 이미지들(34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상기 폴더 이미지 각각은 상기 제2 기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의하여 어느 하나의 폴더가 선택되면, 상기 폴더에 포함된 컨텐츠들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한편, 도 7c의 (a)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제어명령에 의하여 더 이상의 그룹화가 불가능하거나, 상기 제어명령에 의하여 더 작은 유닛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 이를 나타내는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상기 복수의 제어명령에 따른 연속적인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화면정보(320)가 출력된 상태에서 반짝하는 시각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d는 유닛의 크기 및 개수를 재변경하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d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상기 제3 및 제4 유닛(U3, U4)로 이루어지는 변형 화면정보(302)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변형 화면정보(302) 상에 상기 최초 화면정보(301)로 전환하기 위한 아이콘(52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아이콘(502)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변형화면정보(302)를 상기 최초 화면정보(301)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이 경우, 상기 최초 화면정보(301)는 상기 변형 화면정보(302)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명령이 형성되는 시점에 출력되던 컨텐츠들을 포함하거나, 현재 출력되는 컨텐츠들 일부를 상기 제1 및 제2 유닛(U1, U2)에 표시하는 화면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설정에 근거하여, 바로 이전상태로 전환하거나, 최초의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아이콘(502)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입력부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컨텐츠를 한꺼번에 제공받는 중에 다시 컨텐츠 들의 출력방법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원격제어장치의 다른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서로 다른 기준에 의하여 분류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8a에서,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제2 기준(달)에 의하여 분류된 그룹의 컨텐츠들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의하여 제스처 명령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4 기준(도시)에 의하여 분류된 그룹의 컨텐츠들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이와 비교하여, 도 8b에서 상기 제1 기준(연도)에 의하여 분류된 그룹의 컨텐츠들을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스처 명령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3 기준(나라)에 의하여 분류된 그룹의 컨텐츠들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스처 명령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하여,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감지센서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오른쪽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이를 통하여 상기 화면정보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새로운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왼쪽으로 원격제어장치가 이동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다시 제1 기준에 의하여 분류된 그룹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기준은 각각 제3 및 제4 기준과 대응되고,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분류된 그룹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인가되는 제스처 명령에 따른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각각 대응되는 기준으로 분류된 컨텐츠 그룹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준을 변경하는 무선신호는 상기 제스쳐 명령에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포함된 복수의 버튼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여, 각 그룹에 포함된 추가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연속적인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기준으로 상기 컨텐츠를 분류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상기 컨텐츠를 표시하는 유닛의 크기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상기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를 모두 출력하지 못할 수 있는 바,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그룹에 포함된 일부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인가되는 제스처 명령에 따른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각 그룹에 포함된 나머지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이상에서는 상기 휠키(210)를 회전시키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화면정보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어명령 및 무선신호를 형성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명령이 형성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로 인가되는 제어명령은 상기 휠키(210)를 튕기는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휠키는 사용자에 의하여 회전하는 힘과 튕기는 힘을 구별하거나, 인가되는 외력에 의하여 서로 다른 범위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인가되는 외력에 의한 회전정도에 근거하여 제어명령의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상기 휠키(210)는 한번의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회전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연속적인 제어명령은 상기 휠키(210)에 기 설정된 시간이상 인가되는 롱푸쉬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휠키(210)가 눌리는 경우, 연속적인 무선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9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연속적인 제어명령은 상기 휠키(210)에 기 설정된 시간이상의 롱푸쉬가 인가된 뒤에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휠키(210)가 회전하는 것을 구현될 수 있다. 즉, 순차적으로 나열된 컨텐츠의 일부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의 휠키(210)가 회전하면 나머지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무선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롱푸쉬가 인가된 뒤에 상기 휠키(210)가 회전하면, 상기 컨텐츠들이 출력되는 유닛을 변경하거나 상기 컨텐츠들을 그룹화하기 위한 무선신호를 송신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커서에 의하여 컨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컨텐츠들의 출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상기 제3 및 제4 그룹(321, 322)를 포함하는 제2 화면정보(320)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컨텐츠 또는 어느 하나의 그룹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의한 커서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도 10a의 (b)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하나의 그룹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인가된 복수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연속적인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그룹의 컨텐츠를 확대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연속적인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보다 큰 유닛을 형성하여 상기 선택된 그룹에 포함되는 각각의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컨텐츠가 작은 크기의 유닛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6)는 하나의 유닛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유닛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확대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여, 나머지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의 휠키(210)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는 제2 기준에 의하여 그룹화된 컨텐츠들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의하여 하나의 그룹이 선택된 후,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의 휠키(210)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선택된 그룹의 나머지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복수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컨텐츠들을 그룹화하여 출력하고, 하나의 그룹이 선택되면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나머지 컨텐츠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된 상태에서 제어명령이 인가된 경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인가되는 기 설정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1a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6)는 제1 컨텐츠(A)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컨텐츠들을 그룹화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상기 그룹에는 상기 선택된 제1 컨텐츠(A)가 포함된다. 여기에서 상기 컨텐츠들을 그룹화하는 제어명령은 상기 휠키(210)가 제1 방향으로 복수번 회전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그룹화된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컨텐츠(B)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제2 컨텐츠(B)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을 회전하도록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한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컨텐츠(B)를 중심으로 컨텐츠를 확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06)는 컨텐츠가 선택된 후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기준으로, 그룹화하거나 크기를 변형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도 11 b는 컨텐츠의 선택여부에 따른 컨텐츠 출력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b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휠키(210)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그룹에 포함된 추가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한편, 도 11b의 (b)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원격제어장치(200)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제3 컨텐츠(c)를 선택한다. 상기 제어부(106)는 상기 제3 컨텐츠(c)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휠키(210)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확대된 제3 컨텐츠(c')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06)는 복수의 컨텐츠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컨텐츠가 선택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휠키(210)에 인가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어명령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컨텐츠의 출력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출력목록창을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1 및 제2 유닛(U1, U2)에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로 이루어지는 최초 화면정보(301)가 출력된 상태에서 연속적인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출력목록창(530)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상기 출력목록창(530)안 상기 최초 화면정보(301) 상에 오버랩되도록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목록창(530)은 상기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카테고리 분류, 복수의 컨텐츠 중 추천 컨텐츠를 추출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추천 컨텐츠 출력, 보다 많은 컨텐츠를 한번에 출력하기 위한 추가 컨텐츠 출력 등의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목록들 중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설정에 따른 제어명령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a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한 번의 제어명령에 따른 무선신호가 송신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가 화면정보(301')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한 번의 제어명령은, 상기 휠키(210)이 기 설정된 회전정도로 회전되었을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복수의 제어명령에 따른 연속적인 무선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내에 송신되면, 상기 제3 및 제4 유닛(U3, U4)로 이루어지는 상기 변형 화면정보(302)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도 13a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휠키(210)을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빨리 회전시켜 형성되는 제어명령에 따른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변형 화면정보(302)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7)를 제어한다. 즉, 상기 변형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명령은 상기 휠키(210)이 회전하는 속도에 근거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휠키(210)을 회전시키는 횟수 및 상기 휠키(210)을 회전시키는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명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빠른 속도의 입력 또는 여러번의 입력을 가하는 경우,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보다용이하게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도 13b는 휠키(210)의 회전에 의하여 화면정보의 제어를 설정하는 설정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사용자는 휠키(210)의 스크롤 입력에 따라 컨텐츠의 레이아웃의 변경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유닛의 크기 및 개수를 변경하도록 설정할 수 잇다.
또한, 상기 레이아웃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명령으로, 스크롤의 회수나, 스크롤의 정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이아웃에 포함되는 유닛의 최대개수(또는 최소개수, 유닛의 크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카테고리를 분류하여 출력할 것인지 여부(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추천 컨텐츠를 제공할지 여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06)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순차적으로 나열된 복수의 컨텐츠 중 일부 컨텐츠들이 각각 출력되도록 기 설정된 개수로 구획된 복수의 유닛을 포함하는 최초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 상기 복수의 유닛은 제1 및 제2 유닛을 포함함 ―;
    상기 복수의 유닛에,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다른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원격제어장치 ―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휠키와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를 포함함 ―;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무선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각 유닛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상기 유닛의 개수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휠 키를 회전시키는 횟수 및 상기 휠 키를 회전시키는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명령으로 설정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는 복수의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휠 키의 회전각을 기준 회전각으로 나누어 복수의 제어명령이 인가된 것으로 판단하고,
    연속적인 상기 복수의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상기 제1 및 제2 유닛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유닛의 개수를 증가하여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유닛보다 작은 크기로 제3 및 제4 유닛을 형성하고, 상기 제3 및 제4 유닛에 표시되는 복수의 컨텐츠로 이루어지는 변형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원격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따른 제2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움직임의 방향이 복수 번 변경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변형 화면정보를 상기 최초 화면정보로 전환하고, 상기 움직임의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 단수 번 변경되는 것으로 감지되면 이전 화면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휠키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유닛의 크기가 축소된 경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복수의 제어명령에 따른 무선신호가 연속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유닛의 크기 및 상기 유닛의 개수를 복구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속적인 무선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를 기 설정된 제1 기준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연속적인 무선신호가 추가로 수신되면, 상기 제1 기준과 다른 제2 기준으로 상기 컨텐츠를 재분류하고, 재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기준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에 의하여 결정되며, 저장된 날짜, 수신된 날짜,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의 장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083211A 2014-07-03 2014-07-03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40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11A KR102240640B1 (ko) 2014-07-03 2014-07-03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14003777.1A EP2963934B1 (en) 2014-07-03 2014-11-10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4/543,934 US9612733B2 (en) 2014-07-03 2014-11-18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a remote controlling function
CN201510217708.7A CN105323620B (zh) 2014-07-03 2015-04-29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11A KR102240640B1 (ko) 2014-07-03 2014-07-03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30A KR20160004630A (ko) 2016-01-13
KR102240640B1 true KR102240640B1 (ko) 2021-04-15

Family

ID=52102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211A KR102240640B1 (ko) 2014-07-03 2014-07-03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12733B2 (ko)
EP (1) EP2963934B1 (ko)
KR (1) KR102240640B1 (ko)
CN (1) CN1053236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812A (ko) * 2017-01-11 2018-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386065B2 (en) * 2017-01-31 2022-07-12 Salesforce.Com, Inc. Database concurrency control through hash-bucket latching
CN111291220B (zh) * 2020-01-20 2021-07-13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标签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N113630639B (zh) * 2020-05-07 2022-04-1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
EP4178209A4 (en) * 2020-07-01 2024-03-06 Lg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CN113110772B (zh) * 2021-04-15 2022-06-14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展示单位控件的显示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KR20230099906A (ko) * 2021-12-28 2023-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0145A (ja) * 2009-09-11 2011-03-24 Toshiba Corp 表示処理装置、及び表示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7680B1 (en) * 1999-12-13 2004-06-08 Microsoft Corporation Speed-dependent automatic zooming interface
KR100518874B1 (ko) * 2002-12-10 2005-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편집 방법
KR101406289B1 (ko) * 2007-03-08 201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크롤 기반 아이템 제공 장치 및 방법
EP2137962A1 (en) * 2007-04-24 2009-12-30 Tte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a television with a manually actuatable element
US20090066648A1 (en) * 2007-09-07 2009-03-12 Apple Inc. Gui applications for use with 3d remote controller
KR101541351B1 (ko) * 2008-11-17 2015-08-03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수신한 방송 컨텐츠의 화면 구성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00171635A1 (en) * 2009-01-02 2010-07-08 Ewig Industries Macao Commerical Offshore, Ltd. System And Method For Motion-Sensitive Remote Control For Audio-Visual Entertainment System
KR101590355B1 (ko) * 2009-08-19 2016-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8397258B2 (en) * 2009-08-19 2013-03-12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US8593576B2 (en) * 2009-10-15 2013-11-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Gesture-based remote control
JP2011108186A (ja) * 2009-11-20 2011-06-0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10011473A1 (de) * 2010-03-15 2011-09-15 Institut für Rundfunktechnik GmbH Verfahren zur Fernsteuerung von Endgeräten
JP5667469B2 (ja) * 2011-02-24 2015-02-1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830965B1 (ko) * 2011-08-03 2018-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22050B1 (ko) * 2012-11-12 2019-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패럴랙스 스크롤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841887B2 (en) * 2014-08-27 2017-12-12 Apple Inc. Anchoring viewpor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0145A (ja) * 2009-09-11 2011-03-24 Toshiba Corp 表示処理装置、及び表示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23620B (zh) 2019-04-23
EP2963934B1 (en) 2019-01-02
KR20160004630A (ko) 2016-01-13
US9612733B2 (en) 2017-04-04
US20160004414A1 (en) 2016-01-07
EP2963934A1 (en) 2016-01-06
CN105323620A (zh) 2016-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640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0602089B2 (en) Method of acquiring information about contents,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method, and server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s
US103535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content navigation or selection using touch-based input
US10453246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336428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BR112018013301B1 (pt) Método e dispositivo para facilitar acesso a itens de conteúdo, e meio de armazenamento legível por computador
KR102227088B1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171170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transitions between items of content
KR102217562B1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2164254B (zh) 图像显示装置和方法
US2017017162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20030619A1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KR20110118421A (ko) 증강 원격제어장치, 증강 원격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5016353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5038665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10545633B2 (en) Image out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service
WO20171170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transitions between items of content based on multi-level gestures
KR20120038825A (ko) 전자 장치 및 메뉴 제공 방법
US20150181278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207767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201401410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방법.
KR102240641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8522280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US92947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back a moving picture
KR102303286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