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676B1 -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 - Google Patents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676B1
KR102237676B1 KR1020190140148A KR20190140148A KR102237676B1 KR 102237676 B1 KR102237676 B1 KR 102237676B1 KR 1020190140148 A KR1020190140148 A KR 1020190140148A KR 20190140148 A KR20190140148 A KR 20190140148A KR 102237676 B1 KR102237676 B1 KR 102237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torage tank
valve
heat storage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진수
이종준
김경민
성기준
오문세
장원석
조선영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역난방공사 filed Critical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to KR1020190140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1/00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 F24D11/02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accumulated in storage masse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24D19/107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the system uses a 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2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을 저장하는 축열조, 상기 축열조의 열원과 사용자 측의 열원을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상기 축열조의 고온영역과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되는 제1 배관라인,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축열조의 저온의 영역과 연결되는 제2 배관라인, 상기 축열조의 저온영역과 상기 제1 배관라인의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3 배관라인 상기 제2 배관라인의 제2 연결부와 상기 축열조의 고온의 영역에 연결되는 제4 배관라인 및 열거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배관라인 내지 제4 배관라인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Pipe system with heat storage tank for bi-direcional heat trade}
실시예는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열원에서 생산된 온수를 축열조에 저장한 후 필요한 수요처에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열원을 소유한 열수요청가 피크 수요시간대에는 열을 공ㄱ브받고, 잉여열이 발생할 때에는 축열조에 열을 공급함으로써 양방향 열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열이란 야간의 잉여열을 축열시켰다가 주간에 방열함으로써 열원시설의 일일부하 변동폭을 감소시키고, 가동율을 증가시킴으로서 열공급 시설의 경제적 운전을 확보하며, 하절기 열사용 빈도가 불규칙한 급탕 부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동절기 첨두부하 일익을 담당할 수 있고, 주열공급 보일러 또는 열전용 보일러의 일부가 고장시 비상 열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계간 축열은 비난방기에 남는 잉여열을 저장하여 열수요가 많은 난방기에 사용이 가능하며, 축열방식으로서 발전폐열, 산업폐열, 폐기물 소각열, 연료전지, 바이오매스, 태양열 등 연중 생산되는 (폐)열을 열원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간헐적이거나 배출온도가 일정치 않거나 온도가 낮아서 전력생산이나 산업용으로 이용하기 곤란한 열도 회수하여 건물 냉난방 또는 농업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단기 및 계간 축열을 통해 비난방기에 남는 잉여열을 저장하여 사용하므로 경제성을 높이고 화석연료의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에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에 크게 기여하는 장점이 있고, 또한 건물별 신재생에너지 적용에 한계가 있는 건물 밀도가 높은 지역에 축열시스템을 적용시키면 기존 열원과의 효율적인 연계가 가능하여 폭 넓은 보급 확대가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축열시스템은 공급자와 사용자 측에서 양방향으로 열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열공급라인마다 별개의 배관 및 유량계를 설치하여야 한다.
특히 종래에는 축열을 통해 열원을 공급하는 공급자와 사용자측에서 열교환을 위해 기본적인 공급 및 회수 라인(2-pipe)과 역방향의 공급 및 회수라인(2-pipe)으로 구성되어 총 4개의 pipe가 필요로 하였다. 이는 복잡한 열배관시스템과 이를 설치하기 위한 면적이 필요하며, 고가의 유량계를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미국 등록특허 제10-1724563호.
실시예는 축열시스템을 구비하는 분산 열원 사업자가 다양한 저가 열원으로부터 열을 구매하여 수요처에 열을 판매하고, 열수요처는 잉여열 발생시 열을 판매하여 에너지 이용효율을 증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양방향 열거래시 필요로한 배관과 유량계의 수량을 줄여 배관시스템을 단순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열을 저장하는 축열조; 상기 축열조의 열원과 사용자 측의 열원을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상기 축열조의 고온영역과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되는 제1 배관라인;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축열조의 저온의 영역과 연결되는 제2 배관라인; 상기 축열조의 저온영역과 상기 제1 배관라인의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3 배관라인; 상기 제2 배관라인의 제2 연결부와 상기 축열조의 고온의 영역에 연결되는 제4 배관라인; 및 열거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배관라인 내지 제4 배관라인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배관라인에는 제1 밸브가, 상기 제2 배관라인에는 제2 밸브가, 상기 제3 배관라인에는 제3 밸브가, 상기 제4 배관라인에는 제4 밸브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밸브 내지 상기 제4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축열조와 상기 제1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축열조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열조에서 사용자 측으로 열공급이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3 밸브와 상기 제4 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측에서 상기 축열조 측으로 열공급이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밸브와 상기 제4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측의 잉여열 발생신호를 통해 상기 제1 밸브 내지 상기 제4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열교환부 사이에는 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의 상기 제1 배관라인 또는 제2 배관라인에는 유량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열교환기 사이의 제1 배관라인에는 제1 온도센서가,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열교환부 사이의 제2 배관라인에는 제2 온도센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열원으로부터 생산된 저온수를 활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방향 열거래시 필요한 배관의 수와 유량계를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축열조에서 열을 공급시 배관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서 사용자 측에서 잉여열을 공급시 배관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열조(100)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은 사용자(400) 측과 열교환하는 하나의 배관라인에 복수의 바이패스라인을 결합하여 하나의 배관라인으로 양방향의 열교환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양방향 열거래를 위한 배관라인을 생략할 수 있으며, 하나의 유량계(223)를 이용하여 양방향의 열거래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열조(100)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은 축열조(100), 열교환부(300), 복수의 배관라인 및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축열조(100)는 열을 저장할 수 있다. 축열조(100)는 다양한 열원에서 생산된 온수를 저장하고, 필요한 수요처에 열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물을 이용하는 축열조(100)는 물은 온도에 따라 밀도를 달리하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그 밀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축열조(100) 내부로 유입된 온수는 축열조(100) 내부에서 온도에 따라 상부에 고온영역(110)과 하부에 저온영역(130)을 형성하게 된다.
축열조(100)에 저장되는 열원은 제한이 없으며, 폐열, 신재생열, 미활용열, 지역난방열 등 다양한 열원에서 생산된 온수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축열조(10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열을 저장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로 변형실시될 수 있다.
열교환부(300)는 축열조(100)의 열원과 사용자(400) 측의 열원을 열교환할 수 있다. 열교환부(300)에 연결된 배관은 일방향으로 흐르게 되나, 제어부(500)의 제어를 통해 양방향의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사용자(400) 측에서 열원이 필요한 경우 축열조(100)에 저장된 열이 사용자(400) 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400) 측에서 열원이 불필요하며 잉여의 열이 존재하는 경우 축열조(100) 측으로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열교환부(300)는 열교환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는 판형, 핀튜브형, 쉘튜브형 등 다양한 종류의 열교환기가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배관라인은 열교환부(300)로 이동하는 하나의 배관라인과 복수의 바이패스라인이 연결되어 양방향의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배관라인은 제1 배관라인(210), 제2 배관라인(220), 제3 배관라인(230) 및 제4 배관라인(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관라인(210)은 축열조(100)의 고온영역(110)과 열교환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배관라인(220)은 축열조(100)의 저온영역(130)과 열교환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배관라인(210)과 제2 배관라인(220)은 하나의 배관라인을 구성하여 열교환기 내부를 관통하는 구조를 구비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구분하였다.
제3 배관라인(230)은 축열조(100)의 저온영역(130)과 제1 배관라인(210)의 제1 연결부(217)와 연결될 수 있다.
제4 배관라인(240)은 축열조(100)의 고온영역(110)과 제2 배관라인(220)의 제2 연결부(227)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배관라인(230)과 제4 배관라인(240)은 바이패스라인을 구성하며, 사용자(400) 측에서 잉여열을 공급하는 경우 축열조(100)로 열원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배관라인(210) 내지 제4 배관라인(240)의 구조는 제한이 없으나, 열원이 배관을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이중관 구조에 내부에 보온재가 삽입되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열거래 방향에 따라 제1 배관라인(210) 내지 제4 배관라인(240)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사용자(400) 측으로 열원을 공급하는 경우 제1 배관라인(210)과 제2 배관라인(220)으로 열원이 이동하여 열교환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400) 측에서 축열조(100)로 열원이 이동하는 경우, 제3 배관라인(230)과 제4 배관라인(240)을 통해 열원이 이동하여 열교환을 할 수 있다. 이때, 제3 배관라인(230)과 제4 배관라인(240)은 제1 배관라인(210)과 제2 배관라인(220)의 일영역을 이동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를 위해 제1 배관라인(210)에는 제1 밸브(211)가, 제2 배관라인(220)에는 제2 밸브(221)가, 제3 배관라인(230)에는 제3 밸브(231)가, 제4 배관라인(240)에는 제4 밸브(241)가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500)는 밸브제어부(510)를 통해 각각의 밸브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1 밸브(211)는 축열조(100)와 제1 연결부(217)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밸브(221)는 축열조(100)와 제2 연결부(22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축열조(100)에서 사용자(400) 측으로 열공급이 되는 경우, 제어부(500)는 제1 밸브(211)와 제2 밸브(221)를 개방하고 제3 밸브(231)와 제4 밸브(241)를 폐쇄하여 축열조(100)의 열이 사용자(400) 측으로 열교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400) 측에서 축열조(100) 측으로 열공급이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3 밸브(231)와 상기 제4 밸브(241)를 개방하고, 상기 제1 밸브(211)와 상기 제2 밸브(221)를 폐쇄하여 사용자(400) 측으로 열교환기 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사용자(400) 측으로부터 잉여열 발생신호를 통해 제1 밸브(211) 내지 제4 밸브(241)의 개폐를 제어하여 열원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17)와 열교환부(300) 사이에는 하나의 펌프(213)가 구비되어 양방향으로 열원이 이동시킬 수 있다. 본원발명에서는 열원이 축열조(100)에서 사용자(400) 측으로, 사용자(400) 측에서 축열조(100)로 2개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나, 하나의 펌프(213)를 이용하여 열원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연결부(217)와 제2 연결부(227) 사이에는 하나의 유량계(223)가 연결될 수 있으며, 유량계(223)를 통해 이동유량을 파악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유량계(223)는 제1 연결부(217)와 제2 연결부(227)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배관라인(210) 또는 제2 배관라인(220)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열원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217)와 열교환부(300) 사이의 제1 배관라인(210)에는 제1 온도센서(215)가 제2 연결부(227)와 열교환부(300) 사이에는 제2 온도센서(225)가 배치될 수 있다.
열량계산부(600)는 유량계(223)에서 감지되는 이동유량과 제1 온도센서(215)와 제2 온도센서(225)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차이에 의해 열량을 계산하여 열계량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공급자와 열수요처간의 열거래 정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열공급 및 수급 단가에 열량을 곱하여 금액을 산정하고 일정기간에 대한 상계처리 등으로 사용금액을 정산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축열조(100)에서 열을 공급시 배관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열원이 축열조(100)에서 사용자(400) 측으로 공급되는 경우, 제3 밸브(231)와 제4 밸브(241)가 폐쇄될 수 있다. 이때, 축열조(100)의 고온영역(110)에 저장된 열원은 제1 배관라인(210)을 따라 이동하여 열교환부(300)에서 사용자(400) 측으로 열교환이 일어난다. 열교환이 완료된 열원은 제2 배관라인(220)을 따라 축열조(100)의 저온부로 회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사용자(400) 측에서 잉여열을 공급시 배관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400) 측에서 잉여열의 발생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500)는 제1 밸브(211)와 제2 밸브(221)를 폐쇄하고, 제3 밸브(231)와 제4 밸브(241)를 개방하여 열원을 순환하게 된다.
이때, 축열조(100)의 저온영역(130)에서 공급되는 열원은 제3 배관라인(230)과 제1 연결부(217)를 통과하여 제1 배관라인(2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후 열교환부(300)에서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상승되며, 제2 배관라인(220)을 따라 이동후 제2 연결부(227)와 제4 배관라인(240)을 따라 이동하여 축열조(100)의 고온영역(110)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3 배관라인(230)과 제4 배관라인(240)의 바이패스 구조를 이용하여 양방향의 열거래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양방향 열거래시 제1 연결부(217)와 제2 연결부(227)를 이용하여, 제1 배관라인(210)과 제2 배관라인(220)의 공통영역을 형성하여 하나의 유량계(223)를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도록 하여 배관설치비용과 유량계(223)설치비용을 감소하면서 양방향의 열거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축열조
110 : 고온영역
130 : 저온영역
210 : 제1 배관라인
211 : 제1 밸브
213 : 펌프
215 : 제1 온도센서
217 : 제1 연결부
220 : 제2 배관라인
221 : 제2 밸브
223 : 유량계
225 : 제2 온도센서
227 : 제2 연결부
230 : 제3 배관라인
231 : 제3 밸브
240 : 제4 배관라인
241 : 제4 밸브
300 : 열교환부
400 : 사용자
500 : 제어부
510 : 밸브제어부
600 : 열량계산부

Claims (10)

  1. 열을 저장하는 축열조;
    상기 축열조의 열원과 사용자 측의 열원을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상기 축열조의 고온영역과 상기 열교환부를 연결되는 제1 배관라인;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축열조의 저온의 영역과 연결되는 제2 배관라인;
    상기 축열조의 저온영역과 상기 제1 배관라인의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3 배관라인;
    상기 제2 배관라인의 제2 연결부와 상기 축열조의 고온의 영역에 연결되는 제4 배관라인; 및
    열거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배관라인 내지 제4 배관라인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배관라인에는 제1 밸브가, 상기 제2 배관라인에는 제2 밸브가, 상기 제3 배관라인에는 제3 밸브가, 상기 제4 배관라인에는 제4 밸브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밸브 내지 상기 제4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측의 잉여열 발생신호를 통해 상기 제1 밸브 내지 상기 제4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축열조와 상기 제1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축열조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에서 사용자 측으로 열공급이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3 밸브와 상기 제4 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측에서 상기 축열조 측으로 열공급이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밸브와 상기 제4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 밸브와 상기 제2 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열교환부 사이에는 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의 상기 제1 배관라인 또는 제2 배관라인에는 유량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열교환부 사이의 제1 배관라인에는 제1 온도센서가,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열교환부 사이의 제2 배관라인에는 제2 온도센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
KR1020190140148A 2019-11-05 2019-11-05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 KR102237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148A KR102237676B1 (ko) 2019-11-05 2019-11-05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148A KR102237676B1 (ko) 2019-11-05 2019-11-05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676B1 true KR102237676B1 (ko) 2021-04-08

Family

ID=75480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148A KR102237676B1 (ko) 2019-11-05 2019-11-05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6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6463A (ja) * 1988-11-28 1990-06-05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生活排水熱利用ヒートポンプ給湯システム
JP2012202668A (ja) * 2011-03-28 2012-10-22 Denso Corp 給湯暖房装置
KR20120121486A (ko) * 2011-04-27 2012-11-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태양열 난방시스템 통합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1255766B1 (ko) * 2012-11-23 2013-04-17 이달주 공기열 히트펌프를 이용한 온수공급장치
KR101724563B1 (ko) 2012-03-02 2017-04-0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감활성광선성 또는 감방사선성 수지 조성물, 감활성광선성 또는 감방사선성 필름, 포토마스크 블랭크 및 패턴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6463A (ja) * 1988-11-28 1990-06-05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生活排水熱利用ヒートポンプ給湯システム
JP2012202668A (ja) * 2011-03-28 2012-10-22 Denso Corp 給湯暖房装置
KR20120121486A (ko) * 2011-04-27 2012-11-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태양열 난방시스템 통합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1724563B1 (ko) 2012-03-02 2017-04-0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감활성광선성 또는 감방사선성 수지 조성물, 감활성광선성 또는 감방사선성 필름, 포토마스크 블랭크 및 패턴 형성 방법
KR101255766B1 (ko) * 2012-11-23 2013-04-17 이달주 공기열 히트펌프를 이용한 온수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yompe et al. Comparative field performance study of flat plate and heat pipe evacuated tube collectors (ETCs) for domestic water heating systems in a temperate climate
WO2011105881A2 (en) Centralized heat and hot water supply system
KR20130085695A (ko) 냉,난방과 급탕에 필요한 열을 공급하는 일체형 컴팩트화된 공급장치
Gholamian et al. Dynamic 4E (energy, exergy, economic and environmental) analysis and tri-criteria optimization of a building-integrated plant with latent heat thermal energy storage
Zhang et al. Feasibilities of utilizing thermal inertia of district heating networks to improve system flexibility
Abdunnabi et al. Review on solar water heating in Libya
Buonomano et al. Solar-assisted district heating networks: Development and experimental validation of a novel simulation tool for the energy optimization
KR102237676B1 (ko) 축열조 기반 양방향 열거래용 배관시스템
KR101202281B1 (ko) 난방과 급탕에 필요한 열을 공급하는 컴팩트한 열공급장치 및 이에 따른 제어방법
Zhang et al. Dual-objective optimization of large-scale solar heating systems integrated with water-to-water heat pumps for improved techno-economic performance
CN108302798B (zh) 一种凸起密度变化的太阳能集热器及音乐五线谱系统
KR102004859B1 (ko) 계간 축열을 이용한 분산형 태양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간 축열 방법
Pardillos-Pobo et al. Thermo-economic design of an electric heater to store renewable curtailment in solar power tower plants
KR20200133518A (ko) 지역난방을 이용한 제로에너지 건축물의 온수 공급 시스템
Baker et al. Solar water heating
KR102447180B1 (ko) 제로에너지 건물의 저온 지역난방 공급시스템
KR102562746B1 (ko) 지역난방 연계 신재생 열에너지 하이브리드 열네트워크 시스템
Trier Solar district heating guidelines
Kutscher et al. Preliminary operational results of the low-temperature solar industrial process heat field tests
Behbahani Nia et al. Economic optimization and comparative study of solar heat pumps
Bogdanovics et al. Supply Temperature Stabilization of Decentralized Solar Thermal Collectors for Integration into District Heating System.
Muthini Assessment of Hotel Hot Water Systems and Viability of Solar Water Heating: Case Study of Sarova Hotel Nairobi
Beckenbauer Design and Optimisation of Solar-Assisted Urban District Heating Systems
CN105737407B (zh) 一种智能控制的太阳能集热器系统及其发声五线谱
Kirasić Cost and benefits of shifting towards low temperature district he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