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516B1 -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 - Google Patents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516B1
KR102240516B1 KR1020190024465A KR20190024465A KR102240516B1 KR 102240516 B1 KR102240516 B1 KR 102240516B1 KR 1020190024465 A KR1020190024465 A KR 1020190024465A KR 20190024465 A KR20190024465 A KR 20190024465A KR 102240516 B1 KR102240516 B1 KR 102240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lighting unit
handle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572A (ko
Inventor
김찬호
김정수
심명규
오윤상
김정일
신영식
윤재민
홍현기
박성열
조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티스
Priority to KR1020190024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51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a releasable handle; with handle and operating part separ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61B2090/308Lamp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61B2090/309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using white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면에는 다수 개의 LED모듈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조명유닛과, 상기 조명유닛의 개구된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조명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조명유닛의 위치, 조도 및 패턴을 제어하기 위해 하부 방면으로 돌출되는 지지축이 형성된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의 상기 지지축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유닛을 조작하고, 수술 후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분리하여 멸균처리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Detachable sterilizing handle and a astral lamp for light control using this}
본 발명은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사가 수술시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명의 위치, 조도, 패턴을 제어가 가능하고 수술 후 접촉된 손잡이만 분리하여 멸균 소독할 수 있는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영등은 병원 등에서 수술시에 환부를 잘 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조명 기구를 말하는 것으로, 수술이 이루어지고 있는 곳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각 방향에서 빛이 투사되도록 만들어지고 수술대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무영등은 수술 부위 또는 수술 진행 상황 등의 여러 조건에 따라 높이 및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무영등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어 손잡이를 잡고 원하는 위치로 움직이면서 수술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무영등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통상 수술용 장갑을 낀 후에, 손잡이를 잡고 무영등을 원하는 위치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손잡이가 오염될 경우에 반복 수술 과정에서 교차 감염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손잡이에 커버를 씌우고, 커버를 씌운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고 무영등을 움직이고 있으나, 무영등을 움직이는 과정에서 커버가 벗겨지는 문제가 자주 발생되고, 커버를 매번 교체해야 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무영등에 탈부착 가능한 손잡이도 있으나, 분리하기 위해서는 무영등 쪽에 설치된 버튼을 눌러야 손잡이가 분리되게 구성되므로, 버튼 쪽이 오염될 경우에 역시 교차 감염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무영등은 수술 중에 조도 및 패턴을 조절하여 수술부위를 밝게 함으로써 의사가 시술하는 부위에 그림자나 명암이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되는데 무영등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로부터 조작스위치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어 조작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014101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 중에 손잡이를 이용하여 무영등의 위치, 조도, 패턴을 조절할 수 있어 오염 부위를 최소화하고 쉽게 제어가 가능한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를 탈부착할 수 있어 수술 중 오염된 손잡이를 분리시켜 별도로 멸균처리 할 수 있으며, 멸균된 손잡이를 무영등에 장착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를 통해 무영등의 위치, 조도, 패턴이 조절된 후 수술부위와 무영등 사이의 거리변화 또는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조명이 능동적으로 조정되어 수술부위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어 무영등의 지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부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에 밀착되어 상기 바디를 상기 지지축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과, 상기 고정대와 연결되며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고정대를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바디가 상기 지지축에 탈부착되도록 제어하는 가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의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디의 상부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와 상기 바디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대를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복수 개의 고정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과 키 결합되어 상기 바디가 회전될 때 상기 지지축이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돌출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은 하부면에는 다수 개의 LED모듈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조명유닛과, 상기 조명유닛의 개구된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조명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조명유닛의 위치, 조도 및 패턴을 제어하기 위해 하부 방면으로 돌출되는 지지축이 형성된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의 상기 지지축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유닛을 조작하고, 수술 후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분리하여 멸균처리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상기 제어유닛에 형성된 상기 지지축은 회전에 의해 상기 LED모듈의 조도 또는 패턴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지지축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감지판과, 상기 감지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감지판의 회전 방향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조명유닛의 조도 또는 패턴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감지판이 회전되면 탄성력으로 상기 감지판이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은 상기 감지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판이 설정된 각도만큼만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스톱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지지축이 회전된 후 1초 미만 유지시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조명유닛의 패턴 사이즈가 증가 또는 감소되고, 상기 지지축이 회전된 후 1.5초 이상 유지시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조명유닛의 조도가 증가 또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은 상기 조명유닛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명유닛과 시술부위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조명유닛의 설정된 LED모듈의 전류를 상승시켜 심도를 개선하는 심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은 상기 조명유닛의 하부면에 다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조명유닛과 시술부위 사이에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수에 따라 상기 조명유닛의 설정된 LED모듈의 전류를 상승시켜 무영성능을 개선하는 무영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에 의하면, 수술 중에 손잡이를 이용하여 무영등의 위치, 조도, 패턴을 조절할 수 있어 오염 부위를 최소화하고 쉽게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에 의하면, 손잡이를 탈부착할 수 있어 수술 중 오염된 손잡이를 분리시켜 별도로 멸균처리 할 수 있으며, 멸균된 손잡이를 무영등에 장착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에 의하면, 손잡이를 통해 무영등의 위치, 조도, 패턴이 조절된 후 수술부위와 무영등 사이의 거리변화 또는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조명이 능동적으로 조정되어 수술부위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에 손잡이가 탈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손잡이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손잡이 동작구조를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손잡이가 동작된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제어유닛 내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제어유닛 내부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조명유닛의 하부면을 나타낸 배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사가 수술시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명의 위치, 조도, 패턴을 제어가 가능하고 수술 후 접촉된 손잡이만 분리하여 멸균 소독할 수 있는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300)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전체적인 외형을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300)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에 손잡이(300)가 탈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300)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은 하부면에는 다수 개의 LED모듈(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조명유닛(100)과, 조명유닛(100)의 개구된 중앙에 형성되고 조명유닛(100)과 연결되어 조명유닛(100)의 위치, 조도 및 패턴을 제어하기 위해 하부 방면으로 돌출되는 지지축(210)이 형성된 제어유닛(200)과, 제어유닛(200)의 지지축(210)에 장착되어 제어유닛(200)을 조작하고, 수술 후 지지축(210)으로부터 분리하여 멸균처리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유닛(200)의 지지축(210)은 회전에 의해 LED모듈(110)의 조도 또는 패턴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명유닛(100)의 하부면에는 다수 개의 LED가 배치된 LED 모듈이 형성되어 있으며, LED모듈(110)은 조명유닛(100)의 하부면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있어 각각의 LED모듈(110)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LED에는 조사되는 빛을 집광시키기 위해 반사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LED모듈(110)은 조명유닛(100)의 일측에 형성된 조작반(120)에 연결되어 조작반(120)을 통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조작반(120)은 조명유닛(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조명유닛(100) 및 제어유닛(200)에 형성된 각종 장치에 공급하고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조작반(120)은 제어유닛(200)보다 복잡한 제어가 가능한 메인 제어장치로 제어유닛(200)에서 제어하지 못하는 각종 제어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의료진이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조명유닛(100)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반(120)은 조명유닛(100)이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위치조정대(130)와 연결되어 있으며, 위치조정대(130)는 수술대에 결합되어 있어 조명유닛(100)의 위치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조명유닛(100)의 중앙은 상부에서 하부로 개구되어 있으며, 조명유닛(100)의 중앙에는 수술 중 의료진이 조명유닛(100)의 위치, 조도, 패턴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유닛(200)이 별도로 마련되게 된다.
제어유닛(200)은 조명유닛(100)의 모든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반(120)과는 다르게 조명유닛(100)의 위치, 조도, 패턴만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보조 제어장치로 사용되는 것으로, 하부에는 손잡이(3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지지축(2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어유닛(200)은 지지축(210)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센서가 동작되어 LED모듈(110)의 조도 및 패턴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수술 중 의료진이 조작반(120)에 이동하여 LED모듈(110)의 동작을 제어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게 조명유닛(100)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축(210)에는 손잡이(300)가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300)가 지지축(210)에 결합되면 의료진은 손잡이(300)를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수술 중 오염물이 손잡이(300)에 묻게 되더라도 수술 후 손잡이(300)만 분리시켜 멸균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술 중 의료진이 수술 부위가 그늘지지 않도록 손잡이(3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명유닛(100)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LED모듈(110)의 조도 및 패턴을 손잡이(300)를 회전시킴으로써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300)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손잡이(300)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300)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손잡이(300) 동작구조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300)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손잡이(300)가 동작된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300)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손잡이(300)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어 무영등의 지지축(2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디(310)와, 바디(310)의 개구된 상부 내측에 형성되며 지지축(210)에 밀착되어 바디(310)를 지지축(210)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320)과, 고정대(321)와 연결되며 외력이 가해지면 고정대(321)를 지지축(210)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바디(310)가 지지축(210)에 탈부착되도록 제어하는 가압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유닛(320)은 지지축(21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바디(310)의 상부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대(321)와, 고정대(321)와 바디(310) 사이에 형성되며 고정대(321)를 지지축(21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스프링(323)과, 복수 개의 고정대(321)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지지축(210)과 키 결합되어 바디(310)가 회전될 때 지지축(210)이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돌출단(3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디(3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져 있어 지지축(210)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디(310)의 상부는 하부 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있어 바디(310)의 상부에 고정유닛(320)과 가압대(33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고정유닛(320)과 가압대(330)가 설정된 방향대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311)가 바디(310)의 일측, 타측, 후면에 각각 형성되게 된다.
바디(310)의 상부에는 고정유닛(320)과 가압대(330)가 순차적으로 조립되게 되며, 가압대(330)에 형성된 가압버튼(332)은 바디(310)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홀(31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바디(310)에 고정유닛(320)과 가압대(330)가 조립되면 바디(310)의 상부에는 바디(310)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커버(340)가 조립되며, 커버(340)의 중앙에는 지지축(2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게 된다.
고정유닛(320)은 지지축(210)의 외면을 가압하여 바디(310)가 지지축(2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바디(3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되어 지지축(210)의 외면을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대(321)가 형성되며, 각각의 고정대(321)에는 스프링(323)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축(210) 방면으로 가압될 수 있게 된다.
고정대(321)에는 스프링(32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에 축이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323)이 안정적으로 고정대(321)를 밀어낼 수 있도록 하고, 스프링(323)은 가이드(311) 내부에 위치되어 있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대(321)는 항상 스프링(323)에 의해 가압되어 지지축(210)의 외면을 가압하게 되며, 지지축(210)의 외경보다 작게 파여진 고정단차(212)에 삽입됨으로써 바디(310)가 지지축(2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대(321)의 하부면에는 지지축(210)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키홈(2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단(324)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단(324)이 키홈(211)과 일치되면 고정대(321)가 지지축(210) 외면에 밀착되면서 키 결합에 의해 바디(310)의 회전을 따라 지지축(210)도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즉, 바디(310)에 지지축(210)을 삽입한 상태에서 바디(310)를 회전시키면 고정대(321)의 돌출단(324)과 키홈(211)이 일치되는 지점에서 스프링(323)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대(321)가 고정단차(212)에 밀착되게 되면서 돌출단(324)이 키홈(211)에 삽입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가압대(330)는 링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면에는 가압대(330)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버튼(332)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가이드(311)에 안착되어 가이드(311)를 따라 가압대(33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압대(330)의 전면과 후면 하부에는 고정대(321)를 양측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단(331)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대(321)의 전면과 후면 하부에는 원통형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지지단(3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가압단(331)은 대각선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돌출되어 있고, 지지단(322)과 접촉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의료진이 가압버튼(332)을 가압하면 가압대(330)가 전면에서 후면 방면으로 이동되면서 가압단(331)의 기울어진 방향을 따라 지지단(322)이 이동되면서 고정대(321)가 바디(310)의 일측과 타측 방면으로 이동되게 된다.
즉, 가압대(330)가 이동되면 가압단(331)이 지지단(322)을 가압하여 바디(310)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된 고정대(321)가 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고정대(321)가 지지축(210)의 고정단차(212)로부터 분리되면서 바디(310)를 지지축(21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고정대(321)가 이동될 때 고정대(321)와 바디(310) 사이에 위치된 스프링(323)은 압축되게 되고, 가압버튼(332)에 가해진 하중이 제거되면 압축된 스프링(323)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고정대(321)를 가압하게 된다.
스프링(323)에 의해 가압된 고정대(321)는 지지단(322)을 통해 가압대(330)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이동시키게 되어 가압버튼(332)이 바디(310) 외면으로 다시 돌출되는 초기상태가 된다.
따라서 고정대(321)가 지지단(322)차에 결합되기 때문에 손잡이(300)를 잡아당겨도 손잡이(300)가 지지축(210)으로 분리되지 않아 안정성을 얻을 수 있으며, 손잡이(300)가 지지축(210)과 키 결합되기 때문에 손잡이(3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지지축(210)도 함께 회전되어 조도 및 패턴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300)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제어유닛(200) 내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300)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제어유닛(200) 내부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300)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제어유닛(200)은 지지축(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지지축(210)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감지판(220)과, 감지판(2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며 감지판(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동작되어 조명유닛(100)의 조도 또는 패턴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센서(230)와, 감지판(2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며 감지판(220)이 회전되면 탄성력으로 감지판(220)이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체(2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지판(220)의 일단에 형성되어 감지판(220)이 설정된 각도만큼만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스톱바(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유닛(200)은 도 1의 조명유닛(100)과 연결되어 각종 장치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260)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우징(260)의 하부에는 지지축(210)이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하우징(260) 상부에는 지지축(210)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감지판(220)이 형성되어 있다.
감지센서(230)는 하우징(260)에 결합되어 있으며 감지판(2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되어 감지판(220)이 회전될 때 회전되는 방향을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감지센서(23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광부와 발광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감지판(220)은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에 위치되어 있어 감지판(220)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를 감지판(220)이 막고 있어 제어신호가 송출되지 않게 된다.
감지판(22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감지판(2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 감지홀(221)이 감지센서(230)의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에 위치되게 되며, 감지홀(221)에 의해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에 막는 물체가 없어지게 되므로 제어신호가 생성되게 된다.
즉, 지지축(210)이 회전되면서 감지판(22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감지판(2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된 감지센서(230) 중 어느 하나만 감지홀(221)에 의해 제어신호가 송출되게 되며, 감지센서(230)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는 도 1의 조명유닛(100)으로 전달되어 LED모듈(110)의 조도 및 패턴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지판(220)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하우징(260)에 고정된 탄성체(24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감지판(220)이 지지축(210)에 의해 회전되면 탄성체(240)가 회전 방향을 따라 이완된 후 복원력에 의해 감지판(220)이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지판(220)이 과도하게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감지판(220)의 일단에는 감지판(220)이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스톱바(2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톱바(250)는 감지판(220)의 일단 양측에 각각 돌출된 회전방지단(222)과 접촉됨으로써 감지판(220)이 회전되는 반경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스톱바(250)는 감지판(220)의 양측에 형성된 회전방지단(222) 사이에 위치되어 감지판(22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되는 각도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유닛(200)은 지지축(210)이 회전된 후 1초 미만 유지시 회전 방향에 따라 조명유닛(100)의 패턴 사이즈가 증가 또는 감소되고, 지지축(210)이 회전된 후 1.5초 이상 유지시 회전 방향에 따라 조명유닛(100)의 조도가 증가 또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유닛(200)에 형성된 감지센서(230)는 감지판(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230)만 동작되게 되므로, 각각의 감지센서(230)가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송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즉, 지지축(2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일측에 위치된 감지센서(230)가 감지홀(221)에 의해 동작되면 조도 또는 패턴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지지축(2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타측에 위치된 감지센서(230)가 감지홀(221)에 의해 동작되면 조명 또는 패턴 사이즈를 감소시키는 신호를 송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명 또는 패턴 사이즈는 감지판(220)이 회전되어 감지센서(230)가 1초 미만동안 동작되면 패턴 사이즈에 관한 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감지판(220)이 회전되어 감지센서(230)가 1.5초 이상 유지되면 조도에 관한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즉, 의료진이 지지축(210)을 회전시킬 때 1초 미만으로 회전시킨 후 초기 상태로 복귀 시키면 패턴 사이즈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1.5초 이상으로 회전시킨 상태로 유지하면 조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300)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조명유닛(100)의 하부면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300)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의 조명유닛(10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조명유닛(100)과 시술부위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에 따라 조명유닛(100)의 설정된 LED모듈(110)의 전류를 상승시켜 심도를 개선하는 심도센서(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명유닛(100)의 하부면에 다수 개로 형성되어 조명유닛(100)과 시술부위 사이에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수에 따라 조명유닛(100)의 설정된 LED모듈(110)의 전류를 상승시켜 무영성능을 개선하는 무영센서(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수술 중 수술부위와 조명유닛(100) 사이에는 의료진이 존재하게 되는데 의료진의 신체부위에 의해 LED모듈(110) 중 어느 하나에서 조사되는 광원이 가려져 수술부위가 어두워지거나 조명유닛(100)을 조정하면서 조명유닛(100)과 수술부위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어 패턴 사이즈가 변화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조명유닛(100)에는 심도센서(400) 및 무영센서(5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술부위까지의 거리 또는 물체를 감지하여 LED모듈(110)에서 조사되는 광원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8과 같이, 조명유닛(100)의 하부면에는 4개의 LED모듈(110)이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어느 하나의 LED모듈(110)에는 심도센서(400)가 위치되고, 다른 LED모듈(110)들에는 무영센서(500)가 위치되게 된다.
먼저 심도센서(400)는 조명유닛(100)과 수술부위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여 패턴 사이즈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명유닛(100)과 수술부위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패턴 크기 또는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LED모듈(110)의 전류를 순차적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조명유닛(100)으로부터 광 조사장 중심까지의 거리는 약 100cm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심도센서(400)로부터 환자의 수술부위까지의 측정한 거리 값이 100cm를 초과하게 되면 LED모듈(110)의 전류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측정된 거리가 110cm인 경우 LED모듈(110)의 전류량을 5%증가시키고, 120cm인 경우 LED모듈(110)의 전류량을 10% 증가, 130cm인 경우 LED모듈(110)의 전류량을 15% 증가시켜 조명유닛(100)으로부터 100cm보다 먼 거리에 있는 수술부위에 광원이 도달하여 패턴 사이즈 및 패턴 형상이 보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 개의 LED모듈(110)에 대한 전류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특정 위치에 있는 LED모듈(110)의 전류량을 조절하여 100cm에서 원형 패턴이 형성되는 조건을 100~130cm의 위치에서도 원형 패턴이 형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심도센서(400)에 의해 거리가 측정되면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무영센서(500)를 통해 LED모듈(110)과 수술부위 사이에 가려지는 물체가 있는지 감지하게 되며, 물체가 감지되지 않은 부위의 LED모듈(110)의 전류량을 제어함으로써 패턴 사이즈 및 패턴 형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무영센서(500)는 조명유닛(100)과 수술부위 사이에 의료진 또는 물체를 감지하여 LED모듈(110)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이 수술부위까지 도달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심도센서(400)가 형성되지 않은 LED모듈(110)에 각각 형성되게 된다.
무영센서(500) 중 어느 하나가 의료진 또는 물체를 감지하게 되는 경우 수술부위에 물체에 의해 그림자가 지거나 어두워진 것으로 판단하여, 물체가 감지되지 않은 부위의 LED모듈(110)에 전류량을 상승시켜 수술부위의 조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무영센서(500) 중 어느 하나만 물체를 감지하게 되면 감지된 부위의 반대편에 위치된 LED모듈(110)의 전류량을 10% 상승시키게 되고, 무영센서(500) 중 어느 두 개가 물체를 감지하게 되면 감지된 부위의 반대편에 위치된 LED모듈(110)의 전류량을 20% 증가시키게 된다.
즉, 전류량은 최대 20%까지 증가될 수 있게 되며 물체가 감지된 부위에는 광이 물체에 가려져 수술부위에 도달하는 면적이 감소되기 때문에 물체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부위의 전류량을 높여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심도센서(400)는 아날로그 모션센서를 이용하고, 무영센서(500)는 디지털 모션센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대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에 의하면, 수술 중에 손잡이를 이용하여 무영등의 위치, 조도, 패턴을 조절할 수 있어 오염 부위를 최소화하고 쉽게 제어가 가능하고, 손잡이를 탈부착할 수 있어 수술 중 오염된 손잡이를 분리시켜 별도로 멸균처리 할 수 있으며, 멸균된 손잡이를 무영등에 장착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손잡이를 통해 무영등의 위치, 조도, 패턴이 조절된 후 수술부위와 무영등 사이의 거리변화 또는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조명이 능동적으로 조정되어 수술부위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조명유닛 110 : LED모듈
120 : 조작반 130 : 위치조정대
200 : 제어유닛 210 : 지지축
211 : 키홈 212 : 고정단차
220 : 감지판 221 : 감지홀
222 : 회전방지단 230 : 감지센서
240 : 탄성체 250 : 스톱바
260 : 하우징 300 : 손잡이
310 : 바디 311 : 가이드
312 : 관통홀 320 : 고정유닛
321 : 고정대 322 : 지지단
323 : 스프링 324 : 돌출단
330 : 가압대 331 : 가압단
332 : 가압버튼 340 : 커버
400 : 심도센서 500 : 무영센서

Claims (9)

  1. 상부가 개구되어 있어 무영등의 지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구된 상부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에 밀착되어 상기 바디를 상기 지지축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디의 상부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와 상기 바디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대를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스프링과;
    상기 복수 개의 고정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과 키 결합되어 상기 바디가 회전될 때 상기 지지축이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돌출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대와 연결되며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고정대를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바디가 상기 지지축에 탈부착되도록 제어하는 가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2. 삭제
  3. 하부면에는 다수 개의 LED모듈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조명유닛과;
    상기 조명유닛의 개구된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조명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조명유닛의 위치, 조도 및 패턴을 제어하기 위해 하부 방면으로 돌출되는 지지축이 형성된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의 상기 지지축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유닛을 조작하고, 수술 후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분리하여 멸균처리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지지축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감지판과;
    상기 감지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감지판의 회전 방향에 따라 동작되어 상기 조명유닛의 조도 또는 패턴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감지판이 회전되면 탄성력으로 상기 감지판이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의 상기 지지축은 회전에 의해 상기 LED모듈의 조도 또는 패턴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판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판이 설정된 각도만큼만 회전되도록 제어하는 스톱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
  7. 하부면에는 다수 개의 LED모듈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조명유닛과;
    상기 조명유닛의 개구된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조명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조명유닛의 위치, 조도 및 패턴을 제어하기 위해 하부 방면으로 돌출되는 지지축이 형성된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의 상기 지지축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유닛을 조작하고, 수술 후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분리하여 멸균처리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지지축이 회전된 후 1초 미만 유지시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조명유닛의 패턴 사이즈가 증가 또는 감소되고,
    상기 지지축이 회전된 후 1.5초 이상 유지시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조명유닛의 조도가 증가 또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
  8. 하부면에는 다수 개의 LED모듈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조명유닛과;
    상기 조명유닛의 개구된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조명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조명유닛의 위치, 조도 및 패턴을 제어하기 위해 하부 방면으로 돌출되는 지지축이 형성된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의 상기 지지축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유닛을 조작하고, 수술 후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분리하여 멸균처리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유닛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조명유닛과 시술부위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에 따라 상기 조명유닛의 설정된 LED모듈의 전류를 상승시켜 심도를 개선하는 심도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
  9. 하부면에는 다수 개의 LED모듈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조명유닛과;
    상기 조명유닛의 개구된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조명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조명유닛의 위치, 조도 및 패턴을 제어하기 위해 하부 방면으로 돌출되는 지지축이 형성된 제어유닛과;
    상기 제어유닛의 상기 지지축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유닛을 조작하고, 수술 후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분리하여 멸균처리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유닛의 하부면에 다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조명유닛과 시술부위 사이에 물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수에 따라 상기 조명유닛의 설정된 LED모듈의 전류를 상승시켜 무영성능을 개선하는 무영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
KR1020190024465A 2019-03-04 2019-03-04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 KR102240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65A KR102240516B1 (ko) 2019-03-04 2019-03-04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465A KR102240516B1 (ko) 2019-03-04 2019-03-04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572A KR20200106572A (ko) 2020-09-15
KR102240516B1 true KR102240516B1 (ko) 2021-04-16

Family

ID=72450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465A KR102240516B1 (ko) 2019-03-04 2019-03-04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5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8854A1 (ko) * 2021-10-05 2023-04-13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에어 분사 기능이 구비된 무영수술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495B1 (ko) * 2002-02-25 2006-07-19 스테리스 인코퍼레이티드 살균 배리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외과수술용 램프 장치, 그리고 살균 환경을 유지시키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4974B2 (ja) 1994-03-25 2001-10-02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医療機器の把手装置
KR101381976B1 (ko) * 2012-01-02 2014-04-07 주식회사 덴티스 치과 진료용 조명등 지지 유닛
KR101726734B1 (ko) * 2015-08-11 2017-04-13 주식회사 덴티스 무영등 손잡이의 탈부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495B1 (ko) * 2002-02-25 2006-07-19 스테리스 인코퍼레이티드 살균 배리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외과수술용 램프 장치, 그리고 살균 환경을 유지시키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8854A1 (ko) * 2021-10-05 2023-04-13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에어 분사 기능이 구비된 무영수술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572A (ko)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3292B2 (en) Device for use in a medical treatment room
KR100602515B1 (ko) 외과용 조명 시스템의 인체공학적 제어기
AU2003216411B2 (en) Disposable sterile cover for surgical lamps
DK2434202T3 (en) Operating lamp with sterile control device
KR102240516B1 (ko) 탈부착식 멸균 손잡이 및 이를 이용하여 조명 제어가 가능한 무영등
CN101015463A (zh) 对检查对象的至少一个部分进行图像拍摄的x射线装置
US20210308293A1 (en) Safeguarded germical lighting device
JP7032529B2 (ja) 椅子型光治療装置
KR20120094584A (ko) 자동초점조절기능이 구비된 의료용 조명기구
US8070322B2 (en) Examination light with readily accessible controls
DE20316755U1 (de) Medizinische Beleuchtungseinrichtung
KR200463778Y1 (ko) 근적외선 소독기
JP2551499Y2 (ja) 医療用照明灯
JP3598222B2 (ja) 照明装置
CN110720989A (zh) 一种可移动式手术室护理装置
JPH0191848A (ja) レーザハンドピース付歯科治療装置
WO2022107577A1 (ja) 内視鏡用殺菌装置及び内視鏡用殺菌システム
CN213040374U (zh) 一种手术室护理多角度可调节灯
CN211187195U (zh) 一种利用多波段led光源的皮肤检测装置
TW201716725A (zh) 手術燈照明控制裝置
KR101940290B1 (ko) 레이저 포인트를 포함하는 무영등
JP2013211098A (ja) 歯科用照明器具
JPH0745203Y2 (ja) 歯科用口腔照明具
KR20190064879A (ko)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구성품에 대한 조작 방법 및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구성품에 대한 조작 장치
JPH09135846A (ja) 光ファイバ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