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330B1 - 도어락을 포함하는 다기능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락을 포함하는 다기능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330B1
KR102236330B1 KR1020190077199A KR20190077199A KR102236330B1 KR 102236330 B1 KR102236330 B1 KR 102236330B1 KR 1020190077199 A KR1020190077199 A KR 1020190077199A KR 20190077199 A KR20190077199 A KR 20190077199A KR 102236330 B1 KR102236330 B1 KR 102236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or
control unit
spac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5618A (ko
Inventor
백성
Original Assignee
서한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서한정보통신(주)
Publication of KR20200145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부를 통과한 대상물의 공간부 내 진입을 인식하는 장치로서, 공간부의 내부에는 대상물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부, 공간부의 내부 온도 및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인식부 및 공간부의 내부에 위치한 대상물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2 인식부를 포함하고, 도어부와 연결되고 도어부의 개방에 대응하여 촬상부, 제1 인식부 및 제2 인식부에 각각 대상물의 영상, 온도 및 움직임의 측정을 지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도어부의 개방 시 도어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통해 도어부의 개방을 알리는 개방 알림 단계, 제어부와 연결된 제1 인식부, 제2 인식부 및 촬상부에게 대상물의 온도, 움직임 및 영상의 측정 및 촬영을 지시하는 스캔 단계, 대상물의 온도. 움직임 및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아 대상물의 공간부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대상물의 공간부 진입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에서 도어부의 폐쇄 및 알람의 구동을 지시하는 방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대상물에 대한 감지 정확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락을 포함하는 다기능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MULTI-FUNCTIONAL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HAVING DOOR LOCK}
본 발명은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어락을 이용한 도어의 개폐 및 대상물의 진입을 다중 파악하여 보다 견고한 보안 체계를 이룰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도어락은 그 자체로 도어락이나 근래에는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로써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홈네트워크란 TV, 냉장고, 에어컨 등 집안의 가전제품과 안방, 부엌 , 거실, 현관 등 집안의 각 공간을 인터넷을 통해 연결, 정보를 전달해 휴대전화 등을 통해서도 작동이 가능토록 하는 미래형 가전시스템을 말한다. 홈네트워크는 가정 내의 정보가전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돼 기기,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가 이뤄지는 미래 가정환경인 '디지털 홈'을 구성하는 것이다. 홈네트워크를 설치하면 방에 앉아서 초인종을 누른 사람과 세탁 종료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홈네트워크 체제에서 이용자는 PDA나 휴대폰으로 집에서 리모콘으로 TV를 조정하듯 외부에서 자신의 집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퇴근 전에 사무실에서 집안 온도를 조정하고 바깥에서 신호를 통해 밥을 지을 수 있고 건강 검진도 자동으로 받아 볼 수 있게 된다.
종래에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이나 방법이 많이 제안되어 왔다. 예컨대, 선행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14647호)는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으로, 현관 출입자를 감지하여 조명 장치를 점등하거나 비상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비상 신호를 전송받아 처리하며, 방범모드를 설정/해제하는 홈게이트웨이와, 방범 모드시 상기 홈게이트웨이의 제어에 의해 현관 출입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부터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비상 신호를 전송받아 거주자의 단말기로 불법 침입이 발생된 사실을 알려주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종래의 보안 시스템의 경우 감지수단이 다중 형성되어 있지 않아 상기 감지수단의 파손 시 보안이 쉽게 뚫리는 문제점을 갖는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14647호 (2007. 2. 1. 공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대원의 귀가를 파악할 수 있고, 의도하지 않은 사람 등의 대상물이 진입한 경우 이를 다중으로 파악하여 알림으로써 보안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어부를 통과한 대상물의 공간부 내 진입을 인식하는 장치로서, 공간부의 내부에는 대상물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부, 공간부의 내부 온도 및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인식부 및 공간부의 내부에 위치한 대상물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2 인식부를 포함하고, 도어부와 연결되고 도어부의 개방에 대응하여 촬상부, 제1 인식부 및 제2 인식부에 각각 대상물의 영상, 온도 및 움직임의 측정을 지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부를 통과한 대상물의 공간부 내 진입을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도어부의 개방 시 도어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통해 도어부의 개방을 알리는 개방 알림 단계, 제어부와 연결된 제1 인식부, 제2 인식부 및 촬상부에게 대상물의 온도, 움직임 및 영상의 측정 및 촬영을 지시하는 스캔 단계, 대상물의 온도. 움직임 및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아 대상물의 공간부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대상물의 공간부 진입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에서 도어부의 폐쇄 및 알람의 구동을 지시하는 방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을 감지하는 어느 하나의 감지수단이 파손되어도 나머지 감지수단이 지속적으로 공간부 내 온도 또는 움직임을 파악하고, 진입한 대상물에 대한 알림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보안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물에 대한 감지 정확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도하지 않은 대상물을 공간부의 외부로 쫓을 수 있어 방범과 함께 강도 퇴치 기능까지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안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부 내 다기능 보안 장치 내 구성 및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부 내 다기능 보안 장치의 설치 및 대상물 감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안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 알림 단계, 스캔 단계 및 판단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 단계, 경보 단계 및 방법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이용자”는 공간부를 점유하고 사용하는 정당한 주체를 뜻하고, “대상물”은 “이용자”의 의도와 반하여 공간부를 침입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또한, “공간부”는 집에 구비된 방 등과 같이 밀폐된 공간을 지칭하며, “단말부”는 “이용자”가 휴대하여 공간부를 침입한 대상물에 대한 온도, 움직임 정보 및 영상을 제어부에 의해 제공 받는 구성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안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부(e) 내 다기능 보안 장치 내 구성 및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부(e) 내 다기능 보안 장치의 설치 및 대상물 감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안 시스템은 공간부(e)를 밀폐하는 도어에 대해 개폐를 실시하는 도어부(110), 공간부(e) 내부로 진입한 대상물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부(120), 공간부(e)의 내부 온도 및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인식부(130), 대상물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2 인식부(140), 대상물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50) 및 제어부(150)에 의해 구동되어 공간부(e)의 내부에 위치한 대상물에게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50)와 연결되어 대상물의 진입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는 단말부(180) 및 상기 제어부(150)와 단말부(180)를 연결하는 서버(170)를 포함한다.
도어부(110)는 도어와 연결되어 도어의 개폐를 실시함으로써 공간부(e)의 출입을 유도하는 구성이다. 또한, 도어부(110)는 공간부(e)로 진입하는 대상물의 진입 사실을 알리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도어부(110)는 도어락 등의 잠금수단으로 구비되고 후술할 제어부(150) 와 연결된다. 여기서 도어부(110)가 도어를 개방할 때, 개방 정보가 제어부(150)로 전송되고, 제어부(150)는 상기 개방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여 이를 통지한다. 여기서, 개방 정보는 대상물에 의해 도어부(110)가 개방된 시간 등의 정보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촬상부(120)는 공간부(e) 내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감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촬상부(120)는 카메라 등의 촬영 수단으로 구비되어 공간부(e) 내 위치하고, 공간부(e)의 내부에 위치한 대상물에 대한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한다. 상세하게, 촬상부(120)는 도어부(110)의 개방 이후 선술한 개방 정보를 수신 받은 제어부(150)는 촬상부(120)에 대상물의 촬영을 지시하고, 촬영부는 상기 대상물의 촬영 지시에 따라 공간부(e) 내부에 위치한 대상물의 영상을 촬영한다. 또한, 촬영부는 촬영된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50)에 회신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150)는 대상물의 영상을 추후에 단말부(180)로 전송하고, 이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공간부(e)로 진입한 대상물에 대한 파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촬상부(120)는 항시 녹화를 실시하거나, 제1 인식부(130) 및 제2 인식부(140)를 통해 대상물이 인식되는 경우에 한하여 구동될 수 있다.
제1 인식부(130)는 공간부(e)의 내부 온도를 인식함과 동시에, 공간부(e)의 내부로 진입한 대상물의 온도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제1 인식부(130)는 공간부(e)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여 내설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인식부(130)는 공간부(e)가 방으로 구비되는 경우 바닥 부분에 내설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열선 센서 또는 열감지 카메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인식부(130)는 도어부(110)의 개방에 따라 실시되는 제어부(150)의 온도 측정 지시에 따라 공간부(e)의 내부 온도 및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고, 대상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50)에 회신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150)는 수신한 대상물의 온도를 기반으로 미리 정해진 판단 규칙(r)을 통해 대상물의 출입을 판단한다. 또한, 제1 인식부(130)에서 측정된 대상물의 온도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50)에서 대상물의 출입으로 판단했을 때 단말부(180)로 전송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공간부(e)로 진입한 대상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짐작하거나 인식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한 대상물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다.
제2 인식부(140)는 제1 인식부(130)와 동일하게 공간부(e) 내 대상물을 감지하는 수단이다. 상세하게, 제2 인식부(140)는 공간부(e)의 내부로 진입한 대상물이 움직일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50)로 알린다. 보다 상세하게, 제2 인식부(140)는 도어부(110)의 개방에 대응하여 제어부(150)에 의해 대상물의 움직임 측정을 지시 받고, 이에 기반하여 대상물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제어부(150)로 회신한다. 이를 위해, 제2 인식부(140)는 동작 감지 센서로 구비되어 공간부(e) 내에 위치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2 인식부(140)는 공간부(e)의 천장 부분에 위치하여 공간부(e) 전체에 대한 대상물의 진입 및 움직임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제2 인식부(140)가 구비됨으로써, 이용자는 공간부(e) 내 대상물의 크기 및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선술한 대상물이 이용자 외의 사람일 경우, 제2 인식부(140)를 통해 측정된 대상물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물의 공간부(e) 내 경로 및 행동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신속하게 대상물의 공간부(e) 출입에 대한 신고를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도어부(110)의 개방을 파악하고, 선술한 제1 인식부(130), 제2 인식부(140) 및 촬상부(120)를 통해 대상물의 진입 사실을 인지하며, 이를 단말로 전송하여 통지한다. 즉, 제어부(150)는 대상물의 출입을 인식 및 통지한다. 상세하게, 제어부(150)는 도어부(110)의 개방에 대응하여 촬상부(120), 제1 인식부(130) 및 제2 인식부(140)에게 각각 대상물의 영상, 온도 및 움직임을 촬영 및 측정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상기 촬상부(120), 제1 인식부(130) 및 제2 인식부(140)로부터 상기 대상물의 영상, 온도 및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아 미리 저장된 판단 규칙(r)에 기반하여 대상물의 출입을 판단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제1 인식부(130), 제2 인식부(140), 촬상부(120), 서버(170) 및 단말부(180)와 연결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대상물의 진입 사실을 후술할 서버(170) 및 단말로 전송하고, 대상물의 공간부(e) 진입에 대한 판단이 완료된 이후 분사부(160)를 구동하여 유체를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대상물의 인식 및 이에 따른 대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공간부(e)에 대한 보안을 한층 강화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어부(150)는 미리 저장된 판단 규칙(r)을 포함한다. 종래의 도어락을 포함하는 보안 장치의 경우, 대상물에 대한 하나 또는 두개로 구성되는 측정수단을 사용하여 대상물의 진입을 파악하는데, 상기 측정수단이 오류를 일으키는 경우 대상물에 대한 진입 자체를 파악할 수 없어 보안 체계 자체가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판단 규칙(r)을 통한 대상물의 진입 판단을 개시한다. 판단 규칙(r)은 대상물이 공간부(e)로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된다. 이를 위해, 판단 규칙(r)은 미리 결정되어 제어부(150) 내 저장된다. 또한, 판단 규칙(r)은 제1 인식부(130)에서 측정한 온도에 대한 제1 규칙(r1) 및 제2 인식부(140)에서 측정한 대상물의 움직임에 대한 제2 규칙(r2)을 포함한다.
제1 규칙(r1)은 대상물의 온도 및 공간부(e)의 내부 온도를 비교하여 대상물의 진입을 판단한다. 상세하게, 제어부(150)는 미리 저장된 기준 온도차를 포함하고, 제1 인식부(130)를 통해 회신된 대상물의 온도 및 공간부(e)의 내부 온도의 차이를 산출하여 상기 기준 온도차와 비교한다.
기준 온도차가 제어부(150)로 회신된 대상물의 온도 및 공간부(e)의 내부 온도의 차이보다 큰 경우 대상물이 진입한 것이 아니라 햇빛, 히터 등의 발열체 또는 에어컨, 선풍기 등의 냉각체가 구동되어 온도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대상물의 진입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반면, 기준 온도차가 대상물의 온도 및 공간부(e)의 내부 온도의 차이보다 작은 경우, 대상물의 유입에 따른 온도 변화가 비교적 큰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대상물의 진입으로 판단하여 간주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대상물에 대한 온도에 대한 정보를 후술할 단말부(180)로 전달하고, 도어부(110)를 폐쇄하며 후술할 분사부(160)를 구동시켜 유체를 대상물에게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제2 규칙(r2)은 대상물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대상물의 진입을 판단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미리 저장된 기준 속도를 포함하고, 제2 인식부(140)를 통해 회신된 대상물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비교한다. 상세하게, 제어부(150)는 기준 속도 및 제2 인식부(140)를 통해 측정된 대상물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비교한다. 여기서, 기준 속도는 5cm/s, 10cm/s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준 속도가 대상물의 속도보다 큰 경우 제어부(150)는 대상물의 진입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반면, 기준 속도가 대상물의 속도보다 작은 경우는 대상물이 공간부(e)의 내부로 들어와 이동하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대상물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단말부(180)로 전달하고, 제1 규칙(r1)과 동일하게 도어부(110)를 폐쇄하며 분사부(160)를 구동시켜 유체를 분사한다.
제어부(150)는 선술한 제1 규칙(r1) 및 제2 규칙(r2)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만 대상물의 온도, 움직임에 대한 정보 및 대상물이 촬영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단말부(180)로 전송하고 도어부(110)를 폐쇄한다. 상기와 같은 제1 규칙(r1) 및 제2 규칙(r2)을 포함하는 판단 규칙(r)을 통해 대상물의 진입을 판단함으로써, 대상물의 진입 판단에 대한 오차 및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분사부(160)는 대상물의 진입 시 유체를 분사하여 추가적인 진입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분사부(160)는 공간부(e) 내 위치한다. 또한, 분사부(160)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유체를 분사한다. 상세하게, 제1 인식부(130) 및 제2 인식부(140)에 의해 인식되고 제어부(150)가 대상물이 공간부(e)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분사부(160)는 제어부(150)에 의해 통제되어 소정의 유체를 분사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소정의 유체는 형광물질이 포함된 기체 또는 액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사부(160)의 분사에 의해 유체에 노출된 대상물을 추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장치는 서버(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170)는 도어부(110)의 개방 정보 및 진입한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150) 및 단말부(180)를 중개한다. 이를 위해, 서버(170)는 공간부(e)의 외부에 위치하는 별도의 데이터데이스 저장수단 및 중개수단으로 구비되고, 도어부(110)의 개방 시 도어부(110)로부터 개방 정보를 수신 받아 저장한다. 또한, 서버(170)는 제어부(150) 및 단말부(180)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실시하기 위해 블루투스 통신, 장거리 프로토콜 통신 등을 사용한다. 단말부(180)는 도어부(110)의 개방 정보 및 대상물의 진입 정보(이하, 대상물의 온도, 움직임에 대한 정보 및 대상물의 영상을 뜻함)를 확인하는 구성으로서, 이용자가 휴대하고 서버(170)를 통해 제어부(150)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구성을 통해, 진입한 대상물에 대한 알림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보안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대상물에 대한 감지 정확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보안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보안 방법은 개방 알림 단계(s100), 스캔 단계(s200), 판단 단계(s300) 및 방범 단계(s400)를 포함하고, 상기 개방 알림 단계(s100), 스캔 단계(s200), 판단 단계(s300) 및 방범 단계(s400)는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 알림 단계(s100), 스캔 단계(s200) 및 판단 단계(s3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개방 알림 단계(s100)는 도어부(110)의 개방 시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개방 알림 단계(s100)에서 도어부(110)는 개방됨과 동시에 제어부(150)를 향해 도어의 개방을 알린다. 상세하게, 도어부(110)는 개방 시 제어부(150)를 향해 개방 정보를 알리고, 개방 정보는 대상물에 의해 도어부(110)가 개방된 시간 등의 정보로 구성된다.
스캔 단계(s200)는 개방 알림 단계(s100) 이후에 실시되어 대상물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스캔 단계(s200)에서 제어부(150)는 촬상부(120), 제1 인식부(130) 및 제2 인식부(140)를 향해 각각 대상물의 영상을 촬영하고 대상물의 온도 및 대상물의 움직임(대상물의 속도를 뜻한다)을 측정하도록 지시하는 측정 지시 단계(s210)를 실시하고, 상기 측정 지시 단계(s210) 이후 촬상부(120), 제1 인식부(130) 및 제2 인식부(140)는 대상물의 영상, 대상물의 온도 및 대상물의 움직임을 각각 측정하는 측정 단계(s220)를 실시하며, 측정 단계(s220) 이후 촬상부(120), 제1 인식부(130) 및 제2 인식부(140)는 측정된 대상물에 대한 영상, 온도 정보 및 움직임 정보를 제어부(150)로 송신하는 회신 단계(s230)를 실시한다.
판단 단계(s300)는 스캔 단계(s200) 이후 실시되어 공간부(e)를 향한 대상물의 진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판단 단계(s300)는 선술한 제1 규칙(r1) 및 제2 규칙(r2)을 포함하는 판단 규칙(r)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진입 여부를 판단 및 간주한다. 만약 제어부(150)가 대상물이 공간부(e)로 진입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경우 도어부(110)를 폐쇄하지 않고 상태를 유지하며 제1 인식부(130), 제2 인식부(140) 및 촬상부(120)에게 측정 단계(s220)를 재실시하도록 지시한다. 반면 제어부(150)가 대상물이 공간부(e)를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후술할 방범 단계(s400), 분사 단계(s500) 및 경보 단계(s600)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범 단계(s400), 분사 단계(s500) 및 경보 단계(s6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방범 단계(s400)는 판단 단계(s300) 이후에 실시되는 단계로서, 대상물이 공간부(e)에서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공간부(e)의 내부 또는 공간부(e)의 근처에 위치한 사람들 또는 이용자에게 대상물의 침입을 인식하도록 알람을 울리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방범 단계(s400)에서 제어부(150)는 도어부(110)에게 도어의 폐쇄를 지시한다. 이에 따라, 도어부(110)는 공간부(e)의 외부로 나가기 위한 도어를 잠근다. 또한, 제어부(150)는 도어부(110)에게 알람의 구동을 지시한다. 상세하게, 도어부(110)에는 별도의 알람이 더 구비되고, 도어부(110)는 제어부(150)의 지시에 따라 알람을 구동하여 대상물의 침입 사실을 근처에 알린다. 여기서, 상기 알람은 벨 등의 소리를 이용한 경보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분사 단계(s500)는 방범 단계(s400) 이후에 실시된다. 상세하게, 분사 단계(s500)에서는 제어부(150)를 통해 제어되는 분사부(160)가 대상물에게 유체를 분사한다. 이를 통해, 대상물이 도어부(110)를 강제 개방하고 공간부(e)에서 탈출하더라도 용이하게 추적을 실시할 수 있다.
경보 단계(s600)는 단말부(180)를 향해 대상물의 침입 사실을 알리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경보 단계(s600)에서 제어부(150)는 대상물의 온도, 움직임에 대한 정보 및 대상물의 영상을 서버(170)를 이용하여 단말부(180)로 전달한다. 이를 통해, 공간부(e)의 외부에 위치한 이용자는 대상물의 진입 사실을 즉시 인지하여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선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도어부 120: 촬상부
130: 제1 인식부 140: 제2 인식부
150: 제어부 160: 분사부
170: 서버 180: 단말부
r: 판단 규칙 r1: 제1 규칙
r2: 제2 규칙 s100: 개방 알림 단계
s200: 스캔 단계 s300: 판단 단계
s400: 방범 단계 s500: 분사 단계
s600: 경보 단계

Claims (6)

  1. 도어부(110)를 통과한 대상물의 공간부(e) 내 진입을 인식하는 장치로서,
    상기 공간부(e)의 내부에는,
    상기 대상물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상부(120);
    상기 공간부(e)의 내부 온도 및 상기 대상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인식부(130); 및
    상기 공간부(e)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대상물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제2 인식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110)와 연결되고, 상기 도어부(110)의 개방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120), 제1 인식부(130) 및 제2 인식부(140)에 각각 상기 대상물의 영상, 온도 및 움직임의 측정을 지시하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측정된 상기 대상물의 온도 및 움직임을 대상으로 미리 저장된 판단 규칙(r)을 통해 상기 대상물의 상기 공간부(e)로의 진입을 판단하고,
    상기 대상물의 출입으로 판단 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도어부(110)에 폐쇄 및 알람을 지시하며,
    상기 미리 저장된 판단 규칙(r)은,
    산출된 상기 대상물의 온도 및 상기 공간부(e)의 내부 온도의 차이와 상기 제어부(150)에 미리 저장된 기준 온도차를 비교하는 제1 규칙(r1); 및
    상기 제어부(150)에 미리 저장된 기준 속도와 상기 대상물의 속도를 비교하는 제2 규칙(r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을 포함하는 다기능 보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e)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150)와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을 향해 소정의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을 포함하는 다기능 보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와 연결된 단말부(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110)는 개방될 시 상기 제어부(150)에 개방을 알리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도어부(110)의 개방 시 개방 정보를 형성하여 상기 단말부(18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을 포함하는 다기능 보안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가 상기 공간부(e)로의 진입으로 판단 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단말부(180)를 향해 상기 대상물의 영상을 포함한 상기 대상물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을 포함하는 다기능 보안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90077199A 2019-06-21 2019-06-27 도어락을 포함하는 다기능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KR102236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4006 2019-06-21
KR1020190074006 2019-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618A KR20200145618A (ko) 2020-12-30
KR102236330B1 true KR102236330B1 (ko) 2021-04-05

Family

ID=7408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199A KR102236330B1 (ko) 2019-06-21 2019-06-27 도어락을 포함하는 다기능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3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077B1 (ko) * 2013-09-27 2014-08-13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KR101579178B1 (ko) * 2015-07-30 2015-12-22 (주) 신영이엔티 지역 영상 및 온도 감지 데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통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537B1 (ko) 2005-07-29 2008-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방범 시스템
KR20190053577A (ko) * 2017-11-10 2019-05-20 최우재 창호 개폐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077B1 (ko) * 2013-09-27 2014-08-13 주식회사 삼에스코리아 창호를 위한 방범 시스템
KR101579178B1 (ko) * 2015-07-30 2015-12-22 (주) 신영이엔티 지역 영상 및 온도 감지 데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통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618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0274B2 (en) Monitoring system for securing networks from hacker drones
US8897433B2 (en) Security system with two-way communication and video
US10008107B2 (en) Method and surveillance system for detecting unwanted intrusion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devices
KR101213181B1 (ko) 보안기능이 강화된 도어록 시스템
KR20140077817A (ko) 홈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100091758A (ko) 감시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감시방법
AU2018275266A1 (en) Control access utilizing video analytics
US20220215725A1 (en) Integrated doorbell devices
KR101266937B1 (ko) 도어 개폐를 위한 스마트 장치, 도어 매니저 장치 및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JP3733924B2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
KR100857073B1 (ko)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2236330B1 (ko) 도어락을 포함하는 다기능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KR20140077428A (ko) 무선충전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90035369A (ko)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7201876A (ja) カメラ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カメラ
KR20170073904A (ko)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세대 방범시스템
KR101704466B1 (ko) 블랙박스 일체형 디지털도어록을 이용한 방범 관제시스템
KR20100035075A (ko) 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33390A (ko) 방범방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4367066B2 (ja) セキュリティ装置およびセキュリティ方法、並びに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366600Y1 (ko) 보안용 도어락 시스템
KR20060095684A (ko) 무인 감시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00463B1 (ko)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센서부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구역 자동 보안 설정 및 해제 시스템
JP2004104510A (ja) 監視システム
KR20150107456A (ko) 상황등급을 이용한 관제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