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938B1 -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938B1
KR102237938B1 KR1020200007864A KR20200007864A KR102237938B1 KR 102237938 B1 KR102237938 B1 KR 102237938B1 KR 1020200007864 A KR1020200007864 A KR 1020200007864A KR 20200007864 A KR20200007864 A KR 20200007864A KR 102237938 B1 KR102237938 B1 KR 102237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wing
unit
position control
win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훈
신평호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0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5/00Other wind motors
    • F03D5/06Other wind motors the wind-engaging parts swinging to-and-fro and not rot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29Azimuth or yaw ang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포일 형상의 고정식 날개를 이용하여 양력을 발생시키고, 이의 양력에 의한 힘을 이용하여 압전기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Wind Power Generator Formed in Fixed Wing Type}
본 발명은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포일 형상의 고정식 날개를 이용하여 양력을 발생시키고, 이의 양력에 의한 힘을 이용하여 압전기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의 고갈과 환경이슈에 대한 부각에 따라 다양한 대체 에너지원 개발에 많은 자금과 노력이 투자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에너지원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가지는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날개를 회전시켜 이에 따른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 기계적 에너지를 회전시켜 전기에너지를 얻는 풍력발전이 있다.
풍력발전은 자연의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므로, 화석연료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청정에너지원이며, 이에 따라 화석연료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발전과 달리 발열에 의한 열 공해 및 대기오염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다만 풍력발전은 낮은 풍속의 바람이 부는 지역에 설치될 경우 효율이 저하되므로, 일반적으로 높은 풍속의 바람이 부는 지역에 단지 형태로 설치되게 된다. 또한 터빈의 회전에 의한 기계적 소음과 공력 소음이 장기적으로 발생하므로 주거지 지역 인근에는 설치가 어려운 한계를 가진다.
또한, 풍력발전은 단지 형태로 설치될 시, 전기에너지의 생성을 위한 큰 블레이드에 의해 서로 간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하므로, 토지의 효율적인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1261호(2018.03.2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포일 형상의 고정식 날개를 이용하여 양력을 발생시키고, 이의 양력에 의한 힘을 이용하여 압전기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어 기계적 소음 및 공력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에어포일인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어, 맞이하는 공기에 의해 선택되는 방향으로 양력을 발생시키는 날개부(100); 일측이 상기 날개부(10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100)로부터 발생된 힘을 타측 방향으로 전달 가능하게 형성되는 위치제어부(200); 상기 위치제어부(200)의 타측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위치제어부(200)를 통해 반복적으로 전달되는 힘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압전기(310)를 포함하는 발전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제어부(200)는 일측에 상기 날개부(10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위치제어부몸체(211)와, 타측에 상기 발전부(30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위치제어부몸체(212)를 포함하는 위치제어부몸체(210)와, 상기 제1위치제어부몸체(211)와 제2위치제어부몸체(21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위치제어부몸체(211)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제어부(200)는 상기 제1위치제어부몸체(211)의 끝단 일측과 날개부(100)의 길이 방향 일측과 결합되되, 날개부(10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받음각제어부(231)와, 상기 제1위치제어부몸체(211)의 끝단 타측과 날개부(100)의 길이 방향 타측과 결합되되, 날개부(10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길이의 제어가 가능한 제2받음각제어부(232)를 포함하는 받음각제어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전부(300)는 상기 압전기(310)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저장 가능한 저장부(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100)는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100)는 폭 방향 끝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엔드플레이트(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100)는 단면의 형상이 에어포일 형상인 제1날개부(101)와, 상기 제1날개부(101)의 꼬리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날개부(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는 공기의 유동 방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날개부(1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및 받음각 제어를 수행시키는 동작신호를 송출하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동작제어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는 에어포일 형상인 날개형 구조물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회전식 풍력발전과 달리 회전하는 기계부가 없어 이에 따라 발생하는 기계적 소음 및 공력 소음을 거의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는 기계적 소음 및 공력 소음을 거의 제거할 수 있으므로, 설치되기 위한 지역의 조건이 까다롭지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는 진입하는 풍속을 감소시키지 않고 통과시키며, 회전하는 기계부가 없어 난류성 후류를 생성하지 않는 방식인 고정식 날개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서로 간의 설치되기 위한 간격이 종래의 회전식 풍력발전에 비해 작아 집약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는 종래의 풍력발전 장치에 비해 규모가 작아 주거지 등의 도심지의 곳곳에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주거지에서의 사용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용 등 다양한 범위에서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를 단면도로 나타낸 다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다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의 날개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를 단면도로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1000)는 유동하는 공기를 통해 양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발생된 힘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풍력발전 장치로서, 크게 날개부(100), 위치제어부(200) 및 발전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날개부(100)는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에어포일(airfoil) 형상인 날개로 형성됨으로써, 맞이하여 유동하는 공기에 의한 압력 차이에 의해 선택되는 방향(형상에 의한 방향)으로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위치제어부(200)는 일측이 날개부(10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날개부(10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음과 함께, 날개부(100)로부터 발생된 힘을 타측 방향으로 전달 가능하게 형성된다.
발전부(300)는 위치제어부(200)의 타측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날개부(100)로부터 발생된 힘을 위치제어부(200)를 통해 반복적으로 전달받되, 이의 전달된 힘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압전기(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1000)는 날개부(100)의 형상이 발전부(300) 방향으로 양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며, 발전부(300)는 위치제어부(200)를 통해 반복적으로 전달되는 힘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발전부(300)의 압전기(310)는 단일층으로 이루어지거나,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압전기(310)는 공지된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압전기(310)는 발전부(3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이고, 반복적으로 전달되는 힘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수단으로 이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1000)는 종래의 터빈의 회전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풍력발전 장치와는 달리, 단면의 형상이 항공기의 날개와 유사한 에어포일 형상인 고정식 날개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회전식 풍력발전 장치와는 달리 회전하는 기계부가 없으므로 기계적 소음 및 공력 소음을 거의 제거할 수 있다. 즉 설치되기 위한 위치의 제약이 작은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이 아닌 고정식 날개로 이루어지므로, 서로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공간이 종래에 비해 감소되므로, 종래에 비해 집약적으로 설치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하는 기계부가 없으므로 운영 및 유지관리 비용이 종래에 비해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1000)는 맞이하는 공기에 의해 양력을 발생시켜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구성이므로, 효율적인 양력의 발생 및 이에 발생된 힘의 제어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1000)의 위치제어부(200)는 날개부(100)의 수평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됨과 함께, 날개부(100)의 받음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위치제어부(200)는 일측에 날개부(10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위치제어부몸체(211)와, 타측에 발전부(30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위치제어부몸체(212)를 포함하는 위치제어부몸체(210)를 포함하며, 제1위치제어부몸체(211)와 제2위치제어부몸체(212) 사이에 제1위치제어부몸체(211)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회전부(220)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위치제어부몸체(211)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이와 결합되는 날개부(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술된 위치제어부(200)의 일측은 날개부(100) 방향, 위치제어부(200)의 타측은 발전부(300) 방향이며, 회전부(220)는 요우베어링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1위치제어부몸체(211)를 수평 방향으로 수월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수단으로 형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위치제어부(200)는 제1위치제어부몸체(211) 및 날개부(1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되, 날개부(100)의 받음각을 제어할 수 있는 받음각제어부(2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받음각제어부(230)는 제1위치제어부몸체(211)와 날개부(100)의 길이 방향 일측을 연결하되, 날개부(10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받음각제어부(231)와, 제1위치제어부몸체(211)와 날개부(100)의 길이 방향 타측을 연결하되, 날개부(10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길이의 제어가 가능한 제2받음각제어부(2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받음각제어부(230)는 제2받음각제어부(232)의 길이 제어를 통해 날개부(100)의 수직 방향으로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날개부(100)의 받음각을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발전부(300)로 공급되는 힘을 제어할 수 있다. 제2받음각제어부(232)는 길이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액추에이터로 형성되어 스트로크 동작을 통한 길이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수단으로 형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받음각제어부(230)는 제1받음각제어부(231)와 제2받음각제어부(232)가 날개부(100)의 위치 고정 및 받음각의 정확한 제어를 위해 날개부(100)의 폭 방향 양단에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설치되는 장소 및 주변환경 등을 고려하여 날개부(100)의 폭 방향 일단에서만 결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1000)는 에어포일 형상을 통해 선택되는 방향(발전부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양력을 공급하되, 양력의 효율적인 생성을 위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받음각의 제어를 통해 양력을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선택되는 전기에너지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발전부(300)는 압전기(310)를 포함하여, 압전기(310)에서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축전지로 이루어지는 저장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부(320)에 저장되는 전기에너지의 안전한 제어를 위한 제어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1000)의 날개부(100)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둘 이상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날개부(100)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둘 이상 배치되어 형성됨으로써, 날개부(100)에서 발생하는 양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한 발전부(300)에서의 전기에너지 생성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날개부(100)가 수직 방향으로 다수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별도의 공간 증대없이 전기에너지의 생성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받음각제어부(330)의 제1받음각제어부(331)와 제2받음각제어부(332)는 각각 이격되는 날개부(100)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위치제어부(200)의 수펑 방향으로의 회전과 함께, 날개부(100) 모두의 받음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1000)의 날개부(100)는 폭 방향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엔드플레이트(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날개부(100)는 폭 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엔드플레이트(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효율적으로 양력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엔드플레이트(110)는 항공기의 날개 끝단에 형성되는 윙렛(winglet)과 같이, 날개부(100)의 폭 방향 끝단에서 공기의 소용돌이에 의한 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날개부(100)의 폭 방향으로 손실되는 공기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동 면적에서의 더 큰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날개부(100) 양단의 엔드플레이트(110)만의 항력차이에 의해 날개부(100)가 바람의 방향을 추적하여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정밀한 풍향제어가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위치제어부(200)를 대신하여 엔드플레이트(110)가 풍향 제어의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의 날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1000)의 날개부(100)는 에어포일 형상의 제1날개부(101)와, 제1날개부(101)의 꼬리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날개부(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선택되는 상황에 따라 제2날개부(102)의 회동을 통해 받음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1000)의 날개부(100)는 제1날개부(101)의 꼬리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날개부(102)의 회동 동작을 통해 받음각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발생하는 양력의 증대 및 감소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위치제어부(200)를 통한 날개부(100) 전체의 받음각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날개부(102)를 통한 받음각의 제어를 함께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전기에너지의 생성이 많이 필요할 때에는 날개부(100) 전체의 받음각 제어와 더불어 제2날개부(102)를 통한 받음각의 증대를 통해 많은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전기에너지의 생성이 많이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제2날개부(102)가 제1날개부(101)의 꼬리 위치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1000)는 날개부(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동작제어부(400)는 센서 등으로 구비되어 바람의 방향 및 풍속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부와, 측정부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날개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회전 및 날개부의 받음각 제어를 위해 날개부(100)와 위치제어부(200)를 동작시키는 동작신호를 송출하는 동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1000)는 수동으로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작제어부를 통해 날개부(100)로 하여금 발생되는 양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하는 전기에너지의 생성을 위한 효율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으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
100 : 날개부
101 : 제1날개부 102 : 제2날개부
110 : 엔드플레이트
200 : 위치제어부
210 : 위치제어부몸체
211 : 제1위치제어부몸체 212 : 제2위치제어부몸체
220 : 회전부
230 : 받음각제어부
231 : 제1받음각제어부 232 : 제2받음각제어부
300 : 발전부
310 : 압전기
320 : 저장부
330 : 제어부
400 : 동작제어부

Claims (8)

  1.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 형상이 에어포일인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어, 맞이하는 공기에 의해 선택되는 방향으로 양력을 발생시키는 날개부(100);
    일측이 상기 날개부(10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100)로부터 발생된 힘을 타측 방향으로 전달 가능하게 형성되는 위치제어부(200);
    상기 위치제어부(200)의 타측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위치제어부(200)를 통해 반복적으로 전달되는 힘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압전기(310)를 포함하는 발전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100)는,
    폭 방향 끝단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엔드플레이트(110)를 포함하는,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어부(200)는
    일측에 상기 날개부(10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위치제어부몸체(211)와, 타측에 상기 발전부(30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위치제어부몸체(212)를 포함하는 위치제어부몸체(210)와,
    상기 제1위치제어부몸체(211)와 제2위치제어부몸체(21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위치제어부몸체(211)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220)를 포함하는,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어부(200)는
    상기 제1위치제어부몸체(211)의 끝단 일측과 날개부(100)의 길이 방향 일측과 결합되되, 날개부(10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받음각제어부(231)와,
    상기 제1위치제어부몸체(211)의 끝단 타측과 날개부(100)의 길이 방향 타측과 결합되되, 날개부(10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길이의 제어가 가능한 제2받음각제어부(232)를 포함하는 받음각제어부(230)를 더 포함하는,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300)는
    상기 압전기(310)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저장 가능한 저장부(320)를 더 포함하는,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100)는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100)는
    단면의 형상이 에어포일 형상인 제1날개부(101)와,
    상기 제1날개부(101)의 꼬리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날개부(102)를 포함하는,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는
    공기의 유동 방향 및 풍속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날개부(1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및 받음각 제어를 수행시키는 동작신호를 송출하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동작제어부(400)를 더 포함하는,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
KR1020200007864A 2020-01-21 2020-01-21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 KR102237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864A KR102237938B1 (ko) 2020-01-21 2020-01-21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864A KR102237938B1 (ko) 2020-01-21 2020-01-21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938B1 true KR102237938B1 (ko) 2021-04-08

Family

ID=75480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864A KR102237938B1 (ko) 2020-01-21 2020-01-21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93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8753A (ja) * 2005-11-15 2007-06-07 Cygnus Energy:Kk 風車の構造
JP2007146851A (ja) * 2007-01-10 2007-06-14 Seabell International Co Ltd 風力発電用の風車及び風力発電装置
KR20130010258A (ko) * 2011-07-18 2013-01-28 유재인 압전소자를 이용한 해류 발전장치
JP2016023637A (ja) * 2014-07-24 2016-02-08 豊田鉄工株式会社 風力発電装置
KR20170109509A (ko) * 2017-09-18 2017-09-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풍력 발전 시스템
KR20180031261A (ko) 2016-09-19 2018-03-28 (주)비에이에너지랩 풍력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8753A (ja) * 2005-11-15 2007-06-07 Cygnus Energy:Kk 風車の構造
JP2007146851A (ja) * 2007-01-10 2007-06-14 Seabell International Co Ltd 風力発電用の風車及び風力発電装置
KR20130010258A (ko) * 2011-07-18 2013-01-28 유재인 압전소자를 이용한 해류 발전장치
JP2016023637A (ja) * 2014-07-24 2016-02-08 豊田鉄工株式会社 風力発電装置
KR20180031261A (ko) 2016-09-19 2018-03-28 (주)비에이에너지랩 풍력발전장치
KR20170109509A (ko) * 2017-09-18 2017-09-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풍력 발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5705B2 (en) Adaptable flow-driven energy capture system
WO2016058115A1 (zh) 一种风力发电机组偏航控制方法及系统
JP4274484B2 (ja) 風車の構造
EP2469081B1 (en) Control system, wind farm, and methods of optimizing the operation of a wind turbine
JP2004520518A (ja) 垂直軸風力タービン
CN102348889A (zh) 折叠叶片涡轮机
Guang et al. Hydrodynamic performance of a vertical-axis tidal-current turbine with different preset angles of attack
US20140050580A1 (en) Wind turbine with actuating tail and method of operation
KR100743931B1 (ko) 풍력발전기 및 그 제어방법
Wang et al. A new wave energy converter for marine data buoy
KR102089562B1 (ko) 드론을 이용한 풍력발전기 점검방법
KR102237938B1 (ko) 고정식 날개형 풍력발전 장치
JP2012047067A (ja) 誘電体バリア放電利用空力制御翼装置
Wang et al. Small wind turbines and their potential for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KR101656478B1 (ko) 풍력발전기
KR20130077366A (ko) 블레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력/수력 발전장치
Yamada et al. Overspeed control of a variable-pitch vertical-axis wind turbine by means of tail vanes
KR101777175B1 (ko) 풍력 발전 시스템 및 풍력 발전 방법
KR101627665B1 (ko)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
KR20130115595A (ko) 풍력 발전기
JP7304529B2 (ja) 風力発電機
KR101587737B1 (ko) 수직축형 풍력 발전 장치
Douglas et al. Dynamics of a river kite power production system with a kinetic energy storage device
Yoshida et al. Development of Micro Downwind Turbine Generator Having Soft Blades
KR101076553B1 (ko) 풍력 발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