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305B1 - IoT BASED SANITARY WARE COLLECT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USING SAME - Google Patents

IoT BASED SANITARY WARE COLLECT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305B1
KR102235305B1 KR1020190044124A KR20190044124A KR102235305B1 KR 102235305 B1 KR102235305 B1 KR 102235305B1 KR 1020190044124 A KR1020190044124 A KR 1020190044124A KR 20190044124 A KR20190044124 A KR 20190044124A KR 102235305 B1 KR102235305 B1 KR 102235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llection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unit
hygi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1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1942A (en
Inventor
엄정범
Original Assignee
엄정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정범 filed Critical 엄정범
Priority to KR1020190044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305B1/en
Publication of KR20200121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9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3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7/00Cleaning or disinfecting devices combined with refuse receptacles or refuse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9Deodor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4Level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64Sanitary towe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사물인터넷(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위생용품 수거 시스템은, 위생용품을 수거하며 사용자 감지 센서, 개폐 감지 센서, 적재량감지센서 또는 비상버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여 센서 데이터에 따른 적재량감지 기능, 개폐 감지 기능, 살균탈취 기능, 공기정화 기능 및 비상호출 기능을 제공하는 위생용품 수거 장치와,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솔루션 서버와 연동하는 IoT 게이트웨이와, IoT 게이트웨이로부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센서 데이터에 따른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관리솔루션 서버와, 관리솔루션 서버에서 발송되는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상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화장실의 폐생리대로 인한 악취, 파리 등 해충의 발생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공기접촉 등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교차감염의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고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제공한다.An Internet of Things (IoT)-based sanitary product collection system and a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system collects hygiene products and has one or more of a user detection sensor, an opening/closing detection sensor, a loading amount detection sensor, or an emergency button to detect a load amount according to sensor data, an opening/closing detection function, a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 and air. A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that provides a purification function and an emergency call function, an IoT gateway that collects sensor data from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and works with a management solution server, and a hygiene product collection according to the sensor data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from the IoT gateway. It includes a management solution server that monitors the status of the device, and a manager terminal that can receive a status notification messag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sent from the management solution server. It fundamentally blocks the occurrence of pests such as flies, protects users from the risk of cross-infection that may occur through air contact, and provides a comfortable toilet environment.

Description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서비스 방법{IoT BASED SANITARY WARE COLLECT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USING SAME}IoT-based sanitary product collect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using it {IoT BASED SANITARY WARE COLLECT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위생용품 수거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 기반으로 폐생리대 등의 위생용품을 수거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giene product collectio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collecting hygiene products such as waste sanitary napkin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a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최근 국내에서는 보건 및 위생적인 환경문화를 개선하려는 정부정책의 일환으로 2018년 1월부터 ‘공중 화장실 시설관리 개선사업’ 등에 관한 법률시행령이 시행되어 화장실내 쓰레기통을 비치하지 못하고 여자화장실 내에는 위생용품 수거를 위한 장치설치를 의무화함에 따라 ‘휴지통 없는 화장실’이 대세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Recently, as part of the government's policy to improve health and hygienic environmental culture in Korea, the Act on the'Public Toilet Facility Management Improvement Project' has been enforced since January 2018. With the mandated installation of equipment for collection,'toilet without trash cans' is gaining popularity.

특히, 국내 백화점, 병원, 빌딩 등 대형건물에서는 휴지통을 없애는 정책에 적극 동참 중에 있다. 생리대는 법적으로 일반의료 폐기물로 구분되어 반드시 별도의 수거함에 의해 수거되어야 하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large buildings such as department stores, hospitals, and buildings in Korea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policy of removing trash. Sanitary napkins are legally classified as general medical waste and must be collected by separate collection.

이와 같이, 화장실 사용자뿐만 아니라 화장실을 관리하거나 청소하는 사람들을 교차감염의 위험으로부터 지켜주고 관리자의 업무 피로도를 낮추어 주고 안전한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며 화장실 내에서 버려지는 위생용품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솔루션이 요구되고 있다.In this way, not only toilet users but also those who manage or clean the toilet are protected from the risk of cross-infection, reduce the fatigue of the manager's work, provide conditions for working in a safe environment, and efficiently manage hygiene products thrown away in the toilet. There is a need for a solution that can be done.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26248(2017.04.06.)호에서 폐생리대 수거함이 공지되어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impro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waste sanitary napkin collection box is known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26248 (2017.04.06.).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폐생리대를 위생봉투를 사용하여 패킹할 수 있도록 비닐 인출부 관련항목과 비닐을 쉽게 인출시키기 위해 절단하는 항목, 화장실 사용시 사용하는 에티겟벨, 오존발생기를 사용하여 살균할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사용할 때마다 버려지는 일회용 비닐 봉투를 사용하는 문제점과 수거함 살균시의 광촉매방식으로 대기살균까지 수행하는 방식은 적용되지 않은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can be sterilized using the items related to the vinyl drawer so that the sanitary napkin can be packed using a sanitary bag, items that are cut to easily draw out the vinyl, etiquette bells used when using the toilet, and an ozone generator. There are disadvantages of using a disposable plastic bag, which is discarded each time it is used, and a method of performing air sterilization with a photocatalytic method at the time of sterilization of a collection box, which is not applie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실의 폐생리대로 인한 악취, 파리 등 해충의 발생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공기접촉 등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교차감염의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고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거함 내부 살균과 동시에 주변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 기반 위생용품 수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ndamentally block the occurrence of pests such as odors, flies, etc. due to the waste sanitary tract of the toilet, and may occur through air contact, etc. In order to protect users from the risk of cross-infection and to provide a comfortable toilet environment, it provides an Internet of thing (IoT)-based sanitary product collection device and management system that can sterilize the inside of a collection box and purify the surrounding air.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거함 내부 살균과 동시에 주변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으면서 IoT 센서인식 기반으로 수거함을 비우거나 청소하여야 하는 시기, 사용패턴 등을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는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oT-based sanitary product collection device capable of sterilizing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box and purifying the surrounding air at the same time, while identifying and managing the time to empty or clean the collection box, usage patterns, etc. based on IoT sensor recognition, and It is to provide th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거함 내부 살균과 동시에 주변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고 IoT 센서인식 기반으로 관리하면서 비상벨 기능을 추가하여 위급상황 시 비상벨을 누르면 미리 지정된 관리자가 이를 통보받아 현장의 상황을 즉시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는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장치 및 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possible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box and purify the surrounding air at the same time, and add an emergency bell function while managing based on IoT sensor recognition. It is to provide an IoT-based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and its management system that can immediately identify and cope with it.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시스템은, 위생용품을 수거하며 사용자 감지 센서, 개폐 감지 센서, 적재량감지센서 및 비상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센서 데이터에 따른 적재량감지 기능, 개폐 감지 기능, 살균탈취 기능, 공기정화 기능 및 비상호출 기능을 제공하는 위생용품 수거 장치;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상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관리솔루션 서버와 연동하는 IoT 게이트웨이(Gateway, GW); 상기 IoT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센서 데이터에 따른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관리솔루션 서버; 및 상기 관리솔루션 서버에서 발송되는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상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 Internet of Things (IoT)-based sanitary product coll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user detection sensor, an opening/closing detection sensor, a load detection sensor, and an emergency button to collect the hygiene products. A sanitary product collection device that provides a loading amount detection function, an opening/closing detection function, a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and an emergency call function according to data; An IoT gateway (Gateway, GW) collecting the sensor data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and interworking with the management solution server; A management solution server for monitoring a stat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sensor data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from the IoT gateway; And a manager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a status notification messag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sent from the management solution server.

본 발명의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는 내부 저장 공간을 구비하고, 상부에 개폐 방식의 투입구를 갖는 위생용품 수거부; 상기 위생용품 수거부에 설치되어 상기 위생용품 수거부 내의 위생용품을 살균하고 냄새를 탈취하는 살균탈취부; 상기 위생용품 수거부 내의 일정 위치에 설치되어 위생용품의 적재량을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별로 측정하여 일정 수준 이상 채워지면 자동으로 적재량 정보를 센서제어부로 전송하는 적재량감지센서; 상기 위생용품 수거부의 상기 투입구가 사용자에 의해 개폐될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개폐 감지 센서;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제어 및 IoT 게이트웨이와 연동을 담당하는 센서제어부 및 상기 센서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위생용품 수거부의 외부에 노출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비상버튼 또는 일정 데시벨 이상의 음성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비상버튼을 작동시키는 비상호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anitary product coll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anitary product collecting unit having an internal storage space and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type inlet at the top; A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installed in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to sterilize the hygiene products in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and deodorize the smell; A load amount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a certain position in the sanitary product collection unit to measure the load amount of the sanitary product in real time or at a certain period, and automatically transmit the load amount information to the sensor control unit when it is filled above a certain level; An open/clos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when the inlet of the sanitary product collection part is opened or closed by a user; The sensor control unit in charge of controlling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and interlocking with the IoT gateway and the emergency button connected to the sensor control unit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to be operated manually or in response to a voice signal of a certain decibel or more It may include an emergency call unit for operating the emergency butt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살균탈취부는, 폭 방향 길이나 직경에 비해 길이 방향 길이가 더 긴 원통 형태로 구비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내부에서 일측면 개구부와 타측면 개구부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유동 채널, 상기 일측면 개구부를 통해 상기 위생용품 수거부의 대기 중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된 공기를 상기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타측면 개구부로 배출하는 공기정화필터 및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폭을 갖는 띠 혹은 슬롯 형태로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자외선(UV)을 조사하여 유해 물질을 살균 제거하는 자외선 살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ylindrical cas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ength long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mpared to the length or diamet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at least connecting an opening on one side and an opening on the other side in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case. One fluid flow channel, an air purification filter that sucks air in the atmospher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through the one side opening and discharges the purified air to the other side opening through the fluid flow channel, and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cas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module that sterilizes and removes harmful substances by irradiating ultraviolet (UV) light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form of a strip or slo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length direction.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살균탈취부는 개폐 감지 센서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거나, 미리 세팅된 구간 값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구동한 후 주기적인 패턴으로 작동 및 멈춤을 반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rated by a signal from an opening/closing sensor or may be driven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a preset section value and then repeatedly operated and stopped in a periodic patter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관리솔루션 서버는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적재량감지센서의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위생용품 수거부의 잔량 상태 모니터링 모듈,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사용자 감지 센서 또는 개폐 감지 센서의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이용빈도 모니터링 모듈,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센서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장비 고장 진단 모니터링 모듈,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비상호출부에서 보내오는 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위급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위급상황 발생 시 상기 관리자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는 알림 메시지 송출 모듈 및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상태를 시각화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UI/UX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olution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us monitoring module o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based on the sensing data of the load detection sensor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a user detection sensor or an opening/closing detection sensor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Usage frequency monitoring module based on sensing data, equipment failure diagnosis monitoring modul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the sensor control unit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and emergency based on a signal sent from the emergency call unit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notification message transmission module capable of monitoring a situation and sending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anager terminal when an emergency occurs, and a UI/UX module providing a function of visualizing the stat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hav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위생용품 수거 장치에 설치되는 사용자 감지 센서, 개폐 감지 센서, 적재량감지센서 및 비상버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센싱데이터를 IoT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관리솔루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솔루션 서버에서 IoT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집되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상태 모니터링을 UI/UX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적재량감지센서의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생용품 수거부의 잔량 메세지를 관리자 단말로 발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 또는 개폐 감지 센서의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생용품 수거부의 이용빈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비상호출부에서 보내오는 신호를 기반으로 위급상황 발생 시 관리자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발송하는 알림 메시지 발송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operating method of the IoT-based hygiene product coll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ny one or more of a user detection sensor, an opening/closing detection sensor, a loading amount detection sensor, and an emergency button installed in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Transmitting the sensing data generated in the device to a management solution server through an IoT gateway; Monitoring the stat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based on sensing data collected through the IoT gateway in the management solution server; A step of visualizing and displaying the status monitoring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by UI/UX, and in the step of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is based on the sensing data of the load detection sensor. Sending a message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Measuring a frequency of us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based on the sensing data of the user detection sensor or the opening/closing detection sensor; And a notification message sending step of sending a notification message to a manager terminal when an emergency occurs based on a signal sent from the emergency call unit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장치는, 내부 저장 공간을 구비하고, 상부에 개폐 방식의 투입구를 갖는 위생용품 수거부; 상기 위생용품 수거부에 설치되어 상기 위생용품 수거부 내의 위생용품을 살균하고 냄새를 탈취하는 살균탈취부; 상기 위생용품 수거부 내의 일정 위치에 설치되어 위생용품의 적재량을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별로 측정하여 일정 수준 이상 채워지면 자동으로 적재량 정보를 센서제어부로 전송하는 적재량감지센서; 상기 위생용품 수거부의 상기 투입구가 사용자에 의해 개폐될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개폐 감지 센서;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제어 및 IoT 게이트웨이와 연동을 담당하는 센서제어부; 및 상기 센서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위생용품 수거부의 외부에 노출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비상버튼 또는 일정 데시벨 이상의 음성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비상버튼을 작동시키는 비상호출부를 포함한다.An IoT-based sanitary produc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sanitary product collection unit having an internal storage space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at the top; A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installed in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to sterilize the hygiene products in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and deodorize the smell; A load amount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a certain position in the sanitary product collection unit to measure the load amount of the sanitary product in real time or at a certain period, and automatically transmit load amount information to the sensor control unit when it is filled above a certain level; An open/clos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when the inlet of the sanitary product collection part is opened or closed by a user; A sensor control unit in charge of controlling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and interworking with the IoT gateway; And an emergency call unit connected to the sensor control unit and operating the emergency button in response to an emergency button that is manually operated by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or a voice signal of a certain decibel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살균탈취부는, 폭 방향 길이나 직경에 비해 길이 방향 길이가 더 긴 원통 형태로 구비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내부에서 일측면 개구부와 타측면 개구부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유동 채널, 상기 일측면 개구부를 통해 상기 위생용품 수거부의 대기 중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된 공기를 상기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타측면 개구부로 배출하는 공기정화필터, 및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폭을 갖는 띠 혹은 슬롯 형태로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자외선(UV)을 조사하여 유해 물질을 살균 제거하는 자외선 살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탈취부는 상하 방향의 길이가 폭 또는 두께 방향의 길이보다 긴 위생용품 수거부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 전체에 설치되어 위생용품 수거부의 내부 공간 전체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ylindrical cas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ength long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mpared to the length or diamet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at least connecting the opening on one side and the opening on the other side inside the cylindrical case. One fluid flow channel, an air purification filter that sucks air in the atmosphere of the sanitary product collection unit through the one side opening and discharges the purified air to the other side opening through the fluid flow channel, and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case It includes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module that sterilizes and removes harmful substances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UV)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form of a strip or slo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has a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lternatively, it may be installed in the entire lengthwise direction inside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install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 the entire inner spac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전술한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화장실의 폐생리대로 인한 악취, 파리 등 해충의 발생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공기접촉 등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교차감염의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고 쾌적한 화장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IoT-based hygiene product collect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it fundamentally blocks the occurrence of pests such as odors and flies from the waste sanitary napkin in the bathroom and protects users from the risk of cross-infection that may occur through air contact. It can protect and provide a comfortable toilet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거함을 비우거나 청소하여야 하는 시기, 사용패턴 등을 파악하여 위생용품 수거 장치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manage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hygiene products by grasping the timing of emptying or cleaning the collection bin, usage patterns,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거함을 설치되는 비상벨 기능을 통해 화장실 내의 위급상황 시 미리 지정된 관리자가 이를 통보받아 현장의 상황을 즉시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rough an emergency bell function in which a collection box is installed, a manager designated in advance is notified of an emergency situation in the toilet, and can immediately grasp and respond to the situation at the sit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3은 도 2의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장치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탈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관리 시스템의 관리솔루션 서버의 기능 모듈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oT-based hygiene product collec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oT-based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IoT-based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of FIG. 2,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module of a management solution server of an IoT-based hygiene product collec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oT-based hygiene product collec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Even if the terms are the same, if the parts to be displayed are different, the reference numerals do not coincide.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조작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set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since these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operators such as experimenters and measurers, their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meaning as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It doesn't work.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이에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ransformations may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ernet of Things (IoT)-based hygiene product collec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시스템은 위생용품 수거 장치(100), IoT 게이트웨이(Gateway, GW)(200), 관리솔루션 서버(300) 및 관리자 단말(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IoT-based hygiene product coll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00, an IoT gateway (GW) 200, a management solution server 300, and a manager terminal 400. Can be done.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100)는 공중화장실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IoT 센서 인식 기반의 센싱데이터를 수집하여 살균탈취 기능, 비상호출 기능 및 공기정화 기능 및 관리자 알림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폐생리대와 같은 위생용품을 수거할 수 있는 수거함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위생용품이란 폐생리대를 일컬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a public toilet, and may provide a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 an emergency call function,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and an administrator notification function by collecting sensing data based on IoT sensor recognition, and It can be said to be a kind of collection box that can collect hygiene products. In this embodiment, the hygiene product may be referred to as a waste sanitary napk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IoT 게이트웨이(200)는 위생용품 수거 장치(100)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위생용품 수거 장치(100)가 IoT 마스터 장치인 경우, 위생용품 수거 장치(100)는 주변의 슬래이브 장치들과 외부의 서버 장치 사이에서 신호나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중계 장치로서 혹은 데이터 수집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 경우, 위생용품 수거 장치(100)는 IoT 게이트웨이(200)를 탑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oT gateway 200 may be a device separately installed outside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00 is an IoT master device,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00 may be used as a relay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or data between slave devices and external server devices. It can function as a collection device. In that case,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mount the IoT gateway 200.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장치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oT-based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IoT-based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of FIG. 2.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장치(100)는 위생용품 수거부(110), 살균탈취부(120), 적재량감지센서(130), 개폐 감지 센서(140) 및 센서제어부(150) 및 비상호출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장치(100)는 송풍기(170), 전원공급장치(180) 및 IoT 게이트웨이(2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할 수 있다.2 and 3, the IoT-based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110, a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120, a load detection sensor 130, an open/close detection sensor ( 140) and a sensor control unit 150 and an emergency call unit 160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IoT-based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ny one or more of a blower 170, a power supply device 180, and an IoT gateway 200.

위생용품 수거부(110)는 위생용품을 수거할 수 있는 내부 저장 공간을 구비하고, 상부에 개폐 방식의 투입구를 갖는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수거 용기이다.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110 is a collection container that has an internal storage space for collecting hygiene products, and can take the form of an opening and closing type inlet at the top.

본 실시예에서, 위생용품 수거 시에는 비닐과 같은 일회용품으로 위생용품을 포장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투입구(112)를 개방하여 투입하게 이루어진다. 이는 일회용품 사용의 억제를 통한 환경 친화성을 높이기 위함이다.In this embodiment, when collecting the hygiene products, the user opens the inlet 112 and inserts the hygiene products without the need to pack the hygiene products with disposable items such as vinyl. This is to increase environmental friendliness by suppressing the use of disposable products.

투입구(112)에는 사용자 감지 센서를 결합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손이 투입구(112)에 근접할 시 투입구가 자동 개방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 감지 센서는 적외선 인체 감지 센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투입구가 사용자에 의하여 열리고 닫히는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개폐 감지 센서(140)를 투입구에 설치할 수 있다.A user detection sensor may be combined and installed in the inlet 112. The user detection sensor may operate to automatically open the inlet when the user's hand approaches the inlet 112. The user detection sensor may be an infrared human body detection sensor. 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ing/closing detection sensor 140 capable of detecting an opening/closing state in which an injection port is opened and closed by a user may be installed at the injection port.

살균탈취부(120)는 위생용품 수거부(110)에 내에 설치되어 위생용품 수거부(110) 내부의 위생용품을 살균하고 냄새를 탈취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120 is installed in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110 and serves to sterilize the hygiene products inside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110 and deodorize the smell.

상술한 살균탈취부(120)는 투입구(112)에 형성된 사용자 감지 센서 또는 개폐 감지 센서(140)의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 모드로 작동된 후 미리 세팅된 구간 값에 따라 일정 시간 경과후 닫힘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그 경우, 살균탈취부(120)는 위생용품 수거부(110) 내의 세균이나 곰팡이 번식을 막기 위해 주기적인 패턴으로 구동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120 is automatically operated in the open mode by a signal from the user detection sensor or the opening/closing detection sensor 140 formed in the inlet 112, and then the closed mod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ccording to a preset section value. Can work as In that case,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120 may be driven in a periodic pattern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bacteria or fungi in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110.

본 실시예에 따른 위생용품 수거 장치(100)에서, 적재량감지센서(130)는 위생용품 수거부(110) 내의 일정 위치에 설치되어 위생용품의 적재량을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별로 측정하여 일정 수준 이상 채워지면 자동으로 적재량 정보를 센서제어부(15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loading amount detection sensor 130 is installed at a certain position in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110 to measure the loading amount of the hygiene product in real time or at a certain period to fill a certain level or more. It perform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loading amount information to the sensor control unit 150 on the ground.

적재량감지센서(130)는 위생용품 수거부(110) 내부로 초음파를 전송하고,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위생용품 수거부(110)의 적재량 높이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 모듈일 수 있으며, 설계에 따라서는 위생용품 수거부(110) 내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일정 높이에서 위생용품 수거부(110)의 폐생리대가 일정높이로 쌓이면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 모듈일 수 있다. 광센서 모듈은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ad detection sensor 130 may be an ultrasonic sensor module that transmits ultrasonic waves into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110 and receives the reflected ultrasonic wave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load capacity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110, depending on the design. May be an optical sensor module capable of detecting when the waste sanitary napkin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110 is stack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a predetermined height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110. The optical sensor module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센서제어부(150)는 위생용품 수거 장치(100)의 내측에 설계되어, 위생용품 수거 장치(100)의 제어 및 IoT 게이트웨이(200)와 연동을 담당하는 센서제어보드이다.The sensor control unit 150 is a sensor control board designed inside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00 and in charge of controlling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00 and interlocking with the IoT gateway 200.

센서제어부(150)는 IoT 센서들과 연동하는 모듈과 IoT 게이트웨이(200)와 연동하기 위한 통신 수단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제어부(15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MCU)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sensor control unit 150 may include a module interworking with IoT sensors, a communication means for interworking with the IoT gateway 200, and at least on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core. The sensor control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 controller unit (MCU),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센서제어부(150)는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 또는 개폐 감지 센서(14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살균탈취부(120)를 동작시키며, 상기 적재량감지센서(130)의 센싱데이터를 IoT 게이트웨이(200)와 연동하여 관리솔루션 서버(300)로 송신하며, 상기 비상호출부(160)에서 보내오는 신호에 따라 비상벨을 작동시키거나 IoT 게이트웨이(200)와 연동하여 관리솔루션 서버(300)로 응급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sensor control unit 150 operates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120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user detection sensor or the opening/closing detection sensor 140, and the sensing data of the load detection sensor 130 is transmitted to the IoT gateway 200. It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olution server 300 in conjunction with, and operates an emergency bell according to the signal sent from the emergency call unit 160, or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o the management solution server 300 in connection with the IoT gateway 200. It performs the function of sending.

또한, 본 실시예의 위생용품 수거 장치(100)는 비상호출부(16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비상호출부(160)는 위생용품 수거부(110)의 외부에 노출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비상버튼일 수 있으며, 일정 데시벨 이상의 음성신호에 반응하여 비상버튼을 작동시키는 음성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n emergency call unit 160, the emergency call unit 160 is an emergency button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110 and is manually operated. It may be, and may further include a voice detection sensor for operating the emergency button in response to a voice signal of a certain decibel or more.

비상호출부(160)는 센서제어부(150)에 연결되어 비상버튼의 작동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응급상황에 대한 신호를 센서제어부(150)에 송신할 수 있으며, 화장실내에 설치된 비상벨을 작동시켜 소리가 나게 할 수 있다.The emergency call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sensor control unit 150 and can automatically transmit a signal for an emergency situation to the sensor control unit 150 by the operation signal of the emergency button. I can make it happen.

송풍기(170)는 사각 박스 형태의 위생용품 수거부(110)의 하부에 부착되어 장치 내부와 외부 간의 공기 흐름을 강제 순환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송풍기(170)는 살균탈취부(120)의 동작 후 일정 시간 동안만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blower 170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anitary product collection unit 110 in the form of a square box and is installed to forcibly circulate the air flow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device. The blower 170 may be set to operate on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120.

전원공급장치(180)는 위생용품 수거부(110)의 덮개 혹은 뚜껑 형태의 개구부(112), 살균탈취부(120), 적재량감지센서(130), 개폐 감지 센서(140), 센서제어부(150), 비상호출부(160), 송풍기(170), IoT 게이트웨이(2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장치(180)의 외부의 상용전원이나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180)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전력의 효율적 변환하는 전자식 전원공급장치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로 구현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device 180 includes an opening 112 in the form of a cover or lid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110, a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120, a load detection sensor 130, an open/close detection sensor 140, and a sensor control unit 150 ), the emergency call unit 160, the blower 170, and supplies power to the IoT gateway 200. Power may be supplied by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or a battery of the power supply device 180. The power supply 180 may be implemented as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which is an electronic power supply that efficiently converts power using a switching regulator.

IoT 게이트웨이(200)(Gateway, GW)는 위생용품 수거 장치(100)의 센서들로부터 센싱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솔루션 서버(300)와 연동하는 라우터 기반 GW(Gateway)로서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IoT 게이트웨이(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센서 장치들과 연결되고, 동일하거나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솔루션 서버(300) 및/또는 별개의 데이터 센터와 연결될 수 있다.IoT gateway 200 (Gateway, GW) is a router-based GW (Gateway) that collects sensing data from the sensors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00 and works with the management solution server 300, and is manufactured to support various wireless networks. Can be. The IoT gateway 20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ensor devices through a network,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nagement solution server 300 and/or a separate data center through the same or different networks.

본 실시예에서 관리솔루션 서버(300)는 위생용품 수거 장치(1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플랫폼이 내장된 관리 서버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anagement solution server 300 may be a management server having a built-in platfor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the stat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0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균탈취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탈취부(120)는, 폭 방향 길이나 직경에 비해 길이 방향 길이가 더 긴 원통 형태로 구비되는 원통형 케이스(121) 형상을 가진다. 원통형 케이스(121)의 내부에는 일측면 개구부와 타측면 개구부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유동 채널(122)이 형성된다. 살균탈취부(120)는 원통형 케이스(121)의 일측면 개구부를 통해 위생용품 수거부(110)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유체 유동 채널(122)을 통해 타측면 개구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살균탈취부(120)는 내장형 공기정화필터(123) 및 유해 물질을 살균 제거하기 위한 자외선 살균모듈(124)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ylindrical case 121 shap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hose length in the length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r diameter in the width direction. At least one fluid flow channel 122 is formed in the cylindrical case 121 to connect between the opening on one side and the opening on the other side.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120 sucks and purifies the air in the inner spac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110 through an opening on one side of the cylindrical case 121, and purifies the purified air through the fluid flow channel 122 on the other side. It is installed to discharge into. To this end,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120 may include a built-in air purification filter 123 and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module 124 for sterilizing and removing harmful substances.

공기정화필터(123)는 일측면 개구부를 막는 덮개 형태로 배치되는 1차 필터(123a)와 2차 필터(123b)로 배치될 수 있다. 1차 필터(123a)는 거름망으로 기능하는 마이크로 필터(micro filter)이고, 2차 필터(123b)는 유해가스를 흡착하는 탄소 필터(carbon filter)일 수 있다.The air purification filter 123 may be disposed as a primary filter 123a and a secondary filter 123b disposed in the form of a cover blocking an opening on one side. The primary filter 123a may be a micro filter functioning as a strainer, and the secondary filter 123b may be a carbon filter adsorbing harmful gas.

1차 필터(123a) 및 2차 필터(123b)는 단일 필터하우징에 의해 일체로 수납될 수 있고, 1차 필터(123a)의 일면과 마주하는 필터하우징 부분에는 메쉬(123c)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원통형 케이스(121)의 타단부의 측면 부분에 구비되는 송풍장치(125)를 설치하여 정화된 공기를 원활히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The primary filter 123a and the secondary filter 123b may be integrally accommodated by a single filter housing, and a mesh 123c may be installed in the filter housing portion facing one surface of the primary filter 123a. , By installing a blower 125 provided at a side portion of the other end of the cylindrical case 121, it is possible to smoothly discharge the purified air.

또한, 살균모듈(124)은 원통형 케이스(121)의 내부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폭을 갖는 띠 혹은 슬롯 형태로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200nm 내지 280nm 파장대의 자외선(UV)을 조사하여 유해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개구부에는 자외선 투영관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module 124 is installed inside the cylindrical case 121 and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UV) in a wavelength range of 200 nm to 280 nm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form of a band or slo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length direction. Can be removed. An ultraviolet projection tube may be installed in the opening.

전술한 살균모듈(124)에 있어서, 원통형 케이스(121)의 일단부의 측면 개구부는 2차 필터(123b)와 마주하고, 원통형 케이스(121)의 타단부의 측면 개구부는 송풍장치(125)와 마주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sterilization module 124, the side opening of one end of the cylindrical case 121 faces the secondary filter 123b, and the side opening of the other end of the cylindrical case 121 faces the blower 125. can do.

본 실시예에서, 살균탈취부(120)는 위생용품 수거부(110)와 설치 및 분리되는 착탈식 모듈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살균탈취부(120)의 공기정화필터(123) 및 살균모듈(124)의 각 구성요소도 분리가능한 독립된 모듈 형태로 설계되어 설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120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detachable module method that is installed and separated from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110, and the air purification filter 123 and the sterilization module of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120 Each component of 124 may also be designed and installed in the form of an independent detachable modul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관리 시스템의 관리솔루션 서버의 기능 모듈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module of a management solution server of an IoT-based hygiene product collec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솔루션 서버(300)는 적재량감지센서(130)의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위생용품 수거부(110)의 잔량 상태 모니터링 모듈,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 또는 개폐 감지 센서(140)의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이용빈도 모니터링 모듈, 상기 센서제어부(150)의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장비 고장 진단 모니터링 모듈, 상기 비상호출부(160)에서 보내오는 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위급상황 모니터링 모듈, 상기 비상호출부(160)에서 보내오는 신호에 따라 위급상황 발생 시 자동적으로 관리자 단말(400)로 알림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는 알림 메시지 송출 모듈 및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100)의 상태를 시각화하기 위한 관리솔루션 서버(300)의 시각화 기능을 제공하는 UI/UX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management solution serv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onitoring module fo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110 based on the sensing data of the load detection sensor 130, the user detection sensor, or opening/closing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monitoring module based on the sensing data of the detection sensor 140, the equipment failure diagnosis monitoring module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f the sensor control unit 150, the signal sent from the emergency call unit 160 An emergency monitoring module, a notification message transmission module capable of automatically sending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anager terminal 400 when an emergency occurs according to a signal sent from the emergency call unit 160, and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00 A UI/UX module that provides a visualization function of the management solution server 300 for visualizing the state of the device may be included.

이러한 관리솔루션 서버(300)는 별도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구축하여 위생용품 수거부(110)의 잔량 상태 모니터링 모듈, 이용빈도 모니터링 모듈, 고장 진단 모니터링 모듈, 위급상황 모니터링 모듈등과 연동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운용될 수 있다.This management solution server 300 separately establishes a database to store data in connection with the residual quantity status monitoring module, usage frequency monitoring module, fault diagnosis monitoring module, and emergency monitoring modul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110. Can be managed and operated.

또한, 관리솔루션 서버(300)는 위생용품 수거 장치(100) 관리자의 계정관리 모듈, 관리자 정보관리 모듈, 보안관리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olution server 300 may further include an account management module of the administrator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00, an administrator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a security management module,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 모듈이란 용어는 하드웨어(H/W)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내장형 프로세서 단위이거나, 소프트웨어(S/W) 수행되는 프로그램 단위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erm module may be a program built-in processor unit composed of hardware (H/W) or a program unit executed by software (S/W).

관리자 단말(400)로 발송하는 알림 메시지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메시지일 수 있다.The notification message sent to the manager terminal 400 may be a message having one of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or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전술한 관리솔루션 서버(300)는 네트워크 상에서 별도로 존재하는 SMS 서버(500), MMS 서버 또는 SNS 서버등과 연동하여 동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의 서버들을 편의상 SMS 서버(500)로 지칭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anagement solution server 300 may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an SMS server 500, an MMS server, or an SNS server separately existing on the network. In this specification, the above servers may be referred to as the SMS server 500 for convenience.

관리자 단말(400)은 SMS 서버(500)와 연동하여 관리솔루션 서버(300)에서 발송하는 위생용품 수거 장치(100)의 상태를 SMS, MMS 또는 SNS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하여 메시지를 전달받아 모니터링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The manager terminal 400 interlocks with the SMS server 500 to monitor or receive the status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00 sent from the management solution server 300 by receiving a message through any one of SMS, MMS, or SNS. It means a terminal that can be used.

또한, 관리자 단말(400)은 관리자가 접근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거나,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컴퓨터, 개인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또는 태블릿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r terminal 400 may be a general smart phone that the administrator can access, or may include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 tablet.

여기서, 관리자란 화장실 청소 관리자, 화장실 보안 관리자, 화장실 경비 관리자 또는 위생용품 수거 장치(100) 관리자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관계인이 구비하거나 사용하는 단말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IoT 게이트웨이어 접속하여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anager is a terminal equipped or used by at least one or more of a toilet cleaning manager, a toilet security manager, a toilet security manager, or a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00 manager, and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and data by accessing an IoT gateway through a network. It can contain any device that can do it.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n IoT-based hygiene product collec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공중화장실 등에 적용되는 위생용품 수거 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써, 위생용품 수거 장치에 설치되는 사용자 감지 센서, 개폐 감지 센서, 적재량감지센서 및 비상버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에서 발생되는 센싱데이터를 IoT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관리솔루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100), 관리솔루션 서버에서 IoT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집되는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200), 및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상태 모니터링 화면을 UI/UX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6,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operating method of a hygiene product collection system applied to a public toilet, among the user detection sensor, opening/closing detection sensor, loading amount detection sensor, and emergency button installed in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Transmitting sensing data generated by one or more of them to a management solution server through an IoT gateway (S100), monitoring the stat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based on sensing data collected from the management solution server through the IoT gateway ( S200), and a UI/UX visualization of the status monitoring screen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and displaying (S300).

여기서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적재량감지센서의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생용품 수거부의 잔량 메세지를 관리자 단말로 발송하는 단계(S210), 사용자 감지 센서 또는 개폐 감지 센서의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생용품 수거부의 이용빈도를 측정하는 단계(S220), 및 비상호출부에서 보내오는 신호를 기반으로 위급상황 발생 시 자동적으로 관리자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는 메시지 발송 단계(S2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in the step of monitoring the stat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sending a residual amount messag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to the manager terminal based on the sensing data of the load detection sensor (S210), sensing data of the user detection sensor or the opening/closing sensor Measuring the frequency of us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based on (S220), and a message sending step capable of automatically sending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anager terminal when an emergency occurs based on a signal sent from the emergency call unit (S230) It may be made including more.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본 실시예의 시스템 및 방법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수거함의 잔량여부를 미리 알려줄 수 있으며 서버 데이터를 통해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사용패턴/사용량 예측 등을 유추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구성을 통해 적정량의 기타소모품 수요예측, 청소인력 적정배치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시간대별 사용량을 유추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의 단순한 생리대 수거함의 개념을 뛰어넘어 관리와 안전망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ystem and method of this embodiment can be connected to a network to inform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llection box in advance,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that can infer the usage pattern / usage prediction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through server data. I can. In addition,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use an appropriate amount of demand for other consumables, appropriate arrangement of cleaning personnel, etc. In addition, efficient management is possible by inferring the amount of use by tim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erform management and safety net functions beyond the conventional concept of a simple sanitary napkin collection box.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번거롭게 비닐에 직접 폐생리대를 넣고 처리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과 위생을 위해 자외선(UV)으로 수거함 내부를 살균과 동시에 흡입된 주변공기를 정화하여 한가지 모듈로 2가지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일회용 비닐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처리가 1초 이내로 간편하며, 통신과 연결되어 잔여 공간 여부, 청소시기를 자동으로 알 수 있고, 비상벨 기능을 포함하여 비상상황 발생 시 신속히 대응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box is sterilized with ultraviolet rays (UV) for hygiene and the convenience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put the waste sanitary napkin directly into the vinyl and treat it. It can perform more than one function. In particular, it is eco-friendly because it does not use disposable vinyl, and it is easy to process within 1 second, and it is connected to communication so that you can automatically know whether there is any remaining space and when to clean. hav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You can understand.

100: 위생용품 수거 장치 110: 위생용품 수거부
120: 살균탈취부 121: 원통형 케이스
122: 유체 유동 채널 123: 공기정화필터
123a: 1차 필터 123b: 2차 필터
123c: 메쉬 124: 자외선 살균모듈
125: 송풍장치 130: 적재량감지센서
140: 개폐 감지 센서 150: 센서제어부
160: 비상호출부 200: IoT 게이트웨이
300: 관리솔루션 서버 310: 잔량 상태 모니터링 모듈
320: 이용빈도 모니터링 모듈 330: 고장 진단 모니터링 모듈
340: 위급상황 모니터링 모듈 350: 알림 메시지 송출 모듈
360: UI/UX 모듈 370: 데이터베이스
400: 관리자 단말 500: SMS 서버
100: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110: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120: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121: cylindrical case
122: fluid flow channel 123: air purification filter
123a: primary filter 123b: secondary filter
123c: mesh 124: ultraviolet sterilization module
125: blower 130: load detection sensor
140: open/close detection sensor 150: sensor control unit
160: emergency call unit 200: IoT gateway
300: management solution server 310: remaining amount status monitoring module
320: frequency of use monitoring module 330: fault diagnosis monitoring module
340: emergency monitoring module 350: notification message transmission module
360: UI/UX module 370: Database
400: manager terminal 500: SMS server

Claims (6)

위생용품을 수거하며 사용자 감지 센서, 개폐 감지 센서, 적재량감지센서 및 비상버튼을 구비하여 센서 데이터에 따른 적재량감지 기능, 개폐 감지 기능, 살균탈취 기능, 공기정화 기능 및 비상호출 기능을 제공하는 위생용품 수거 장치;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상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솔루션 서버와 연동하는 IoT 게이트웨이;
상기 IoT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센서 데이터에 따른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관리솔루션 서버; 및
관리솔루션 서버에서 발송되는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상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는, 여자 화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위생용품 수거 장치로서, 박스 형태로 내부 저장 공간을 구비하고 상부에 개폐 방식의 투입구를 갖는 위생용품 수거부; 상기 위생용품 수거부에 설치되어 상기 위생용품 수거부 내의 위생용품을 살균하고 냄새를 탈취하는 살균탈취부; 상기 위생용품 수거부 내의 일정 위치에 설치되어 위생용품의 적재량을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별로 측정하여 일정 수준 이상 채워지면 자동으로 적재량 정보를 센서제어부로 전송하는 적재량감지센서; 상기 위생용품 수거부의 상기 투입구가 사용자에 의해 개폐될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개폐 감지 센서;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제어 및 IoT 게이트웨이와 연동을 담당하는 센서제어부; 및 상기 센서제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위생용품 수거부의 외부에 노출되어 수동으로 조작되는 비상버튼 또는 일정 데시벨 이상의 음성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비상버튼을 작동시키는 비상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탈취부는, 폭 방향 길이나 직경에 비해 길이 방향 길이가 더 긴 원통 형태로 구비되는 원통형 케이스;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내부에서 일측면 개구부와 타측면 개구부 사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체 유동 채널; 상기 일측면 개구부를 통해 상기 위생용품 수거부의 대기 중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된 공기를 상기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타측면 개구부로 배출하는 공기정화필터; 및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폭을 갖는 띠 혹은 슬롯 형태로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자외선(UV)을 조사하여 유해 물질을 살균 제거하는 자외선 살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정화필터는,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일측면 개구부를 막는 덮개 형태로 배치되는 1차 필터와 2차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1차 필터는 거름망 기능을 하는 마이크로 필터이며, 상기 2차 필터는 유해가스를 흡착하는 탄소 필터이고,
상기 살균탈취부는,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타단부의 측면에 설치되는 송풍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는, 상기 살균탈취부의 동작 후 제 1 시간 동안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 내부와 외부 간의 공기 흐름을 순환시키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살균탈취부와 상기 송풍기는, 상기 위생용품 수거장치의 제 1 면에 부착되는,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시스템.
Hygiene products that collect hygiene products and have a user detection sensor, an open/close detection sensor, a load detection sensor, and an emergency button to provide a load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sensor data, an open/close detection function, a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and an emergency call function Collection device;
An IoT gateway collecting the sensor data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and interworking with a management solution server;
A management solution server for monitoring a stat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sensor data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from the IoT gateway; And
Including; a manager terminal for receiving a status notification messag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sent from the management solution server,
The sanitary product collection device may include a sanitary product collection device installed in a women's toilet, comprising: a sanitary product collection unit having an internal storage space in the form of a box and an opening in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A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installed in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to sterilize the hygiene products in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and deodorize the smell; A load amount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a certain position in the sanitary product collection unit to measure the load amount of the sanitary product in real time or at a certain period, and automatically transmit load amount information to the sensor control unit when it is filled above a certain level; An opening/closing sensor capable of detecting when the inlet of the sanitary product collection part is opened or closed by a user; A sensor control unit in charge of controlling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and interworking with the IoT gateway; And an emergency call unit connected to the sensor control unit and operating the emergency button in response to an emergency button that is manually operated by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or a voice signal of a certain decibel or more,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may include a cylindrical cas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ength in a length direction longer than that in a width direction or a diameter; At least one fluid flow channel connected between the opening on one side and the opening on the other side in the cylindrical case; An air purification filter configured to suck air in the atmospher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unit through the one side opening and discharge the purified air to the other side opening through the fluid flow channel; And an ultraviolet sterilization module installed inside the cylindrical case to sterilize and remove harmful substances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UV)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form of a strip or slo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ir purification filter includes a primary filter and a secondary filter disposed in the form of a cover blocking an opening on one side of the cylindrical case, and the primary filter is a micro filter that functions as a strainer, and the secondary filter is harmful. It is a carbon filter that adsorbs gas,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further includes a blowing devic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cylindrical case,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further includes a blower for circulating the air flow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for a first time after the operation of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and the blower are attached to the first surfac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IoT-based hygiene product collection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탈취부는 개폐 감지 센서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거나, 미리 세팅된 구간 값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구동한 후 주기적인 패턴으로 작동 및 멈춤을 반복하는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nit is operated by a signal of an opening/closing sensor or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a preset section value and then repeatedly operated and stopped in a periodic patter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솔루션 서버는,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적재량감지센서의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위생용품 수거부의 잔량 상태 모니터링 모듈;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사용자 감지 센서 또는 개폐 감지 센서의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이용빈도 모니터링 모듈;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센서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장비 고장 진단 모니터링 모듈;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비상호출부에서 보내오는 신호를 기반으로 하는 위급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위급상황 발생 시 상기 관리자 단말로 알림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는 알림 메시지 송출 모듈; 및
상기 위생용품 수거 장치의 상태를 시각화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UI/UX 모듈;
을 포함하는 IoT 기반 위생용품 수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ment solution server,
A state monitoring module o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sanitary product collection unit based on sensing data of the loading amount detection sensor of the sanitary product collection device;
A usage frequency monitoring module based on sensing data of a user detection sensor or an open/close detection sensor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An equipment failure diagnosis monitoring module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a sensor control unit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A notification message transmission module capable of monitoring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a signal sent from the emergency call unit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and sending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manager terminal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nd
A UI/UX module that provides a function of visualizing the state of the hygiene product collection device;
IoT-based hygiene product collection system comprising a.
삭제delete
KR1020190044124A 2019-04-16 2019-04-16 IoT BASED SANITARY WARE COLLECT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USING SAME KR1022353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124A KR102235305B1 (en) 2019-04-16 2019-04-16 IoT BASED SANITARY WARE COLLECT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124A KR102235305B1 (en) 2019-04-16 2019-04-16 IoT BASED SANITARY WARE COLLECT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US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942A KR20200121942A (en) 2020-10-27
KR102235305B1 true KR102235305B1 (en) 2021-04-02

Family

ID=73136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124A KR102235305B1 (en) 2019-04-16 2019-04-16 IoT BASED SANITARY WARE COLLECT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US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3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775B1 (en) * 2021-04-29 2023-11-01 (주)에코센스 Collection notification method for waste and reused material storage devices using Io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412B1 (en) * 2016-09-26 2018-01-3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A Waste Disposer used in a Waste Disposal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971A (en) * 2014-10-29 2016-05-13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Apparatus for collecting hygienic band
KR101889913B1 (en) * 2016-12-23 2018-08-21 (주)유미테크 Smart toilet management ser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412B1 (en) * 2016-09-26 2018-01-3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A Waste Disposer used in a Waste Disposal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942A (en)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305B1 (en) IoT BASED SANITARY WARE COLLECTION SYSTEM AND SERVICE METHOD USING SAME
JP2007533438A (en) Processing of documents with medical and other waste
US9248481B1 (en) Sealed waste disposal minimizing airborn particle exposure
CN107062509A (en) VMC and its air purification method
KR100871136B1 (en) A clean house
Saxena et al. An Exhaustive Analysis of Waste Segregation and Hand Sanitization in Post-Covid Era
CN110014024A (en) A kind of integrated conduct method and system of medical and health organization's clinical waste
CN213801271U (en) Intelligence gauze mask collection box
CN106494787A (en) A kind of Biohazard Waste Environmental protective classified system
US5692687A (en) Medical waste processing and disinfecting apparatus
CN211894571U (en) Waste injector bin storage box capable of disinfecting and removing peculiar smell
Barbara Sattler et al. Healthy choices: transforming our hospitals into environmentally healthy and safe places
JP2013056768A (en) Method and device of collecting and storing used disposable diaper
Saini et al. A review study to investigate the tracking of biomedical waste during Covid-19 pandemic in India
Hallam et al. COVID-19: considerations for the safe management and disposal of human excreta
Baker et al. Neptune versus canister-based surgical waste management in Europe: results of the GREEN study
CN210505832U (en) Medical sewage treatment equipment
CN112193674A (en) Operating room nursing waste collection device
CN212607285U (en) Ultraviolet disinfection rubbish throwing device
CN215905166U (en) Dangerous waste collection system
CN214030343U (en) Medical treatment and sanitation rubbish monitor and kill virus dustbin
CN217995543U (en) A deposit treatment facility for medical science clinical laboratory discarded object
CN117061903B (en)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of garbage throwing equipment and intelligent garbage room
CN218023442U (en) Medical garbage can with protection structure
CN212686499U (en) Water catch bowl and medical waste deposit integrative oral care operation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