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284B1 -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284B1
KR102239284B1 KR1020190147272A KR20190147272A KR102239284B1 KR 102239284 B1 KR102239284 B1 KR 102239284B1 KR 1020190147272 A KR1020190147272 A KR 1020190147272A KR 20190147272 A KR20190147272 A KR 20190147272A KR 102239284 B1 KR102239284 B1 KR 102239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terminal
irradiated
terminal device
irradi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원
Original Assignee
송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원 filed Critical 송태원
Priority to KR1020190147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단말기에 복수의 레이저 조사부들이 형성되어 레이저 레벨링 및 조사대상물의 거리측정이 가능한 단말기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장치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조사부 및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사부는 라인레이저를 조사한다.

Description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TERMINAL DEVICE HAVING LASER EMITTING UNI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단말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이저가 장착되고 휴대성이 개선된 단말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라인레이저를 통한 레이저 레벨은 건축현장 작업자들이 사용하고 있고, 특히 건축현장에서 인테리어 작업자, 타일작업자, 목수, 건축가 등의 필수품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라인레이저는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다양한 위치에 라인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부들이 형성되어 부피가 크며, 가격대가 높아 사용하는데 있어서 진입장벽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337호는 레이저포인터를 이용한 창호설치용 레벨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7300호는 스마트폰용 레이저줄자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휴대성이 개선되고, 라인레이저 조사 및 레이저빔 조사를 통한 레이저 레벨링 및 거리측정 기능을 가진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단말기에 복수의 레이저 조사부들이 형성되어 레이저 레벨링 및 조사대상물의 거리측정이 가능한 단말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기 장치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조사부 및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사부는 라인레이저를 조사한다.
또한, 상기 제1조사부는 상기 라인레이저를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레이저,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직선레이저 및 발광된 후 반사된 상기 레이저빔을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광부를 통해 상기 레이저빔이 반사된 위치 및 상기 수광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조사부와 동일한 방향인 상기 단말기의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고, 일단 후방쪽 모서리는 테이퍼진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는 제2조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조사부는 라인레이저를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레이저 및 발광 후 반사된 상기 레이저를 감지하는 수광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장치는 일단은 상기 제1조사부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단말기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원호 형태로 상기 단말기의 일측 및 후방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며 타단 일측에는 버튼들이 형성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조사부의 레이저 및 수광부들을 활용하여 무선마우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장치는 다양한 방향을 향해 조사되는 라인레이저들을 통해 레이저 레벨링이 수월하고, 레이저빔 및 수광부를 통해 단말기 및 조사대상물 사이의 거리측정이 용이하다.
단말기 장치는 연결부를 통해 단말기 및 거치대를 자전거에 거치시켜 네비게이션, 오디오, 조명, 가이드 및 장애물경고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편리하게 단말기 및 거치대를 자전거에 연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단말기 장치를 분해하여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분해사시도들.
도 3은 도 1의 단말기 장치의 사용상태를 다른각도에서 주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의 단말기 장치의 사용 상태를 일측에서 주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단말기 장치를 분해하여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단말기 장치의 사용상태를 다른각도에서 주시한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장치(100)는 단말기(200) 및 거치대(400)들을 포함한다.
단말기 장치(100)는 단말기(200)에 장착된 레이저들을 통해 라인레이저 조사 및 레이저 거리 측정이 가능하고, 단말기(20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라인레이저의 상태 확인이 가능하여 자체 보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단말기(200)는 제1조사부(220), 제2조사부(240), 카메라(250) 및 디스플레이(260)들을 포함한다.
단말기(200)는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스마트폰 또는 통화기능이 없는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며, 배면 및 일단에 형성된 레이저들을 통해 라인레이저들을 조사하며,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단말기(200)의 일단 후방쪽 모서리는 테이퍼지도록 가공되어 일단 및 후방을 향해 표면이 위치하는 경사면(204)이 형성되고, 경사면(204)에는 제2조사부(24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조사부(220)는 제1레이저(222), 제1직선레이저(223) 및 제1수광부(224)들을 포함한다.
제1조사부(220)는 단말기(200)의 배면 중앙에 형성되고, 복수의 레이저들을 통해 라인레이저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조사대상물(53)에 라인레이저를 표시하거나 조사대상물(53)에서 반사된 상기 레이저를 감지한다.
제1조사부(220)에서 조사되는 라인레이저는 단말기(200)에 형성된 중력센서와 연동하여 중력과 수직한 방향으로 라인을 형성하는 라인레이저 및 중력과 같은 방향으로 라인을 형성하는 라인레이저를 조사한다.
제1레이저(222)는 단말기(200)가 가로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1라인레이저를 조사대상물(53)에 조사하면,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제1레이저라인(50) 및 제1레이저라인(50)의 중앙부를 교차하며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된 제2레이저라인(52)들로 구성된 십자형태의 제1라인레이저가 조사대상물(53)에 표시된다.
제1직선레이저(223)는 제1레이저(222)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단말기(200)의 배면에 형성되고, 단말기(200)의 후방을 향해 직선으로 조사되는 제1레이저빔을 조사한다.
제1수광부(224)는 상기 제1레이저빔이 상기 조사대상물(53)에 조사된 후 반사되어 단말기(200)로 이동하는 상기 제1레이저빔을 수광하고, 단말기(200)는 수광된 상기 제1레이저빔의 위상 또는 상기 제1레이저빔이 조사된 후 수광될때까지의 시간을 분석하여 조사대상물(53) 및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200)를 가로로 위치시키고 단말기(200)의 배면을 조사대상물(53)을 향해 배치시킨 후 제1조사부(220)를 통해 제1라인레이저를 조사대상물(53)에 조사하거나 조사대상물(53) 및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를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의 배면에 형성된 카메라(250)를 통해 제1라인레이저가 조사대상물(53)레 조사되는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단말기(200)에 설치된 자체 제작되는 라인레이저 어플을 통해 제1레이저(222)에서 조사되는 제1라인레이저의 위치보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1 단계로, 조사대상물(53)에 조사되는 제1라인레이저 및 작업물(54)의 상태를 라인레이저 어플로 구동되는 카메라(250)를 통해 사진을 찍으면, 작업물(54)의 주변에 조사되는 제1 및 제2 레이저라인(50, 52)들이 사진에 찍히고, 제1레이저빔에 의해 조사대상물(53) 및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정보가 상기 사진의 정보에 입력된다.
그리고, 제2 단계로서, 사용자는 작업물(54)이 작업물(54)의 설치가 필요한 조사대상물(53)로 이동한 후 상기 사진을 라인레이저 어플을 통해 열어서 디스플레이(260)로 확인한다.
제3 단계로서, 사용자가 상기 사진을 디스플레이(260)로 확인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작동되는 제1직선레이저(223)를 작업이 필요한 상태의 새로운 조사대상물(53)을 향해 배치시켜 상기 사진의 정보에 입력된 거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단말기(200)를 배치시킨다.
제4 단계로서, 단말기(200)가 상기 사진에 입력된 거리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사진은 반투명 상태로 전환되고, 제1레이저(222)에서 실시간으로 조사되는 제1라인레이저가 조사대상물(53)에 조사된다.
제5 단계로서, 디스플레이(260)에 나타나는 상기 사진에 찍힌 제1 및 제2 레이저라인(50, 52)들 각각이 상기 라인레이저 어플을 통해 구동되는 카메라(250)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제1레이저(222)의 제1라인레이저와 일치하면, 상기 라인레이저 어플은 단말기(200)를 통해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작업물(54)의 설치를 위한 제1라인레이저의 위치 확보를 알린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조사부(220), 카메라(250) 및 디스플레이(260)들을 통해 복수의 조사대상물(53)에 동일하게 설치되는 작업물(54)과 같은 반복되는 작업에서 효과적으로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
제2조사부(240)는 제2레이저(242), 제2직선레이저(243) 및 제2수광부(244)들을 포함한다.
제2조사부(240)는 경사면(204)에 형성되고, 복수의 레이저들을 통해 단말기(200)의 일단 및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라인레이저 또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라인레이저를 표시하거나 조사대상물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제2레이저(242)는 십자 형태 또는 단말기(200)의 양측을 향해 연장된 가로빔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제2라인레이저를 조사하고, 제1조사부(220)의 제1라인레이저가 미치지 못하는 조사대상물(53, 55)들 사이에 위치한 구간으로 조사된다.
제2직선레이저(243)는 제2레이저(242) 및 제2수광부(244)들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경사면(204)에 형성되고, 단말기(200)의 일단 및 전방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제2레이저빔을 조사한다.
제2수광부(244)는 제2레이저(242)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경사면(204)에 형성되고, 조사대상물(53, 55)들 중 어느 하나에 조사된 후 반사되어 제2수광부(244)로 돌아오는 제2레이저빔을 수광한다.
단말기(200)는 제2수광부(244)에서 수신되는 제2레이저빔의 위상 또는 제2레이저빔이 조사 및 반사된 후 수광된 시간을 분석하여 조사대상물(53, 55)들 중 어느 하나 및 단말기(2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카메라(250)는 제1조사부(220) 및 경사면(204) 사이에 해당하는 단말기(200)의 배면에 형성되고, 제1조사부(220)를 조사하기 위해 단말기(200)가 지면에 거치되는 것을 감안하여 제1조사부(2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해당하는 단말기(20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조사부(220)를 통해 라인레이저를 조사한 후 작업을 진행하면서 카메라(250)를 통해 작업 상황을 녹화 또는 사진 촬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디스플레이(260)에 인접한 단말기(200)의 전면에는 추가적으로 전면카메라가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400)는 고정부(410), 파지부(415), 제3조사부(420), 제4조사부(430) 및 제5조사부(450)들을 포함한다.
거치대(400)의 일단은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단말기(200)의 일측 및 타측을 움켜쥐는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의 일부가 단말기(200)의 후방 일측을 향해 부채꼴의 호 형태로 연장되어 타단 끝단면은 일단의 일측면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단말기(200)가 가로로 배치되고, 거치대(400)의 일단이 단말기(200)의 일측 및 타측들 각각을 둘러싸는 상태에서, 거치대(400)의 타단면은 거치대(400)의 일단 저면과 동일 수평선상에서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410)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의 직사각형태의 일부분이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함몰되어 고정부(41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사이에는 단말기(200)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단말기(200)는 가로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단말기(200)의 일측 및 타측면들 각각은 상기 삽입홈 내부의 고정부(410)의 하단부 및 상단부들 각각의 내측면에 각각 밀착된다.
고정부(410)의 하단부 및 상단부들 각각의 전방 끝단은 단말기(200)의 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부 및 하부 각각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어 단말기(200)가 고정부(4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파지부(415)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이 길게 연장된 타원 형태로 고정부(410)의 배면 중앙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하부 및 후방을 향해 부채꼴의 호 형태로 연장되어 지면에 밀착된다.
파지부(415)의 타단면 및 고정부(410)의 하단부의 저면이 동시에 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단말기(200)의 일측 및 타측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은 지면과 수직하도록 형성되어 제1조사부(220) 및 디스플레이(260)들 각각은 전방 및 후방 각각을 향해 배치된다.
파지부(415)의 내부에는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고, 내장된 배터리는 후술될 제3 내지 제5 조사부(420, 430, 450)들에 전력을 공급하며, 파지부(415)에 내장된 통신부는 단말기(200)와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파지부(415)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해당하는 일부는 단면이 부채꼴인 형태로 파지부(415)의 후방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함몰되며 연장되어 외측홈(415a)이 형성되고, 외측홈(415a)은 파지부(415)의 외측면과 단차없이 연결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의 커버에 의해 외부와 차단된다.
파지부(415)의 타단 일측 또는 타측면에는 타단과 인접한 제1버튼(416) 및 제1버튼(416)과 인접한 위치에서 제1버튼(416)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버튼(417)들이 배치된다.
파지부(415)의 일단이 하부를 향해 배치되고, 파지부(415)의 타단이 상대적으로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부(410) 및 단말기(200)들이 서로 결합되면, 제1조사부(220)는 지면과 밀착된다.
이 때 사용자가 파지부(415)를 파지하면, 실시간으로 조사되는 제1레이저빔이 제1수광부(224)로 수광되고, 사용자가 단말기(200) 및 거치대(400)를 이동시키면 제1레이저(222) 및 제1수광부(224)들은 레이저 마우스의 레이저와 동일한 구동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지부(415)를 파지하고 단말기(200)를 이동시키면서 무선으로 연결된 다른 단말기의 마우스 포인터를 제어할 수 있고, 제1 및 제2 버튼(416, 417)들을 클릭하여 상기 마우스 포인터의 좌클릭 및 우클릭 제어가 가능하다.
제3조사부(420)는 제3레이저(422)를 포함한다.
제3조사부(420)는 고정부(410)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고정부(410)의 일측을 향해 십자형태의 라인레이저를 조사하고, 제3조사부(420)에서 조사되는 라인레이저는 제1조사부(220)에서 조사되는 제1레이저빔과 수직한 방향으로 조사된다.
제3레이저(422)는 고정부(410)의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이저빔이 조사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향해 제3라인레이저를 조사하고, 상기 제3라인레이저는 조사대상물(55)에 십자 형태로 조사된다.
제4조사부(430)는 제4레이저(432)를 포함한다.
제4조사부(430)는 고정부(410)의 상단 타측에 형성되어 고정부(410)의 타측을 향해 십자형태의 라인레이저를 조사하고, 제3조사부(420)에서 조사되는 라인레이저는 제1조사부(2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과 수직한 방향으로 조사된다.
제4레이저(432)는 고정부(410)의 상단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이저빔이 조사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향해 제4라인레이저를 조사하며, 상기 제4라인레이저는 조사대상물(56)에 십자 형태로 조사된다.
제5조사부(450)는 제5레이저(452) 및 광센서(454)들을 포함한다.
제5조사부(450)는 파지부(415)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대적으로 표면의 길이가 긴 후방쪽 곡면의 내부에 형성되고, 고정부(410)의 후방을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5레이저(452)는 외측홈(415a) 내부의 고정부(410)의 일측에 인접한 위치에서 파지부(415)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광센서(454)는 외측홈(415a) 내부의 고정부(410)의 타측에 인접한 위치에서 파지부(415)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제5레이저(452) 및 광센서(454)들 각각은 파지부(415)의 내측면에서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5레이저(452)는 고정부(410)의 후방에 위치하는 조사대상물(57)을 향해 십자 제5라인레이저를 조사한다.
광센서(454)는 광을 고정부(410)의 후방을 향해 조사하여 외측홈(415a)을 둘러싸는 커버와 인접한 위치에 신체 또는 물건이 위치한 경우 신체 또는 물건을 감지하여 단말기(200)에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광센서(454)가 감지신호를 단말기(200)에 전송하면, 제1레이저(222)가 작동하고, 제1조사부(220)가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 단말기 장치(100)는 무선으로 다른 단말기와 연결되어 마우스로 작동된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단말기 장치의 사용 상태를 일측에서 주시한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장치(120)는 연결부(6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3들의 단말기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5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장치(120)는 연결부(600)를 포함한다.
단말기 장치(120)는 별도의 어댑터를 통해 자전거의 핸들바(10)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어댑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자전거의 전방을 향해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조명 또는 경고장치 기능을 수행한다.
연결부(600)는 결합유닛(610), 거치유닛(620), 지지판(630) 및 반사판(640)들을 포함한다.
연결부(600)의 일단은 핸들바(10)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 및 상부를 향해 절곡되면서 연장되어 파지부(415)의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연결부(600)의 타단 하부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하부홈(602)에 의해 연결부(600)에 장착된 파지부(415)의 제5레이저(452) 및 광센서(454)들이 자전거의 전방 하부에 해당하는 외부에 노출된다.
파지부(415)가 연결부(6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5레이저(452) 및 광센서(454)들 각각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5레이저(452)가 조사하는 제5라인레이저는 연결부(600)에 반사된 후 자전거의 전방 하부를 향해 조사된다.
구체적으로, 결합유닛(610)은 핸들바(10)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봉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핸들바(10)를 둘러싸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마트폰 자전거 거치대의 구조와 유사하게 핸들바(10)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거치유닛(620)의 일단은 결합유닛(610)의 전방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 및 상부를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부면의 일부분이 후방 및 하부를 향해 부채꼴의 호 형태로 함몰되어 파지부(415)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또한, 거치유닛(620)의 타단 전방 하부에 해당하는 곡면에는 일측 일부분이 타측을 향해 함몰되어 하부홈(60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파지부(415)의 제5조사부(450)는 하부홈(602)을 통해 외부에 노출된다.
하부홈(602)의 하부에 해당하는 거치유닛(620)의 내측면은 전방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반사판(640)이 형성되고, 제5레이저(452)에서 조사되는 제5라인레이저는 하부를 향해 조사된 후 반사판(640)에 반사되어 전방 하부를 향해 조사된다.
전방 하부를 향해 조사되는 제5라인레이저는 제1레이저경로(20)를 따라 자전거의 전방 하부에 위치한 지면까지 조사되고, 제5라인레이저는 핸들바(10)의 조향 상태 및 어두운 환경에서 가이드로 활용된다.
고정부(410)가 파지부(415)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단말기(200)의 배면은 고정부(41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삽입되고, 제2조사부(240)는 자전거의 전방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레이저(242)에서 조사되는 제2레이저빔은 제2레이저경로(22)를 따라 자전거의 전방 하부를 향해 조사되고, 지면 또는 장애물에 반사되는 제2레이저빔은 제2수광부(244)를 향해 이동하여 제2수광부(244)에 수광된다.
제2레이저빔이 지면이 아닌 장애물에 반사되어 제2수광부(244)로 수광되면, 단말기(200)는 제2레이저빔의 이동거리를 분석하여 장애물의 여부를 판단하고, 장애물로 분석되면 제5라인레이저의 색을 변경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따라서, 단말기 장치(120)는 연결부(600)를 통해 단말기(200) 및 거치대(400)를 자전거에 거치시켜 네비게이션, 오디오, 조명, 가이드 및 장애물경고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지지판(630)의 일단은 핸들바(10)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거치유닛(620)의 일단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플레이트 형태로 자전거의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핸들바(10)의 중앙 후방에 연결된 봉의 하부에 밀착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단말기 장치 200: 단말기
400: 거치대 600: 연결부

Claims (6)

  1.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조사부 및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단말기; 및
    일단은 상기 제1조사부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단말기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원호 형태로 상기 단말기의 일측 및 후방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며 타단 일측에는 버튼들이 형성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사부는 조사대상물에 라인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레이저,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상기 조사대상물 및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1직선레이저 및 반사된 상기 레이저빔을 감지하는 제1수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레이저 및 제1수광부들을 활용하여 무선마우스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수광부를 통해 상기 레이저빔이 반사된 위치 및 상기 제1수광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조사부와 동일한 방향인 상기 단말기의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고, 일단 후방쪽 모서리는 테이퍼진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는 제2조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사부는,
    라인레이저를 조사하도록 형성되는 제2레이저 및 발광 후 반사된 상기 제2레이저를 감지하는 제2수광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장치.
  6. 삭제
KR1020190147272A 2019-11-18 2019-11-18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 KR102239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272A KR102239284B1 (ko) 2019-11-18 2019-11-18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272A KR102239284B1 (ko) 2019-11-18 2019-11-18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284B1 true KR102239284B1 (ko) 2021-04-12

Family

ID=7543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272A KR102239284B1 (ko) 2019-11-18 2019-11-18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2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1351A (ja) * 2004-05-19 2005-12-02 Daishowa Seiki Co Ltd レーザー墨出し装置
KR100986505B1 (ko) * 2008-09-22 2010-10-0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Ccd 카메라를 이용한 비접촉식 위치 측정 시스템
KR102011833B1 (ko) * 2012-10-09 2019-08-19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레이저 거리 측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1351A (ja) * 2004-05-19 2005-12-02 Daishowa Seiki Co Ltd レーザー墨出し装置
KR100986505B1 (ko) * 2008-09-22 2010-10-07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Ccd 카메라를 이용한 비접촉식 위치 측정 시스템
KR102011833B1 (ko) * 2012-10-09 2019-08-19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레이저 거리 측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99440A1 (en) Point layout system using single laser transmitter
US7435940B2 (en) System and a method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radiation emitting element
US7331113B1 (en) Tool alignment device
US10437391B2 (en) Optical touch sensing for displays and other applications
US9816813B2 (en) Handheld measuring aid for use with a six-degrees-of-freedom laser tracker
US7777899B1 (en) Interaction interface for controlling an application
US20070058155A1 (en) Non-contact measurement device
JP5025552B2 (ja) タッチパネル
JP2015507294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に情報を入力するためのデバイス
US8068641B1 (en) Interaction interface for controlling an application
US11143494B2 (en) Distance measuring device
US20040223164A1 (en) Electro-optical hand-held 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CN102156593A (zh) 光学触摸屏及光学触摸屏的触摸定位方法
US885433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102239284B1 (ko) 레이저 조사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
US9465486B2 (en) Portable interactive whiteboard module
US20200319726A1 (en) Stylus having distance meter
TWM592119U (zh) 多功能式手持掃描器
JPH03196326A (ja) ワイヤレス方式コンピュータ入力装置
JP2004110293A (ja) 光学式座標入力システムおよび光信号検出方法
CN107063065B (zh) 一种定位设备
JP4070619B2 (ja) 超音波光座標入力装置
CN217820865U (zh) 一种手持式桥梁施工激光测距仪
JP7162813B1 (ja) お絵描き用の表示制御システム
JP4603183B2 (ja) 情報入出力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