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401B1 - 색소폰 스트랩 - Google Patents

색소폰 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401B1
KR102240401B1 KR1020190169333A KR20190169333A KR102240401B1 KR 102240401 B1 KR102240401 B1 KR 102240401B1 KR 1020190169333 A KR1020190169333 A KR 1020190169333A KR 20190169333 A KR20190169333 A KR 20190169333A KR 102240401 B1 KR102240401 B1 KR 102240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vertebrae
thoracic
support
contac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란
Original Assignee
김미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란 filed Critical 김미란
Priority to KR1020190169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5/00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 G10G5/005Supports for musical instruments while playing, e.g. cord, strap or harnes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06Beating-reed wind instruments, e.g. single or double reed wind instruments
    • G10D7/08Sax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소폰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경추와 흉추의 일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경추에서 흉추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 부착되어 경추의 일측에 위치하는 신체와 접촉하는 경추옆 접촉부와, 지지판에 부착되어 흉추의 일측에 위치하는 신체와 접촉하는 흉추 접촉부 및 지지판에서 부착되며 경추옆 접촉부 및 흉추옆 접촉부 사이에서 어깨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어깨지지부를 구비하여 경추와 흉추의 중심에서 대칭으로 소정거리 이격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지지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는 배치되는 지지부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지부의 이격배치되는 거리를 유지시키는 수평밴드; 및 신체와 접촉되는 않는 지지부의 노출면에 결합되어 끈이 끼워지는 끈 연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색소폰 스트랩{Saxophone strap}
본 발명은 색소폰 스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추와 흉추 그리고 견갑골 사이에 안착되어 색소폰 연주중 악기의 움직임이나 목, 팔 또 어깨, 몸의 움직임에도 탄성과 쿠션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자유로우며 경추와 흉추를 직접하지 압박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신체적 무리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심신에 안정을 주어 편안하게 연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무재질로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기구를 통해 악기의 높낮이 조절 시, 사용중에 악기의 찍힘이나 긁힘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색소폰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색소폰은 목관악기로써 목 또는 어깨에 걸고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마우스피스를 입으로 물고 갈대를 울려 연주하는 악기이다.
이러한 색소폰을 연주할 때에는 스트랩이라는 기구를 사용하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스트랩의 종류는 목걸이형, 한쪽 어깨걸이형, 양쪽 어깨걸이형, X형, 등 다양하다.
대중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목걸이형 스트랩은 일자형 밴드, 가죽, 면, 압축스폰지 등 두께 2mm ~ 5mm, 넓이 25mm ~ 45mm 정도 넓이의 평면을 이루는 일자형 소재와 가는 연결 줄을 대체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연주중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목에 걸치고 악기를 고리에 결속하고 연주를 하기 때문에 악기의 중량이 경추와 흉추의 극돌기를 직접 압박하여 문제점이 빈번히 발생되는 실정이다. 특히, 테너색소폰은 4.7Kg의 무게가 나가기 때문에 목에 걸고 연주를 할 때에 경추와 흉추를 직접 압박하는 것은 피하기 어려운 현상이다. 또한 악기를 상하로 움직이거나 목을 움직일 때 비틀린 일자형밴드 상부 또는 하부의 접촉부분을 부분적으로 강하게 압박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연주를 하는 동안 신체의 특정부분에 지속적으로 압박을 가함으로 신체질환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색소폰을 목에 걸고 연주를 할 때에 신체적 무리를 제공하지 않고, 심신에 안정을 주어 편안하게 연주할 수 있는 색소폰용 스트랩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색소폰의 높낮이를 조정할 때에, 종래에는 도 7과 같이 금속재질을 사용하였다. 종래에는 도 7과 같이 금속을 사용하고 있다. 금속재질은 착용감이 불편하며, 나무재질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무겁기 때문에 신체에 전달되는 하중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철재 또는 프라스틱을 사용한 기구는 사용 중 부주위시 악기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2450호, 2012년 9월 11일)
본 발명의 목적은 경추와 흉추 그리고 견갑골 사이에 안착되어 색소폰 연주중 악기의 움직임이나 목, 팔 또 어깨, 몸의 움직임에도 탄성과 쿠션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자유로우며 경추와 흉추를 직접하지 압박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신체적 무리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심신에 안정을 주어 편안하게 연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무재질로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기구를 통해 악기의 높낮이 조절 시, 사용중에 악기의 찍힘이나 긁힘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색소폰 스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용 스트랩은 경추와 흉추의 일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경추에서 흉추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에 부착되어 경추의 일측에 위치하는 신체와 접촉하는 경추옆 접촉부와, 지지판에 부착되어 흉추의 일측에 위치하는 신체와 접촉하는 흉추 접촉부 및 지지판에서 부착되며 경추옆 접촉부 및 흉추옆 접촉부 사이에서 어깨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어깨지지부를 구비하여 경추와 흉추의 중심에서 대칭으로 소정거리 이격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지지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는 배치되는 지지부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지부의 이격배치되는 거리를 유지시키는 수평밴드; 및 신체와 접촉되는 않는 지지부의 노출면에 결합되어 끈이 끼워지는 끈 연결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경추옆 접촉부, 흉추옆 접촉부 및 어깨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모메리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구에 끼워지는 끈의 길이를 조정하여 색소폰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나무재질로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본 발명품 색소폰 스트랩은 경추와 흉추의 상부 옆에 위치한 경판상근, 견갑거근, 승모근상부, 극상근, 소능형근, 상후거근에 이르도록 위치하며 흉추와 견갑골 사이에 안착되므로 연주중 악기의 움직임이나 목, 팔 또는 어깨의 움직임에도 탄력과 쿠션이 있으므로 제한을 받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 경추와 흉추의 극돌기를 직접 압박하지 않고 양 옆의 근육에 지지 되도록 간격을 두어 경추와 흉추의 디스크 등 척추 질환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또한 악기 울림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고 뒷목과 어깨부분의 압박으로 인한 통증을 최소화하여 신체적 안정감을 주어 편안히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편백나무와 같은 나무재질로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부를 통해, 악기의 긁힘이나, 찍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성분과 향기가 방출되므로 연주를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스트랩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부에 끈이 연결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스트랩의 착용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스트랩의 착용상태를 예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높낮이 조절부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스트랩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부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부에 끈의 연결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스트랩(10)은 지지부(110), 수평밴드(120), 끈 연결구(130) 및 높낮이 조절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110)는 경추와 흉추의 중심에서 대칭으로 소정거리 이격배치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지지판(111), 경추옆 접촉부(112), 흉추 접촉부(113) 및 어깨지지부(114)를 구비한다.
지지판(111)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경추와 흉추의 일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경추에서 흉추 방향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된다. 지지판(111)은 전체적으로 경추와 흉추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곡률성형될 수 있다. 이때, 지지판(111)은 경추와 흉추의 신체적 특징과 경추 및 흉추 사이에 위치하는 어깨의 상면을 고려하여 경추지지면(1111), 흉추지지면(1112) 및 어깨지지면(1113)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경추지지면(1111)은 상측에서 아래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넓어지도록 곡률성형될 수 있으며, 대략적으로 경추지지면(1111)과 흉지지면(1112)은 상하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어깨지지면(1113)은 경추지지면(1111), 흉추지지면(1112)의 바깥측으로 연장되며, 어깨 형상을 고려하여, 상측이 하측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그 너비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경추옆 접촉부(112), 흉추 접촉부(113) 및 어깨지지부(114)는 메모리 폼으로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판(111)의 일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추옆 접촉부(112)는 경추의 일측에 위치하는 신체와 접촉하게 되고, 흉추 접촉부(113)는 흉추의 일측에 위치하는 신체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어깨지지부(114)는 경추옆 접촉부 및 흉추옆 접촉부 사이에서 어깨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어깨를 감싸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게 된다.
이를 통해, 지지판(111)에 부착되는 경추옆 접촉부(112), 흉추 접촉부(113) 및 어깨지지부(114)를 통해 연주중 악기의 움직임이나 목, 팔 또는 어깨의 움직임에도 흉추와 견갑골 사이에 안착되도록 하며 탄력 및 쿠션을 통해서 안정적인 연주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지지판(111)은 비교적 가벼운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지지판(111)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경우, 과도한 하중이 색소폰을 메고 있는 연주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수평밴드(120)는 서로 이웃하는 배치되는 지지부(110)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한다. 이때, 수평밴드(120)는 경추지지면(1111) 및 흉추지지면(1112)를 따라 상하로 각각 제1 수평밴드(121) 및 제2 수평밴드(122)가 결합되어 서로 이웃하는 지지부(110)의 이격배치되는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수평밴드(120)는 소정의 탄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신체에 지지부(110)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끈 연결구(130)는 신체와 접촉되는 않는 지지부(110)의 노출면에 결합되며, 끈(S)이 끼워지도록 하여 색소폰을 목에 걸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끈 연결구(130)는 제1 수평밴드(121)와 제2 수평밴드(122) 사이에 배치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수평밴드(121)에 인접된 하측에 결합되어 보다 편안하게 끈(S)이 목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끈 연결구(130)는 튜브 안내구(132)와 고정구(131)로 형성된다. 튜브 안내구(132)는 끈이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연결되는 역할을 하며, 고정구(131)는 튜브 안내구(13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끈이 직접 고정구(131)로 연결되지 않고, 튜브 안내구(132)를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끈 연결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높낮이 조절부(140)는 끈 연결구(130)에 끼워지는 끈(S)의 길이를 조정하여 색소폰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홀이 형성되며, 복수의 홀에 끈을 연결하여 끈의 길이를 원활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때, 높낮이 조절부(140)는 나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편백나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편백나무와 같은 나무재질로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부(140)를 통해, 악기의 긁힘이나, 찍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성분과 향기가 방출되므로 연주를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할 수 있게 된다.
높낮이 조절부(140)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높낮이 조절부(140)는 소정두께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홀(H) 또는 홈(G)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홈(G)으로 설명하였으나, 홈(G)에 한정되지 않고 홀(H)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먼저, 홈(G)을 중심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높낮이 조절부(140)에는 서로 이웃하여 제1 상측홀(141) 및 제2 상측홀(142)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홈(G)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그 다음으로, 홈(G)을 중심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높낮이 조절부(140)에는 서로 이웃하여 제1 하측홀(143), 제2 하측홀(144), 제3 하측홀(145) 및 제4 하측홀(144)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홀(H)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제1 상측홀(141)과 제1 하측홀(143)은 동일 축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제2 상측홀(142)과 제4 하측홀(144)은 동일한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결합된 끈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끈이 끼워지는 구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끈(S)은 제1 상측홀(141)의 상단 입구측에서 삽입되어 홀(H)로 인출된다. 그 후에 홀(H)로 인출된 끈은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제4 하측홀(144)로 삽입되어 바깥으로 인출된다. 그 다음에, 제2 하측홀(144)의 하단 출구측에서 삽입되어 홀(H)로 다시 인출된다. 그리고, 제2 하측홀(144)와 제4 하측홀(144) 사이에 위치하는 제3 하측홀(145)로 삽입된 후에 다시 바깥으로 인출된다. 그 후에, 제1 하측홀(143)의 하단 출구측에서 삽입되어 홀(H)로 인출된 후에 대각선 방향으로 제2 상측홀(142)의 하단 출구측으로 삽입되어 제2 상측홀(142)로 인출되되어 끈의 양단이 바깥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끈이 높낮이 조절부(140)에 결합되면, 높낮이 조절부(140)는 구조를 통해서 높낮이 조절부(140)에 연결되는 끈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원발명의 높낮이 조절부(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목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드릴 등을 이용해서 복수의 홀이 홈(G)과 연통되도록 성형할 수 있다. 복수 홀과 연통된 홈(G)은 끼워지는 끈의 결합위치의 확인이 용이하여 끈의 결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끈이 결합된 후에 그 홀(H)이 노출되지 않도록 문양이 있는 장식커버(147) 등이 결합될 수도 있다.
반면, 종래에는, 플라스틱 재질이나 금속재질은 이와 같이 내부에 복수의 홀이 일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형성되는 것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 복수의 홀이 막혀서 끈을 연결하는 것이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부는 도 7과 같이 단순히 평평한 형상에 구멍이 형성되는 구조로 만 형성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스트랩의 착용상태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소폰 스트랩의 착용상태를 예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깨에 안정적으로 걸쳐질 뿐만 아니라, 경추 및 휴추를 압박하는 구조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색소폰 스트랩은 경추와 흉추의 상부 옆에 위치한 경판상근, 견갑거근, 승모근상부, 극상근, 소능형근, 상후거근에 이르도록 위치하며 흉추와 견갑골 사이에 안착되므로 연주중 악기의 움직임이나 목, 팔 또는 어깨의 움직임에도 탄력과 쿠션이 있으므로 제한을 받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 경추와 흉추의 극돌기를 직접 압박하지 않고 양 옆의 근육에 지지 되도록 간격을 두어 경추와 흉추의 디스크 등 척추 질환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또한 악기 울림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고 뒷목과 어깨부분의 압박으로 인한 통증을 최소화하여 신체적 안정감을 주어 편안히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편백나무와 같은 나무재질로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부를 통해, 악기의 긁힘이나, 찍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성분과 향기가 방출되므로 연주를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지지부 120 : 수평밴드
130 : 끈 연결구 140 : 높낮이 조절부

Claims (3)

  1. 경추와 흉추의 일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경추에서 흉추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어 경추의 일측에 위치하는 신체와 접촉하는 경추옆 접촉부와, 상기 지지판에 부착되어 흉추의 일측에 위치하는 신체와 접촉하는 흉추 접촉부 및 상기 지지판에서 부착되며 상기 경추옆 접촉부 및 흉추옆 접촉부 사이에서 어깨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어깨지지부를 구비하여 경추와 흉추의 중심에서 대칭으로 소정거리 이격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지지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는 배치되는 상기 지지부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지지부의 이격배치되는 거리를 유지시키는 수평밴드; 및
    신체와 접촉되는 않는 상기 지지부의 노출면에 결합되어 끈이 끼워지는 끈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스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옆 접촉부, 흉추옆 접촉부 및 어깨지지부는 ,
    일체로 형성되며, 메모리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스트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에 끼워지는 상기 끈의 길이를 조정하여 색소폰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나무재질로 형성되는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폰용 스트랩.
KR1020190169333A 2019-12-18 2019-12-18 색소폰 스트랩 KR102240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333A KR102240401B1 (ko) 2019-12-18 2019-12-18 색소폰 스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333A KR102240401B1 (ko) 2019-12-18 2019-12-18 색소폰 스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401B1 true KR102240401B1 (ko) 2021-04-15

Family

ID=7544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333A KR102240401B1 (ko) 2019-12-18 2019-12-18 색소폰 스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4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5907A (ja) * 2007-04-27 2008-11-13 Hoshino Gakki Mfg Co Ltd マーチングキャリア
KR200462450Y1 (ko) 2010-12-01 2012-09-11 전하구 색소폰 넥 스트랩 걸이구
KR101307694B1 (ko) * 2012-08-20 2013-09-11 이길원 색소폰 착용 장치
KR20170034563A (ko) * 2015-09-21 2017-03-29 김승욱 악기용 걸이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5907A (ja) * 2007-04-27 2008-11-13 Hoshino Gakki Mfg Co Ltd マーチングキャリア
KR200462450Y1 (ko) 2010-12-01 2012-09-11 전하구 색소폰 넥 스트랩 걸이구
KR101307694B1 (ko) * 2012-08-20 2013-09-11 이길원 색소폰 착용 장치
KR20170034563A (ko) * 2015-09-21 2017-03-29 김승욱 악기용 걸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2245B2 (en) Ventilative orthopedic boot with an air cushion
JP4250592B2 (ja) 患者支持面用ヘッドレスト
KR200489782Y1 (ko) 3중 구조 베개
KR20150135713A (ko) 기능성 베개
US5772091A (en) Support apparatus for a musical instrument
US4744556A (en) Isometric muscle exerciser
KR102240401B1 (ko) 색소폰 스트랩
US9659551B1 (en) End blown woodwind harness
US20100042134A1 (en) Nostril dilator
US6763538B1 (en) Pillow
WO2019145858A1 (de) Vorrichtung zum abstützen eines saxophons
KR102165906B1 (ko) 경추 지압 베개
CN201073173Y (zh) 自然牵引调颈曲枕
US20060258968A1 (en) Appartaus and method for applying cranial occipital pressure
AU2014392921A1 (en) Implement for training facial muscle
CN210837132U (zh) 一种便于演奏和教学的萨克斯
CN104083017B (zh) 一种脊柱姿势保护坐垫
KR101263896B1 (ko) 색스폰 걸이용 지지장치
KR20220014012A (ko) 거북목 예방을 위한 자세 교정용 목 받침대
CN208145065U (zh) 小儿眼科手术头部固定枕板
CN219286015U (zh) 一种整体桥式子母减震托琴垫肩
CN218961603U (zh) 便于佩戴的光疗嫩肤仪
KR20180050772A (ko) 조절 기능의 기능성 베개
KR200374947Y1 (ko) 자성체를 갖는 골반교정기구
KR200493624Y1 (ko) 관악기용 스트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