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132B1 - 스마트형 욕조 - Google Patents

스마트형 욕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132B1
KR102238132B1 KR1020190129011A KR20190129011A KR102238132B1 KR 102238132 B1 KR102238132 B1 KR 102238132B1 KR 1020190129011 A KR1020190129011 A KR 1020190129011A KR 20190129011 A KR20190129011 A KR 20190129011A KR 102238132 B1 KR102238132 B1 KR 102238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thtub
washing
cleaning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환옥
노재근
노동영
노주영
Original Assignee
정환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환옥 filed Critical 정환옥
Priority to KR102019012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041Processes for treating the hair of the scalp
    • A45D19/005Shampooing; Conditioning; Washing hair for hairdress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6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in the form of bowls or similar ope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60Component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 therapeutic baths of groups A61H33/00
    • A61H33/6089Specific construction features for further massaging means, i.e. not for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provisions against scalding, e.g. temperature limiting devices, external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1Scal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형 욕조에 관한 것으로,
목욕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와 피로회복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욕조만을 통해 구현 되도록 한 기술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욕조 자체적으로 외부와 차단된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그 안에서 자체적으로 자동 급수와 세척, 헹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욕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고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또한 욕조 자체적으로 위 자동 목욕기능과 더불어 두피마사지 기능 및 찜질기능 등을 추가함으로써, 목욕과 추가 웰빙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의 번거로움이 최소화되고 욕조를 활용한 웰빙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리고 하나의 욕조 내에 자동 목욕기능에 필요한 구성요소들과 추가 마사지 및 찜질기능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이 집합되어 구현됨에 따라, 공간소모율을 최소화 하고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자동화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고 근/원거리에서의 무선 작동기능에 따른 편리성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Description

스마트형 욕조{Smart type bathtub}
본 발명은 스마트형 욕조에 관한 기술로써, 특히 욕조본체에 개폐구조를 적용하여 욕조본체의 세척공간이 외부와 차단될 수 있도록 하고, 욕조장치 자체적으로 브러시와 급수 등의 세척기능은 물론, 헹굼과 마사지 및 찜질 기능까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욕조본체의 세척공간 안에 위치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피부세척과 헹굼 두피 마사지 및 찜질 등의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더불어,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기능을 추가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킨 장치이다.
최근에는 생활 웰빙(Well-being)의 필요성 및 중요성이 강조되고, 이에 대한 관심 및 관련된 기술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여러가지 예 중에서 사우나와 마사지 등의 욕실문화를 통한 웰빙생활을 구현하는 추세가 증가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개인용 원적외선 찜질기 등이 제안되기도 했는데, 이러한 기존 기술은 외부와 차단된 공간 내에서 조사되는 원적외선을 쐬는 형태인데, 이는 찜질의 개념과는 차이가 크다.
즉 이러한 기존 장치는 목욕을 하면서 느끼고 실제 얻게 되는 피로개선과 스트레스 감소 등의 효과는 직접적으로 얻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별도로 목욕을 하면서 피로 개선 등의 효과를 추가적으로 도모해야하고, 이와 더불어 별도의 부위별 안마장치나 두피마사지 장치 등을 구매하여 목욕과 별개로 개별적으로 추가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사용이 번거로워, 실제로 구매한 뒤 사용율은 낮은 경우가 많다.
이 외에도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목욕할 때, 욕조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단순히 서서 샤워기로 물을 뿌리는 것으로 끝나게 되고, 욕조가 있을 경우 단순히 욕조안의 물속에 몸을 담그는 것만 가능할 뿐, 머리감기나 몸세척 등의 과정은 사용자가 직접 해야하기 때문에,욕조를 사용하더라도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없어 스트레스해소, 피로회복 등의 한계가 분명히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목욕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와 피로회복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욕조만을 통해 구현 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욕조 자체적으로 외부와 차단된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그 안에서 자체적으로 자동 급수와 세척, 헹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욕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고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욕조 자체적으로 위 자동 목욕기능과 더불어 두피마사지 기능 및 찜질기능 등을 추가함으로써, 목욕과 추가 웰빙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의 번거로움이 최소화되고 욕조를 활용한 웰빙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하나의 욕조 내에 자동 목욕기능에 필요한 구성요소들과 추가 마사지 및 찜질기능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이 집합되어 구현됨에 따라, 공간소모율을 최소화 하고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자동화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고 근/원거리에서의 무선 작동기능에 따른 편리성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용되어 위치될 수 있는 세척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척공간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밀폐구조의 메인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욕조본체, 상기 욕조본체에 체결되어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보조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부, 상기 메인설치공간과 보조설치공간 중 어느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있는 전원부, 상기 욕조본체의 메인설치공간과 상기 덮개부의 보조설치공간 중 어느하나 이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 급수수단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세척공간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부 및 외부배출을 위한 배수부, 상기 세척공간의 내부면과 상기 덮개부의 하부면 중 어느하나 이상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작동하여 상기 세척공간 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급수부는 상기 욕조본체의 메인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급수수단과 연결되어 있는 메인급수관, 일단부가 상기 메인급수관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욕조본체의 내부면을 관통삽입되어 물을 상기 세척공간 안으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메인급수관과 토출구 중 어느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 물의 이동경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전자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를 통과하는 물을 가열할 수 있는 수온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부는 상기 욕조본체의 내부면에 삽입되어 회전과 직선이동, 곡선이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작동되면서 사용자 피부와 접촉되어 세척하는 제1세척부와, 상기 제1세척부와 상기 전원부를 연결하여 공급된 전원을 통해 상기 제1세척부를 작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덮개부의 하부면에 일부가 삽입되어 회전과 직선이동, 곡선이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작동되면서 사용자 피부와 접촉되어 세척하는 제2세척부와, 상기 제2세척부와 상기 전원부를 연결하여 공급된 전원을 통해 상기 제2세척부를 작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욕조본체의 내부면에는 제1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세척부는 판재형태이고 일부가 상기 제1요홈에 삽입된 상태로 작동 가능한 제1작동프레임, 상기 제1작동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제1세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의 하부면에는 제2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세척부는 판재 형태이고 일부가 상기 제2요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 가능한 제2작동프레임, 상기 제2작동프레임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제2세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작동프레임은 격자형 프레임 형태이고 각 프레임의 상부면 상에 상기 제1세척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제1세척부재는 브러시 형태이고, 상기 제2작동프레임은 격자형 프레임 형태이며 각 프레임의 하부면 상에 상기 제2세척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제2세척부재는 브러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욕조본체의 메인설치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며 상기 제1세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1세척부재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변화시키는 형태로 작동되는 액추에이터 형태이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덮개부의 보조설치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며 상기 제1세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1세척부재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변화시키는 형태로 작동되는 액추에이터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욕조본체의 상부면 일측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될 수 있는 머리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욕조본체 중 상기 머리 안착부가 위치한 지점 및 그 부근의 상부는 외부로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욕조본체 중 상기 머리안착부 주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머리안착부 상에 안착된 사용자 머리를 세정하기 위한 머리세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머리세정부는 상기 욕조본체의 메인설치공간 내에 위치하는 제3구동부, 상기 욕조본체의 머리안착부 부근 바닥에 위치하고 상기 제3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이나 직선반복이동 형태 중 어느하나 이상의 형태로 작동되는 머리세정용 작동프레임, 상기 머리세정용 작동프레임 상부면 상에 돌출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카락과 두피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머리세정부재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와 급수부, 수온조절부 및 세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와 수온조절부 및 세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외부의 별도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를 통해 각 구성요소의 작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송수신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머리세정부의 각 머리세정부재는 돌기 형태로 상기 머리세정용 작동프레임 상부면 상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이고, 상기 각 머리세정부재의 상단부에는 제2자석이 매립된 상태에서 외부 노출되어 상기 제2자석이 사용자의 두피 및 머리카락에 접촉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머리세정부는 상기 머리세정용 작동프레임 상에 분리 가능하도록 안착설치되는 보조설치프레임과, 상기 보조설치프레임의 상부면에 돌기 형태로 위치되되 상기 머리세정부재보다 굵기가 가느다란 형태이고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게 배치되어 있는 보조세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세척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제2세척부재의 하단부에는 제1자석이 매립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자석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근본적으로, 사용자가 욕조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머리와 몸의 세척과 헹굼 마사지 등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목욕을 통한 웰빙효과가 극대화 되는 효과를 갖는다.
사용자는 단순히 욕조안에 가만히 누운 상태에서 목욕의 전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도록 하여 사용의 목욕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그만큼 목욕을 자주 애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 해소와 피로회복 효과 향상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덮개부를 통해 욕조본체 내부에 외부와의 독립된 공간이 형성되고 그 안에서 세척을 비롯한 마사지 과정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심리적 안정을 비롯해 온수에서 발생된 증기로 인한 찜질 효과도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욕조 내에 자동 목욕기능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비롯해 마사지 및 찜질기능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이 집합되어 구현됨에 따라, 공간소모율을 최소화 하면서도 사용의 편리성이 극대화 된다.
그리고 블루투스와 사물인터넷 기능을 통해 자동화 기능이 더욱 향상됨은 물론 근/원거리에서의 무선 작동기능에 따른 편리성도 향상된다.
도1은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의 전체 입체도
도2는 덮개부가 닫혀진 상태의 전체 입체도
도3은 세척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입체도
도4는 덮개부가 개방된 상태의 평면도
도5는 전체 측단면도
도6은 머리세정부의 일부 확대 입체도
도7은 머리세정부에 보조설치프레임 및 보조세정부제가 안착된 상태의 일부 확대 입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형 욕조는 도1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욕조본체(1)와 덮개부(5), 전원부(8), 급수부(9), 세척부(15)를 포함함다.
아래에서는 위 구성요소를 비롯해 이와 연결된 세부 구성요소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욕조본체(1)는 일반적인 욕조 기능, 즉 물이 채워지고 사용자가 그 물속에 몸을 담글 수 있는 공간 제공 기능을 하는 것으로,
욕실 바닥면과 지면에 고정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도0과 같이 완전히 분리되어 이동 가능한 형태 등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물이 채워지고 사용자 몸이 누운 형태로 위치될 수 있는 세척공간(2)이 형성되어 있고 세척공간(2)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외부와 밀폐된 구조의 메인설치공간(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척공간(2)의 바닥면에는 후술하는 제1세척부(16)의 설치를 위한 제1요홈(4)이 함몰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욕조본체(1)의 일측부에는 사용자가 욕조본체의 세척공간(2)에 누웠을 때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될 수 있는 머리안착부(26)가 형성된다.
참고로 욕조본체의 모양과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물이 담겨져 사용자의 몸을 수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후술할 전원부와 급수구조 등이 설치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욕조본체(1)에는 덮개부(5)가 연결 설치된다.
덮개부(5)는 욕조본체(1)의 세척공간(2) 위쪽을 덮어 세척공간(2)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욕조본체(1)의 세척공간(2)에 누웠을 때, 심리적 안점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덮개부(5)에 설치되는 후술할 제2세척부(20)를 통해 사용자 몸의 자동세척 기능도 발휘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덮개부(5)는 전체적으로 욕조본체(1)의 세척공간(2) 위쪽 면적 이상의 면적을 갖는 형태이고 욕조본체(1) 위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측부가 욕조본
Figure 112019105920270-pat00001
의 일측 테두리에 힌지(Hinge)연결되어 있고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여 욕조본체(1)의 상부를 덮고 여는 형태로 개폐할 수 있는 기본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덮개부(5)의 내부에는 후술할 급수부(9) 등의 설치를 위한 보조설치공간(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5)의 하부면에는 후술하는 제2세척부(20)의 설치를 위한 제2요홈(7)이 함몰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덮개부(5)는 필요에 따라 단순히 욕조본체(1)의 상부를 개폐하는 기능만을 갖도록 하거나, 자체적으로 욕조본체(1)의 세척공간을 향해 물을 급후할 수 있는 구조와 사용자 몸의 세척을 위한 세척구조가 구비되는 형태 등 선택적으로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욕조본체(1) 또는 덮개부(5)에는 전원부(8)가 설치된다.
전원부(8)는 욕조본체(1) 또는 덮개부(5)에 자동급수 구조나 자동 세척구조와 같은 전기를 이용한 구성요소가 적용될 경우 해당 구성요소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외부전원과의 연결을 통해 공급 및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요소이다.
이와 같은 전원부는 일반적인 파워서플라이(Power supply) 등의 공지 형태로 적용 가능하며 도면에서는 욕조본체(1)의 메인설치공간(3)에만 설치된 것으로욕조본 도시되었으나, 욕조본체(1)의 메인설치공간(3)과 더불어 덮개부(5)의 보조설치공간(6)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고 덮개부(5)의 보조설치공간(6)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욕조본체(1)에는 급수부(9)가 설치된다.
급수부(9)는 외부의 물을 욕조본체(1) 내 세척공간(2) 안으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급수관과 급수밸브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형태이고 외부 수도시설 등의 외부 급수수단과 연결되어 물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급수부를 구성하는 각 급수배관(10)이 욕조본체(1)의 메인설치공간(3)과 덮개부(5)의 보조설치공간(6) 중 어느하나 이상에 배설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물이 급수배관(10)을 통해 최종적으로 욕조본체(1)의 세척공간(2)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욕조본체(1)의 세척공간(2) 좌우 벽면에는 별도의 토출노즐(11)이 각 급수배관(10)과 연결된 상태로 복수개 배열 설치됨에 따라, 외부에서 공급된 물이 급수배관을 따라 이동한 후 각 토출노즐(11)을 통해 욕조본체(1) 내부로 분사공급된다.
욕조본체(1)에는 급수부(9)외에 배수부(38)가 설치된다.
배수부(38)는 욕조본체(1)의 세척공간(2) 내에 채워진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단 욕조본체(1)의 세척공간(2) 바닥에 배수공(39)이 형성되고 배수공(39)에는 욕조본체(1)의 메인설치공간(3)에 위치한 별도의 배수관(13)이 연결되어 세척공간(2) 내 물이 배수관(13)을 통해 욕조본체(1) 외부로 배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배수관(13)을 통한 외부 배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배수관의 단부가 욕실 바닥의 배수구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배수구로 직접 배수될 수 있도록 하거나,
만약 본 발명이 욕실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별도의 배수함(미도시)에 연결되어 배수함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배수관에도 별도의 전자밸브 형태의 배수제어 수단이 구비되어 버튼 작동만으로 배수여부를 쉽게 제어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참고적으로 급수부(9)에는 외부 물의 급수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12)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밸브(12)는 일반적인 레버형 수동방식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고, 이 외에 전기적으로 자동 작동되는 전자밸브 형태로 적용되어 버튼작동만을 통해 급수를 편리하게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참고적으로 본 발명 제품이 일반 가정욕실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일반 보일러에 의한 온수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만약 본 발명 제품이 일반 가정 욕실이 아니리 여행 등에서 휴대되어 외부 등에서 간이 형태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면, 자체적으로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온조절부(14)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설치되는 수온조절부(14)는 급수배관(10) 등의 급수부(9)에 설치되어 전기에 의해 가열선이 가열되어 급수부 내 수온을 가열할 수 있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수온조절부(14)의 수온 가열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선택적용될 수 있다.
욕조본체(1)에는 세척부(15)가 더 설치된다.
세척부(15)는 욕조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자동에 가까운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것으로, 다시 제1세척부(16)와 제1구동부(19), 제2세척부(20) 및 제2구동부(23)구 나뉘어 구성된다.
그 중 제1세척부(16)는 욕조본체(1)에 설치되어 주로 사용자 신체의 뒷면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다시 제1작동프레임(17)과 제1세척부재(18)로 이루어지는데,
먼저 제1작동프레임(17)은 제1세척부(16) 전체의 뼈대 역할, 즉 몸체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정 면적을 갖는 격자형 프레임 형태이고 욕조본체(1) 바닥의 제1요홈(4) 내에 매립 형태로 위치된다.
이때 제1요홈(4)의 면적은 제1작동프레임(17)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제1세척부(16)는 제1요홈(4) 안에서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제1작동프레임(17)에는 제1세척부재(18)가 형성되는데, 제1세척부재(18)는 제1세척부(16)에서 실질적으로 사용자 피부와 접촉되어 피부 세척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은 제1세척부재(18)는 전체적으로 브러시나 돌기 형태이고 제1작동프레임(17)의 상부면 전체에 걸쳐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도록 설치된다.이 외에 제1세척부(16)를 구성하는 제1구동부(19)는 제1작동프레임(17)을 회전이나 양방향 직선이동 등의 형태로 작동시켜 제1세척부재(18)가 사용자 피부를 닦아내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의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1구동부(19)는 일반적인 액추에이터(Actuator) 형태이고 욕조본체(1)의 메인설치공간(3)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작동프레임(17)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작동프레임(17)을 비롯한 제1세척부(16) 전체는 제1구동부(19)의 작동 시 제1요홈(4) 내에서 좌우 반복이동되는 구조를 갖게 되고, 사용자는 욕조본체(1)의 세척공간(2)에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제1세척부재(18)가 사용자 피부를 직접 문질러 세척하는 형태로 작동된다.
참고적으로 제1세척부(16)와 제1구동부(19)는 위 설명과 도면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1세척부의 구조, 형상 작동방식은 물론 제1구동부의 동력 전달구조 등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세척부(16)가 도3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판과 브러시 형태로 구현되고 제1구동부(19)가 일반 모터 등의 형태로 적용되어 제1세척부가 회전하면서 사용자 피부를 닦아내는 형태 등 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세척부(16)는 구조와 형상에 제한받지 않고, 단지 사용자가 욕조본체 내부에 위치하였을 때 자동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닦아내는 형태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라면 얼마든지 선택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외에 제2세척부(20)는 덮개부(5)에 설치되어 욕조본체(1)의 세척공간(2) 내 사용자 신체의 앞면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다시 제2작동프레임(21)과 제2세척부재(22)로 이루어지는데,
그 중 제2작동프레임(21)은 제2세척부(20) 전체의 몸체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제1작동프레임(17) 처럼 일정 면적을 갖는 격자형 프레임 형태이고 덮개부(5)의 제2요홈(7) 내에 매립 형태로 위치된다.
이때 제2요홈(7)의 면적은 제2작동프레임(21)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제2세척부(20)는 제2요홈(7) 안에서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제2작동프레임(21)에는 제2세척부재(22)가 형성되는데, 제2세척부재(22)는 제2세척부(20)에서 실질적으로 사용자 피부와 접촉되어 피부 세척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은 제2세척부재(22)는 전체적으로 브러시나 돌기 형태이고 제2작동프레임(21)의 하부면 전체에 걸쳐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제2구동부(23)는 제2작동프레임(21)을 회전이나 양방향 직선이동 등의 형태로 작동시켜 제2세척부재(22)가 사용자의 피부를 닦아내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의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2구동부(23)는 제1구동부(19)와 마찬가지로 액추에이터(Actuator) 형태이고 덮개부(5)의 보조설치공간(6)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작동프레임(21)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2작동프레임(21)을 비롯한 제2세척부(20) 전체는 제2구동부(23)의 작동 시 제2요홈(7) 내에서 좌우 반복이동되는 구조를 갖게 되고, 덮개부(5)가 욕조본체(1)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욕조본체(1)의 세척공간(2)에 앉거나 누웠을 때 제2세척부재(22)가 사용자 피부를 문질러 세척하는 형태를 갖게 된다.
참고로 제1세척부(16) 및 제1구동부(19)와 마찬가지로 제2세척부(20)와 제2구동부(23)는 위 설명과 도면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2세척부의 구조, 형상 작동방식은 물론 제2구동부의 동력 전달구조 등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2세척부(20)도 도3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판과 브러시 형태로 구현되고 제2구동부(23)가 일반 모터 등의 형태로 적용되어 제2세척부가 회전하면서 사용자 피부를 닦아내는 형태 등 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세척부(20)또한 구조와 형상에 제한받지 않고, 단지 사용자가 욕조본체 내부에 위치하였을 때 자동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닦아내는 형태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라면 얼마든지 선택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제1세척부재(18)와 제2세척부재(22)의 상단부에는 제1자석(24)을 설치하여 제1자석(24)이 사용자 피부에 접촉되면서 자력에 의한 혈액순환 촉진 효과 등을 추가로 얻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욕조본체(1)에는 머리세정부(25)가 더 설치된다.
머리세정부(25)는 사용자가 욕조본체(1)에 누운 상태에서 머리를 포함한 두부전체가 머리안착부(26)에 안착되었을 때 자동으로 사용자의 머리카락 및 두피에 접촉되어 머리감기를 비롯해 두피마사지 등의 효과를 발휘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머리세정부(25)는 욕조본체(1)의 메인설치공간(3) 내에 위치하는 모터나 엑추에이터 형태의 제3구동부(27)가 구비되고,
욕조본체(1)의 머리안착부(26) 부근 바닥에 위치하며 제3구동부(27)와 연결되어 회전이나 직선반복이동 형태 중 어느하나 이상의 형태로 작동되는 머리세정용 작동프레임(28)이 구비되며,
머리세정용 작동프레임(28) 상부면 상에 돌출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카락과 두피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머리세정부재(29)로 구성된다.
이때 머리세정부(25)의 각 머리세정부재(29)는 돌기 형태로 머리세정용 작동프레임(28) 상부면 상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이고, 각 머리세정부재(29)의 상단부에는 제2자석(35)이 매립된 상태에서 외부 노출되어 제2자석(35)이 사용자의 두피 및 머리카락에 접촉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욕조본체(1) 내에 누운 상태에서 머리부분이 머리안착부에 안착되었을 때 제3구동부(27)에 의해 머리세정용 작동프레임(28)이 양방향으로 반복 회전되면서 각 머리세정부재(29)가 사용자 머리카락과 두피에 접촉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머리감기를 비롯해 두리마사지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이때 위 설명과 같이 각 머리세정부재(29) 끝부분에 제2자석(35)이 자력에 의한 혈액순환 촉진 효과도 얻을 수 있어 두피마사지 효과 향상은 물론 탈모방지 등의 효과을 복합적으로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머리세정부(25)는 머리세정용 작동프레임(28) 상에 분리 가능하도록 안착설치되는 보조설치프레임(30)을 비롯해 보조설치프레임(30)의 상부면에 돌기 형태로 위치되되 머리세정부재보다 굵기가 가느다란 형태이고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게 배치되어 있는 보조세정부재(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보조세정부재(31)는 머리세정부재보다 부드럽고 연질 형태이기 때문에 좀더 부드러운 두피마사지 효과를 얻고자 할 경우에는, 보조설치프레임(30)과 보조세정부재(31)를 머리세정부(25) 상에 추가로 안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욕조본체 내부에는 위에서 설명한 각 전기이용 구성요소들의 전기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일반 마이컴 형태 등으로 구현되어 적용되며 외부전원을 통해 제어부(36)가 각 구성요소들의 전기적 작동제어를 관할하게 된다.
더불어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 등의 별도 단말기(33)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를 통해 각 구성요소의 작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송수신부(32) 등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욕조본체 외부에서도 쉽게 작동제어를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전체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궁극적으로 목욕을 통한 스트레스 해소와 피로회복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욕조만을 통해 구현 되도록 함을 추구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MP3플레이어 기능이나 인터넷연결부(34) 등 다양한 편의 기능을 선택하여 추가적용할 수도 있고 별도의 샤워기(37)를 연결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덮개부(5)에는 별도의 원적외선 램프(40)를 설치하여 사용 과정에서 원적외선이 사용자 피부에 조사되어 건강증진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본체 상부면 테두리 주변에 보조 배수구를 형성시켜 사용 과정에서 욕조내 물의 넘침 현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1:욕조본체 2;세척공간
3;메인설치공간 4;제1요홈
5;덮개부 6;보조설치공간
7;제2요홈 8;전원부
9;급수부 10;급수배관
11;토출노즐 12;제어밸브
38;배수부 39;배수공
13;배수관 14;수온조절부
15;세척부 16;제1세척부
17;제1작동프레임 18;제1세척부재
19;제1구동부 20;제2세척부
21;제2작동프레임 22;제2세척부재
23;제2구동부 24;제1자석
25;머리세정부 26;머리안착부
27;제3구동부 28;머리세정용 작동프레임
29;머리세정부재 30;보조설치프레임
31;보조세정부재 32;블루투스 송수신부
33;단말기 34;인터넷연결부
35;제2자석 36;제어부
37;샤워기 40;원적외선 램프

Claims (15)

  1. 사용자가 수용되어 위치될 수 있는 세척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척공간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밀폐구조의 메인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욕조본체,
    상기 욕조본체에 체결되어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보조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부,
    상기 메인설치공간과 보조설치공간 중 어느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있는 전원부,
    상기 욕조본체의 메인설치공간과 상기 덮개부의 보조설치공간 중 어느하나 이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 급수수단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세척공간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부 및 외부배출을 위한 배수부,
    상기 세척공간의 내부면과 상기 덮개부의 하부면 중 어느하나 이상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작동하여 상기 세척공간 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욕조본체의 내부면에 삽입되어 회전과 직선이동, 곡선이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작동되면서 사용자 피부와 접촉되어 세척하는 제1세척부와,
    상기 제1세척부와 상기 전원부를 연결하여 공급된 전원을 통해 상기 제1세척부를 작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덮개부의 하부면에 일부가 삽입되어 회전과 직선이동, 곡선이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작동되면서 사용자 피부와 접촉되어 세척하는 제2세척부와,
    상기 제2세척부와 상기 전원부를 연결하여 공급된 전원을 통해 상기 제2세척부를 작동시키는 제2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욕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욕조본체의 메인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 급수수단과 연결되어 있는 메인급수관,
    일단부가 상기 메인급수관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욕조본체의 내부면을 관통삽입되어 물을 상기 세척공간 안으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욕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메인급수관과 토출구 중 어느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 물의 이동경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전자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욕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를 통과하는 물을 가열할 수 있는 수온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욕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본체의 내부면에는 제1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세척부는,
    판재형태이고 일부가 상기 제1요홈에 삽입된 상태로 작동 가능한 제1작동프레임,
    상기 제1작동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제1세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의 하부면에는 제2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세척부는,
    판재 형태이고 일부가 상기 제2요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 가능한 제2작동프레임,
    상기 제2작동프레임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제2세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욕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프레임은 격자형 프레임 형태이고 각 프레임의 상부면 상에 상기 제1세척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제1세척부재는 브러시 형태이고,
    상기 제2작동프레임은 격자형 프레임 형태이며 각 프레임의 하부면 상에 상기 제2세척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제2세척부재는 브러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욕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욕조본체의 메인설치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며 상기 제1세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1세척부재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변화시키는 형태로 작동되는 액추에이터 형태이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덮개부의 보조설치공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며 상기 제1세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1세척부재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변화시키는 형태로 작동되는 액추에이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욕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본체의 상부면 일측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될 수 있는 머리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욕조본체 중 상기 머리 안착부가 위치한 지점 및 그 부근의 상부는 외부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욕조.
  10. 제9항에 있어서,
    욕조본체 중 상기 머리안착부 주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머리안착부 상에 안착된 사용자 머리를 세정하기 위한 머리세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욕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세정부는,
    상기 욕조본체의 메인설치공간 내에 위치하는 제3구동부,
    상기 욕조본체의 머리안착부 부근 바닥에 위치하고 상기 제3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이나 직선반복이동 형태 중 어느하나 이상의 형태로 작동되는 머리세정용 작동프레임,
    상기 머리세정용 작동프레임 상부면 상에 돌출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카락과 두피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머리세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욕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와 급수부, 수온조절부, 세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급수부와 수온조절부 및 세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외부의 별도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를 통해 각 구성요소의 작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송수신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욕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세정부의 각 머리세정부재는 돌기 형태로 상기 머리세정용 작동프레임 상부면 상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되어 있는 형태이고,
    상기 각 머리세정부재의 상단부에는 제2자석이 매립된 상태에서 외부 노출되어 상기 제2자석이 사용자의 두피 및 머리카락에 접촉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욕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세정부는,
    상기 머리세정용 작동프레임 상에 분리 가능하도록 안착설치되는 보조설치프레임과,
    상기 보조설치프레임의 상부면에 돌기 형태로 위치되되 상기 머리세정부재보다 굵기가 가느다란 형태이고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게 배치되어 있는 보조세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욕조.
  15.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척부재의 상단부와 상기 제2세척부재의 하단부에는 제1자석이 매립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자석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 가능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욕조.


KR1020190129011A 2019-10-17 2019-10-17 스마트형 욕조 KR102238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011A KR102238132B1 (ko) 2019-10-17 2019-10-17 스마트형 욕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011A KR102238132B1 (ko) 2019-10-17 2019-10-17 스마트형 욕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132B1 true KR102238132B1 (ko) 2021-04-09

Family

ID=75444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011A KR102238132B1 (ko) 2019-10-17 2019-10-17 스마트형 욕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1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5791U (ja) * 1991-05-02 1992-11-17 義晴 石川 入浴用洗滌具
KR20040014050A (ko) * 2002-08-09 2004-02-14 정은수 다기능 욕조
JP2007222415A (ja) * 2006-02-23 2007-09-06 Matsushita Denko Bath & Life Kk 洗髪機能を備えた浴槽装置
KR20140096531A (ko) * 2013-01-28 2014-08-06 박영식 간이 사우나 욕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5791U (ja) * 1991-05-02 1992-11-17 義晴 石川 入浴用洗滌具
KR20040014050A (ko) * 2002-08-09 2004-02-14 정은수 다기능 욕조
JP2007222415A (ja) * 2006-02-23 2007-09-06 Matsushita Denko Bath & Life Kk 洗髪機能を備えた浴槽装置
KR20140096531A (ko) * 2013-01-28 2014-08-06 박영식 간이 사우나 욕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54969A (en) Shampoo, massage and solution applying device
CN111202455B (zh) 一种气囊式超声波按摩搓澡洗澡机
KR101140913B1 (ko) 재활운동이 가능한 욕조
KR102416611B1 (ko) 좌식변기 부착형 발 세척 장치
KR100721019B1 (ko) 경혈자극용 족욕기
KR102238132B1 (ko) 스마트형 욕조
KR101292178B1 (ko) 고령자 및 장애인을 위한 자동 목욕장치
KR102379764B1 (ko) 발 건강관리기가 부착된 좌식변기
KR100841743B1 (ko) 부스형 다기능 욕조
KR100736172B1 (ko) 다기능 욕조
KR200149405Y1 (ko) 한방 사우나기
KR100993346B1 (ko) 찜질기능을 가진 변기커버
KR102188405B1 (ko) 캡슐형 욕조
KR102172055B1 (ko) 목욕 기능을 구비한 애완견 하우스
KR20150145763A (ko) 캡슐 설치부를 구비하는 비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 어셈블리
KR100594426B1 (ko) 외부 제어기 무부착 좌욕 건강비데
KR200278878Y1 (ko) 애완동물용 자동 안마 목욕조
JP2001046459A (ja) 人体洗浄方法および人体洗浄装置
JPH08688A (ja) 頭皮マッサージ器
CN108272571A (zh) 一种洗澡床
KR102355522B1 (ko) 피부 미백 및 세신기능을 갖는 기능성 뷰티기기
CN101278879B (zh) 一种头部自动按摩清洗美容仪
KR102546642B1 (ko) 반려동물 목욕 시스템
KR200360702Y1 (ko) 반신욕조
KR200349563Y1 (ko) 반신욕 욕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