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346B1 - Harness for VR simulation - Google Patents

Harness for VR simu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346B1
KR102239346B1 KR1020190084624A KR20190084624A KR102239346B1 KR 102239346 B1 KR102239346 B1 KR 102239346B1 KR 1020190084624 A KR1020190084624 A KR 1020190084624A KR 20190084624 A KR20190084624 A KR 20190084624A KR 102239346 B1 KR102239346 B1 KR 102239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upper body
harness
virtual reality
experi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6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7717A (en
Inventor
박호열
임효상
정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마로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마로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마로꼬
Priority to KR1020190084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346B1/en
Publication of KR20210007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7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3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이나 체공체험 등, 특히 익스트림 판타지 세계의 체험을 위한 플랫폼 또는 시뮬레이터에 사용되어 실감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아울러 사용자 안전을 위한 구조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용 하네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용 하네스 장치는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상체부(100)와, 착용자의 하체, 특히 대퇴부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하체부(200)로 구성된다. 상체부(100)와 하체부(200)는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제1연결부(206)와 제2연결부(208)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시뮬레이터의 회전, 승강, 기울임 등의 동작시에 착용자 신체의 상체 및 하체가 서로 영향을 적게 주고 받으면서 신체의 움직임이 최대한 실제 상황에 유사하게 따라갈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ness device for virtual reality simulation of a structure for user safety while maximizing a sensory effect by being used in a platform or simulator for experiencing an extreme fantasy world, such as virtual reality or physical experience. More specifically, the harness device for virtual reality simulation is composed of an upper body part 100 worn in a form surrounding the upper body of a wearer, and a lower body part 200 worn in a form surrounding the lower body of the wearer, especially the thigh part. The upper body part 100 and the lower body part 200 are connected through a first connection part 206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208 having a relatively small area. By designing with such a structure, the upper body and lower body of the wearer's body influence each other less when the simulator rotates, lifts, and tilts, and the movement of the body can follow the actual situation as closely as possible.

Description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용 하네스 {Harness for VR simulation} Harness for VR simulation}

본 발명은 점프, 스킨스쿠버, 자유유영, 체공 경쟁 등 익스트림 판타지 세계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체공체험, 보행, 암벽 등반 등의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는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ness used in virtual reality simulations such as a jump, skin scuba, free swimming, and an extreme fantasy world, such as a flight competition, and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such as a flight experience, walking, and rock climbing.

가상/증강현실 기술과 컴퓨팅 환경의 발달로 체감형 시뮬레이션이 발달하고 있다. 가상현실에 기반한 체험 시뮬레이터 중 하나로 등록번호 10-1797453(공고일자 2017년 11월 14일)의 가상현실 기반 경사도 및 추락 체험 시뮬레이터가 있다. 이 기술은 가상현실의 노면 상태에 따라 경사 조절 및 추락 상황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기반 경사도 및 추락 체험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다른 가상현실 체험용 시뮬레이터로, 등록번호 10-1212445(공고일자 2012년 12월 13일)의 고공강하 모의훈련 및 가상현실 체험을 위한 시뮬레이터 장치가 있다. 이 기술은, 체험자가 고공강하 훈련을 수행하거나 가상현실에 대한 체험을 할 때 체험자를 상부로 부양시킨 상태에서 자세를 변환시키기 위한 모션베이스를 통해 장치를 보다 편리하고 단순화하여 제어하므로써, 동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센싱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고공강하 모의훈련 및 가상현실 체험을 위한 시뮬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virtual/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computing environment, tangible simulation is developing. One of the virtual reality-based experience simulators is a virtual reality-based slope and fall experience simulator with registration number 10-1797453 (announced on November 14, 2017). This technology relates to a virtual reality-based slope and fall experience simulator that enables users to experience a fall situation and tilt adjustment according to the road surface condition of virtual reality. As another simulator for virtual reality experience, there is a simulator device for high altitude descent simulation training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with registration number 10-1212445 (announced on December 13, 2012). This technology is more convenient and simplified to control the device through a motion base to change the posture while raising the experiencer to the top when the experiencer performs high-altitude training or experiences virtual reality, thereby reducing the operation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ulator device for high altitude descent simulation training and virtual reality experience that can be shortened and sensed more accurately.

이러한 가상현실 체험, 모의훈련, 안전체험, 체공체험, 체험교육 등을 위한 시뮬레이션에는 급승강, 회전, 기울임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플랫폼이 사용되고, 이 플랫폼에 부착된 하네스(harness)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로 체험을 해야 한다. 따라서 이때 사용되는 하네스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설계될 것은 물론이고, 그 외에, 익스트림판타지 등의 시뮬레이션의 경우에는 플랫폼의 동작(가령, 히브(heave), 롤(roll), 피치(pitch), 요(yaw) 동작)에 의한 실감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모션이나 위치 등을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기도 한다.For simulations for virtual reality experience, simulation training, safety experience, experience experience, experiential education, etc., a platform that performs movements such as rapid elevation, rotation, and tilt is used, and a harness attached to this platform is worn by the user. You must experience it in one state. Therefore, the harness used at this time is not only designed for the safety of the user, but in addition, in the case of simulations such as extreme fantasy, the operation of the platform (e.g., heave, roll, pitch, yaw. In order to maximize the sensory effect due to (yaw) motion), it is also designed to change the user's motion or position in various ways.

본 발명을 통해 가상현실이나 체공체험 등, 특히 익스트림 판타지 세계의 체험을 위한 플랫폼 또는 시뮬레이터에 사용되어 실감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아울러 사용자 안전을 위한 구조의 하네스를 제안하고자 한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pose a harness having a structure for user safety while maximizing the sensory effect by being used in a platform or simulator for virtual reality or physical experience, in particular, for experiencing extreme fantasy world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상현실 체험의 실감효과를 위하여 수중에서의 수압에 의한 신체 압박 체감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구조의 하네스를 개발하였다. 아울러, 회전, 승강, 기울임 등의 시뮬레이터 동작시에 이에 상응하게 신체의 움직임이 최대한 실제 상황과 유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조, 아울러 착용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구조의 하네스를 개발하였다. As a mean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harness having a structure for effectively realizing the physical pressure due to water pressure in water has been developed for the realistic effect of virtual reality experience. In addition, a structure for making the movement of the body as similar to the actual situation as possible during operation of the simulator such as rotation, elevation, and tilt, and a harness having a structure for securing the safety of the wearer have been developed.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이후에 도면과 함께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현실 시뮬레이터에 사용되어 가상현실 체험시 압력에 의한 신체 압박 체감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시뮬레이터의 회전, 승강, 기울임 등의 동작시에 신체가 최대한 실제 상황에 유사하게 움직일 수 있고, 나아가 과격한 시뮬레이터 동작에 대해 착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sed in a virtual reality simulator to realize the effect of sensation of body pressure due to pressure during virtual reality experience, and the body can move as close to the actual situation as possible when the simulator is rotated, lifted, or tilte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wearer's safety against extreme simulator operation.

도 1은 하네스가 사용되는 가상체험 시뮬레이션용 플랫폼의 예시도
도 2a,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9)가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장치에 적용된 예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의 기본 구조도로, 도 3은 배면 모습, 도 4는 정면 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를 착용한 모습
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latform for virtual experience simulation in which a harness is used
2A and 2B are exemplary diagrams in which a harness 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apparatus
3 and 4 are a basic structural diagram of a har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ar view, and FIG. 4 is a front view
Figure 5 is a state wearing a har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is embodiment is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ining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or “comprising” mean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or Does not exclude addi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급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If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bscur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장치에 사용되는 하네스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것은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는 플랫폼의 한 예를 나타낸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harness used in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apparatus. 1 shows an example of a platform used for virtual reality simulation.

좌대(1)에 주축(3)이 세워져 있고, 주축(3)에 체험대(5)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체험대(5)에 있는 하네스(9)를 착용하여 체험대(5)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서고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7)를 쓴다. 체험대(5)의 다양한 방향과 각도의 회전을 통해 가상현실 체공체험을 할 수 있다. 하네스(9)는 체험대(5)에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고 와이어의 길이, 장력 등을 사용자의 어깨, 등 또는 상체, 허리 또는 하체 부위에서 다양하게 체험 스토리에 따라 조절하여 현실수준의 가상현실 체공체험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The main shaft (3) is erected on the pedestal (1), and the experience table (5) is installed on the main shaft (3). The user wears the harness 9 in the experience table 5 to stand up so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experience table 5 and wears a head mounted display (HMD) 7. Through the rotation of various directions and angles of the experience table 5, you can experience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The harness (9) is connected to the experience table (5) through a wire, and the length and tension of the wire are adjusted in various parts of the user's shoulder, back or upper body, waist or lower body according to the experience story to achieve reality-level virtual reality experience. Experience simulation can be provided.

도 2a,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9)가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장치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하네스(9)를 착용하고 장치의 체험대(5)에 의한 다양한 동작을 겪어야 하므로, 사용자 안전상 하네스(9)는 체험대(5)에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하네스(9)를 착용하기 전에는 체험자가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네스(9)가 체험대(5)에 느슨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의 체형이나 체격이 다 다르므로 하네스(9)가 체험대(5)에 부착되는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체험대(5)의 다양한 동작에 의해 사용자에게 체공체험을 주기 위하여 체공체험용 스토리 내지는 시나리오에 따라 하네스(9)를 임의로 죄었다 풀었다 하는 기능(와이어 조절)도 필요하다.2A and 2B show examples in which the harness 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apparatus. Since the user wears the harness 9 and has to undergo various movements by the experience table 5 of the device, the harness 9 must be firmly coupled to the experience table 5 for user safety. However, before the user wears the harness 9, the harness 9 must be loosely connected to the experience table 5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ear it. In addition, since the user's body shape and physique are all different, the degree to which the harness 9 is attached to the experience table 5 should be easily adjusted. In addition, a function (wire adjustment) of arbitrarily tightening and loosening the harness 9 according to the story or scenario for the experience experience is also required in order to give the user a experience experience through various movements of the experience table 5.

이를 위해 도 2a, 2b에 나타낸 하네스(9)는, 사용자의 양어깨 부위에 위치하여 체험대(5) 쪽으로 당겨지거나 반대 쪽으로 느슨해지는 제1와이어(15a, 15b), 사용자의 좌우 등 부위 또는 상체에 위치하여 체험대(5) 쪽으로 당겨지거나 반대 쪽으로 느슨해지는 제2와이어(17a, 17b), 사용자의 좌우 허리 부위나 둔부 또는 하체에 위치하여 체험대(5) 쪽으로 당겨지거나 반대 쪽으로 느슨해지는 제3와이어(19a, 19b)를 포함한다. 체험대(5)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관통하는 홀을 상기 각 위치마다 형성해 놓고 외부 공간에 위치한 하네스(9)에 부착된 제1와이어(15a, 15b), 제2와이어(17a, 17b), 제3와이어(19a, 19b)를 각 해당 홀을 통해 체험대(5)의 내부 공간에 있는 와이어 조절기구(미도시)에 연결하여, 이 와이어 조절기구가 각 와이어를 좌우 대칭으로 또는 좌우 비대칭으로 당기거나 풀도록 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harness 9 shown in Figs. 2a and 2b is a first wire 15a, 15b, which is located on both shoulders of the user and is pulled toward the experience table 5 or loosened to the opposite side, the left and right parts of the user, or the upper body. Second wire (17a, 17b) that is pulled toward the experience platform (5) or loosened to the opposite side, and a third wire (17a, 17b) that is pulled toward the experience table (5) or loosened to the opposite side by being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waist or buttocks of the user It includes wires 19a and 19b. The first wire (15a, 15b) and the second wire (17a, 17b) attached to the harness 9 located in the outer space by forming a hole penetrating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of the experience table 5 at each of the above positions , By connecting the third wire (19a, 19b) to the wire adjustment mechanism (not shown) in the inner space of the experience table (5) through each corresponding hole, this wire adjustment mechanism makes each wire symmetrically or asymmetrically left and right. Can be pulled or released.

도 3과 도 4는 상기 하네스(9)의 기본 구조도를 나타내는데, 도 3은 배면 모습을 도 4는 정면 모습을 나타낸다. 도 2a, 2b에 도시한 제1와이어(15a, 15b), 제2와이어(17a, 17b), 제3와이어(19a, 19b)가 도 3, 4에 나타낸 에어하네스의 적정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후술함). 3 and 4 show a basic structural diagram of the harness 9, in which FIG. 3 is a rear view and FIG. 4 is a front view. The first wires 15a and 15b, the second wires 17a and 17b, and the third wires 19a and 19b shown in Figs. 2a and 2b may be attached to the appropriate parts of the air harness shown in Figs. (To be described later).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하네스는 크게,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상체부(100)와, 착용자의 하체, 특히 대퇴부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는 하체부(200)로 구성된다.3 and 4, the air harn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worn in a form surrounding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100 and the lower body of the wearer, especially the thigh. It consists of a lower body part 200.

상체부(100)는 착용자의 등 및 뒷허리 부위를 감싸는 배면(102)과, 착용자의 가슴부 및 앞허리 부위를 지지하는 흉면(104)을 포함한다.The upper body portion 100 includes a rear surface 102 that surrounds the wearer's back and rear waist portions, and a chest surface 104 that supports the chest portion and the front waist portion of the wearer.

배면(102)과 흉면(104)은 그 상부가 착용자의 양측 각 어깨에 걸쳐지도록 (예컨대, 봉제 방식으로) 연결되는 어깨부(106)와, 착용자의 양 옆구리 부위를 감싸도록 (예컨대, 봉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옆구리부(108)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체부(100)는 착용자 신체의 주된 지지 역할을 해야 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배면(102)과 흉면(104)의 연결부위인 어깨부(106)와 옆구리부(108)를 넓은 면적에 걸쳐 봉제 방식으로 접합하였다. The back 102 and the chest 10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by a sewing metho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upper surface is over each shoulder of the wearer (for example, by a sewing method), and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wearer (for example, by a sewing method) It includes side portions 108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is way, the upper body portion 100 must serve as a main support for the wearer's body, so in this embodiment, the shoulder portion 106 and the side portion 108, which are the connection portions between the rear surface 102 and the chest surface 104, are placed in a wide area. It was joined by sewing over.

각 어깨부(106)에는 도 2a, 2b에 예시한 제1와이어(15a, 15b)가 연결될 수 있도록 링(110)(예를 들면 D-ring)이 부착된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는 소정의 체험 스토리(시나리오)에 따라 소정의 메커니즘이 작동하여 제1와이어(15a, 15b)를 당겼다 풀었다 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하네스를 착용한 체험자의 상체, 특히, 어깨 부위가 체험대(5)에 접촉되거나 체험대(5)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A ring 110 (eg, D-ring) is attached to each of the shoulders 106 so that the first wires 15a and 15b illustrated in FIGS. 2A and 2B can be conne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xperience story (scenario) implemented by the simulation program, a predetermined mechanism is operated to pull and release the first wires 15a and 15b. It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experience table 5 or fall from the experience table 5.

한편, 상체부(100)의 배면(102)의 중앙부위에도 와이어 연결용 링(111)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 연결되는 와이어(미도시)도 소정의 메커니즘에 의해서 당겨졌다 풀렸다 하여 체험자를 체험대(5)에 접촉시키거나 체험대(5)로부터 떨어뜨릴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 wire connection ring 111 is also attach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ar surface 102 of the upper body portion 100. The wire (not shown) connected thereto may also be pulled and released by a predetermined mechanism, so that the experienced person may contact the experience table 5 or be removed from the experience table 5.

상체부(100)의 흉면(104)은 좌우 양측으로 분리되어 착용자가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제1편과 제2편으로 구성된다. 제1편과 제2편은 버클(112)에 의해서 착용자의 상체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The chest surface 104 of the upper body portion 100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nd is composed of a first piece and a second piece so that the wearer can easily wear it. The first piece and the second piece may be fixed in a form surrounding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by the buckle 112.

착용자의 허리 부위를 감싸는 위치(예를 들어 옆구리부 108)에 허리벨트(114)가 좌우로 돌출되어 있다. 양측으로 연장된 허리벨트(114)는 벨크로(115)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접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허리벨트(114)는 흉면(104)의 제1편과 제2편을 여미는 버클(112)과 함께 상체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는 2중 안전장치의 역할을 한다.A waist belt 114 protrudes left and right at a position surrounding the wearer's waist (for example, the side portion 108). Waist belts 114 extending to both sides may be configured to be firmly adhered to each other by Velcro 115. Here, the waist belt 114 serves as a double safety device that supports the upper body more firmly together with the buckle 112 that fastens the first and second pieces of the chest 104.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상체부(100)에는 도 2a, 2b에 예시한 제2와이어(17a, 17b)가 연결되는 부분(예를 들어, 링)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역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는 소정의 체험 스토리(시나리오)에 따라 소정의 메커니즘이 작동하여 제2와이어(17a, 17b)를 당겼다 풀었다 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하네스를 착용한 체험자의 상체(등 또는 허리)가 체험대(5)에 접촉되거나 체험대(5)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upper body portion 100 may include a portion (eg, a ring) to which the second wires 17a and 17b illustrated in FIGS. 2A and 2B are connected. Again, a predetermined mechanism operat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xperience story (scenario) implemented by the simulation program to pull and release the second wires 17a and 17b. The waist)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experience table (5) or fall from the experience table (5).

한편, 하체부(200)는 착용자의 뒤쪽 대퇴에 위치하는 후면(202)과, 착용자의 앞쪽 대퇴에 위치하는 전면(204)을 포함한다. 후면(202)은 상체부(100)의 배면(102)과 제1연결부(206)를 통해 연결된다. 도면에는 표현되어 있지 않지만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이 연결부(206)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면(204)은 상체부(100)의 흉면(104)과 제2연결부(208)를 통해 연결된다. 이 제2연결부(208)도 착용자의 체형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body part 200 includes a rear surface 202 located on the wearer's rear thigh and a front surface 204 located on the wearer's front thigh. The rear surface 202 is connected through the rear surface 102 of the upper body portion 100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06.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art 206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wearer. Likewise, the front surface 204 is connected through the chest 104 of the upper body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208. The second connector 208 may also be configured to adjust its length according to the wearer's body shape.

이와 같이, 상체부(100)와 하체부(200)는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제1연결부(206)와 제2연결부(208)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시뮬레이터의 회전, 승강, 기울임 등의 동작시에 착용자 신체의 상체 및 하체가 서로 영향을 적게 주고 받으면서 신체의 움직임이 최대한 실제 상황에 유사하게 따라갈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upper body part 100 and the lower body part 200 ar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206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8 having a relatively small area. By designing with such a structure, the upper body and lower body of the wearer's body influence each other less when the simulator is rotated, lifted, or tilt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body can follow the actual situation as closely as possible.

하체부(200)의 후면(202)과 전면(204)은 고정스트랩(210)에 의해 착용자의 대퇴부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된다. 도면에서 고정스트랩(210)은 각 다리마다 세 개씩 부착되어 있음이 나타나 있다. The rear 202 and the front 204 of the lower body 200 are worn in a form surrounding the wearer's thigh by a fixing strap 210. In the drawing, it is shown that three fixing straps 210 are attached to each leg.

또한 도 3에서 하체부(200)의 후면(202)의 좌측과 우측 사이에 있는 207번 구성요소는 좌측 후면과 우측 후면을 연결하는 후면 연결부이다. 이 후면 연결부(207)는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며, 대안으로서는 버클 등에 의해 서로 탈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component 207 loca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surface 202 of the lower body 200 in FIG. 3 is a rear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left rear side and the right rear side. The rear connection portion 207 may be omitted, and as an alternative, it may be detached from each other by a buckle or the like.

한편, 도 4에서 하체부(200)의 전면(204)의 좌측과 우측 사이에 있는 209번 구성요소는 좌측 전면과 우측 전면을 연결하는 전면 연결부이다. 이 전면 연결부(209)는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며, 대안으로서는 버클 등에 의해 서로 탈착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component 209 locat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204 of the lower body 200 in FIG. 4 is a front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left front and the right front. The front connection portion 209 may be omitted, and as an alternative, it may be detached from each other by a buckle or the like.

상체부(100)의 흉면(104)의 제1편 및 제2편에 각각 에어튜브(116)가 설치(접합)되어 있고, 하체부(200)의 후면(202)과 전면(204)에도 각각 에어튜브(212)(214)가 설치(접합)되어 있다. Air tubes 116 are installed (joined) on the first and second pieces of the chest 104 of the upper body 100, respectively, and also on the rear 202 and the front 204 of the lower body 200 Air tubes 212 and 214 are installed (joined).

에어튜브(116, 212, 214)는, 예를 들어, 수중 체험이나 공중 체험, 기타 외부 압력이 신체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체감하는 시뮬레이션의 경우에 착용자의 신체에 공기압에 의한 압박감을 느끼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에어튜브에 주입하는 공기는 시뮬레이터 또는 플랫폼에 마련된 에어컴프레서나 블로워 등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The air tubes 116, 212, and 214 are used to make the wearer's body feel the pressure caused by the air pressure in the case of a simulation in which the body experiences a feeling of pressure exerted on the body, such as underwater experience, aerial experience, or other external pressure. will be. Air injected into the air tube may be supplied from a simulator or an air compressor or blower provided on a platform.

공기 주입을 위해 각 에어튜브에는 공기주입밸브(미도시)가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에어튜브가 설치된 신체 부위별로 필요한 양의 공기를 필요한 시간 동안 주입하고 배출시켜서 착용자에게 실제의 수중 또는 공중 체험시 압박을 느끼도록 해 줄 수 있다. 공기 주입 속도, 배출 속도 등도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현실감있게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inject air, an air injection valve (not shown) should be installed in each air tub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simulation program, the required amount of air for each body part where the air tube is installed is injected and discharged for the necessary time, so that the wearer can feel the pressure during the actual underwater or aerial experience. Air injection speed, discharge speed, etc. will also be able to be realistically controlled in the simulation program.

또한, 이러한 목적 이외에도 에어튜브는, 특히 익스트림 판타지 체험 시뮬레이터의 경우에 과격한 회전, 승강, 기울임 등의 동작이 수반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안전을 보다 더 강화하기 위해 또는 착용자에 가해지는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se purposes, the air tube may be accompanied by actions such as radical rotation, lifting, and tilting, especially in the case of an extreme fantasy experience simulator, so to further enhance the wearer's safety or to alleviate pain inflicted on the wearer. You can also use it.

특히, 에어튜브가 하체부(200)의 후면(202)과 전면(204)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고 하체부(200)의 후면(202)과 전면(204)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고정스트랩(210)을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시뮬레이터의 회전, 승강, 기울임 등의 동작시에 착용자의 대퇴의 앞쪽과 뒤쪽에 상이한 강도, 시간, 느낌의 자극(공기압박)을 가할 수 있게 되어 착용자에게 효과적인 체감 효과를 줄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air tube is separately installed on the rear 202 and the front 204 of the lower body 200, and the rear 202 and the front 204 of the lower body 200 are fixed straps 210 having a relatively small area. ), it is possible to apply stimuli (air pressure) of different strength, time, and feeling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wearer's thigh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imulator such as rotation, elevation, and tilt, thereby providing effective haptic effect for the wearer. Can give.

한편, 하체부(200)의 후면(202)에는 도 2a, 2b에 예시한 제3와이어(19a, 19b)가 연결되는 부분(예를 들어, 링 216)이 부착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는 소정의 체험 스토리(시나리오)에 따라 소정의 메커니즘이 작동하여 제3와이어(19a, 19b)를 당겼다 풀었다 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하네스를 착용한 체험자의 하체, 특히, 대퇴부가 체험대(5)에 접촉되거나 체험대(5)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Meanwhile, a portion (eg, a ring 216) to which the third wires 19a and 19b illustrated in FIGS. 2A and 2B are connected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202 of the lower body 200. Similar to the previous description, a predetermined mechanism operat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xperience story (scenario) implemented by the simulation program to pull and release the third wires 19a and 19b, so that the lower body of the experienced person wearing the harness of this embodiment , In particular, the thigh may be in contact with the experience table (5) or may be separated from the experience table (5).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하네스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낸다. 착용자가 에어하네스를 착용하고 에어튜브에 공기를 주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air har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It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wearer wears the air harness and injects air into the air tub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과는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may be implemented in a specific form different from that 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9)

착용자의 상체가 착용되는 상체부; 및
착용자의 하체가 착용되는 하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체부는 착용자의 상체 뒤쪽에 위치하는 배면과, 착용자의 상체 앞쪽에 위치하는 흉면과, 착용자의 허리 부위 위치에서 돌출된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체부는 착용자의 하체 뒤쪽에 위치하는 후면과, 이 후면과 고정스트랩을 통해 연결되며 착용자의 하체 앞쪽에 위치하는 전면을 포함하되, 상기 후면은 상기 상체부의 배면과 제1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전면은 상기 상체부의 흉면과 제2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상체부의 흉면 및 상기 하체부의 후면과 전면에 에어튜브가 포함되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상기 에어튜브가 설치된 신체 부위별로 압박감을 느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용 하네스.
An upper body on which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is worn; And
Including the lower body portion of the wearer's lower body is worn,
The upper body portion includes a rear surface located behind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a chest surface located in front of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and a belt protruding from the position of the waist of the wearer,
The lower body portion includes a rear surface located behind the wearer's lower body, and a front surface located in front of the wearer's lower body and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through a fixing strap, wherein the rear surface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body and through a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The front is connected through the chest surface of the upper body and the second connection,
A harness for virtual reality simulation, characterized in that air tubes are included in the chest of the upper body and on the rear and front surfaces of the lower body so that a feeling of pressure is felt for each body part in which the air tube is installed according to execution of a simulation progr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부의 배면과 흉면은 각각, 착용자의 양측 각 어깨에 걸쳐지는 어깨부와, 착용자의 양 옆구리 부위에 위치하는 옆구리부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용 하네스.
The harness for virtual reality simul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surface and the chest surface of the upper body part each include a shoulder part that spans each shoulder on both sides of the wearer, and side parts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wear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용 하네스.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oulder portion comprises a portion to which a wire is connected,
Harness for virtual reality simu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부의 배면은 와이어가 연결되는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용 하네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body further comprises a portion to which a wire is connected,
Harness for virtual reality simu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부의 흉면은 좌우 양측으로 분리되어 착용자가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제1편과 제2편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용 하네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est surface of the upper body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nd includes a first piece and a second piece so that the wearer can easily wear it,
Harness for virtual reality simu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부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용 하네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body portion comprises a portion to which a wire is connected,
Harness for virtual reality simul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부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용 하네스.





The harness for virtual reality simul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body part comprises a part to which a wire is connected.





KR1020190084624A 2019-07-12 2019-07-12 Harness for VR simulation KR1022393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624A KR102239346B1 (en) 2019-07-12 2019-07-12 Harness for VR simu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624A KR102239346B1 (en) 2019-07-12 2019-07-12 Harness for VR simu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717A KR20210007717A (en) 2021-01-20
KR102239346B1 true KR102239346B1 (en) 2021-04-13

Family

ID=74304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624A KR102239346B1 (en) 2019-07-12 2019-07-12 Harness for VR simu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34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5800A (en) * 2017-04-04 2018-11-15 有限会社一城組 Harness-type safety bel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112A (en) * 2012-12-17 2014-06-25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Suit type haness
KR101828820B1 (en) * 2014-10-30 2018-02-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Load-distribution typed harness
KR20180040188A (en) * 2016-10-11 2018-04-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uit-type harness for the body balance alignment and distribution of the load press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5800A (en) * 2017-04-04 2018-11-15 有限会社一城組 Harness-type safety be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717A (en)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7814C1 (en) Amusement park attraction with motion imitation
CN109876369A (en) A kind of VR human-computer interaction all-round athletic event and universal treadmill
US6331152B1 (en) Three dimension body movement device
US20160275809A1 (en) Motion platform system
US8277327B2 (en) Horseback riding simulation
CN109414612A (en) Virtual reality haptic system and device
KR101232422B1 (en) Motion simulator system for experiencing virtual skin scuba
KR101307609B1 (en) Apparatus for educating skin scuba based on realistic contents
WO2019184041A1 (en) Extraction parachute type ejection seat simulator for experiencing escape from manned aircraft
KR101948660B1 (en) Simulation board apparatus for virtual reality experience
WO2022116407A1 (en) Virtual reality apparatus using back lever device in linkage with omnidirectional running platform
US11164475B2 (en) Virtual experience device for aviation leisure sports
US11931664B2 (en) User experiences in simulated environments
KR20110046414A (en) Parachute descent training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CN206597301U (en) A kind of actual combat parachuting operation analogue simulation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US202203516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active, g-force and flight simulator
KR20210093268A (en) Tactile and temperature feedback system
WO2020211508A1 (en) Immersive suspension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KR102239346B1 (en) Harness for VR simulation
GB2487369A (en) Simulator apparatus for parachute training
KR102048517B1 (en) Simulator
US9940847B1 (en) Virtual reality exercise device
CN104225912B (en) A kind of game machine with various body-sensing effects
Pohl et al. Inhibiting freedom of movement with compression feedback
KR102361036B1 (en) Sporting apparatus having virtual space eff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