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851B1 -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 - Google Patents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851B1
KR102235851B1 KR1020200105201A KR20200105201A KR102235851B1 KR 102235851 B1 KR102235851 B1 KR 102235851B1 KR 1020200105201 A KR1020200105201 A KR 1020200105201A KR 20200105201 A KR20200105201 A KR 20200105201A KR 102235851 B1 KR102235851 B1 KR 102235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net
seed
seeds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현
Original Assignee
김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현 filed Critical 김낙현
Priority to KR1020200105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레임의 상측에 고정되어 패류의 종자(A)가 투입되는 호퍼(100)와, 호퍼(100)에 투입된 종자(A)들을 설정된 수량으로 분배하여 수용하고, 프레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종자 분배부(200)와, 종자 분배부(200)를 통하여 분배된 종자(A)를 하측의 어망(500)으로 전달하는 종자 전달부(300) 및 종자 전달부(300)의 하측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종자(A)가 수용되는 어망(500)을 고정시키는 어망 고정부(600); 를 포함하는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SHELLFISH SEED INPUT APPARATUS}
본 발명은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류(Shellfish)는 조개와 전복 그리고 굴 등의 쌍패류와 소라와 고동 등 권패류로 나뉘 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패류 중에서도 특히 전복 및 가리비는 어민들의 큰 소득자원이 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이 해외로 수출되어 소득증대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가리비는 어가(漁家)의 큰 소득 증대원이며, 뛰어난 맛과 우수한 영양 조성으로 그 수요가 날로 지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어린 종자(Seed)들을 대량 구입한 후 양식에 성공하여 출하하여 큰 소득을 발생시키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패류 종자를 어망에 수작업으로 투입한 후, 양식장으로 이동하여 배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에 따라 종자의 투입을 위하여 다수의 인력이 필요하고, 작업 시간이 추가로 소요되고 있어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1833호(2001.07.27)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류 종자를 어망에 투입하는 과정이 자동화될 수 있는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레임의 상측에 고정되어 패류의 종자가 투입되는 호퍼와, 호퍼에 투입된 종자들을 설정된 수량으로 분배하여 수용하고, 프레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종자 분배부와, 종자 분배부를 통하여 분배된 종자를 하측의 어망으로 전달하는 종자 전달부 및 종자 전달부의 하측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종자가 수용되는 어망을 고정 시키는 어망 고정부를 포함하는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자를 어망에 투입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에 따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된 어망의 전체 길이를 구획하고, 구획된 구간별로 수용 가능한 수량으로 종자를 분배하여 균일한 수량으로 투입할 수 있어 어망의 구획별 종자의 수량 균일화 과정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퍼 및 종자 분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호퍼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종자 분배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종자 분배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종자 전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어망 개구 유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이다.
도 10은 어망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어망 고정부의 이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지만,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물을 연결 및/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종자(A)가 투입되는 호퍼(100)와, 호퍼(100)의 개방된 하부(110)를 통하여 전달되는 종자(A)를 설정된 수량으로 분배 및 수용하는 종자 분배부(200)와, 어망(500)과, 종자 분배부(200)를 통하여 분배된 종자(A)를 하측의 어망(500)으로 전달하는 종자 전달부(300)와, 종자 전달부(300)의 하측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종자(A)가 수용되는 어망(500)을 고정시키는 어망 고정부(600)와, 어망(500)의 상부를 개방시키는 어망 개구 유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들은 상하좌우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바(Bar) 또는 레일(630), 판넬 등에 의해 다층으로 조립되는 프레임(B)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B)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들이 조합이나 변형으로 인하여 제작될 수 있음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 및 도면을 생략했다.
어망(50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된다. 각 구간들은 어망(500)의 내측에서 직립된 구획 판넬(510, 도 10 참조)로 구획될 수 있다.
호퍼(100)는 종자(A)가 투입되는 장치로서 상, 하부(110)가 모두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여기서 호퍼(10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줄어드는 상광하협의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프레임(B)의 상측에 고정된다.
종자 분배부(200)는 호퍼(100)에 의해 투입된 종자(A)들을 어망(500)의 길이에 따라 구획된 구간별로 수용 가능한 수량으로 분배한다. 여기서 종자 분배부(200)는 호퍼(100)의 하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프레임(B)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자 분배부(200) 및 호퍼(100)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호퍼 및 종자 분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호퍼의 평면도, 도 4는 종자 분배부의 정면도, 도 5는 종자 분배부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호퍼(100)는 상, 하부가 모두 개방되고 개방된 하부(110)를 통하여 종자 분배부(200)의 상면이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호퍼(100)는 하부(110)가 종자 분배부(200)의 회전시 걸림되지 않도록 만곡 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자 분배부(200)는 종자(A)를 분배 및 수용하는 분배 수단(210)과, 분배 수단(2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분배 회전축(230)과, 분배 회전축(230)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회전 레버(240)와, 분배 수단(210)의 종자(A) 수용 공간의 면적을 조절하는 수량 조절 수단(220)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 회전축(230)은 양측 끝단이 프레임(B)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분배 수단(210)을 회전 가능하도록 조절한다. 예를 들면, 분배 회전축(230)은 분배 수단(210)의 중심부를 연통하거나, 분배 수단(210)의 후면에서 고정되고, 양측 끝단이 프레임(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분배 수단(210)은,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으로서 외면에서 내향되어 종자(A)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구(211)가 포함할 수 있다.
수용구(211)는 분배 수단(210)의 외면에서 반대면으로 연통되거나, 내향된 홈으로 형성된다. 수용구(211)는 복수로서 설정된 간격으로 정렬되어 분배 수단(210)의 외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수용구(211)는 호퍼(100)의 개방된 하부(110)으로 노출되어 호퍼(100)에 투입된 종자(A)를 수용할 수 있다.
회전 레버(240)는 분배 회전축(230)의 일측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잡아당기면, 그 힘으로 분배 회전축(23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분배 수단(210)은 수용구(211)가 호퍼(100)의 하부(110)에 위치된 상태에서 수용구(211)의 입구가 하측을 지향하도록 회전된다.
수량 조절 수단(220)은 종자(A)가 수용되는 수용구(211)의 수용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량 조절 수단(220)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중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수량 조절 수단(220)은 분배 수단(210)의 하측에서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바(221)와, 수용구(211)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되는 이동 블럭(223)과, 이동 블럭(223)을 지지하는 지지핀(222)과, 이동 블럭(223)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22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221)는 분배 수단(210)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면으로 관통되어 정렬되는 복수의 고정홀(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핀(222)은 지지바(221)에 형성되는 고정홀(도면번호 부여되지 않음)을 연통하여 상단에 이동 블럭(223)에 연결된다. 여기서 지지핀(222)은 상단이 일체형 또는 나사식으로 이동 블럭(223)의 하면에 체결되고, 지지바(221)의 고정홀에 고정된다. 즉, 지지핀(222)과 이동 블럭(223) 및 지지바(221)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지지바(221)와 동시에 이동한다.
이동 블럭(223)은 수용구(211)의 내측에서 지지핀(222) 및 지지바(221)와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이동 블럭(223)은 수용구(211)의 바닥면을 형성함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시 종자(A)의 수용면적을 줄일 수 있어 종자(A)의 수용량을 줄일 수 있고, 하측으로 이동시 수용구(211)의 종자(A) 수용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동 블럭(223)은 수용구(211)의 내면과의 사이에 종자(A)가 빠져 나갈수 없을 정도의 틈새만 유지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다.
고정 수단(224)는 하나 이상으로서 지지바(221)를 연통하여 분배 수단(210)의 외면에 연결되는 고정핀(224a)과, 고정핀(224a)을 지지바(221)에 고정시키는 고정 치구(224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224a)은 지지바(221)를 연통하여 분배 수단(210)의 외면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핀(224a)은 지지바(221)와 일체로 형성된다.
고정 치구(224b)는, 예를 들면, 볼트 또는 나사로서 지지바(221)의 상하면에서 고정핀(224a)의 외면에 고정됨에 따라 지지바(221)의 높이를 고정 시킨다. 즉, 고정 치구(224b)는 지지바(221)의 높이를 고정한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고정 치구(224b)를 해제한 후 지지바(221)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지지바(221)에 일체로 연결된 지지핀(222) 및 이동 블럭(223)들이 모두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수용구(211)의 종자(A) 수용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지지바(221)의 상하면에서 고정핀(224a)의 외면에서 설치된 고정 치구(224b)을 조여 지지바(221)의 위치를 고정 시킨다. 그러므로 이동 블럭(223)은 수용구(211)의 내측에 고정되어 앞서 진행된 수용 면적을 유지한다.
즉, 분배 수단(210)은 종자(A)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구(211)가 형성되며, 각 수용구(211)는 종자(A)가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 레버(240)에 의해 회전되어 수용구(211)에 수용된 종자(A)를 하측에 위치된 종자 전달부(300)에 전달 한다.
종자 전달부(300)는 종자 분배부(200)의 하측, 즉, 분배 수단(210)의 하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프레임(B)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종자 전달부(300)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종자 전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종자 전달부(30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분배 수단(210)의 수용구(211)에 수용된 종자(A)를 하측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전달 함체(310)와, 복수의 전달 함체(310)를 회전시키는 전달 회전축(320)과, 전달 회전축(320)을 회전시키는 전달 레버(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함체(310)는 복수로서, 각각 상하부가 개방되어 분배 수단(210)의 수용구(211)를 통하여 배출되는 종자(A)를 하측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전달 함체(310)는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후면판(311)과, 양 측판(313) 및 직립된 전면판(312)으로 형성된다. 또한, 전달 함체(310)는 복수로서 일 방향으로 정렬되되, 각 수용구(211)와 동일한 숫자 및 위치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달 함체(310)는 상광하협의 구조로서 개방된 상부보다 종자(A)가 배출되는 하부가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달 함체(310)는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토출되는 종자(A)들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방된 하부의 외면에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안내판넬(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 함도 가능하다.
전달 회전축(320)은 양측 끝단이 수직 프레임(340)에 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도록 연장되되, 전달 함체(310)의 후면판(311)의 외면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전달 회전축(320)은 복수의 전달 함체(310)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여기서 전달 함체(310)는 분배 수단(210)의 회전 이후에 순차적으로 회전되어 내측에 수용된 종자(A)를 배출시킨다. 물론, 전달 함체(310)는 상하면이 개방된 상태임에 따라 분배 수단(210)에서 배출된 이후에 즉시 어망(500)으로 낙하 될 수 있으나, 그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어망(500)의 위치에 따라 전달 함체(310)의 토출 각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전달 함체(310)를 회전시킴도 가능하다.
또한, 각 전달 함체(3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이 그룹화되어 어망(500)에서 복수로 구획된 구간별로 종자(A)를 안내함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어망(500)의 각 구간들은 2개의 전달 함체(310)에서 전달되는 어망(500)이 채워지거나, 1개 또는 3개의 전달 함체(310)에서 전달되는 종자(A)들로 채워질 수 있다.
전달 레버(330)는 전달 회전축(320)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작업자는 전달 레버(330)의 조작을 통하여 전달 함체(310)의 종자(A) 배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전달 레버(330)의 조작을 통하여 전달 함체(310)에 임시 수용된 종자(A)들의 배출 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다.
어망 개구 유지부(400)는 어망(50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어망(500)을 고정하고, 종자 전달부(300)에서 전달되는 종자(A)를 어망(500)으로 투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어망 개구 유지부(400)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어망 개구 유지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어망 개구 유지부(400)는 어망 고정부(600)에 의해 고정되는 어망(500)의 상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브러쉬 롤러(410, 420)와, 제1모터(430)와, 제1모터(430)에서 발생 된 힘을 브러쉬 롤러(410, 420)들에 전달하는 한 쌍의 기어(440)를 포함한다.
제1모터(430)는 스위치 조작에 따른 명령으로 온 또는 오프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제1모터(430)에서 연장된 회전축(431)은 기어(440)에 연결된다.
한 쌍의 기어(440)는 회전축(431)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켜 브러쉬 롤러에 전달한다. 예를 들면, 제1기어는 제1브러쉬 롤러(410)에 정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2기어는 제2브러쉬 롤러(420)에 역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제1브러쉬 롤러(410)는 제1기어(440)에 의해 회전되는 제1롤러축(411)과, 제1롤러축(411)의 외면에 고정되는 제1브러쉬(412)를 포함한다.
제2브러쉬 롤러(420)는 제2기어(440)에 의해 회전되는 제2롤러축(421)과, 제2롤러축(421)의 외면에 고정되는 제2브러쉬(4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브러쉬 롤러(410)와 제2브러쉬 롤러(420)는 어망(500)의 상측에서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내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어망(500)의 외면을 가압한다. 예를 들면, 어망(500)은 상부가 개방된 상태, 또는 개구상태로서 고정된다. 제1브러쉬 롤러(410)와 제2브러쉬 롤러(420)는 마주보는 위치에서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회전되기에 제1브러쉬(412)와 제2브러쉬(422)가 각각 어망(500)의 외면에 마찰을 일으켜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어망(500)은 상면의 개구가 종자(A)가 투입되는 과정에서 좁혀지지 않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1브러쉬 롤러(410)와 제2브러쉬 롤러(420)는 마주보는 위치에서 회전됨에 따라 그 사이에 낙하되는 종자(A)를 어망(500)의 개구로 안내할 수 있다.
어망 고정부(600)는 위와 같이 어망 개구 유지부(400)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어망(500)을 고정 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어망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어망 고정부의 이동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어망 고정부(600)는 어망(500)을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과, 고정 프레임(610)을 이동시키는 이동 롤러(620)와, 이동 롤러(620)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650)와, 이동 롤러(62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640)를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610)은 직립되는 한 쌍의 고정 판넬(611)과, 고정 판넬(611) 사이에 연장되는 복수의 안내봉(61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판넬(611)은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서, 마주보는 일면에서 어망(500)의 끝단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정 판넬(611)은 일면에서 고리와 같이 어망(500)의 한쪽 끝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안내봉(612)은 복수로서 양측 고정 판넬(611)의 대향되는 일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여기서 안내봉(612)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거나,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어망(500)이 수용되는 공간을 구획한다.
이동 레일(630)은 제2모터(650)에 의해 발생된 동력으로 회전되며, 프레임에 설치되는 레일(630)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이동 레일(630)은 고정 판넬(611)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모터(650)는 조작 스위치의 명령에 따라 이동 레일(63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는 본 발명에서 고정 프레임(610)은 상술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고정 판넬(611)에 손잡이를 추가하여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서 이동 레일(630)은 실린더 방식으로 이동됨도 가능하다.
어망(500)은 복수의 구획 판넬(510)이 내측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어망(500)의 틀을 유지하고, 종자(A)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획한다. 여기서 각 구획 판넬(510)에 의해 구획된 공간은 전달 함체(310) 및 분배 수단(210)에서 전달되는 종자(A)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아울러, 어망(500)은 어망 고정부(600)에 설치되면서 작업자가 상부를 절개해 개구를 형성하고, 종자(A)가 수용된 이후에 작업자의 수작업 또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개구를 봉합하게 된다.
스토퍼(640)는 프레임에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630)에 설치되어 이동 레일(630)의 회전을 저지한다. 여기서 스토퍼(640)는 압전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모터(650)는 스토퍼(640)에 이동 레일(630)이 접촉되면서 발생된 전기적인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 레일(63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달성되는 패류 종자(A)의 투입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어망(500)을 안내봉(612)들 사이의 수용 공간에 위치시킨 뒤에 양 끝단을 고정 판넬(611)의 대향된 일면에 각각 고정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어망(500)의 상부를 절개하여 개구를 형성한다. 이후 작업자는 조작 스위치 또는 수동으로 고정 프레임(610)을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이동 레일(630)은 제2모터(65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스토퍼(640)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제2모터(650)는 스토퍼(640)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이동 레일(630)을 정지시킨다.
이때, 어망(500)의 개구는 어망 개구 유지부(400)의 제1브러쉬 롤러(410)와 제2브러쉬 롤러(420)의 하측이며, 제1브러쉬(412)와 제2브러쉬(422)가 어망(500)의 개구 주변의 외면에 밀착된 높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어망(500)의 위치가 고정되면, 작업자는 종자(A)를 호퍼(100)에 공급하고, 스위치를 조작하여 어망 개구 유지부(400)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어망 개구 유지부(400)는 제1브러쉬(412)와 제2브러쉬(422)가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어망(500)의 상부를 가압함에 따라 어망(500)의 상부가 개구된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종자(A)들은 호퍼(100) 내로 투입되면서 호퍼(100)의 개방된 하부에 노출되는 수용구(211)로 수용된다.
그리고 분배 수단(210)은 회전 레버(240)의 회전에 따라 수용구(211)의 입구가 전달 함체(310)의 개방된 상부를 향하도록 하향 회전된다. 따라서 수용구(211)에 수용된 종자(A)는 중력에 의해 전달 함체(310)으로 낙하하고, 전달 함체(310)에 낙하된 종자(A)들은 다시 어망 개구 유지부(400)로 낙하된다.
어망 개구 유지부(400)의 제1브러쉬(412)와 제2브러쉬(422)는 회전되면서 어망(500)의 상부를 가압하여 개구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사이에 낙하되는 종자(A)들을 어망(500)의 내측으로 가압하여 밀어 넣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어망(500)의 길이에 유사한 크기로서 연장되는 분배 수단(210)과, 복수의 전달 함체(310)이 정렬되어 종자(A)들을 어망(500)으로 투입함에 따라 어망(500) 전체에 균일한 양의 종자(A)들이 공급될 수 있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어망(500)의 전체 공간 내에 균일한 양이 투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여 종자(A)를 투입 후 물리력을 이용하여 종자(A)를 재 분배하는 과정이 필요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분배 수단(210) 및 전달 함체(310)들을 통하여 종자(A)들이 균일한 수량으로 분배된 상태에서 어망(500)으로 공급하기에 이와 같은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종자(A)의 투입과정을 자동화함과 동시에 종자(A)가 어망(500) 내에 균일한 양이 수용될 수 있도록 분배하여 투입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호퍼 110 : 하부
200 : 종자 분배부 210 : 분배 수단
211 : 수용구 220 : 수량 조절 수단
221 : 지지바 222 : 지지핀
223 : 이동 블럭 224 : 고정 수단
224a : 고정핀 224b : 고정 치구
230 : 분배 회전축 240 : 회전 레버
300 : 종자 전달부 310 : 전달 함체
320 : 전달 회전축 330 : 전달 레버
400 : 어망 개구 유지부 410 : 제1브러쉬 롤러
420 : 제2브러쉬 롤러 411, 421 : 롤러축
412, 422 : 브러쉬 430 : 제1모터
440 : 기어 500 : 어망
510 : 구획 판넬 600 : 어망 고정부
610 : 고정 프레임 611 : 고정 판넬
612 : 안내봉 620 : 이동 롤러
630: 레일 640 : 스토퍼
650 : 제2모터

Claims (7)

  1. 프레임의 상측에 고정되어 패류의 종자(A)가 투입되는 호퍼(100);
    호퍼(100)에 투입된 종자(A)들을 설정된 수량으로 분배하여 수용하고, 프레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종자 분배부(200);
    종자 분배부(200)를 통하여 분배된 종자(A)를 하측의 어망(500)으로 전달하는 종자 전달부(300);
    종자 전달부(300)의 하측에서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종자(A)가 수용되는 어망(500)을 고정시키는 어망 고정부(600); 및
    어망 고정부(600)에 의해 고정된 어망(500)에서 종자(A)가 투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어망(500)의 상부를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한 쌍의 브러쉬 롤러를 구비하는 어망 개구 유지부(400); 를 포함하는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종자 분배부(2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호퍼(100)의 개방된 하부에 노출되는 외면에서 내향되어 종자(A)가 수용되는 복수의 수용구(211)가 정렬되는 분배 수단(210);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분배 수단(210)을 지지하는 분배 회전축(230); 및
    분배 회전축(230)을 회전시키는 회전 레버(240); 를 포함하는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종자 분배부(200)는
    수용구(211)의 수용 면적을 조절하는 수량 조절 수단(220); 을 더 포함하고,
    수량 조절 수단(220)은
    수용구(211)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 블럭(223);
    이동 블럭(223)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핀(222);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지지핀(222)이 고정되는 지지바(221); 및
    지지바(22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224); 을 포함하는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고정 수단(224)은
    지지바(221)를 연통하여 분배 수단(210)의 외면에 연결되는 고정핀(224a); 및
    고정핀(224a)과 지지바(221)를 고정시키는 고정치구(224b); 를 포함하는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종자 전달부(300)는
    복수로서 일방향으로 정렬되고, 각각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종자 분배부(200)에서 분배된 종자(A)들을 각각 하측으로 전달하는 전달 함체(310); 및
    복수의 전달 함체(3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달 회전축; 을 포함하는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어망 고정부(600)는
    상호 대향된 일면에서 어망(500)의 한쪽 끝단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판넬(611);
    고정 판넬(611)들 사이에서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정렬되어 그 사이에 어망(500)이 수용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안내봉(612); 및
    고정 판넬(611)의 하측에서 회전되어 프레임에서 연장된 레일(63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 롤러(620); 를 더 포함하는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

KR1020200105201A 2020-08-21 2020-08-21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 KR102235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201A KR102235851B1 (ko) 2020-08-21 2020-08-21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201A KR102235851B1 (ko) 2020-08-21 2020-08-21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851B1 true KR102235851B1 (ko) 2021-04-05

Family

ID=7546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201A KR102235851B1 (ko) 2020-08-21 2020-08-21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8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467A (ko) 2021-06-23 2022-12-30 이민기 패류종자 어망투입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8508A (en) * 1988-03-25 1989-01-17 The Dow Chemical Company Machine and method for opening a filled bag, emptying the bag, and disposing of the empty bag
KR200241833Y1 (ko) 2001-05-14 2001-10-15 강명우 패류의 양식장치
KR100884617B1 (ko) * 2008-07-04 2009-02-23 (주)대성기계 분상체용 포장기계의 분배 투입장치
KR101594905B1 (ko) * 2015-05-11 2016-02-17 김병권 종패 리튜빙 장치
CN106259131A (zh) * 2016-10-14 2017-01-04 烟台大学 一种贝类分苗装置
CN109264118A (zh) * 2018-11-07 2019-01-25 惠州丰盛食品有限公司 一种运用于食品生产的分拣包装一体化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8508A (en) * 1988-03-25 1989-01-17 The Dow Chemical Company Machine and method for opening a filled bag, emptying the bag, and disposing of the empty bag
KR200241833Y1 (ko) 2001-05-14 2001-10-15 강명우 패류의 양식장치
KR100884617B1 (ko) * 2008-07-04 2009-02-23 (주)대성기계 분상체용 포장기계의 분배 투입장치
KR101594905B1 (ko) * 2015-05-11 2016-02-17 김병권 종패 리튜빙 장치
CN106259131A (zh) * 2016-10-14 2017-01-04 烟台大学 一种贝类分苗装置
CN109264118A (zh) * 2018-11-07 2019-01-25 惠州丰盛食品有限公司 一种运用于食品生产的分拣包装一体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467A (ko) 2021-06-23 2022-12-30 이민기 패류종자 어망투입장치
KR102656699B1 (ko) * 2021-06-23 2024-04-09 이민기 패류종자 어망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60423B1 (en) Depositor apparatus
KR102235851B1 (ko) 패류 종자 정량 투입 장치
DE102007007068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füllen von Behältern mit stabförmigen Produkten
CN103118650A (zh) 药物分装装置
DK147015B (da) Apparat til at transportere cigaretter paa en cigaretpakkemaskine
CN112772431A (zh) 一种养殖厂用节能环保的饲料投料设备
DE102007012697A1 (de) Entleermagazin für eine Schragenentleereinrichtung zum Entleeren von mit stabförmigen Produkten gefüllten Schragen
EP2661183B1 (de) Zuführen von gemahlenem oder geschnittenem tabakmaterial zu einer portionierungsvorrichtung
CN209956903U (zh) 一种应用于多种规格蜡笔装配线输送蜡笔笔筒的上料装置
EP2150138A2 (de) Entleermagazin und übergabeeinrichtung für einen schragenentleerer, einen schragenentleerer sowie ein verfahren zum entleeren von mit stabförmigen produkten gefüllten schragen und weiterleiten der produkte an nachgeordnete vorrichtungen
CN113002955B (zh) 一种半成品羽毛球运送装置
CN210017527U (zh) 大蚕养殖用自动化喂料消毒装置
US11338990B2 (en) Depositor apparatus
CN111990320A (zh) 一种外设安全围栏的漂浮式水产鱼类养殖装置
CN200990770Y (zh) 播种装置
KR102388589B1 (ko) 사료 급이기의 사료 혼합 비율 조절장치
CN214155888U (zh) 一种带有自动投食装置的小龙虾养殖设备
EP0361090B1 (de) Vorrichtung zum dosierten Abfüllen von Käsebruch
CN218126312U (zh) 一种养鸡的自动化投食装置
KR101542327B1 (ko) 마늘 파종장치
CN217523610U (zh) 家禽喂料装置及家禽喂料系统
KR102279654B1 (ko) 육묘상자용 파종기의 배출롤의 스크레이핑 포크 구조
CN213316079U (zh) 一种筛分效果好的农业生产用种子筛分装置
CN112020955B (zh) 一种麻山药编绳种植机及使用其进行的种植方法
CN219844003U (zh) 一种新型播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