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062B1 -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062B1
KR102237062B1 KR1020150039220A KR20150039220A KR102237062B1 KR 102237062 B1 KR102237062 B1 KR 102237062B1 KR 1020150039220 A KR1020150039220 A KR 1020150039220A KR 20150039220 A KR20150039220 A KR 20150039220A KR 102237062 B1 KR102237062 B1 KR 102237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ipe
bush
circumferential surface
mou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9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850A (ko
Inventor
김운태
민윤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9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062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83Adjustable supports, e.g. the mounting or the characteristics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는 차체와 엔진을 연결하며, 상기 엔진을 지지하면서 차량의 주행 또는 정차 중, 상기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양단에 각각 제1 장착부와 제2 장착부가 형성되는 바디; 상기 제1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차체와 상기 바디를 상호 연결하고, 차량의 상태에 따라서 러버 부시의 회전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러버 부시의 특성값을 가변시키는 메인 부시유닛; 및 상기 제2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엔진과 상기 바디를 상호 연결하는 서브 부시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ROLL MOUNT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롤 마운트의 특성이 가변되도록 하여 차량의 전체적인 NVH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작동 중에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쇠시켜 최소한의 진동 및 소음이 차체에 전달되도록 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마운트를 개재시켜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마운트 중에서 엔진을 지지함과 동시에 NVH를 개선할 수 있도록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장착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롤 마운트 장치는 차체의 일측과 엔진의 일측 사이에서 그 차체와 엔진에 각각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롤 마운트 장치는 기본적으로 아웃터 파이프의 내측으로 인너 파이프가 배치되며, 아웃터 파이프와 인너 파이프 사이에는 진동 저감 기능을 하는 완충 러버가 중앙을 가로지르면서 아웃터 파이프와 인너 파이프에 가류 접착된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한편, 최근 들어 차량의 시동 온-오프 또는 공회전시 차체의 진동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소비자가 이를 인지하게 됨으로써 당 업계에서는 차량의 상품성 측면에서 상기한 차체 진동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차체 과다 진동 발생의 원인으로는 차량의 시동 시, 시동 폭발 가진에 의해 엔진의 롤 운동이 발생하고, 또한 이러한 롤 운동과 차량의 전후 방향 운동이 서로 중첩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차량의 시동 온-오프 또는 공회전시 차체의 과다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최근의 개선 사례로는 후방측 롤 마운트 부시의 각도를 변경하여 변속기의 롤 운동과 차량의 전후 방향 운동의 중첩을 배제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롤 마운트 장치는 차량의 엔진을 탈거해야만 마운트 작업이 가능하여 롤 마운트 부시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롤 마운트 부시의 각도 변경 작업이 복잡하고, 작업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부시의 각도를 제어하여 롤 마운트의 특성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주행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차량의 전체적인 NVH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는 차체와 엔진을 연결하며, 상기 엔진을 지지하면서 차량의 주행 또는 정차 중, 상기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양단에 각각 제1 장착부와 제2 장착부가 형성되는 바디; 상기 제1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차체와 상기 바디를 상호 연결하고, 차량의 상태에 따라서 러버 부시의 회전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러버 부시의 특성값을 가변시키는 메인 부시유닛; 및 상기 제2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엔진과 상기 바디를 상호 연결하는 서브 부시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 부시유닛은 상기 제1 장착부의 내주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러버 부시의 외주면이 접착되는 베어링; 상기 러버 부시의 중심에 외주면이 접착되는 부시 파이프; 및 상기 부시 파이프에 삽입되어 상기 차체에 볼트 체결되며, 상기 부시 파이프에 삽입되는 일단부에 작동수단이 구비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는 볼트헤드; 상기 볼트헤드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작동수단이 장착되는 파이프 형상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외주면 상에는 일정구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차체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볼트헤드와 결합되는 일단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의 개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연결부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볼트헤드를 향하는 일단 내주면 둘레에 링 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부시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는 컨트롤 파이프; 회전축이 상기 볼트헤드를 향해 배치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에 삽입된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 선단에 선 기어가 장착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링 기어와, 상기 선 기어의 사이에서 상기 선 기어를 중심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링 기어의 내측과 상기 선 기어에 각각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성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파이프는 외주면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시 파이프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여 내주면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러버 부시는 서로 마주하는 내부 양측에 작용홀이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작용홀에는 상기 러버 부시의 외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장착부와 상기 제2 장착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부시유닛은 상기 제2 장착부에 내주면이 압입되는 아웃터 파이프;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중심에 배치되는 인너 파이프; 및 상기 아웃터 파이프와 상기 인너 파이프의 사이에서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주면과 상기 인너 파이프의 내주면에 접착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러버 부시의 각도 제어를 통해 작용홀의 위치 변경하여 롤 마운트의 특성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주행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차량의 전체적인 NVH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 구동으로 작동하는 작동수단을 볼트에 내장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엔진과의 간섭 및 충돌을 방지하는 동시에, 차체의 내부에 구성하여 열 차폐 기능을 가짐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작동수단에 유성기어를 적용하여 보다 적은 동력으로 러버 부시를 회전시킴으로써, 응답성 향상을 통해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모터고장 시에는 작동수단이 구비된 볼트의 교체를 통해 수리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성 향상 및 정비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에 적용되는 볼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에 적용되는 작동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의 구성도 및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에 적용되는 볼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에 적용되는 작동수단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10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10)와 엔진(20)을 연결하며, 상기 엔진(20)을 지지하면서 차량의 주행 또는 정차 중, 상기 엔진(20)에서 발생하여 차체(10)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러한 롤 마운트 장치(100)는,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110), 메인 부시유닛(120), 및 서브 부시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바디(110)는 양단에 각각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장착부(111)와 제2 장착부(1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장착부(111)는 상기 차체(10)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장착부(113)는 엔진(113) 측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부시유닛(120)과 상기 서브 부시유닛(150)을 매개로 상기 바디(110)를 통해 차체(10)와 상기 엔진(20)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장착부(111)는 그 지름이 상기 제2 장착부(113)의 지름보다 큰 지름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부시유닛(120)은 상기 제1 장착부(111)에 장착되며, 상기 차체(10)와 상기 바디(110)를 상호 연결하고, 차량의 상태에 따라서 러버 부시(121)의 회전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러버 부시(121)의 강성에 대한 특성값을 가변시키게 된다.
상기 메인 부시유닛(120)은 베어링(B), 부시 파이프(123), 및 볼트(1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베어링(B)은 상기 제1 장착부(111)의 내주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러버 부시(121)의 외주면이 접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베어링(B)은 상기 제1 장착부(111)에 장착되는 상기 러버 부시(121)를 상기 제1 장착부(111)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러버 부시(121)는 서로 마주하는 내부 양측에 설정형상으로 형성되는 작용홀(122)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상기 작용홀(122)에는 상기 러버 부시(121)의 외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124)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시 파이프(123)는 상기 러버 부시(120)의 중심에 외주면이 접착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127)는 상기 부시 파이프(123)에 삽입되어 상기 차체(10)에 볼트 체결되며, 상기 부시 파이프(123)에 삽입되는 일단부에 작동수단(14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127)는,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헤드(129), 연결부(131), 및 체결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볼트헤드(129)는 상기 부시 파이프(123)로 삽입되는 볼트(127)를 상기 차체(10)에 체결하도록 전용공구를 통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각형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육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131)는 상기 볼트헤드(129)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작동수단(140)이 내, 외부에 장착되도록 중공의 원통형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31)는 상기 볼트헤드와 결합되는 일단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의 개구홈(1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131)의 원주방향을 따라 120°각도로 이격되어 3 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홈(133)의 기능은 후술되는 작동수단(140)의 세부구성을 설명하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135)는 상기 연결부(131)의 타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외주면 상에는 일정구간 나사산(N)이 형성되어 상기 차체(10)에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수단(140)은 컨트롤 파이프(141), 구동모터(145), 및 유성기어(1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컨트롤 파이프(141)는 상기 연결부(131)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131)의 외주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볼트헤드(129)를 향하는 일단 내주면 둘레에 링 기어(14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시 파이프(123)의 내부로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파이프(141)는 외주면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돌기(14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시 파이프(123)는 상기 가이드 돌기(142)에 대응하여 내주면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1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 파이프(141)는 상기 부시 파이프(123)에 삽입될 경우, 각각의 가이드 돌기(142)가 상기 가이드 홈(125)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부시 파이프(123)와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컨트롤 파이프(141)의 회전 시에 상기 부시 파이프(123)도 함께 회전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모터(145)는 회전축이 상기 볼트헤드(129)를 향해 배치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13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 선단에 선 기어(144)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동모터(145)는 그 회전수 및 회전방향의 변경이 가능한 스텝모터 또는 서보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성기어(147)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131)에 형성된 개구홈(133)에 대응하여 3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유성기어(147)들은 상기 링 기어(143)와, 상기 선 기어(144)의 사이에서 상기 선 기어(144)를 중심으로 각각의 개구홈(133)의 위치에 맞게 이격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147)들은 각각의 상기 개구홈(133)으로부터 외측이 일정부분 돌출됨으로써, 상기 링 기어(143)의 내측과 상기 선 기어(144)에 각각 치합되어 상기 구동모터(145)의 작동에 의해 선 기어(144)를 통해 전달된 회전력을 링 기어(143)에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작동수단(140)은 상기 구동모터(145)의 회전축이 정, 역방향으로 회전 작동을 하여 선 기어(144)가 회전되면, 상기 선 기어(144)의 회전력을 유성기어(147)들이 링 기어(143)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컨트롤 파이프(141)를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부시 파이프(123)는 상기 컨트롤 파이프(141)와 상호 결합된 상태로, 상기 컨트롤 파이프(141)와 함께 회전된다.
이러한 작동을 통하여 상기 작동수단(140)은 상기 러버 부시(121)에 형성된 작동홀(122)과 돌출부(124)의 위치를 상기 볼트(127)를 기준으로 설정각도로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성기어(147)들은 상기 선 기어(144)의 회전력을 상기 링 기어(143)에 전달하게 되며, 구동모터(145)의 작은 회전 동력으로도 러버 부시(121)를 원활하게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부시유닛(150)은 상기 제2 장착부(113)에 장착되며, 상기 엔진(20)과 상기 바디(110)를 상호 연결한다.
이러한 서브 부시유닛(150)은 상기 제2 장착부(113)에 내주면이 압입되는 아웃터 파이프(151)와, 상기 아웃터 파이프(151)의 중심에 배치되는 인너 파이프(153)와, 상기 아웃터 파이프(151)와 상기 인너 파이프(153)의 사이에서 상기 아웃터 파이프(151)의 내주면과 상기 인너 파이프(153)의 내주면에 접착되어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인슐레이터(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서브 부시유닛(150)은 체결볼트를 통해 엔진(20)의 일측에 연결된다.
이러한 서브 부시유닛(150)은 일반적인 인슐레이터 부시로 이루어지므로, 이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100)는 상기 메인 부시유닛(120)과 서브 부시유닛(150)이 바디(110)의 제1, 제2 장착부(111, 113)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체(10)와 엔진(20)을 상호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른 차체(10)의 요구 강성에 따라서, 러버 부시(121)의 작용홀(122)과 돌출부(124)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러버 부시(121)를 상기 작동수단(140)의 작동을 통해 상기 러버 부시(121)를 설정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100)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차량이 시동 온/오프, 급 발진, 및 급선회 할 경우, 상기 러버 부시(121)는, 도 6의 (S1)과 같이, 각 작용홀(122)과 돌출부(124)가 상기 바디(110)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의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초기 장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작동수단(140)은 작동되지 않게 되며, 러버 부시(121)는 고강성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이 저중속으로 주행할 경우, 상기 작동수단(140)은 구동모터(145)를 작동시켜 선 기어(144)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링 기어(143)는 상기 선 기어(14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각각의 유성기어(147)들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컨트롤 파이프(123)를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컨트롤 파이프(123)와 함께 회전되는 부시 파이프(123)에 의해 러버 부시(121)가 일정각도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러버 부시(121)는 베어링(B)을 통해 제1 장착부(111)의 내주면에 장착됨으로써, 작동수단(140)의 작동에 따라 제1 장착부(111)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상기 작용홀(122)과 각각의 상기 돌출부(124)는, 도 6의 (S2)와 같이, 상기 바디(110)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러버 부시(121)가 중강성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의 정차에 따른 아이들, 및 고속 주행할 경우, 상기 작동수단(140)은 다시 구동모터(145)를 작동시켜 선 기어(144)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링 기어(143)는 상기 선 기어(14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각각의 유성기어(147)들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컨트롤 파이프(141)를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더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컨트롤 파이프(141)와 함께 회전되는 부시 파이프(123)에 의해 러버 부시(121)가 일정각도 더 회전된다.
그러면, 각각의 상기 작용홀(122)과 각각의 상기 돌출부(124)는, 도 6의 (S3)와 같이, 상기 바디(110)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의 폭 방향 좌, 우측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러버 부시(121)가 저강성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100)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작동수단(140)의 작동을 통하여 러버 부시(121)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상기 작용홀(122)과 돌출부(124)의 위치변경을 통하여 러버 부시(121)의 강성을 가변시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차체 진동 및 소음을 개선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100)를 적용하면,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러버 부시(121)의 각도 제어를 통해 작용홀(122)의 위치 변경하여 롤 마운트의 특성이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주행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차량의 전체적인 NVH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 구동으로 작동하는 작동수단(140)을 볼트(129)에 내장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엔진(20)과의 간섭 및 충돌을 방지하는 동시에, 차체(10)의 내부에 구성하여 열 차폐 기능을 가짐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수단(140)에 유성기어(147)를 적용하여 보다 적은 동력으로 러버 부시(121)를 회전시킴으로써, 응답성 향상을 통해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모터고장 시에는 작동수단(140)이 구비된 볼트(127)의 교체를 통해 수리가 가능하여 유지 보수성 향상 및 정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차체 20 : 엔진
100 : 롤 마운트 장치 110 : 바디
111 : 제1 장착부 113 : 제2 장착부
120 : 메인 부시유닛 121 : 러버 부시
122 : 작용홀 123 : 부시 파이프
124 : 돌출부 125 : 가이드 홈
127 : 볼트 129 : 볼트헤드
131 : 연결부 133 : 개구홈
135 : 체결부 140 : 작동수단
141 : 컨트롤 파이프 142 : 가이드 돌기
143 : 링 기어 144 : 선 기어
145 : 구동모터 147 : 유성기어
150 : 서브 부시유닛 151 : 아웃터 파이프
153 : 인너 파이프 155 : 인슐레이터

Claims (10)

  1. 차체와 엔진을 연결하며, 상기 엔진을 지지하면서 차량의 주행 또는 정차 중, 상기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양단에 각각 제1 장착부와 제2 장착부가 형성되는 바디;
    상기 제1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차체와 상기 바디를 상호 연결하고, 차량의 상태에 따라서 러버 부시의 회전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러버 부시의 특성값을 가변시키는 메인 부시유닛; 및
    상기 제2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엔진과 상기 바디를 상호 연결하는 서브 부시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 부시유닛은
    상기 제1 장착부의 내주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러버 부시의 외주면이 접착되는 베어링;
    상기 러버 부시의 중심에 외주면이 접착되는 부시 파이프; 및
    상기 부시 파이프에 삽입되어 상기 차체에 볼트 체결되며, 상기 부시 파이프에 삽입되는 일단부에 작동수단이 구비되는 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는
    볼트헤드;
    상기 볼트헤드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작동수단이 장착되는 파이프 형상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단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외주면 상에는 일정구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차체에 체결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볼트헤드와 결합되는 일단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로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의 개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연결부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볼트헤드를 향하는 일단 내주면 둘레에 링 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부시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는 컨트롤 파이프;
    회전축이 상기 볼트헤드를 향해 배치된 상태로, 상기 연결부에 삽입된 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 선단에 선 기어가 장착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링 기어와, 상기 선 기어의 사이에서 상기 선 기어를 중심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링 기어의 내측과 상기 선 기어에 각각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성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파이프는
    외주면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 파이프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여 내주면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부시는
    서로 마주하는 내부 양측에 작용홀이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작용홀에는 상기 러버 부시의 외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와 상기 제2 장착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부시유닛은
    상기 제2 장착부에 내주면이 압입되는 아웃터 파이프;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중심에 배치되는 인너 파이프; 및
    상기 아웃터 파이프와 상기 인너 파이프의 사이에서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주면과 상기 인너 파이프의 내주면에 접착되는 인슐레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
KR1020150039220A 2015-03-20 2015-03-20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 KR102237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220A KR102237062B1 (ko) 2015-03-20 2015-03-20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9220A KR102237062B1 (ko) 2015-03-20 2015-03-20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850A KR20160112850A (ko) 2016-09-28
KR102237062B1 true KR102237062B1 (ko) 2021-04-06

Family

ID=5710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220A KR102237062B1 (ko) 2015-03-20 2015-03-20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969B1 (ko) 2016-12-05 2022-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 관절 서포트 브라켓 일체형 엔진마운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5677B1 (ko) * 1993-08-30 1998-08-17 전성원 자동차 엔진의 마운트 구조
KR100192301B1 (ko) * 1996-12-19 1999-06-15 정몽규 자동차의 파워플랜트 마운팅부시
KR19980051410A (ko) * 1996-12-23 1998-09-15 김영귀 차량 엔진마운팅용 부시
KR100552783B1 (ko) * 2004-06-22 2006-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로어암의 수직 관통형 부시
KR20090039995A (ko) * 2007-10-19 2009-04-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US8225699B2 (en) * 2009-08-14 2012-07-24 Tai-Her Yang Sun gear coaxially driven screw and nut structure
KR20110096265A (ko) * 2010-02-22 2011-08-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회전특성저감형 부시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850A (ko)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432B1 (ko) 차량의 회전축의 지지 구조
US9586457B2 (en) Active rotary stabilizer and stabilizer bar link assembly for vehicle
US8272981B2 (en) Pulley assembly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2017465B1 (ko) 스테빌라이저용 클러치장치
CN203627744U (zh) 扭矩波动减小装置
KR102237062B1 (ko) 차량용 롤 마운트 장치
KR101576382B1 (ko) 기어 박스
CN104653646B (zh) 传动轴及应用其的汽车
KR20190083831A (ko) 자동차 시트 슬라이드용 기어박스
CN104791415A (zh) 一种动力盘及使用该动力盘的扭转减振器、传动系统和汽车
KR101655477B1 (ko) 랙 어시스트식 전동 조향장치의 볼너트유닛
KR20150002056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JP4540253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KR101574807B1 (ko)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댐핑장치
CN205149529U (zh) 降低车辆传动轴震动的安装结构
KR102545404B1 (ko)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저
CN210660313U (zh) 发动机组件和车辆
KR0145677B1 (ko) 자동차 엔진의 마운트 구조
KR102452683B1 (ko) 강성 가변 롤마운트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1293577B1 (ko) 드라이브 샤프트의 진동감쇠장치
CN105235505A (zh) 一种降低车辆传动轴震动的安装结构
KR102461612B1 (ko) 액티브 롤 스테빌라이저
JP5907020B2 (ja) オートテンショナ
CN105179081A (zh) 一种发动机前端轮系
CN111120571B (zh) 一种曲轴隔振减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