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142B1 - 화장품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화장품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142B1
KR102238142B1 KR1020190120631A KR20190120631A KR102238142B1 KR 102238142 B1 KR102238142 B1 KR 102238142B1 KR 1020190120631 A KR1020190120631 A KR 1020190120631A KR 20190120631 A KR20190120631 A KR 20190120631A KR 102238142 B1 KR102238142 B1 KR 102238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rotating
sliding bar
cosmetics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8030A (ko
Inventor
장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동
Priority to KR1020190120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142B1/ko
Publication of KR2021003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화장품 디스펜서는 축선을 따라 마련되며 화장품을 저장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 축선을 따라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며, 화장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노즐 및 배출밸브를 포함하는 배출유니트, 화장품을 배출노즐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축선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피스톤과 나사산이 형성되며 피스톤을 배출노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바아와 본체의 타단에 회전 지지 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딩바아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산을 갖는 회전부를 갖는 회전작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품 디스펜서{Cosmetic Dispenser}
본 발명은 화장품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하고 편리하게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펜형상을 갖는 화장품용기는 용기를 돌리거나 누르거나 하여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크림타입의 화장품을 나오게 하여 사용하였다. 용기를 돌려서 충전 화장품을 나오게 하는 경우 용기를 돌리는 정도를 조절하여 배출량을 조절하기도 하며, 버튼을 눌러서 충전 화장품을 나오게 하는 경우도 한 번 누를 때의 배출량을 소량으로 설정하여 과다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용기를 돌리거나 누르거나 하여 충전 화장품을 나오게 하는 경우 사용자는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 즉, 보관 중 다른 물건에 의해 용기가 돌아가거나 눌려질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용기를 잡는 경우 용기가 돌아가거나 눌려질 수도 있으므로 화장품이 의도치 않게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출되는 화장품이 낭비이며, 불결한 상태를 만들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불러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화장품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디스펜서는, 축선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화장품을 저장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화장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노즐 및 배출밸브를 포함하는 배출유니트; 및 상기 화장품을 상기 배출노즐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축선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피스톤과,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을 상기 배출노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바아, 상기 본체의 타단에 회전 지지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바아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산을 갖는 회전부를 갖는 회전작동부를 포함한다. 회전작동부를 회전시켜 화장품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어 낭비가 적으며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바아는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깎인 평면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슬라이딩바아가 삽입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바아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관통공을 갖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딩바아를 상기 축선을 따라 배치되도록 하는 정렬부를 더 포함하면 슬라이딩바아가 정렬부에 의해 축선을 따라 회전하여 피스톤을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정량의 화장품을 배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는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피니언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배출노즐을 따라 배출되던 상기 화장품이 흡입되도록 상기 피니언부를 회전시키는 흡입작동부를 더 가지면 화장품을 배출한 후 흡입작동부를 이용하여 배출노즐 내측으로 소량의 화장품이 배출방향 역방향으로 흡입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배출노즐의 상태를 더욱 청결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출유니트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배출공을 갖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배출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밸브는, 상기 배출공을 막을 수 있는 배출단속볼; 및 상기 배출공을 막도록 상기 배출단속볼에 탄성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면 화장품의 배출을 단속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슬라이딩바아를 사이에 두고 접근한 회전작동위치 및 이격된 회전작동해제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한 쌍의 회전몸체를 갖고,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몸체를 수용하는 몸체수용부; 및 상기 몸체수용부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접촉반경이 변화하는 회전경사부를 더 가지면 사용자가 몸체수용부를 회전시켜 슬라이딩바아를 회전시켜야 화장품이 배출되므로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 없이 보관 중 다른 물건에 의해 용기가 돌아가거나 눌려질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용기를 잡는 경우 용기가 돌아가거나 눌려져 화장품이 의도치 않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축선에 평행하게 상기 타측을 향해 돌출형성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하여 일방향 회전 가능하게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에 접근한 걸림위치 및 이격된 해제위치 간을 슬라이딩 이동되는 작동본체를 더 가지면 걸림돌기와 걸림턱이 맞물려야만 슬라이딩바아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화장품이 의도치 않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작동부를 회전시켜 화장품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어 낭비가 적으며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2 는 화장품 디스펜서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회전작동부의 사시도.
도 4 는 화장품 디스펜서의 단면도.
도 5는 화장품 디스펜서의 동작도.
도 6 은 회전작동부의 변형예시 동작도.
도 7 은 회전작동부의 다른 변형예시 동작도.
도 8은 흡입작동부의 동작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장품 디스펜서(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디스펜서(1)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화장품 디스펜서(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회전작동부(30)의 사시도이고, 도 4 는 화장품 디스펜서(1)의 단면도이며, 도 5는 화장품 디스펜서(1)의 동작도이고, 도 6 은 회전작동부(30)의 변형예시 동작도이며, 도 7 은 회전작동부(30)의 다른 변형예시 동작도이고, 도 8은 흡입작동부(38)의 동작도이다.
화장품 디스펜서(1)는 뚜껑(2)과 스펀지(3)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화장품 디스펜서(1)는 본체(10), 배출유니트(20) 및 회전작동부(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축선을 따라 마련되며 화장품을 저장하는 수용공간을 갖는다. 본체(10)는 중공의 긴 원통형상을 가지며, 결합부(11)와 흡입작동장착부(12)를 갖는다.
결합부(11)는 배출유니트(20)와 회전작동부(30)가 결합되도록 본체(10) 양단 영역에 나사산으로 마련되어 있다. 결합부(11)가 나사산으로 마련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배출유니트(20)와 회전작동부(30)가 고정 결합되면 어는 것이든 가능하다.
흡입작동장착부(12)는 후술할 흡입작동부(38)가 장착되고 동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흡입작동장착부(12)는 걸림수용부(121), 누름해제탄성부(122) 및 돌림해제탄성부(123)을 갖는다.
걸림수용부(121)는 후술할 흡입작동부(38)의 걸림확장부(383)가 걸리며 본체(10)의 두께방향으로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누름해제탄성부(122)는 걸림수용부(121)와 걸림확장부(383) 또는 후술할 흡입작동본체(381)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작동부(38)에 본체(10)의 두께방향 중 외향으로 탄성을 가하여 흡입작동부(38)가 본체(10)의 표면보다 돌출된 위치가 되도록 한다.
돌림해제탄성부(123)는 걸림수용부(121)의 일측에 마련되어 걸림확장부(383)가 본체(10)의 두께방향으로 동작된 후 본체(10)의 두께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걸림확장부(383)에 이동방향 즉, 두께방향의 가로방향의 역방향으로 탄성을 가하여 걸림확장부(383)가 걸림수용부(121) 내에서 본체(10)의 두께방향으로 동작 가능한 위치가 되도록 한다.
배출유니트(20)는 배출본체(21), 배출밸브(22) 및 배출노즐(23)을 갖는다.
배출본체(21)는 축선을 따라 본체(10)의 일단에 결합된다. 배출본체(21)는 배출밸브(22)과 배출노즐(23)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나의 일체된 구성일 수도 있고, 여러 구성으로 나뉘어 지지할 수도 있다. 배출본체(21)는 본체(10)의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배출공(211)을 갖는다.
배출밸브(22)는 배출공(211)으로 유동하는 화장품을 단속한다. 배출밸브(22)는 배출단속볼(221)과 탄성부재(222)을 갖는다.
배출단속볼(221)은 배출공(211)보다 큰 직경을 갖고 배출공(211)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탄성부재(222)는 배출본체(21)에 지지되어 배출공(211)을 막도록 배출단속볼(221)에 탄성을 가한다. 탄성부재(222)는 사용자에 의해 후술할 피스톤(31)이 본체(10)의 수용공간을 따라 이동되어 화장품이 배출단속볼(221)을 밀며 배출될 수 있는 정도의 탄성을 가진다. 1kg정도의 무게에 의해 배출단속볼(221)이 밀릴 수 있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배출노즐(23)은 배출공(211)이 형성된 배출본체(21)에 기밀하게 결합되며 배출밸브(22)을 통해 유동되는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한다. 배출노즐(23)은 화장품이 유동되기 위한 유동경로가 형성된다. 이 유동경로는 배출노즐(22)의 외형과는 관계 없이 작은 직경을 갖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품을 다 소모한 후 배출노즐(23)에 남아 있는 화장품은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배출노즐(23)의 유동경로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한다.
회전작동부(30)는 피스톤(31), 슬라이딩바아(32), 회전부(33), 정렬부(34) 및 회전작동본체(39)를 갖는다.
피스톤(31)은 화장품을 배출노즐(23)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본체(10)의 축선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피스톤(31)은 본체(10)의 수용공간이 실린더형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수용공간의 내측면을 슬라이딩 이동한다.
슬라이딩바아(32)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회전부(33)에 의해 회전되면서 슬라이딩되어 피스톤(31)을 배출노즐(23)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슬라이딩바아(32)의 단면형상은 일부 직선구간을 갖으며, 슬라이딩바아(32)는 축선 방향을 따라 깎인 평면부(321)를 갖는다. 평면부(321)는 슬라이딩바아(32)의 회전부(33)에 대한 상대회전에 따라 후술할 정렬부(34)와 같이 회전부(33)에 대한 상대회전을 한다. 정확히는 사용자가 회전부(33)를 회전시킴에 따라 슬라이딩바아(32)의 나사산이 회전부(33)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된 관계로 나사결합이 진행되면서 슬라이딩바아(32)가 피스톤(31) 방향으로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피스톤(31)을 밀게 되는 것이다. 이런 동작 중 평면부(321)는 정렬부(34)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바아(32)를 축선을 따라 정렬되도록 한다.
회전부(33)는 본체(10)의 타단에 회전 지지 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딩바아(32)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산을 갖는다. 회전부(33)는 본체(10)에 결합된 이후에도 본체(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사용자는 본체를 잡고 회전부(33)를 회전시켜 화장품을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정렬부(34)는 슬라이딩바아(32)가 삽입되도록 슬라이딩바아(32)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관통공(341)을 갖고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슬라이딩바아(32)를 축선을 따라 정렬되어 배치되도록 한다. 정렬부(34)는 회전부(33)와 슬라이딩바아(32)가 상대회전을 하면서도 축선을 유지하도록 한다. 정렬부(34)는 배출노즐(23) 반대측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며 돌출된 배출조절부(342)를 갖는다.
회전작동본체(39)는 회전부(33)와 결합 또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단에는 파형돌출부(391)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작동본체(39)의 회전은 파형돌출부(391)는 배출조절부(342)의 돌출된 부분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된다. 이에 의해 회전작동본체(39)는 회전이 천천히 되게 됨으로써 화장품이 배출되는 량이 과다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화장품 디스펜서(1)의 동작도이다.
도 5 (a) 회전부(33)가 본체(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결합되어 있다.
도 5 (b) 사용자가 화장품 디스펜서(1)를 손으로 잡고 회전부(33)를 본체(10)에 대하여 상대회전을 시킨다. 회전부(33)와 나사결합이 되어 있는 슬라이딩바아(32)는 회전부(33)의 회전에 따라 상대 회전하여 피스톤(3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31)이 본체(10)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지지되면서 배출노즐(23)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용공간에 저장되어 있던 화장품이 압력을 받으며 탄성부재(22)의 탄성압력 이상이 되는 순간 배출공(211)을 막고 있던 배출단속볼(221)을 배출노즐(23)방향으로 밀면서 배출노즐(23)로 화장품이 이동되고 배출노즐(23)의 말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6 은 회전작동부(30)의 변형예시 동작도이다.
회전부(33)는 좌회전몸체(331), 우회전몸체(332), 연결피스톤(334) 및 이격탄성부재(335)를 갖는다. 좌회전몸체(331)와 우회전몸체(332)는 슬라이딩바아(32)를 사이에 두고 접근한 회전작동위치 및 이격된 회전작동해제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다.
좌회전몸체(331)는 연결피스톤(334)을 수용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실린더 형상의 슬라이딩이동경로를 가진다. 좌회전몸체(331)는 후술할 회전경사부(36)의 회전 시 회전 경로를 안내하는 좌안내홈(331-1)이 형성된다. 좌회전몸체(331)는 축선 방향을 따른 내측면에 슬라이딩바아(32)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우회전몸체(332)는 연결피스톤(334)을 수용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실린더 형상의 슬라이딩이동경로를 가진다. 우회전몸체(332)는 후술할 회전경사부(36)의 회전 시 회전 경로를 안내하는 우안내홈(332-1)이 형성된다. 우회전몸체(332)는 축선 방향을 따른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우회전몸체(332)는 축선 방향을 따른 내측면에 슬라이딩바아(32)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연결피스톤(334)은 좌회전몸체(331)와 우회전몸체(332)가 접근한 회전작동위치 및 이격된 회전작동해제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연결피스톤(334)은 다수의 한 쌍으로 마련되어 좌회전몸체(331)와 우회전몸체(33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갖고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좌회전몸체(331)와 우회전몸체(332)는 연결피스톤(334)의 수에 대응하는 슬라이딩이동경로를 가질 수 있다.
이격탄성부재(335)는 좌회전몸체(331)와 우회전몸체(332) 사이의 연결피스톤(334)을 수용하며 배치되며 탄성을 가하는 양단이 좌회전몸체(331)와 우회전몸체(332)에 접촉 지지된다. 이에 이격탄성부재(335)는 좌회전몸체(331)와 우회전몸체(332)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좌회전몸체(331)와 우회전몸체(332)에 탄성을 가한다.
회전작동부(30)는 몸체수용부(35)와 회전경사부(36)를 갖는다.
몸체수용부(35)는 좌회전몸체(331)와 우회전몸체(332)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다. 몸체수용부(35)는 본체(10)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결합되고, 좌회전몸체(331)와 우회전몸체(332)를 지지한다.
회전경사부(36)는 몸체수용부(35)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접촉반경이 변화하는 형상을 갖는다. 회전경사부(3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한 위치에서 한 쌍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몸체수용부(35)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수용부(35)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회전경사부(36)는 좌안내홈(331-1)과 우안내홈(332-1)을 따라 이동하면서 좌회전몸체(331)와 우회전몸체(332)를 상호 접근하도록 하며 결국 축선 방향을 따른 내측면에 형성된 좌회전몸체(331)와 우회전몸체(332)의 나사산이 슬라이딩바아(32)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된다.
도 6 (a) 좌회전몸체(331)와 우회전몸체(332)이 슬라이딩바아(32)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회전작동해제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6 (b) 사용자가 몸체수용부(35)를 회전시켜 회전경사부(36)가 좌안내홈(331-1)과 우안내홈(332-1)을 따라 이동하면서 좌회전몸체(331)와 우회전몸체(332)를 상호 접근하도록 한다. 이에 좌회전몸체(331)와 우회전몸체(332)의 나사산이 슬라이딩바아(32)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된다. 이후 몸체수용부(35)를 계속 회전시키면 슬라이딩바아(32)를 피스톤(3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화장품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 은 회전작동부(30)의 다른 변형예시 동작도이다.
회전부(33)는 축선에 평행하게 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333)가 형성된다.
회전작동부(30)는 작동본체(37)을 가질 수 있다. 작동본체(37)는 회전부(33)에 접근한 걸림위치 및 이격된 해제위치 간을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작동본체(37)는 걸림돌기(333)에 대하여 일방향 회전 가능하게 걸리는 걸림턱(371)이 형성된다.
도 7 (a) 회전부(33)와 작동본체(37)가 이격된 상태이다. 여기서 회전부(33)와 작동본체(37) 사이에는 작동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어 회전부(33)와 작동본체(37)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이 가해지고 있을 수 있다.
도 7 (b) 사용자가 작동본체(37)를 회전부(33)를 향해 누르면 작동본체(37)의 걸림턱(371)이 회전부(33)의 걸림돌기(333)에 걸리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작동본체(37)를 화장품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8은 흡입작동부(38)의 동작도이다.
회전부(33)는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피니언부(336)을 가진다.
회전작동부(30)는 배출노즐(23)을 통해 배출되던 화장품이 흡입되도록 피니언부(336)를 회전시키는 흡입작동부(38)를 더 갖는다.
흡입작동부(38)는 흡입작동본체(381), 흡입작동돌기(382) 및 걸림확장부(383)를 갖는다. 흡입작동본체(381)는 길이방향의 양단에 걸림확장부(383)가 형성된다. 흡입작동돌기(382)는 흡입작동본체(381)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흡입작동본체(381)가 눌려 피니언부(336)의 요철에 걸리게 된다.
도 8 (a) 누름해제탄성부(122)에 의해 흡입작동본체(381)는 본체(10)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8 (b) 사용자가 흡입작동본체(381)를 본체의 두께방향으로 누르면 걸림확장부(383)가 걸림수용부(121)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된다. 더 이상 걸림확장부(383)가 눌려지지 않으면 사용자는 화장품이 배출되지 않는 회전부(33)의 회전방향으로 흡입작동본체(381)를 슬라이딩 시킨다. 이에 의해 걸림확장부(383)는 돌림해제탄성부(123)을 누르면서 이동된다. 이에 따라 흡입작동돌기(382)는 회전부(33)의 피니언부(336)를 화장품이 배출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돌리게 된다. 이에 의해 배출노즐(23)에 남아있는 화장품은 소량이나마 내측으로 흡입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청결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의 화장품 디스펜서(1)로 인하여, 회전작동부(30)를 회전시켜 화장품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화장품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어 낭비가 적으며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바아(32)가 정렬부(34)에 의해 축선을 따라 회전하여 피스톤(31)을 배출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정량의 화장품을 배출할 수 있다. 화장품을 배출한 후 흡입작동부(38)를 이용하여 배출노즐(23) 내측으로 소량의 화장품이 배출방향 역방향으로 흡입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배출노즐(23)의 상태를 더욱 청결하게 할 수 있다. 배출유니트(20)로 인하여 화장품의 배출을 단속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몸체수용부(35)를 회전시켜 슬라이딩바아(32)를 회전시켜야 화장품이 배출되므로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 없이 보관 중 다른 물건에 의해 용기가 돌아가거나 눌려질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용기를 잡는 경우 용기가 돌아가거나 눌려져 화장품이 의도치 않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돌기(333)와 걸림턱(371)이 맞물려야만 슬라이딩바아(32)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화장품이 의도치 않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 화장품 디스펜서
10 - 본체
20 - 배출유니트
30 - 회전작동부
2 - 뚜껑
3 - 스펀지

Claims (6)

  1. 화장품 디스펜서에 있어서,
    축선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화장품을 저장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축선을 따라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화장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노즐 및 배출밸브를 포함하는 배출유니트;
    상기 화장품을 상기 배출노즐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축선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피스톤과,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을 상기 배출노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바아와, 상기 본체의 타단에 회전 지지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바아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나사산을 갖는 회전부를 갖는 회전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슬라이딩바아를 사이에 두고 접근한 회전작동위치 및 이격된 회전작동해제위치 간을 이동 가능한 한 쌍의 회전몸체;
    상기 한 쌍의 회전몸체가 상호 접근한 회전작동위치 및 이격된 회전작동해제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연결피스톤;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몸체 사이의 상기 연결피스톤을 수용하며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몸체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회전몸체에 탄성을 가하는 이격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한 쌍의 회전몸체를 수용하는 몸체수용부; 및
    상기 몸체수용부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접촉반경이 변화하는 회전경사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아는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깎인 평면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슬라이딩바아가 삽입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바아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관통공을 갖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에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딩바아를 상기 축선을 따라 배치되도록 하는 정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디스펜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피니언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배출노즐을 따라 배출되던 상기 화장품이 흡입되도록 상기 피니언부를 회전시키는 흡입작동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디스펜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니트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배출공을 갖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배출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밸브는,
    상기 배출공을 막을 수 있는 배출단속볼; 및
    상기 배출공을 막도록 상기 배출단속볼에 탄성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디스펜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축선에 평행하게 돌출형성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하여 일방향 회전 가능하게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에 접근한 걸림위치 및 이격된 해제위치 간을 슬라이딩 이동되는 작동본체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디스펜서.
KR1020190120631A 2019-09-30 2019-09-30 화장품 디스펜서 KR102238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631A KR102238142B1 (ko) 2019-09-30 2019-09-30 화장품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631A KR102238142B1 (ko) 2019-09-30 2019-09-30 화장품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030A KR20210038030A (ko) 2021-04-07
KR102238142B1 true KR102238142B1 (ko) 2021-04-09

Family

ID=7544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631A KR102238142B1 (ko) 2019-09-30 2019-09-30 화장품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1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29832B2 (es) * 2022-05-31 2023-08-11 Fundacion Univ San Pablo Ceu Dispositivo en roll-on para la aplicacion de monodosis variables de productos de consistencia semisolida-liquid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9519A (ja) * 2001-07-17 2003-01-31 Canon Inc 封止部材、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JP2012116508A (ja) * 2010-11-30 2012-06-21 Yoshino Kogyosho Co Ltd 吐出容器
KR101532539B1 (ko) * 2015-04-22 2015-07-02 (주)연우 립스틱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611Y1 (ko) * 2013-04-12 2015-03-18 (주)아모레퍼시픽 혼합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용기
KR101712505B1 (ko) * 2015-01-14 2017-03-06 강성일 스펀지를 구비한 화장액 공급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9519A (ja) * 2001-07-17 2003-01-31 Canon Inc 封止部材、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JP2012116508A (ja) * 2010-11-30 2012-06-21 Yoshino Kogyosho Co Ltd 吐出容器
KR101532539B1 (ko) * 2015-04-22 2015-07-02 (주)연우 립스틱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030A (ko)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857B2 (en) Retractable substance dispenser
US959691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essurized delivery of materials in cosmetic dispensers
US9284085B2 (en) Device for holding and handling rolls of wrapping material
US8561854B2 (en) Dispensing device for viscous materials
US20050126008A1 (en) Shaving apparatus
US8714412B2 (en) Fluid dispenser having a retractable head
US20200102138A1 (en) Dual dispensing cosmetic container
KR20090103904A (ko)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공성의 흡수 바디들의 제어된 분배 및 홀딩하기 위한 장치 및 그것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흡수 바디
KR102238142B1 (ko) 화장품 디스펜서
CN106742646B (zh) 分配器及包括该分配器的容器
US5009534A (en) Piston dispenser for paste or solid products
EP3395386B1 (en) Medical dispensing device
EP0220027A2 (en) Dispensers for viscous materials
US5294205A (en) Applicator device
US10799008B2 (en) Low profile medicament container
JP7018013B2 (ja) 可動突起を有する化粧品用アプリケータ
KR20180046931A (ko) 펜타입 화장품 용기
KR101893787B1 (ko) 펜타입 화장품 용기
KR102528841B1 (ko) 이동 가능한 도포기를 구비한 화장품용 물품
US4197965A (en) Toothpick dispenser
JP7431151B2 (ja) シリンジ型噴出容器
KR102528842B1 (ko) 화장품용 용기
KR101829272B1 (ko) 화장품 용기
KR102269224B1 (ko) 압축롤러를 구비하고 연장 가능한 튜브형 제품의 용액 압출기
JPH042344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