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976B1 -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976B1
KR102235976B1 KR1020180150002A KR20180150002A KR102235976B1 KR 102235976 B1 KR102235976 B1 KR 102235976B1 KR 1020180150002 A KR1020180150002 A KR 1020180150002A KR 20180150002 A KR20180150002 A KR 20180150002A KR 102235976 B1 KR102235976 B1 KR 102235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arc
erosion
sculptur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828A (ko
Inventor
임학수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50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9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23Dune restoration or creation; Cliff stabilisation

Abstract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및 그 시공방법은, 파랑에너지를 감소시켜 모래로 이루어진 해빈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조해안선과 저조해안선 사이의 지면에,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 쌓아 형성되는 모래언덕을 포함하고, 상기 모래언덕은, 파랑의 입사방향에 대응되도록 육지면을 향하여 개방되는 호형을 이루거나, 고조해안선 또는 저조해안선과 평행한 직선 또는 파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랑에너지에 의해 모래가 유실되어 해빈폭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과 저조해안선 사이 또는 고조해안선과 저조해안선 사이의 지면에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 쌓아 형성되는 것으로 파랑에너지를 줄임과 동시에 유실되는 모래를 모래언덕의 모래로 공급하여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및 그 시공방법{ARC-SHAPED SAND DUNE TO PREVENT LOCAL BEACH EROS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랑에너지에 의해 모래가 유실되어 해빈폭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과 저조해안선 사이 또는 고조해안선과 저조해안선 사이의 지면에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 쌓아 형성되는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에서 침식은 자연현상의 하나라고 볼 수 있고, 모래 등 해안의 퇴적물은 파도, 조류, 해류, 바람 등의 영향으로 침식과 퇴적을 반복하며, 해양의 물리적 현상에 따라 해변의 모래가 침식과 퇴적을 반복하지만, 최근에는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 파랑의 변화 등으로 침식이 심해지고 있어, 해빈의 모래가 유실되어 관광객은 물론 지역 주민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으며 국토가 유실되고 있다.
2003년부터 국가 차원에서 모니터링 실시한 결과, 2017년 경상북도 해안의 침식 우려 및 심각률은 73.2%(우려:30 / 전체:41), 2017년 강원도 해안의 침식 우려 및 심각률은 92.7%(우려:16, 심각:22 / 전체:41)로 매우 심각한 상태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 중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남해안의 대표적인 해수욕장인 해운대의 평균 해빈폭을 살펴보면, 1947년 10월에는 58.6m, 1975년 5월에는 45.2m, 1997년 5월에는 38.0m, 2005년 5월에는 37.2m로 침식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93582호(공고일: 2012.10.25)에는 해빈의 침식방지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구조물은 해빈에 상호 간격을 두고 하단이 매설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그물부재, 해빈의 바닥면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의 하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된 판부재, 상기 판부재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다수의 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판부재 및 띠부재는 연성 재질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판부재는 권취상태가 가능하도록, 가요성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는 육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판부재는 다수의 말뚝부재에 의해 해빈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상기 그물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그물부재, 상기 상부 그물부재에 비해 좁은 크기의 격자를 갖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그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물은, 파랑에너지만 줄여줄 뿐, 감소된 파랑에너지에 의해 해빈침식이 진행되어 유실된 모래의 양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해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93582호(공고일: 2012.10.25)
본 발명의 목적은, 파랑에너지에 의해 모래가 유실되어 해빈폭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실된 모래를 모래언덕의 모래로 공급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파랑에너지를 감소시켜 모래로 이루어진 해빈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호안과 저조해안선 사이 또는 고조해안선과 저조해안선 사이의 지면에,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 쌓아 형성되는 모래언덕을 포함하고, 상기 모래언덕은, 파랑의 입사방향에 대응되도록 육지면을 향하여 개방되는 호형을 이루거나, 고조해안선 또는 저조해안선과 평행한 직선 또는 파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모래언덕은, 소정의 압력으로 다짐이 수행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래언덕은, 10~50m의 길이, 0.5~2m의 높이, 및 2~6m의 폭으로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래언덕은, 해수면을 향하는 경사면 전체 또는 경사면의 하부영역에 침식방지용 토목섬유로 이루어진 매트나 지오튜브가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래언덕은, 복수 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모래언덕들 중 2개는 상기 고조해안선 또는 상기 저조해안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모래언덕들 중 하나는 상기 고조해안선 또는 상기 저조해안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상기 모래언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래언덕은, 연안사주(또는 수중사주) 사이 또는 수중잠제 사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래언덕의 내부에는 모래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성형한 모래블록이 서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래블록은, 모래와 흙과 물을 혼합하여 성형되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파랑에너지에 의해 분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래블록은, 단면이 호형을 이루되, 서로 연결되는 양측면에는 높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끼임부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이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래블록은, 저면에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시공방법으로, 상기 모래언덕을 시공할 위치를 선정하는 시공위치 선정단계; 및 상기 시공위치 선정단계에서 선정된 위치에 상기 모래언덕을 쌓아 시공하는 모래언덕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및 그 시공방법으로 달성된다.
상기 시공위치 선정단계는, 수중사주의 형성위치를 파악하여 파랑에너지가 가장 크게 미치는 수중사주들의 사이 또는 수중사주의 끝부분에 대응되는 지면을 시공위치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시공위치 선정단계는, 수중잠제의 형성위치를 파악하여 파랑에너지가 가장 크게 미치는 수중잠제들의 사이 또는 수중잠제의 끝부분에 대응되는 지면을 시공위치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모래언덕 형성단계는, 10~50m의 길이, 0.5~2m의 높이, 및 2~6m의 폭으로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형태로 소정의 압력으로 다짐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모래언덕 형성단계는, 모래를 가압하여 성형한 모래블록을 먼저 위치시키고, 상기 모래블록의 외부를 상기 모래언덕으로 감싸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안과 저조해안선 사이 또는 고조해안선과 저조해안선 사이의 지면에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 모래언덕을 형성함으로써, 파랑에너지를 줄임과 동시에 유실되는 모래를 모래언덕의 모래로 공급하여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미 침식된 상태, 즉, 해빈이 훼손된 상태에서 해빈을 정비하는 사후대책이 아닌 미리 예방하는 것으로 잠제 등과 같은 구조물같이 물속에 설치하지 않아도 돼 저비용으로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래로만 이루어져 친환경적으로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빈의 지형이나, 사주의 유무 및 잠제의 유무, 또는 파랑의 특성에 따라 모래언덕이 맞춤 설치되기 때문에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고효율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해운대 해수욕장 평균 해빈폭 변화를 나타내는 항공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의 다양한 배치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의 다양하게 배치된 모래블록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5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의 모래블록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의 결합된 모래블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의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이 수중사주 사이에 형성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이 수중잠제 사이에 형성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의 다양한 배치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의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사진이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앞서 용어를 정의하고자 한다.
바다와 육지의 경계부를 일반적으로 해안[海岸, shore]이라고 부르지만, '연안[沿岸, coast]'이라는 용어는 이 경계에서 발생하는 여러 작용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넓은 지역을 일컫고, '연안침식[沿岸浸蝕, shore erosion]'이란, 파도, 조류, 해류, 바람, 해수면 상승, 시설물 설치 등의 영향에 의하여 연안의 지표가 깎이거나 모래 등이 유실되는 현상을 말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빈침식'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해빈침식[海濱侵蝕, beach erosion]"은, 해빈[海濱, beach]의 토사가 유실되어 해안이 조금씩 후퇴하여 해빈폭이 감소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도 1 참조)
또한, 해안선[海岸線, shoreline]은 육지면과 해수면이 교차하는 선을 말한다. 해수면은 조석[潮汐, tide], 파랑[波浪, wave] 등으로 끊임없이 승강[昇降]하므로 해안선의 위치는 일정하지 않는데, "고조해안선[高潮海岸線, high-water line]"은 고조시의 해안선을 뜻하고, "저조해안선[低潮海岸線, low-water line]"은 저조시의 해안선을 뜻한다.
또한, "호안[護岸, revetment]"은, 일반적으로 하안(河岸)·해안(海岸)·둑을 보호해서 유수에 의한 물가선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비탈면에 시설하는 공작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해빈침식", "고조해안선", "저조해안선", "육지면", "해수면"의 용어를 주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1, 이하 '모래언덕')은, 파랑에너지를 감소시켜 모래로 이루어진 해빈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호안과 저조해안선(L) 사이 또는 고조해안선(H)과 저조해안선(L) 사이의 지면(15)에,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 쌓아 형성되는 모래언덕(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모래언덕(1)이 고조해안선(H)과 저조해안선(L)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모래언덕(1)은, 파랑의 입사방향에 대응되도록 육지면(10)을 향하여 개방되는 호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육지면(10)의 어느 한 점을 중심으로 그려지는 원의 일부분인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파랑 에너지에 의해 모래언덕(1)이 깎이면서 원호의 바깥부위에 퇴적되어, 중심이 해수면(20)에 있는 원호형상이어서 원의 중심쪽으로(해수면(20)쪽으로) 퇴적되는 것보다 넓은 방향으로 퇴적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모래언덕(1)은, 10~30m의 길이, 0.5~2m의 높이, 및 2~6m의 폭으로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소정의 압력으로 다짐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고파랑에 의한 파랑에너지가 전해지는 모래언덕(1)이 쉽게 분해(다른 영역으로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모래언덕(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지를 향하여 개방되는 호형을 이룰 수도 있지만,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조해안선(H) 또는 저조해안선(L)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이격된 모래언덕(1) 사이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형 모래조형물은 복수의 모래언덕(1)을 포함하고, 복수의 모래언덕들(1) 중 2개(이하, 제1 모래언덕, 제2 모래언덕으로 지칭한다.)는 고조해안선(H) 또는 저조해안선(L)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래언덕들(1) 중 나머지 하나(이하, 제3 모래언덕이라 지칭한다.)는 제1 모래언덕과 제2 모래언덕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 모래언덕은 서로 인접하게 이격된 제1 모래언덕과 제2 모래언덕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모래언덕은 제1 및 제2 모래언덕들 보다 고조해안선(H) 또는 저조해안선(L)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는 고파랑에 의한 파랑에너지를 단계적으로 감쇄시키기 위함이다. 물론 유실된 모래도 다방향에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래언덕(1)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조해안선(H) 또는 저조해안선(L)과 평행한 직선 또는 파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형성됨으로써, 모양이 다른, 가령 동해안의 오픈 코스트 형태(open-coast type)와 남해안의 포켓 비치 형태(pocket type) 등, 해빈의 지형에 따라 맞춤형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동,서,남해안 각 해역별로 자연적 여건과 입지여건이 달라 침식의 정도가 다른데 이들 각각에 대입되게 모래언덕(1)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면(20)을 향하는 경사면 또는 경사면 하부영역(E)에 침식방지용 토목섬유로 이루어진 매트나 지오튜브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모래언덕(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매트가 설치되어 파랑에너지에 의한 모래언덕(1)의 분해를 지연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지오튜브의 경우, 태풍이나 허리케인에 대한 방재 구조물로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는 바, 유실되는 모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조해안선(H)과 저조해안선(L) 사이의 지면(15)에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 육지면(10)을 향하여 개방되는 호형의 모래언덕(1)을 형성함으로써, 반복되는 파랑에너지를 감쇄시킬 뿐만 아니라, 일정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래언덕(1)이 넓은 영역(호의 바깥쪽)으로 분해되어 침식되는 영역에 모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치하는 곳의 지형이나 파랑의 특성, 계절 등에 따라 맞춤형 설계가 가능하다. 예컨대, 모래언덕(1)의 마루(crest)가 육지면(10) 쪽으로 치우쳐질지, 해수면(20) 쪽으로 치우쳐질지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파랑에너지에 의해 모래가 유실되어 해빈폭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조해안선(H)과 저조해안선(L) 사이의 지면(15)에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 쌓아 형성되는 것으로 파랑에너지를 줄임과 동시에 유실되는 모래를 모래언덕(1)의 모래를 공급하여 해빈침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미 침식된 상태, 즉, 해빈이 훼손된 상태에서 해빈을 정비하는 사후대책이 아닌 미리 예방하는 것으로, 잠제 등과 같은 구조물같이 물속에 설치하지 않아도 돼 저비용으로 해빈침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래로만 이루어져 친환경적으로 해빈침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빈의 지형이나, 사주의 유무 및 잠제의 유무, 또는 파랑의 특성에 따라 모래언덕(1)이 맞춤 설치되기 때문에 고효율의 해빈침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의 다양하게 배치된 모래블록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7은 도 5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의 모래블록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5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의 결합된 모래블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1)은, 모래언덕(1)의 내부에 모래로 이루어진 모래블록(100)이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다.
모래블록(100)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언덕(1)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모래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성형되어 형성된다.
예컨대, 모래나 흙을 물을 혼합하여 가압다짐 함으로써,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반복적인 파랑에너지에 의해 모래나 흙으로 다시 분해되도록 형성된다.
또는, 모래나 흙을 물과 적절한 경화제로 혼합하여 친환경적인 화학작용으로 가압다짐 함으로써, 일반적인 콘크리트의 강도는 아니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반복적인 파랑에너지에 의해 모래나 흙으로 다시 분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경화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친환경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모래블록(100)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파랑에너지에 의해 분해될 때 바다를 오염시키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블록(100')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형성됨으로써, 모래블록(100)은 파랑에너지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모래언덕(1)의 뼈대역할을 하여 모래언덕(1)과 모래블록(100) 모두 분해되어 퇴적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파랑에너지를 감소시켜 유실되는 모래의 양을 줄이고, 유실되는 모래는 모래언덕(1)이나 모래블록(100)이 분해되면서 채워질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고파랑의 파랑에너지를 감소시켜 유실되는 모래의 양을 줄이고, 1차적으로 모래언덕(1)이 파랑에너지에 의해 넓은 영역(호의 바깥쪽)으로 분해되어 침식되는 영역에 모래를 공급하고, 모래언덕(1)이 분해되면서 모래블록(100)을 노출시켜 2차적으로 모래블록(100)이 반복적인 파랑에너지를 견디다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침식되는 영역에 모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모래블록(100)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많은 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경제적이며, 모래블록(100)이 분해될 때 바다를 오염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또한, 인공구조물인 모래블록(100)을 자연구조물인 모래언덕(1)이 감싸게 되어 주변 환경과도 조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모래블록(100)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모래블록(100)이 서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용이한 운반을 하기 위함이다. 즉, 대량생산되고 고정화된 크기의 모래블록(100)은 해빈의 원하는 지점까지 운반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모래블록(100)이 해빈에 운반된 후에는 원하는 형태로 조립이나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일체형의 모래블록(100)보다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모래블럭의 형상은 특별한 한정이 없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호형을 이루되, 서로 연결되는 양측면에는 높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20)와 돌출부(120)에 대응하는 끼임부(140)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이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됨으로써,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을 이룰 수 있으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B에서 방향이 전환된 두 개의 호형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C 및 D에서 방향이 전환된 세 개의 호형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한가지로 고정화된 형태의 모래블록(100)들이지만,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중심을 가진 호를 연결할 수도 있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이 전환된 호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는 모래블록(100)들이 서로 연결되되 지형이나 파랑의 특징에 따라 호의 중심 방향을 쉽게 전환하여 맞춤형으로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바람이나 파랑 등에 의해 모래블록(100) 하나는 넘어지기 쉬워도, 돌출부(120)와 끼임부(140)에 의해 서로 연대된 모래블록(100)은 잘 넘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도 5의 (b)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이나 파랑 등에 모래블록(100)이 쓰러지지 않도록, 모래블록(100)의 저면에 지지돌기(160)가 형성되어 지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래언덕(1) 내부에 모래블록(100)이 구비됨으로써, 고파랑에 의한 파랑에너지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유실되는 모래의 양을 줄이며, 유실된 모래의 양을 모래언덕(1) 및 모래블록(100)이 분해되면서 채워 넣게 되어 고파랑에 따른 해빈침식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1)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형상, 모양, 규격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0은 본 발명의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이 수중사주 사이에 형성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이 수중잠제(40) 사이에 형성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1)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모래언덕을 시공할 위치를 선정하는 시공위치 선정단계(S1)와 시공위치 선정단계(S1)에서 선정된 위치에 모래언덕을 쌓아 시공하는 모래언덕 형성단계(S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시공위치 선정단계(S1)는, 해빈의 지형, 수중사주(30)의 형성위치를 파악하여 모래언덕(1)의 시공위치를 선정하는 것으로, 이는 동,서,남해안 각 해역별로 자연적 여건과 입지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되는 파랑의 특성이나 수중사주(30)의 형성 모양 등에 따라 파랑에너지가 가장 크게 미치는 지면(15)을 시공위치로 선정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수중사주(30)란, 물속에 유입된 토사가 파랑과 연안류 등에 의하여 퇴적된 해안 지형을 말한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사주(30)들의 사이에 대응되는 지면(15)에 모래언덕(1)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해빈의 양단으로부터 연장설치되는 수중잠제(40) 등의 구조물 또는 해수면(20) 중에 위치하는 암초 등에 의해 해류가 왜곡되어 발생하는 이안류 등에 따라 설치하는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중잠제(40)란, 해안으로부터 먼 바다 쪽으로 떨어져 해안과 거의 수평으로 만들어지는 높이가 낮은 방파제를 말한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잠제(40)들의 사이에 대응되는 지면(15)에 모래언덕(1)이 설치될 수 있고, 또는, 수중잠제(40)와 암초의 사이 등, 파랑에너지가 가장 크게 미치는 지면(15)에 모래언덕(1)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육지면(10)으로 들어오는 파랑에너지보다 해수면(20)으로 나가는 파랑에너지가 더 커서 모래가 유실되는 양이 최대치인 영역 쪽에 모래언덕(1)을 설치하여 파랑에너지를 감쇄시킴과 동시에 해빈침식된 자리에 모래언덕(1)의 모래를 공급함으로써 해빈침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모래언덕 형성단계(S2)는, 상술한 바와 같이, 10~50m의 길이, 0.5~2m의 높이, 및 2~6m의 폭으로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형태로 소정의 압력으로 다짐하여 형성되거나, 모래를 가압하여 성형한 모래블록(100)을 먼저 위치시키고, 상기 모래블록(100)의 외부를 상기 모래언덕(1)으로 감싸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설치하는 위치를 선정하여 모래언덕(1)을 배치함으로써, 설치하는 곳의 지형이나 파랑의 특성, 계절 등에 따라 맞춤형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H : 고조해안선
L : 저조해안선
10 : 육지면
20 : 해수면
30 : 수중사주
40 : 수중잠제
100 : 모래블록
120 : 돌출부
140 : 끼임부
160 : 지지돌기

Claims (15)

  1. 파랑에너지를 감소시켜 모래로 이루어진 해빈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호형 모래조형물에 관한 것으로,
    호안과 저조해안선 사이 또는 고조해안선과 저조해안선 사이의 지면에, 소정의 높이와 폭으로 쌓아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래언덕을 포함하고,
    상기 모래언덕은,
    파랑의 입사방향에 대응되도록 육지면을 향하여 개방되는 호형을 이루거나, 고조해안선 또는 저조해안선과 평행한 직선 또는 파형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래언덕의 내부에는 뼈대 역할을 하도록 모래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성형한 모래블록이 서로 연결되어 구비되고,
    상기 모래블록은,
    단면이 호형을 이루고, 서로 연결되는 양측면에는 높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끼임부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이어지되, 지형이나 파랑의 특징에 따라 호의 중심 방향을 쉽게 전환하여 맞춤형으로 설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언덕은,
    소정의 압력으로 다짐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언덕은,
    10~50m의 길이, 0.5~2m의 높이, 및 2~6m의 폭으로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언덕은,
    해수면을 향하는 경사면 전체 또는 경사면의 하부영역에 침식방지용 토목섬유로 이루어진 매트나 지오튜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언덕은,
    복수 개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모래언덕들 중 2개는 상기 고조해안선 또는 상기 저조해안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모래언덕들 중 하나는 상기 고조해안선 또는 상기 저조해안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상기 모래언덕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언덕은,
    수중사주 사이 또는 수중잠제 사이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블록은,
    모래와 흙과 물을 혼합하여 성형되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파랑에너지에 의해 분해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블록은,
    저면에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11. 제1항에 따른,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시공방법으로,
    상기 모래언덕을 시공할 위치를 선정하는 시공위치 선정단계; 및
    상기 시공위치 선정단계에서 선정된 위치에 상기 모래언덕을 쌓아 시공하는 모래언덕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위치 선정단계는,
    수중사주의 형성위치를 파악하여 파랑에너지가 가장 크게 미치는 수중사주들의 사이 또는 수중사주의 끝부분에 대응되는 지면을 시공위치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시공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위치 선정단계는,
    수중잠제의 형성위치를 파악하여 파랑에너지가 가장 크게 미치는 수중잠제들의 사이 또는 수중잠제의 끝부분에 대응되는 지면을 시공위치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시공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언덕 형성단계는,
    10~50m의 길이, 0.5~2m의 높이, 및 2~6m의 폭으로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형태로 소정의 압력으로 다짐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시공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언덕 형성단계는,
    모래를 가압하여 성형한 모래블록을 먼저 위치시키고, 상기 모래블록의 외부를 상기 모래언덕으로 감싸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시공방법.
KR1020180150002A 2018-11-28 2018-11-28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235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002A KR102235976B1 (ko) 2018-11-28 2018-11-28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002A KR102235976B1 (ko) 2018-11-28 2018-11-28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828A KR20200063828A (ko) 2020-06-05
KR102235976B1 true KR102235976B1 (ko) 2021-04-02

Family

ID=71088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002A KR102235976B1 (ko) 2018-11-28 2018-11-28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9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813B1 (ko) * 2020-12-18 2022-08-2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국지적인 해안침식을 저감하기 위한 투과성 호형 수중 방파제
KR102435815B1 (ko) * 2020-12-18 2022-08-2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국지적인 해안침식을 예방하기 위한 투과성 호형 이안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199B1 (ko) * 2006-02-20 2007-04-27 (주)에코원 모래 포집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
JP2007154647A (ja) * 2005-09-07 2007-06-21 Jfe Steel Kk 潜堤の施工法及び潜堤
KR101039658B1 (ko) * 2011-01-12 2011-06-08 (주)에코원 해안사구 생태복원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8326A (en) * 1992-04-03 1993-08-24 Creter Richard E Submerged breakwater for use as a perch for sand retention
KR101193582B1 (ko) 2012-04-12 2012-10-25 이상영 해빈의 침식방지 구조물
KR101461515B1 (ko) * 2013-04-16 2014-11-1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해안 양빈 시공용 친환경 구조체를 사용한 친환경 양빈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4647A (ja) * 2005-09-07 2007-06-21 Jfe Steel Kk 潜堤の施工法及び潜堤
KR100712199B1 (ko) * 2006-02-20 2007-04-27 (주)에코원 모래 포집 구조물 및 그 설치 방법
KR101039658B1 (ko) * 2011-01-12 2011-06-08 (주)에코원 해안사구 생태복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828A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nkl et al. Beach nourishment
AU2014200674B2 (en) Submarine construction for tsunami and flooding protection, for tidal energy and energy storage, and for fish farming
US20170342673A1 (en) Wave dissipation systems, modul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2235976B1 (ko) 국지적인 해빈침식을 방지하는 호형 모래조형물 및 그 시공방법
Xue Coastal erosion and management of Majuro atoll, Marshall Islands
JP6049382B2 (ja) 耐震耐越流堤体構造
JP2016211312A (ja) 混成津波防潮堤構築法
CN108221849B (zh) 一种阶梯式分应力海堤
Greenway et al. Engineered approaches for limiting erosion along sheltered shorelines: a review of existing methods
WO2014045132A1 (en) Sea-gabion walls for tsunami and flooding protection, for fish farming, and for protection of buildings in the sea
Sestini Land subsidence and sea-level rise: the case of the Po Delta region, Italy
KR100791264B1 (ko) 방조제, 해안매립 호안공 등의 팩 필터 시공방법
KR101062728B1 (ko) 필터층과 너울제어구조체를 이용한 해안 양빈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50883B1 (ko) 사빈해안 보전 겸 양빈시설용 투수성 구조체 및 이의시공방법
CN112267425A (zh) 一种海堤生态护坡结构及施工方法
JP2008231705A (ja) 護岸構造物の粗度の改善方法
JP5234415B2 (ja) 海域制御構造物
Lawson Geotextiles in marine engineering
Hansom et al. Managing lakeshore erosion: Impacts of bank protection on Loch Lomond, Scotland
KR101529176B1 (ko) 원형의 마이크로 블록형 사방댐
Charlier et al. Beach protection and restoration part I: hard structures and beach erosion
CN216864997U (zh) 一种多级消浪海堤结构
KR102483537B1 (ko) 해수유통블록 케이슨 및 그 설치방법
KR102483534B1 (ko) 소파블록 케이슨 및 그 설치방법
Szmytkiewicz Sustainable measures of shore protection against erosion and floo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