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518B1 -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518B1
KR102237518B1 KR1020180150855A KR20180150855A KR102237518B1 KR 102237518 B1 KR102237518 B1 KR 102237518B1 KR 1020180150855 A KR1020180150855 A KR 1020180150855A KR 20180150855 A KR20180150855 A KR 20180150855A KR 102237518 B1 KR102237518 B1 KR 102237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
indoor
collision plate
fingerprin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595A (ko
Inventor
고희애
윤석환
권 유
박진용
Original Assignee
유니웹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웹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웹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0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51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1Calibration, monitoring or cor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0Position of receiver fix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e.g. omega or decca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는 실내에 설치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실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와의 수신 신호세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 및 삼각 측정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 1 좌표를 연산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 및 핑거프린팅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 2 좌표를 연산하는 실내 좌표 측정부; 및 상기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오차가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 1 좌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최종 좌표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오차가 설정된 범위 이외인 경우, 상기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중간값 또는 평균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최종 좌표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APPARATUS FOR CORRECTING THE INDOOR POSITION ERROR USING A FINGERPRINTING AND A TRIANGULATING METHOD}
본 발명은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국 국방성에 의해 개발된 위성측위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 GPS)은 궤도상에 떠 있는 인공위성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GPS 수신기를 통해 수신기에 도달한 시간과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여 삼각측량을 통해 위치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위성기반 측위 시스템에서는 측위 시점의 날씨나 측위 지점의 주위환경에 의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빌딩이나 건물의 외벽에 반사되어 굴절되는 경우가 있어 오차가 발생하여 실내에서는 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실내에서 측위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여러 방안이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 무선랜 기반 위치 측위 시스템은 무선으로 각 액세스 포인트(AP)에 대한 시그널(Signal) 정보를 조회하여 미리 구축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각 시그널의 수신감도를 이용한 위치 산출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실내에서 5m 내외의 오차를 가지고 있어 실내 항법 시스템에서 위치를 파악하고자 할 경우 오차에 의해 다른 보행로에 위치가 표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는 변경이 되거나 제거가 될 수 있으므로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정보를 항상 최신으로 유지해야 위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고, 보행자가 연속으로 이동하며 측위를 해야 할 경우에는 오차의 범위는 더 커질 수 있으며, 수신이 불가능한 음영지역(건물의 구조에 의해 전파를 수신할 수 없는 위치)에서는 사용자가 이동하고 있는 지, 정지하고 있는 지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선랜 기반 측위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만 산출되어 제공되므로 실내 환경에서 발생하게 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정보가 없어 위치 파악을 하기에 매우 취약하다. 그러나, 실내에서 적용되는 무선랜 기반 측위 시스템은 위치정보만 산출이 되어 방해전파나 주위 환경, 무선 단말기의 통신 상태에 따른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를 보정하여 최적화된 측위를 할 수 있는 정보가 없다. 또한, 측위가 불가능한 음영지역의 경우 사용자가 실제 정지하고 있더라도 이동하고 있는지 정지하고 있는 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없어 항법 시스템처럼 연속적인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판단, 경로탐색, 음성안내를 해야 하는 경우 잘못된 위치를 표시하는 원인이 되므로, 위치에 대한 보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의 무선랜 기반 측위 시스템은 미리 구축된 AP정보를 통해 위치를 산정하는 시스템으로 실내에서 5m, 실외에서 10~20m의 오차가 존재하고,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이동을 할 경우에는 단말기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수집하는 시간, 수집된 액세스 포인트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계산된 정보를 수신 받는 시간, 단말기의 처리 속도 등을 고려할 경우 그 오차가 더 심해진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가 구축되지 않은 지역이나 전파 수신이 어려운 음영지역에서는 위치를 수신 받지 못하거나, 오차가 더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의 실내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또한, 방지재를 이용하여 기판 등을 둘러쌈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다중 버전 백업 기능을 갖는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또한, 공기정화부를 이용하여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먼지 등을 제거함으로써, 먼지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의 발생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자 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다중 버전 백업 기능을 갖는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는 실내에 설치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실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와의 수신 신호세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 및 삼각 측정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 1 좌표를 연산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 및 핑거프린팅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 2 좌표를 연산하는 실내 좌표 측정부; 및 상기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오차가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 1 좌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최종 좌표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오차가 설정된 범위 이외인 경우, 상기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중간값 또는 평균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최종 좌표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는 실내에 설치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실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와의 수신 신호세기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 및 삼각 측정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 1 좌표를 연산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 및 핑거프린팅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 2 좌표를 연산하는 실내 좌표 측정부; 및 상기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오차가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 1 좌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최종 좌표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오차가 설정된 범위 이외인 경우, 상기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중간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최종 좌표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실내 좌표 측정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기판을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방지재를 더 포함한다.
방지재는 제1 영역을 한정하며, 광의 투과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층과, 상기 차단층의 두께보다 큰 값의 두께를 갖고, 상기 차단층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제2 영역을 한정하며, 복수의 중공부가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 1 부착층 및 상기 제 1 부착층에 부착되어 상기 복수의 중공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2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제3 영역을 한정하며, 상기 제 1 부착층보다 소프트한 특성을 갖는 제 2 부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 1 부착층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착층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는 상기 복수의 수용부 중 인접한 한 쌍의 수용부들 사이에 위치한다.
통신부, 저장부, 다중 버전 백업부, 제어부 및 기판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방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는 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의 내부열을 식히는 팬(fan); 및 상기 팬(fan)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팬(fan)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 정화부를 더 포함한다.
공기 정화부는 공기의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충돌판; 및 상기 제 1 충돌판으로부터 굴절각을 가지고 연장 형성되는 제 2 충돌판을 포함한다.
공기 정화부는 상기 제 1 충돌판과 제 2 충돌판 연결점에 설치되고, 단면이 원호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제 1 추가 충돌판을 더 포함한다.
공기 정화부는 상기 제 1 충돌판의 종단부에 설치되고, 그 단면이 원호형상인 제 2 추가 충돌판을 더 포함한다.
공기 정화부는 상기 공기의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져 상기 공기의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충돌판과, 상기 제 1 충돌판으로부터 굴절각을 가지고 연장 형성되는 제 2 충돌판과, 상기 제 1 충돌판과 제 2 충돌판의 연결점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와 공기 정화부 간의 온도 차이를 생성하기 위해 내부로 고온 또는 저온의 액체 또는 기체가 흐르는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에 설치되고, 단면이 원호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제 1 추가 충돌판 및 상기 제 1 충돌판의 종단부에 설치되고, 그 단면이 원호형상인 제 2 추가 충돌판을 더 포함한다.
중공부의 깊이는, 중공부의 폭보다 큰 크기를 갖는다.
제 2 부착부는 중공형 볼 입자를 함유한다.
수용부의 폭은 중공부의 폭보다 큰 크기이고, 수용부의 높이는 중공부의 높이보다 작은 크기이다.
개시된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의 실내 위치를 보정하여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방지재를 이용하여 기판 등을 둘러쌈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방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부를 이용하여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먼지 등을 제거함으로써, 먼지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의 발생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자 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가 오차를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지재가 구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지재가 구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지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방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공기 정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제 1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따른 공기 정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제 2 도면이다.
도 14은 도 11에 따른 공기 정화부의 추가 충돌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실내 좌표 측정부(130), 제어부(140), 팬(150) 및 공기 정화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실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실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와의 수신 신호세기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좌표 측정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 및 삼각 측정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 1 좌표를 연산하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 및 핑거프린팅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 2 좌표를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오차가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제 1 좌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최종 좌표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오차가 설정된 범위 이외인 경우, 상기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중간값 또는 평균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최종 좌표로 설정할 수 있다.
팬(FAN)(150)은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100)의 내부에 있는 공기와 외부에 있는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공기 정화부(160)는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100)의 내부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가 오차를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내 좌표 측정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 및 삼각 측정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제 1 좌표(2.2, 2.2)를 연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내 좌표 측정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 및 핑거프린팅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제 2 좌표(2.4, 2.4)를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오차가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제 1 좌표(2.2, 2.2)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최종 좌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좌표(2.2, 2.2)가 핑거프린팅 기법으로 연산된 제 2 좌표(2.4, 2.4)가 존재하는 셀의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제어부(140)는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오차가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제 1 좌표(2.2, 2.2)가 제 2 좌표(2.4, 2.4)가 존재하는 셀의 내부에 존재하므로, 제어부(140)는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오차가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것으로 판단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실내 좌표 측정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 및 삼각 측정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제 1 좌표(3.7, 3.7)를 연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내 좌표 측정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 및 핑거프린팅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제 2 좌표(3.1, 3.1)를 연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제 1 좌표 및 제 2 좌표의 오차가 설정된 범위 이외인 경우, 제 1 좌표 및 제 2 좌표의 중간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최종 좌표(3.4, 3.4)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좌표(2.2, 2.2)가 핑거프린팅 기법으로 연산된 제 2 좌표(2.4, 2.4)가 존재하는 셀의 내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제어부(140)는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오차가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지재가 구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통신부(110), 저장부(120), 실내 좌표 측정부(130) 및, 제어부(140)는 기판(17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방지재(2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실내 좌표 측정부(130), 제어부(140) 및 기판(17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방지재(2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방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방지재(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지재가 구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18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실내 좌표 측정부(130), 제어부(140) 및 기판(170)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방지재(200)는 하우징(180)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방지재(200)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18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지재(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지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방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차단층(210)은 방지재(200)의 베이스를 이루는 구성이다. 차단층(210)은 제1 영역을 한정한다. 상기 제1 영역은, 예를 들어 대체로 사각형의 영역일 수 있다.
차단층(210)은 주로 빛을 차단하거나 방수 특성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부착층(230)은 차단층(210)의 상면에 적층될 수 있다. 제 1 부착층(230)은 차단층(210)의 제1 영역에 대응하여 그와 동일한 면적을 갖는 제2 영역을 한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 역시 제1 영역과 동일하게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 부착층(230)은 차단층(210)과 밀착되며 내충격성 확보에서 주된 역할을 한다.
제 1 부착층(230)은 베이스(231)와, 중공부(235)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231)는 제 1 부착층(23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이다. 중공부(235)는 베이스(231)의 상면 측에서 오목 형성된 홈이다. 중공부(235)는 상기 제2 영역에서 복수 개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캐비티(235)는 상기 제2 영역 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매트릭스 배열을 이룰 수 있다.
중공부(235)는 형태적으로 베이스(231)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홈일 수 있다.
제 2 부착층(250)은 제 1 부착층(230) 상에 적층되는 것이다. 제 2 부착층(250)은 상기 제2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제3 영역을 한정한다. 상기 제3 영역 역시 사각 형상을 가져서, 상기 제2 영역에 맞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제 2 부착층(250)은 제1 부착층(230)의 중공부(235)를 외부에 대해 밀폐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중공부(235)를 가진 제 1 부착층(230)이 차단층(210)에 전사된 후에 60℃에서 12시간 정도 경화된 후에, 제 2 부착층(250)이 제 1 부착층(230) 상에 다시 전사되어 중공부(235)가 공기를 가진 채로 밀폐될 수 있다.
제 2 부착층(250)은 주로 피착 대상물과의 강한 접착력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제 2 부착층(250)은 제 1 부착층(230)과는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부착층(250)은 제 1 부착층(230)과 같은 아크릴계 점착제이나 구체적 특성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에 의해, 제 1 부착층(230)이 상대적으로 하드(hard)한 특성을 가진다면, 제 2 부착층(250)은 상대적으로 소프트(soft)한 특성을 갖게 된다. 제 2 부착층(250)은 소프트한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특성의 베이스(251)에 중공형 볼 입자(255)가 첨가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볼 입자(255)는, 예를 들어 실리카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방지재(100)에 충격(I)이 가해질 때, 그 충격은 방지재(100)의 수직 방향을 따라 작용하게 된다.
이때, 제 2 부착층(250)은 제 1 부착층(230) 보다 소프트하면서도, 내부에 볼 입자(255)를 함유하여, 방지재(100)의 충격(I)에 대한 1차적 흡수 능력이 강화되게 한다.
나아가, 제 1 부착층(230)은 베이스(131)의 충격 흡수력에 더하여 중공부(235)가 에어 트랩(Air Trap)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충격(I)에 따른 힘을 2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중공부(235)는 폭(W) 보다 깊이(D)가 몇 배 큰 구조를 가져서, 베이스(231) 중 중공부(235)와 중공부(135) 사이의 영역은 좌굴(buckling)에 의해 다소 변형되면서 위 충격이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차단층(210), 제 1 부착층(230), 및 제 2 부착층(250) 등에 의해, 방지재(100)는 방수 성능도 갖출 수 있게 된다.
돌출부(215)는 차단층(210)의 베이스(211)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돌출부(215)는 제 1 부착층(230)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돌출부(215)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그들은 매트릭스 배열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215)는 형태상으로는 돔 형상의 모양일 수 있다.
수용부(237)는 돌출부(215)를 수용하도록 돌출부(215)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진다. 수용부(237)는 제 1 부착층(230)의 일 면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에 있어서, 중공부(235)는 인접한 한 쌍의 수용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중공부(235)의 폭(W)은 수용부(237)의 폭(W')보다 좁고, 중공부(235)이 깊이(D)는 수용부(237)의 깊이(D')보다 깊은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차단층(210)의 다른 면에는 이상의 제 1 부착층(230), 제 2 부착층(250) 각각에 대응하는 부착층들(230')(2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방지재(200)에 가해지는 충격은 제 2 부착층(250), 제 1 부착층(230)을 통해 1차적, 2차적으로 흡수될 수 있음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돌출부(215)와 수용부(237)에 의한 강화된 충격 흡수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제 1 부착층(230)의 베이스(231)로 전달된 충격은 차단층(210)으로 전달됨에 있어서, 돌출부(215) 및 수용부(237)를 통해 보다 넓은 면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돌출부(215) 및 수용부(237)에 의한 충격 흡수가 상당 부분 이루어진다.
또한, 수용부(237)와 중공부(235)가 어긋나게 배치됨에 의해, 그들이 일치되게 배치되는 경우에서 제 1 부착층(230)의 종방향 강도가 약화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수용부(237)는 그의 폭(W')이 깊이(D')보다는 큰 크기를 가져서 중공부(235)에 비해 좌굴에 강하게 견디면서, 돌출부(215)와의 대응 면적 확대에 의해 충격 흡수 역량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11을 참조하면, 팬(fan)(150)은 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100)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내부열을 식힐 수 있다.
공기 정화부(170)는 팬(fan)(150)의 후단에 연결되며, 팬(fan)(150)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공기 정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제 1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공기 정화부(33)는, 팬(fan)이 구동되어 생성되는 공기의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충돌판(33-1)와, 상기 제 1 충돌판(33-1)로부터 굴절각을 가지고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제 2 충돌판(3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각도와 상기 굴절각이 동일하여, 상기 제 2 충돌판(33-2)는 공기의 진행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충돌판(33-1, 33-2)는, 충돌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로드(미도시)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한편, 공기 정화부(33)는, 상기 제 1 충돌판(33-1)와 제 2 충돌판(33-2)의 연결점에 설치되고, 단면이 원호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제 1 추가 충돌판(33-3) 및 상기 제 1 상기 제 2 충돌판(33-1, 33-2)의 종단부에 설치되고, 그 단면이 원호형상인 제 2 추가 충돌판(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원호 형상의 차단 충돌판에 의하여 먼지들이 포집되고, 이것들이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떨어진 먼지들은 별도의 관(미도시)을 통해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에 따른 공기 정화부를 설명하기 위한 제 2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공기 정화부(33)는, 팬(fan)이 구동되어 생성되는 공기의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충돌판(35-1); 상기 제 1 충돌판(35-1)로부터 굴절각을 가지고 연장 형성되는 제 2 충돌판(35-2); 상기 제 1 충돌판(35-1)와 제 2 충돌판(35-2)의 연결점에 형성된 파이프(36)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36)의 내부로 고온 또는 저온의 액체 또는 기체가 흐를 수 있다. 이는,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100)의 내부 공기와 공기 정화부(33) 간의 온도 차이가 크게 나도록 하여, 먼지가 충돌판에 충돌할 경우 충돌판에 달라 붙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먼지가 충돌판에 달라붙지 않고 중력 방향으로 잘 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 1 추가 충돌판(35-3)는, 상기 제 1 충돌판(35-1)와 제 2 충돌판의 연결점에 설치되어서 먼지가 이 추가 충돌판에 충돌되어서 중력에 의해 제거 된다.
또한 제 2 추가 충돌판(35-4)가 상기 제 2 충돌판(35-2)의 종단부에 설치되어서 이 제 2 추가 충돌판(35-4)에 의해 먼지가 제거된다.
도 14는 도 11에 따른 공기 정화부의 추가 충돌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면, 추가 충돌판을 위쪽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한 쌍의 제 1 추가 충돌판(35-3)은 관성 돌기(312a')를 포함할 수 있고, 관성 돌기(312a')는 일측이 개구부인 원형 굴곡부(312b')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원형 굴곡부(312b')는, 입구가 좁게 형성되는 항아리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인입되는 경우 내부 굴곡 구조를 따라 회전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사이클론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와 관성 돌기(312a') 간의 충격 효율이 높아짐에 따라 먼지제거 효과도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먼지 제거 효과를 보다 향상하기 위해, 공기가 인입되는 원형 굴곡부(312b')의 굴곡면을 따라 갈고리 모양의 연장 돌기부(312c')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원형 굴곡부(312b')에 이어 갈고리 모양의 연장 돌기부(312c')에서 한번 더 사이클론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먼지 제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
110 : 통신부
120 : 저장부
130 : 실내 좌표 측정부
140 : 제어부
150 : 팬
160 : 공기 정화부

Claims (8)

  1. 실내에 설치된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부터 실내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와의 수신 신호세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 및 삼각 측정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 1 좌표를 연산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 세기 및 핑거프린팅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 2 좌표를 연산하는 실내 좌표 측정부;
    상기 실내 좌표 측정부에 의해 연산된 상기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오차가 설정된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제 1 좌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최종 좌표로 설정하고, 상기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오차가 설정된 범위 이외인 경우, 상기 제 1 좌표 및 상기 제 2 좌표의 중간값 또는 평균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최종 좌표로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통신부, 상기 실내 좌표 측정부,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통신부, 상기 실내 좌표 측정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기판을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방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방지재는,
    제1 영역을 한정하며, 광의 투과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층;
    상기 차단층의 두께보다 큰 값의 두께를 갖고, 상기 차단층에 부착되며, 상기 제1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제2 영역을 한정하며, 복수의 중공부가 매트릭스 배열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 1 부착층; 및
    상기 제 1 부착층에 부착되어 상기 복수의 중공부를 밀폐하고, 상기 제2 영역과 동일한 면적의 제3 영역을 한정하며, 상기 제 1 부착층보다 소프트한 특성을 갖는 제 2 부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 1 부착층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착층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를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는 상기 복수의 수용부 중 인접한 한 쌍의 수용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깊이는, 중공부의 폭보다 큰 크기를 갖고, 제 2 부착부는 중공형 볼 입자를 함유하고, 수용부의 폭은 중공부의 폭보다 큰 크기이고, 수용부의 높이는 중공부의 높이보다 작은 크기인,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상기 실내 좌표 측정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기판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의 내부열을 식히는 팬(fan); 및
    상기 팬(fan)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팬(fan)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 정화부를 더 포함하는,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는,
    상기 공기의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충돌판; 및
    상기 제 1 충돌판으로부터 굴절각을 가지고 연장 형성되는 제 2 충돌판;을 포함하는,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는,
    상기 제 1 충돌판과 제 2 충돌판 연결점에 설치되고, 단면이 원호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제 1 추가 충돌판; 및
    상기 제 1 충돌판의 종단부에 설치되고, 그 단면이 원호형상인 제 2 추가 충돌판을 더 포함하는,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는,
    상기 제 1 충돌판과 제 2 충돌판의 연결점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와 공기 정화부 간의 온도 차이를 생성하기 위해 내부로 고온 또는 저온의 액체 또는 기체가 흐르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에 설치되고, 단면이 원호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제 1 추가 충돌판; 및
    상기 제 1 충돌판의 종단부에 설치되고, 그 단면이 원호형상인 제 2 추가 충돌판을 더 포함하는,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



KR1020180150855A 2018-11-29 2018-11-29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 KR102237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855A KR102237518B1 (ko) 2018-11-29 2018-11-29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855A KR102237518B1 (ko) 2018-11-29 2018-11-29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595A KR20200064595A (ko) 2020-06-08
KR102237518B1 true KR102237518B1 (ko) 2021-04-07

Family

ID=7108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855A KR102237518B1 (ko) 2018-11-29 2018-11-29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5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315B1 (ko) * 2012-12-03 2013-05-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항법 기준국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864B1 (ko) * 2012-09-24 2020-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펠러 팬 및 이 프로펠러 팬을 사용한 공기조화장치
KR101603712B1 (ko) * 2014-05-14 2016-03-15 전자부품연구원 실내 측위 방법 및 시스템
KR101944360B1 (ko) * 2016-03-09 2019-02-0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검출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315B1 (ko) * 2012-12-03 2013-05-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항법 기준국용 데이터 송수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595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0678B2 (en) Estimating locations of mobile devices in a wireless tracking system
Rantakokko et al. Accurate and reliable soldier and first responder indoor positioning: Multisensor systems and cooperative localization
JP6202151B2 (ja) モバイルコンピュータ大気圧システム
US10031235B2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position detection system, and position detection method
WO2017154131A1 (ja) 測位装置および測位方法
JP6098211B2 (ja) 車両軌跡算出方法
US10539956B2 (en) Subsurface robotic mapping system and method
US20120232717A1 (en) Remote coordinate identifier system and method for aircraft
JP2010538243A (ja) 圧力センサを用いたgnssポジショニング
Shen et al. A DSRC Doppler/IMU/GNSS tightly-coupled cooperative positioning method for relative positioning in VANETs
ES2888625T3 (es) Sistema, dispositivo, nodo y método de seguimiento de un dispositivo
JP7034379B2 (ja) 車両測位装置
KR102237518B1 (ko) 삼각측정법 및 핑거프린팅기법을 활용한 실내위치 오차 보정장치
CN107270888A (zh) 一种测量经纬度的方法、装置和相机
KR101221931B1 (ko) 위성신호 미약 환경에서의 관성센서를 이용한 선박의 위성측정치 생성방법 및 장치
EP2345870A2 (en) On-board unit for vehicle telemetry
Choi et al. Sensor Localization System for AR-assisted Disaster Relief Applications (poster)
Jung et al. The novel impact point prediction of a ballistic target with interacting multiple models
KR101464652B1 (ko) 오차 보정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Matsuda et al. Cooperative navigation method of multiple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for wide seafloor survey—Sea experiment with two AUVs
JP200731576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Qian et al. Strong Tracking Particle Filter Based on the Chi-Square Test for Indoor Positioning.
KR101997106B1 (ko) 파일 읽기 속도 향상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
KR101957767B1 (ko) 다중 버전 백업 기능을 갖는 사설 클라우드 장치
Nagai et al. Fault-Free Integrity of Urban Driverless Vehicle Navigation with Multi-Sensor Integration: A Case Study in Downtown Chicag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