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673B1 -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673B1
KR102234673B1 KR1020190137339A KR20190137339A KR102234673B1 KR 102234673 B1 KR102234673 B1 KR 102234673B1 KR 1020190137339 A KR1020190137339 A KR 1020190137339A KR 20190137339 A KR20190137339 A KR 20190137339A KR 102234673 B1 KR102234673 B1 KR 102234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user
guestbook
digital
block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봉훈
하원자
양민정
Original Assignee
한봉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봉훈 filed Critical 한봉훈
Priority to KR102019013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H04L2209/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정 장소와 연관되어 설치된 디지털 방명록 단말로부터 특정 사용자 계정의 접근 요청을 수신하는 접근 요청 수신부, 상기 접근 요청이 승인된 경우 상기 디지털 방명록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과 연결된 사용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자 메시지 수신부, 상기 사용자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 저장하는 블록체인 저장부, 상기 메시지 블록의 생성에 관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에 따라 메시지 토큰을 발행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에 지급하는 메시지 토큰 관리부 및 상기 디지털 방명록 단말 상에서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에 의해 요청되고 상기 메시지 토큰의 지급에 따른 사용자 메시지의 등급 조정을 처리하는 사용자 메시지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BLOCKCHAIN-BASED DIGITAL GUEST BOOK PROVIDING DEVICE}
본 발명은 디지털 방명록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장소에서 작성된 디지털 방명록을 블록체인으로 연결하여 관리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광객들은 관광지에서의 추억을 남기기 위하여 사진을 찍거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장소에서 보다 특별한 기억을 남기기를 원하는 경우 관광지 주변의 바위나 돌 등에 그림이나 문자 등의 낙서를 남기기도 한다. 다만, 무분별하게 새겨진 메시지는 관광지와 문화재 및 공공기념물을 훼손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33918(2016.03.29)호는 디지털 방명록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순히 이름만을 남기던 종래의 방명록과는 달리, 자신의 사진 또는 동영상과 자필 축하 메시지를 남기고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방식을 통해, 방문객에게 새로운 경험과 재미를 제공함으로써, 행사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37030(2018.03.05)호는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방명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방명록을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공간적 제약을 초월하여 다수의 방명록을 작성하거나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사진을 이용하여 방명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33918(2016.03.2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837030(2018.03.05)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장소에서 작성된 디지털 방명록을 블록체인으로 연결하여 관리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특정 장소 방문을 통해 영원히 지워지지 않는 메시지뿐만 아니라 인증을 통해 수정 및 삭제 가능한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저작 도구를 제공하고 방명록 기록을 통해 자신의 여행 이력을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안정적인 방명록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가상화폐의 통해 각 지역 업체들과 협력하여 업체 광고 및 서비스 할인에 관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는 특정 장소와 연관되어 설치된 디지털 방명록 단말로부터 특정 사용자 계정의 접근 요청을 수신하는 접근 요청 수신부, 상기 접근 요청이 승인된 경우 상기 디지털 방명록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과 연결된 사용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자 메시지 수신부, 상기 사용자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 저장하는 블록체인 저장부, 상기 메시지 블록의 생성에 관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에 따라 메시지 토큰을 발행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에 지급하는 메시지 토큰 관리부 및 상기 디지털 방명록 단말 상에서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에 의해 요청되고 상기 메시지 토큰의 지급에 따른 사용자 메시지의 등급 조정을 처리하는 사용자 메시지 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근 요청 수신부는 상기 디지털 방명록 단말로부터 임시 사용자 계정에 관한 생성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생성 요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개인정보를 기초로 상기 임시 사용자 계정을 위한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방명록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메시지 수신부는 텍스트와 함께 그림, 사진,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메시지로서 수신하고, 상기 블록체인 저장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에 관한 정보와 상기 텍스트 만으로 상기 메시지 블록을 생성하여 온체인(On-chain)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메시지로서 상기 그림, 사진,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오프체인(Off-chain)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메시지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블록의 생성에 따라 지급된 메시지 토큰의 지급량을 기준으로 해당 메시지 블록의 구입에 관한 스마트 계약의 실행으로 결정되는 메시지 토큰의 구입량에 따라 상기 사용자 메시지의 등급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과 연관되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 메시지들에 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메시지들에 관한 조회 결과를 제공하는 메시지 조회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조회 처리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복수의 사용자 메시지들 각각에 관한 메시지 블록을 검출하고 해당 메시지 블록의 해시값에 관한 해시 테이블을 상기 조회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특정 장소 방문을 통해 영원히 지워지지 않는 메시지뿐만 아니라 인증을 통한 수정 및 삭제 가능한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저작 도구를 제공하고 방명록 기록을 통해 자신의 여행 이력을 한꺼번에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안정적인 방명록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가상화폐를 통해 각 지역 업체들과 협력하여 업체 광고 및 서비스 할인에 관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명록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사용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방명록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사용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방명록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명록을 이용한 서비스 토큰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명록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명록 제공 시스템(100)은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 데이터베이스(150) 및 블록체인 서버(17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은 사용자가 디지털 방명록을 작성하고 입력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는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들은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은 특정 장소와 연관되어 설치될 수 있고 해당 특정 장소와 연관된 디지털 방명록만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은 주요 관광지, 주요 문화재, 공공 기념관, 주요 행사장 등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해당 장소를 방문한 사람이 디지털 방명록을 작성한 경우 해당 장소에 고유한 디지털 방명록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은 사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은 디지털 방명록 작성 과정에서 해당 장소에서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사진이 포함된 디지털 방명록을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디지털 방명록의 작성에 따라 토큰 발행과 블록체인 저장 및 방명록 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과 블루투스, WiFi, 통신망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디지털 방명록 및 블록체인 관리에 관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의 동작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로부터 수집된 디지털 방명록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블록체인 및 토큰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블록체인 서버(17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블록체인 서버(170)는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과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은 '블록'이라고 하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되어 누구라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원장 관리 기술에 해당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분산 데이터 저장기술의 한 형태로,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데이터를 모든 참여 노드에 기록한 변경 리스트로서 분산 노드의 운영자에 의한 임의 조작이 불가능할 수 있다.
블록체인의 종류는 크게 퍼블릭(public), 프라이빗(private) 및 컨소시엄(consortium)으로 구분할 수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누구나 원하면 네트워크에 접근하여 거래내역을 검색, 생성 및 검증할 수 있으며 경제적 보상을 동반한 작업증명(Proof-of Work, PoW)이나 지분증명(Proof-of-Stake, PoS)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한 중앙기관이 모든 권한을 갖고 통제 가능하며 참여자를 식별 가능하고 거래 속도가 빠르며 네트워크 확장이 쉬운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컨소시엄 블록체인은 지정된 개인이나 단체가 참여하여 주체들 간 합의 절차를 검증하는 권한을 가지며 암호화폐가 필요치 않은 부분적 탈중앙화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상에서 동작하는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은 실행 조건이 충족되면 계약 내용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된 계약으로 블록체인 상에서 동작 가능한 실행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접근 요청 수신부(210), 사용자 메시지 수신부(220), 블록체인 저장부(230), 메시지 토큰 관리부(240), 사용자 메시지 관리부(250), 메시지 조회 처리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접근 요청 수신부(210)는 특정 장소와 연관되어 설치된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로부터 특정 사용자 계정의 접근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해 디지털 방명록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계정과 연동할 필요가 있고, 접근 요청 수신부(210)는 접근 요청이 수신된 경우 해당 사용자 계정 정보를 기초로 접근 요청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근 요청 수신부(210)는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로부터 임시 사용자 계정에 관한 생성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생성 요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개인정보를 기초로 임시 사용자 계정을 위한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이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의 경우 임시 사용자 계정을 발급받아 디지털 방명록을 남길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해 자신의 휴대폰 번호 및 이메일 계정을 입력할 수 있고, 접근 요청 수신부(210)는 해당 정보를 기초로 임시 사용자 계정을 위한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방명록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방명록은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작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접근 요청 수신부(210)는 다수의 사용자를 위한 임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인증코드를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사용자는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해 자신의 휴대폰 번호 및 이메일 계정을 각각 입력할 수 있고, 접근 요청 수신부(210)는 해당 정보를 기초로 임시 사용자 계정을 위한 인증코드를 각 사용자 별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근 요청 수신부(210)는 임시 사용자 계정을 위한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푸시 메시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 등을 통해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고,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해 방명록 메시지와 함께 인증코드를 입력함으로써 디지털 방명록을 자신의 임시 계정과 연동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자신의 임시 계정을 본 계정으로 변경함으로써 해당 임시 계정과 연결되어 작성된 디지털 방명록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접근 요청 수신부(210)는 다수의 사용자에 관한 임시 사용자 계정의 경우 각 사용자 단말에게 푸시 메시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근 요청 수신부(210)는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해 특정 거리 이내로 사용자 단말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에게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사용할 수 있는 임시 사용자 계정을 위한 인증코드를 푸시(push) 메시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해 방명록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푸시 메시지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 가능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 문자 메시지 또는 이메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 접근 요청 수신부(210)는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이 사용중인 동안 특정 거리 이내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접근이 감지된 경우 각 사용자 단말에게 인증코드를 푸시(push) 메시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감지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인 경우 각 사용자 단말 별로 우선순위 및 유효시간이 부여된 인증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유효시간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우선순위에 따라 부여될 수 있고, 현재 사용중인 사용자의 사용 제한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메시지 수신부(220)는 접근 요청이 승인된 경우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로부터 특정 사용자 계정과 연결된 사용자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메시지 수신부(220)는 사용자 계정과 연결되어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메시지를 디지털 방명록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방명록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메시지 수신부(220)는 텍스트와 함께 그림, 사진,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메시지로서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방명록 메시지로서 텍스트뿐만 아니라 직접 그린 그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사진이나 영상 및 음성 등을 함께 입력할 수 있고,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해 이를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은 그림 입력을 위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사진이나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이미지, 영상 및 음성 파일을 수신하고 방명록 메시지에 추가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 저장부(230)는 사용자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 저장할 수 있다. 즉, 메시지 블록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블록체인 노드들에 분산되어 저장되는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 메시지 별로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메시지는 블록체인 저장부(230)에 의해 블록 형태로 변환되어 블록체인에 저장될 수 있고, 이 때 사용자 메시지를 기초로 변환된 블록이 메시지 블록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물리적 노드들에 분산 저장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현 환경에 따라 블록체인 컨테이너(container)로서 가상의 노드들에 논리적으로 분산 저장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블록체인 컨테이너(container)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로서 물리적 장치에 독립적으로 생성되고 유지되는 가상의 블록체인 노드에 해당할 수 있다. 블록체인 저장부(230)는 분산 저장을 위하여 블록 생성, 저장 및 전파의 각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저장부(230)는 특정 사용자 계정에 관한 정보와 텍스트 만으로 메시지 블록을 생성하여 온체인(On-chain) 저장하고 사용자 메시지로서 상기 그림, 사진,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오프체인(Off-chain) 저장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 저장부(230)는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 양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정보는 온체인(On-chain)으로 블록체인 상에 저장할 수 있고 기타 부가적인 정보는 오프체인(Off-chain)으로 블록체인 외부에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저장부(230)는 사용자 계정 정보와 사용자 메시지 중 텍스트만으로 구성된 메시지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 메시지 중 텍스트를 제외한 그림, 사진, 음성 및 영상에 대해서는 오프체인 저장을 위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독립적으로 구현된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다. 블록체인 저장부(230)는 오프체인 저장을 위한 데이터 블록을 사용자 계정 정보와 연결하여 저장할 수 있다.
메시지 토큰 관리부(240)는 메시지 블록의 생성에 관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에 따라 메시지 토큰을 발행하여 특정 사용자 계정에 지급할 수 있다. 메시지 토큰은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한 디지털 방명록 작성에 대한 보상으로서 제공되는 가상화폐에 해당할 수 있고,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와 연동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퍼블릭 블록체인, 프라이빗 블록체인 및 컨소시엄 블록체인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우선적으로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구현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시지 토큰 관리부(240)는 블록체인 상에서 정의된 스마트 계약에 따라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해 디지털 방명록이 작성되고 해당 디지털 방명록을 저장하는 메시지 블록이 성공적으로 생성된 경우 해당 디지털 방명록에 대한 보상으로서 메시지 토큰을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지급할 수 있다. 이 때, 메시지 토큰은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전자지갑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방명록이 생성된 경우 메시지 토큰 관리부(240)는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메시지 토큰을 지급할 수 있다. 이 때, 메시지 토큰은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동일한 비율로, 또는 사용자들이 협의하여 지정한 비율로 지급될 수 있고, 메시지 토큰의 총 지급량은 하나의 디지털 방명록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임시 사용자 계정으로 디지털 방명록을 작성한 경우라면 해당 임시 사용자 계정과 연관되어 메시지 토큰 지급을 위한 트랜잭션이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고, 향후 사용자가 임시 사용자 계정을 본 계정으로 전환한 경우 해당 트랜잭션이 실행되어 본 계정과 연관된 전자지갑으로 메시지 토큰이 지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전자지갑에 메시지 토큰이 저장된 후에 비로소 자신에게 지급된 메시지 토큰을 사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메시지 토큰 관리부(240)는 블록체인 상에 정의된 스마트 계약에 따라 디지털 방명록이 작성된 경우 사용자 계정으로 메시지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방명록이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처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메시지 토큰 관리부(240)는 디지털 방명록과 연관된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의 위치, 디지털 방명록에 포함된 메시지의 크기, 디지털 방명록의 누적 작성 횟수 및 메시지 등급 조정에 사용된 메시지 토큰의 개수에 관한 조건을 포함하는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에 따라 메시지 토큰을 발행하여 특정 사용자 계정에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계약은 디지털 방명록의 작성에 대한 보상으로 메시지 토큰이 지급되는 것을 기본 계약 내용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현 조건에 따라 스마트 계약은 사용자 주소와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의 위치 간의 거리가 길수록 더 많은 메시지 토큰이 지급되는 조건을 포함하여 정의될 수도 있다.
사용자 메시지 관리부(250)는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 상에서 특정 사용자 계정에 의해 요청되고 메시지 토큰의 지급에 따른 사용자 메시지의 등급 조정을 처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해 디지털 방명록으로서 사용자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고, 작성 과정에서 사용자 메시지에 대해 일정한 메시지 토큰을 지급하여 등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디지털 방명록에 해당하는 사용자 메시지의 경우 등급이 높을수록 방명록 리스트에 효과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메시지는 등급이 높을수록 방명록 리스트의 상위에 표출될 수 있고, 메시지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더 크도록 표시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도 상대적으로 더 긴 시간동안 표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메시지에 대한 등급별 처리는 다양한 형태로 정의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방명록 리스트는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해 작성된 사용자 메시지에 대한 목록에 해당할 수 있다. 방명록 리스트는 사용자들이 입력한 사용자 메시지들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정렬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명록 리스트는 사용자 메시지들 각각에 부여된 메시지 토큰의 총량을 기준으로 정렬되어 생성될 수 있고, 사용자 메시지들이 작성된 시간에 따라 정렬되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토큰량이 적은 또는 작성된 시간이 오래된 디지털 방명록일수록 리스트 상에서 노출될 확률이 낮아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메시지 토큰을 지급하여 사용자 메시지의 등급을 강제 조정할 수 있고, 사용자 메시지 관리부(250)는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등급 조정 요청에 따라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메시지 토큰을 지급받아 해당 사용자 메시지의 등급 조정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메시지 관리부(250)는 사용자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블록의 생성에 따라 지급된 메시지 토큰의 지급량을 기준으로 해당 메시지 블록의 구입에 관한 스마트 계약의 실행으로 결정되는 메시지 토큰의 구입량에 따라 사용자 메시지의 등급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해 사용자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메시지 토큰을 지급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메시지에 대해 보상으로 지급받은 메시지 토큰을 지불하여 해당 메시지의 등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작성한 사용자 메시지가 저장된 메시지 블록을 구입하는 방식으로 해당 사용자 메시지의 등급을 직접 조정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지불한 메시지 토큰의 금액이 메시지 블록의 생성에 따라 지급된 메시지 토큰의 지급량보다 큰 경우 사용자 메시지의 등급은 상향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지불한 메시지 토큰의 금액이 메시지 블록의 생성에 따라 지급된 메시지 토큰의 지급량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 메시지의 등급은 하향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메시지가 저장된 메시지 블록을 구입하기 위하여 자신이 보유한 메시지 토큰을 지불할 수 있고, 이 때 지불 금액은 사용자가 직접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사용자 메시지에 대해서도 자신이 보유한 메시지 토큰을 지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지불한 메시지 토큰의 금액에 따라 메시지 블록에 저장된 사용자 메시지의 등급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메시지 토큰의 금액에 따른 등급 조정을 계약 내용으로 하는 스마트 계약을 사전에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보유한 메시지 토큰의 개수, 작성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 등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되는 평점에 따라 사용자 메시지들을 정렬하여 방명록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 메시지별 평점 산출을 위한 산출 정책을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운용환경에 따라 다양한 산출 정책이 정의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개별 항목에 따른 방명록 리스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메시지 토큰의 총량을 기준으로 사용자 메시지들을 정렬하여 방명록 리스트를 생성하거나 또는 사용자 메시지의 작성 시점을 기준으로 사용자 메시지들을 정렬하여 방명록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메시지 조회 처리부(26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사용자 계정과 연관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 메시지들에 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복수의 사용자 메시지들에 관한 조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지 조회 처리부(260)는 특정 사용자 계정과 연관되어 블록체인에 저장된 메시지 블록들을 검색할 수 있고, 일정 기준(예를 들어, 시간, 장소 등)에 따라 메시지 블록들을 정렬할 수 있으며, 정렬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 조회 처리부(260)는 특정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복수의 사용자 메시지들 각각에 관한 메시지 블록을 검출하고 해당 메시지 블록의 해시값에 관한 해시 테이블을 조회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지 조회 처리부(260)는 특정 사용자 계정에 관한 식별 정보를 기초로 조회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조회된 메시지 블록들로부터 각각의 해시값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해시값은 각 메시지 블록들의 블록 헤더의 메타 데이터를 기초로 획득할 수 있다. 메시지 조회 처리부(260)는 메시지 블록들을 일정 기준에 따라 정렬하고 정렬 순서에 따라 해시 테이블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상에서 해시 테이블의 해시값을 기초로 복원된 사용자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해시 테이블은 온체인 저장된 메시지 블록의 해시값과 각 메시지 블록에 대응하여 오프체인 저장된 데이터들의 주소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 조회 처리부(260)는 해시 테이블을 기초로 온체인 저장된 메시지 블록과 오프체인 저장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메시지를 복원한 후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지 조회 처리부(260)는 사용자 메시지를 일정 기준에 따라 정렬한 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메시지 중 특정 데이터들 만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조회 처리부(260)는 사용자 메시지를 시간 순으로 정렬시켜 여행 다이어리 형태로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메시지에 포함된 사진들만 추출하여 포토 앨범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공유할 수도 있다.
제어부(270)는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접근 요청 수신부(210), 사용자 메시지 수신부(220), 블록체인 저장부(230), 메시지 토큰 관리부(240), 사용자 메시지 관리부(250) 및 메시지 조회 처리부(26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접근 요청 수신부(210)를 통해 특정 장소와 연관되어 설치된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로부터 특정 사용자 계정의 접근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310).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 메시지 수신부(220)를 통해 접근 요청이 승인된 경우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로부터 특정 사용자 계정과 연결된 사용자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330).
또한,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블록체인 저장부(230)를 통해 사용자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 저장할 수 있다(단계 S350).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메시지 토큰 관리부(240)를 통해 메시지 블록의 생성에 관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에 따라 메시지 토큰을 발행하여 특정 사용자 계정에 지급할 수 있다(단계 S370).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 메시지 관리부(250)를 통해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 상에서 특정 사용자 계정에 의해 요청되고 메시지 토큰의 지급에 따른 사용자 메시지의 등급 조정을 처리할 수 있다(단계 S39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사용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방명록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특정 장소와 연관되어 설치된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로부터 방명록 메시지를 수신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방명록 메시지 중에서 텍스트에 관한 정보는 블록체인에 온체인 저장하거나 또는 텍스트를 제외한 그림, 음성 및 영상에 관한 정보는 블록체인 외부에 오프체인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 작성이 완료된 경우 그에 대한 보상으로서 메시지 토큰을 제공할 수 있고, 이 경우 메시지 토큰은 사용자 계정과 연결된 전자지갑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시지 토큰을 사용하여 자신이 입력한 사용자 메시지의 등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른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메시지에 대해서도 메시지 토큰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 메시지의 수신과 메시지 토큰의 지급을 위하여 스마트 계약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조회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사용자 메시지를 블록체인에서 조회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조회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 메시지를 복원할 수 있고, 사용자 메시지 중 특정 정보만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로부터 방명록 조회의 대가로서 메시지 토큰을 지급받을 수 있고, 이 경우 메시지 토큰은 사용자 계정과 연결된 전자지갑에서 차감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를 통해 여행 후 전 세계의 방명록을 일괄 조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자신의 사용자 계정과 연결되어 저장된 디지털 방명록을 선택적으로 조회할 수 있고, 특정 기간을 지정하여 그 기간 내에 생성된 자신의 디지털 방명록들을 모두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회된 디지털 방명록에 대해 SNS를 통한 공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해 작성한 디지털 방명록은 블록체인에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SNS를 통해 공유될 수 있으며,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이나 SNS를 통해 관련된 디지털 방명록을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 사용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방명록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특정 장소와 연관되어 설치된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로부터 방명록 메시지를 수신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을 통해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계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면, 사용자는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해 임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해 자신의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계정을 입력하면서 임시 사용자 계정 생성을 요청할 수 있고,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해당 요청에 따라 임시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인증코드를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방명록 메시지로서 사용자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고,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임시 사용자 계정으로 입력한 사용자 메시지를 조회하기 위해 임시 사용자 계정을 본 계정으로 변경할 수 있고, 임시 사용자 계정에 연결된 모든 정보는 본 계정에 연결되어 갱신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계정을 통해 자신이 작성한 디지털 방명록을 조회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명록을 이용한 서비스 토큰 제공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메시지 토큰과 구별되는 서비스 토큰을 별도로 발행하여 광고 및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특정 장소와 연관된 지역 업체를 대상으로 서비스 토큰(SVT)을 판매할 수 있고, 각 지역 업체들은 서비스 토큰을 이용하여 업체 홍보 및 상품/서비스 광고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각 지역 업체들은 서비스 토큰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서비스 토큰을 이용하여 각 지역 업체들을 이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메시지 토큰(Message Token)은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해 작성된 디지털 방명록과 연관되어 발행되고 사용되는 토큰에 해당할 수 있고, 서비스 토큰(Service Token)은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에 의해 디지털 방명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행되고 사용되는 토큰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시지 토큰과 서비스 토큰을 각각 독립적으로 기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현환경 및 조건에 따라 메시지 토큰과 서비스 토큰은 하나의 토큰으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사용자가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해 디지털 방명록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각 지역 업체들에 관한 광고를 표출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해당 광고가 선택 또는 재생되는 경우 소정의 서비스 토큰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토큰은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에 의해 각 지역 업체들과 연결된 전자지갑에서 사용자 계정과 연결된 전자지갑으로 이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지털 방명록 작성 및 광고 시청을 통해 획득한 자신의 서비스 토큰을 각 지역 업체들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서비스 토큰을 사용하여 해당 지역의 여행사, 숙박 업소, 맛집, 공연장, 기념품점 등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각 지역 업체들은 보유한 서비스 토큰을 현금으로 보상 받을 수 있다. 즉,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서비스 토큰의 판매에 대응하여 각 지역 업체가 보유한 서비스 토큰을 소정의 현금으로 교환해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특정 장소와 연관되어 설치된 디지털 방명록 단말(11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방명록 메시지를 수신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메시지 작성에 관한 메시지 토큰과 광고 제공에 관한 서비스 토큰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1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안정적인 방명록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가상화폐의 통해 각 지역 업체들과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디지털 방명록 제공 시스템
110: 디지털 방명록 단말 130: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170: 블록체인 서버
210: 접근 요청 수신부 220: 사용자 메시지 수신부
230: 블록체인 저장부 240: 메시지 토큰 관리부
250: 사용자 메시지 관리부 260: 메시지 조회 처리부
270: 제어부

Claims (6)

  1. 특정 장소와 연관되어 설치된 디지털 방명록 단말로부터 특정 사용자 계정의 접근 요청을 수신하는 접근 요청 수신부;
    상기 접근 요청이 승인된 경우 상기 디지털 방명록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과 연결된 사용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사용자 메시지 수신부;
    상기 사용자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분산 저장하는 블록체인 저장부;
    상기 메시지 블록의 생성에 관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에 따라 메시지 토큰을 발행하여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에 지급하는 메시지 토큰 관리부; 및
    상기 디지털 방명록 단말 상에서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에 의해 요청되고 상기 메시지 토큰의 지급에 따른 사용자 메시지의 등급 조정을 처리하는 사용자 메시지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메시지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시지 블록의 생성에 따라 지급된 메시지 토큰의 지급량을 기준으로 해당 메시지 블록의 구입에 관한 스마트 계약의 실행으로 결정되는 메시지 토큰의 구입량에 따라 상기 사용자 메시지의 등급 -상기 등급은 방명록 리스트 상의 노출 순위를 결정함- 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요청 수신부는
    상기 디지털 방명록 단말로부터 임시 사용자 계정에 관한 생성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생성 요청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개인정보를 기초로 상기 임시 사용자 계정을 위한 인증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방명록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메시지 수신부는 텍스트와 함께 그림, 사진,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메시지로서 수신하고,
    상기 블록체인 저장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에 관한 정보와 상기 텍스트 만으로 상기 메시지 블록을 생성하여 온체인(On-chain)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메시지로서 상기 그림, 사진,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오프체인(Off-chain)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과 연관되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 메시지들에 관한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사용자 메시지들에 관한 조회 결과를 제공하는 메시지 조회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조회 처리부는
    상기 특정 사용자 계정과 연관된 복수의 사용자 메시지들 각각에 관한 메시지 블록을 검출하고 해당 메시지 블록의 해시값에 관한 해시 테이블을 상기 조회 결과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

KR1020190137339A 2019-10-31 2019-10-31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 KR102234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339A KR102234673B1 (ko) 2019-10-31 2019-10-31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339A KR102234673B1 (ko) 2019-10-31 2019-10-31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673B1 true KR102234673B1 (ko) 2021-04-01

Family

ID=75441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339A KR102234673B1 (ko) 2019-10-31 2019-10-31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6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344B2 (ko) * 1985-06-14 1990-05-14 Nippon Steel Corp
KR20160033918A (ko) 2014-09-19 2016-03-29 주식회사 펜타브리드 디지털 방명록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81707A (ko) * 2014-12-31 2016-07-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Nfc를 이용한 낙서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서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1837030B1 (ko) 2017-11-13 2018-03-09 주식회사 엠게임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방명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9504385A (ja) * 2015-11-24 2019-02-14 マスターカード インターナシヨ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不透明ブロックチェーンを使用することによる全体清算方法及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344B2 (ko) * 1985-06-14 1990-05-14 Nippon Steel Corp
KR20160033918A (ko) 2014-09-19 2016-03-29 주식회사 펜타브리드 디지털 방명록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81707A (ko) * 2014-12-31 2016-07-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Nfc를 이용한 낙서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서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JP2019504385A (ja) * 2015-11-24 2019-02-14 マスターカード インターナシヨ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不透明ブロックチェーンを使用することによる全体清算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837030B1 (ko) 2017-11-13 2018-03-09 주식회사 엠게임 인터렉티브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방명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4729B2 (en) Blockchain-enabled crypto asset compliance system for tracking asset allocation
US9436965B2 (en) Interactive map for grouped activities within a financial and social management system
US20200111139A1 (en) Payment interchange for use with global shopping cart
US20140172634A1 (en) Data management in a global shopping cart
US9390453B2 (en) Activity list filters for a financial and social management system
KR20110102953A (ko) 조건적 인센티브 제시, 추적 및 상환
US9639893B2 (en) Activity review for a financial and social management system
US20160350868A1 (en) Interactive map for grouped activities within a financial and social management system
JP2014170519A (ja) 行列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786018B2 (en) Activity list enhanced with images for a financial and social management system
US20150088717A1 (en) Linking users and transactions through activity information in a financial and social management system
US20150088716A1 (en) Activity history for a financial and social management system
US20150088714A1 (en) Activity list linked with receipts for a financial and social management system
US20150088679A1 (en) Proposed packages for a financial and social management system
US20150088713A1 (en) Activity list tagged with activity information for a financial and social management system
US20150088718A1 (en) Past packages for a financial and social management system
US201302622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er involvement
JP2020077133A (ja) 資産交換システム、資産交換方法および資産交換プログラム
US9786019B2 (en) Grouped packages for a financial and social management system
US20230334492A1 (en) Blockchain agnostic token network
KR102234673B1 (ko)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방명록 제공 장치
JP2011248838A (ja) Snsを用いた会員制デジタルコンテンツ及びショッピングモール管理システム
KR2011011844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북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북 커뮤니티 운영방법
US20150088771A1 (en) Financial and social management system
US202401271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digital ticketing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