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284B1 -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284B1
KR102235284B1 KR1020200056385A KR20200056385A KR102235284B1 KR 102235284 B1 KR102235284 B1 KR 102235284B1 KR 1020200056385 A KR1020200056385 A KR 1020200056385A KR 20200056385 A KR20200056385 A KR 20200056385A KR 102235284 B1 KR102235284 B1 KR 102235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ckel slag
artificial gravel
powder
weight
gra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휘
Original Assignee
조영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휘 filed Critical 조영휘
Priority to KR1020200056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2Agglomerated materials, e.g. artificial aggregates
    • C04B18/021Agglomerated materials, e.g. artificial aggregates agglomerated by a mineral binder, e.g. 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7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04B14/365Gyps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04B18/144Slags from the production of specific metals other than iron or of specific alloys, e.g. ferrochrome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6Silica f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04B20/008Micro- or nanosized fillers, e.g. micronised fillers with particle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hydraulic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4Flow impr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산업부산물인 니켈슬래그를 분쇄하여 천연규사 대체재로 이용하고, 인공자갈의 구조를 육면체 또는 다면체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인공자갈과 콘크리트 모르타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건축·토목용 콘크리트에 이용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 및 그 제조방법{High strength artificial gravel using nickel slag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산업부산물인 니켈슬래그를 분쇄하여 천연규사 대체재로 이용하고, 인공자갈의 구조를 육면체 또는 다면체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인공자갈과 콘크리트 모르타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건축·토목용 콘크리트에 이용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건축자재용 골재는 모래와 시멘트, 자갈 등으로 구성되고, 특히 자갈은 콘크리트 용적의 상당부분을 차지하여 콘크리트의 실체를 이루는 재료로서 청정, 견고, 내구성이 있어야 하고, 시멘트와 타골재와의 결합력이 좋아야 한다.
특히,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굵은 골재에 해당하는 자갈은 일반적으로 암석이 자연 마모되어 표면이 매끄럽고 둥글게 연마된 돌로서, 그 형상이 거의 구형에 가깝기 때문에 결합력은 좋은 편이나 콘크리트 골재 재료로서의 품질에 적합하기 위해서는 통상 강이나 하천과 같은 곳에서 채취되는 자연 자갈이 필요하나, 이러한 자갈은 암석이 자연 마모되기까지 매우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자연에서 채취할 수 있는 천연자갈의 양에 큰 제약이 있어 항상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채취된 암석을 파쇄후 연마하여 인공 자갈을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바위를 분쇄하여 자갈로 대체하여 사용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10-1986-0003183(공개일자 1986년05월21일)에 화강암석을 1 ~ 3㎝정도 크기로 분쇄하고, 이를 연마층이 내주벽에 도포된 1차 회전연마통에 투입하여 40 ~ 50시간 연마 가공하는 공정과, 제2 회전연마통에 400 ~ 600메시의 세사와 혼합 투입한 다음 20 ~ 25시간 회전시켜 재차 연마하는 공정 및 1000메시 정도의 산화 금속 분말과 다시 혼합 투입하여 20 ~ 25시간 광택 처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조경 장식용 화강암 자갈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자갈의 제조방법은 암석을 소정 크기로 분쇄한 다음 암석을 연마하기 위해 각각의 공정에 맞추어 회전연마통이 따로 사용되어야 하므로 하나의 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연마된 암석을 이송, 투입, 연마 및 배출하는 공정이 반복됨으로써, 자갈을 제조하는 공정이 전체적으로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고, 특히, 천연바위의 지나친 채취로 인해 자연을 훼손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각종 건축 또는 산업 폐기물을 이용한 인공 자갈을 제작하여 자연자갈을 대체함으로써 골재의 공급부족문제와 각종 건축 또는 산업 폐기물의 처리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도록 인공자갈 제조기술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 산업 폐기물을 이용한 인공자갈 제조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10-0254138(등록일자 2000년01월31일)에는 철강 공장, 특수강 공장, 도금 동장, 비철금속 공장 등에서 다량의 중금속이 함유되어 배출되는 폐수에 통상 철염, 알루미늄염, 가성소다, 소석회, 유기 응집제 등을 사용하여 중금속의 함량을 법정 허용 기준치 이하로 떨어뜨려 부생되는 폐수 중의 슬러지를 구형 또는 파석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 및 성형물을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금속 폐수 슬러지를 사용한 인조자갈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0382993(등록일자 2003년04월23일)에는 35 내지 51중량%의 폐플라스틱과, 10 내지 18중량%의 폐스티로폼과, 13 내지 25중량%의 탄소섬유와, 13 내지 17 중량%의 폐타이어와, 5 내지 15중량%의 석고를 혼합한 후 열을 가하여 용융시켜서 특정형상으로 사출 성형하고, 상기 특정형상은 [도 1]의 1a 및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로드(3)와, 상기 지지로드(3)의 양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형형상의 구체(4,5)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로드(3)의 외주면 및 원형형상의 구체(4,5) 외주면에는 응집력, 흡착력 및 결합력을 증가시키도록 미세한 요철면 이 형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자재를 이용한 인조자갈이 공지된 바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등록 20-0194080(등록일자 2000년06월17일)에는 멜라민이나 요소를 주원료로 하는 합성수지와, 건축 폐기물인 광물질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한 것을 가압하여 대략 구형으로 압축성형한 몸체(2)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2)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3)나 홈(4)이 형성된 건축 폐기물을 이용한 인공자갈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산업 폐기물을 이용한 인조 또는 인공자갈의 경우에는 모두 건축폐기물, 폐자재, 폐슬러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일반적인 매립재, 성토재 등의 압축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용도에만 사용이 가능한 것일 뿐, 각종 콘크리트물 타설에 사용되는 굵은 골재에 해당하는 자갈로는 전혀 사용하지 못하고, 특히 고강도로 필요로 하는 콘크리트용 자갈로는 전혀 사용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9-0138382(공개일자 2019년12월13일)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시멘트, 물, 잔골재, 강섬유 및 혼화재를 배합하여 시멘트 페이스트를 형성하고(S110). 다수의 고기능성 자갈(140)을 동시에 형성하기 위한 주형(200)을 설치하며(S120), 상기 주형(200) 내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고기능성 자갈(140)을 형성함에 의하여 고기능성 자갈을 제조하는 방법이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9-0138382에 공지된 고기능성 자갈 제조방법은, 시멘트, 물, 잔골재, 강섬유 및 혼화재를 배합한 것으로 PE, PP, 다양한 종류의 보강섬유 또는 폴리머를 사용하여 강도, 내마모성 및 내파쇄성, 중량이 확보되기는 하나, PE, PP, 다양한 종류의 보강섬유 또는 폴리머를 사용하여야 하는 재료 및 비용과다의 단점이 있있었다.
[특허문헌 001] 한국공개특허 10-1986-0003183(공개일자 1986년05월21일) [특허문헌 002] 한국등록특허 10-0254138(등록일자 2000년01월31일) [특허문헌 003] 한국등록특허 10-0382993(등록일자 2003년04월23일) [특허문헌 004] 한국실용신안등록 20-0194080(등록일자 2000년06월17일) [특허문헌 005] 한국공개특허 10-2019-0138382(공개일자 2019년12월13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산업부산물인 니켈슬래그를 분쇄하여 천연규사 대체재로 이용하고, 인공자갈의 구조를 육면체 또는 다면체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인공자갈과 콘크리트 모르타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건축·토목용 콘크리트에 이용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르타르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니켈슬래그 40중량부, 시멘트 26중량부, 석분 20중량부, 고강도 혼화재 3~6중량부 및 유동화제 0.3~0.5중량부를 포함하고 나머지 물로 조성된 모르타르를 육면체 또는 다면체 형태로 성형하여 양생, 경화시킨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고강도 혼화재는 무수석고와 스테인레스 슬래그가 2 : 1 중량비로 포함되어 조성되는 분말도 8,000㎠/g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고강도 혼화재는 석회석 미분말과 실리카흄이 10 : 1~5 : 2의 중량비로 포함되어 조성되는 분말도 3,000~6,000 ㎠/g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의 크기는 최대길이 또는 폭이 40~80mm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니켈슬래그, 시멘트, 석분 및 고강도 혼화재를 혼합하여 균일 교반한 후, 유동화제 및 물을 혼합하고 균일 교반하여 모르타르를 조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성된 모크타르를 육면체 또는 다면체의 형태를 이루는 성형틀에 충진하고 진동 성형하여 인공자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인공자갈을 상기 성형틀에서 탈형하여 12시가 자연 건조 후, 24시간 증기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의 제조방법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고강도 혼화재는 무수석고와 스테인레스 슬래그가 2 : 1 중량비로 포함되어 조성되는 분말도 8,000㎠/g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고강도 혼화재는 석회석 미분말과 실리카흄이 10 : 1~5 : 2의 중량비로 포함되어 조성되는 분말도 3,000~6,000 ㎠/g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은, 산업부산물인 니켈슬래그를 분쇄하여 천연규사 대체재로 이용하고, 인공자갈의 구조를 육면체 또는 다면체를 이루도록 형성하여 인공자갈과 콘크리트 모르타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건축·토목용 콘크리트에 이용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용 인공자갈의 형태도
도 2는 종래 인공자갈의 제조공겅도
도 3은 본 발명의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의 사시도
본 발명은, 모르타르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니켈슬래그 40중량부, 시멘트 26중량부, 석분 20중량부, 고강도 혼화재 3~6중량부 및 유동화제 0.3~0.5중량부를 포함하고 나머지 물로 조성된 모르타르를 육면체 또는 다면체 형태로 성형하여 양생, 경화시킨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강도 혼화재는 무수석고와 스테인레스 슬래그가 2 : 1 중량비로 포함되어 조성되는 분말도 8,000㎠/g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강도 혼화재는 석회석 미분말과 실리카흄이 10 : 1~5 : 2의 중량비로 포함되어 조성되는 분말도 3,000~6,000 ㎠/g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의 크기는 최대길이 또는 폭이 40~80mm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니켈슬래그, 시멘트, 석분 및 고강도 혼화재를 혼합하여 균일 교반한 후, 유동화제 및 물을 혼합하고 균일 교반하여 모르타르를 조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성된 모크타르를 육면체 또는 다면체의 형태를 이루는 성형틀에 충진하고 진동 성형하여 인공자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인공자갈을 상기 성형틀에서 탈형하여 12시가 자연 건조 후, 24시간 증기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의 제조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강도 혼화재는 무수석고와 스테인레스 슬래그가 2 : 1 중량비로 포함되어 조성되는 분말도 8,000㎠/g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강도 혼화재는 석회석 미분말과 실리카흄이 10 : 1~5 : 2의 중량비로 포함되어 조성되는 분말도 3,000~6,000 ㎠/g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 및/또는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은, 모르타르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니켈슬래그 40중량부, 시멘트 26중량부, 석분 20중량부, 고강도 혼화재 3~6중량부 및 유동화제 0.3~0.5중량부를 포함하고 나머지 물로 조성된 모르타르를 육면체 또는 다면체의 형태로 성형하여 양생, 경화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니켈 슬래그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니켈(Nickel)은 클라크 수가 0.01로서 지각(地殼)에는 구리와 같은 정도의 존재량을 보이지만, 지구중심부에는 철과 함께 다량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바닷물 속에 존재하는 양은 5g/ℓ이며, 운철(隕鐵)에도 8% 정도 함유되어 있다.
니켈의 성질은 철과 유사한 화학적 특성을 지닌 은백색의 금속으로서 우수한 내부식성과 가공용이성으로 스테인레스강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단조 및 단접이 가능하고, 전성·연성이 풍부하며 연마가공도 가능하다. 강한 자성을 지니고 있으나, 철보다는 약하고 전기전도도는 구리의 14.9%이며, 공기 및 습기에 대해 철보다도 안정하여 잘 산화되지 않으며, 또한 알칼리에도 잘 침식되지 않는다. 묽은 질산에 쉽게 녹지만, 진한 질산에는 철과 마찬가지로 부동상태로 되어 침식되지 않으며, 염소 및 브롬 등과는 격렬하게 반응한다.
세계 니켈 총산출량의 40% 이상은 캐나다에서 산출되며, 이 밖에 러시아 연방, 뉴칼레도니아섬, 아프리카의 짐바브웨에서 많이 산출된다. 한국에서는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광산과 경상북도 성주군 금성광산에서 산출된다.
니켈을 함유한 주요 자연광물로서는 황화광물로 산출되는 펜틀란다이트(pentlandite)와 밀러라이트(millerite)가 있으며, 그 외에 니켈린(nickeline)과 가니에라이트(garnierite)가 있다.
펜틀란다이트는 등축정계이며 괴상 또는 등립질 집합체로서 초염기성 암석에서 자류철석 또는 황동석과 수반되어 산출된다. 굳기는 3.5~4이며 비중은 4.6~5이다. 이쇄성이며 금속광택을 갖고 황갈색이다. 밀러라이트는 육방정계에 속하고 흔히 다른 함니켈광물의 저온 변질산물로서 공극에서 형성된다. 니켈린은 육방정계이며 흔히 괴상이나 신장상(腎臟狀)으로 산출된다. 굳기는 5~5.5이며, 비중은 7.78이다. 적동색으로 쉽게 구별된다. 가니에라이트는 함니켈-마그네슘규산염광물로서 Ni:Mg 비의 변화폭이 크고 녹색을 띠며, 염기성 규산염광물인 감람석의 풍화산물로 산출된다
상기 니켈(Nickel)은 스텐레스강 제조 원료인 페로니켈(Ferronickel)의 원료로서, 니켈광석을 이용하여 전기로 형식의 로에서 코크스 등으로 니켈광석을 환원처리하여 페로니켈을 제조하게 되며, 이때 발생되는 슬래그가 니켈슬래그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니켈슬래그는 1500℃이상의 고온용융단계를 거쳐 생성되기 때문에 환경적으로 유해성이 없으므로 골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배출즉시 살수 시설에 의해 살수되거나, 서냉되어 100℃ 이하로 냉각된 후 괴상 상태로 처리업체로 운송되어 파쇄, 분말화되어 생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니켈슬래그는 급냉하여 배출될 수 있는데, 턴디쉬를 통해 배출되는 용융 니켈슬래그에 고속의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용융 니켈슬래그를 미세한 액적으로 분리하면서 상기 분리된 미세한 액적을 상기 분사된 고속의 공기와 주위 분위기에 의해 급냉시켜 생성되는 니켈슬래그볼을 파쇄 및 입도조절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고속가스분사 과정에서 출탕되어 구형액적으로 비산되는 급냉 니켈슬래그 분말은 구형액적 비산과 마찰력에 의해 니켈슬래그 분말은 구형 또는 타원형을 띄게 되며, 입자들의 표면 색상이 녹색, 흑녹색, 회녹색, 녹갈색, 회갈색, 흑갈색, 흑회색 또는 흑색 색상을 띠거나 상기 색상 중 2종 이상의 색상이 혼합되고, 매끈한 형태의 니켈슬래그 입자를 얻을 수 있으며, 기존의 수쇄 또는 서냉에 의한 무정형의 니켈슬래그 분말의 형상과 대비되는 구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니켈슬래그 분말은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도(g/㎤) 2.7~3.5, 흡수율(%) 1~2, 분말도(㎠/g) 3,000~4,000 인 것을 사용하는데, 모래의 품질기준인 절건밀도 2.4 g/㎤ 이상, 흡수율 4% 이하와 대비해 볼 때, 물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그 화학적 성분의 다음 [표 2]와 같이 천연규사보다 화학적으로 고강도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천연규사를 대체할 수 있다.
구분 규격(KS F 2790) 결과치
밀도(g/㎤) 2.7 이상 3.1
흡수율(%) 3.0 이하 1.58
구분 SiO2 MgO CaO Al2O3 FeO NiO
니켈슬래그 57.6 31.34 0.34 1.72 5.25 0.041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공자갈의 강도 향상을 위하여, 고강도 혼화재를 사용한다.
상기 고강도 혼화재는 무수석고와 스테인레스 슬래그가 2 : 1 중량비로 포함되어 조성되는 분말도 8,000㎠/g인 것을 사용하거나, 석회석 미분말과 실리카흄이 10 : 1~5 : 2의 중량비로 포함되어 조성되는 분말도 3,000~6,000 ㎠/g인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무수석고와 스텐레스 슬래그는 다음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적 조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스텐레스 슬래그는 α-C2S가 다량 함유되어 있고, 무수석고와 반응하여 C-S-H 수화물을 생성하여 그로 인해 경화체의 구조가 치밀해져 강도를 증가 시킨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α-C2S 역할은 시멘트의 C3S만큼이나 수화속도가 빠르므로 자체의 수경성에 기인한 수화 반응이 강도발현에 큰 기여를 하여 초기에 고강도를 발현하는 효과에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스테인레스 슬래그는 미분말은 분말도 8,000㎠/g인 것으로 경화체의 내구성과 기계적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미세공극을 메워 주는 역할을 하므로 단순 무기질 필러보다 그 물리적 특성의 효과면에서 탁월한 효과가 있다.
구분 SiO2 Al2O3 Fe2O3 CaO MgO SO3
스텐레스슬래그 29.60 1.39 54.94 7.23
무수석고 0.84 0.47 0.21 40.38 0.20 55.07
또한, 본 발명의 고강도 혼화재로, 석회석 미분말과 실리카흄이 10 : 1~5 : 2의 중량비로 포함되어 조성되는 분말도 3,000~6,000 ㎠/g인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시멘트의 고내화성 및 조기 강도 발현의 목적으로 석회석 미분말을 채택하고, 이미 초고 강도 발현에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실리카흄을 채택한다.
특히, 석회석 미분말은 탄산칼슘(CaCO3) 함량이 80~95중량%이고, 분말도가 3,000~6,000c㎡/g인 석회석 분말로서, 건식 시멘트 제조 공정 중 소성로(kiln)에 석회석 분말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말을 포집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은 다음 방법으로 제조된다. 먼저, 니켈슬래그, 시멘트, 석분 및 고강도 혼화재를 혼합하여 균일 교반한 후, 유동화제 및 물을 혼합하고 균일 교반하여 모르타르를 조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성된 모크타르를 육면체 또는 다면체의 형태를 이루는 성형틀에 충진하고 진동 성형하여 인공자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인공자갈을 상기 성형틀에서 탈형하여 12시가 자연 건조 후, 24시간 증기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공자갈은 육면체를 이루거나 또는 다면체(미도시)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인공자갈과 콘크리트 모르타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건축·토목용 콘크리트에 이용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및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데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의 크기는 최대길이 또는 최대폭이 40~8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또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모르타르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니켈슬래그 40중량부, 시멘트 26중량부, 석분 20중량부, 고강도 혼화재 3~6중량부 및 유동화제 0.3~0.5중량부를 포함하고 나머지 물로 조성된 모르타르를 육면체 또는 다면체 형태로 성형하여 양생, 경화시킨 것으로 최대길이 또는 최대폭이 40~80mm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혼화재는 무수석고와 스테인레스 슬래그가 2 : 1 중량비로 포함되어 조성되는 분말도 8,0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혼화재는 석회석 미분말과 실리카흄이 10 : 1~5 : 2의 중량비로 포함되어 조성되는 분말도 3,000~6,00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
  4. 삭제
  5. 니켈슬래그, 시멘트, 석분 및 고강도 혼화재를 혼합하여 균일 교반한 후, 유동화제 및 물을 혼합하고 균일 교반하여 모르타르를 조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성된 모크타르를 육면체 또는 다면체의 형태를 이루는 성형틀에 충진하고 진동 성형하여 인공자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인공자갈을 상기 성형틀에서 탈형하여 12시가 자연 건조 후, 24시간 증기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혼화재는 무수석고와 스테인레스 슬래그가 2 : 1 중량비로 포함되어 조성되는 분말도 8,0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혼화재는 석회석 미분말과 실리카흄이 10 : 1~5 : 2의 중량비로 포함되어 조성되는 분말도 3,000~6,00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의 제조방법
KR1020200056385A 2020-05-12 2020-05-12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 및 그 제조방법 KR102235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385A KR102235284B1 (ko) 2020-05-12 2020-05-12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385A KR102235284B1 (ko) 2020-05-12 2020-05-12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284B1 true KR102235284B1 (ko) 2021-04-01

Family

ID=7544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385A KR102235284B1 (ko) 2020-05-12 2020-05-12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28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183A (ko) 1984-10-08 1986-05-21 이구희 조경장식용 화강암 자갈의 제조방법
KR100254138B1 (ko) 1998-02-20 2000-04-15 신학기 중금속 폐수의 슬러지를 이용한 인조자갈 및 칼라세라볼의 제조방법
KR200194080Y1 (ko) 2000-03-28 2000-09-01 김봉헌 건축 폐기물을 이용한 인공자갈
KR100382993B1 (ko) 1999-12-02 2003-05-09 유성권 폐자재를 이용한 고강도 인조자갈 및 이 인조자갈을포함하는 콘크리트
JP2004323282A (ja) * 2003-04-23 2004-11-18 Taiheiyo Cement Corp 人工骨材
KR20120066769A (ko) * 2010-12-15 2012-06-25 김연숙 페로니켈슬래그를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66765A (ko) * 2010-12-15 2012-06-25 김연숙 페로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시멘트 모르타르용 및 콘크리트용 잔골재 재활용 방법
KR20150085572A (ko) * 2014-01-16 2015-07-24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충격흡수가 용이한 경량고인성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날개벽 제작방법
KR20190138382A (ko) 2018-06-05 2019-12-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기능성 자갈을 이용한 자갈궤도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3183A (ko) 1984-10-08 1986-05-21 이구희 조경장식용 화강암 자갈의 제조방법
KR100254138B1 (ko) 1998-02-20 2000-04-15 신학기 중금속 폐수의 슬러지를 이용한 인조자갈 및 칼라세라볼의 제조방법
KR100382993B1 (ko) 1999-12-02 2003-05-09 유성권 폐자재를 이용한 고강도 인조자갈 및 이 인조자갈을포함하는 콘크리트
KR200194080Y1 (ko) 2000-03-28 2000-09-01 김봉헌 건축 폐기물을 이용한 인공자갈
JP2004323282A (ja) * 2003-04-23 2004-11-18 Taiheiyo Cement Corp 人工骨材
KR20120066769A (ko) * 2010-12-15 2012-06-25 김연숙 페로니켈슬래그를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66765A (ko) * 2010-12-15 2012-06-25 김연숙 페로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시멘트 모르타르용 및 콘크리트용 잔골재 재활용 방법
KR20150085572A (ko) * 2014-01-16 2015-07-24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충격흡수가 용이한 경량고인성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날개벽 제작방법
KR20190138382A (ko) 2018-06-05 2019-12-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기능성 자갈을 이용한 자갈궤도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48636B (zh) 一种透水砖或透水混凝土用透水剂及应用
Nazer et al. Use of ancient copper slags in Portland cement and alkali activated cement matrices
CN105016690B (zh) 一种利用水淬镍铁渣生产混凝土的方法
Kaish et al. Effects of different industrial waste materials as partial replacement of fine aggregate on strength and microstructure properties of concrete
CN110104998B (zh) 一种微细粒高硅尾矿注浆材料
CN103159450B (zh) 一种用钢渣制成的泡沫混凝土砌块的生产方法
CN106431104A (zh) 利用冶金矿渣制备建筑材料的方法
CN110964534B (zh) 一种高性能环保软土固化剂及其制备方法
CN112794690B (zh) 一种免蒸养静压成型路面砖及其制备方法
CN106478033A (zh) 一种蒸压灰砂砖的生产工艺
CN107555896A (zh) 一种用水玻璃激发钢渣和粉煤灰制备的掺合料及利用掺合料制备的高强混凝土
KR101839661B1 (ko) 수화 고화체의 제조 방법 및 수화 고화체
CN114349442B (zh) 利用钢渣微粉复配胶凝材料的仿石砖及制备方法和应用
CN109133683B (zh) 一种煤矸石综合一体化利用方法
Martins et al. Influence of a LAS-based modifying admixture on cement-based composites containing steel slag powder
KR102235284B1 (ko) 니켈슬래그를 이용한 인공자갈 및 그 제조방법
CN101671132B (zh) 一种含有纳米尾矿的鱼礁胶凝材料及其制造方法
CN106587675A (zh) 一种高活性镍渣基水泥混合材及其制备方法
KR20210074783A (ko) 리튬 부산물을 이용한 건설용 원료
CN113955958B (zh) 一种环保型高强度水泥及其制备方法
CN110054460A (zh) 一种高强度钢渣混凝土
KR102521217B1 (ko) 폐플라스틱 골재 및 다공성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투수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0169528B1 (ko) 제강 슬래그를 이용한 벽돌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벽돌
JP2016216274A (ja) 人工石材
JP4928401B2 (ja) 水和固化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海洋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