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544B1 - Leading-edge extension type micropile device for reinforcing structures - Google Patents

Leading-edge extension type micropile device for reinforcing structur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544B1
KR102234544B1 KR1020200080445A KR20200080445A KR102234544B1 KR 102234544 B1 KR102234544 B1 KR 102234544B1 KR 1020200080445 A KR1020200080445 A KR 1020200080445A KR 20200080445 A KR20200080445 A KR 20200080445A KR 102234544 B1 KR102234544 B1 KR 102234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ile
perforated hole
plate
link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4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이성진
한국건설시험연구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진, 한국건설시험연구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성진
Priority to KR1020200080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5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5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8Reinforcements for 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Abstract

A micro-pile device for structure reinforcement comprises: a micro-pile (10) inserted into a drilling hole (3) formed in the ground; and a front end support unit (30) having a plate (31) which supports a bottom end part (11) of the micro-pile (10) on an upper surface thereof, surface-contacts with a floor of the drilling hole (3)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has a trapezoid cross-section, of which an upper edge is longer than a lower edge, disposed to be spaced from a wall surface of the drilling hole (3) and having a wedge (33) protruding from the plate (31) to a lower side to penetrate the floor of the drilling hole (3).

Description

구조물보강용 마이크로파일장치{LEADING-EDGE EXTENSION TYPE MICROPILE DEVICE FOR REINFORCING STRUCTURES}Structure reinforcement micropile device {LEADING-EDGE EXTENSION TYPE MICROPILE DEVICE FOR REINFORCING STRUCTURES}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일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구조물보강용 마이크로파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pile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cropile apparatus for reinforcing structures.

일반적으로 기존에 사용중인 건축물이나 구조물(이하 '구조물'이라고 통일하여 표기함)에 대하여 내진 등을 고려하여 기초를 보강하는 공사를 할 때, 대형 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경우에는, 소형 장비로 시공이 가능한 직경 300mm 이하의 소구경 파일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소구경 파일을 마이크로파일이라고 한다. 특히 시공의 경제성을 고려하여 75mm 이하의 마이크로파일이 많이 사용된다.In general, when reinforcing the foundation in consideration of seismic resistance for existing buildings or structures (hereinafter referred to as'structures'), if it is difficult to enter large equipment, construction with small equipment is not recommended. Small diameter piles with a diameter of 300 mm or less are used as possible, and such a small diameter pile is called a micropile. In particular, micropiles of 75mm or less are often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economics of construction.

마이크로파일은 토사층이나 퇴적층과 같은 연약층과 그 아래 지지층인 암반층으로 이루어진 지반에 천공홀을 형성하고 마이크로파일을 천공홀에 삽입한 후 시멘트 그라우트재를 충진함으로써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연약층에는 천공홀 벽이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강관(케이싱)이 설치된다.Micropile is usually installed by forming a perforated hole in the ground consisting of a soft layer such as a soil layer or sediment layer and a rock layer that is a supporting layer below it, inserting the micropile into the hole, and then filling the cement grout material. Steel pipes (casings) are generally installed in the soft layer to prevent the walls of the perforated holes from collapsing.

이러한 마이크로파일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These microfiles generally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선단부의 단면적이 작아서 선단부의 지지력이 크지 않고, 이로 인해 압축하중(좌굴하중)이 가해지면 선단부에 하중이 집중되어 마이크로파일이 지반을 파고들어 침하가 발생할 수 있다.Firs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ip portion is small, so that the bearing force of the tip portion is not large, and when a compressive load (buckling load) is applied due to this,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tip portion and the micropile digs into the ground, causing settlement.

둘째, 압축하중이 가해지면 연약층에서 천공홀 벽면의 저항력이 약하여 마이크로파일이 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연약층에 설치된 강관은 천공홀 벽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뿐이어서 큰 압축하중을 감당할 수 없다.Second, whe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the micropile may be bent due to weak resistance of the wall of the perforated hole in the soft layer. The steel pipe installed in the soft layer only serves to prevent the perforated hole wall from collapsing, so it cannot withstand a large compressive load.

셋째, 마이크로파일에 인발하중(인장하중)이 가해지면 마이크로파일과 천공홀 벽면과의 마찰력이 약하여 마이크로파일이 뽑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ird, when a pull-out load (tensile load) is applied to the micropile, the friction between the micropile and the wall of the perforated hole may be weak,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micropile is pulled out.

넷째, 천공홀 바닥에 모래나 바위 부스러기와 같은 슬러리가 쌓여 마이크로파일의 지지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Fourth, a slurry such as sand or rock debris accumulates on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hole,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micropile can be reduced.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한국특허 제10-0956879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 한국특허 제10-1182802호(이하 '선행기술 2'라 함), 한국특허 제10-1359488호(이하 '선행기술 3'라 함), 한국특허 제10-1181543호(이하 '선행기술 4'이라 함) 등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in the prior art. For example, Korean Patent No. 10-0956879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Korean Patent No. 10-11828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and Korean Patent No. 10-135948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Prior Art 3'), Korean Patent No. 10-1181543 (hereinafter referred to as'prior art 4'), and the like.

선행기술 1은 압축하중 분산에 초점을 맞춘 것이고, 선행기술 2는 인장하중 및 압축하중에 대한 지지력 향상에 초점을 맞춘 것이고, 선행기술 3은 압축하중 분산 및 침하 방지에 초점을 맞춘 것이고, 선행기술 4는 인장하중 및 압축하중에 대한 지지력 향상과 침하 방지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서, 모두 연약층에서의 좌굴 방지 및 슬러리 배출에 대한 고려가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Prior Art 1 focuses on the distribution of compressive loads, Prior Art 2 focuses on improving the bearing capacity for tensile and compressive loads, and Prior Art 3 focuses on distributing compressive loads and preventing settling. 4 focuses on improving the bearing capacity for tensile and compressive loads and preventing settling, and both have limitations in that there is no consideration for buckling prevention and slurry discharge in the soft layer.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지반의 침하를 방지하면서 천공홀 바닥에 쌓인 슬러리 배출이 용이한 구조물보강용 마이크로파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cropile device for reinforcing structures in which the slurry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hole can be easily discharged while preventing the subsidence of the ground.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연약층에서 압축하중이 가해져도 마이크로파일이 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구조물보강용 마이크로파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cropile device for reinforcing structures capable of preventing the micropile from bending even whe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in a soft lay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반에 형성된 천공홀(3)에 삽입되는 마이크로파일(10); 및 그 상면에서 상기 마이크로파일(10)의 말단부(11)를 지지하고 그 하면에서 상기 천공홀(3)의 바닥과 면접촉하고 상기 천공홀(3)의 벽면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윗변이 아랫변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플레이트(31)와, 상기 플레이트(3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천공홀(3) 바닥에 침투하는 쐐기(33)를 포함하는 선단지지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보강용 마이크로파일장치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pile 10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hole 3 formed in the ground; And the end portion 11 of the micropile 10 is supported on its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hole 3, and the upper side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perforated hole 3, and the upper side is the lower side. Includes; a plate 31 having a longer trapezoidal cross section, and a tip support portion 30 including a wedge 33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plate 31 and penetrating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hole 3. A micropile device for reinforcing structures is provided.

상기 플레이트(31)는 원형의 평면형상을 갖고, 그 상면의 직경은 상기 천공홀(3)의 직경의 90% 이하이고, 그 하면의 직경은 상기 마이크로파일(10)의 직경 이상이고, 상기 마이크로파일(10)의 축선에 대한 상기 플레이트(31)의 측면 경사각은 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late 31 has a circular planar shape, the diameter of the upper surface is 90% or less of the diameter of the perforated hole 3, the diameter of the lower surface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micropile 10, the micro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inclination angle of the plate 31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pile 10 is 45° or more.

상기 구조물보강용 마이크로파일장치는 상기 지반 중 연약층(1)에 설치된 좌굴보강부(60);를 더 포함하고, 좌굴보강부(60)는 상기 연약층(1)의 상부에서 상기 마이크로파일(10)과 나사결합되는 상부지지부재(61)와, 상기 연약층(1)의 하부에서 상기 마이크로파일(10)과 나사결합되는 하부지지부재(62)와, 상기 상부지지부재(61)와 상기 하부지지부재(62)를 연결하는 복수의 좌굴지지바(6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ructure reinforcing micropile device further includes a buckling reinforcement part 60 installed on the soft layer 1 of the ground, and the buckling reinforcement part 60 is the micropile 10 at the top of the soft layer 1 And an upper support member 61 that is screwed with, and a lower support member 62 that is screwed with the micropile 10 under the soft layer 1, and the upper support member 61 and the lower support member A plurality of buckling support bars 63 connecting the 62 may be included.

본 발명에 따르면, 지반의 침하를 방지하면서 천공홀 바닥에 쌓인 슬러리를 상방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discharge the slurry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hole upward while preventing the subsidence of the ground.

또한, 연약층에서 압축하중이 가해져도 마이크로파일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icropile from bending even when a compressive load is applied in the soft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보강용 마이크로파일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선단지지부(3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압박판(50)의 개략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icropile apparatus for reinforcing structur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tip support portion 30 in FIG. 1.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sing plate 50 in FIG. 1.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들을 먼저 정의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irst defined.

'상부'와 '하부', '상측'과 '하측', '상단'과 '하단', '상방'과 '하방' 등에서, '상'과 '하'는 중력방향에 따른 개념이 아니라 지반에 형성된 천공홀의 깊이방향 또는 길이방향에 따른 개념이다.In'top' and'bottom','top' and'bottom','top' and'bottom','top' and'bottom', etc.,'top' and'bottom' are not based on the direction of gravity. It is a concept according to the depth direction or length direction of the formed hole.

마이크로파일의 '선단부'는 지반 중 지지층인 암반층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링크부가 결합되는 마이크로파일의 부분을 가리킨다.The'tip part' of the micropile refers to a part of the micropile to which the link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as a part of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rock layer, which is a support layer.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보강용 마이크로파일장치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icropile device for reinforcing structur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물보강용 마이크로파일장치(이하 '마이크로파일장치'로 약칭하기도 함)는 마이크로파일(10)과, 이동링(20)과, 선단지지부(30)와, 링크부(40)와, 압박판(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이크로파일장치는 좌굴보강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micropile device for reinforcing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ereinafter, also abbreviated as a'micropile device') includes a micropile 10, a moving ring 20, and a tip support part 30. Wow,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nk portion 40 and a pressing plate (50). The micropi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uckling reinforcement part 60.

마이크로파일(10)은 토사층이나 퇴적층 등의 연약층(1) 및 그 아래 지지층인 암반층(2)으로 이루어진 지반에 형성된 천공홀(3)에 삽입되어 시멘트 그라우트재와 일체화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마이크로파일(1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연약층(1)에는 강관(4)이 설치될 수 있고, 마이크로파일(10)에는 강관(4)과 마이크로파일(1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파일(10)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마이크로파일(10)은 커플러(5)에 의해 결합된다.The micropile 10 is a member that is inserted into a perforated hole 3 formed in the ground consisting of a soft layer 1 such as a soil layer or a sediment layer, and a rock layer 2 that is a support layer below it, and is integrated with the cement grout material to provide a supporting force. Male thread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icropile 10. A steel pipe 4 may be installed in the soft layer 1, and a gap maintaining member (not shown)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steel pipe 4 and the micropile 10 may be installed in the micropile 10. When a plurality of micropiles 10 are installed, the plurality of micropiles 10 are coupled by a coupler 5.

이동링(20)은 마이크로파일(10)의 선단부의 상부와 나사결합되어 마이크로파일(10)의 회전에 따라 마이크로파일(10)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일(10)과의 나사결합을 위하여 이동링(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The moving ring 20 is screw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tip of the micropile 10 to mov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icropile 1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icropile 10. Female threads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ring 20 for screwing with the micropile 10.

이동링(20)의 하면에는 힌지부(21)가 결합되어 있다. 힌지부(21)는 이동링(20)과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도 있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슬라이딩 결합은, 예를 들면, 이동링(20)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과 힌지부(21)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링(20)과 힌지부(21)가 고정 결합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박판(50)이 천공홀(3) 벽면을 접촉압박할 때 이동하면서 접촉압박하게 된다. 이동링(20)과 힌지부(2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박판(50)이 천공홀(3) 벽면을 접촉압박할 때 제자리에서 접촉압박하게 된다.The hinge part 21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ring 20. The hinge part 21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moving ring 20 by welding or the like, or may be slidably coupled. Sliding coupling may be achieved by, for example, a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ring 20 and a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hinge portion 21. When the moving ring 20 and the hinge part 21 are fixedly coupl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pressing plate 50 contacts the wall surface of the perforated hole 3, it is moved and pressed in contact. When the movable ring 20 and the hinge part 21 are slidably coupl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pressing plate 50 contact-presses the wall surface of the perforated hole 3, it is contact-pressed in place.

도 2는 선단지지부(30)의 개략 사시도이다.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tip support portion 30.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지지부(30)는 그 상면에서 마이크로파일(10)의 말단부(11)를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그 하면에서 천공홀(3)의 바닥과 면접촉하는 플레이트(31)와, 플레이트(31)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천공홀(3) 바닥에 침투하는 쐐기(33)를 포함한다.As shown, the tip support part 30 supports the distal end 11 of the micropile 10 at its upper surface so as to be capable of idling, and the plate 31 in surfac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hole 3 at the lower surface thereof. , It includes a wedge 33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31 and penetrating into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hole 3.

마이크로파일(10)의 말단부(11)를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플레이트(31)의 상면 중앙에는 마이크로파일(10)의 말단부(11)를 수용하는 수용홈(32)이 형성되어 있다.In order to support the distal end 11 of the micropile 10 so as to be idle, a receiving groove 32 for accommodating the distal end 11 of the micropile 1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31.

플레이트(31)는 윗변이 아랫변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31)는 원형의 평면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상면의 직경은 천공홀(3) 직경의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하면의 직경은 마이크로파일(10)의 직경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마이크로파일(10)의 축선에 대한 플레이트(31)의 측면 경사각은 4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의 수치들은 제작상 또는 시공상 통상적인 범위의 오차를 포함하는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e 31 has a trapezoidal cross section whose upper side is longer than that of the lower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e 31 has a circular planar shape, the diameter of the upper surface is preferably 90% or less of the diameter of the perforated hole 3, and the diameter of the lower surface is preferably not less than the diameter of the micropile 10, and ,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inclination angle of the plate 31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micropile 10 is 45° or more. The numerical values here are to include errors in a typical range for manufacturing or construction.

이러한 형상과 수치 한정은 선단지지부(30)가 천공홀(3) 바닥으로 침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과 천공홀(3) 바닥의 슬러리를 선단지지부(30) 상방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아울러 고려한 것이다. 즉, 플레이트(31)의 상면의 직경이 천공홀(3) 직경의 90%보다 크면 슬러리 배출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고, 그 하면의 직경이 마이크로파일(10)의 직경보다 작거나 플레이트(31)의 측면 경사각이 45°보다 작으면 침하의 우려가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This shape and numerical limitation takes into account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tip support part 30 from sinking to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hole 3 and the function of discharging the slurry at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hole 3 to the top of the tip support part 30. will be. That is, if the diame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31 is larger than 90% of the diameter of the perforated hole 3,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for discharging the slurry, and the diameter of the lower surfac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micropile 10 or the plate 31 If the lateral inclination angle of) is less than 45°,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risk of sinking.

이러한 구성에 따라, 플레이트(31)의 경사진 측면과 하면을 합친 넓은 접촉면에 의하여 마이크로파일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고, 플레이트(31)의 경사면과 천공홀(3) 벽면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바닥의 슬러리가 플레이트(31)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subsidence of the micropile can be prevented by the wide contact surface combining the inclined sid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31, and the floor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late 31 and the wall surface of the perforated hole 3 The slurry of the plate 31 can move upward.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31)의 상면이 원형의 평면형상을 가진 예가 설명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하지는 않으며, 설계상 또는 시공상 필요에 따라 다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31 has a circular planar shape has been describ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polygonal planar shape according to design or construction needs.

플레이트(31)의 하면에서 돌출된 쐐기(33)는 천공홀(3) 바닥에 침투하여 마이크로파일(10)이 회전할 때 선단지지부(30)가 따라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The wedge 33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31 penetrates into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hole 3 and functions to prevent the tip support 30 from rotating accordingly when the micropile 10 rotates.

본 실시예에서는 쐐기(33)의 구성으로서 네 개의 날개가 방사상 대칭으로 배치된 예가 설명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하지는 않으며, 날개의 수는 두 개이거나 네 개 이상일 수도 있고, 날개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쐐기가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four wings are arranged radially symmetrically as a configuration of the wedge 33 is described, but the number of wings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wings may be two or four or more, and in addition to the wings, various types of wedges Can be us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지지부(30)의 상면에는 힌지부(34)가 결합되어 있다. 선단지지부(30)와 힌지부(34)는 상술한 이동링(20)과 힌지부(21)의 결합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hinge portion 34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ip support portion 30. The tip support portion 30 and the hinge portion 34 may be coupl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upling method of the movable ring 20 and the hinge portion 21 described above.

링크부(40)는 상부링크(41)와 하부링크(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링크(41)는 그 상단에서 이동링(20)의 힌지부(21)와 힌지결합되고, 그 하단에서 하부링크(42)의 상단과 링크결합된다. 하부링크(42)는 그 상단에서 상부링크(41)의 하단과 링크결합되고, 그 하단에서 선단지지부(30)의 힌지부(34)와 힌지결합된다. 여기서 "링크결합"이라 함은 상부링크(41)와 하부링크(42)가 직접적으로 링크결합되는 경우는 물론, 후술하는 중간링크(43)을 통해 간접적으로 링크결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링크(41) 및 하부링크(42)가 후술하는 압박판(50)의 상부 및 하부와 각각 힌지결합되어 압박판(50)이 중간링크(43)의 작용을 겸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e link unit 40 includes an upper link 41 and a lower link 42. The upper link 41 is hinge-coupled with the hinge portion 21 of the moving ring 20 at its upper end, and is link-coupled with the upper end of the lower link 42 at its lower end. The lower link 42 is link-coupled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link 41 at its upper end, and hinge-coupled with the hinge portion 34 of the tip support portion 30 at the lower end thereof. Herein, "link coupling"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upper link 41 and the lower link 42 are directly link-coupled, as well as a case in which the link is indirectly coupled through the intermediate link 43 to be described later. Further, the upper link 41 and the lower link 42 are hing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ressing plate 5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pressing plate 50 also functions as the intermediate link 43.

링크부(40)는 그 하부에서 선단지지부(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링(20)이 마이크로파일(10)의 회전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할 때 하방으로 수축하면서 방사상으로 팽창(확장)한다. 반대로, 이동링(20)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링크부(40)도 상방으로 신장하면서 방사상으로 수축한다.The link part 40 contracts downward and expands (expands) radially when the moving ring 20 moves downward by the rotation of the micropile 1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tip support part 30 at the bottom thereof. . Conversely, when the moving ring 20 moves upward, the link portion 40 also expands upward and contracts radially.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부(40)의 개수는 3개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설계상 또는 시공상 필요에 따라 2개일 수도 있고, 4개 이상일 수도 있다. 복수의 링크부(40)는 방사상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link units 40 is preferably thre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two or four or more according to design or construction needs.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link portions 40 are arranged radially symmetrically.

압박판(50)은 각 링크부(40)의 상부링크(41)와 하부링크(42)가 링크결합되는 부위에 설치되고, 링크부(40)의 방사상 팽창에 의해 천공홀(3) 벽면을 접촉압박한다.The pressing plate 50 is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upper link 41 and the lower link 42 of each link unit 40 are linked to each other, and the wall surface of the perforated hole 3 is formed by radial expansion of the link unit 40. Contact pressure.

도 3은 압박판(50)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판(50)은 천공홀(3)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의 원호형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압박판(50)과 천공홀(3) 벽면과의 접촉면적을 늘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천공홀(3) 벽면에 대한 보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접촉면적을 더 늘리기 위하여, 링크부(40)가 천공홀(3) 내로 삽입되는 초기상태에서, 복수의 압박판(50)들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곡률반경의 "동일"은 완전한 동일을 말하는 건 아니며, 통상적인 제작상 및 시공상의 오차를 포함하는 개념이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sing plate 50. As shown, the pressing plate 50 has an arc-shaped cross section of the same radius of curvature a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perforated hole 3.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ressing plate 50 and the wall of the perforated hole 3 can be increased, and thus, reinforcing force for the wall of the perforated hole 3 can be increased.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contact area,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pressing plates 5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link portion 40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hole 3. Here, the "same" of the radius of curvature does not mean completely the same, but is a concept including errors in general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압박판(50)의 외주면에는 쐐기(51)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압박판(50) 외주면의 면적이 넓으므로 다수의 쐐기(51)를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천공홀(3) 벽면에 대한 압박판(50)의 보강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A wedge 51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50. In this case, since the area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50 is wi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lurality of wedges 51 can be installe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reinforcing force of the pressing plate 50 to the wall of the perforated hole 3.

압박판(50)의 각 모서리는 압박판(50)이 천공홀(3) 벽면과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경우에 벽면을 긁지 않도록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라운딩 처리는 반드시 모든 모서리에 행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시공상 필요에 따라 일부 모서리에만 행해질 수 있다.Each corner of the pressing plate 50 is preferably rounded so as not to scratch the wall surface when the pressing plate 50 moves while in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perforated hole 3. In this case, the rounding treatmen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performed on all corners, but may be performed on only some corners according to constructional necessity.

좌굴보강부(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약층(1)의 상부에서 마이크로파일(10)과 나사결합되는 상부지지부재(61)와, 연약층(1)의 하부에서 마이크로파일(10)과 나사결합되는 하부지지부재(62)와, 상부지지부재(61)와 하부지지부재(62)를 연결하는 복수의 좌굴지지바(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Buckling reinforcement part 60, as shown in Figure 1, the upper support member 61 screwed with the micropile 10 at the top of the soft layer 1, and the micropile ( 10) and a lower support member 62 that is screwed together, and a plurality of buckling support bars 63 connecting the upper support member 61 and the lower support member 62.

좌굴지지바(63)의 상단 및 하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좌굴지지바(63)는 너트(64)에 의해 상부지지부재(61)와 하부지지부재(62)에 각각 고정된다.Male threads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uckling support bar 63, and the buckling support bar 63 is fixed to the upper support member 61 and the lower support member 62 by nuts 64, respectively.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보강용 마이크로파일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micropile device for reinforcing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파일(10)과, 이동링(20)과, 선단지지부(30)와, 링크부(40)와, 압박판(50)과, 좌굴보강부(60)의 조립체가 천공홀(3) 속으로 삽입된다. 이때, 마이크로파일(10)의 중심축과 천공홀(3)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압박판(50)이 천공홀(3) 벽면에 가볍게 접촉하거나 약간 이격된 상태에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는 미리 링크부(40)를 어느 정도 방사상으로 팽창시킴에 의하여 확보될 수도 있고, 상부링크(41)와 하부링크(42)가 일직선으로 배치된 링크부(40)의 최대 수축상태에서 확보될 수도 있다. 이 상태가 상술한 "초기상태"에 해당한다. 여기서 중심축과 중심축의 "일치"란 완전한 일치를 말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인 제작상 및 시공상의 오차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압박판(50)이 종래의 간격유지부재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micropile 10, the moving ring 20, the tip support part 30, the link part 40, the pressing plate 50, and the buckling reinforcement part ( The assembly of 60)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hole (3).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ing plate 50 is inserted in a state where the central axis of the micropile 10 and the central axis of the perforated hole 3 coincide with each other in a lightly contacted or slightly spaced state. This state may be secured by expanding the link part 40 radially to some extent in advance, or secured in the maximum contraction state of the link part 40 in which the upper link 41 and the lower link 42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t could be. This state corresponds to the "initial state" described above. Here, the "match" between the central axis and the central axis does not mean a complete coincidence, but is a concept including general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errors.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essing plate 50 can replace the role of a conventional space holding member.

다음에, 마이크로파일(10)을 타공함으로써 선단지지부(30)의 플레이트(31)의 하면이 천공홀(3) 바닥에 접촉한 상태에서 선단지지부(30)의 쐐기(33)가 천공홀(3) 바닥으로 침투하도록 한다.Next, by perforating the micropile 10, the wedge 33 of the tip support 3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hole 3, while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31 of the tip support 3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hole 3 (3) Let it penetrate into the floor.

다음에, 마이크로파일(10)을 회전시킨다. 마이크로파일(10)이 회전함에 따라 이동링(20)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링크부(40)는 방사상으로 팽창한다. 마이크로파일(10)을 계속 회전시키면 압박판(50)이 천공홀(3) 벽면을 강하게 접촉압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천공홀(3) 벽면에 대한 보강력을 제공하게 된다.Next, the micropile 10 is rotated. As the micropile 10 rotates, the moving ring 20 moves downward and the link portion 40 expands radially. When the micropile 10 is continuously rotated, the pressing plate 50 strongly contacts and compresses the wall of the perforated hole 3, thereby providing a reinforcing force to the wall of the perforated hole 3.

비록 본 발명이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와 균등예가 있을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examples and equal examples.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지만,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Although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elements described in the claims,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연약층
2: 암반층
3: 천공홀
4: 강관
5: 커플러
10: 마이크로파일
11: 말단부
20: 이동링
21: 힌지부
30: 선단지지부
31: 플레이트
32: 수용홈
33: 쐐기
34: 힌지부
40: 링크부
41: 상부링크
42: 하부링크
43: 중간링크
50: 압박판
51: 쐐기
60: 좌굴보강부
61: 상부지지부재
62: 하부지지부재
63: 좌굴지지바
64: 너트
1: the fragile layer
2: bedrock
3: perforated hole
4: steel pipe
5: coupler
10: microfile
11: distal
20: moving ring
21: hinge part
30: tip support
31: plate
32: receiving groove
33: wedge
34: hinge part
40: link part
41: upper link
42: lower link
43: intermediate link
50: pressure plate
51: wedge
60: buckling reinforcement part
61: upper support member
62: lower support member
63: buckling support bar
64: nut

Claims (3)

지반에 형성된 천공홀(3)에 삽입되는 마이크로파일(10); 및
그 상면에서 상기 마이크로파일(10)의 말단부(11)를 지지하고 그 하면에서 상기 천공홀(3)의 바닥과 면접촉하고 상기 천공홀(3)의 벽면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윗변이 아랫변보다 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플레이트(31)와, 상기 플레이트(3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천공홀(3) 바닥에 침투하는 쐐기(33)를 포함하는 선단지지부(30);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31)는 원형의 평면형상을 갖고, 그 상면의 직경은 상기 천공홀(3)의 직경의 90% 이하이고, 그 하면의 직경은 상기 마이크로파일(10)의 직경 이상이고, 상기 마이크로파일(10)의 축선에 대한 상기 플레이트(31)의 측면 경사각은 4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보강용 마이크로파일장치.
Micropile 10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hole 3 formed in the ground; And
The top surface of the micropile 10 is supported by the end portion 11 of the micropile 10, and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hole 3, and the upper side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perforated hole 3, and the upper side is greater than the lower side. Including; a plate 31 having a long trapezoidal cross section, and a tip support portion 30 including a wedge 33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plate 31 and penetrating into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hole 3,
The plate 31 has a circular planar shape, the diameter of the upper surface is 90% or less of the diameter of the perforated hole 3, the diameter of the lower surface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micropile 10, and the micro Micropile apparatus for reinforcing structure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inclination angle of the plate (31) with respect to the axis of the pile (10) is 45° or mor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 중 연약층(1)에 설치된 좌굴보강부(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굴보강부(60)는 상기 연약층(1)의 상부에서 상기 마이크로파일(10)과 나사결합되는 상부지지부재(61)와, 상기 연약층(1)의 하부에서 상기 마이크로파일(10)과 나사결합되는 하부지지부재(62)와, 상기 상부지지부재(61)와 상기 하부지지부재(62)를 연결하는 복수의 좌굴지지바(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보강용 마이크로파일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buckling reinforcement part 60 installed in the soft layer 1 of the ground,
The buckling reinforcing part 60 includes an upper support member 61 screwed with the micropile 10 on the upper side of the soft layer 1, and the micropile 10 and screwed on the lower side of the soft layer 1 And a plurality of buckling support bars (63) connecting the lower support member (62) to be coupled, and the upper support member (61) and the lower support member (62).
KR1020200080445A 2020-06-30 2020-06-30 Leading-edge extension type micropile device for reinforcing structures KR1022345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445A KR102234544B1 (en) 2020-06-30 2020-06-30 Leading-edge extension type micropile device for reinforcing structu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445A KR102234544B1 (en) 2020-06-30 2020-06-30 Leading-edge extension type micropile device for reinforcing structu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544B1 true KR102234544B1 (en) 2021-03-31

Family

ID=7523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445A KR102234544B1 (en) 2020-06-30 2020-06-30 Leading-edge extension type micropile device for reinforcing structur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54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179A (en) * 2014-08-27 2016-03-08 백승훈 Micropile with reinforced tip
KR101896629B1 (en) * 2017-03-10 2018-09-07 주식회사 정호 Micro pile assembly having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member and micro pile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179A (en) * 2014-08-27 2016-03-08 백승훈 Micropile with reinforced tip
KR101896629B1 (en) * 2017-03-10 2018-09-07 주식회사 정호 Micro pile assembly having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member and micro pile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380B1 (en) Spiral steel pipe pile
KR100915099B1 (en) Structure for supporting retaining wall of earth with arch material and method constructing the arch structure
KR101308575B1 (en) Integral segment of steel strip and steel strut
KR102159906B1 (en) Leading-edge extention tipe nail fixing device
KR100698878B1 (en) Y Type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Pipe Struts
KR101103530B1 (en) Apparatus for restoration of disparity sinking construction or introducing pre-stress of pipe pile
KR20130006420A (en) Method of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 to be newly built
KR101862623B1 (en) Soil retaining wall using movable pile
US6881012B2 (en) Foundation repair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2164654B1 (en) Leading-edge extension type micropile device for reinforcing structures
KR102234544B1 (en) Leading-edge extension type micropile device for reinforcing structures
US11293156B2 (en) Pile with ground anchoring members
KR102274384B1 (en) Connection apparatus of steel pipe
JP6905387B2 (en)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structure
KR100648409B1 (en) A method of construction for temporary retaining wall
KR101331219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micro pile using reinforcing end bearing capacity
AU2019444153B2 (en) Strut connector
JP2011174251A (en) Method of calculating drawing resistance of diameter-enlarged pile, diameter-enlarged pile, method of setting arrangement of diameter-enlarged pile, and method of determining quality of installation of diameter-enlarged pile
JP2004285698A (en) Deformed precast pile
KR102146577B1 (en) Fixed structure of high strength support material with easy to install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H059933A (en) Ready-made tapered pile with rib
KR101217488B1 (en) Extension structure of pile foundation
JP4519802B2 (en) Open caisson method
KR100727598B1 (en) Screw type anchor rod having extend rod
JP3782180B2 (en) Support structure using sheet piles for earth retaining b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