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363B1 - 야채 세정용 바구니 - Google Patents

야채 세정용 바구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363B1
KR102239363B1 KR1020200157142A KR20200157142A KR102239363B1 KR 102239363 B1 KR102239363 B1 KR 102239363B1 KR 1020200157142 A KR1020200157142 A KR 1020200157142A KR 20200157142 A KR20200157142 A KR 20200157142A KR 102239363 B1 KR102239363 B1 KR 102239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tainer body
opening
vegetables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랙홀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랙홀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랙홀릭
Priority to KR102020015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야채를 세정하거나 보관하면서 야채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를 제시하며, 야채가 담길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갖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가능하게 커버하되, 커버된 부분에 배수 가능한 채반부를 제공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기울임을 통한 수분의 배수를 허용하는 채반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야채 세정용 바구니{BASKET FOR WASHING VEGETABLES}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야채 세정용 바구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채나 과일 등을 세척하면서 수분을 배수할 수 있으며, 세척된 야채나 과일을 보관할 수 있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야채나 과일 등을 세척할 경우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반구형의 세척그릇에 야채와 물을 담은 후 야채를 세척하고 있다.
그리고 야채의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세척그릇을 기울여 세척수를 따라 버린 후, 야채를 별도의 채반에 올려 놓음으로써 야채의 수분을 제거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세척수를 버릴 때에는 세척그릇을 기울이는 과정에서 야채가 세척수와 함께 쉽게 버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손으로 막으면서 세척수를 버려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야채 세척 방식은 세척이 완료된 야채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채반이 필요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야채나 과일의 세척과정에서 수분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03169호에 제시된 콜랜더가 결합된 믹싱볼이 있다.
구체적으로, 선행기술은 반구형의 믹싱볼과, 다수의 구멍이 뚫려있는 콜랜더로 구성되며, 콜랜더가 믹싱볼의 내부에 포개진 상태로 안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야채의 수분을 제거할 경우 콜랜더를 믹싱볼에서 분리함으로써 쉽게 수분을 제거할 수 있고, 야채의 손실 없이 믹싱볼의 세척수를 버릴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콜랜더와 믹싱볼이 분리 구성됨으로써 야채의 세척시 콜랜더를 믹싱볼에서 분리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콜랜더가 믹싱볼의 안쪽에 포개짐으로써 야채의 세척과정에서 야채가 콜랜더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며, 콜랜더 또한 세척과정에서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세척이 완료된 야채를 보관할 경우에는 야채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므로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야채나 과일 등을 세척하면서 수분을 쉽게 배수할 수 있으며, 세척된 야채나 과일을 노출됨이 없이 보관할 수 있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수분을 배수할 수 있는 채반커버가 용기본체 개구부의 일부분을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채의 손실이 없이 수분을 쉽게 배수할 수 있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채반커버가 용기본체의 외주면에 포개짐으로써 채반커버나 야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평상시 용기본체를 통상의 바구니로 사용할 수 있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채반커버가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커버함으로써 야채를 외부환경에 노출됨이 없이 보관할 수 있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채반커버를 개방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채반커버가 용기본체에 포개진 상태로 지면을 지지할 수 있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채반커버를 폐쇄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용기본체가 뒤집힌 상태에서도 채반커버가 지면을 지지할 수 있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야채를 세정하거나 보관하면서 야채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에 있어서, 야채가 담길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갖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가능하게 커버하되, 커버된 부분에 배수 가능한 채반부를 제공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기울임을 통한 수분의 배수를 허용하는 채반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반커버는,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용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개구부의 일부분을 커버하면서 상기 배수공을 통해 수분을 배수하고, 반대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 일부분에 포개지는 제1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반커버는,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 커버와 대칭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용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개구부의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면서 상기 배수공을 통해 수분을 배수하고, 반대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 나머지부분에 포개지는 제2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반커버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개방에 의해 서로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를 상기 용기본체와 포개진 상태로 고정하는 커버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클램프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하나의 단부에 돌출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개방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는 돌기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클램프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하나의 단부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형돌기; 및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나머지 하나에 단부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형돌기의 끼움부위를 제공하는 암형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반커버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반대방향 회전에 의한 개방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쪽에 배치되면서 지면을 지지하는 서포트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반커버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일방향 회전에 의한 커버링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쪽에 배치되면서 상기 용기본체를 뒤집힌 상태로 지지하는 추가서포트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반커버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개방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손잡이를 제공하며,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폐쇄에 의해 서로 대면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반커버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플랜지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플랜지부를 대면한 상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플랜지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클램프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하나의 플랜지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돌기; 및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나머지 하나의 플랜지에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돌기와 끼움결합되는 플랜지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는, 외주면이 반구형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는, 각각 분할된 반구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용기본체와 함께 하나의 구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채반커버를 구성하는 제1 커버 또는 제2 커버가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면서 배수가능한 채반부를 제공하므로 야채의 세척수를 쉽게 배수할 수 있고, 제1 커버 및 제2 커버가 함께 용기본체의 개구부 전체를 커버할 수 있으므로 세척된 야채를 외부에 노출됨이 없이 보관할 수 있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제1 커버 및 제2 커버가 용기본체의 외주면에 포개지므로 야채의 세척시 채반커버에 의한 야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채반커버의 손상 역시 방지할 수 있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제1 커버 및 제2 커버가 커버클램프에 의해 개방된 상태로 서로 고정되므로 채반커버가 개방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제1 커버 및 제2 커버에 서포트돌기가 형성되므로 채반커버가 용기본체에 포개진 상태에서 지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제1 커버 및 제2 커버에 플랜지부가 마련되어 채반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제공하므로 플랜지부를 통해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용기본체를 운반할 수 있으며, 플랜지부가 플랜지클램프에 의해 서로 대면한 상태로 결합되므로 채반커버를 폐쇄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제1 커버 및 제2 커버에 추가서포트돌기가 형성될 경우에는 채반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용기본체를 뒤집힌 상태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야채의 수분을 좀 더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를 제시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야채 세정용 바구니의 채반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야채 세정용 바구니의 채반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야채 세정용 바구니의 채반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야채 세정용 바구니의 채반커버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클램프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클램프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클램프 및 추가서포트돌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야채 세정용 바구니의 채반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야채 세정용 바구니의 채반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야채 세정용 바구니의 채반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야채 세정용 바구니의 채반커버의 일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클램프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며,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클램프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클램프 및 추가서포트돌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야채 세정용 바구니(10)는 야채나 과일을 세정하거나 보관하면서 야채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 및 채반커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야채나 과일을 담은 상태로 세척하거나 보관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 대략 반구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면서 개구부를 갖는 수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개구부를 통해 야채나 과일을 수용공간으로 담을 수 있다.
이러한 용기본체(100)는 합성수지재나 금속재 또는 유리재 등 재질에 상관 없이 반구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야채나 과일을 물과 함께 수용공간에 담아서 세척하거나 세척이 완료된 야채나 과일의 보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채반커버(200)는 야채나 과일의 세척 시 세척물의 손실 없이 세척수만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채반커버(200)는 용기본체(100)에 결합된 상태로 용기본체(100)의 개구부의 일부분 또는 전체부분을 개폐가능하게 커버링하면서 커버된 부분에 수분의 배수가 가능한 채반부를 제공함으로써 용기본체(100)의 기울임을 통한 수분의 배수를 허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채반커버(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는 용기본체(100)에 제각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용기본체(100)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면서 수분을 배수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210)는 복수의 배수공(200a)이 형성된 상태로 힌지(200b)를 통해 용기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 회전을 통해 개구부의 일부분을 커버하면서 용기본체(100)의 기울임 시 배수공(200a)을 통해 수분을 배수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21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방향 회전을 통해 용기본체(100)의 개구부를 개방하면서 용기본체(100)의 외주면 일부분에 포개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커버(220)는 제1 커버(210)와 대칭을 이루는 구성요소로, 복수의 배수공(200a)이 형성된 상태로 힌지(200b)를 통해 용기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 회전을 통해 개구부의 나머지부분을 커버하면서 용기본체(100)의 기울임 시 배수공(200a)을 통해 수분을 배수할 수 있다.
또한, 제2 커버(22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방향 회전을 통해 용기본체(100)의 개구부를 개방하면서 용기본체(100)의 외주면 나머지부분에 포개질 수 있다.
즉,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는 각각 분할된 반구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의 개구부 전체를 커버하면서 용기본체(100)와 함께 하나의 구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의 개구부를 개방하면서 용기본체(100)의 외주면에 포개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중 하나만이 폐쇄된 상태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폐쇄된 상태로 용기본체(100)의 기울임을 통해 수분을 배수공(200a)으로 배수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는 세척 및 배수가 완료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의 개구부 전체를 커버하면서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야채나 과일을 외부에 노출됨이 없이 보관시킬 수 있다.
한편, 채반커버(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클램프(230) 및 서포트돌기(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버클램프(230)는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를 용기본체(100)와 포개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즉, 커버클램프(230)는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에 각각 형성되어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의 개방에 의해 서로 결합되면서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를 용기본체(100)와 포개진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가 임의로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커버클램프(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31) 및 돌기홀더(2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231)는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 중 하나의 표면에 돌출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돌기홀더(232)는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 중 나머지 하나에 후크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의 개방에 의해 걸림돌기(232)에 걸리면서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커버클램프(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돌기(235) 및 암형홈(23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형돌기(235)는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 중 하나의 단부에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암형홈(236)은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 중 나머지 하나의 단부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수형돌기(235)가 끼워지면서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서포트돌기(240)는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의 개방 시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가 용기본체(100)에 포개진 상태로 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서포트돌기(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에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의 반대방향 회전에 의한 개방 시 용기본체(100)의 하부 쪽에 배치되면서 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서포트돌기(240)는 각각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의 일부분에 동일체를 이루면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와 분리 구성되면서 고무재 재질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질의 블록형태로 제작되어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는 용기본체(100)에 포개진 상태로 서포트돌기(240)를 통해 지면을 지지함으로써 용기본체(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커버클램프(230)를 통해 서로 결합됨으로써 임의로 폐쇄되지 않고 용기본체(1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채반커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50)는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의 개방 시 용기본체(100)의 상단 둘레를 따라 손잡이를 제공함으로써 용기본체(100)의 운반이나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의 개폐 시 파지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플랜지부(250)는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의 양단부 중 커버플램프(230)의 반대 쪽 단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의 개방 시 용기본체(100)의 상단부의 둘레에 손잡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250)는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의 폐쇄 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면할 수 있다.
한편, 플랜지부(2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클램프(260)의 구성을 통해 서로 대면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랜지클램프(2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돌기(261) 및 플랜지홀(2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돌기(261)는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 중 하나의 플랜지(250)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홀(262)은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 중 나머지 하나의 플랜지(250)에 구멍이나 홈형태로 형성되어 플랜지돌기(26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플랜지돌기(261)은 플랜지홀(262)에 끼워져 체결되면서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의 플랜지부(250)를 대면한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는 용기본체(100)를 기울이거나 뒤집을 경우에도 플랜지클램프(260)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임의로 개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용기본체(100)의 수분을 안정적으로 배수할 수 있다.
한편, 채반커버(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서포트돌기(2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추가서포트돌기(270)는 용기본체(100)를 뒤집힌 상태로 지면에 지지시킴으로써 용기본체(100) 내부의 수분을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추가서포트돌기(270)는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에 각각 돌출 형성되면서 전술한 서포트돌기(240)의 반대쪽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의 일방향 회전에 의한 폐쇄 시 용기본체(100)의 상부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서포트돌기(270)는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의 폐쇄 시 용기본체(100)의 상부 쪽에 배치됨으로써 용기본체(100)를 뒤집을 경우 지면을 지지하면서 용기본체(100)를 뒤집힌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는 추가서포트돌기(270)를 통해 용기본체(100)를 뒤집힌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수분을 배수할 수 있으며, 플랜지클램프(260)를 통해 폐쇄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임의로 개방되지 않고 수분을 배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야채 세정용 바구니(1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야채를 세척할 경우,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는 플랜지부(250)를 통해 파지된 상태로 각각 회전하여 용기본체(100)의 외주면에 포개지면서 용기본체(100)의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다.
용기본체(100)는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가 개방된 상태로 수용공간에 야채를 담은 후 물을 통해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는 용기본체(100)의 외주면에 포개지므로 야채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야채와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야채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세척수를 배수할 경우,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회전하여 용기본체(100)의 개구부를 전부 차폐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만 회전하여 개구부의 일부만을 차폐할 수 있으며, 용기본체(100)의 기울임을 통해 수분을 배수공(200a)으로 배수할 수 있다.
세척이 완료된 후, 용기본체(100)는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를 개방한 상태로 야채를 외부로 노출시켜 보관할 수 있으며,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 모두 차폐함으로써 야채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야채 세정용 바구니(10)는 채반커버(200)를 구성하는 제1 커버(210) 또는 제2 커버(220)가 용기본체(100)의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면서 배수가능한 채반부를 제공하므로 야채의 세척수를 쉽게 배수할 수 있고,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가 용기본체(100)의 외주면에 포개지므로 야채의 세척 시 채반커버(200)에 의한 야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채반커버(200)의 손상 역시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야채 세정용 바구니
100 : 용기본체
200 : 채반커버
200a : 배수공 200b : 힌지
210 : 제1 커버
220 : 제2 커버
230 : 커버클램프
231 : 걸림돌기 232 : 돌기홀더
235 : 수형돌기 236 : 암형홈
240 : 서포트돌기
250 : 플랜지부
260 : 플랜지클램프
261 : 플랜지돌기 262 : 플랜지홀
270 : 추가서포트돌기

Claims (12)

  1. 야채를 세정하거나 보관하면서 야채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에 있어서,
    야채가 담길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갖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개폐가능하게 커버하되, 커버된 부분에 배수 가능한 채반부를 제공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기울임을 통한 수분의 배수를 허용하는 채반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채반커버는,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용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개구부의 일부분을 커버하면서 상기 배수공을 통해 수분을 배수하고, 반대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 일부분에 포개지는 제1 커버; 및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 커버와 대칭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용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개구부의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면서 상기 배수공을 통해 수분을 배수하고, 반대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 나머지부분에 포개지는 제2 커버를 포함하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반커버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개방에 의해 서로 결합되면서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를 상기 용기본체와 포개진 상태로 고정하는 커버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클램프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하나의 단부에 돌출형성되어 걸림부위를 제공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개방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는 돌기홀더를 포함하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클램프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하나의 단부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형돌기; 및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나머지 하나에 단부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형돌기의 끼움부위를 제공하는 암형홈을 포함하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반커버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반대방향 회전에 의한 개방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쪽에 배치되면서 지면을 지지하는 서포트돌기를 더 포함하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반커버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일방향 회전에 의한 커버링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쪽에 배치되면서 상기 용기본체를 뒤집힌 상태로 지지하는 추가서포트돌기를 더 포함하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반커버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개방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손잡이를 제공하며,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폐쇄에 의해 서로 대면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채반커버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플랜지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의 플랜지부를 대면한 상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플랜지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클램프는,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하나의 플랜지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돌기; 및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 중 나머지 하나의 플랜지에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돌기와 끼움결합되는 플랜지홀을 포함하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외주면이 반구형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버 및 상기 제2 커버는,
    각각 분할된 반구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면서 상기 용기본체와 함께 하나의 구형태를 이루는, 야채 세정용 바구니.
KR1020200157142A 2020-11-20 2020-11-20 야채 세정용 바구니 KR102239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142A KR102239363B1 (ko) 2020-11-20 2020-11-20 야채 세정용 바구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142A KR102239363B1 (ko) 2020-11-20 2020-11-20 야채 세정용 바구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363B1 true KR102239363B1 (ko) 2021-04-12

Family

ID=75440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142A KR102239363B1 (ko) 2020-11-20 2020-11-20 야채 세정용 바구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3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331B1 (ko) 2021-12-28 2023-03-14 최병영 다용도 채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406B1 (ko) * 2012-01-16 2013-02-05 김봉옥 곡물 세척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406B1 (ko) * 2012-01-16 2013-02-05 김봉옥 곡물 세척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331B1 (ko) 2021-12-28 2023-03-14 최병영 다용도 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363B1 (ko) 야채 세정용 바구니
US5255797A (en) Wafer carrier with wafer retaining cushions
JP6967434B2 (ja) 臓器収容器
US20080023379A1 (en) Media separation systems and methods
EP0385877B1 (fr) Ratelier à couverts pour lave-vaisselle
KR930018708A (ko) 틸트 상자를 위한 개량의 돌쩌귀
US20140014605A1 (en) Dishwasher basket
FR2498357A1 (fr) Coffret de rangement d'organes de memoire magnetique
JPH05508748A (ja) 傾斜ボックス
US20220227537A1 (en) Tea bag holder
CA1321778C (en) Contact lens case
KR102020362B1 (ko) 콘택트 렌즈 보관 케이스
KR101947259B1 (ko)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
KR102090897B1 (ko) 콘택트 렌즈 보관 케이스
CA267574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mouthguard
KR101918816B1 (ko) 콘택트렌즈 케이스
KR102509331B1 (ko) 다용도 채반
KR20200107372A (ko) 콘택트 렌즈 보관 케이스
KR20200107376A (ko) 콘택트 렌즈 보관 케이스
US20040089030A1 (en) Equipment washer
JPH0223151Y2 (ko)
KR101965679B1 (ko) 담배 케이스
KR102473849B1 (ko) 일체형 성찬식 컵
JPH10290775A (ja) 水切り容器
JP2008206432A (ja) 釣り用バッ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