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259B1 -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259B1
KR101947259B1 KR1020170031392A KR20170031392A KR101947259B1 KR 101947259 B1 KR101947259 B1 KR 101947259B1 KR 1020170031392 A KR1020170031392 A KR 1020170031392A KR 20170031392 A KR20170031392 A KR 20170031392A KR 101947259 B1 KR101947259 B1 KR 101947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support plate
inner support
storage chamber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515A (ko
Inventor
조효식
Original Assignee
조효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효식 filed Critical 조효식
Priority to KR1020170031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259B1/ko
Publication of KR20180104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2Soap boxes or recep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esilient suspension means
    • B65D81/0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esilient suspension means the contents being located between two membranes stretched between opposed sides of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1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draining or collecting liquids without absorb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물품을 수용하는 물품 수용 공간에 대해 물품 접촉 면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수분 배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물품의 수분에 의한 짓무름 상태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수분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건조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내측 지지판의 오목부에 수분 배출홀을 형성함으로써, 물품 수용 공간에서 수분이 오목부로 유도되어 수분 배출홀을 통해 배출수 저장 챔버로 원활하게 배출되고, 휴대 운반 과정에서 그 방향 및 위치가 변화하더라도 수분 배출홀을 통한 수분의 재유입이 방지되어 물품에 대한 건조 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Portable Article Storage Case}
본 발명은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을 수용하는 물품 수용 공간에 대해 물품 접촉 면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수분 배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물품의 수분에 의한 짓무름 상태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수분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건조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내측 지지판의 오목부에 수분 배출홀을 형성함으로써, 물품 수용 공간에서 수분이 오목부로 유도되어 수분 배출홀을 통해 배출수 저장 챔버로 원활하게 배출되고, 휴대 운반 과정에서 그 방향 및 위치가 변화하더라도 수분 배출홀을 통한 수분의 재유입이 방지되어 물품에 대한 건조 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각종 생활용품이나 음식 등을 보관 수납하여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물품 수용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물품 수용 용기들은 음식물의 경우 진공 상태로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해 진용 용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화장실 등에서는 치솔이나 치약을 보관 수납하기 위한 수납함, 비누를 보관 수납하기 위한 비누 수용 용기 등 매우 다양한 물품 수납 용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음식물의 경우, 예를 들면 과일의 경우, 자체 수분이 계속 발생하게 되므로, 진공 용기에 보관하는 경우, 과일에서 발생하는 수분이 진공 용기 내부에 계속 저장되어 과일이 자체 수분에 의해 짓무르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화장실이나 주방에서와 같이 수분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는 비누, 수세미 등은 항상 물기가 묻은 상태로 해당 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분에 의해 짓무르거나 청결 상태가 불량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문화 여가 생활의 발달로 인해 현대인들은 각종 레저 스포츠 활동을 활발하게 즐기고 있으며, 이러한 레저 스포츠 활동시에는 필요한 각종 장비들과 함께 각종 생활 용품 들을 휴대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생활 용품들을 편리하게 휴대하기 위해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들 또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물품 수용 용기들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별도의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수분을 분리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어서, 내부 수용 물품이 수분에 의해 짓무르거나 위생 상태가 불량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비누와 같이 물기가 묻은 상태로 보관해야 하는 물품의 경우, 물품 수용 용기 내부 공간에서 수분에 의해 짓무르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물품 수용 용기에 수분 배출홀이 형성되는 경우, 수분이 물품 수용 용기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어 물품 수용 용기를 휴대한 휴대 가방 안에서 의류 등의 다른 휴대 용품들을 오염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수분에 노출되는 물품을 보관 수납하기 위한 물품 수용 용기들은 수분에 의해 물품이 짓무르거나 또는 수분이 외부 누출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별도의 비닐 봉투 등을 이용하여 물품 수용 용기의 외부를 다시 한번 밀봉하는 형태로 물품을 휴대하는 등 그 휴대에 불편함이 많다.
최근에는 비누와 같이 수분에 노출되거나 자체 수분이 발생하는 다양한 물품들을 청결하고 위생적인 상태로 수용하기 위한 용기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물품 수용 용기들은 특정 용도 또는 특정 물품에 한정된 용기 형태로 개발되어 널리 활용되지 못하거나 또는 여전히 수분에 의한 물품의 손상 및 청결 상태 훼손 등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54842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을 수용하는 물품 수용 공간에 대해 물품 접촉 면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수분 배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물품의 수분에 의한 짓무름 상태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수분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건조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측 지지판의 오목부에 수분 배출홀을 형성함으로써, 물품 수용 공간에서 수분이 오목부로 유도되어 수분 배출홀을 통해 배출수 저장 챔버로 원활하게 배출되고, 휴대 운반 과정에서 그 방향 및 위치가 변화하더라도 수분 배출홀을 통한 수분의 재유입이 방지되어 물품에 대한 건조 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측 지지판이 양끝단으로부터 중심 부분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배출수 저장 챔버에 저장된 수분을 양끝단 부위로 유도하여 임시 저장할 수 있어 배출수 저장 챔버로부터 물품 수용 공간으로 수분이 재유입되는 것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물품의 건조 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측 지지판이 물품 수용 공간의 물품을 탄성력에 의해 밀착 가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운반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물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물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물품의 위치 고정에 따라 물품의 건조 상태 또한 더욱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호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에 물품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는 각각 상기 물품 수용 공간을 이루며 상기 물품 수용 공간에 수용된 물품이 접촉 지지되는 내측 지지판; 및 상기 내측 지지판과의 사이 공간에 배출수 저장 챔버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 지지판의 외부 공간을 이격되게 감싸는 형태로 상기 내측 지지판에 결합되는 외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 지지판은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물품 수용 공간에 존재하는 수분이 상기 배출수 저장 챔버로 배출될 수 있도록 수분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내측 지지판은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의 기준 표면을 이루는 가상의 기준선(L1)이 양끝단으로부터 중심부분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커버는 상기 배출수 저장 챔버에 저장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커버에는 상기 배출수 저장 챔버에 저장된 수분을 외부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에 드레인 홀이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홀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별도의 드레인 캡이 상기 드레인 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커버는 상기 내측 지지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또는 일단부가 상기 내측 지지판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지지판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고정부; 및 중심 부분에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신축 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어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커버에는 상기 내측 지지판의 가동부가 상기 물품 수용 공간의 물품을 밀착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품 수용 공간을 이루며 물품을 접촉 지지하는 내측 지지판에 대해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대로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물품와 내측 지지판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물품의 수분에 의한 짓무름 상태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건조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측 지지판의 오목부에 수분 배출홀을 형성함으로써, 물품 수용 공간에서 수분이 오목부로 유도되어 수분 배출홀을 통해 배출수 저장 챔버로 원활하게 배출되고, 휴대 운반 과정에서 그 방향 및 위치가 변화하더라도 수분 배출홀을 통한 수분의 재유입이 방지되어 물품에 대한 건조 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측 지지판이 양끝단으로부터 중심 부분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배출수 저장 챔버에 저장된 수분을 양끝단 부위로 유도하여 임시 저장할 수 있어 배출수 저장 챔버로부터 물품 수용 공간으로 수분이 재유입되는 것을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물품의 건조 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측 지지판이 물품 수용 공간의 물품을 탄성력에 의해 밀착 가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운반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물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물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물품의 위치 고정에 따라 물품의 건조 상태 또한 더욱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의 수분 누수 방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의 수분 배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의 수분 배출 구조에 대한 또 다른 방식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의 내측 지지판에 대한 또 다른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의 내측 지지판에 대한 또 다른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의 수분 누수 방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상부 몸체(10) 및 하부 몸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 몸체(10) 및 하부 몸체(20)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에 물품 수용 공간(300)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 몸체(10) 및 하부 몸체(20)는 각각 물품(S)을 접촉 지지하는 내측 지지판(100)과, 내측 지지판(100)의 외부 공간을 감싸는 외부 커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에 수용할 수 있는 물품은 비누와 같이 수분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사용되거나 또는 과일과 같이 수분을 함유하는 등의 물품에 대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으나, 수분과 관계없이 모든 물품에 대해 적용 가능하다.
내측 지지판(100)은 상부 몸체(10) 및 하부 몸체(20)가 상호 결합한 상태에서 그 내부에 물품 수용 공간(300)을 이루는 것으로, 물품 수용 공간(300)에 수용된 물품이 접촉 지지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내측 지지판(100)은 오목부(140)와 볼록부(150)가 교대로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오목부(140)는 물품 수용 공간(300)을 향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볼록부(150)는 물품 수용 공간(300)을 향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오목부(140)에는 물품 수용 공간(300)에 존재하는 수분이 후술하는 배출수 저장 챔버(400)로 배출될 수 있도록 수분 배출홀(1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내측 지지판(100)의 형상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10) 및 하부 몸체(20)에 구비된 내측 지지판(100) 모두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상부 몸체(10) 및 하부 몸체(20) 중 어느 하나의 내측 지지판(100)은 표면에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되지 않은 평탄한 표면을 이루도록 단순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외부 커버(200)는 내측 지지판(100)과의 사이 공간에 배출수 저장 챔버(400)가 형성되도록 내측 지지판(100)의 외부 공간을 내측 지지판(100)과 이격되게 감싸는 형태로 내측 지지판(100)에 결합된다.
이때,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는 각각의 내측 지지판(10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호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결합부(120)가 형성되고, 이러한 결합부(120)를 통해 서로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결합부(120)의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암나사산 및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 체결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수용 용기는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가 상호 결합한 상태에서 내측 지지판(100)에 의해 형성되는 물품 수용 공간(300)에 물품(S)이 수용될 수 있고, 내측 지지판(100)이 오목부(140)와 볼록부(150)가 교대로 연속되게 형성되므로, 물품 수용 공간(300)에 수용된 물품(S)은 내측 지지판(100)의 볼록부(150) 돌출 끝단에 접촉하며 지지된다. 이에 따라 물품(S)과 내측 지지판(100)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물품이 수분을 함유하거나 또는 사용 환경이 수분에 노출되는 환경이라도 하더라도 물품(S)의 수분에 의한 짓무름 상태가 최소화되고 상대적으로 양호한 건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오목부(140)의 함몰 끝단부에 수분 배출홀(110)이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물품(S)과 함께 물품 수용 공간(300)으로 유입된 수분 또는 물품 자체에서 배출되는 수분 등은 이러한 수분 배출홀(110)을 통해 배출된다. 내측 지지판(100)의 외부 공간에는 외부 커버(200)가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배출수 저장 챔버(400)가 형성되므로, 물품 수용 공간(300)으로부터 수분 배출홀(110)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은 배출수 저장 챔버(400)로 배출 저장된다.
이와 같이 내측 지지판(100)에 오목한 형태의 오목부(140)가 형성됨으로써, 물품 수용 공간(300)에 존재하는 수분은 볼록부(150)로부터 오목부(140) 측으로 유도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40)에서 수분 배출홀(110)을 통해 배출수 저장 챔버(400)로 배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출되어 배출수 저장 챔버(400)에 저장된 수분(T)은 휴대 운반 도중 그 상하 방향이 바뀌거나 움직이게 되므로, 내측 지지판(100)의 수분 배출홀(110)을 통해 배출수 저장 챔버(400)로부터 물품 수용 공간(300)으로 다시 유입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수용 용기는 내측 지지판(100)에 오목부(140) 및 볼록부(150)가 연속하여 교대로 형성됨과 동시에 오목부(140)에 수분 배출홀(110)이 형성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몸체(20)에서는 배출수 저장 챔버(400)의 하부 공간에 수분(T)이 저장 유지되므로 물품 수용 공간(300)으로 수분(T)이 재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 몸체(10)에서는 오목부(140)로부터 볼록부(150) 측으로 수분(T)이 유도되어 볼록부(150) 측에 소량 저장될 수 있으므로, 다시 말해서, 오목부(140) 측에는 수분이 존재할 수 없으므로, 수분(T)이 다시 물품 수용 공간(300)으로 유입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설령, 미소량이라도 수분(T)이 물품 수용 공간(300)으로 재유입된다고 하더라도, 이는 다시 하부 몸체(20)의 내측 지지판(100)의 오목부(140)로 유도되어 오목부(140)의 수분 배출홀(110)을 통해 다시 하부 몸체(20)의 배출수 저장 챔버(400)로 유입되므로, 물품 수용 공간(300)에는 수분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수용 용기는 상하 배치 방향이 바뀌더라도 그 구조상 배출수 저장 챔버(400)로부터 수분 배출홀(110)을 통해 물품 수용 공간(300)으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물품 수용 공간(300)에는 수분이 존재하지 않고 모두 배출수 저장 챔버(400)로 배출되어 저장되고, 물품 수용 용기를 휴대 운반하는 동안에도 수분이 물품 수용 공간(300)으로 재유입되지 않으므로, 물품 수용 공간(300)에서 물품(S)이 건조 상태로 양호하게 유지된다.
한편, 내측 지지판(100)은 오목부(140)와 볼록부(150)의 기준 표면을 이루는 가상의 기준선(L1)이 양끝단으로부터 중심부분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내측 지지판(100)과 물품(S)의 접촉 면적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어 물품(S)의 짓무름 부위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고 건조 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지지판(100)이 이러한 기준선(L1)을 따라 형성되면, 양끝단 부위와 중심 부위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므로, 배출수 저장 챔버(400) 내부 공간에서 수분을 양끝단 부위로 집중 유도하여 그와 인접한 공간(4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상부 몸체(10)의 경우에 적용 가능한 설명으로, 상부 몸체(10)에서는 배출수 저장 챔버(400)에 저장된 수분(T)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내측 지지판(100)의 양끝단 부위로 유도되어 양끝단 부위와 인접한 공간(410)에 저장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양끝단 부위와 인접한 공간(410)에 수분(T)이 저장됨으로써, 수분(T)이 수분 배출홀(110)을 통해 물품 수용 공간(300)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더욱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의 수분 배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의 수분 배출 구조에 대한 또 다른 방식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의 외부 커버(200)는 배출수 저장 챔버(400)에 저장된 수분(T)을 외부로 배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200)에는 배출수 저장 챔버(400)에 저장된 수분(T)을 외부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에 드레인 홀(210)이 형성되고, 드레인 홀(210)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별도의 드레인 캡(220)이 드레인 홀(2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드레인 캡(220)을 제거하여 배출수 저장 챔버(400)에 저장된 수분을 드레인 홀(210)을 통해 외부로 배출 제거할 수 있으며, 수분 제거 이후에는 다시 드레인 캡(220)을 삽입하여 드레인 홀(210)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200)가 내측 지지판(100)에 끼워맞춤 삽입되는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200)의 일측단부가 내측 지지판(100)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외부 커버(200)를 내측 지지판(100)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배출수 저장 챔버(400)가 개방되므로, 배출수 저장 챔버(400)에 저장된 수분(T)을 더욱 완벽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의 내측 지지판에 대한 또 다른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지지판(100)의 위치가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내측 지지판(100)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고정부(101)와, 중심 부분에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신축 부재(103)를 통해 고정부(101)와 연결되는 가동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오목부(140)와 볼록부(150)가 연속하여 교대로 형성되는 부위는 가동부(102) 영역에 해당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신축 부재(103)는 접철 가능한 주름이 형성된 주름 부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내측 지지판(100)은 고정부(101)가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부(101)에 신축 부재(103)를 통해 연결된 가동부(102)가 일정 구간 범위에서 상하 또는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신축 부재(103)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단순 변형이 가능한 직물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커버(200)에는 내측 지지판(100)의 가동부(102)가 물품 수용 공간(300)의 물품(S)을 밀착 가압할 수 있도록 가동부(102)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500)이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 스프링(500)이 장착됨에 따라, 가동부(102)는 물품 수용 공간(300)에 수용된 물품(S)을 탄성력에 의해 밀착 가압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물품(S)의 크기가 변화하더라도 물품(S)에 대한 밀착 고정력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품(S)에 대한 밀착 고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물품 수용 용기의 휴대 운반 과정에서 외력에 의한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물품(S)이 물품 수용 공간(300)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물품 수용 용기가 개방되거나 물품(S)이 파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물품(S)의 위치 고정에 따라 물품(S)의 건조 상태 또한 더욱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의 내측 지지판에 대한 또 다른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는 내측 지지판(100)이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대로 연속 형성되고, 오목부에 수분 배출홀(110)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 지지판(100)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대로 연속되는 형태가 아니라 일정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지지판(100)은 양끝단으로부터 중심부분으로 갈수록 배출수 저장 챔버(400) 측으로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분 배출홀(110)은 이러한 내측 지지판(100)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형성된다. 이때, 수분 배출홀(110)의 가장자리에는 배출수 저장 챔버(400)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가이드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지지판(100)이 오목부 및 볼록부가 교대로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수분 배출홀(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140)에 형성되고, 이러한 수분 배출홀(110)의 가장자리에 돌출 가이드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분 배출홀(110)의 가장자리에 돌출 가이드부(111)가 형성됨으로써,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의 배치 방향이 상하 반전되는 등 어떤 배치 상태가 되더라도, 수분 배출홀(110)에 돌출 가이드부(11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출수 저장 챔버(400) 내부에 저장된 수분(T)이 수분 배출홀(110)을 통해 물품 수용 공간(300) 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더욱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수용 공간(300)에 수용된 물품의 건조 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상부 몸체 20: 하부 몸체
100: 내측 지지판 101: 고정부
102: 가동부 103: 신축 부재
110: 수분 배출홀 140: 오목부
150: 볼록부 200: 외부 커버
210: 드레인 홀 220: 드레인 캡
300: 물품 수용 공간 400: 배출수 저장 챔버
500: 탄성 스프링

Claims (9)

  1.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호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에 물품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는 각각
    상기 물품 수용 공간을 이루며 상기 물품 수용 공간에 수용된 물품이 접촉 지지되는 내측 지지판; 및
    상기 내측 지지판과의 사이 공간에 배출수 저장 챔버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측 지지판의 외부 공간을 이격되게 감싸는 형태로 상기 내측 지지판에 결합되는 외부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 지지판은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물품 수용 공간에 존재하는 수분이 상기 배출수 저장 챔버로 배출될 수 있도록 수분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 커버는 상기 배출수 저장 챔버에 저장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측 지지판은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고정부; 및
    중심 부분에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신축 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어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지지판은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의 기준 표면을 이루는 가상의 기준선(L1)이 양끝단으로부터 중심부분으로 갈수록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에는 상기 배출수 저장 챔버에 저장된 수분을 외부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에 드레인 홀이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홀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별도의 드레인 캡이 상기 드레인 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는 상기 내측 지지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또는 일단부가 상기 내측 지지판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커버에는 상기 내측 지지판의 가동부가 상기 물품 수용 공간의 물품을 밀착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배출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배출수 저장 챔버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
  8. 삭제
  9. 삭제
KR1020170031392A 2017-03-13 2017-03-13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 KR101947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392A KR101947259B1 (ko) 2017-03-13 2017-03-13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392A KR101947259B1 (ko) 2017-03-13 2017-03-13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515A KR20180104515A (ko) 2018-09-21
KR101947259B1 true KR101947259B1 (ko) 2019-02-12

Family

ID=6372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392A KR101947259B1 (ko) 2017-03-13 2017-03-13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2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2448B (zh) * 2019-05-24 2024-05-28 北京工商大学 一种集缓冲包装与自收紧包装于一体的水果包装盒
CN111377122B (zh) * 2020-04-24 2021-06-29 深圳市新汉科技有限公司 一种芯片储存盒及芯片固定挡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884Y1 (ko) * 2002-01-05 2002-04-27 박동윤 비눗물이 새지 않는 휴대용 비눗갑
JP2005058685A (ja) * 2003-08-08 2005-03-10 Sadao Naoi 石鹸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367Y1 (ko) * 1992-08-28 1995-01-25 이주언 휴대용 비눗갑
KR101154842B1 (ko) 2010-10-07 2012-06-18 유지훈 비누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884Y1 (ko) * 2002-01-05 2002-04-27 박동윤 비눗물이 새지 않는 휴대용 비눗갑
JP2005058685A (ja) * 2003-08-08 2005-03-10 Sadao Naoi 石鹸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515A (ko) 2018-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259B1 (ko) 휴대용 물품 수용 용기
US20020179478A1 (en) Compact portable pack for carrying diapers, wet baby wipes and reclosable disposable bags
CN105407758A (zh) 具备胶囊型化妆品重填结构及气密功能的袖珍盒
KR20100008131A (ko) 캡수용부가 구비된 음료수 용기
US10582811B2 (en) Ventilated leak-proof container
KR20170028337A (ko) 휴대용 비누 케이스
KR101583489B1 (ko) 뚜껑에 물티슈가 구비된 테이크아웃 컵
US20200232145A1 (en) Easy-to-open storage container and clothes trea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101690069B1 (ko) 콤팩트 용기
KR102080930B1 (ko) 생리컵 세척기구
JP3917410B2 (ja) 貯蔵容器
KR20180069255A (ko) 콘택트 렌즈 보관 케이스
US20160201979A1 (en) Refrigerator
US9937103B1 (en) Emesis receptacle
KR102295620B1 (ko) 휴대용 압축티슈 케이스
US20200253355A1 (en) Container for cosmetic sponge applicator
KR102026726B1 (ko) 술병 아이스 케이스
KR100920814B1 (ko) 파우더토출구의 개폐가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102070419B1 (ko) 드럼세탁기용 세탁물 배출 및 건조를 위한 거치대
KR200220270Y1 (ko) 비누갑
KR101596602B1 (ko) 두루마리형으로 향기티슈가 말아진 테이크아웃컵
KR102422315B1 (ko) 이동식 개수대
KR200278599Y1 (ko) 낚시가방
US10752402B1 (en) Hygienic wet-article holder with liquid dispenser
KR200487826Y1 (ko) 롤 비닐봉지를 구비한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