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907B1 - 소독액 분사 팔찌 - Google Patents

소독액 분사 팔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907B1
KR102238907B1 KR1020200102341A KR20200102341A KR102238907B1 KR 102238907 B1 KR102238907 B1 KR 102238907B1 KR 1020200102341 A KR1020200102341 A KR 1020200102341A KR 20200102341 A KR20200102341 A KR 20200102341A KR 102238907 B1 KR102238907 B1 KR 102238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elet
actuator
liquid
housing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호
Original Assignee
오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호 filed Critical 오재호
Priority to KR1020200102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907B1/ko
Priority to PCT/KR2021/009560 priority patent/WO20220350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 A44C5/003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with a storage compartmen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53Flexible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80Arrangements in which the spray area is not enclosed, e.g. spray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팔찌에 있어서, 양끝단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형태의 평면상 'C자' 형상을 가지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액체를 보관하는, 보관부; 및 상기 액체가 유입되는 통로인 튜브, 및 특정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부 압력에 따라 상기 액체를 흡입 및 분사하는 펌핑 운동을 수행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펌프부; 를 포함하되, 상기 펌프부는, 상기 튜브가 상기 보관부에 삽입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하우징부의 양끝단 사이의 이격 공간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보관부와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양끝단의 사이가 가까워지도록 외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양끝단 사이의 이격 공간에 위치한 액추에이터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보관부의 액체를 흡입 및 분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독액 분사 팔찌{A antiseptic spray bracelet}
본 명세서는 소독액을 분사하는 기능성 팔찌를 제안한다.
최근 유행하는 코로나 19의 팬데믹으로 인해 개인 위생에 대한 중요성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이에 세계 각국의 사람들이 손을 자주 씻거나 소독액이 담긴 용기(이하, 손소독제)를 휴대하여 개인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다. 그러나, 화장실이 없는 곳에선 손을 씻기가 어려우며, 손소독제의 경우 크기가 꽤 커서 휴대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몸에 착용 가능한 팔찌 등과 같은 액세사리에 소독액을 휴대하고, 필요할 때마다 분사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의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 10-888445건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건의 경우, 압축 가스가 충전된 분사 수단부를 구비하여 가스압으로 소독액에 분사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어, 압축 가스를 주기적으로 충전해야하므로 제조 및 유지 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상기 건의 경우, 버튼부에 대한 압력을 가해야 소독액이 분사되는 구조를 개시하는데, 타원형의 손목에 착용하는 팔찌의 특성상 버튼에 수직 방향의 압력을 제대로 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팔에 착용하고 있는 팔찌의 버튼을 누르는 경우, 누르는 힘에 의해 팔찌가 돌아가거나 팔찌를 착용하고 있는 팔에 압력이 가해져 사용자에게 팔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특히, 팔의 경우 피부가 얇기 때문에 잦은 압력이 가해질 경우, 멍과 같은 타박상이 유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팔찌에 있어서, 양끝단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형태의 평면상 'C자' 형상을 가지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액체를 보관하는, 보관부; 및 상기 액체가 유입되는 통로인 튜브, 및 특정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부 압력에 따라 상기 액체를 흡입 및 분사하는 펌핑 운동을 수행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펌프부; 를 포함하되, 상기 펌프부는, 상기 튜브가 상기 보관부에 삽입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하우징부의 양끝단 사이의 이격 공간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보관부와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양끝단의 사이가 가까워지도록 외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양끝단 사이의 이격 공간에 위치한 액추에이터가 작동하는 경우, 상기 보관부의 액체를 흡입 및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팔찌를 착용하고 있는 팔에 압력을 가하지 않고 보다 쉽게 소독액을 손에 분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디서든 쉽게 소독액의 휴대가 가능하므로, 개인 위생 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져 전염병 예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효과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액 분사 팔찌의 사용 상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액 분사 팔찌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체결된 펌프부 및 보관부의 상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가 내장된 하우징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액 분사 팔찌의 사용 상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액 분사 팔찌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액이 담겨 있는 소독액 분사 팔찌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마크가 형성되어 있는 소독액 분사 팔찌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부가 제거된 상태의 소독액 분사 팔찌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는 '및' 또는 '또는'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액체의 휴대 및 분사가 가능한 기능성 팔찌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액체의 종류로서, 소독액, 향수, 구취 제거제 등과 같은 특정 기능성 액체의 휴대가 가능한 기능성 팔찌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소독액의 휴대 및 분사가 가능한 소독액 분사 팔찌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액 분사 팔찌의 사용 상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소독액 분사 팔찌(100)는, 팔찌(100)의 양쪽을 압박하는 형태의 제스쳐(예를 들어, 스퀴즈 또는 파지 동작)를 통해 액추에이터가 작동하면서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소독액이 분사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소독액 분사 팔찌(100)의 분사 노즐은 정면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팔찌(100)를 가압하는 손(101-2)의 손바닥을 향하여 자동 분사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분사 노즐의 방향을 별도로 조절하거나 분사 노즐에 맞게 손(101-1, 101-2)의 형태/방향 등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이렇듯 간단한 손 동작만으로 소독액이 분사되는 소독액 분사 팔찌(100)의 구조는 이하에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액 분사 팔찌를 예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2는 소독액 분사 팔찌의 정면도, 도 3은 소독액 분사 팔찌의 평면도, 도 4는 소독액 분사 팔찌의 분해 사시도이다.
우선,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액 분사 팔찌(100)는 크게 하우징부(102-1, 102-2), 보관부(104), 및 펌프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02-1, 102-2)는 보관부(104)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끝단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형태의 평면상 'C자' 형상을 갖는다. 보관부(104)는 하우징부(102-1, 102-2)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액체를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펌프부(103)는 펌핑 운동을 수행하여 보관부(104)에 보관되어 있는 액체를 흡입 및 분사한다. 이를 위해, 펌프부(103)는, 소독액이 유입되는 통로인 튜브(103-4)와, 외부 압력에 따라 소독액을 흡입 및 분사하는 운동(즉, 펌핑 운동)을 수행하는 액추에이터(103-1)를 포함할 수 있다. 펌핑 운동을 위해 액추에이터(103-1)는 내부에 액체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피스톤, 펌프실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스프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사를 위해 액추에이터(103-1)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노즐(103-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펌프부(103)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펌핑 운동 기반의 액체의 흡입 및 분사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펌프부(103)는 튜브(103-4)가 보관부(104) 내에 삽입되고, 액추에이터(103-1)가 하우징부(102-1, 102-2)의 양끝단 사이의 이격 공간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보관부(104) 또는 하우징부(102-1, 102-2)와 체결될 수 있다. 이렇듯 액추에이터(103-1)가 하우징부(102-1, 102-2) 양끝단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하므로, 하우징부(102-1, 102-2)의 양끝단의 사이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액추에이터(103-1)가 작동하게 되며, 그 결과 펌핑 운동이 발생하여 보관부(104)의 액체가 외부로 분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부(102-1, 102-2)의 상하면에는, 하우징부(102-1, 102-2)의 'C자' 형상을 따라 기설정된 길이 및 폭을 갖는 홀 라인(101)이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홀 라인(101)의 크기가 하우징부(102-1, 102-2)에 대한 외부 압력에 따라 줄어들거나 증가함으로써 외부 압력에 대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부의 양끝단의 사이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홀 라인의 크기가 감소한 결과 하우징부의 양끝단의 사이가 가까워질 수 있으며, 하우징부의 양끝단의 사이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홀 라인의 크기가 증가한 결과 하우징부의 양끝단의 사이가 멀어질 수 있다. 소독액 분사를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소독액 분사 팔찌(100)에 압력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러한 홀 라인(10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외부 압력이 하우징부(102-1, 102-2)에 그대로 작용하여 소독액 분사 팔찌(100)의 파손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홀 라인(101)을 형성하여 소독액 분사 팔찌(100)가 더욱 잘 벤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뿐 아니라, 외부 압력에 견디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홀 라인(101)을 통해 하우징부(102-1, 102-2)에 수납되어 있는 보관부(104)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홀 라인(101)을 통해 현재 소독액이 얼만큼 남아있는지 잔여량을 체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독액에 색소를 첨가하여 액체 흐름의 외부 노출에 따른 심미적인 효과를 줄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부(102-1, 102-2)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는 2개의 프레임들이 상하 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평면상 'C'자 형상을 가지며 내측으로 움푹 파인 서로 다른 2개의 프레임들(102-1, 102-2)이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대향하여 결합함으로써 하우징부(102-1, 10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평면상 'C' 형상을 갖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부(102-1, 102-2)는 소독액 분사 팔찌(100)의 동작적 특성상 기설정된 이상의 경도를 가지나 외부 압력에 의해 벤딩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재질, 및 우레탄 재질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보관부(104)는, 일단이 막혀있고 타단은 소독액 충전을 위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보관부(104)의 타단에는 액추에이터(103-1)와의 체결을 위한 제1 체결부(104-1)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펌프부(103)에도 역시, 보관부(104)와의 체결을 위한 제2 체결부(103-3)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두 체결부(104-1, 103-3)는 다양한 체결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는데,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펌프부(103)의 제2 체결부(103-3)가 보관부(104)의 제1 체결부(104-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체결되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펌프부(103)의 튜브(103-4) 길이는 1 내지 7cm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설정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한다.
하우징부(102-1, 102-2)의 양끝단에는 제1 체결부(104-1) 및 액추에이터(103-1)를 수납/수용하기 위한 추가 공간이 이격 공간 외에 별도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부(102-1, 102-2)의 일끝단에는 제1 체결부(104-1)가 수납/수용되기 위한 제1 공간, 하우징부(102-1, 102-2)의 타끝단에는 제1 체결부(104-1)와 체결된 상태의 액추에이터(103-1)가 수납/수용되기 위한 제2 공간이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공간은 이격 공간에 위치한 액추에이터(103-1)가 팔찌(100)의 뒤틀림이나 흔들림 의해 이리저리 움직임에 따라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정적으로 액추에이터(103-1)를 수용/수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나아가, 제2 공간에는 액추에이터(103-1)에 분사 노즐(103-2)의 분사 방향으로 액체가 분사될 수 있도록 기설정된 방향으로 형성된 액체 분사구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의 소독액 분사 팔찌(100)의 경우, 액체 분사구가 액추에이터(103-1) 형상(또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호 체결된 펌프부 및 보관부의 상태도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가 내장된 하우징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펌프부(103)는 튜브(103-4)가 보관부(104) 내에 삽입되고 체결부(103-1, 104-1)끼리 체결되는 방식으로 보관부(104)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보관부(104)의 제1 체결부(104-1)는 제1 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하우징부(102-1, 102-2)의 일끝단에 고정되고, 나머지 바디 부분은 하우징부(102-1, 102-2)의 내부 공간에 하우징부(102-1, 102-2)의 형상을 따라 벤딩되어 내장되는 방식으로 하우징부(102-1, 102-2)에 수용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03-1)는 제1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제1 체결부(104-1)와 체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하우징부(102-1, 102-2)의 타끝단에 형성된 제2 공간 및 이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102-1, 102-2)의 일끝단은 수용되어 있는 보관부(104)로의 액체를 충전하기 위한 입구 기능을 위해 뚫려있을 수 있으며, 반대로 제2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부(102-1, 102-2)의 타끝단은 외부 압력에 따라 벤딩되면서 액추에이터(103-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즉, 액추에이터(103-1)를 누르기 위해) 막혀있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보관부(특히, 체결부(104-1)를 제외한 바디 부분)(104)는 소독액 분사 팔찌(100)의 형상에 따라 벤딩된 상태로 내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탄성력 있는 재질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보관부(104)의 바디 부분은, 예를 들어, 고무 재질 또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주름 가공 처리된 자바라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액추에이터(103-1)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분사 노즐(103-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데, 특히 2개의 분사 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2개의 분사 노즐들 사이의 분사 각도는 수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사 노즐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 방향으로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제2 분사 노즐은 상측 방향으로 소독액을 분사하도록 액추에이터(103-1) 헤드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분사 노즐은 소독액 분사 팔찌(100)를 작동시키는 손 방향으로, 제2 분사 노즐은 소독액 분사 팔찌를 착용하고 있는 손 방향으로, 소독액을 각각 분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액 분사 팔찌의 사용 상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7은 소독액 분사 팔찌의 제1 상태도, 도 8은 소독액 분사 팔찌의 제2 상태도를 각각 예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소독액 분사 팔찌(100-1)는 하우징부의 양끝단 사이의 이격 공간이 줄어드는 방향(또는 양끝단 사이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부 압력에 따라 제1 상태(100-2)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소독액 분사 팔찌(100-1)의 양끝단을 파지, 스퀴즈, 오므리는 동작 등을 수행함으로써 소독액 분사 팔찌를 제1 상태(100-2)로 만들 수 있다.
제1 상태에 따라 소독액 분사 팔찌(100-2)의 양끝단 사이는 가까워지고 이격 공간은 줄어들게 되며, 그 결과 이격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액추에이터에도 외부 압력과 동일한 방향의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액추에이터는, 작동 방향이 외부 압력의 방향과 동일한 형태로 소독액 분사 팔찌(100-2)에 수용되며, 그 결과 외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액추에이터가 펌핑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보관부에 보관되어 있던 소독액은 액추에이터의 펌핑 운동에 의해 흡입되어 외부로 분사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소독액 분사 팔찌(100-1)는 하우징부의 양끝단 사이의 이격 공간이 늘어나는 방향(또는 양끝단 사이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부 압력에 따라 제2 상태(100-3)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소독액 분사 팔찌의 양끝단을 벌리는 동작 등을 수행함으로써 소독액 분사 팔찌를 제2 상태(100-3)로 만들 수 있다.
사용자는 소독액 분사 팔찌를 제2 상태(100-3)로 만든 후, 펌프부를 보관부의 체결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렇게 펌프부가 분리됨에 따라 보관부의 입구가 개방되며, 사용자는 이렇게 개방된 보관부의 입구를 통해 부족한 소독액을 충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액 분사 팔찌의 착용 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액이 담겨 있는 소독액 분사 팔찌의 내부 구조도이다.
인체 공학적 특성상 사람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이 상측으로, 새끼 손가락이 하측으로 향하는 팔 자세(910)를 가장 많이 취하며, 그 반대(즉, 엄지 손가락이 하측, 새끼 손가락이 상측)는 매우 불편하거나 불가하다. 따라서, 이러한 팔의 자연스러운 자세(910)에 따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독액(10000)은 대부분의 시간에 하측부에 고여있게 된다. 펌프부의 튜브(103-4)가 소독액(10000)에 잠겨있는 경우에만 소독액(10000)의 펌핑 동작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팔 자세(910)를 고려하여 펌프부의 설치 방향 및 튜브(103-4) 길이가 적절히 설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03-1)가 (실질적인) 상측(또는 엄지 손가락 방향), 튜브(103-2)가 (실질적인) 하측(또는 새끼 손가락 방향)을 향하는 방향을 소독액 분사 팔찌(100)의 정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소독액(10000)은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팔 자세에 따라 하측부에 주로 고여있기 때문에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튜브(103-4)가 긴 길이로 설계될 필요는 없으며, 약 1~7cm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액추에이터(103-1)가 (실질적인) 하측(또는 새끼 손가락 방향), 튜브(103-4)가 (실질적인) 상측(또는 엄지 손가락 방향)을 향하는 방향을 소독액 분사 팔찌(100)의 정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소독액(10000)은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팔 자세에 따라 하측부에 주로 고여있기 때문에 펌프부의 작동을 위해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튜브(103-4)는 긴 길이로 설계될 필요가 있으며, 약 10~20cm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렇게 정방향이 정의된 상태로 설계된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반대로 착용하는 경우 의미가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정방향으로 소독액 분사 팔찌(100)를 적절히 착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마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한다.
한편, 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펌프부는 서로 다른 길이의 2개의 튜브(103-4)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팔 자세에 관계없이 2개 중 적어도 하나의 튜브가 고여있는 소독액(10000)에 잠기므로 펌프부의 펌핑 동작이 가능하므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소독액 분사 팔찌(100)의 정방향이 정의될 필요는 없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마크가 형성되어 있는 소독액 분사 팔찌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가 (실질적인) 상측(또는 엄지 손가락 방향), 튜브가 (실질적인) 하측(또는 새끼 손가락 방향)을 향하는 방향이 소독액 분사 팔찌의 정방향으로 정의된 경우를 전제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소독액 분사 팔찌(100) 상에는 소독액 분사 팔찌(100)의 착용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마크(1110, 111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형성되는 가이드 마크(1110, 1111)는 상하 방향을 가이드해야 하기 때문에, 상하 대칭되지 않는 형상으로 설계 및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마크(1110, 1111)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버 형상 또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상으로 설계 및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하 대칭되지 않는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 및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마크(1110, 1111)는 소독액 분사 팔찌(100)를 착용했을 때 사용자의 시선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영역, 예를 들어, 소독액 분사 팔찌(100)를 정방향으로 착용했을 때 상측 영역(또는 보관부의 체결부가 존재하지 않는 하우징부의 타끝단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이드 마크(1110, 1111)를 바라보았을 때 정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팔찌(100)를 착용함으로써 소독액 분사 팔찌(100)의 적절한/바람직한 착용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부가 제거된 상태의 소독액 분사 팔찌를 예시한 도면이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펌프부는 보관부의 체결부로부터 분리(또는 착탈) 가능하며, 본 도면은 이러한 펌프부가 보관부(보다 상세하게는 보관부의 체결부)로부터 분리/이탈된 상태의 소독액 분사 팔찌(100-4)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펌프부의 분리/이탈로 인해 이격 공간 및/또는 제1 공간에 위치한 제1 체결부(104-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제1 체결부(104-1)를 통해 보관부로 소독액을 주입함으로써 소독액을 충전할 수 있다. 이렇듯 사용자는 소독액이 부족할 때마다 충전함으로써 영구적으로 소독액 분사 팔찌(100)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소독액 분사 팔찌는 시간을 카운트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만료되면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타이머 모듈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 모듈은 펌프부의 액추에이터와 연결되며, 액추에이터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작동시켜 주기적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고도 소독액 분사 팔찌가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소독액을 분사되므로 편리할 뿐 아니라, 개인 위생이 보다 철저히 관리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나 단말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소독액 분사 팔찌

Claims (16)

  1. 액체 분사 팔찌에 있어서,
    평면상 'C'자 형상을 가지며 내측으로 움푹 파인 서로 다른 2개의 프레임들이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대향하여 결합됨으로써 구성되며, 양끝단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액체를 보관하는, 보관부;
    상기 액체가 유입되는 통로인 튜브, 및 특정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부 압력에 따라 상기 액체를 흡입 및 분사하는 펌핑 운동을 수행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펌프부; 및
    상기 액체 분사 팔찌의 착용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하 대칭되지 않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가이드 마크; 를 포함하되,
    상기 펌프부는, 상기 튜브가 상기 보관부에 삽입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하우징부의 양끝단 사이의 이격 공간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보관부와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프레임들에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평면상 'C자' 형상을 따라 기설정된 길이 및 폭을 갖는 홀 라인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 라인의 크기는 상기 하우징부에 대한 상기 외부 압력에 따라 줄어들거나 증가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부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양끝단의 사이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홀 라인의 크기가 감소함으로써 상기 양끝단의 사이가 가까워진 제1 상태의 경우, 상기 양끝단 사이의 이격 공간에 위치한 액추에이터가 작동하여 상기 보관부의 액체를 흡입 및 분사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양끝단의 사이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부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홀 라인의 크기가 증가함으로써 상기 양끝단의 사이가 멀어진 제2 상태의 경우, 상기 펌프부의 액추에이터가 상기 이격 공간으로부터 이탈하는, 액체 분사 팔찌.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플라스틱 재질,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재질, 및 우레탄 재질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액체 분사 팔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의 일단은 막혀있고 타단은 상기 액체 충전을 위해 개방되되,
    상기 타단에는 상기 액추에이터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가 구비되어 있는, 액체 분사 팔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일끝단에는 상기 체결부가 수용되기 위한 제1 공간, 상기 하우징부의 타끝단에는 상기 체결부와 체결된 상태의 액추에이터가 수용되기 위한 제2 공간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액체 분사 팔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1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일끝단에 고정되고, 상기 보관부에서 상기 체결부를 제외한 나머지 바디 부분이 상기 하우징부에 내장되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는, 액체 분사 팔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바디 부분은 상기 하우징부의 형상을 따라 벤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부에 수용되는, 액체 분사 팔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바디 부분은, 고무 재질 또는 기설정된 간격으로 주름 가공 처리된 자바라 재질로 구성되는, 액체 분사 팔찌.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제2 공간에 수용된 상기 하우징부의 타끝단에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분사 노즐이 기설정된 방향으로 상기 액체를 분사하도록 상기 기설정된 방향으로 액체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는, 액체 분사 팔찌.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에는 상기 액체가 분사되기 위한 분사 노즐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는, 액체 분사 팔찌.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에 2개의 분사 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2개의 분사 노즐들 사이의 분사 각도는 수직인, 액체 분사 팔찌.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길이는 1 내지 7cm의 범위로 설정되는, 액체 분사 팔찌.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시간이 만료되면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타이머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 모듈은 상기 펌프부의 액추에이터와 연결되며, 상기 액추에이터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작동시켜 주기적으로 상기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팔찌.
KR1020200102341A 2020-08-14 2020-08-14 소독액 분사 팔찌 KR102238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341A KR102238907B1 (ko) 2020-08-14 2020-08-14 소독액 분사 팔찌
PCT/KR2021/009560 WO2022035084A1 (ko) 2020-08-14 2021-07-23 소독액 분사 팔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341A KR102238907B1 (ko) 2020-08-14 2020-08-14 소독액 분사 팔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907B1 true KR102238907B1 (ko) 2021-04-09

Family

ID=75443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341A KR102238907B1 (ko) 2020-08-14 2020-08-14 소독액 분사 팔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8907B1 (ko)
WO (1) WO202203508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03833A3 (en) * 2020-04-27 2021-11-10 Tse-Chuan Wang Sterilizing bracelet assembly
WO2022035084A1 (ko) * 2020-08-14 2022-02-17 오재호 소독액 분사 팔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4237B2 (ko) * 1980-06-06 1986-11-21 Roland Corp
US20080236195A1 (en) * 2004-01-21 2008-10-02 Klaus Woebke Bangle
KR20080107843A (ko) * 2007-06-08 2008-12-11 오경자 기능성 팔찌
JP6154237B2 (ja) * 2013-07-31 2017-06-28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噴射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45901A1 (en) * 2010-12-02 2013-10-09 Gojo Industries, Inc. Wearable dispenser
KR102238907B1 (ko) * 2020-08-14 2021-04-09 오재호 소독액 분사 팔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4237B2 (ko) * 1980-06-06 1986-11-21 Roland Corp
US20080236195A1 (en) * 2004-01-21 2008-10-02 Klaus Woebke Bangle
KR20080107843A (ko) * 2007-06-08 2008-12-11 오경자 기능성 팔찌
JP6154237B2 (ja) * 2013-07-31 2017-06-28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噴射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03833A3 (en) * 2020-04-27 2021-11-10 Tse-Chuan Wang Sterilizing bracelet assembly
WO2022035084A1 (ko) * 2020-08-14 2022-02-17 오재호 소독액 분사 팔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5084A1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8907B1 (ko) 소독액 분사 팔찌
US10779922B2 (en) Pause valve and swivel assemblies for oral irrigator handle
CN104398192B (zh) 洗手机
US20150216367A1 (en) Hand sanitizing dispensing device
NZ593137A (en) Auto-injector apparatus with a pump for engaging with a flexible medicament container to expel the medicament
US20120138490A1 (en) Case for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creen Cleaning Apparatus
KR200489634Y1 (ko) 피부 미용기기
US8567390B2 (en) Discharge device for nasal application
WO2013047983A1 (ko) 푸시헤드를 갖춘 펌프디스펜서
KR101901657B1 (ko) 액체공급 롤러장치
KR101874711B1 (ko) 휴대용 다용도 건강마사지 및 피부관리장치
CN106510522A (zh) 电动清洁装置
CN106061623B (zh) 扳机式液体喷出器
KR101649602B1 (ko) 휴대용 피지제거기
CN105813497B (zh) 美容面罩
KR100754037B1 (ko) 휴대용 비강세척기
KR102227191B1 (ko) 애완동물 샤워 장치
KR101188580B1 (ko) 다기능 두피 마사지 장치
KR102226872B1 (ko) 가스타입 스프레이 빗
WO2011126207A2 (ko) 휴대용 디스펜서
KR200487560Y1 (ko) 미스트 스프레이 장치
KR101008674B1 (ko) 컨테이너 및 그 컨테이너를 구비한 두피 마사지기
CN115068740A (zh) 一种贴敷式胰岛素泵
JP4684280B2 (ja) 装着型排泄装置
KR101733935B1 (ko) 안경 클리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