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175B1 - IPv6 주소 중에서 IID를 정의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IPv6 주소 중에서 IID를 정의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175B1
KR102236175B1 KR1020150116291A KR20150116291A KR102236175B1 KR 102236175 B1 KR102236175 B1 KR 102236175B1 KR 1020150116291 A KR1020150116291 A KR 1020150116291A KR 20150116291 A KR20150116291 A KR 20150116291A KR 102236175 B1 KR102236175 B1 KR 102236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id
node
sub
communication device
b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1654A (ko
Inventor
최영환
최윤철
홍용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16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175B1/ko
Priority to US15/147,030 priority patent/US10104038B2/en
Publication of KR20170021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1/605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038
    • H04L61/2084
    • H04L61/3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04Address structures or form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59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add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IPv6 주소 중에서 IID를 정의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IPv6 주소 중에서 IID 정의 방법은 IPv6 주소 중에서 IID에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IID에 제1 IID와 제2 IID를 정의하는 단계와, 노드 ID에 기초하여 상기 제1 IID에 제1 노드 ID를 할당하고, 상기 제2 IID에 제2 노드 ID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제1 IID에서 상기 제1 노드 ID를 제외한 영역인 제1 서브 IID 및 상기 제2 IID에서 상기 제2 노드 ID를 제외한 영역인 제2 서브 IID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통신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상황을 반영한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Pv6 주소 중에서 IID를 정의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METHOD OF DEFINING AN INTERFACE IDENTIFIER(IID) OF IPv6 ADDRESS, AND A COMMUNICATION DEVICE OPERATING THE SAME}
아래 실시예들은 IPv6 주소 중에서 IID를 정의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IPv6 주소는 상위 64비트 프리픽스(prefix) 주소와 하위 64비트 영역에 해당하는 IID(interface identifier)로 구성된다. IID는 장치(device) ID로 로컬 네트워크에서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IPv6 주소는 네트워크 식별을 위해 상위 64비트 프리픽스를 할당받아서, 총 128 비트 글로벌 유니크 주소를 형성한다.
하지만, IETF 6lo WG에서 개발 중인 저전력 장치 기반 IPv6 패킷 전송 방법 중에서 G.9959, NFC, MS/TP(Master-slave/Token-passing) 네트워크 전송 방법 기반 IPv6 패킷 전송을 위해 IPv6 IID를 생성하는 방법은 단순히 장치의 링크 계층 주소를 활용하되, 최하위 단위에 맞추는 방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NFC의 경우, 64비트 IID 영역의 앞 부분 58비트는 모두 0으로 채워지고, 나머지 6비트는 NFC 링크 계층 주소를 그대로 붙인다. MS/TP 및 G.9959 네트워크는 64비트 IID 중에서 하위 8비트 링크 주소를 그대로 사용한다.
실시예들은 IPv6 주소 생성시, IID 주소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로컬 네트워크를 확장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로컬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IPv6 주소 중에서 IID 정의 방법은 IPv6 주소 중에서 IID에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IID에 제1 IID와 제2 IID를 정의하는 단계와, 노드 ID에 기초하여 상기 제1 IID에 제1 노드 ID를 할당하고, 상기 제2 IID에 제2 노드 ID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제1 IID에서 상기 제1 노드 ID를 제외한 영역인 제1 서브 IID 및 상기 제2 IID에서 상기 제2 노드 ID를 제외한 영역인 제2 서브 IID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통신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상황을 반영한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드 ID는 상기 제1 노드 ID와 상기 제2 노드 ID의 합에 기초할 수 있다.
상기 노드 ID에 기초하여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 ID가 짝수 n비트일 때, 상기 n비트의 반을 상기 제1 노드 ID에 할당하고, 상기 n비트의 나머지 반을 상기 제2 노드 ID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드 ID에 기초하여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 ID가 홀수 n비트일 때, 상기 노드 ID에 이진수를 추가해서 짝수 n+1비트로 변경하고, 상기 n+1비트의 반을 상기 제1 노드 ID에 할당하고, 상기 n+1비트의 나머지 반을 상기 제2 노드 ID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 상황을 반영한 정보는 0 또는 난수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상황을 반영한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장치가 직접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때, 상기 제1 서브 IID 및 상기 제2 서브 IID 각각에 0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상황을 반영한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장치가 애드혹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때, 상기 제1 서브 IID 및 상기 제2 서브 IID 각각에 난수 값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상황을 반영한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장치가 이웃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때, 상기 제1 서브 IID 및 상기 제2 서브 IID 각각에 난수 값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IID에 할당되는 난수 값은 상기 이웃 네트워크 내 주소 관리 서버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서브 IID에 할당되는 난수 값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웃 네트워크 내 단말 장치들과의 주소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서브 IID에 할당되는 난수 값은 상기 단말 장치들의 주소 정보와 비교하여 중복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는 통신 모듈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IPv6 주소 중에서 프리픽스를 획득하고, IPv6 주소 중에서 IID에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IID에 제1 IID와 제2 IID를 정의하는 주소 생성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소 생성 장치는 노드 ID에 기초하여 상기 제1 IID에 제1 노드 ID를 할당하고, 상기 제2 IID에 제2 노드 ID를 할당하고, 상기 제1 IID에서 상기 제1 노드 ID를 제외한 영역인 제1 서브 IID 및 상기 제2 IID에서 상기 제2 노드 ID를 제외한 영역인 제2 서브 IID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통신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상황을 반영한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노드 ID는 상기 제1 노드 ID와 상기 제2 노드 ID의 합에 기초할 수 있다.
상기 주소 생성 장치는 상기 노드 ID가 짝수 n비트일 때, 상기 n비트의 반을 상기 제1 노드 ID에 할당하고, 상기 n비트의 나머지 반을 상기 제2 노드 ID에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주소 생성 장치는 상기 노드 ID가 홀수 n비트일 때, 상기 노드 ID에 이진수를 추가해서 짝수 n+1비트로 변경하고, 상기 n+1비트의 반을 상기 제1 노드 ID에 할당하고, 상기 n+1비트의 나머지 반을 상기 제2 노드 ID에 할당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 상황을 반영한 정보는 0 또는 난수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주소 생성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가 직접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때, 상기 제1 서브 IID 및 상기 제2 서브 IID 각각에 0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주소 생성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가 애드혹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때, 상기 제1 서브 IID 및 상기 제2 서브 IID 각각에 난수 값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주소 생성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가 이웃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때, 상기 제1 서브 IID 및 상기 제2 서브 IID 각각에 난수 값을 할당하고, 상기 제1 서브 IID에 할당되는 난수 값은 상기 이웃 네트워크 내 주소 관리 서버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주소 생성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서브 IID에 할당되는 난수 값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웃 네트워크 내 단말 장치들과의 주소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서브 IID에 할당되는 난수 값은 상기 단말 장치들의 주소 정보와 비교하여 중복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소 생성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IPv6 주소에서 IID를 정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네트워크 연결 상황을 반영한 정보를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 상황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장치의 제1 서브 IID 및 제2 서브 IID에 할당되는 값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c에 도시된 네트워크 상황에서 주소 중복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의 모듈(module)이라 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명칭에 따른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한 기능과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한 기능과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탑재된 전자적 기록 매체, 예를 들어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듈이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및/또는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각 모듈은 장치로 불릴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 10)는 통신 모듈(communication module; 100) 및 주소 생성 장치(address generation device; 2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는 저전력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는 G.9959, MS/TP, NFC와 같은 저전력 유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기술에 기반한 통신 장치일 수 있다. 통신 장치(10)는 PC(personal computer), 데이터 서버, 또는 휴대용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장치는 랩탑(laptop) 컴퓨터, 이동 전화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MI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휴대용 게임 콘솔(handheld game console), e-북(e-book),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또는 스마트 밴드(smart band)로 구현될 수 있다.
주소 생성 장치(200)는 IPv6 주소 중에서 IID(Interface Identifier)를 정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v6 주소는 64비트 길이의 프리픽스(Prefix)와 나머지 64비트 길이의 IID(Interface Identifier)의 두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리픽스는 통신 장치(10)가 전세계 네트워크로부터 식별되기 위한 주소 값이고, IID는 링크 로컬 네트워크에서 식별되기 위해 주소 값일 수 있다. 이에, 통신 장치(10)는 프리픽스와 IID를 구성하여 전세계적으로 식별이 가능한 글로벌 유니크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리픽스는 로컬 네트워크 단위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값이고, IID는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 장치들(또는 단말들) 간에 식별을 위해 생성되는 주소 값일 수 있다.
주소 생성 장치(200)는 통신 모듈(100)을 통해 IPv6 주소 중에서 프리픽스를 통신 장치(10)와 통신 가능한 상위 연결 장치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즉, 프리픽스는 상위 연결 장치로부터 주어지는 주소 값일 수 있다.
상위 연결 장치는 라우터를 포함하는 AP(access point), 기지국(base station), 동글(dongl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글은 USB 동글, 블루투스 동글, NFC 동글, 미라캐스트 동글 등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모든 무선 동글을 의미할 수 있다. 상위 연결 장치는 통신 장치(10)에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소 생성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IPv6 주소에서 IID를 정의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주소 생성 장치(200)는 컨트롤러(controller; 210) 및 난수 발생기(random number generator; 2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IID에 미리 결정된 위치의 미리 결정된 값(255)에 기초하여 제1 IID(253)와 제2 IID(257)를 IID에 정의할 수 있다.
IPv6의 IID는 IEEE EUI-64 Identifier의 표준을 따르기 때문에, IID에 미리 결정된 위치의 미리 결정된 값(255)은 “FFFE(16)”일 수 있다. “FFFE(16)”는 IID의 64 비트 영역 중에서 가운데 16비트일 수 있다.
즉, IID에는 미리 결정된 위치의 미리 결정된 값(255)을 기준으로 총 두 개의 24비트 영역인 제1 IID(253)와 제2 IID(257)가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통신 장치(10)의 노드 ID(Node ID)에 기초하여 제1 IID(253)에 제1 노드 ID(Node ID_1)를 할당하고, 제2 IID(257)에 제2 노드 ID(Node ID_2)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 ID는 통신 장치(10)의 장치 ID, 예를 들어 하위 물리 계층의 링크 로컬 식별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노드 ID(Node ID)를 n비트로 가정한다.
일 예로, n이 짝수일 때, 컨트롤러(210)는 짝수 n비트를 2등분하여 이등분된 앞 n/2 비트를 제1 노드 ID(Node ID_1)에 할당하고, 나머지 n/2 비트를 제2 노드 ID(Node ID_2)에 할당할 수 있다.
다른 예로, n이 홀수일 때, 컨트롤러(210)는 이진수 '0(2)'을 노드 ID(Node ID) 에 추가해서 n=n+1의 짝수 비트로 변경하고, 짝수 n비트를 2등분하여 이등분된 앞 n/2 비트를 제1 노드 ID(Node ID_1)에 할당하고, 나머지 n/2 비트를 제2 노드 ID(Node ID_2)에 할당할 수 있다.
즉, 노드 ID(Node ID)는 제1 노드 ID(Node ID_1)와 제2 노드 ID(Node ID_2)의 합에 기초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10)는 제1 IID(253)에서 제1 노드 ID(Node ID_1)를 제외한 영역인 제1 서브 IID(sub-IID 1) 및 제2 IID(257)에서 제2 노드 ID(Node ID_2)를 제외한 영역인 제2 서브 IID(sub-IID 2)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네트워크 연결 상황을 반영한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47 일 때, 컨트롤러(210)는 (24-n/2) 비트의 제1 서브 IID(sub-IID 1)와 (24-n/2) 비트의 제2 서브 IID(sub-IID 2) 각각을 제1 IID(253)와 제2 IID(257) 각각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IID(sub-IID 1)와 제2 서브 IID(sub-IID 2)는 가변 길이 주소 영역일 수 있다.
난수 발생기(230)는 컨트롤러(210)의 제어에 따라 0 또는 난수를 생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 상황을 반영한 정보는 0 또는 난수로 표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네트워크 연결 상황에 따라 난수 발생기(230)를 통해 생성한 0 또는 난수를 제1 서브 IID(sub-IID 1) 및 제2 서브 IID(sub-IID 2)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할당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가 난수 발생기(230)를 통해 생성한 0 또는 난수를 제1 서브 IID(sub-IID 1) 및 제2 서브 IID(sub-IID 2)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할당하여 IID를 생성함으로써, 통신 장치(10)는 다른 복수의 전자 장치들의 IID들 간의 중복을 회피할 수 있다.
상술한 IID 정의(또는 생성) 방법은 OSI 7계층의 2계층으로부터 획득하는 노드 ID, 예를 들어 하위 물리 계층 주소의 길이가 48 비트 이하인 모든 저전력 유무선 전송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저전력 유무선 네트워크 기반 IPv6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술한 IID 정의(또는 생성) 방법을 통해 IID 영역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에 따라 보다 많은 단말 장치들이 참여 가능한 응용 서비스가 가능해질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네트워크 연결 상황을 반영한 정보를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연결 상황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10)는 제1 서브 IID(sub-IID 1) 및 제2 서브 IID(sub-IID 2)에 수학식 1과 같이 네트워크 연결 상황을 반영한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Figure 112015079996189-pat00001
통신 장치(10)는 네트워크, 예를 들어 저전력 유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10)는 AP(access point; 300)에 직접 연결되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AP(300)는 디폴트 액세스 라우터일 수 있다. 이때, 통신 장치(10)는 프리픽스 값만 AP(300)로부터 획득하면 유일한 IPv6를 만들 수 있어서, 제1 서브 IID(sub-IID 1) 및 제2 서브 IID(sub-IID 2)에 따로 값을 할당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그러므로, 통신 장치(10)는 제1 서브 IID(sub-IID 1) 및 제2 서브 IID(sub-IID 2)에 (sub-IID 1, sub-IID 2) = (0, 0)와 같이 할당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들(10, 400-1, 및 400-2)은 애드혹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각 장치(10, 400-1, 및 400-2)는 다른 네트워크의 이웃 단말 장치와 연결이 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단말 장치(400-1 및 400-2)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장치(10)의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각 장치(10, 400-1, 및 400-2)는 애드혹 네트워크 내 장치들 간에 유일성을 보장하기 위해 네트워크 연결 전에 난수 값을 발생하여 제1 서브 IID(sub-IID 1) 및 제2 서브 IID(sub-IID 2)에 (sub-IID 1, sub-IID 2) = (XR, YR)와 같이 할당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10)는 단말 장치(500-1)에 연결되어 이웃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단말 장치들(500-1~500-4)은 이웃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단말 장치들(500-1~500-4)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통신 장치(10)의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단말 장치들(500-1~500-4)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내의 단말 장치들의 주소정보를 가지는 주소 관리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는 단말 장치(500-1)에 연결되어 이웃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종속되는 경우 단말 장치들(500-1~500-4)과의 주소 중복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통신 장치(10)는 제1 서브 IID(sub-IID 1) 및 제2 서브 IID(sub-IID 2)에 (sub-IID 1, sub-IID 2) = (XNS, YR)와 같이 할당할 수 있다. 이때, 통신 장치(10)의 제1 서브 IID(sub-IID 1)에 할당되는 값(XNS)은 이웃 네트워크 내 단말 장치들(500-1~500-4) 중에서 주소 관리 서버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장치의 제1 서브 IID 및 제2 서브 IID에 할당되는 값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10)는 노드 ID(Node ID)의 길이가 47비트 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S510).
노드 ID(Node ID)의 길이가 47비트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통신 장치(10)는 제1 IID(253)의 제1 서브 IID(sub-IID 1) 영역까지 제1 노드 ID(Node ID_1)로 할당하고, 제2 IID(257)의 제2 서브 IID(sub-IID 2) 영역까지 제2 노드 ID(Node ID_2)로 할당할 수 있다(S520).
노드 ID(Node ID)의 길이가 47비트 보다 작은 경우, 통신 장치(10)는 인터넷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30).
통신 장치(10)가 인터넷으로 직접 연결 가능한 경우, 통신 장치(10)는 제1 서브 IID(sub-IID 1)에 값(0)을 할당하고, 제2 서브 IID(sub-IID 2)에 값(0)을 할당할 수 있다(S540).
통신 장치(10)가 인터넷으로 직접 연결 가능하지 않는 경우, 통신 장치(10)는 제2 서브 IID(sub-IID 2)에 난수 값(YR)을 할당할 수 있다(S550).
통신 장치(10)는 통신 장치(10)와 연결된 단말 장치의 이웃 단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60). 즉, 통신 장치(10)는 이웃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 장치의 이웃 단말 장치와 연결 가능하지 않는 경우, 통신 장치(10)는 제1 서브 IID(sub-IID 1)에 난수 값(XR)을 할당할 수 있다(S570).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는 단말 장치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단말 장치의 이웃 단말 장치와 연결 가능한 경우, 통신 장치(10)는 단말 장치와 이웃 단말 장치가 포함된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난수 값(XNS)을 획득하고, 난수 값(XNS)을 제1 서브 IID(sub-IID 1)에 할당할 수 있다(S580). 난수 값(XNS)은 이웃 네트워크 내 주소 관리 서버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도 6은 도 4c에 도시된 네트워크 상황에서 주소 중복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c 및 도 6를 참조하면, 통신 장치(10)는 통신 장치(10)와 연결된 단말 장치(500-1)와 이웃 단말 장치들(500-2~500-4)이 포함된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난수 값(XNS)을 획득하기 위해 이웃 네트워크로 난수 값(XNS)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는 단말 장치(500-1)에 연결되어 이웃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종속되는 경우 단말 장치들(500-1~500-4)과의 주소 중복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단말 장치들(500-1~500-4)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단말 장치만이 네트워크 내의 단말 장치들의 주소정보를 가지는 주소 관리 서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각 단말 장치(500-1~500-4)는 통신 장치(10)로부터 제1 서브 IID(sub-IID 1) 값, 즉, 난수 값(XNS)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610).
각 단말 장치(500-1~500-4)는 네트워크 내에 자신이 주소 관리 서버인지 확인할 수 있다(S620).
자신이 주소 관리 서버가 아닌 경우, 각 단말 장치(500-1~500-4)는 네트워크 내 주소 관리 서버 역할을 하는 단말 장치에게 난수 값(XNS)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S630).
자신이 주소 관리 서버인 경우, 각 단말 장치(500-1~500-4)는 난수 값(XNS)을 생성하고(S640), 난수 값(XNS)과 네트워크 내 이웃 단말 장치들의 주소 정보와 비교하여 중복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S650).
난수 값(XNS)이 중복이 아닌 경우, 각 단말 장치(500-1~500-4)는 난수 값(XNS)을 각 단말 장치(500-1~500-4)의 캐쉬 메모리에 저장하고(S660), 난수 값(XNS)을 통신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S670).
난수 값(XNS)이 중복인 경우, 각 단말 장치(500-1~500-4)는 S640단계와 S650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통신 장치(10)는 IPv6 주소 중에서 IID에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값(255)에 기초하여 IID에 상기 IID에 제1 IID(253)와 제2 IID(257)를 정의할 수 있다(S710).
통신 장치(10)는 노드 ID(Node ID)에 기초하여 제1 IID(253)에 제1 노드 ID(Node ID_1)를 할당하고, 제2 IID(257)에 제2 노드 ID(Node ID_2)를 할당할 수 있다(S720).
통신 장치(10)는 제1 IID(253)에서 제1 노드 ID(Node ID_1)를 제외한 영역인 제1 서브 IID(sub-IID 1) 및 제2 IID(257)에서 제2 노드 ID(Node ID_2)를 제외한 영역인 제2 서브 IID(sub-IID 2)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통신 장치(10)의 네트워크 연결상황을 반영한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S730).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IPv6 주소 중에서 IID에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IID에 제1 IID와 제2 IID를 정의하는 단계;
    노드 ID에 기초하여 상기 제1 IID에 제1 노드 ID를 할당하고, 상기 제2 IID에 제2 노드 ID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IID에서 상기 제1 노드 ID를 제외한 영역인 제1 서브 IID 및 상기 제2 IID에서 상기 제2 노드 ID를 제외한 영역인 제2 서브 IID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통신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상황을 반영한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Pv6 주소 중에서 IID 정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ID는 상기 제1 노드 ID와 상기 제2 노드 ID의 합에 기초하는 IPv6 주소 중에서 IID 정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ID에 기초하여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 ID가 짝수 n비트일 때, 상기 n비트의 반을 상기 제1 노드 ID에 할당하고, 상기 n비트의 나머지 반을 상기 제2 노드 ID에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Pv6 주소 중에서 IID 정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ID에 기초하여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 ID가 홀수 n비트일 때, 상기 노드 ID에 이진수를 추가해서 짝수 n+1비트로 변경하고, 상기 n+1비트의 반을 상기 제1 노드 ID에 할당하고, 상기 n+1비트의 나머지 반을 상기 제2 노드 ID에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Pv6 주소 중에서 IID 정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 상황을 반영한 정보는 0 또는 난수로 표현되는 IPv6 주소 중에서 IID 정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상황을 반영한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장치가 직접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때, 상기 제1 서브 IID 및 상기 제2 서브 IID 각각에 0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Pv6 주소 중에서 IID 정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상황을 반영한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장치가 애드혹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때, 상기 제1 서브 IID 및 상기 제2 서브 IID 각각에 난수 값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Pv6 주소 중에서 IID 정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상황을 반영한 정보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장치가 이웃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때, 상기 제1 서브 IID 및 상기 제2 서브 IID 각각에 난수 값을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IID에 할당되는 난수 값은 상기 이웃 네트워크 내 주소 관리 서버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IPv6 주소 중에서 IID 정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서브 IID에 할당되는 난수 값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IPv6 주소 중에서 IID 정의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네트워크 내 단말 장치들과의 주소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서브 IID에 할당되는 난수 값은 상기 단말 장치들의 주소 정보와 비교하여 중복 검사가 수행된 IPv6 주소 중에서 IID 정의 방법.
  11.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IPv6 주소 중에서 프리픽스를 획득하고, IPv6 주소 중에서 IID에 미리 결정된 위치에 미리 결정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IID에 제1 IID와 제2 IID를 정의하는 주소 생성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주소 생성 장치는,
    노드 ID에 기초하여 상기 제1 IID에 제1 노드 ID를 할당하고, 상기 제2 IID에 제2 노드 ID를 할당하고, 상기 제1 IID에서 상기 제1 노드 ID를 제외한 영역인 제1 서브 IID 및 상기 제2 IID에서 상기 제2 노드 ID를 제외한 영역인 제2 서브 IID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통신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상황을 반영한 정보를 할당하는 통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ID는 상기 제1 노드 ID와 상기 제2 노드 ID의 합에 기초하는 통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생성 장치는,
    상기 노드 ID가 짝수 n비트일 때, 상기 n비트의 반을 상기 제1 노드 ID에 할당하고, 상기 n비트의 나머지 반을 상기 제2 노드 ID에 할당하는 통신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생성 장치는,
    상기 노드 ID가 홀수 n비트일 때, 상기 노드 ID에 이진수를 추가해서 짝수 n+1비트로 변경하고, 상기 n+1비트의 반을 상기 제1 노드 ID에 할당하고, 상기 n+1비트의 나머지 반을 상기 제2 노드 ID에 할당하는 통신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 상황을 반영한 정보는 0 또는 난수로 표현되는 통신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생성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가 직접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때, 상기 제1 서브 IID 및 상기 제2 서브 IID 각각에 0을 할당하는 통신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생성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가 애드혹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때, 상기 제1 서브 IID 및 상기 제2 서브 IID 각각에 난수 값을 할당하는 통신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생성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가 이웃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때, 상기 제1 서브 IID 및 상기 제2 서브 IID 각각에 난수 값을 할당하고,
    상기 제1 서브 IID에 할당되는 난수 값은 상기 이웃 네트워크 내 주소 관리 서버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통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 생성 장치는,
    상기 단말 장치로 상기 제1 서브 IID에 할당되는 난수 값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통신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웃 네트워크 내 단말 장치들과의 주소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서브 IID에 할당되는 난수 값은 상기 단말 장치들의 주소 정보와 비교하여 중복 검사가 수행된 통신 장치.
KR1020150116291A 2015-08-18 2015-08-18 IPv6 주소 중에서 IID를 정의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KR102236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291A KR102236175B1 (ko) 2015-08-18 2015-08-18 IPv6 주소 중에서 IID를 정의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US15/147,030 US10104038B2 (en) 2015-08-18 2016-05-05 Method of defining interface identifier (IID) of IPv6 address and a communication device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291A KR102236175B1 (ko) 2015-08-18 2015-08-18 IPv6 주소 중에서 IID를 정의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654A KR20170021654A (ko) 2017-02-28
KR102236175B1 true KR102236175B1 (ko) 2021-04-06

Family

ID=5815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291A KR102236175B1 (ko) 2015-08-18 2015-08-18 IPv6 주소 중에서 IID를 정의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04038B2 (ko)
KR (1) KR1022361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190B1 (ko) * 2016-11-22 2019-02-08 한국인터넷진흥원 임의의 ip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US11671507B2 (en) 2021-04-27 2023-06-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ervice profile discovery and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for interworking with IoT device
US11659049B2 (en) 2021-04-27 2023-05-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device profile management/identification for intelligent discove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5083A1 (en) 2006-09-25 2008-03-27 Tremaine Michael Method for efficiently generating privacy addresses
US20130235862A1 (en) 2010-10-22 2013-09-12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Ipv6 address management method and gateway perform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527B1 (ko) 2005-05-30 2006-12-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운용 방법
KR101029113B1 (ko) 2008-10-09 2011-04-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gpp 기반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의 sctp 시그널링을 이용한 ip 이동성 제공 방법
US9490939B2 (en) 2013-10-07 2016-11-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checksu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5083A1 (en) 2006-09-25 2008-03-27 Tremaine Michael Method for efficiently generating privacy addresses
US20130235862A1 (en) 2010-10-22 2013-09-12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Ipv6 address management method and gateway per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04038B2 (en) 2018-10-16
KR20170021654A (ko) 2017-02-28
US20170054679A1 (en)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1131B2 (en) Uniform multi-chip identification and routing system
WO2020093887A1 (zh) 用于片上网络noc的数据传输方法、装置及电子设备
EP2223549B1 (en) Enabling provider network inter-working with mobile access
CN103092798B (zh) 片上系统及总线下的访问设备的方法
EP2499787A2 (en) Smart client routing
CN105592011A (zh) 一种账号登录方法及装置
KR102236175B1 (ko) IPv6 주소 중에서 IID를 정의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장치
CN106921578A (zh) 一种转发表项的生成方法和装置
JPWO2005074208A1 (ja) 情報処理装置、サーバ、通信システム、アドレス決定方法、アドレス変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0134827A1 (zh) 一种用于片上网络的路径创建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5529677A (zh) 以信息为中心的网络非结构化数据载体
US115461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for isolating network
US20180191671A1 (en) STRUCTURE OF INTERFACE IDENTIFIER (IID) OF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ADDRESS, METHOD OF DEFINING IID,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PERFORMING THE SAME
CN105072212A (zh) 对码方法与对码系统
CN103532852A (zh) 一种路由调度方法、装置及网络设备
US10034158B2 (en) Method of maintaining internet protocol (IP) connectivity in low power internet of things (IoT)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device operating the same
CN108141704B (zh) 先前网络消息处理器的位置标识
US11689447B2 (en) Enhanced dynamic encryption packet segmentation
US11115312B1 (en) File control for data packet routers using consensus and inter-planetary file system (IPFS)
KR102034554B1 (ko) 사물 인터넷 네트워크 내 디바이스 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20150350079A1 (en) Method of message routing for a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JP2009278317A (ja) ネットワークドライバ、該ネットワークドライバが組み込まれたコンピュータ及びサーバ
CN114143046B (zh) 一种用户隔离方法、数据传输方法、计算设备及存储介质
KR102427588B1 (ko) Nfc 통신 기반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102505846B1 (ko) NFC 기반 저전력 IoT 통신 단말에서 IP 연결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