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105B1 -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105B1
KR102235105B1 KR1020190169896A KR20190169896A KR102235105B1 KR 102235105 B1 KR102235105 B1 KR 102235105B1 KR 1020190169896 A KR1020190169896 A KR 1020190169896A KR 20190169896 A KR20190169896 A KR 20190169896A KR 102235105 B1 KR102235105 B1 KR 102235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kin
modul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렉싱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렉싱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렉싱크
Priority to KR1020190169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er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개인의 유전자 정보와 피부상태에 맞추어 각 개인에게 적합한 최적의 피부케어 제품 및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에 가장 적합한 피부케어 제품 및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개인의 유전자 정보와 피부상태에 맞는 최적의 화장품 제품을 제조 또는 선별하여 제공하거나 최적의 피부케어 서비스 및/또는 맞춤형 식품을 제조 또는 선별하여 제공하며 특히, 사용자의 리뷰 및 사용 전후의 피부상태 비교데이터를 토대로 본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화장품 제품, 피부케어 서비스 및 맞춤형 식품 간 시너지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별 피부케어를 위한 맞춤형 화장품 제품, 피부케어 서비스 및 맞춤형 식품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An Individual customized skin care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개인의 유전자 정보와 피부상태에 맞추어 각 개인에게 적합한 최적의 피부케어 제품 및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에 가장 적합한 피부케어 제품 및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개인의 유전자 정보와 피부상태에 맞는 최적의 화장품 제품을 제조 또는 선별하여 제공하거나 최적의 피부케어 서비스 및/또는 맞춤형 식품을 제조 또는 선별하여 제공하며 특히, 사용자의 리뷰 및 사용 전후의 피부상태 비교데이터를 토대로 본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화장품 제품, 피부케어 서비스 및 맞춤형 식품 간 시너지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별 피부케어를 위한 맞춤형 화장품 제품, 피부케어 서비스 및 맞춤형 식품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피부를 정상적으로 보호하고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운동과 영양 섭취, 적절한 휴식, 자신의 피부에 맞는 피부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피부는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고, 같은 연령, 같은 피부 유형이라도 개개인이 처한 내적, 외적인 환경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일례로, 음주, 식습관, 흡연, 오염된 환경의 노출,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 노출, 각종 스트레스 및 계절적 요인 등으로 인하여 피부에 심각한 영향을 주어 피부 기능이 저하되고 심지어는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는 등 심각한 상태에 이르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개인의 피부상태에 맞는 최적의 피부케어 제품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야 사용자 개개인별 건강한 피부상태를 회복 또는 유지시킬 수 있는데, 기존의 화장품은 대량으로 생산되는 대량 생산의 특성상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상태에 가장 적합한 제품을 골라서 사용하는 것이 어렵고, 피부과 또는 피부케어 샵에서 제공하는 피부케어 서비스 역시 사용자가 전문적인 피부케어 서비스 중에서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서비스를 선별하여 제공받는 것 또한 어려우며, 피부에 좋은 식품 역시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상태에 가장 적합한 최적의 식품을 선별하여 이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특허문헌> 특허출원번호 제10-2017-0165871호 "사용자 맞춤형 화장품 분석 및 추천 시스템"(2017.12.05.출원)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종래기술의 경우 사용자 맞춤형 화장품 제품을 분석하여 추천한다는 개념은 있으나, 구체적인 기술내용이 화장품 사용 후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화장품 사용후기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에게 맞는 화장품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사용자의 피부케어를 위해 사용되는 화장품 제품, 피부케어 서비스 및 맞춤형 식품 등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자의 니즈는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의 유전자 정보와 피부상태에 맞추어 각 개인에게 적합한 최적의 피부케어 제품 및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에 가장 적합한 피부케어 제품 및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개인의 유전자 정보와 피부상태에 맞는 최적의 화장품 제품을 제조 또는 선별하여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개인의 유전자 정보와 피부상태에 맞는 최적의 피부케어 서비스 및/또는 맞춤형 식품을 제조 또는 선별하여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리뷰 및 사용 전후의 피부상태 비교데이터를 토대로 본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화장품 제품, 피부케어 서비스 및 맞춤형 식품 간 시너지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별 피부케어를 위한 맞춤형 화장품 제품, 피부케어 서비스 및 맞춤형 식품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별 개개인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와, 상기 정보수신부에서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피부케어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분석부와, 상기 정보분석부에서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맞춤형 피부케어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중앙서버; 및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고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 개개인의 DNA정보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DNA정보분석부; 화장품 제품에 대한 화장료 성분, 화장료 함량, 화장료 제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화장품 제품을 공급하는 화장품제품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DNA정보분석부는, 사용자의 DNA 샘플을 제공 받아 분석하는 DNA분석모듈과, 상기 DNA분석모듈에서 분석한 정보를 상기 정보수신부에 제공하는 DNA분석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제품부는, 공급하는 화장품 제품에 대한 화장료 성분, 화장료 함량, 화장료 제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장품정보제공모듈과, 상기 정보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화장품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화장품제조모듈과, 상기 화장품제조모듈에서 제조된 화장품 또는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 제품 중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화장품 제품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화장품공급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DNA분석정보모듈에서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개개인의 유전자 정보에 따른 사용자별 피부유형정보를 분석하는 피부유형정보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 개개인의 피부상태를 분석 제공하고 사용자 맞춤형 피부케어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케어서비스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케어서비스부는, 사용자 개개인의 피부를 진단하여 피부상태를 분석 제공하는 피부상태진단모듈과, 상기 피부케어서비스부에서 제공하는 피부케어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케어서비스정보제공모듈과, 상기 정보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피부케어서비스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피부케어서비스를 제공하는 케어서비스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피부유형정보분석모듈에서 분석한 사용자별 피부유형정보와 상기 피부상태진단모듈에서 제공한 사용자별 피부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피부등급정보를 분석하는 피부등급정보분석모듈과, 상기 피부등급정보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사용자별 피부등급정보 및 상기 화장품정보제공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화장품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맞춤형화장품정보분석모듈과, 상기 피부등급정보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사용자별 피부등급정보 및 상기 케어서비스정보제공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피부케어서비스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맞춤형케어서비스정보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 맞춤형 식품을 제공하는 맞춤형식품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식품부는, 상기 맞춤형식품부에서 제공하는 식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식품정보제공모듈과, 상기 정보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식품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식품을 3D푸드프린터를 활용하여 제조하는 식품제조모듈과, 상기 식품제조모듈에서 제조된 식품 또는 보유하고 있는 식품 중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식품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식품공급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피부등급정보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사용자별 피부등급정보 및 상기 식품정보제공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식품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맞춤형식품정보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맞춤형 화장품 제품, 맞춤형 피부케어서비스, 맞춤형 식품을 경험한 사용자가 제공하는 사용자 리뷰를 분석하는 리뷰분석모듈과, 맞춤형 화장품 제품, 맞춤형 피부케어서비스, 맞춤형 식품을 경험한 사용자의 사용 전후에 상기 피부상태진단모듈을 통해 분석된 피부상태를 분석하는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리뷰분석모듈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맞춤형화장품정보분석모듈의 분석기준을 수정하는 화장품정보분석수정모듈과, 상기 리뷰분석모듈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맞춤형케어서비스정보분석모듈의 분석기준을 수정하는 케어서비스정보분석수정모듈과, 상기 리뷰분석모듈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맞춤형식품정보분석모듈의 분석기준을 수정하는 식품정보분석수정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리뷰분석모듈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피부케어를 위한 맞춤형 화장품 제품, 피부케어 서비스 및 맞춤형 식품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피부케어토탈솔루션제공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피부케어토탈솔루션제공모듈은 상기 리뷰분석모듈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화장품 제품과 피부케어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의 시너지효과 또는 역효과를 분석,제공하는 화장품/케어서비스간분석모듈과, 상기 리뷰분석모듈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화장품 제품과 식품을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의 시너지효과 또는 역효과를 분석,제공하는 화장품/식품간분석모듈과, 상기 리뷰분석모듈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피부케어 서비스와 식품을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의 시너지효과 또는 역효과를 분석,제공하는 케어서비스/식품간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의 유전자 정보와 피부상태에 맞추어 각 개인에게 적합한 최적의 피부케어 제품 및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에 가장 적합한 피부케어 제품 및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의 유전자 정보와 피부상태에 맞는 최적의 화장품 제품을 제조 또는 선별하여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사용자 개인의 유전자 정보와 피부상태에 맞는 최적의 피부케어 서비스 및/또는 맞춤형 식품을 제조 또는 선별하여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리뷰 및 사용 전후의 피부상태 비교데이터를 토대로 본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화장품 제품, 피부케어 서비스 및 맞춤형 식품 간 시너지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별 피부케어를 위한 맞춤형 화장품 제품, 피부케어 서비스 및 맞춤형 식품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도
도 2는 중앙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정보분석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DNA정보분석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화장품제품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피부케어서비스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맞춤형식품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고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단말기(10); 사용자별 개개인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210)와, 상기 정보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피부케어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분석부(220)와, 상기 정보분석부(220)에서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맞춤형 피부케어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230)를 포함하는 중앙서버(20); 사용자 개개인의 DNA정보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DNA정보분석부(30); 화장품 제품에 대한 화장료 성분, 화장료 함량, 화장료 제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화장품 제품을 공급하는 화장품제품부(40); 사용자 개개인의 피부상태를 분석 제공하고 사용자 맞춤형 피부케어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케어서비스부(50); 및 사용자 맞춤형 식품을 제공하는 맞춤형식품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는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고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는 구성으로, 다양한 정보(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를 통해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고,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는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화장품 제품을 사용하거나, 피부케어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맞춤형 음식을 구매하여 섭취함으로써 피부개선 내지 최적의 피부케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앙서버(20)는 다양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맞춤형 피부케어를 위한 다양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별 개개인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210)와, 상기 정보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피부케어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분석부(220)와, 상기 정보분석부(220)에서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맞춤형 피부케어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2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중앙서버(20)는 본 발명 시스템을 이루는 사용자단말기(10), DAN정보분석부(220), 화장품제품부(40), 피부케어서비스부(50), 맞춤형식품부(60) 등의 구성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등을 상기 정보수신부(210)를 통해 제공받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맞춤형 피부케어를 위한 다양한 분석정보를 상기 정보분석부(220)를 통해 분석,가공하고, 이러한 정보를 상기 정보제공부(230)를 통해 사용자단말기(10) 등의 구성에 제공하게 되는데, 특히 중요한 구성인 상기 정보분석부(220)에 대한 상세할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DNA정보분석부(30)는 사용자 개개인의 DNA정보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샘플에서 사람의 유전자(DNA) 정보 분석을 통해 다양한 유전자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다수의 유전자 분석기관을 참여시켜 상기 DNA정보분석부(30)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방문하기 용이한 DNA정보분석부(30)를 방문하여 자신의 유전자 정보 분석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DNA정보분석부(30)는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DNA 샘플을 제공 받아 분석하는 DNA분석모듈(310)과, 상기 DNA분석모듈(310)에서 분석한 정보를 상기 정보수신부(210)에 제공하는 DNA분석정보제공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NA분석모듈(310)은 사용자의 DNA 샘플을 제공 받아 분석하는 구성으로, 사람의 유전자(DNA) 분석에 활용되는 다양한 분석기기들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DNA분석정보제공모듈(320)은 상기 DNA분석모듈(310)에서 분석한 정보를 상기 정보수신부(210)에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DNA분석정보제공모듈(320)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는 후술할 정보분석부(220)에서 분석,가공되어 사용자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제공에 활용되게 된다.
상기 화장품제품부(40)는 화장품 제품에 대한 화장료 성분, 화장료 함량, 화장료 제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화장품 제품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화장품 제품을 취급하고 공급하는 화장품 본사나 화장품 대리점, 화장품 온라인 판매점 또는 사용자 맞춤형 화장품을 주문,제작할 수 있는 맞춤형 화장품 제조사 등을 참여시켜 상기 화장품제품부(40)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신에게 제공되는 가장 적합한 화장품 제품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화장품제품부(40)에서 필요한 화장품 제품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화장품제품부(40)는 구체적으로, 공급하는 화장품 제품에 대한 화장료 성분, 화장료 함량, 화장료 제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장품정보제공모듈(410)과, 상기 정보제공부(23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화장품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화장품제조모듈(420)과, 상기 화장품제조모듈(420)에서 제조된 화장품 또는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 제품 중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화장품 제품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화장품공급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정보제공모듈(410)은 상기 화장품제품부(40)에서 공급하는 화장품 제품에 대한 화장료 성분, 화장료 함량, 화장료 제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화장품정보제공모듈(410)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후술할 정보분석부(220)에서 분석,가공되어 특정 사용자 개개인의 피부상태에 가장 적합한 화장품 제품을 분석하여 제공하는데 활용되며, 이를 통해 상기 화장품제품부(40)는 자신이 제공하는 화장품 제품이 많은 사용자들에게 활용될 수 있는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화장품정보제공모듈(410)은 보유하고 제공하는 화장품 제품에 대한 최신 정보를 항상 업데이트하면서 관리,제공하게 된다.
상기 화장품제조모듈(420)은 상기 정보제공부(23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화장품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화장품제조모듈(420)은 자동화된 화장품 제조설비에서 특정 화장품이 제조될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 제조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생성,제공함으로써 특정 사용자에게 맞는 맞춤형 화장품 제품이 제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공급모듈(430)은 상기 화장품제조모듈(420)에서 제조된 화장품 또는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 제품 중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화장품 제품이 온라인 배송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화장품공급모듈(430)은 화장품제품부(40)가 보유 또는 공급 가능한 화장품 제품들 중에서 특정 화장품 제품에 대한 선택 정보와 해당 화장품이 사용자에게 배송될 수 있도록 하는 배송 정보 등을 생성,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피부케어서비스부(50)는 사용자 개개인의 피부상태를 분석 제공하고 사용자 맞춤형 피부케어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피부케어에 관한 서비스(피부상태 진단, 피부상태 개선을 위한 케어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피부과, 피부케어 서비스점 등을 참여시켜 상기 피부케어서비스부(50)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피부케어서비스부(50)에서 자신의 피부상태를 진단받거나 또는 자신에게 제공되는 가장 적합한 피부케어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피부케어서비스부(50)에서 필요한 피부케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피부케어서비스부(50)는 구체적으로, 사용자 개개인의 피부를 진단하여 피부상태를 분석 제공하는 피부상태진단모듈(510)과, 상기 피부케어서비스부(50)에서 제공하는 피부케어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케어서비스정보제공모듈(520)과, 상기 정보제공부(23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피부케어서비스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피부케어서비스를 제공하는 케어서비스제공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상태진단모듈(510)은 사용자 개개인의 피부를 진단하여 피부상태를 분석 제공하는 구성으로, 피부상태의 진단,분석에 활용되는 다양한 분석기기들이 활용될 수 있는데, 일 예로, 피부의 멜라닌 상태나 주름 상태, 유수분 상태 등을 진단, 분석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케어서비스정보제공모듈(520)은 상기 피부케어서비스부(50)에서 제공하는 피부케어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케어서비스정보제공모듈(520)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후술할 정보분석부(220)에서 분석,가공되어 특정 사용자 개개인의 피부상태에 가장 적합한 피부케어 서비스를 분석하여 제공하는데 활용되며, 이를 통해 상기 피부케어서비스부(50)는 자신이 제공하는 피부케어 서비스가 많은 사용자들에게 활용될 수 있는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어서비스정보제공모듈(520)은 보유하고 제공하는 피부케어 서비스에 대한 최신 정보를 항상 업데이트하면서 관리,제공하게 된다.
상기 케어서비스제공모듈(530)은 상기 정보제공부(23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피부케어서비스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피부케어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케어서비스제공모듈(530)은 피부케어서비스부(50)가 제공 가능한피부케어 서비스들 중에서 특정 사용자에게 선택된 서비스에 대한 선택 정보나 예약 정보 등을 생성,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맞춤형식품부(60)는 사용자 맞춤형 식품에 대한 정보 및 제품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식품 제품을 취급하고 공급하는 맞춤형 식단 제공점, 건강식품 취급점 또는 3D푸드프린터 등을 이용해 사용자 맞춤형 식품을 주문,제작할 수 있는 맞춤형 식품 제조사 등을 참여시켜 상기 맞춤형식품부(60)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신에게 제공되는 가장 적합한 식품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맞춤형식품부(60)에서 필요한 식품을 제공받아 사용(섭취)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맞춤형식품부(60)는 구체적으로, 맞춤형식품부(60)에서 제공하는 식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식품정보제공모듈(610)과, 상기 정보제공부(23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식품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식품을 3D푸드프린터를 활용하여 제조하는 식품제조모듈(620)과, 상기 식품제조모듈(620)에서 제조된 식품 또는 보유하고 있는 식품 중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식품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식품공급모듈(6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정보제공모듈(610)은 상기 맞춤형식품부(60)에서 제공하는 식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식품정보제공모듈(610)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후술할 정보분석부(220)에서 분석,가공되어 특정 사용자 개개인의 피부상태에 가장 적합한 식품을 분석하여 제공하는데 활용되며, 이를 통해 상기 맞춤형식품부(60)는 자신(자사)이 제공하는 식품이 많은 사용자들에게 활용될 수 있는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식품정보제공모듈(610)은 보유하고 제공하는 식품에 대한 최신 정보를 항상 업데이트하면서 관리,제공하게 된다.
상기 식품제조모듈(620)은 상기 정보제공부(23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식품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식품을 3D푸드프린터를 활용하여 제조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식품제조모듈(620)은 3D푸드프린터 등을 활용하여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식품이 제조될 수 있도록 하는 식품 제조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생성,제공함으로써 특정 사용자에게 맞는 맞춤형 식품이 제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식품공급모듈(630)은 상기 식품제조모듈(620)에서 제조된 식품 또는 보유하고 있는 식품 중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식품이 온라인 배송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식품공급모듈(630)은 맞춤형식품부(60)가 보유 또는 공급 가능한 식품들 중에서 특정 식품에 대한 선택 정보와 해당 식품이 사용자에게 배송될 수 있도록 하는 배송 정보 등을 생성,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피부케어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분석부(220)의 경우 구체적으로, 상기 DNA분석정보모듈()에서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개개인의 유전자 정보에 따른 사용자별 피부유형정보를 분석하는 피부유형정보분석모듈(221)과, 상기 피부유형정보분석모듈(221)에서 분석한 사용자별 피부유형정보와 상기 피부상태진단모듈(510)에서 제공한 사용자별 피부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피부등급정보를 분석하는 피부등급정보분석모듈(222)과, 상기 피부등급정보분석모듈(222)에서 제공되는 사용자별 피부등급정보 및 상기 화장품정보제공모듈(41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화장품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맞춤형화장품정보분석모듈(223)과, 상기 피부등급정보분석모듈(222)에서 제공되는 사용자별 피부등급정보 및 상기 케어서비스정보제공모듈(52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피부케어서비스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맞춤형케어서비스정보분석모듈(224)과, 상기 피부등급정보분석모듈(222)에서 제공되는 사용자별 피부등급정보 및 상기 식품정보제공모듈(61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식품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맞춤형식품정보분석모듈(2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유형정보분석모듈(221)은 상기 DNA분석정보모듈()에서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개개인의 유전자 정보에 따른 사용자별 피부유형정보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DNA분석정보모듈()에서 제공된 유전자 정보에 따라 피부탄력, 주름, 항노화, 미백, 항산화, 색소 침착, 건성/지성, 알러지/아토피 등의 피부 유형정보를 분석,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피부등급정보분석모듈(222)은 상기 피부유형정보분석모듈(221)에서 분석한 사용자별 피부유형정보와 상기 피부상태진단모듈(510)에서 제공한 사용자별 피부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피부등급정보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일 예로 주름형/비주름형, 색소침착형/비색소침착형, 민감성, 저항성 등 다양한 피부등급분류에 따라 세분화한 피부등급정보를 분석,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맞춤형화장품정보분석모듈(223)은 상기 피부등급정보분석모듈(222)에서 제공되는 사용자별 피부등급정보 및 상기 화장품정보제공모듈(41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자신의 현재 피부상태 및 피부등급에 가장 최적화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화장품 정보를 분석, 제공하게 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는 자신에 맞는 최적의 화장품 제품을 구입해서 사용하거나 제조 의뢰하여 사용함으로써 화장품을 이용한 최적의 피부케어 관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용자맞춤형케어서비스정보분석모듈(224)은 상기 피부등급정보분석모듈(222)에서 제공되는 사용자별 피부등급정보 및 상기 케어서비스정보제공모듈(52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자신의 현재 피부상태 및 피부등급에 가장 최적화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피부케어서비스 정보를 분석, 제공하게 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는 자신에 맞는 최적의 피부케어 서비스를 받기 위해 예약,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써 피부케어 서비스를 이용한 최적의 피부케어 관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용자맞춤형식품정보분석모듈(225)은 상기 피부등급정보분석모듈(222)에서 제공되는 사용자별 피부등급정보 및 상기 식품정보제공모듈(61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자신의 현재 피부상태 및 피부등급에 가장 최적화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맞춤형 식품 정보를 분석, 제공하게 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는 자신에 맞는 최적의 맞춤형 식단을 짜고 식품을 제공 또는 구입하여 섭취함으로써 맞춤형 식단을 이용한 최적의 피부케어 관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의 리뷰 및 사용 전후의 피부상태 비교데이터를 토대로 본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화장품 제품, 피부케어 서비스 및 맞춤형 식품 간 시너지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별 피부케어를 위한 맞춤형 화장품 제품, 피부케어 서비스 및 맞춤형 식품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정보분석부(22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10)를 통해 맞춤형 화장품 제품, 맞춤형 피부케어서비스, 맞춤형 식품을 경험한 사용자가 제공하는 사용자 리뷰를 분석하는 리뷰분석모듈(226)과, 맞춤형 화장품 제품, 맞춤형 피부케어서비스, 맞춤형 식품을 경험한 사용자의 사용 전후에 상기 피부상태진단모듈(510)을 통해 분석된 피부상태를 분석하는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227)과, 상기 리뷰분석모듈(226)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227)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맞춤형화장품정보분석모듈(223)의 분석기준을 수정하는 화장품정보분석수정모듈(228-1)과, 상기 리뷰분석모듈(226)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227)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맞춤형케어서비스정보분석모듈(224)의 분석기준을 수정하는 케어서비스정보분석수정모듈(228-2)과, 상기 리뷰분석모듈(226)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227)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맞춤형식품정보분석모듈(225)의 분석기준을 수정하는 식품정보분석수정모듈(228-3)과, 상기 리뷰분석모듈(226)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227)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피부케어를 위한 맞춤형 화장품 제품, 피부케어 서비스 및 맞춤형 식품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피부케어토탈솔루션제공모듈(229)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뷰분석모듈(226)은 사용자단말기(10)를 통해 맞춤형 화장품 제품, 맞춤형 피부케어서비스, 맞춤형 식품을 경험한 사용자가 제공하는 사용자 리뷰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이론적으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자신의 피부상태에 맞는 화장품, 피부케어 서비스, 식품 정보를 제공받아 실제 이를 이용해 본 사용자의 후기를 바탕으로 실제적으로 어떤 효과를 보고 있는지 등 경험에 기초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이를 분석,제공하게 된다.
상기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227)은 맞춤형 화장품 제품, 맞춤형 피부케어서비스, 맞춤형 식품을 경험한 사용자의 사용 전후에 상기 피부상태진단모듈(510)을 통해 분석된 피부상태를 분석하는 구성으로, 본 시스템에 의한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에 상기 피부상태진단모듈(510)을 통해 분석된 피부상태와 실제로 서비스를 이용한 다음에 상기 피부상태진단모듈(510)을 통해 분석된 피부상태의 전,후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이용한 화장품, 피부케어 서비스, 식품 등이 사용자 피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수치화된 정보로 분석,제공하게 된다.
상기 화장품정보분석수정모듈(228-1)은 상기 리뷰분석모듈(226)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227)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맞춤형화장품정보분석모듈(223)에서 분석을 위해 적용해왔던 분석기준을 추가, 보강 또는 수정하여 사용자 경험에 기초한 데이터들을 보강하여 보다 정확성 있는 사용자 맞춤형 화장품 제품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케어서비스정보분석수정모듈(228-2)은 상기 리뷰분석모듈(226)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227)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맞춤형케어서비스정보분석모듈(224)에서 분석을 위해 적용해왔던 분석기준을 추가, 보강 또는 수정하여 사용자 경험에 기초한 데이터들을 보강하여 보다 정확성 있는 사용자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식품정보분석수정모듈(228-3)은 상기 리뷰분석모듈(226)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227)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맞춤형식품정보분석모듈(225)에서 분석을 위해 적용해왔던 분석기준을 추가, 보강 또는 수정하여 사용자 경험에 기초한 데이터들을 보강하여 보다 정확성 있는 사용자 맞춤형 식품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피부케어토탈솔루션제공모듈(229)은 상기 리뷰분석모듈(226)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227)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피부케어를 위한 맞춤형 화장품 제품, 피부케어 서비스 및 맞춤형 식품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피부케어토탈솔루션제공모듈(229)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뷰분석모듈(226)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227)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화장품 제품과 피부케어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의 시너지효과 또는 역효과를 분석,제공하는 화장품/케어서비스간분석모듈(2291)과, 상기 리뷰분석모듈(226)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227)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화장품 제품과 식품을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의 시너지효과 또는 역효과를 분석,제공하는 화장품/식품간분석모듈(2292)과, 상기 리뷰분석모듈(226)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227)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피부케어 서비스와 식품을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의 시너지효과 또는 역효과를 분석,제공하는 케어서비스/식품간분석모듈(229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케어서비스간분석모듈(2291)은 상기 리뷰분석모듈(226)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227)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화장품 제품과 피부케어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의 시너지효과 또는 역효과를 분석,제공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을 통한 궁극적인 목표는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상태에 맞춘 맞춤형 피부케어 토달 서비스(화장품, 피부케어 서비스 및 맞춤형 식단(식품))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합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것인바, 이를 위해 상기 화장품/케어서비스간분석모듈(2291)에서는 특히 사용자들이 특정 화장품 제품과 특정 피부케어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하였을 경우에서의 실질적인 경험치에 의한 데이터와 경험 이후의 피부상태 개선 등의 진단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정 화장품 제품과 피부케어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의 시너지효과 또는 역효과를 집중적으로 분석,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식품간분석모듈(2292)은 상기 리뷰분석모듈(226)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227)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화장품 제품과 식품을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의 시너지효과 또는 역효과를 분석,제공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을 통한 궁극적인 목표는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상태에 맞춘 맞춤형 피부케어 토달 서비스(화장품, 피부케어 서비스 및 맞춤형 식단(식품))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합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것인바, 이를 위해 상기 화장품/식품간분석모듈(2292)에서는 특히 사용자들이 특정 화장품 제품과 특정 맞춤형 식단(식품)을 동시에 이용하였을 경우에서의 실질적인 경험치에 의한 데이터와 경험 이후의 피부상태 개선 등의 진단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정 화장품 제품과 식품을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의 시너지효과 또는 역효과를 집중적으로 분석,제공할 수 있다.
상기 케어서비스/식품간분석모듈(2293)은 상기 리뷰분석모듈(226)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227)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피부케어 서비스와 식품을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의 시너지효과 또는 역효과를 분석,제공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서비스 시스템을 통한 궁극적인 목표는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상태에 맞춘 맞춤형 피부케어 토달 서비스(화장품, 피부케어 서비스 및 맞춤형 식단(식품))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복합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것인바, 이를 위해 상기 케어서비스/식품간분석모듈(2293)에서는 특히 사용자들이 특정 피부케어 서비스와 특정 맞춤형 식단(식품)을 동시에 이용하였을 경우에서의 실질적인 경험치에 의한 데이터와 경험 이후의 피부상태 개선 등의 진단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정 피부케어 서비스와 식품을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의 시너지효과 또는 역효과를 집중적으로 분석,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사용자 단말기 20: 중앙서버
210: 정보수신부 220: 정보분석부
221: 피부유형정보분석모듈 222: 피부등급정보분석모듈
223: 사용자맞춤형화장품정보분석모듈 224: 사용자맞춤형케어서비스정보분석모듈
225: 사용자맞춤형식품정보분석모듈 226: 리뷰분석모듈
227: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 228-1: 화장품정보분석수정모듈
228-2: 케어서비스정보분석수정모듈 228-3: 식품정보분석수정모듈
229: 피부케어토탈솔루션제공모듈 2291: 화장품/케어서비스간분석모듈
2292: 화장품/식품간분석모듈 2293: 케어서비스/식품간분석모듈
230: 정보제공부
30: DNA정보분석부 310: DNA분석모듈
320: DNA분석정보제공모듈 40: 화장품제품부
410: 화장품정보제공모듈 420: 화장품제조모듈
430: 화장품공급모듈 50: 피부케어서비스부
510: 피부상태진단모듈 520: 케어서비스정보제공모듈
530: 케어서비스제공모듈 60: 맞춤형식품부
610: 식품정보제공모듈 620: 식품제조모듈
630: 식품공급모듈

Claims (9)

  1. 사용자별 개개인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와, 상기 정보수신부에서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피부케어 정보를 분석하는 정보분석부와, 상기 정보분석부에서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맞춤형 피부케어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중앙서버;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제공하고 필요한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단말기;
    사용자 개개인의 DNA정보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DNA정보분석부;
    화장품 제품에 대한 화장료 성분, 화장료 함량, 화장료 제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화장품 제품을 공급하는 화장품제품부;를 포함하며,
    상기 DNA정보분석부는, 사용자의 DNA 샘플을 제공 받아 분석하는 DNA분석모듈과, 상기 DNA분석모듈에서 분석한 정보를 상기 정보수신부에 제공하는 DNA분석정보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화장품제품부는, 공급하는 화장품 제품에 대한 화장료 성분, 화장료 함량, 화장료 제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장품정보제공모듈과, 상기 정보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화장품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화장품제조모듈과, 상기 화장품제조모듈에서 제조된 화장품 또는 보유하고 있는 화장품 제품 중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화장품 제품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화장품공급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DNA분석정보제공모듈에서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개개인의 유전자 정보에 따른 사용자별 피부유형정보를 분석하는 피부유형정보분석모듈을 포함하고,
    사용자 개개인의 피부상태를 분석 제공하고 사용자 맞춤형 피부케어서비스를 제공하는 피부케어서비스부; 및
    사용자 맞춤형 식품을 제공하는 맞춤형식품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피부케어서비스부는, 사용자 개개인의 피부를 진단하여 피부상태를 분석 제공하는 피부상태진단모듈과, 상기 피부케어서비스부에서 제공하는 피부케어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케어서비스정보제공모듈과, 상기 정보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피부케어서비스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피부케어서비스를 제공하는 케어서비스제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피부유형정보분석모듈에서 분석한 사용자별 피부유형정보와 상기 피부상태진단모듈에서 제공한 사용자별 피부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피부등급정보를 분석하는 피부등급정보분석모듈과, 상기 피부등급정보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사용자별 피부등급정보 및 상기 화장품정보제공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화장품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맞춤형화장품정보분석모듈과, 상기 피부등급정보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사용자별 피부등급정보 및 상기 케어서비스정보제공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피부케어서비스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맞춤형케어서비스정보분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맞춤형식품부는, 상기 맞춤형식품부에서 제공하는 식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식품정보제공모듈과, 상기 정보제공부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식품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맞춤형 식품을 3D푸드프린터를 활용하여 제조하는 식품제조모듈과, 상기 식품제조모듈에서 제조된 식품 또는 보유하고 있는 식품 중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식품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식품공급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피부등급정보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사용자별 피부등급정보 및 상기 식품정보제공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개개인에 맞는 식품 정보를 분석하는 사용자맞춤형식품정보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맞춤형 화장품 제품, 맞춤형 피부케어서비스, 맞춤형 식품을 경험한 사용자가 제공하는 사용자 리뷰를 분석하는 리뷰분석모듈과, 맞춤형 화장품 제품, 맞춤형 피부케어서비스, 맞춤형 식품을 경험한 사용자의 사용 전후에 상기 피부상태진단모듈을 통해 분석된 피부상태를 분석하는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리뷰분석모듈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맞춤형화장품정보분석모듈의 분석기준을 수정하는 화장품정보분석수정모듈과, 상기 리뷰분석모듈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맞춤형케어서비스정보분석모듈의 분석기준을 수정하는 케어서비스정보분석수정모듈과, 상기 리뷰분석모듈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맞춤형식품정보분석모듈의 분석기준을 수정하는 식품정보분석수정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리뷰분석모듈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별 피부케어를 위한 맞춤형 화장품 제품, 피부케어 서비스 및 맞춤형 식품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피부케어토탈솔루션제공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피부케어토탈솔루션제공모듈은 상기 리뷰분석모듈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화장품 제품과 피부케어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의 시너지효과 또는 역효과를 분석,제공하는 화장품/케어서비스간분석모듈과, 상기 리뷰분석모듈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화장품 제품과 식품을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의 시너지효과 또는 역효과를 분석,제공하는 화장품/식품간분석모듈과, 상기 리뷰분석모듈과 피부상태대비분석모듈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피부케어 서비스와 식품을 동시에 사용했을 경우의 시너지효과 또는 역효과를 분석,제공하는 케어서비스/식품간분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
KR1020190169896A 2019-12-18 2019-12-18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 KR102235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896A KR102235105B1 (ko) 2019-12-18 2019-12-18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896A KR102235105B1 (ko) 2019-12-18 2019-12-18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105B1 true KR102235105B1 (ko) 2021-04-02

Family

ID=7546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896A KR102235105B1 (ko) 2019-12-18 2019-12-18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1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669A (ko) * 2021-08-18 2023-02-27 씨제이올리브영 주식회사 복수의 제품들 간의 시너지 효과를 고려한 리뷰 작성 및 ai 모델에 기반한 리뷰에 대한 시너지 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0323A (ko) * 2010-05-27 2011-12-05 (주)라이프앤진 개인별 맞춤형 건강 기능 식품 관리 시스템
KR101490987B1 (ko) * 2014-03-25 2015-02-09 아람휴비스(주) 고객 맞춤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객 맞춤 화장품 제조방법
KR20180078507A (ko) * 2016-12-30 2018-07-10 제노힐주식회사 유전자 맞춤형 화장품정보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0323A (ko) * 2010-05-27 2011-12-05 (주)라이프앤진 개인별 맞춤형 건강 기능 식품 관리 시스템
KR101490987B1 (ko) * 2014-03-25 2015-02-09 아람휴비스(주) 고객 맞춤 화장품 제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객 맞춤 화장품 제조방법
KR20180078507A (ko) * 2016-12-30 2018-07-10 제노힐주식회사 유전자 맞춤형 화장품정보 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669A (ko) * 2021-08-18 2023-02-27 씨제이올리브영 주식회사 복수의 제품들 간의 시너지 효과를 고려한 리뷰 작성 및 ai 모델에 기반한 리뷰에 대한 시너지 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102653941B1 (ko) * 2021-08-18 2024-04-02 씨제이올리브영 주식회사 복수의 제품들 간의 시너지 효과를 고려한 리뷰 작성 및 ai 모델에 기반한 리뷰에 대한 시너지 효과 분석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rene Goetzke et al. Health-improving lifestyles of organic and functional food consumers
Howard et al. Identity-specific coding of future rewards in the human orbitofrontal cortex
Pincus et al.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depression, anxiety, and positive outlook scale (DAPOS)
US2020022973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etermining a non-therapeutic treatment of the oral cavity
Hui et al. Relationship amo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in fashion retailing industry
KR20110130323A (ko) 개인별 맞춤형 건강 기능 식품 관리 시스템
Park Gauging the emerging plus-size footwear market an anthropometric approach
Blais Development of an inpatient treatment alliance scale
KR20200034948A (ko) 정보 처리 장치, 프로그램, 및 화장품 제공 장치
US201900803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with recommendations indicating a fitness level of one of more topical skin products with a personal care device
KR102235105B1 (ko) 개인 맞춤형 피부케어 서비스 시스템
KR20000036873A (ko) 인터넷을 이용 피부상태를 진단하고 그 처방에따라화장품을 제조하는 시스템.
JP7264959B2 (ja) 肌状態のケアに関する情報出力システム
JP7129867B2 (ja) 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出力方法及び情報出力プログラム
Ko et 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ervice encounter quality, service valu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or physical therapy patients
JP7048782B2 (ja) 肌状態サポートシステム
JP7248385B2 (ja) 肌状態、体状態又は心状態のケアに関する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出力プログラム及び情報出力方法
Lee et al. Effect of staff appearanc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JP7306787B2 (ja) 肌状態、体状態又は心状態のケアに関する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出力プログラム及び情報出力方法
Kosasih et al. Analysis of the Impact of Company Image and Service Quality on Patient Loyalty Through Patient Satisfaction as Intervening Variables
Lacey et al. It must be awful for them: perspective and task context affects ratings for health conditions
JP6845008B2 (ja) 肌状態サポートシステム
JP7270818B2 (ja) 肌状態、体状態又は心状態のケアに関する情報出力システム、情報出力プログラム及び情報出力方法
Gohain et al. Patients loyalty framework towards healthcare services in Malaysia
JP2020035083A (ja) 検査情報管理システム、検査情報管理サーバ、検査情報管理方法、及び検査情報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