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953B1 -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953B1
KR102239953B1 KR1020190054009A KR20190054009A KR102239953B1 KR 102239953 B1 KR102239953 B1 KR 102239953B1 KR 1020190054009 A KR1020190054009 A KR 1020190054009A KR 20190054009 A KR20190054009 A KR 20190054009A KR 102239953 B1 KR102239953 B1 KR 102239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motion
value
calorie calcul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9496A (ko
Inventor
강호준
최병호
Original Assignee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filed Critical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Priority to KR1020190054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95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59Exercising apparatus with rewar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63B2071/062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7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calorie expend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칼로리 산출서버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운동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운동에 대한 정보 중 사용자가 하나의 기준운동을 선택하면,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준운동을 제1 기준운동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준운동에 대한 3차원 모션모델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가 목표운동의 모션과 동일해지도록 상기 3차원 모션모델의 신체를 조작하면, 상기 운동칼로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요소모션의 값(이하 "변동 요소모션값"이라 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가 상기 변동 요소모션값과 상기 제1 기준운동의 요소모션값과 비교하여 각 요소모션별 차이값인 차이모션값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가 상기 차이모션값에 대응하는 소모칼로리인 변동 소모칼로리하는 단계,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가 상기 제1 기준운동의 소모칼로리에 상기 변동 소모칼로리를 반영하여 상기 목표운동에 대한 소모칼로리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가 산출한 목표운동의 소모칼로리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METHOD FOR CALCULATING CONSUMED CALORIS OF EXERCISE}
본 발명은 칼로리 산출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운동 종류별로 소모되는 칼로리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 및 몸매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인은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실제로 건강을 위해 운동에 투자하는 시간이 점차로 늘어나고 있다. 예컨대, 개인은 헬스장을 찾아 운동하거나 집이나 외부에서 스쿼트나 플랭크 등의 운동 또는 걷기나 조깅 등을 하고 있다.
또한 이렇게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개인은 자신이 하는 운동에 대한 소모 칼로리가 얼마인지에 대한 궁금증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각 운동에 대해 구체적인 소모 칼로리를 알려주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 않다. 또한 새로운 모션(자세)의 운동이 나오거나 새로운 자세로 운동을 하는 경우에 그 때의 운동에 의한 소모칼로리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1. 일본등록특허 제5089200호(등록일: 2012.09.21.자)(명칭: 소비 칼로리 산출 방법 및 휴대용 소비 칼로리 측정 장치) 2. 한국등록특허 제10-1263759호(등록일: 2013.05.07.자)(명칭: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칼로리 소모량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인이 자신이 하는 운동에 대한 소모칼로리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인이 자신이 하는 운동에서 다양한 모션으로로 변경하더라도 변경된 모션의 운동에 대한 소모칼로리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은 운동칼로리 산출서버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운동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운동에 대한 정보 중 사용자가 하나의 기준운동을 선택하면,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준운동을 제1 기준운동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준운동에 대한 3차원 모션모델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가 목표운동의 모션과 동일해지도록 상기 3차원 모션모델의 신체를 조작하면, 상기 운동칼로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요소모션의 값(이하 "변동 요소모션값"이라 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가 상기 변동 요소모션값과 상기 제1 기준운동의 요소모션값과 비교하여 각 요소모션별 차이값인 차이모션값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가 상기 차이모션값에 대응하는 소모칼로리인 변동 소모칼로리하는 단계,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가 상기 제1 기준운동의 소모칼로리에 상기 변동 소모칼로리를 반영하여 상기 목표운동에 대한 소모칼로리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가 산출한 목표운동의 소모칼로리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차이모션값을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는 상기 변동 요소모션값을 통해 사용자가 조작한 요소모션을 파악하고, 파악한 요소모션과 동일한 기준운동의 요소모션의 값을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는 동일한 요소모션에 대하여 상기 변동 요소모션값과 기준운동의 요소모션값을 비교하여 기준운동의 요소모션값이 변동 요소모션값으로 얼마만큼 증가하였는지 또는 감소하였는지의 변화값인 차이모션값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3차원 모션모델은 10개의 기본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10개의 기본요소는 어깨요소, 척추요소, 좌상위팔요소, 좌하위팔요소, 우상위팔요소, 우하위팔요소, 좌상위다리요소, 좌하위다리요소, 우상위다리요소 및 우하위다리요소이다.
상기 요소모션은 적어도 2개의 기본요소로 생성되며, 몸통과 왼팔의 각도, 몸통과 오른팔의 각도, 왼팔 팔굼치 각도, 오른팔 팔굼치 각도, 양발의 간격, 양다리의 간격, 왼발 무릎의 각도, 오른발 무릎의 각도, 어깨의 회전각도(허리 회전각도), 상체의 기울기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의 네트워크 환경을 보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칼로리 산출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에서 검색시 제공하는 유사 운동 모션 정보를 보인 일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모션모델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표운동의 소모칼로리 산출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 소모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운동은 일정한 모션(자세)를 반복하는 운동으로, 예컨대 스쿼트, 요가, 헬스 운동, 플랭크 등이 이에 해당하며, 축구, 야구, 배구 등의 스포츠 종목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운동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분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구분 1 구분2 사용 부위 운동강도
무산소 운동 등장성 운동 신체 일부 횟수, 무게(부하)
등척성 운동 신체 일부 시간
표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운동은 무산소 운동이며, 이를 다시 구분하면 등장성 운동과 등척성 운동으로 구분된다.
등장성 운동은, 장력(웨이트)은 변하지 않으면서 근육의 길이가 변하는 수축운동이다. 대부분의 웨이트 운동은 여기에 속한다. 예컨대, 무게를 들어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운동하는 동안 무게는 일정하지만 근육의 길이는 관절을 통해 늘어나거나 줄어 들면서 근육에 자극을 주는 운동이다. 팔굽혀펴기, 턱걸이, 윗몸 일으키기, 아령 운동, 바벨 운동 등이 이에 해당한다.
등척성 운동은 근육의 길이나 관절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 장력이 변하는 수축운동으로 근육을 자극시키는 운동이다. 정적 수축운동이라고도 한다. 예컨대, 양손과 양 발끝을 바닥에 대고 몸을 바닥과 수평으로 유지하며 복부에 힘을 주고 10초간 버티기를 한다. 이런 동작을 10번 되풀이 하면 복부를 비롯한 관련 근육들이 발달하게 된다. 근육의 크기를 커지게 하기 보다는 단단해지게 하는 운동으로, 매달리기, 벽밀기, 스쿼트, 플랭크 등이 이에 해당한다.
등장성 운동은 횟수와 사용하는 무게에 따라 운동 강도가 결정되고, 운동 강도는 소모 칼로리의 량을 결정한다. 등척성 운동은 운동 시간에 따라 운동 강도가 결정되고, 또한 운동 강도는 소모 칼로리의 량을 결정한다. 등장성 및 등척성 운동 모두 운동 강도가 높을수록 소모 칼로리의 량은 많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의 네트워크 환경을 보인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서비스 네트워크는 사용자 단말(10)과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모바일, 데스크탑 PC, 노트북, 테블릿 등이며,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이다.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0)과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하는 목표운동을 파악하고, 목표운동에 대한 소모 칼로리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칼로리 산출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는 검색부(101), 기준운동모션 제공부(102), 운동상세정보 제공부(103), 모션 조절부(104), 차이모션 파악부(105), 칼로리 산출부(106), 기준운동 DB(107), 운동상세정보 DB(108) 및 사용근육정보 DB(109)를 포함한다.
검색부(101)는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고 기준운동 DB(107)를 통해 검색어에 관련된 기준운동의 종류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에서 기준운동이란 운동 모션, 사용근육, 사용기준(예; 1분, 10분, 5회 반복, 10회 반복 등)당 소모칼로리 등의 각종 정보가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운동을 의미한다. 즉, 기준운동 DB(107)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종류의 운동을 의미한다.
검색어는 단어이거나 문장일 수 있다.
검색부(101)는 검색어에 대응하여 운동의 종류를 제공함과 더불어, 추출된 각 운동 종류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는 관련 영상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기준운동모션 제공부(102)는 검색부(101)에 의해 검색된 기준운동의 종류별 모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준운동에 대한 모션 즉, 자세 정보를 기준운동 DB(107)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기준운동모션 제공부(102)에서 제공하는 자세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영상이나 사진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운동상세정보 제공부(103)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준운동에 대한 운동상세정보를 기준운동 DB(107)와 사용근육정보 DB(108)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운동상세정보는 해당 기준운동에 대한 운동방법 및 주의점 등에 대한 내용, 해당 기준운동에 사용되는 근육의 종류, 사용기준(예; 1분, 10분, 5회, 10회 등)당 소모칼로리 등을 포함한다.
모션 조절부(104)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준운동을 기초로 변형된 모션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모션 조절부(104)는 기준운동에 대한 3차원 모션모델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에게 제공한다. 3차원 모션모델은 사용자에 의해 팔, 다리, 허리, 상체 등의 신체 일부의 모션을 조절(변형)할 수 있게 하는 인체 모델이다. 3차원 모션모델은 사용자에 의해 모션이 조절되면, 조절된 모션에 대한 정보인 요소모션의 값(이하 " 변동 요소모션값"이라 함)을 생성하여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요소모션은 몸통과 왼팔의 각도, 몸통과 오른팔의 각도, 왼팔 팔굼치 각도, 오른팔 팔굼치 각도, 양발의 간격, 양다리의 간격, 왼발 무릎의 각도, 오른발 무릎의 각도, 어깨의 회전각도(허리 회전각도), 상체의 기울기 등과 같이 인체의 자세(모션)을 파악할 수 있는 변수를 지칭한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베이직 스쿼트의 3차원 모션모델에서 양팔을 위로 곧게 뻗도록 모션을 조절한 경우이면, 3차원 모션모델은 몸통과 왼팔의 각도, 몸통과 오른팔의 각도, 왼팔 팔굼치 각도, 오른팔 팔굼치 각도에 대한 변동 요소모션값을 파악한다.
한편, 모션 조절부(104)는 3차원 모션모델에 횟수, 무게 또는 시간 등의 강도값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차이모션 파악부(105)는 3차원 모션모델로부터 수신된 요소모션값을 기준운동의 각 요소모션값과 비교하여 차이모션값을 파악한다.
칼로리 산출부(106)는 기준운동 DB(107)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기준운동에 대한 사용기준당 제1 소모칼로리를 파악하고, 차이모션 파악부(105)에서 파악한 차이모션값 또는 차이모션값 및 강도값을 이용하여 사용기준당 제2 소모칼로리를 산출한 후 제1 소모칼로리와 제2 소모칼로리를 합산하여 최종 소모칼로리를 산출한다. 여기서, 제2 소모칼로리는 양의 값 즉 (+)값, 또는 음의 값 즉 (-)일 수 있다.
예컨대, 양팔을 앞으로 뻗는 스쿼트 운동이 기준 운동이라고 하고, 사용자가 일반적인 스쿼드 운동에 양팔을 들도록 하는 경우이면 제2 소모칼로리는 (+)의 값이 산출된다. 그러나 양팔을 앞으로 뻗는 스쿼트 운동이 기준 운동이라고 하고, 사용자가 베이직 스쿼트 운동에서 양팔을 내리는 경우이면 제2 소모칼로리는 (-)의 값이 산출된다.
한편, 칼로리 산출부(106)는 제2 소모칼로리 산출시에 차이모션값에 대응한 가중치를 이용하거나, 차이모션값 각각에 대응한 소모칼로리 산출을 수행할 수 있다(도 6 참조).
기준운동 DB(107)는 등장성 운동 및 등척성 운동에 해당하는 복수의 운동종류 정보 및 각 운동종류별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모션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기준운동 DB(107)에는 해당 기준운동에 대한 운동방법 및 주의점 등에 대한 내용이 저장되어 있다.
사용근육정보 DB(108)는 각 기준운동에 사용되는 근육의 종류, 사용근육별 참여율, 각 기준운동에 대한 요소모션, 요소모션값, 각 요소모션값에 대한 사용기준당 소모칼로리 및 각 기준운동의 사용기준당 소모칼로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에서 사용근육별 참여율은 해당 사용근육이 해당 운동의 수행시에 이용되는 정도에 대한 백분율값이다. 예컨대, 와이드 플랭크 운동시에는 하기 표 2의 와이드 플랭크시 사용근육의 참여율과 같이, 대퇴사두근, 대둔근, 내전근 및 햄스트링 근육이 사용되고, 대퇴사두근은 50%의 참여율, 대둔근은 25%의 참여율, 내전근은 20%의 참여율 및 햄스트링은 5%의 참여율을 가진다.
대퇴사두근 대둔근 내전근 햄스트링
50% 25% 20% 5%
여기서, 사용근육은 해당 운동이 가지는 요소모션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고, 참여율은 요소모션의 값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에서 하나의 기준운동에서 각 요소모션에 대한 사용기준당 소모칼로리의 총 합은 및 각 기준운동의 사용기준당 소모칼로리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에서 검색시 제공하는 유사 운동 모션 정보를 보인 일 예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에 접속하고(S301), 현재 하고 있는 또는 알고 싶은 운동(이하 "목표운동"이라 함)의 소모칼로리를 파악하기 위해서 목표운동과 모션이 가장 가까운 기준운동에 대한 검색어를 입력한다(S302).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검색어가 수신되면, 검색어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운동을 추출하고 기준운동 리스트를 생성하며(S303), 생성한 기준운동의 모션 정보를 추출한 후(S304),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305).
예컨대, 사용자가 "스쿼트"라고 검색어를 입력하면,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는 베이직 스쿼트, 와이드 스쿼트, 하프 스쿼트, 펌핑 스쿼트 등의 스쿼트 종류를 추출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스쿼트 운동의 모션 이미지(동영상 포함)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물론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는 스쿼트 종류에 대한 텍스트 정보 즉, 스쿼트 리스트를 우선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스쿼트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스쿼트에 대한 모션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은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로부터 수신된 기준운동 리스트와 각 기준운동의 모션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목표운동의 모션과 유사한 하나의 기준운동을 선택한다(S306).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기준운동에 대한 식별정보를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에 제공하고(S307),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는 식별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기준운동이 무엇인지를 파악한 후 해당 기준운동의 3차원 모션모델을 생성하여(S308),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한다(S309).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에 표시된 3차원 모션모델의 신체를 조작하여 자신이 하고 있는 운동 또는 궁금한 운동의 모션이 되도록 한다(S310). 이에, 3차원 모션모델은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변동 요소모션값을 생성하고(S311), 생성한 요소모션값을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에 제공한다(S312).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는 수신한 변동 요소모션값과 기준운동의 요소모션값과 비교하여 각 요소모션별 차이값(이하 "차이모션값"이라 함)을 파악한다(S313). 그런 다음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는 차이모션값에 대응하는 소모칼로리(이하 "변동 소모칼로리"라 함)를 산출하고(S314), 기준운동의 소모칼로리에 변동 소모칼로리를 반영하여 목표운동에 대한 소모칼로리를 산출한다(S315).
그리고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는 산출한 목표운동의 소모칼로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316).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모션모델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모션모델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모션모델은 10개의 기본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0개의 기본요소는 어깨요소(a1), 척추요소(a2), 좌상위팔요소(b11), 좌하위팔요소(b12), 우상위팔요소(b21), 우하위팔요소(b22), 좌상위다리요소(c11), 좌하위다리요소(c12), 우상위다리요소(c21) 및 우하위다리요소(c22)이다.
따라서, 요소모션의 몸통과 왼팔의 각도는 어깨요소(a1)와 좌상위팔요소(b11)간의 각도이고, 몸통과 오른팔의 각도는 어깨요소(a1)와 우상위팔요소(b21)간의 각도이다. 그리고 요소모션의 왼팔 팔굼치 각도는 좌상위팔요소(b11)와 좌하위팔요소(b12)간의 각도이고, 오른팔 팔굼치 각도는 우상위팔요소(b21)와 우하위팔요소(b22)간의 각도이다.
양발의 간격은 좌하위다리요소(c12)와 우하위다리요소(c22)간의 거리이고, 양다리의 간격은 좌상위다리요소(c11)와 우상위다리요소(c21)간의 거리이다. 왼발 무릎의 각도는 좌하위다리요소(c12)와 좌상위다리요소(c11)간의 각도이고, 오른발 무릎의 각도는 우하위다리요소(c22)와 우상위다리요소(c21)간의 각도이다. 어깨의 회전각도(허리 회전각도)는 어깨요소(a1)의 회전각도이고, 상체의 기울기는 척추요소(a2)의 기울어짐 각도이다.
여기서 3차원 모션모델은 10개의 요소에 더하여 양손 및 양발을 추가요소로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요소모션 이외에 발이 땅에서 떨어졌는지를 파악하는 요소모션을 더 가진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표운동의 소모칼로리 산출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목표운동의 소모칼로리 산출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는 기준운동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S601),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변동 요소모션값을 수신한다(S602).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는 수신된 변동 요소모션값을 통해 사용자가 조작한 요소모션을 파악하고, 파악한 요소모션과 동일한 기준운동의 요소모션의 값을 파악한다(S603).
그런 다음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는 동일한 요소모션에 대하여 변동 요소모션값과 기준운동의 요소모션값을 비교하여 기준운동의 요소모션값이 변동 요소모션값으로 얼마만큼 증가하였는지 또는 감소하였는지의 변화값인 차이모션값을 파악한다(S604).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는 차이모션값이 양의 값인지 음의 값인지를 파악하고, 차이모션값의 크기에 대응하는 소모칼로리를 사용근육정보 DB(109)에 기 저장된 정보로부터 파악한다(S605).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는 변동 요소모션값의 각 요소모션에 대하여 상기 S604 과정 및 S605 과정을 수행하고, S605 과정에서 얻은 각 요소모션별 소모칼로리를 합산하여 합산한 결과를 변동 소모칼로리로 파악한다(S606).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는 변동 소모칼로리를 산출하면, 기준운동의 소모칼로리에 변동 소모칼로리를 더하고(S607), 더하여 얻어진 소모칼로리를 목표운동의 소모칼로리로 파악한다(S608). 그런 다음 운동칼로리 산출서버(100)는 목표운동의 소모칼로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609).
위의 과정을 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스쿼트의 3차원 모션모델에서 지면 방향으로 내려진 양팔을 위로 곧게 뻗도록 모션을 조절하면, 기준운동에서 몸통과 왼팔의 각도, 몸통과 오른팔의 각도, 왼팔 팔굼치 각도, 오른팔 팔굼치 각도에 대한 요소모션이 조절되었고, 조절된 각 요소모션에 대한 변동 요소모션값이 파악된다.
이때 기준운동인 스쿼트는 양팔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이므로, 몸통과 왼팔의 각도, 몸통과 오른팔의 각도, 왼팔 팔굼치 각도, 오른팔 팔굼치 각도는 각각 0도이고, 그에 따라 소모칼로리는 '0'이다.
따라서, 목표운동의 소모칼로리는 기준운동의 소모칼로리에서 몸통과 왼팔의 각도, 몸통과 오른팔의 각도, 왼팔 팔굼치 각도, 오른팔 팔굼치 각도에 대한 변동 요소모션값에 대응하는 각 소모칼로리가 더하여진 결과로 나타난다. 즉, 목표운동의 소모칼로리는 기준운동의 소모칼로리보다 높아진다.
반대로, 기준운동인 스쿼트가 양팔을 위쪽으로 뻗은 상태인데, 사용자가 양팔을 지면으로 내리도록 조작하면, 변동 요소모션값에 따른 차이모션값은 (-)값이 되고, 그에 따라 목표운동의 소모칼로리는 기준운동의 소모칼로리보다 낮아진다.
한편, 사용자가 등장성 운동의 경우에 아령이나 바벨 등의 무게(부하)를 추가하거나 반복 횟수를 증가시키거나 줄이는 등의 강도값 조절 또는, 등척성 운동의 경우에 운동시간을 증가시키거나 줄이는 등의 강도값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강도값 조절은 변동 소모칼로리 산출시에 반영되며, 강도값을 높이면 변동 소모칼로리의 값이 커지고, 강도값을 낮추면 변동 소모칼로리의 값이 작아진다.
이때 아령이나 바벨을 추가한 경우에 변동 소모칼로리는 모션 조절에 의한 변동 소모칼로리에 아령이나 바벨을 이용한 운동의 소모칼로리를 더 하는 것으로 산출된다. 그리고 횟수나 시간을 조절하는 경우에 변동 소모칼로리는 설정된 사용기준과의 비율만큼 곱하여져 산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운동칼로리 산출서버 10 : 사용자 단말
101 : 검색부 102 : 기준운동모션 제공부
103: 운동상세정보 제공부 104 : 모션 조절부
105 : 차이모션 파악부 106 : 칼로리 산출부
107 : 기준운동 DB 108 : 운동상세정보 DB
109 : 사용근육정보 DB

Claims (4)

  1. 운동칼로리 산출서버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운동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운동에 대한 정보 중 사용자가 하나의 기준운동을 선택하면,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준운동을 제1 기준운동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준운동에 대한 3차원 모션모델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가 목표운동의 모션과 동일해지도록 상기 3차원 모션모델의 신체를 조작하면,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요소모션의 값(이하 "변동 요소모션값"이라 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가 상기 변동 요소모션값과 상기 제1 기준운동의 요소모션값과 비교하여 각 요소모션별 차이값인 차이모션값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가 상기 차이모션값에 대응하는 소모칼로리인 변동 소모칼로리하는 단계,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가 상기 제1 기준운동의 소모칼로리에 상기 변동 소모칼로리를 반영하여 상기 목표운동에 대한 소모칼로리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가 산출한 목표운동의 소모칼로리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차이모션값을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는 상기 변동 요소모션값을 통해 사용자가 조작한 요소모션을 파악하고, 파악한 요소모션과 동일한 기준운동의 요소모션의 값을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운동칼로리 산출서버는 동일한 요소모션에 대하여 상기 변동 요소모션값과 기준운동의 요소모션값을 비교하여 기준운동의 요소모션값이 변동 요소모션값으로 얼마만큼 증가하였는지 또는 감소하였는지의 변화값인 차이모션값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3차원 모션모델은 10개의 기본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10개의 기본요소는 어깨요소, 척추요소, 좌상위팔요소, 좌하위팔요소, 우상위팔요소, 우하위팔요소, 좌상위다리요소, 좌하위다리요소, 우상위다리요소 및 우하위다리요소인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서,
    상기 요소모션은 적어도 2개의 기본요소로 생성되며, 몸통과 왼팔의 각도, 몸통과 오른팔의 각도, 왼팔 팔굼치 각도, 오른팔 팔굼치 각도, 양발의 간격, 양다리의 간격, 왼발 무릎의 각도, 오른발 무릎의 각도, 어깨의 회전각도(허리 회전각도), 상체의 기울기를 포함하는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
KR1020190054009A 2019-05-09 2019-05-09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 KR102239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009A KR102239953B1 (ko) 2019-05-09 2019-05-09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009A KR102239953B1 (ko) 2019-05-09 2019-05-09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496A KR20200129496A (ko) 2020-11-18
KR102239953B1 true KR102239953B1 (ko) 2021-04-14

Family

ID=73697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009A KR102239953B1 (ko) 2019-05-09 2019-05-09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9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4363A (ja) * 2013-11-18 2017-02-09 ゼットティーイー コーポレーションZte Corporation 運動量算出方法、装置及び携帯電話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050B1 (ko) * 1999-09-08 2006-07-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인간의 3차원 자세 검색방법 및 장치
JP5089200B2 (ja) 2007-03-09 2012-12-05 特定非営利活動法人熟年体育大学リサーチセンター 消費カロリー算出方法および携帯用消費カロリー測定装置
KR101263759B1 (ko) 2011-10-24 2013-05-1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칼로리 소모량 산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1815975B1 (ko) * 2011-07-27 2018-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 자세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130076374A (ko) * 2011-12-28 2013-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량 측정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4363A (ja) * 2013-11-18 2017-02-09 ゼットティーイー コーポレーションZte Corporation 運動量算出方法、装置及び携帯電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496A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812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Personalized Workout Programs
US11351419B2 (en) Smart gym
US69459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cribing a fitness program
TWI665572B (zh) 規畫健身課程的方法及系統
CN109589564B (zh) 定制化健身计划生成系统
Goldenberg et al. Strength Ball Training, 3E
Hermans et al. The effects of high resistance–few repetitions and low resistance–high repetitions resistance training on climbing performance
Saeterbakken et al. Effects of ten weeks dynamic or isometric core training on climbing performance among highly trained climbers
CN110957018A (zh) 一种便携式综合智能交互健身系统及方法
Siff Functional training revisited
Stanforth et al. Training toys... bells, ropes, and balls—oh my!
KR20180027057A (ko) 트레이닝 루틴을 추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illardson A periodized approach for core training
KR102368541B1 (ko) 난이도 레벨의 운동정보 제공방법 및 장치
KR102239953B1 (ko) 운동칼로리 산출 서비스 방법
Akkari-Ghazouani et al. Effect of glissade-step on kinetic and kinematic variables of stag ring leaps with and without throw-catch of the ball in rhythmic gymnastics
Petrovic et al. The novel single-stroke kayak test: Can it discriminate between 200-m and longer-distance (500-and 1000-m) specialists in canoe sprint?
Rawlley-Singh et al. A philosophical approach to aligning strength and conditioning support to a coaches' performance model: A case study from a national rowing performance programme
AU2006100451A4 (en) Method for improving muscle balance
Williams et al. Strength and conditioning considerations for collegiate dance
CN210467339U (zh) 一种便携式综合智能交互健身系统
DeCurtins Ultimate Plank Fitness: For a Strong Core, Killer Abs-and a Killer Body
Dos Remedios Men's Health Power Training: Build Bigger, Stronger Muscles Through Performance-Based Conditioning
Zhao et al. The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Core Strength Training on Special Athletic Ability of Wushu Forms Athletes
Silver Core Stability in Sport: Its association to and effects om sport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