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840B1 -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840B1
KR102238840B1 KR1020190147223A KR20190147223A KR102238840B1 KR 102238840 B1 KR102238840 B1 KR 102238840B1 KR 1020190147223 A KR1020190147223 A KR 1020190147223A KR 20190147223 A KR20190147223 A KR 20190147223A KR 102238840 B1 KR102238840 B1 KR 102238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urvey
support plate
response
re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호
Original Assignee
하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재호 filed Critical 하재호
Priority to KR1020190147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의 잠금화면으로 제공되는 설문조사에 응답하면 이에 따른 리워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리워드 제공 서비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두며, 단말기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 화면에 출력되는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면 단말기의 잠금이 해제되고, 설문조사 응답에 따른 리워드를 부여받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잠금해제 화면에 출력할 설문조사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해당 설문조사에 부합하는 응답 여부를 판독한 뒤 적합한 응답으로 판독되면 응답에 따른 리워드를 부여하는 리워드 제공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될 설문조사를 각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인 단말기 식별정보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고, 설문조사의 응답에 따라 부여할 리워드를 설문조사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REWARD PROVIDING SYSTEM USING LOCK SCREEN}
본 발명은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의 잠금화면으로 제공되는 설문조사에 응답하면 이에 따른 리워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과 관련된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는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와 비교하여 고성능의 정보 처리 수단 및 메모리 등을 탑재하고 있어,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행할 수 없었던 고 연산량 요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에서 이용 가능한 각종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각종 사용자 편의 서비스의 공급이 확산되고 있다.
한편, 설문조사의 수행을 위하여 종래에는 설문조사 담당 수행원이 오프라인 상에서 설문조사 수행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설문조사 설문지를 배포하고 이에 대한 답변 결과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오프라인 설문조사는 설문조사 담당 수행원의 인력이 요구됨에 따라서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과 오프라인 설문조사의 결과의 취합을 위하여 요구되는 시간이 크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설문조사 수행자들이 전자 처리 방식의 설문조사를 수행하는 기술이 존재한다. 그러나, 설문조사 수행자들은 설문조사 담당 수행원의 부재에 의하여 설문조사의 수행에 있어서 참여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설문조사 담당 수행원의 부재에 따라서, 설문조사 수행자들은 설문조사 문항에 대한 응답을 불성실하게 수행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비용과 시간을 줄이면서 설문조사 수행자들의 참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설문조사 방식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7352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1259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의 잠금화면으로 제공되는 설문조사에 응답하면 이에 따른 리워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자발적인 설문조사 응답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특정 사용자에게 설문 응답을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공공장소에 설치된 키오스크 단말기를 통해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을 수신받아 이를 통한 수익모델을 구현한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은, 리워드 제공 서비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두며, 단말기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 화면에 출력되는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면 단말기의 잠금이 해제되고, 설문조사 응답에 따른 리워드를 부여받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잠금해제 화면에 출력할 설문조사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해당 설문조사에 부합하는 응답 여부를 판독한 뒤 적합한 응답으로 판독되면 응답에 따른 리워드를 부여하는 리워드 제공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될 설문조사를 각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인 단말기 식별정보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고, 설문조사의 응답에 따라 부여할 리워드를 설문조사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워드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설문조사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판독하며, 판독된 설문조사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설문조사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이 상기 설문조사 생성부에서 전송하였던 설문에 부합 여부를 판독하는 응답 판독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응답이 전송하였던 설문에 부합하였다고 상기 응답 판독부에서 판독한 경우, 응답에 따른 리워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판독한 뒤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부여하는 리워드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은, 리워드 제공 서비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두며,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단말기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 화면에 출력되는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면 단말기의 잠금이 해제되는 키오스크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워드 제공 서버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잠금해제 화면에 출력할 설문조사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부터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해당 설문조사에 부합하는 응답 여부를 판독한 뒤 적합한 응답으로 판독되면 응답에 따른 리워드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보행자 식별정보에 포함된 보행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가 안착되는 평면 형태의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단말기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 일 모서리를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판;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 일 모서리를 지지하는 제2 상부 지지판;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대향하며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1 하부 지지판;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대향하며 상기 제1 하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 하부 지지판; 상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하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링크; 상부가 상기 제2 상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1 하부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링크;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1 하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2 하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2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링크는, 상부가 상기 제2 상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돌출부 및 상기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를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홀; 상기 슬라이딩홀에 안착된 상기 제2 링크의 상기 연장 바아를 체결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홀에서 상기 체결부를 지지하는 수평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지지대; 및 상기 두 개의 지지대의 각 하측으로부터 바닥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동시 또는 이시에 신장 또는 수축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두 개의 높이 조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은, 상기 지지대의 하측에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지지대 형성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상부 프레임; 및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한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 각 모서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슬라이딩 프레임과의 일 대향면에는 렉 기어를 형성하는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 프레임; 상기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이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프레임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4 개의 슬라이딩홈; 및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상기 렉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4 개의 슬라이딩홈의 각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4 개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하강하여 누름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된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브레이크액 파우치; 상기 브레이크액 파우치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액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실린더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피스톤;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및 상기 피스톤의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가 승강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하측에 밀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하부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의 잠금화면으로 제공되는 설문조사에 응답하면 이에 따른 리워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자발적인 설문조사 응답을 유도함으로써, 설문조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광고 내용 및 광고 대상의 주목도가 높으며 사용자 장치의 활성화시마다 표시되는 잠금화면 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사용자의 관심을 집중시킴과 동시에 잠금화면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광고의 노출 빈도를 높일 수 있어 광고 효율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사용자에게 설문 응답을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공공장소에 설치된 키오스크 단말기를 통해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을 수신받아 이를 통한 수익모델을 구현함으로써, 서비스 업체로서는 설문조사에 따른 수익 모델의 다변화를 도모할 수 있고, 키오스크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를 지나가는 보행자로서도 작은 시간 투자만으로 리워드를 부여받을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창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리워드 제공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키오스크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탄성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하부 지지판과 제2 링크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링크와 제2 링크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지지대에 의한 충격 흡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키오스크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높이 조절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도 11의 하부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0), 리워드 제공 서버(200) 및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리워드 제공 서비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두며, 단말기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 화면에 출력되는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면 단말기의 잠금이 해제되고, 설문조사 응답에 따른 리워드를 리워드 제공 서버(200)로부터 부여받는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응답을 네트워크(400)를 통해 리워드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리워드라 함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특정 웹페이지, 특정 SNS 서비스, 문화상품권 또는 기타의 현물을 구매할 수 있는 쿠폰이나 포인트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 시중의 물품 구매할 수 있는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은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 단말기(100)의 입력창의 일 예인 도 2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한 설문조사 응답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슬립 모드(Sleep Mode)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들어올리거나 터치함으로써 깨우는 액션을 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액정 화면 등의 화면 표시 장치에 설문조사의 내용을 출력하기 위한 질문창(110), 설문조사에 따른 응답을 기재하기 위한 답변창(120) 그리고 잠겨있는 화면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창(130) 등이 출력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답변창(120)에 설문조사에 따른 응답을 기재한 뒤 잠금해재를 수행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기재한 응답을 네트워크(400)를 통해 리워드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는 동시에 단말기 사용의 기본창인 바탕화면창(140)을 출력하여 단말기의 사용을 준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Smart Phone)은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데스크탑 컴퓨터(PC),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10)에 따른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구현된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하도록 구현되거나 웹 페이지를 통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리워드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잠금해제 화면에 출력할 설문조사를 네트워크(40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며, 네트워크(40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해당 설문조사에 부합하는 응답 여부를 판독한 뒤 적합한 응답으로 판독되면 응답에 따른 리워드를 부여한다.
한편, 네트워크(40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리워드 제공 서버(20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달 매개체로서,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400)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될 설문조사를 각 사용자 단말기(100)의 고유 식별 정보인 단말기 식별정보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고, 설문조사의 응답에 따라 부여할 리워드를 설문조사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둔다.
상술한 바아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10)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의 잠금화면으로 제공되는 설문조사에 응답하면 이에 따른 리워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자발적인 설문조사 응답을 유도함으로써, 설문조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광고 내용 및 광고 대상의 주목도가 높으며 사용자 장치의 활성화시마다 표시되는 잠금화면 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사용자의 관심을 집중시킴과 동시에 잠금화면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광고의 노출 빈도를 높일 수 있어 광고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리워드 제공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워드 제공 서버(200)는, 설문조사 생성부(210), 응답 판독부(220) 및 리워드 제공부(230)를 포함한다.
설문조사 생성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할 설문조사를 데이터베이스(300)에서 판독하며, 판독된 설문조사를 네트워크(4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응답 판독부(22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이 설문조사 생성부(210)에서 전송하였던 설문에 부합 여부를 판독한다.
즉, 응답 판독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하였던 설문에 따라 수신받은 응답의 적부를 판독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자신에게 주어진 설문조사에 성실하게 응답하는 지를 판정하는 것이다.
응답 판독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응답이 전송하였던 설문에 부합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해 리워드 제공부(230)에 통지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응답이 전송하였던 설문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기 전송하였던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을 다시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는, 응답 판독부(220)로부터 재응답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에 대한 응답을 다시 입력받아 응답 판독부(220)로 전송하거나, 재응답 요청을 무시하고 다음 잠금해제시 출력할 설문조사를 수신받아 다음 잠금해제시 출력때까지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을 대기할 수 있다.
리워드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응답이 전송하였던 설문에 부합하였다고 응답 판독부(220)에서 판독한 경우, 응답에 따른 리워드를 데이터베이스(300)에서 판독한 뒤 사용자 단말기(100)로 부여한다.
일 실시예에서, 리워드 제공부(23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리워드의 형식으로서 1) 기프티콘 2) 자체 포인트 3) 문화상품권 4) 기타의 재화 구매에 사용될 수 있는 유형 또는 무형의 리워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리워드 제공 서버(200)는,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OS), 즉 시스템을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거나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가 장치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으로서, 안드로이드 OS, iOS, 윈도우 모바일 OS, 바다 OS, 심비안 OS, 블랙베리 OS 등 모바일 컴퓨터 운영체제 및 윈도우 계열, 리눅스 계열, 유닉스 계열, MAC, AIX, HP-UX 등 컴퓨터 운영체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2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00), 리워드 제공 서버(200), 데이터베이스(300) 및 키오스크 단말기(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 리워드 제공 서버(200) 및 데이터베이스(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키오스크 단말기(500)는, 리워드 제공 서비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두며,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단말기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 화면에 출력되는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면 단말기의 잠금이 해제된다.
여기서, 키오스크(KIOSK)라 함은,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은행, 백화점, 전시장 등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 정보단말기로 동적 교통정보 및 대중교통정보, 경로 안내, 요금 카드 배포, 예약 업무, 각종 전화번호 및 주소 안내 정보제공, 행정절차나 상품정보, 시설물의 이용방법 등을 제공함. 터치스크린과 사운드. 그래픽. 통신카드 등 첨단 멀티미디어 기기를 활용하여 음성서비스, 동영상 구현 등 이용자에게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무인 종합정보안내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리워드 제공 서버(200)는, 키오스크 단말기(500)의 잠금해제 화면에 출력할 설문조사를 키오스크 단말기(500)로 네트워크(400)를 통해 전송하며, 키오스크 단말기(500)로부터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이 네트워크(400)를 통해 수신되면 해당 설문조사에 부합하는 응답 여부를 판독한 뒤 적합한 응답으로 판독되면 응답에 따른 리워드를 키오스크 단말기(500)를 통해 수신된 보행자 식별정보에 포함된 보행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키오스크 단말기(500)는, 보행자로부터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을 경우, 응답에 따른 리워드를 수신받기 위한 개인정보(예를 들어, 성명, 나이, 성별, 휴대폰 번호 등)를 함께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20)은, 도 1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특정 사용자에게 설문 응답을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공공장소에 설치된 키오스크 단말기(500)를 통해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을 수신받아 이를 통한 수익모델을 구현함으로써 서비스 업체로서는 설문조사에 따른 수익 모델의 다변화를 도모할 수 있고, 키오스크 단말기(500)가 설치된 장소를 지나가는 보행자로서도 작은 시간 투자만으로 리워드를 부여받을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키오스크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기(500a)는, 단말기 본체(510), 안착 플레이트(520) 및 탄성 지지대(700)를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510)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며, 리워드 제공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 본체(510)는, 움직임 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보행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액정 화면 등의 화면 표시 장치(511)에 설문조사의 내용을 출력하기 위한 질문창, 설문조사에 따른 응답을 기재하기 위한 답변창 그리고 잠겨있는 화면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창 등이 출력된다(사용자 단말기(100) 상에 표시될 수 있는 구성과 동일).
이에 따라, 보행자가 답변창에 설문조사에 따른 응답을 기재한 뒤 잠금해제를 수행하면, 단말기 본체(510)는 보행자가 기재한 응답을 네트워크(400)를 통해 리워드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는 동시에 단말기 사용의 기본창인 바탕화면창을 출력하여 단말기의 사용을 준비하게 되는 것이다.
안착 플레이트(520)는, 단말기 본체(510)가 안착되는 평면 형태로 제작되며, 하측 각 모서리가 탄성 지지대(700)에 의하여 지지된다.
탄성 지지대(700)는, 안착 플레이트(520)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안착 플레이트(520)를 통해 단말기 본체(5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기(500a)는, 안착 플레이트(520)의 하측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700)를 이용하여 보행자들이 단말기 본체(510)를 흔드는 등의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전체적인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탄성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700)는, 제1 상부 지지판(710), 제2 상부 지지판(720), 제1 하부 지지판(730), 제2 하부 지지판(740), 제1 링크(750), 제2 링크(760), 제1 탄성체(770) 및 제2 탄성체(780)를 포함한다.
제1 상부 지지판(710)은, 안착 플레이트(520)의 하측 일 모서리를 지지하며, 제1 링크(750)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탄성체(77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상부 지지판(720)은, 제1 상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안착 플레이트(520)의 하측 일 모서리를 지지하고, 제2 링크(760)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탄성체(78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하부 지지판(730)은, 제1 상부 지지판(710)과 대향하며 바닥면에 안착되며, 제2 링크(76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탄성체(77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2 하부 지지판(740)은, 제2 상부 지지판(720)과 대향하며 제1 하부 지지판(730)과 이격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제1 링크(750)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탄성체(78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링크(750)는, 상부가 제1 상부 지지판(7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하부 지지판(740)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760)와 "X" 형태로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제2 링크(760)는, 상부가 제2 상부 지지판(720)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1 하부 지지판(73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링크(750)와 "X" 형태로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링크(7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760)와의 교차 위치에 잘록한 허리(751)가 형성되고, 제2 링크(760)는 제1 링크(750)와의 교차 위치에 제1 링크(750)의 허리(751)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홈(763)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탄성체(770)는, 제1 상부 지지판(710)과 제1 하부 지지판(73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상부 지지판(710)과 제1 하부 지지판(730)을 지지한다.
제2 탄성체(780)는, 제2 상부 지지판(720)과 제2 하부 지지판(74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상부 지지판(720)과 제2 하부 지지판(74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대(700)는, 안착 플레이트(520)의 하측을 지지하는 탄성 구조로서, 도 9의 (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플레이트(520)의 상하 수직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플레이트(520)의 경사 방향의 충격이나 진동도 선택적으로 감쇄시킴으로써 보행자들이 단말기 본체(510)를 흔드는 등의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전체적인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제1 하부 지지판과 제2 링크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링크(760)는, 상부가 제2 상부 지지판(720)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돌출부(761) 및 두 개의 돌출부(761)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762)를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76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하부 지지판(730)과 제2 링크(760)의 연결 구조는, 다른 지지판과 링크 간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다른 연결 관계의 설명은 이후의 제1 하부 지지판(730)과 제2 링크(760)의 연결 관계로 대체하고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하부 지지판(730)은, 지지 플레이트(731), 슬라이딩홀(732), 체결부(733) 및 수평 탄성체(734)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731)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에 연장 바아(76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홀(732)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홀(732)은, 지지 플레이트(731)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장 바아(762)가 삽입되어 이동하기 위한 이동 공간을 형성한다.
체결부(733)는, 슬라이딩홀(732)에 안착된 제2 링크(760)의 연장 바아(762)를 체결하고, 슬라이딩홀(732)의 공간에서 수평 탄성체(734)에 의하여 지지되어 연장 바아(762)를 지지한다.
수평 탄성체(734)는, 체결부(733)의 후단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딩홀(732)에서 체결부(733)를 지지한다.
도 10은 도 4의 키오스크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기(500b)는, 단말기 본체(510), 두 개의 지지대(530) 및 두 개의 높이 조절 프레임(600)을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510)는, 공공 장소에 설치되며, 리워드 제공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된다. 여기서, 단말기 본체(510)는, 도 5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대(530)는, 단말기 본체(51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하측에 높이 조절 프레임(600)이 설치되어 단말기 본체(510)를 지지한다.
높이 조절 프레임(600)은, 두 개의 지지대(530)의 각 하측으로부터 바닥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동시 또는 이시에 신장 또는 수축되어 단말기 본체(510)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기(500b)는, 높이 조절 프레임(600)에 의한 단말기 본체(510)의 높이를 조절하여,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보행자의 신체 높이에 대응하여 단말기 본체(510)의 높낮이를 효율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나이가 어리거나 신체가 작은 보행자들이 효율적인 응답을 독려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높이 조절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 프레임(600)은, 상부 프레임(610) 및 하부 프레임(620)을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610)은, 지지대(530)의 하측에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지지대(530) 형성된 단말기 본체(5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줌으로써, 단말기 본체(510)를 전체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거나, 단말기 본체(510)의 전체적인 수평을 맞춰준다.
하부 프레임(620)은, 바닥면에 안착에 안착되며, 상부 프레임(610)이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한 상부 공간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높이 조절 프레임(600)은, 단말기 본체(510)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그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단말기 본체(510)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수평을 유지시키 주는 승하강 지지 구조에 해당하는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1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610)은, 지지 프레임(611) 및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612)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611)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지대(530)하측에 설치되며, 하측 각 모서리에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프레임(612)은, 지지 프레임(611)의 하측 각 모서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슬라이딩 프레임(612)과의 일 대향면에는 피니언 기어(62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기 위한 렉 기어(6121)를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620)은, 안착 프레임(621), 4 개의 슬라이딩홈(622) 및 4 개의 피니언 기어(623)를 포함한다.
안착 프레임(621)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슬라이딩홈(622)을 형성한다.
슬라이딩홈(622)은,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안착 프레임(621)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에 피니언 기어(623)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 공간(628)이 형성된다(도 14 참조).
피니언 기어(623)는, 슬라이딩홈(622)에 삽입된 슬라이딩 프레임(612)의 렉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4 개의 슬라이딩홈(622)의 각 일측에 형성된 설치 공간(628)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홈(622)에서 상부 프레임(610)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렉 기어(6121)에 맞물려 회전한다.
일 실시예에서, 피니언 기어(623)는, 슬라이딩 프레임(612)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줄 수 있도록 스텝 모터 등의 구동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1의 하부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620)은, 안착 프레임(621), 4 개의 슬라이딩홈(622), 4 개의 피니언 기어(623), 브레이크액 파우치(624), 피스톤(625), 상부 지지대(626) 및 하부 지지대(627)를 포함한다.
여기서, 안착 프레임(621), 4 개의 슬라이딩홈(622) 및 4 개의 피니언 기어(623)는, 도 12 내지 도 14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브레이크액 파우치(624)는, 슬라이딩홈(622)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며,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하강하여 누름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된 브레이크액을 공급관(6241)을 통해 피스톤(625)으로 공급한다.
피스톤(625)은, 브레이크액 파우치(624)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액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실린더(6251)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준다.
이때, 피스톤(625)에 의한 실린더(6251)의 승강 정도는 브레이크액이 수용될 수 있는 피스톤(625)의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상부 지지대(626)는, "U"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 공간(628)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며,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축(6231)의 상측을 지지한다.
하부 지지대(627)는, "U" 형태로 형성되어 피스톤(625)의 실린더(6251)의 상측에 설치되며, 실린더(6251)가 승강됨에 따라 승강되어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축(6231)의 하측에 밀착되어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킨다.
이때, 하부 지지대(627)는, 내측 공간에는 회전축(6231)과의 마찰에 따른 밀착력을 형성하기 위한 브레이크 패드 역할을 수행하는 제동부재(6271)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 프레임(620)은, 슬라이딩 프레임(612)이 슬라이딩홈(622)으로 일정 깊이 이상 하강하게 되면 슬라이딩 프레임(612)의 이동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623)의 회전을 점진적으로 제동시킴으로써 높이 조절 프레임(600)이 더 이상 수축되지 않도록 하여 단말기 본체(510)가 더 이상 하강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기
200: 리워드 제공 서버
300: 데이터베이스
400: 네트워크
500: 키오스크 단말기
600: 높이 조절 프레임
700: 탄성 지지대

Claims (13)

  1. 리워드 제공 서비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두며, 단말기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 화면에 출력되는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면 단말기의 잠금이 해제되고, 설문조사 응답에 따른 리워드를 부여받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잠금해제 화면에 출력할 설문조사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해당 설문조사에 부합하는 응답 여부를 판독한 뒤 적합한 응답으로 판독되면 응답에 따른 리워드를 부여하는 리워드 제공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될 설문조사를 각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식별 정보인 단말기 식별정보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고, 설문조사의 응답에 따라 부여할 리워드를 설문조사 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리워드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설문조사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판독하며, 판독된 설문조사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설문조사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이 상기 설문조사 생성부에서 전송하였던 설문에 부합 여부를 판독하는 응답 판독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응답이 전송하였던 설문에 부합하였다고 상기 응답 판독부에서 판독한 경우, 응답에 따른 리워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판독한 뒤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부여하는 리워드 제공부;를 포함하며,
    리워드 제공 서비스를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두며,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단말기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 화면에 출력되는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면 단말기의 잠금이 해제되는 키오스크 단말기;를 더 포함며,
    상기 리워드 제공 서버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의 잠금해제 화면에 출력할 설문조사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로부터 설문조사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해당 설문조사에 부합하는 응답 여부를 판독한 뒤 적합한 응답으로 판독되면 응답에 따른 리워드를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보행자 식별정보에 포함된 보행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가 안착되는 평면 형태의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단말기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 일 모서리를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판;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하측 일 모서리를 지지하는 제2 상부 지지판;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대향하며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1 하부 지지판;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대향하며 상기 제1 하부 지지판과 이격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 하부 지지판;
    상부가 상기 제1 상부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2 하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링크;
    상부가 상기 제2 상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제1 하부 지지판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링크;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1 하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1 탄성체; 및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2 하부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상부 지지판과 상기 제2 하부 지지판을 지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는,
    상부가 상기 제2 상부 지지판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돌출부 및 상기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 바아를 형성하는 연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하부 지지판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홀;
    상기 슬라이딩홀에 안착된 상기 제2 링크의 상기 연장 바아를 체결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슬라이딩홀에서 상기 체결부를 지지하는 수평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2 링크와의 교차 위치에 잘록한 형태의 허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와의 교차 위치에 상기 제1 링크의 상기 허리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홈을 형성하는,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두 개의 지지대; 및
    상기 두 개의 지지대의 각 하측으로부터 바닥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동시 또는 이시에 신장 또는 수축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두 개의 높이 조절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프레임은,
    상기 지지대의 하측에 설치되며, 신장 또는 수축하면서 상기 지지대 형성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상부 프레임; 및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한 상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 각 모서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슬라이딩 프레임과의 일 대향면에는 렉 기어를 형성하는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안착 프레임;
    상기 4 개의 슬라이딩 프레임이 각각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프레임의 상측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4 개의 슬라이딩홈; 및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의 상기 렉 기어에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4 개의 슬라이딩홈의 각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홈에서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4 개의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슬라이딩홈의 하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하강하여 누름에 따라 내부 공간에 수용된 브레이크액을 공급하는 브레이크액 파우치;
    상기 브레이크액 파우치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액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된 실린더를 상측 방향으로 승강시켜 주는 피스톤;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및
    상기 피스톤의 상기 실린더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가 승강됨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축의 하측에 밀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력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하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
KR1020190147223A 2019-11-16 2019-11-16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 KR102238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223A KR102238840B1 (ko) 2019-11-16 2019-11-16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223A KR102238840B1 (ko) 2019-11-16 2019-11-16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840B1 true KR102238840B1 (ko) 2021-04-08

Family

ID=7548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223A KR102238840B1 (ko) 2019-11-16 2019-11-16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8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314B1 (ko) * 2023-03-16 2024-03-05 서대엽 경영 코칭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7594A (ko) * 2007-12-03 2009-06-08 주식회사 디엠유 키오스크를 이용한 프로모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43515A (ko) * 2013-06-07 2014-12-17 (주)본시스 장애인을 위한 키오스크 장치 및 그 화면 운영 방법
KR101673529B1 (ko) 2016-04-08 2016-11-07 (주)버즈빌 메시지 기반 어플리케이션 연동 잠금화면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08943B1 (ko) * 2016-04-22 2017-12-1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높이조절 수액 거치대
KR20180096990A (ko) * 2017-02-22 2018-08-30 굿윌헌팅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잠금 화면을 이용한 설문조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12592A (ko) 2017-07-28 2019-02-11 김도형 사용자 단말의 이미지를 이용한 광고 콘텐츠 및 리워드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7594A (ko) * 2007-12-03 2009-06-08 주식회사 디엠유 키오스크를 이용한 프로모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43515A (ko) * 2013-06-07 2014-12-17 (주)본시스 장애인을 위한 키오스크 장치 및 그 화면 운영 방법
KR101673529B1 (ko) 2016-04-08 2016-11-07 (주)버즈빌 메시지 기반 어플리케이션 연동 잠금화면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08943B1 (ko) * 2016-04-22 2017-12-1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높이조절 수액 거치대
KR20180096990A (ko) * 2017-02-22 2018-08-30 굿윌헌팅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의 잠금 화면을 이용한 설문조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12592A (ko) 2017-07-28 2019-02-11 김도형 사용자 단말의 이미지를 이용한 광고 콘텐츠 및 리워드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314B1 (ko) * 2023-03-16 2024-03-05 서대엽 경영 코칭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na et al. On the forgetting of corporate irresponsibility
Alon Who benefits most from financial aid? The heterogeneous effect of need‐based grants on students' college persistence
CN107251584A (zh) 定义场所和流量的位置数据
KR102238840B1 (ko) 잠금화면을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
KR102153445B1 (ko)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문화 컨텐츠 선호도 수집 시스템
Slasberg et al. Personalization of health care in England: have the wrong lessons been drawn from the personal health budget pilots?
CA2935031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retail customers a seamless, individualized discovery and shopping experience
Retcofsky et al. Electron spin resonance studies of coals and coal-derived asphaltenes
Ogawa et al. An attack with sarin nerve gas on the Tokyo subway system and its effects on victims
US873395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ordinated use of two or more user responsive projectors
US2009030982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mitting instructions associated with user parameter responsive projection
Poole et al. Learning, spaces and technology: exploring the concept
Wentworth et al. Thermal electron attachment studies by the pulse-sampling technique
Sclimenti et al. A comparison of analytical techniques for determining cyanogen chloride in chloraminated drinking water
Tabata Heterogeneous nature of radiation effect on polymers
Moore Chemistry plus technology plus teachers yields curricular change: The FIPSE lectures in chemistry
Eckey A Millikan oil drop analogy
US2009031003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er parameter responsive projection
Aharoni Adsorption and condensation in pores
US2009031010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eiv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coordinated use of two or more user responsive projectors
Warf 13 The state and cyberspace
Shrikhande et al. Ultrafiltration: A New Approach for Quality Improvement of Pressed Wine
Borovkov et al. An NMR study of surface complexes under the conditions of fast exchange between physisorbed and chemisorbed molecules
Johnson et al. Heterobifunctional Cross-Linkers Containing 4, 9-Dioxa-1, 12-dodecanediamine Spacers
Sircar et al. Selecting damping materials from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glass-transition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