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361B1 -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361B1
KR102239361B1 KR1020190097926A KR20190097926A KR102239361B1 KR 102239361 B1 KR102239361 B1 KR 102239361B1 KR 1020190097926 A KR1020190097926 A KR 1020190097926A KR 20190097926 A KR20190097926 A KR 20190097926A KR 102239361 B1 KR102239361 B1 KR 102239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uide
support
thin film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149A (ko
Inventor
고석근
Original Assignee
고석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석근 filed Critical 고석근
Priority to KR1020190097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3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6Evaporators with vertical tubes
    • B01D1/065Evaporators with vertical tubes by film evap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22Evaporating by bringing a thin layer of the liquid into contact with a heate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0Vacuum distil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롤러를 사용하여 정제대상액의 박막을 형성하는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함으로써 하우징 내벽에 유체의 박막을 형성하는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원기둥 형상의 지그의 하단에 롤러 베이스를 안착시키고, 상기 지그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환형의 서포트 지지부에 롤러 서포트를 고정시키고, 상기 롤러 서포트에 형성된 서포트 홈에 롤러 가이드를 결합하고, 상기 롤러 가이드에 스플릿 가이드를 결합하고, 상기 스플릿 가이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복수의 롤러를 배치시키고, 상기 복수의 롤러를 관통하도록 롤러 샤프트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THIN FILM DISTILL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롤러를 이용하여 정제대상액의 박막을 형성하는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제대상액의 정제 방법은 화학적 처리방법과 물리적 처리방법으로 대별될 수 있다. 화학적 처리 방법은 이온 정제 방법이 대표적이나, 이 방법은 정제 제품의 품질 수준이 낮은 문제점이 있는 바, 물리적 방법인 고온 열분해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고온 열분해 방법은 이온 정제 방법에 비하여 정제 제품의 품질 수준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고온 열분해 방법은 상압 상태에서 고온(370 ~ 550℃)으로 가열하여 열분해시키기 때문에 제품이 불안정하고 타르가 발생하며 악취가 심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일정시간 경과 후에는 침전물이 생성되고, 버너 사용 시 타르에 의해 연소 노즐 및 배관에서의 막힘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고온으로 운전되기 때문에 설비의 내구성이 짧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으며, 생산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원심력으로 정제대상액을 박막으로 형성하여 증발력을 증가시키는 박막 증류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원심 박막 증류장치는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47508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원심 박막 증류장치는,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내주면에 정제대상액의 박막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원심 박막 증류장치에서는, 블레이드가 하우징의 내주면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함으로써, 하우징의 내주면에 정제대상액의 박막을 형성하였다.
다만, 블레이드와 하우징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너무 크면, 정제대상액의 박막의 두께가 두꺼워져 증발 효율 및 정제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레이드와 하우징 내주면 사이의 간격이 너무 작으면, 블레이드의 회전 공차에 의해 블레이드가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 블레이드가 하우징 내주면과 접촉하게 되면, 정제대상액의 박막이 형성되기 어렵고, 나아가 블레이드가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롤러를 사용하여 정제대상액의 박막을 형성하는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 박막 증류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정제대상액의 박막의 두께를 줄여 정제대상액의 증발 효율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정제 효율을 향상시킨 박막 증류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함으로써 하우징 내벽에 유체의 박막을 형성하는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박막 증류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원기둥 형상의 지그의 하단에 롤러 베이스를 안착시키고, 상기 지그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환형의 서포트 지지부에 롤러 서포트를 고정시키고, 상기 롤러 서포트에 형성된 서포트 홈에 롤러 가이드를 결합하고, 상기 롤러 가이드에 스플릿 가이드를 결합하고, 상기 스플릿 가이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복수의 롤러를 배치시키고, 상기 복수의 롤러를 관통하도록 롤러 샤프트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홈에 상기 롤러 가이드를 결합하고, 상기 롤러 가이드의 상단에 롤러 플랜지를 결합한 후, 상기 롤러 가이드에 상기 스플릿 가이드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롤러 샤프트는 상기 롤러 베이스의 하측에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롤러 베이스를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롤러 샤프트는 상기 롤러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롤러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 가이드에 상기 스플릿 가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롤러가 상기 스플릿 가이드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후, 상기 롤러 샤프트는 상기 롤러 가이드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롤러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 샤프트가 상기 복수의 롤러의 내측에 배치된 후, 상기 롤러 가이드의 상단에 롤러 플랜지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롤러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롤러 각각은, 상기 롤러 샤프트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형성되는 상기 박막에 두께 차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플릿 가이드는, 상기 스플릿 가이드의 상부에 배치되는 롤러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플릿 가이드는, 상기 스플릿 가이드의 상부에 배치되는 롤러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롤러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홈과 상기 서포트 홈에 결합되는 상기 롤러 가이드는, 상기 롤러 서포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롤러 가이드에는 각각 스플릿 가이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롤러 가이드는 상기 롤러 서포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롤러 가이드와 제2롤러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릿 가이드는 상기 제1롤러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1스플릿 가이드와 상기 제2롤러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2스플릿 가이드를 포함할 때, 상기 제1스플릿 가이드와 상기 제2스플릿 가이드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홈(groove)은 상기 롤러 서포트의 측면이 상기 롤러 서포트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 가이드는, 상기 롤러 샤프트와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되고, 상기 서포트 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서포트 홈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홈에 상기 롤러 가이드를 용접함으로써 상기 롤러 가이드가 상기 서포트 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롤러 가이드의 일 측에 상기 스플릿 가이드를 용접함으로써 상기 스플릿 가이드가 상기 롤러 가이드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롤러를 사용하여 정제대상액의 박막을 형성하는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롤러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 박막 증류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정제대상액의 박막의 두께를 줄여 정제대상액의 증발 효율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정제 효율을 향상시킨 박막 증류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에서, 롤러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롤러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롤러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에서, 복수의 롤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에서, 복수의 롤러를 각각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서, 지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서, 지그에 롤러 베이스를 안착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서, 지그에 롤러 서포트를 임시로 고정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서, 롤러 서포트와 롤러 가이드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서, 롤러 가이드와 롤러 플랜지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서, 롤러 어셈블리에 스플릿 가이드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서, 롤러 어셈블리에 롤러를 배치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서, 롤러 샤프트가 롤러를 관통하도록 롤러 어셈블리에 롤러 샤프트를 배치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1)는 하우징(10)과, 하우징의 외측에서 열을 제공하는 가열부(20)와, 하우징(10)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구동 샤프트(31)와, 구동 샤프트(31)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구동장치(30) 및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콘덴서(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 내부는 진공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되며,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체크 밸브(13)와, 진공 펌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진공 펌프는 하우징(10)의 외부에 배치되어 하우징(10)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하우징(10)의 상부 일 측에는 원료 투입구(11)가 마련될 수 있다. 원료 투입구(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10)의 측면 상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원료 투입구(11)에는 하우징(10) 내부로 액상의 유체를 투입하도록 마련되는 파이프(12)가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12)는 일 단이 체크 밸브(13)와 결합되고, 타 단이 원료 투입구(11)와 연결될 수 있다.
체크 밸브(13)의 일 단은 파이프(12)와 연결될 수 있고, 체크 밸브(13)의 타 단은 피딩 펌프(미도시)와 연결된 피딩 파이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피딩 펌프는 원료 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연료 탱크로부터 유체 상태의 연료를 펌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체크 밸브(13)는 하우징(10) 내부로 유체를 투입시키는 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하우징(10)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반면, 원료 투입구(11)로부터 체크 밸브(13)를 거쳐 피딩 펌프(미도시) 측으로 유체가 이동하려고 할 때에는, 체크 밸브(13)가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10) 내부는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열부(20)는 하우징(10) 내부를 가열함으로써 원료 투입구(11)를 통해 상기 하우징(10) 내부로 공급되는 액상의 유체를 가열하여 기체로 변환되게 한다. 가열부(20)는 하우징(10)의 외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이러한 배치를 통해 가열부(20)는 하우징(10)의 표면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부(20)는 하우징(10)의 표면을 가열함으로써, 하우징(10)의 내부 또한 가열할 수 있다. 가열부(20)는 외부에서 열매체유 또는 가열기체를 공급받아, 상기 열매체유 또는 상기 가열기체가 가열부(20) 내에서 하우징(10)의 외측면과 접촉되면서 열교환되도록 할 수 있다. 가열부(20)는 가열몸체(21)와, 가열유입구(22) 및 가열배출구(2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몸체(21)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열매체유 또는 상기 가열기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마련된 상태로 상부 및 하부가 밀폐된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열몸체(21)는 하우징(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하우징(10) 외측면에 결합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열 몸체(21)는 별도의 내측면을 포함하지 않고, 하우징(10)의 외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외측면만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외측면과 가열몸체(21)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열매체유 또는 가열기체를 순환 이송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열몸체(21)는 하우징(10)의 외측면과 접촉하거나 극소의 간격만을 갖도록 배치되는 내측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가열유입구(22)는 상기 가열몸체(21)의 일측, 즉 가열몸체(21)의 하단 일측에 연통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가열유입구(22)는 외부의 열매체유 또는 가열기체를 저장한 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라인(미도시)을 통해 연결되어, 열매체유 또는 가열기체가 가열몸체(21) 내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가열배출구(23)는 가열몸체(220)의 타측, 즉 상기 가열몸체(21)의 상단 일측에 연통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가열배출구(23)는 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라인(미도시)을 통해 연결되어, 가열유입구(22)를 통해 가열몸체(21) 내부로 공급된 열매체유 또는 가열기체가 다시 저장탱크로 이송되도록 열매체유 또는 가열기체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달리, 가열부는 전원을 공급받으면 발열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히터를 하우징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설치하여, 하우징을 직접 가열할 수도 있다.
구동장치(30)는 하우징(10)의 내측에 설치된 구동 샤프트(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장치(3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구동 샤프트(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장치(30)는 구동장치(30)의 축 부분을 구동 샤프트(31)의 상단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상단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구동장치(30)의 축 부분과 구동 샤프트(31) 중 어느 하나가 하우징(10)의 상면을 관통할 수 있다.
구동장치(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구동 샤프트(31)는 후술할 롤러 어셈블리(100)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콘덴서(40)가 배치될 수 있다. 콘덴서(40)는 구동 샤프트(3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구동 샤프트(31)는 콘덴서(40)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콘덴서(40)는 내부에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이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냉매관의 중심에는 구동 샤프트(31)가 배치되고, 구동 샤프트(31)는 콘덴서(40)에 대해 상대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샤프트(31)가 회전하더라도 콘덴서(40)는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콘덴서(40)는 이중 코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체 상태의 유체를 보다 효율적으로 응축시킬 수 있다.
콘덴서(40)는 하우징(10) 내부에서 증발된 기체 상태의 유체를 응축시켜 증류액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콘덴서(40)가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될 경우에는 하우징(10) 내에서 증발된 기체를 배출구(미도시)로 배출시킨 후 하우징(10) 외부에 설치된 콘덴서를 이용해 응축시킬 필요가 없게 되면서 높은 순도의 액상의 증류액을 얻을 수 있다. 하우징 외부에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기체를 외부의 응축기에서 응축 시, 기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라인 상에 부착된 이물질이 함께 응축되면서 발생된 액상의 증류액 순도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우징(10)의 하단에는 콘덴서(40)에 의해 응축된 액상의 증류액을 하우징(10)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출구(62)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박막 증류장치(1)는 하우징(10)의 내벽에 유체의 박막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롤러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어셈블리(100)는 구동 샤프트(31)와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장치(30)의 구동력에 의해 롤러 어셈블리(100)가 회전할 수 있다.
롤러 어셈블리(100)는,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는 롤러 플랜지(110)와, 하우징(1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는 롤러 베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플랜지(110)는, 원료 투입구(110)의 아래에 배치되고, 회전함으로써 원료 투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액상의 유체를 원심력에 의해 하우징(10)의 내벽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롤러 플랜지(110)는, 원료 투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액상의 유체가 롤러 플랜지(110)의 중심에 형성된 홀(111)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롤러 플랜지(1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롤러 플랜지(110)는 돌출부(112)와 롤러 플랜지(11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113)는 액상의 유체가 롤러 플랜지(110)의 중심부로부터 롤러 플랜지(1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롤러 플랜지(110)의 상면으로 투입된 액상의 유체는, 롤러 플랜지(110)가 회전함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 롤러 플랜지(1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하우징(10)의 내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롤러 플랜지(110)의 측면과 하우징(10)의 내벽 사이에는 소정의 갭(gap)이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갭을 통해 유체가 롤러 플랜지(110)의 상면으로부터 하우징(10)의 내벽으로 유입될 수 있다.
롤러 베이스(120)는 롤러 플랜지(1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롤러 플랜지(1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 베이스(120)는 하우징(10)의 내부로서, 하우징(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 베이스(120)와 롤러 플랜지(11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롤러 베이스(120)는 롤러 플랜지(110)와 달리 돌출부 및 경사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롤러 베이스(120)는 편평(flat)한 원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롤러 어셈블리(100)는 롤러 플랜지(110) 및 롤러 베이스(120)와 함께 회전하도록 롤러 플랜지(110) 및 롤러 베이스(120)에 각각 결합되는 롤러 샤프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샤프트(140)는 구동 샤프트(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롤러 샤프트(140)의 상단은 롤러 플랜지(110)에 결합될 수 있고, 롤러 샤프트(140)의 하단은 롤러 베이스(120)에 결합될 수 있다.
롤러 샤프트(140)는 롤러 플랜지(110) 및 롤러 베이스(120)의 측면에 인접한 면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롤러 샤프트(140)는 롤러 플랜지(110) 및 롤러 베이스(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어셈블리(100)는 4개의 롤러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어셈블리(100)는 롤러 샤프트(140)에 결합되는 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150)는 롤러 샤프트(14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롤러(150)는 롤러 샤프트(140)와 소정의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롤러(150)는 롤러 샤프트(140)가 회전함에 따라 하우징(10)의 내벽과 접하면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롤러(150)가 하우징(10)의 내벽과 접하면서 회전하면, 하우징(10)의 내벽에는 유체의 박막이 형성될 수 있다. 롤러(150)는 하우징(10)의 내벽과 접하도록 회전함으로써 하우징(10)의 내벽에 유체의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유체는 박막을 형성함으로써 표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표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유체는 증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하우징(10) 내벽과 접하면서 회전하는 롤러(150) 사이를 통과하는 유체는 강제적인 박막 상태로 흘러내리게 되고, 이러한 유체는 진공상태에서 낮은 온도로 가열되더라도 증발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1)는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롤러 플랜지(110)의 상면에서 원심력에 의해 박막으로 형성되면서 1차 증발이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150)와 상기 하우징(10) 내주면 사이를 통과하는 나머지 유체가 박막으로 형성되면서 2차 증발이 이루어져 증발 효율이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다.
롤러(150)는 상면과 하면이 모두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롤러(150)가 하우징(10)의 내벽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벽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롤러(150)와 하우징(10)은 각각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므로, 롤러(150)의 외측면과 하우징(10)의 내벽은 각각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곡면과 곡면이 접촉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마찰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롤러(150)가 하우징(10)과 접촉하면서 회전하더라도, 롤러(150)의 외측면 또는 하우징(10)의 내벽에 상대적으로 마모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롤러(15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박막 증류장치(1)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롤러(150)는 롤러 샤프트(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결합되는 복수의 롤러(151, 152, 15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롤러 각각은, 롤러 샤프트(14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롤러들 사이의 상하 방향으로 갭(gap)으로 인해 하우징(10)의 내벽에 박막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부분이 줄(line) 형태로 생길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1)는 하우징(10)의 내벽에 유체의 줄(line)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하우징(10)의 내벽에 형성되는 유체의 박막에 두께 차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롤러 어셈블리(100)는 롤러 플랜지(110)와 롤러 베이스(120) 사이에 배치되는 롤러 서포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서포트(130)는 롤러 샤프트(140) 및 구동 샤프트(31)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롤러 서포트(130)는 롤러 플랜지(110) 및 롤러 베이스(12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롤러 서포트(130)는 롤러 어셈블리(100)의 회전 시 발생하는 롤러 샤프트(140)의 뒤틀림 또는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롤러 서포트(130)는 롤러 샤프트(140)가 회전하면서 비틀림 또는 휨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롤러 서포트(130)는 구동 샤프트(31)와 콘덴서(40)가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서포트 홀(131)과, 롤러 샤프트(140)와 롤러(150)가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서포트 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홀(131)은 롤러 서포트(13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고, 서포트 홈(132)은 롤러 서포트(130)의 측면과 인접한 테두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홈(132)은 롤러 서포트(1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서포트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포트 홈의 개수는 상기한 복수의 롤러 샤프트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롤러 서포트(13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 서포트(130)는 롤러 샤프트(14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롤러 서포트(130)는 롤러(150)가 회전하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롤러 베이스(120)의 아래에는 분리 벽(50)이 마련될 수 있다. 분리 벽(50)은 롤러 베이스(120)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된 콘덴서(40)의 측방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리 벽(50)은 콘덴서(40)의 측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콘덴서(40)를 감싸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분리 벽(50)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분리 벽(50)은 콘덴서(40)에서 응축된 유체와 하우징(10)의 내벽으로부터 증발되지 않은 유체를 분리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의 내벽으로부터 증발되어 콘덴서(40)에서 응축된 액상의 유체는 분리 벽(5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후술할 제1가이드 플레이트(61)의 상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 하우징(10)의 내벽으로부터 증발되지 않은 액상 또는 슬러지 형태의 유체는 분리 벽(50)의 외측으로 유입되어 후술할 제2가이드 플레이트(63)의 상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는, 분리 벽의 아래에 배치되고 응축된 액상의 유체를 배출하는 제1배출구(62)를 포함하는 제1가이드 플레이트(61)와, 롤러 베이스(120)와 제1가이드 플레이트(61)의 사이에 배치되고 분리 벽(50)이 삽입되는 중공을 포함하는 제2가이드 플레이트(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 플레이트(61)는 증류된 액상의 유체를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출구(62)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제1가이드 플레이트(61)의 상면으로 유입된 액상의 액체는 제1배출구(62)를 향해 이동하도록 가이드되고, 제1배출구(6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2가이드 플레이트(63)는 증발되지 않은 유체 또는 슬러지 형태의 유체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제2배출구(64)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제1배출구(62)와 마찬가지로, 제2배출구(64)에 대한 하향 경사 배치를 통해,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제2가이드 플레이트(63)의 상면으로 유입된 유체는 제2배출구(64)를 향해 이동하도록 가이드되고, 제2배출구(6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의 내벽으로부터 증발되지 않은 유체는, 제2가이드 플레이트(63)와 분리 벽(50)에 의해 제1가이드 플레이트(61)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분리 벽(50)은, 제2가이드 플레이트(63)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가 상기 콘덴서(40)에 의해 응축된 액상의 유체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1)는 정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1)는 롤러 플랜지(110) 및 롤러 베이스(120)에 의해 상단과 하단이 고정되고, 롤러 플랜지(110) 및 롤러 베이스(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 샤프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샤프트(140)의 개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샤프트(140)는 4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롤러 서포트(130)는, 그 중심에 콘덴서(40)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서포트 홀(131)과, 롤러 샤프트(140)가 배치되도록 롤러 서포트(130)의 측면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서포트 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샤프트(140)는 4개가 마련될 수 있고, 서포트 홈(132)은 롤러 샤프트(140)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4개가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서포트 홈(132)에는 롤러 샤프트(14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박막 증류장치(1)는 롤러(150)의 하중을 분산하도록 마련되는 스플릿 가이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롤러(150)가 롤러 샤프트(140)에 상하 방향으로 연속해서 결합되므로, 이러한 복수의 롤러(150)의 하중을 롤러 베이스(120)가 모두 지지하게 되면, 롤러 베이스(120)에 상당한 무리가 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롤러 샤프트(140)가 삽입될 수 있는 샤프트 홀(도번 미표시)을 포함하는 스플릿 가이드(16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플릿 가이드(160)는 상기 샤프트 홀을 통해 롤러 샤프트(140)가 스플릿 가이드(160)를 관통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롤러(150)는 샤프트 홀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샤프트 홀의 내경은, 롤러 샤프트(140)의 외경보다 크게 마련되되 롤러(15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스플릿 가이드(160)는 롤러 샤프트(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릿 가이드(160)는 하나의 롤러 샤프트(14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2개가 마련될 수 있다. 스플릿 가이드(160)의 개수에 제한이 없는 것은 자명하다.
스플릿 가이드(160)는 복수의 롤러 샤프트(140) 마다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롤러 샤프트 내지 제4롤러 샤프트가 있다고 할 때, 스플릿 가이드(160)는 제1롤러 샤프트 내지 제4롤러 샤프트 각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는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를 의미한다. 달리 표현하면, 스플릿 가이드(160)는 서로 다른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스플릿 가이드(16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롤러와 롤러 사이에 갭(gap)이 생기기 때문에, 스플릿 가이드(160)가 모두 같은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갭으로 인해 하우징(10)의 내벽에 일정한 줄(line)이 생기기 때문이다. 상기한 줄은 유체의 두께가 달라 생기는 것으로서, 이러한 줄(line)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플릿 가이드(160)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는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스플릿 가이드(160)의 위치는 모두 다르게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롤러 샤프트에 배치되는 스플릿 가이드와 제3롤러 샤프트에 배치되는 스플릿 가이드의 위치는 동일하게 마련되고, 제2롤러 샤프트에 배치되는 스플릿 가이드와 제4롤러 샤프트에 배치되는 스플릿 가이드의 위치는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서포트 홈(132)은 롤러 샤프트(140) 및 롤러(150)가 배치되도록 상기 롤러(15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롤러 어셈블리(100)는, 롤러 샤프트(14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서포트 홈(132)에 끼워지도록 서포트 홈(132)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롤러 가이드(17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가이드(170)는 롤러(15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롤러(150)가 콘덴서(40)를 향해 이동하여 콘덴서(40)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롤러 가이드(170)는, 롤러 샤프트(140)가 휘거나, 롤러 샤프트(140)가 유격으로 인해 진동하는 등의 예상치 못한 이유로 롤러(150)가 의도한 이동 범위를 넘어 콘덴서(40)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롤러 가이드(170)는 롤러(15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롤러(150)가 이동 범위를 벗어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서, 지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서, 지그에 롤러 베이스를 안착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서, 지그에 롤러 서포트를 임시로 고정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서, 롤러 서포트와 롤러 가이드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서, 롤러 가이드와 롤러 플랜지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서, 롤러 어셈블리에 스플릿 가이드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서, 롤러 어셈블리에 롤러를 배치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서, 롤러 샤프트가 롤러를 관통하도록 롤러 어셈블리에 롤러 샤프트를 배치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박막 증류장치의 롤러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의 롤러 어셈블리를 제조함에 있어서, 원기둥 형상의 지그(2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200)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지그(20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서포트 지지부(201, 202)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지지부(201, 202)는 제1서포트 지지부(201)와, 제1서포트 지지부(20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서포트 지지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지지부(201, 202)는 각각 지그(200)의 외면으로부터 지그(20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그(200)가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지므로, 서포트 지지부(201, 202)는 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그(200)를 사용한 롤러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지그(200)를 자립(自立)하도록 배치한 후, 롤러 베이스(120)를 지그(200)의 하단에 안착시킨다. 롤러 베이스(120)는 중심부를 관통하는 홀을 갖도록 마련되고, 상기 홀을 지그(200)가 관통함으로써 롤러 베이스(120)가 지그(200)의 하단에 안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지그(200)의 서포트 지지부(201,202)에 롤러 서포트(130)를 임시로 고정할 수 있다. 롤러 서포트(130)는 제1서포트 지지부(201)에 임시로 고정되는 제1롤러 서포트(130a)와, 제2서포트 지지부(202)에 임시로 고정되는 제2롤러 서포트(130b)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서포트(130)는 서포트 고정장치(203, 204)를 이용함으로써 서포트 지지부(201, 202)에 임시로 고정될 수 있다.
서포트 고정장치(203, 204)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소정의 틈(gap)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장치로서, 상기 틈 사이에 롤러 서포트(130) 및 서포트 지지부(201, 202)를 배치시킨 후, 상기 틈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롤러 서포트(130)를 서포트 지지부(201, 202)에 임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서포트 고정장치(203, 204)는 제1서포트 고정장치(203)와 제2서포트 고정장치(2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서포트 고정장치(203)는 제1롤러 서포트(130a)를 제1서포트 지지부(201)에 임시로 고정할 수 있고, 제2서포트 고정장치(204)는 제2롤러 서포트(130b)를 제2서포트 지지부(202)에 임시로 고정할 수 있다.
롤러 서포트(130)는 서포트 홈(132,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홈(132)은 롤러 서포트(1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서포트 홈(132) 각각은 롤러 서포트(130)의 측면이 롤러 서포트(130)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서포트 홈에는 롤러 가이드(170)가 결합될 수 있다. 롤러 가이드(170)는 서포트 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롤러 가이드(170)는 롤러 샤프트(140)의 길이와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롤러 가이드(170)는 용접에 의해 롤러 서포트(130)와 결합될 수 있다.
롤러 가이드(170)는 서포트 홈과 대응되도록 롤러 서포트(1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가이드(170)는 제1롤러 가이드(170a)와, 제2롤러 가이드(170b)와, 제3롤러 가이드(170c) 및 제4롤러 가이드(170d)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롤러 가이드의 개수는 3개 이하이거나 5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롤러 가이드(170)와 롤러 서포트(130)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면, 서포트 고정장치(203, 204)가 없이도 롤러 서포트(130)가 고정되므로, 서포트 고정장치(203, 204)를 제거할 수 있다. 서포트 고정장치(203, 204)를 제거할 때에는 상기한 과정을 반대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상하 방향의 틈의 크기를 늘림으로써 서포트 고정장치(203, 204)를 롤러 서포트(130) 및 서포트 지지부(201, 20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가이드(170)와 롤러 서포트(130)를 결합한 후, 롤러 가이드(170)의 상단에 롤러 플랜지(110)를 결합할 수 있다. 롤러 플랜지(110)는 복수의 롤러(150) 및 롤러 샤프트(140)가 롤러 가이드(170)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롤러 가이드(170)에는 스플릿 가이드(160)가 결합될 수 있다. 스플릿 가이드(160)는 복수의 롤러(150)의 하중을 분산시킬 뿐만 아니라 복수의 롤러(150)에 의해 하우징의 내벽에 일정한 줄(line)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스플릿 가이드(160)는 롤러 가이드(170)의 외측으로부터 롤러 가이드(17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된 후, 롤러 가이드(17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스플릿 가이드(160)는 용접에 의해 롤러 가이드(170)에 결합될 수 있다.
스플릿 가이드(16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플릿 가이드(160)는 제1롤러 가이드(170a)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결합되는 제1스플릿 가이드(160a)와 제3스플릿 가이드(160c)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스플릿 가이드(160)는 제2롤러 가이드(170b)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결합되는 제2스플릿 가이드(160b)와 제4스플릿 가이드(160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스플릿 가이드(160a)와 제2스플릿 가이드(160b)는 복수의 롤러(150)에 의해 하우징 내벽에 일정한 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스플릿 가이드(160c)와 제4스플릿 가이드(160d)는 상하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스플릿 가이드(16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복수의 롤러(15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플릿 가이드(160)에 의해 복수의 롤러(150)의 하중이 분산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150)는 다양한 높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양한 높이를 갖는 복수의 롤러(150)를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스플릿 가이드(16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롤러(150)는 롤러 어셈블리에 고정된 것이 아니며, 임시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복수의 롤러(150)를 롤러 어셈블리에 결합하기 위해, 롤러 샤프트(140)가 복수의 롤러(150)를 관통하도록 롤러 샤프트(140)를 배치할 수 있다. 스플릿 가이드(160)에는 롤러 샤프트(140)가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스플릿 가이드 홀(도번 미표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롤러(150)는 롤러 샤프트(140)가 롤러(150)를 관통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형태의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롤러(150)의 내경은 롤러 샤프트(140)의 외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롤러(150)를 배치한 후, 롤러 샤프트(140)가 복수의 롤러(150) 및 스플릿 가이드(160)를 관통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롤러(150)가 롤러 샤프트(140)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고, 복수의 롤러(150)가 롤러 어셈블리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샤프트(140)는 롤러 베이스(120)의 하방으로부터 롤러 베이스(120)를 관통한 후, 복수의 롤러(1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롤러 샤프트(140)를 롤러 베이스(120)의 하방으로부터 복수의 롤러(150) 내측으로 삽입하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롤러 플랜지(110)가 롤러 가이드(170)에 먼저 결합되어 있더라도 롤러 샤프트(140)가 복수의 롤러(150)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샤프트(140)의 상단에는 수나사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롤러 플랜지(110)의 하면에는 롤러 샤프트(140)의 수나사부와 대응되는 암나사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롤러 샤프트(140)를 롤러 베이스(120)의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시킨 후, 수나사부와 암나사부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롤러 샤프트(140)가 롤러 플랜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롤러 어셈블리(100)가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지그(200)로부터 롤러 어셈블리(100)를 분리한 후, 롤러 어셈블리(100)를 하우징(10) 내측에 배치하여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롤러 플랜지(110)의 결합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롤러 가이드(170)에 스플릿 가이드(160)를 결합하고, 스플릿 가이드(160)의 상부와 하부에 복수의 롤러(150)를 배치시킨 후, 롤러 가이드(170)의 상방으로부터 롤러 샤프트(140)를 복수의 롤러(150)의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 샤프트(140)는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여 롤러 어셈블리(100)에 결합될 수 있다. 롤러 샤프트(140)는 상기한 실시예와 반대로, 롤러 베이스(120)의 상면과 롤러 샤프트(140)의 하단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암나사부의 나사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롤러 샤프트(140)가 복수의 롤러(150)의 내측에 배치된 후, 롤러 가이드(170)의 상단에 롤러 플랜지(110)를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롤러 어셈블리(100)를 제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그(200)로부터 롤러 어셈블리(100)를 분리한 후, 롤러 어셈블리(100)를 하우징(10) 내측에 배치하여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박막 증류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박막 증류장치
10 : 하우징
20 : 가열부
30 : 구동장치
31 : 구동 샤프트
40 : 콘덴서
50 : 분리 벽
61 : 제1가이드 플레이트
62 : 제2가이드 플레이트
100 : 롤러 어셈블리
110 : 롤러 플랜지
120 : 롤러 베이스
130 : 롤러 서포트
140 : 롤러 샤프트
150 : 롤러
160 : 스플릿 가이드
170 : 롤러 가이드
200 : 지그
201, 202 : 서포트 지지부
203 : 서포트 고정장치

Claims (12)

  1.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함으로써 하우징 내벽에 유체의 박막을 형성하는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원기둥 형상의 지그의 하단에 롤러 베이스를 안착시키고,
    상기 지그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환형의 서포트 지지부에 롤러 서포트를 고정시키고,
    상기 롤러 서포트에 형성된 서포트 홈에 롤러 가이드를 결합하고,
    상기 롤러 가이드에 스플릿 가이드를 결합하고,
    상기 스플릿 가이드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복수의 롤러를 배치시키고,
    상기 복수의 롤러를 관통하도록 롤러 샤프트를 배치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롤러 가이드는,
    상기 롤러 샤프트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서포트 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서포트 홈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롤러가 상기 하우징 내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롤러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홈에 상기 롤러 가이드를 결합하고,
    상기 롤러 가이드의 상단에 롤러 플랜지를 결합한 후, 상기 롤러 가이드에 상기 스플릿 가이드를 결합하는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샤프트는 상기 롤러 베이스의 하측에서부터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롤러 베이스를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롤러 샤프트는 상기 롤러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롤러의 내측에 배치되는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가이드에 상기 스플릿 가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롤러가 상기 스플릿 가이드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후,
    상기 롤러 샤프트는 상기 롤러 가이드의 개방된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롤러의 내측에 배치되는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샤프트가 상기 복수의 롤러의 내측에 배치된 후, 상기 롤러 가이드의 상단에 롤러 플랜지를 결합하는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롤러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롤러 각각은, 상기 롤러 샤프트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형성되는 상기 박막에 두께 차이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릿 가이드는,
    상기 스플릿 가이드의 상부에 배치되는 롤러를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플릿 가이드의 상부에 배치되는 롤러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롤러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홈과 상기 서포트 홈에 결합되는 상기 롤러 가이드는, 상기 롤러 서포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각각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롤러 가이드에는 각각 스플릿 가이드가 결합되는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 가이드는 상기 롤러 서포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롤러 가이드와 제2롤러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플릿 가이드는 상기 제1롤러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1스플릿 가이드와 상기 제2롤러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2스플릿 가이드를 포함할 때,
    상기 제1스플릿 가이드와 상기 제2스플릿 가이드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홈(groove)은 상기 롤러 서포트의 측면이 상기 롤러 서포트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가이드는, 상기 롤러 샤프트와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되고, 상기 서포트 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서포트 홈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홈에 상기 롤러 가이드를 용접함으로써 상기 롤러 가이드가 상기 서포트 홈에 결합되고,
    상기 롤러 가이드의 일 측에 상기 스플릿 가이드를 용접함으로써 상기 스플릿 가이드가 상기 롤러 가이드에 결합되는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90097926A 2019-08-12 2019-08-12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KR102239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926A KR102239361B1 (ko) 2019-08-12 2019-08-12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926A KR102239361B1 (ko) 2019-08-12 2019-08-12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149A KR20210019149A (ko) 2021-02-22
KR102239361B1 true KR102239361B1 (ko) 2021-04-09

Family

ID=7468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926A KR102239361B1 (ko) 2019-08-12 2019-08-12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3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108B1 (ko) * 2012-02-03 2012-10-15 (주)송산피엔이 박막 증발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4213B2 (ja) * 1992-03-25 1997-03-26 株式会社奈良機械製作所 粒子状材料処理装置
CN104168972B (zh) * 2012-03-16 2016-01-06 三菱丽阳株式会社 立式离心薄膜蒸发器和单体的精制方法
WO2016143776A1 (ja) * 2015-03-09 2016-09-15 関西化学機械製作株式会社 蒸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108B1 (ko) * 2012-02-03 2012-10-15 (주)송산피엔이 박막 증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149A (ko) 202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340B1 (ko) 여과 시스템 및 여과 시스템용 피팅 배치
CN1234450C (zh) 用于放热或吸热非均相反应的等温反应器
JP4356897B2 (ja) 燃料供給装置
US20080121383A1 (en) Heat exchanger for cooling reaction gas
US20060231378A1 (en) Thin-film evaporator
US20090212503A1 (en) Mechanical Seal
KR102239361B1 (ko) 박막 증류장치의 제조방법
US11161071B2 (en) Separating device for separating a fluid from gas as well as separating element and coupling element for such a separating device
KR20040075942A (ko) 냉매 순환용 코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기
CA2663065C (en) Quench exchanger with extended surface on process side
US8967234B2 (en) Tube plug for a heat exchanger tube
KR102239359B1 (ko) 박막 증류장치
CN101400961A (zh) 传热管支承结构
KR102239360B1 (ko) 박막 증류장치
RU2282121C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пленочн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JP4659988B2 (ja) 機器の冷却方法
JP2021166991A (ja) サイクロン式凝縮および冷却システム
RU2561363C1 (ru) Газо-газов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US20130199461A1 (en) Tubular wall assembly and gasification reactor
WO2022038300A1 (en) System and methods of a vertical rod baffle heat exchanger
JP2012122672A (ja) 熱交換器および水処理装置
CN107208967A (zh) 双向拾取端
WO2013105342A1 (ja) 蒸発装置、蒸発システム及び蒸発方法
FI104795B (fi) Menetelmä kelatun putkilämmönvaihtimen suojaamiseksi
WO2015135868A1 (en) High pressure reactor for the synthesis of melam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