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582B1 - 업링크 게인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업링크 게인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582B1
KR102238582B1 KR1020190137916A KR20190137916A KR102238582B1 KR 102238582 B1 KR102238582 B1 KR 102238582B1 KR 1020190137916 A KR1020190137916 A KR 1020190137916A KR 20190137916 A KR20190137916 A KR 20190137916A KR 102238582 B1 KR102238582 B1 KR 102238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adjustment
adjustment value
unit
radio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7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78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gain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업링크 게인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업링크 게인(Uplink Gain)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이한 포트(Port)에 각각 연결된 둘 이상의 라디오 유닛(Radio Unit)으로부터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둘 이상의 상기 타입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포트 별로 게인 조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계산된 상기 게인 조정값을 각각의 포트에 연결된 상기 라디오 유닛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인 조정값을 전달받은 상기 라디오 유닛이 상기 게인 조정값을 업링크 신호에 적용하면, 상기 각각의 포트를 동일한 카피 셀(Copy Cell)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게인 조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업링크 게인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Balancing Uplink Gain}
본 실시예는 다른 타입의 중계기를 사용하면서도 성능 열화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중계기의 업링크 게인(Uplink Gain)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업링크 게인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반적인 중계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동통신 가입자 수와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도 소형 셀(Small Cell) 형태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서비스 지역에 다수의 라디오 유닛(Radio Unit, 100)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라디오 유닛(100)을 활용하여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 Distributed Antenna System)에서는 허브(Hub, 110)의 카피 포트(Copy Port)를 활용하여 두 개 이상이 셀이 동일한 동작을 하는 카피 셀(Copy Cell) 기능이 사용되고 있다. 이 때 허브(110)는 카피 셀들의 업링크 신호를 조합(Combine)하여 상위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120)으로 전달한다.
라디오 유닛(100)은 출력에 따라 여러 타입이 있으며 RF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업링크 게인을 가지므로, 상이한 타입의 라디오 유닛(100)에 동일한 카피 셀을 구성하여 혼용하면 타입 간 노이즈 레벨의 차이로 인해 성능에 영향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소출력 라디오 유닛과 대출력 라디오 유닛은 서로 다른 셀로 구성하여야 하며, 그렇게 되면 라디오 유닛의 타입 수만큼 셀 자원을 필요로 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셀 간 경계 지역에서 간섭으로 인한 성능 저하가 발생하며, 셀 간 이동시 디지털 유닛에서 별도의 핸드오버(Handover) 프로세스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다른 타입의 중계기를 사용하면서도 성능 열화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중계기의 업링크 게인(Uplink Gain)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상이한 타입의 중계기를 동일한 카피 셀로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업링크 게인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업링크 게인(Uplink Gain)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이한 포트(Port)에 각각 연결된 둘 이상의 라디오 유닛(Radio Unit)으로부터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둘 이상의 상기 타입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포트 별로 게인 조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계산된 상기 게인 조정값을 각각의 포트에 연결된 상기 라디오 유닛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인 조정값을 전달받은 상기 라디오 유닛이 상기 게인 조정값을 업링크 신호에 적용하면, 상기 각각의 포트를 동일한 카피 셀(Copy Cell)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게인 조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이한 포트(Port)에 각각 연결된 둘 이상의 라디오 유닛(Radio Unit)으로부터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둘 이상의 상기 타입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포트 별로 게인 조정값을 계산하는 계산부;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게인 조정값을 각각의 포트에 연결된 상기 라디오 유닛에게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게인 조정값을 전달받은 상기 라디오 유닛이 상기 게인 조정값을 업링크 신호에 적용하면, 상기 각각의 포트를 동일한 카피 셀(Copy Cell)로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둘 이상의 포트에 대해 연결된 중계기 타입 정보에 기반하여 게인 조정값을 계산하고, 상기 게인 조정값을 각각의 포트로 전송하는 허브; 및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게인 조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게인 조정값을 업링크 신호에 적용하는 라디오 유닛(Radio Unit)을 포함하되, 상기 허브는 상기 각각의 포트를 동일한 카피 셀(Copy Cell)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중계기의 업링크 게인(Uplink Gain)을 조정하여 상이한 타입의 중계기를 동일한 카피 셀로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타입 간 노이즈 레벨의 차이를 없애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셀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계기의 업링크 게인의 조정을 운용자가 하는 것이 아니라 중계기로부터 타입 정보를 전달 받은 허브가 업링크 게인 값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중계기로 전달함으로써, 운용자의 개입으로 인한 부정확성, 에러 가능성, 및 불편함을 개선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이한 타입의 중계기를 동일한 카피 셀로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셀 간 복잡한 핸드오버 프로세스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중계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허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CPRI에서 정의하는 Hyper Frame, Basic Frame, 및 Subchannel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CPRI Subchannel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게인 조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VSS 내 필드 사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카피 셀로 설정되는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라디오 유닛(RU, 200-0, 200-1, ... 203-3), DAS(Distributed Antenna System) 허브(Hub, 210), 및 디지털 유닛(DU, 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라디오 유닛(200-0, 200-1, ... 203-3)은 셀 내에 각각 설치되어 셀 내에 위치한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라디오 유닛(200-0, 200-1, ... 203-3)은 단말기와 무선 신호 송수신, 무선 신호의 필터링, 증폭,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등의 RF 신호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셀 내에 설치된 다수의 라디오 유닛(200-0, 200-1, ... 203-3)은 원격지에 위치한 디지털 유닛(220)과 연결된다. 라디오 유닛(200-0, 200-1, ... 203-3)은 허브(210)를 통해 RF 신호 처리되는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유닛(220)과 교환한다.
라디오 유닛(200-0, 200-1, ... 203-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라디오 유닛을 포함한다. 라디오 유닛(200-0, 200-1, ... 203-3)은 디지털 유닛(22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단말기로 전송한다. 라디오 유닛(200-0, 200-1, ... 203-3)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를 역으로 처리하여 디지털 유닛(220)으로 전송한다. 라디오 유닛(200-0, 200-1, ... 203-3)은 허브(210)를 경유하여 디지털 유닛(220)과 연결된다.
라디오 유닛(200-0, 200-1, ... 203-3)에 포함되는 복수의 라디오 유닛 각각은 동일한 PCI(Physical Cell Identity)를 이용하게 되면, 라디오 유닛(200-0, 200-1, ... 203-3)에 의해 형성되는 셀과 셀 사이에 핸드오버(Handover) 없이 단말기가 이동할 수 있다. 라디오 유닛(200-0, 200-1, ... 203-3)은 인빌딩 환경에서 천장, 벽면, 구조물 후면 등에 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유닛(200-0, 200-1, ... 203-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라디오 유닛이 서로 캐스캐이드(Cascade)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포트에 연결된 제1단의 라디오 유닛(200-0, 201-0, 202-0, 203-0)만이 허브(210)를 통해 디지털 유닛(220)과 연결되는 구조이며, 나머지 하위의 라디오 유닛(예컨대, 200-1, 201-1, 202-1, 202-2 등)은 각 포트 별로 서로 캐스캐이드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나머지 라디오 유닛(예컨대, 200-1, 201-1, 202-1, 202-2 등)들은 광섬유를 이용하여 각 포트 별로 서로 간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허브(210)는 둘 이상의 포트에 대해 연결된 제1단의 라디오 유닛(200-0, 201-0, 202-0, 203-0)으로부터 타입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타입 정보에 기반하여 게인 조정값을 계산하고, 이를 각각의 포트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허브(2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허브(210)는 수신부(300), 계산부(310), 전송부(320), 및 설정부(3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300)는 상이한 포트에 각각 연결된 제1단의 라디오 유닛(200-0, 201-0, 202-0, 203-0)으로부터 타입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타입 정보라 함은 소출력 장비인지 대출력 장비인지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허브(210)와 제1단의 라디오 유닛(200-0, 201-0, 202-0, 203-0), 그리고 나머지 하위의 라디오 유닛(예컨대, 200-1, 201-1, 202-1, 202-2 등) 간 신호 연동 인터페이스로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가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CPRI에서 정의하는 Hyper Frame, Basic Frame, 및 Subchannel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CPRI에는 User Data, CPRI Control & Management 데이터, CPRI 프레임의 동기 정보(Sync)를 주고 받기 위해 User Data를 전달하고 Control Plane 상의 제어 및 관리 정보를 주고 받을 프레임 구조가 정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i) 프레임 내의 User data가 실리는 위치와 ii) 오버헤드 바이트들의 의미와 위치가 정의되어 있다.
User Data는 Baseband Digital IQ Stream의 형태로 CPRI Basic Frame(400)내 IQ Data Block에 실려 전달되며 라디오 유닛(200-0, 200-1, ... 203-3)은 이를 받아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증폭시킨 후 안테나를 통해 Over-the-air로 단말들에게 방사한다.
Control & Management 데이터와 동기 정보는 CPRI Subchannel(410)들을 통해 전달되며 허브(210)와 제1단의 라디오 유닛(200-0, 201-0, 202-0, 203-0), 그리고 나머지 하위의 라디오 유닛(예컨대, 200-1, 201-1, 202-1, 202-2 등) 간에만 이 정보들이 이용된다.
CPRI Subchannel(410)은 CPRI Hyper Frame 단위(66.67us)로 형성되며 이 Hyper Frame은 256개의 Basic Frame(260.42ns)으로 구성된다.
각 Basic Frame은 1 Byte의 Control Word와 15 Byte의 Payload로 구성되므로, 하나의 Hyper Frame 내에는 총 256개의 Control Word들이 모여 64개의 CPRI Subchannel(410)을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Control & Management 데이터와 동기 정보(Sync)가 CPRI Subframe 내의 어디에 매핑이 되어 전달되는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 정보(Sync)는 한 Hyper Frame내의 첫 번째 Basic Frame내 Control Word에 실려 전달되게 되며 Subchannel 0번의 첫 Byte 위치에 해당한다.
도 5는 CPRI Subchannel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허브(210)와 제1단의 라디오 유닛(200-0, 201-0, 202-0, 203-0), 그리고 나머지 하위의 라디오 유닛(예컨대, 200-1, 201-1, 202-1, 202-2 등) 간 필요한 정보는 Subchannel 16 ~ p-1, 즉 VSS(Vendor Specific Subschannel)로 정의된 Subchannel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허브(210)에 포함된 계산부(310)는 수신부(300)로부터 수신된 둘 이상의 제1단의 라디오 유닛(200-0, 201-0, 202-0, 203-0)의 타입 정보에 기반하여 각 포트 별로 최적의 게인 조정값을 계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송부(320)는 계산부(310)에서 계산된 최적의 게인 조정값을 각각의 포트에 연결된 둘 이상의 제1단의 라디오 유닛(200-0, 201-0, 202-0, 203-0)에게 전송한다. 도 2와 같이 허브(210)의 하나의 포트에 라디오 유닛이 캐스캐이드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전송부(320)로부터 최적의 게인 조정값을 수신한 제1단의 라디오 유닛(200-0, 201-0, 202-0, 203-0)은 하나 이상의 하위 라디오 유닛(예컨대, 200-1, 201-1, 202-1, 202-2 등)으로 최적의 게인 조정값을 전달한다.
이렇게 게인 조정값을 전달받은 라디오 유닛(200-0, 200-1, ... 203-3)이 게인 조정값을 업링크 신호에 적용하면, 본 실시예의 허브(210)의 설정부(330)는 모든 포트를 동일한 카피 셀로 설정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게인 조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1단의 라디오 유닛(200-0, 201-0, 202-0, 203-0)은 전술한 VSS(Vendor Specific Subschannel)를 통해 허브(210)의 수신부(300)로 타입 정보를 전송한다(S600).
본 실시예에서는 VSS 내 Subchannel 16 ~ p-1 중 특정 Subchannel 내의 한 Byte를 라디오 유닛 타입 정보를 위한 필드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Z.30.0의 업링크 필드(700)를 이용하여 자신이 소출력 장비이면 “55” 값을, 대출력 장비이면 “66” 값을 적어 허브(210)의 수신부(300)로 자신의 타입을 알려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허브(210)의 계산부(310)는 제1단의 라디오 유닛(200-0, 201-0, 202-0, 203-0)으로부터 수신된 타입 정보에 기반하여 포트 별로 최적의 게인 조정값을 계산한다(S610).
이후, 허브(210)의 전송부(320)는 각 포트에 연결된 제1단의 라디오 유닛(200-0, 201-0, 202-0, 203-0)들에게 계산부(310)에서 계산된 게인 조정값을 VSS를 통해 전달한다(S620).
본 실시예에서는 VSS 내 Subchannel 16 ~ p-1 중 특정 Subchannel 내의 한 Byte를 게인 조정값 전달을 위한 필드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Z.30.0의 다운링크 필드(710)를 이용하여, 계산부(310)에서 계산된 게인 조정값을 0~15 범위의 4 bit로 표현(0000~1111)함으로써 제1단의 라디오 유닛(200-0, 201-0, 202-0, 203-0)에 전달할 수 있다.
만약, 도 2와 같이 허브(210)의 하나의 포트에 다수의 라디오 유닛이 캐스캐이드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게인 조정값을 전달받은 제1단의 라디오 유닛(200-0, 201-0, 202-0, 203-0)은 하나 이상의 하위 라디오 유닛(예컨대, 200-1, 201-1, 202-1, 202-2 등)에게 최적의 게인 조정값을 전달한다(S630).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제1단의 라디오 유닛(200-0, 201-0, 202-0, 203-0)은 허브(210)가 자신에게 게인 조정값을 전달했던 동일한 필드를 사용하여 최적의 게인 조정값을 하나 이상의 하위 라디오 유닛(예컨대, 200-1, 201-1, 202-1, 202-2 등)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Z.30.0의 다운링크 필드(710)를 이용하여 허브(210)로부터 받았던 동일한 값을 하위 라디오 유닛(예컨대, 200-1, 201-1, 202-1, 202-2 등)에게 전달할 수 있다.
최적의 게인 조정값을 전달받은 라디오 유닛(200-0, 200-1, ... 203-3)은 전달받은 최적의 게인 조정값을 업링크 신호에 적용한다(S640). 도 8을 참조하면, 업링크 게인이 A db 였던 라디오 유닛(200-0, 200-1, 201-0, 및 201-1)은 최적의 게인 조정값을 전달받은 후 업링크 게인을 C db 로 변경하여 업링크 신호에 적용하고, 업링크 게인이 B db 였던 라디오 유닛(202-0 ~ 202-3, 203-0 ~ 203-3)은 최적의 게인 조정값을 전달받은 후 업링크 게인을 D db 로 변경하여 업링크 신호에 적용한다.
이렇게 라디오 유닛(200-0, 200-1, ... 203-3)의 업링크 게인이 조정된 후, 본 실시예의 허브(210)의 설정부(330)는 모든 포트를 동일한 카피 셀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S650). 도 8을 참조하면, 출력이 상이하기 때문에 상이한 셀로 설정되어야 하는 두 그룹의 라디오 유닛이 업링크 게인이 조정된 후 동일한 카피 셀로 설정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6에서는 과정 S600 내지 과정 S65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6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S600 내지 과정 S650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6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 및 도 3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허브(210) 및 라디오 유닛(200-0, 200-1, 201-0, 및 201-1)의 동작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허브(210) 및 라디오 유닛(200-0, 200-1, 201-0, 및 201-1)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의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일 수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 및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0, 200-1, ... 203-3: 라디오 유닛
210: 허브 220: 디지털 유닛
300: 수신부 310: 계산부
320: 전송부 330: 설정부

Claims (11)

  1. 업링크 게인(Uplink Gain)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이한 포트(Port)에 각각 연결된 둘 이상의 라디오 유닛(Radio Unit)으로부터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둘 이상의 상기 타입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포트 별로 게인 조정값을 계산하는 단계;
    계산된 상기 게인 조정값을 각각의 포트에 연결된 상기 라디오 유닛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인 조정값을 전달받은 상기 라디오 유닛이 상기 게인 조정값을 업링크 신호에 적용하면, 상기 각각의 포트를 동일한 카피 셀(Copy Cell)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포트에 복수의 라디오 유닛이 캐스캐이드(Cascade)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1단의 라디오 유닛으로부터 상기 타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단의 라디오 유닛으로 상기 게인 조정값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게인 조정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조정값을 수신한 상기 제1단의 라디오 유닛은 하나 이상의 하위 라디오 유닛으로 상기 게인 조정값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게인 조정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입 정보 및 상기 게인 조정값의 송수신은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링크 게인 조정 방법.
  5. 상이한 포트(Port)에 각각 연결된 둘 이상의 라디오 유닛(Radio Unit)으로부터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둘 이상의 상기 타입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포트 별로 게인 조정값을 계산하는 계산부;
    상기 계산부에서 계산된 상기 게인 조정값을 각각의 포트에 연결된 상기 라디오 유닛에게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게인 조정값을 전달받은 상기 라디오 유닛이 상기 게인 조정값을 업링크 신호에 적용하면, 상기 각각의 포트를 동일한 카피 셀(Copy Cell)로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포트에 복수의 라디오 유닛이 캐스캐이드(Cascade)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부는 제1단의 라디오 유닛으로부터 상기 타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제1단의 라디오 유닛으로 상기 게인 조정값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 및 상기 전송부는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를 통해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8. 둘 이상의 포트에 대해 연결된 중계기 타입 정보에 기반하여 게인 조정값을 계산하고, 상기 게인 조정값을 각각의 포트로 전송하는 허브; 및
    상기 허브로부터 상기 게인 조정값을 수신하여, 상기 게인 조정값을 업링크 신호에 적용하는 라디오 유닛(Radio Unit)을 포함하되,
    상기 허브는 상기 각각의 포트를 동일한 카피 셀(Copy Cell)로 설정하고,
    상기 라디오 유닛이 상기 포트에 라디오 유닛이 캐스캐이드(Cascade)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1단의 라디오 유닛이 상기 허브로 상기 타입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제1단의 라디오 유닛으로 상기 게인 조정값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조정값을 수신한 상기 제1단의 라디오 유닛은 하나 이상의 하위 라디오 유닛으로 상기 게인 조정값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11. 제 8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입 정보 및 상기 게인 조정값의 송수신은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KR1020190137916A 2019-10-31 2019-10-31 업링크 게인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38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916A KR102238582B1 (ko) 2019-10-31 2019-10-31 업링크 게인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916A KR102238582B1 (ko) 2019-10-31 2019-10-31 업링크 게인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582B1 true KR102238582B1 (ko) 2021-04-08

Family

ID=75480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916A KR102238582B1 (ko) 2019-10-31 2019-10-31 업링크 게인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5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2733A (ko) * 2010-06-14 2013-10-14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신호대 잡음비 최적화를 이용한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의 역 경로 합산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2733A (ko) * 2010-06-14 2013-10-14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신호대 잡음비 최적화를 이용한 분산형 안테나 시스템의 역 경로 합산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39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fronthaul network
US10333591B2 (en) Bitrate efficient transport through distributed antenna systems
JP4713549B2 (ja) 電力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および遠隔無線ユニット
US7050758B2 (en) Self-configuring repeater system and method
US11483057B2 (en) Base station signal matching device, and base station interface unit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cluding the same
EP3396911B1 (en) Main unit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comprising same
WO2018157871A1 (zh) 一种信号传输装置、信号传输系统及方法
EP3079415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uppressing uplink background noise in indoor distributed system
US20180176867A1 (en) Headend device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EP3131214B1 (en) Combiner, base station, signal combiner system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20220224366A1 (en) Indirect reflection detection for receiver circuitry protection in tdd transceivers
US11979860B2 (en) Uplink summation method and device,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KR102238582B1 (ko) 업링크 게인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0389430B2 (en) Multi-amplifier booster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039095A1 (ko) 디지털 데이터 압축 및 복원 장치
US9887714B2 (en) Remote radio head and associated method
KR102417238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WO2024045081A1 (zh) 一种射频系统
US11452176B1 (en) Smart distributed antenna systems, platforms, and methods
WO2017000228A1 (zh) 一种基于同频组网的载波处理方法及装置
KR101289879B1 (ko)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시스템 및 신호 처리 방법
US11671911B2 (en) Sleep-mode for ethernet controller
US118253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cing data transmission for a wireless network
WO2024045878A1 (zh) 一种信号处理系统、射频拉远单元和天线单元
KR102155140B1 (ko) 통신 노드와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