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236B1 - Operation system for indoor stadium using obstacles - Google Patents

Operation system for indoor stadium using obsta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236B1
KR102240236B1 KR1020190122864A KR20190122864A KR102240236B1 KR 102240236 B1 KR102240236 B1 KR 102240236B1 KR 1020190122864 A KR1020190122864 A KR 1020190122864A KR 20190122864 A KR20190122864 A KR 20190122864A KR 102240236 B1 KR102240236 B1 KR 102240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rse
obstacle
obstacles
moving
indoor sta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8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190122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2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2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91Golf courses; Golf practising terrains having a plurality of driving areas, fairways, g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3Athletic drills or obstacles for sport training, other than foot obstacles for sk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stadium operation system using obstacles, which is installed indoors and is deformed by moving obstacles of each course to minimize the installation space and improve game operation efficiency. The system comprises: a plurality of courses provided with different types of obstacles; a height adjustment unit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urs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obstacle; and a course movement unit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urse to move the respective courses to each other.

Description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OPERATION SYSTEM FOR INDOOR STADIUM USING OBSTACLES}Indoor stadium operation system using obstacles {OPERATION SYSTEM FOR INDOOR STADIUM USING OBSTACLES}

본 발명은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 설치되고 각 코스의 장애물을 이동시켜 변형하게 되어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고 경기 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stadium operating system using an obstacle, and more particularly, an indoor stadium using an obstacle that can be installed indoors and transformed by moving obstacles of each course to minimize the installation space and improve game operation efficiency. It relates to the operating system.

일반적으로, 골프에 대한 관심사가 높아지고 참여인구의 저변이 확대되는 추세에서 골프장의 이용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골프장이 도시나 주거지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등의 접근성이 불량한 점과 골프장의 이용에 따르는 비용부담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골프에 입문하는 것과 골프장의 이용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In general, as interest in golf is increasing and the base of the participating population is expanding, the demand for use of golf courses is increasing rapidly, but most golf courses are located at a distance from cities or residences, etc.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accompanying cost burden, there were many restrictions on initiation to golf and the use of golf courses.

골프장의 이용에 대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티샷을 위주로 연습하게 된 인도어 골프장과, 골프를 입문하는 사람들에게 골프경기의 전반적인 테크닉 및 퍼팅자세 등을 연습할 수 있도록 스크린 영상을 이용한 실내골프연습실 등이 개장되어 있다.In order to alleviate the inconvenience of using the golf course, the indoor golf course, where tee shots were mainly practiced, and an indoor golf practice room using screen images, opened so that people who are beginning golf can practice the general technique and putting posture of golf games Has been.

그러나, 상기 골프연습시설은 골프를 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이고 제한된 범위의 연습에 국한됨으로 인하여 흥미를 지속시키기에 부족함이 많았으며, 다양한 경기경험을 얻기에도 부족함이 있었다.However, the golf training facility was limited to a basic and limited range of practice in playing golf, so there were many shortcomings in sustaining interest, and in obtaining various game experiences.

특히, 골프코스는 1번부터 18번까지의 홀을 차례로 순회하며 볼을 치게 되는 원 라운드 방식과, 상기 원 라운드를 아웃 코스와 인 코스로 나눈 하프방식으로 경기가 이루어지고, 각 홀은 2개의 롱 홀과 5개의 미들 홀 및 2개의 쇼트 홀 등으로 이루어 짐으로써, 종래의 실내골프연습 시설에는 각 홀을 공략하기 위한 실전경기에 대한 연습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the golf course is played in a one-round method in which the ball is hit by sequentially traversing holes 1 to 18, and a half method in which the one round is divided into an out course and an in course, and each hole has two Since it is composed of a long hole, five middle holes, and two short hol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practice the actual game for attacking each hole in the conventional indoor golf practice facilit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334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76334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185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66185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필드가 아닌 실내에 설치하며 각 코스에 적용되는 장애물을 다른 코스로 이동시켜 서로 다른 장애물이 설정되도록 변경시켜 경기를 진행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최대화하고 실내에서 모든 연령층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install indoors instead of on the field and move obstacles applied to each course to another course to change different obstacles so that different obstacles are set to proceed with the game. It is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and provide an indoor stadium operation system using obstacles that can be easily encountered by all age groups indoors.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사용자가 코스를 차례로 대기하면서 순차적으로 진행하지 않고 어느 하나의 코스가 사용되고 있으면 다음 사용자는 비어 있는 코스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대기시간을 줄여 경기 진행 효율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ll users to wait for the course in turn and not proceed sequentially, but to use an empty course if any one course is being used, thereby reducing the waiting time to improve game progress efficiency and enhance user satisfaction. It is to provide an indoor stadium operation system using possible obstacl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은 서로 같거나 다른 형태의 복수의 장애물이 구비되는 복수개의 코스와, 상기 코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장애물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와, 상기 코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코스를 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코스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indoor stadium management system using obsta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lurality of course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bstacles of the same or different types, and is installed under the course to control the height of the obstacle. It may include a height adjustment unit to adjust, and a course moving unit that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urse to move the respective courses with each other.

상기 코스는 각기 다른 형태 및 모양의 장애물이 구비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코스가 서로 연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course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obstacles having different shapes and shapes, but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respective cours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높낮이조절부는 코스의 바닥 내부에 장애물의 하부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장애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실린더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may include a cylinder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bstacle in the bottom of the cours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obstacle, and an op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cylinder to operate the cylinder.

상기 코스이동부는 코스가 설치되는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각각의 코스 하부에 설치되고 레일 상에 설치되어 각 코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모듈과, 상기 구동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rse moving part includes a rail installed on the floor on which the course is installed, a driving module installed under each course and installed on the rail to move along the rail so as to change the position of each course, and operation of the driving module It may include a controller to control.

상기 레일은 코스 전체에 설치되되 각 코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듈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전체가 끊어지지 않고 연결될 수 있다.The rail is installed on the entire course, but the entire rail may be connected without being disconnected so that the driving module for moving each course can be smoothly moved.

상기 구동모듈은 코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연결되고 레일 상에 올려지는 이동바퀴와, 상기 이동바퀴에 연결되어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이동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module includes a pedestal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urse, a moving wheel connected to the pedestal and mounted on the rail, and a motor connected to the moving wheel to rotate the moving wheel under control of a controller. I can.

상기 코스에서 진행되는 경기 기록이 입력되거나, 경기 기록이 디스플레이되는 기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recorder for inputting a record of the game played on the course or displaying the record of the game.

상기 기록부는 경기 기록을 입력하고 저장하는 저장매체 및 상기 저장매체(예를 들어 PCB)에 입력된 기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ording uni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for inputting and storing game records, and a monitor for displaying the records input to the storage medium (for example, a PCB).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에 의하면, 장애물이 설치된 복수개의 코스를 각각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각각의 코스를 서로 이동시켜 자리를 바꿀 수 있게 됨으로써 경기자가 코스를 돌면서 이동하지 않고도 다음 라운드를 진행할 수 있어 경기 효율 및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경기력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door stadium operating system using obsta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a plurality of courses in which obstacles are installed, respectively, and to change seats by moving each course. The next round can be played without moving around the course,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game and the user's satisfac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의 높낮이조절부를 도시한 내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의 코스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의 코스이동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의 높낮이조절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의 코스이동부와 기록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의 기록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stadium operating system using an obs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door stadium operating system using an obs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eight adjustment unit of an indoor stadium operating system using an obs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a course of an indoor stadium operating system using an obs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course moving part of an indoor stadium operating system using an obs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eight adjustment unit of an indoor stadium operating system using an obs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urse moving unit and a recording unit of an indoor stadium operating system using an obs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cording unit of an indoor stadium operating system using an obs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In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re exaggerated for clarity.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y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xpression'and/or' is used as a meaning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listed before and after. In addition, the expression'connected/combined' is used as a meaning including direct connection with other components or indirect connection through other compon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In addition,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 elements referred to as'comprising' or'including'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mean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operations and elements.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each layer (film), region, pattern, or structure is "on" or "under" of the substrate, each side (film), region, pad, or patterns. The description that "is formed in" includes all that are formed directly or through another layer. The standards for the top/top or bottom/bottom of each layer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의 높낮이조절부를 도시한 내부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의 코스 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의 코스이동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의 높낮이조절부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의 코스이동부와 기록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의 기록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stadium operating system using an obs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door stadium operating system using an obs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unit of the indoor stadium operation system,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urse of the indoor stadium operation system using an obs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indoor stadium operation using an obs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ourse moving part of the system, 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part of the indoor stadium operation system using an obs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indoor stadium operation using an obs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urse moving unit and the recording unit of the system, and Fig.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recording unit of the indoor stadium operating system using an obs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은, 실내 골프 경기 뿐만 아니라, 크로켓, 게이트 볼 등 다양한 경기에도 활용될 수 있다.The indoor stadium ope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indoor golf games, but also for various games such as croquet and gate ball.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은 코스(100)와, 높낮이조절부(200)와, 코스이동부(300)와, 기록부(400)를 포함하게 된다.1 to 8, the indoor stadium operating system using an obs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rse 100, a height adjustment unit 200, a course moving unit 300, and a recording unit 400 It is done.

상기 코스(100)는 실내에 설치되며, 실내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복수개가 서로 연계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course 100 may be installed indoors, and a plurality of the courses 100 may be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while maximizing the indoor space.

일 예로, 상기 코스(100)는 1번 코스를 기점으로 1번 코스에 2번 코스가 연계되고 2번 코스에 3번 코스가 연계되면서 N번 코스까지 연계되어 설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urse 100 may be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course No. N as the course No. 2 is connected to the course No. 1 and the course No. 3 is connected to the No. 2 course starting from the No. 1 course.

또한, 상기 코스(100)의 상부에는 다양한 형태 및 모양의 장애물(110)이 설치되게 된다.In addition, obstacles 110 of various shapes and shapes ar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urse 100.

그리고, 상기 장애물(110)은 각각의 코스(100)마다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형태 및 모양을 갖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bstacle 110 is preferably installed to have the same or different shape and shape for each course (100).

즉, 상기 장애물(110)을 각 코스(100)마다 각기 다른 형태 및 모양으로 설정함으로써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by setting the obstacle 110 in a different shape and shape for each course 10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상기 높낮이조절부(200)는 코스(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각 코스(100)에 설치되는 장애물(110)의 승,하강시켜 높낮이를 조절하여 경기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is installed below the course 10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obstacles 110 installed on each course 100 by moving up and down to select the difficulty of the game.

또한, 상기 높낮이조절부(200)는 각 코스(100)에 설치되는 장애물(110) 전체에 설치되거나 필요한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may be installed on the entire obstacle 110 installed in each course 100 or may be installed in any one required.

도 2 내지 도 3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높낮이조절부(200)는 실린더(210)와, 작동부(220)를 포함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2 to 3 and 6,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includes a cylinder 210 and an operation unit 220.

상기 실린더(210)는 코스(100)의 바닥 내부에 장애물(110)의 하부와 연결되어 작동에 따라 장애물(110)을 승,하강시켜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The cylinder 21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bstacle 110 inside the bottom of the course 100 and adjusts the height by raising and lowering the obstacle 1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상기 작동부(220)는 실린더(2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장애물(1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실린더(210)를 작동시키게 된다.The operation unit 220 operates the cylinder 21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obstacle 110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ylinder 210.

이때, 상기 작동부(220)는 실린더(210)를 작동시키고 정지시킬 수 있도록 온(on)/오프(off)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unit 220 may include an on/off switch to operate and stop the cylinder 210.

상기 코스이동부(300)는 코스(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코스(100)를 서로 이동시키게 된다.The course moving part 300 is installed under the course 100 to move each course 100 to each other.

도 4 내지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코스이동부(300)는 레일(310)과, 구동모듈(320)과, 컨트롤러(330)를 포함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4 to 5 and 7, the course moving part 300 includes a rail 310, a driving module 320, and a controller 330.

상기 레일(310)은 각각의 코스(100)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설치되어지게 된다.The rail 31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n which each course 100 is installed.

또한, 상기 레일(310)은 각각의 코스(100) 전체에 설치되되 코스(100)를 서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듈(320)이 레일(310)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레일(310) 전체가 끊어지지 않고 서로 연결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rail 310 is installed on the entire course 100, but the entire rail 310 so that the driving module 320 for moving the course 100 to each other can move smoothly along the rail 310 Ar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breaking.

그리고, 상기 레일(310)은 코스(100)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정 간격을 두고 양쪽에 평행선상으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ails 310 may be installed in parallel lines on both sid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order to stably move the course 100 without being shaken or inclined.

상기 구동모듈(320)은 각각의 코스(100) 하부에 설치되고 레일(310) 상에 설치되어 레일(310)을 따라 이동되면서 각 코스(100)의 위치를 변경시키게 된다.The driving module 320 is installed under each course 100 and installed on the rail 310 to change the position of each course 100 while moving along the rail 310.

상기 구동모듈(320)은 받침대(321)와, 이동바퀴(322)와, 모터(323)를 포함하게 된다.The driving module 320 includes a pedestal 321, a moving wheel 322, and a motor 323.

상기 받침대(321)는 코스(100)의 하부에 수직되게 설치되며, 상기 코스(100)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The pedestal 321 is vertically installed under the course 100, and may be installed in plural so that the course 100 can be stably moved.

또한, 상기 받침대(321)는 코스(100)의 하부에 이동바퀴(322)가 연결되기 위해 양쪽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destal 321 may be installed in plural on both sides in order to connect the moving wheels 322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urse 100.

상기 이동바퀴(322)는 받침대(321)의 내측에 힌지(h)로 연결되고 상기 레일(310) 상에 올려져 회전되면서 코스(100)를 이동시키게 된다.The moving wheel 322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pedestal 321 by a hinge (h) and is mounted on the rail 310 and rotates to move the course 100.

상기 모터(323)는 이동바퀴(322)와 연결되고 컨트롤러(33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어 이동바퀴(322)를 회전시키게 된다.The motor 323 is connected to the moving wheel 322 and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30 to rotate the moving wheel 322.

상기 모터(323)는 이동바퀴(322)를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모두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정역모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 323 uses a forward and reverse motor to rotate the moving wheel 322 in both a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

상기 컨트롤러(330)는 구동모듈(320)의 모터(323)와 유선 혹은 무선 연결되어 모터(923)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ler 330 is connected to the motor 323 of the driving module 320 by wire or wirelessly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923.

즉, 상기 컨트롤러(330)의 제어에 따라 모터(323)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어 각 코스(100)의 위치 변화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driving of the motor 323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30, so that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each course 100 can be adjusted.

그리고, 상기 받침대(321)의 상부에는 코스(100)의 내부로 장입되게 설치되어 레일(310)을 따라 이동되는 구동모듈(3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부(340)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rotation unit 340 may be provided on the top of the pedestal 321 to rotate the driving module 320 that is installed to be charged into the course 100 and is moved along the rail 310.

상기 기록부(400)는 각 코스(100)에서 진행되는 경기 기록을 입력하고 디스플레이하게 된다.The recording unit 400 inputs and displays a record of a game played in each course 100.

도 7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기록부(400)는 경기 기록을 입력하고 저장하는 저장장치(410)와, 상기 저장장치(410)에 입력된 경기 기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420)를 포함하게 된다.7 to 8, the recording unit 400 includes a storage device 410 for inputting and storing game records, and a monitor 420 for displaying game records input to the storage device 410. do.

상기 저장장치(410)은 예를 들어 PCB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orage device 41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PCB.

한편, 본 발명의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은 골프경기를 위한 설정으로 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골프경기뿐만 아니라 크로켓 경기, 게이트볼 경기 등 공을 이용한 경기로 설정되어 운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door stadium oper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rated as a setting for a golf game, but preferably, it may be set and operated not only in a golf game but also as a game using a ball such as a croquet game and a gate ball game.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Looking at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indoor stadium operating system using the obstac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상기 장애물(110)이 구비된 복수개의 코스(100)를 실내에 설치하고 각각의 코스(100)를 서로 연계시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최소화하여 경기 진행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installing a plurality of courses 100 provided with the obstacles 110 indoors and connecting each of the courses 100 to each other, the movement speed of the user can be minimized,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game.

그리고, 상기 코스(100)에 설치되는 장애물(110)의 하부에 실린더(210)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작동부(22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210)가 작동되어 상기 장애물(1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코스(100)의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ylinder 210 is installed under the obstacle 110 installed in the course 100, so that the cylinder 210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220 to reduce the height of the obstacle 110. By adjusting the difficulty level of the course 100 can be selected.

또한, 상기 코스(100)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레일(310)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310)에 코스(100)의 하부와 연결되게 구동모듈(320)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컨트롤러(330)의 제어에 따라 모터(323)가 구동되면서 이동바퀴(322)가 레일(310) 상에서 이동되어 코스(100)의 위치를 바꿀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30 is controlled by installing a rail 310 on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course 100 is installed, and installing a driving module 320 on the rail 310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urse 100 Accordingly, as the motor 323 is driven, the moving wheel 322 is moved on the rail 31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ourse 100 can be changed.

이때, 상기 코스(100)의 위치를 바꾸고자 할 때에는 하나의 코스(100)를 대기장소로 이동시켜 놓게 되어 이동공간에 의해 코스(100)의 이동이 자유로워 위치를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도면 도 1 참조)At this time, when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ourse 100, one course 100 is moved to a waiting place, so that the movement of the course 100 is free by the moving space, so that the position can be easily changed. Figure 1)

이와 같이, 상기 코스(100)를 1번 코스 ~ N번 코스로 설정하여 서로 연계시키고 각각의 코스(100)에 각기 다른 장애물(110)을 설치하며 상기 높낮이조절부(200)를 통해 장애물(110)의 높이를 조절하여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어 실력 향상에 최대한 도움을 줄 수 있다.In this way, the course 100 is set as a course No. 1 to No. N course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different obstacles 110 are installed in each course 100, and the obstacle 110 is provided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0. You can choose the level of difficulty by adjusting the height of ), so you can help improve your skills as much as possible.

이와 함께, 상기 코스이동부(300)를 통해 각 코스(100)의 위치를 서로 바꿀 수 있어 경기자가 다음 코스(100)로 이동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다음 코스(100)의 라운딩을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each course 100 can be changed through the course moving unit 300, so that the player does not move to the next course 100 and can proceed to the round of the next course 100 ther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100 : 코스 110 : 장애물
200 : 높낮이조절부 210 : 실린더
220 : 작동부 300 : 코스이동부
310 : 레일 320 : 구동모듈
321 : 받침대 322 : 이동바퀴
323 : 모터 330 : 컨트롤러
340 : 회전부 400 : 기록부
410 : 저장장치 420 : 모니터
h : 힌지
100: course 110: obstacle
200: height adjustment unit 210: cylinder
220: operation part 300: course moving part
310: rail 320: drive module
321: pedestal 322: moving wheel
323: motor 330: controller
340: rotating unit 400: recording unit
410: storage device 420: monitor
h: hinge

Claims (8)

복수의 장애물이 구비되는 복수개의 코스;
상기 코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장애물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 및
상기 코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코스를 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코스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스는, 각기 다른 형태 및 모양의 장애물이 구비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코스가 서로 연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코스이동부는, 코스가 설치되는 바닥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각각의 코스 하부에 설치되고 레일 상에 설치되어 각 코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모듈; 및 상기 구동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각각의 코스 전체에 설치되되, 각 코스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모듈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전체가 끊어지지 않고 연결됨으로써, 각 코스들이 원활하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
A plurality of course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bstacles;
A height adjustment unit installed below the course to adjust the height of an obstacle; And
Includes; a course moving unit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urse so as to move each course to each other,
The course consists of a plurality of obstacles of different shapes and shapes, but is installed so that each course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urse moving part may include a rail installed on a floor on which a course is installed; A driving module installed below each of the courses and installed on the rails to move along the rails so as to change the position of each cours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dule,
The rails are installed on the entire course, but the whole is connected without being disconnected so that the driving modules located at the bottom of each course can move smoothly, so that each course is smoothly moved. Indoor stadium operation system.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부는, 코스의 바닥 내부에 장애물의 하부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장애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실린더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eight adjustment unit may include a cylinder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bstacle inside the bottom of the cours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obstacle; And an operation unit connected to the cylinder to operate the cylind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코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연결되고 레일 상에 올려지는 이동바퀴; 및 상기 이동바퀴에 연결되어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이동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module may include a pedestal installed under the course; A moving wheel connected to the pedestal and mounted on a rail; And a motor connected to the moving wheel to rotate the moving whee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에서 진행되는 경기 기록이 입력되거나, 경기 기록이 디스플레이되는 기록부;를 더 포함하는,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 indoor stadium operating system using an obstacle further comprising; a recorder for inputting a record of a game played on the course or displaying a record of the gam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는, 경기 기록을 입력하고 저장하는 저장장치; 및 상기 저장장치에 입력된 기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장애물을 이용한 실내 경기장 운용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recording unit includes: a storage device for inputting and storing game records; And a monitor that displays a record input to the storage device.
KR1020190122864A 2019-10-04 2019-10-04 Operation system for indoor stadium using obstacles KR1022402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864A KR102240236B1 (en) 2019-10-04 2019-10-04 Operation system for indoor stadium using obsta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864A KR102240236B1 (en) 2019-10-04 2019-10-04 Operation system for indoor stadium using obsta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236B1 true KR102240236B1 (en) 2021-04-14

Family

ID=75477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864A KR102240236B1 (en) 2019-10-04 2019-10-04 Operation system for indoor stadium using obsta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0236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858B1 (en) 2005-07-14 2006-12-27 전창석 Golf practice range
KR100763343B1 (en) 2005-09-12 2007-10-04 신혜연 System of golf game in the indoor having a golf course
JP2009131581A (en) * 2007-11-30 2009-06-18 Japan Tsusho:Kk Health promoting apparatus
CN102179054A (en) * 2011-04-07 2011-09-14 泰山体育产业集团有限公司 Remote control automatic adjustable hurdle rack
KR101431080B1 (en) * 2012-12-07 2014-08-22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Equestrian course set up system
CN107837519A (en) * 2017-12-23 2018-03-27 新昌县城南乡量创机械厂 Football training football training is small to hurd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858B1 (en) 2005-07-14 2006-12-27 전창석 Golf practice range
KR100763343B1 (en) 2005-09-12 2007-10-04 신혜연 System of golf game in the indoor having a golf course
JP2009131581A (en) * 2007-11-30 2009-06-18 Japan Tsusho:Kk Health promoting apparatus
CN102179054A (en) * 2011-04-07 2011-09-14 泰山体育产业集团有限公司 Remote control automatic adjustable hurdle rack
KR101431080B1 (en) * 2012-12-07 2014-08-22 제주한라대학교산학협력단 Equestrian course set up system
CN107837519A (en) * 2017-12-23 2018-03-27 新昌县城南乡量创机械厂 Football training football training is small to hur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0734B2 (en) Configurable flexible golf putting green system and methods
JP5549030B2 (en) Golf simulation putting system
KR101145444B1 (en) Swing plate of golf exercising machine
KR100986512B1 (en) Golf simulation apparatus
KR20170072097A (en) Shot Plate Capable of Slope Regulation for Golf Practice Place
KR102240236B1 (en) Operation system for indoor stadium using obstacles
KR101978325B1 (en) Appratus for Displaying Sports Field Line And Net Using Laser
KR100912010B1 (en) Apparatus for realizing danamic golf green
KR101194269B1 (en) An equipment transferring golf ball position on 3d image screen to actual golf green and a golf game method using the equipment
KR102144634B1 (en) Indoor golf driving range
KR200454505Y1 (en) Golf course green environment converter
KR20140072700A (en) Swing Mat Exchanging Apparatus for Screen Golf System
US20050113182A1 (en) Golf shot practice apparatus
KR101677911B1 (en) Swing plate for golf simulator with realistic motion
KR102563940B1 (en) Golf putting training device
KR200324965Y1 (en) Golf putting training system
KR101059376B1 (en) Golf Practice Device with Various Turf Options
JP2000245887A (en) Throwing device for game and training system of fielding training of baseball utilizing the same
KR101306926B1 (en) Putting green device having real putting circumstance
JPH0731709A (en) Golf training ground
JP2001129144A (en) Movable bed for golf training
CN219630574U (en) Table tennis training device
KR101264127B1 (en) Movable indoor golf practice range
KR100954983B1 (en) Golf training apparatus
KR102567356B1 (en) Dual type batting zone and dual swing plate for golf screen having with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