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099B1 - 광섬유가 구비된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섬유가 구비된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099B1
KR102234099B1 KR1020200068762A KR20200068762A KR102234099B1 KR 102234099 B1 KR102234099 B1 KR 102234099B1 KR 1020200068762 A KR1020200068762 A KR 1020200068762A KR 20200068762 A KR20200068762 A KR 20200068762A KR 102234099 B1 KR102234099 B1 KR 102234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stranded wire
steel wires
bending guid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순옥
Original Assignee
오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순옥 filed Critical 오순옥
Priority to KR1020200068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1Optical cables built up from sub-bundles
    • G02B6/4413Helical struc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01B11/16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by means of a grating deformed by the objec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al Transform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하는 강연선은 중심선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주변 강선이 배치되고, 상기 주변 강선이 동일 방향으로 함께 꼬여서 형성되는 강연선에 있어서, 상기 주변 강선 중 인접한 두 개의 주변 강선 사이에 제1광섬유부가 배치되고,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주변 강선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다른 두 개의 인접한 주변 강선 사이에는 제2광섬유부가 배치되되, 상기 제1광섬유부 및 상기 제2광섬유부는 상기 강연선의 일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하나로 연결된 단일 광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섬유가 구비된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감시 시스템{Steel wire with an optical fiber and structur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광섬유가 내장된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섬유가 단절 없이, 강연선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강연선에 일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강연선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구조물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회 기반시설물에 해당하는 교량, 빌딩, 댐 등의 구조물은 지진, 태풍, 홍수 등 예상하지 못한 환경변화로 인하여 구조적인 손상을 받을 수 있으며, 이로부터 잔존 수명이 현저히 저하되거나 예상치 못한 붕괴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구조물의 손상과 열화 정도, 또는 구조적인 문제 판단 시 필요한 기초 자료를 습득하기 위하여 강연선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변형을 측정하기 위한 계측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강연선은 가요성이 있으므로, 곡선 배치가 쉽고 시공성이 좋아, PC 공법의 긴장재 및 교량 케이블로 널리 사용되며, 기타 소일 네일링, 락 볼트 등의 건설자재로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연선은 구조물 내에 긴장력을 인가하여, 구조물이 외력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서, 그 긴장력 상태에 대한 감시 및 계측은 매우 중요한 인자라 할 수 있다.
종래 강연선의 긴장력 감시 및 계측을 위한 방법으로는 로드셀을 이용한 방법과 가속도계를 이용한 간접 추정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먼저, 로드셀을 이용한 방식은 가격이 매우 상대적으로 고가이고 편심에 의한 측정 오차가 크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사장교 등의 케이블 장력 측정을 위한 가속도계를 이용한 간접 추정 방식의 경우, 추정오차가 역시 존재하며, PSC 구조물 장력 측정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구조물의 변형 또는 인장응력 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 측정값의 신뢰성, 시공성, 내구성 등을 감안하여 광섬유를 이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소선이 꼬여 형성된 와이어 케이블(wire cable)에 축방향의 왜곡을 검출하는 왜곡 검출수단을 구성한다.
이러한 왜곡 검출수단은 일반적으로 광섬유 센서로 이루어진다. 광섬유 센서는 와이어 케이블(cable)의 신축에 따라 변형되는데, 이 광섬유 센서의 변형에 의해, 입사된 빛의 주파수변화, 또는 빛의 반사, 굴절 또는 간섭을 검지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광섬유 센서를 포함하는 강연선은 광선유가 각각의 강연선 마다 설치되어야 하므로, 이들 각각에 대해 계측을 수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또한, 강연선의 삽입되는 광섬유 각각의 단부를 별도의 절차로 단발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190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강연선 내부에 삽입되어 구성되는 광섬유를 일체로 구성하여 복수의 강연선에 대한 센싱 신호를 하나의 계측 장치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 광섬유가 내장된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계측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한 강연선은 중심선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주변 강선이 배치되고, 상기 주변 강선이 동일 방향으로 함께 꼬여서 형성되는 강연선에 있어서, 상기 주변 강선 중 인접한 두 개의 주변 강선 사이에 제1광섬유부가 배치되고,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주변 강선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다른 두 개의 인접한 주변 강선 사이에는 제2광섬유부가 배치되되, 상기 제1광섬유부 및 상기 제2광섬유부는 상기 강연선의 일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하나로 연결된 단일 광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연선의 단부에는 반구 형상을 포함하는 절곡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1광섬유부 및 상기 제2광섬유부는 상기 절곡가이드를 따라 절곡되어 하나의 단일 광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가이드의 외주면에는 상기 단일 광섬유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에 절곡가이드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1광섬유부 및 제2광섬유부가 상기 절곡가이드를 따라 상기 강연선의 단면 중심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에 구비된 절곡가이드의 외주면 중심에는, 결합체가 결합되고, 상기 제1광섬유부 및 제2광섬유부는 상기 강연선의 단면 중심에서 상기 결합체를 통해 모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을 이용한 구조물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구조물 감시 시스템은 구조물의 변형을 측정할 수 있는 복수의 위치에 상기 강연선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강연선에의 광섬유는 하나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는 신호발생부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분석부가 결합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 신호발생부와 분석부가 구비되고, 타단은 절단 처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한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감시 시스템은 강연선 내에 광섬유가 단절 없이 구비되어, 복수의 강연선을 일체로 연결된 하나의 광섬유를 통해 감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어, 감시 시스템의 구성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구조물의 안정성 모니터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강연선 내에 광섬유를 절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강연선의 단부를 별도의 작업을 통해 마감 작업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하는 강연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하는 강연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하는 강연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 일단부에 구비되는 절곡가이드의 결합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 타단부에 구비되는 절곡가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을 이용한 구조물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한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계측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한 강연선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상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를 포함한 강연선(10)은 중심부에 위치하는 중심 강선(100), 상기 중심 강선(10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주변 강선(200) 및 상기 주변 강선(200) 사이에 구비되는 광섬유(30)를 포함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섬유(30)는 상기 강연선(10)의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단면 상에서 중심점(O)에 대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광섬유(30) 중 상기 강연선(10)의 일측면에 존재하는 것을 제1광섬유부(31)라 하고, 상기 제1광섬유부(31)와 대칭되는 위치에 마주보게 위치하는 것을 제2광섬유부(32)라 한다.
이때, 상기 제1광섬유부(31)와 상기 제2광섬유부(32)는 단절없이 하나의 광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강연선(10)은 소정길이로 절단된 상태로 이용되는데, 이때, 상기 강연선(10)에 구비되는 광섬유 또한, 상기 강연선(10)과 함께 일단에서 절단되고 타단에서 분석장치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10)에 구비되는 광섬유(30)는 상기 강연선(10)의 일단부에서 절단되지 않고, 상기 강연선(10)의 일단부에서 절곡되어 하나의 긴 섬유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광섬유부(31)와 상기 제2광섬유부(32)는 절단 없이 하나로 연결된 광섬유(30)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1광섬유부(31)와 상기 제2광섬유부(32)가 만나는 상기 강연선(10)의 일단부에서는 상기 광섬유(30)가 꺾임없이 완만하게 절곡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광섬유(30)가 굴곡되어 구성될 수 있도록 상기 강연선(10)의 일단부에는 반구 형상의 절곡가이드(20)가 구비된다.
상기 절곡가이드(2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광섬유(30)는 상기 반구 형상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의 외주면을 따라 꺾임없이 완만하게 절곡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가이드(20)의 외주면에 가이드홈(21)이 형성되고, 상기 광섬유(30)의 절곡부는 상기 가이드홈(21)에 삽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연선(10), 절곡가이드(20)와 상기 광섬유(30)는 폴리머 등에 의해 외주면이 코팅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절곡가이드(20)와 광섬유(30)가 상기 강연선(10)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가이드(20)는 강연선(10)의 일단부에서 상기 강연선(10)에 결합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절곡가이드(20)는 접착 또는 용접 등을 통해 상기 강연선과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가이드(20')가 반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반원기둥 형태의 절곡가이드(20')는 도 1의 반구형 절곡가이드(20)와 동일하고, 곡면으로 형성된 외주면에 가이드홈(2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가이드(20')는 강연선(10)의 일단부에 접착 또는 용접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강연선(10)의 단부에서 상기 광섬유(30)는 상기 반원기둥 형상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의 절곡가이드(20')의 가이드홈(21')을 따라 꺾임없이 완만하게 절곡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절곡가이드(20, 20')는 반구 또는 반원기둥 형상을 포함하여 강연선(10)의 절곡을 유도할 수 있으면 충분한 것으로, 반드시 반구 및 반원기둥의 형상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30)의 상기 제1광섬유부(31')와 상기 제2광섬유부(32') 중 어느 하나가 강연선(10)의 중심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강연선(10)의 단부 반지름을 지름으로 하는 반구 형상의 절곡가이드(20h)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강연선(10)의 중심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2광섬유부(32')와 상기 강연선(1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광섬유부(31')가 상기 절곡가이드(20h)에서 절곡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곡가이드(20h)에는 앞서 살펴본 예와 같이, 가이드 홈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곡가이드(20h) 또한 반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광섬유(30)는 상기 강연선(10)과 일체로 거동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이 강연선(10)의 외주면에 광섬유(30)가 부착된 구성에서는 상기 광섬유(30)가 강연선(10)에서 박리되거나 상기 광섬유(30)와 상기 강연선(10)의 접착부 품질 등에 따라 상기 광섬유(30)의 거동이 상기 강연선(10)의 거동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광섬유(30)를 절단없이 일체로 상기 강연선(10)의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광섬유(30)가 상기 강연선(10)의 거동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절곡가이드(20, 20')와 강연선(10)의 결합에 대해 살펴본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연선(10)을 구성하는 중심 강선(100)을 주변 강선(200) 보다 길게 형성하고, 상기 중심 강선(100)의 돌출 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한 후, 상기 절곡가이드(20)에 형성된 중심홈(22)에 나사 결합하여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나사 결합은 억지 끼움 결합 또는 상기 중심 강선(100)의 단부에 탄성체를 감싸 상기 절곡가이드(20)의 중심홈(22)과 마찰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가이드(20')가 반원기둥 형상인 경우에도, 상기 절곡가이드(20')의 직사각형 측면에 중심홈(22')을 형성하고, 상기 중심홈(22')을 돌출 형성된 중심 강선(100)과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에는 강연선(10)의 타단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연선(10)의 광섬유(30)는 강연선(10)의 일단부에서 절곡가이드(20, 20')에 완만하여 굴곡되어 절단없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강연선(10)과 상기 광섬유(30)의 거동이 일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광섬유(30)가 상기 강연선(10)과 결합되기 시작하는 타단부 또한 상기 광섬유(30)가 상기 강연선(1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강연선(10)의 타단부에는 상기 강연선(10)의 일단부와 동일하게, 절곡가이드(20, 2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강연선(10)의 타단부에서 절곡가이드(20, 20')에 의해 절곡된 상기 제1광섬유부(31')와 상기 제2광섬유부(32')는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분리된 상태로 각각 다른 인접한 강연선과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강연선(10)의 타단부에 구비된 절곡가이드(20, 20')에는 앞서 살펴본 중심홈(22, 22')이 상기 절곡가이드(20, 20')를 관통하거나, 강연선(10)과 접하지 않는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연선(10)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광섬유부(31')와 상기 제2광섬유부(32')는 절곡가이드(20, 20')의 가이드 홈을 따라 강연선(10)의 단면 중심으로 유도되고, 상기 중심에는 중공형 결합체(24)가 구비되어 상기 제1광섬유부(31')와 상기 제2광섬유부(32')가 상기 결합체(24)를 관통하여 외부로 유도되며, 상기 결합체(24)는 상기 절곡가이드(20, 20')의 중심홈(22, 22')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체(24)의 측면에는 상기 제1광섬유부(31')와 상기 제2광섬유부(32')가 꺾이지 않도록 사이드홈(24-1, 24-2)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광섬유(30)는 절단없이 상기 강연선(1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광섬유(30)와 상기 강연선(10)은 거동을 같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연속된 광섬유를 포함한 강연선(10)을 이용한 계측시스템에 대해 살펴본다.
도 6(a)는 종래의 단절된 광섬유를 포함한 강연선을 이용하여 구축된 계측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연선(10)에 설치된 광섬유(30) 각각이 계측 장치와 연결되어야 한다.
상기 광섬유(30)는 각각의 강연선(10)과 단절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강연선(10)에 대한 안정성을 모니터링 하려면, 각 강연선(10)에 설치된 광섬유(30)에 신호를 보내고 되돌아온 신호를 분석하여야 한다.
이러한 구성은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신호발생부(400) 및 분석부(500)와 거리가 멀어질 수 있고, 연결부가 많아 많은 오류가 발생이 쉽고 유지보수에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도 6(b)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30)를 포함한 강연선(10)을 이용하여 구축된 계측시스템이다.
상기 광섬유(30)는 강연선(10)의 단부에서 절단되지 않고 구성되므로, 복수의 강연선(10)을 하나의 연속된 광섬유(30)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강연선(10)을 연속된 광섬유(30)로 구성하는 경우 광섬유(30)는 두 개의 단부만 존재하게 되므로, 도 6(b)와 같이 하나의 단부는 신호발생부(400)와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단부에서 발생 신호를 받아 이를 분석하도록 분석부(500)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6(c)와 같이 상기 분석부(500)를 상기 신호발생부(400)와 동일하게 광섬유(30)의 일단부에 위치시키고, 광섬유(30)의 타단부를 절단 처리하여, 광섬유(30)의 일단에서 송신된 신호가 광섬유(30)의 타단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강연선(10)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강연선(10)의 길이가 길거나 감시해야 할 상기 강연선(10)의 개수가 많은 경우, 도 6(d) 및 도 6(e)와 같이, 인접한 강연선(10) 사이에 광섬유를 연결하는 광섬유 연결부(1, 2, 3, ??, n)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각각의 강연선(10)은 신호에 대한 고유의 스펙트럼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상기 신호발생부(400)의 신호가 광섬유(30)를 지나오거나, 되돌아온 신호를 상기 분석부(500)에서 기준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강연선(10)의 이상 유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광섬유(30)가 강연선(10)의 단부에서 절단없이 연속적으로 연결 구성됨에 따라 가능한 것으로, 이를 통해 감시 시스템을 매우 간단하고 정밀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강연선
100: 중심 강선
20, 20', 20h: 절곡가이드
200: 강선
21, 21': 가이드홈
22: 중심홈
23: 관통홀
24: 결합체
30: 광섬유
31: 제1광섬유부
32: 제2광섬유부
400: 신호발생부
500: 분석부
O: 중심점

Claims (7)

  1. 중심선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주변 강선이 배치되고, 상기 주변 강선이 동일 방향으로 함께 꼬여서 형성되는 강연선에 있어서,
    상기 주변 강선 중 인접한 두 개의 주변 강선 사이에 제1광섬유부가 배치되고,
    상기 인접한 두 개의 주변 강선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다른 두 개의 인접한 주변 강선 사이에는 제2광섬유부가 배치되되,
    상기 제1광섬유부 및 상기 제2광섬유부는 상기 강연선의 일단부에서 절곡되어 하나로 연결되되,
    상기 일단부에는 상기 제1광섬유부 및 제2광섬유부의 절곡부를 가이드하는 절곡가이드가 더 구비되는 단일 광섬유로 구성되는 강연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가이드는 반구 또는 반원기둥 형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강연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가이드의 외주면에는 상기 단일 광섬유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더 구비된 강연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에 절곡가이드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제1광섬유부 및 제2광섬유부가 상기 절곡가이드를 따라 상기 강연선의 단면 중심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되는 강연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연선의 타단부에 구비된 절곡가이드의 외주면 중심에는,
    결합체가 결합되되,
    상기 제1광섬유부 및 제2광섬유부는 상기 강연선의 단면 중심에서 상기 결합체를 통해 모아지도록 구성된 강연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섬유부가 강연선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강연선.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강연선을 이용한 구조물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조물의 변형을 측정할 수 있는 복수의 위치에 상기 강연선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강연선에의 광섬유는 하나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는 신호발생부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분석부가 결합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 신호발생부와 분석부가 구비되고, 타단은 절단처리되어 구성되는 구조물 감시 시스템.
KR1020200068762A 2020-06-08 2020-06-08 광섬유가 구비된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감시 시스템 KR102234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762A KR102234099B1 (ko) 2020-06-08 2020-06-08 광섬유가 구비된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762A KR102234099B1 (ko) 2020-06-08 2020-06-08 광섬유가 구비된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099B1 true KR102234099B1 (ko) 2021-03-30

Family

ID=7526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762A KR102234099B1 (ko) 2020-06-08 2020-06-08 광섬유가 구비된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0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0219A (ja) * 1998-12-10 2000-06-30 Hitachi Cable Ltd 落石検知システム
KR20090041268A (ko) * 2007-10-23 2009-04-28 (주)지엠지 광섬유 센서가 장착된 강연선
KR101471909B1 (ko) 2013-07-22 2014-12-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섬유로 피복된 선형센서 매립형 섬유보강복합소재 심선을 구비한 강연선 및 그 제작방법
JP2017120225A (ja) * 2015-12-28 2017-07-06 鹿島建設株式会社 Pc鋼撚線の定着部構造、グラウンドアンカー、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JP2019070593A (ja) * 2017-10-10 2019-05-09 住友電工スチールワイヤー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ー付きpc鋼撚り線、ひずみ測定方法、ひずみ測定装置
KR102057520B1 (ko) * 2018-11-14 2019-12-1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헤테로 코어형 광파이버 센서를 이용한 콘크리트 응력측정용 노출형 계측 센서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0219A (ja) * 1998-12-10 2000-06-30 Hitachi Cable Ltd 落石検知システム
KR20090041268A (ko) * 2007-10-23 2009-04-28 (주)지엠지 광섬유 센서가 장착된 강연선
KR101471909B1 (ko) 2013-07-22 2014-12-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섬유로 피복된 선형센서 매립형 섬유보강복합소재 심선을 구비한 강연선 및 그 제작방법
JP2017120225A (ja) * 2015-12-28 2017-07-06 鹿島建設株式会社 Pc鋼撚線の定着部構造、グラウンドアンカー、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JP2019070593A (ja) * 2017-10-10 2019-05-09 住友電工スチールワイヤー株式会社 光ファイバー付きpc鋼撚り線、ひずみ測定方法、ひずみ測定装置
KR102057520B1 (ko) * 2018-11-14 2019-12-1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헤테로 코어형 광파이버 센서를 이용한 콘크리트 응력측정용 노출형 계측 센서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8431B2 (en) Fiber optic curvature sensor for towed hydrophone arrays
US20140056553A1 (en) Sensing cable
JPH0261698B2 (ko)
KR20100026145A (ko)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를 이용한 긴장력 또는 변형량 측정 방법
JP2006250647A (ja) ワイヤケーブル、並びに張力測定システム及び張力測定方法
JP6301963B2 (ja) 歪みセンサ及び歪みセンサの設置方法
JP6346851B2 (ja) 光ファイバの曲げ形状測定装置及びその曲げ形状測定方法
US20070065075A1 (en) Segmented fiber optic sensor and method
KR101408954B1 (ko) 구조물 강연선의 변형률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센싱 시스템
KR101110350B1 (ko) 센서 유니트를 가진 복합강연선과 이의 제조방법
KR102234099B1 (ko) 광섬유가 구비된 강연선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감시 시스템
JP2007114218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センサ
KR100965001B1 (ko) 센서 유니트를 가진 복합강연선 및 이의 제조방법
IT202000005347A1 (it) Conduttore per linee elettriche aeree nude con anima in materiale composito e sistema di monitoraggio in tempo reale per il controllo dell’integrità strutturale del conduttore durante la produzione, lo stendimento e l’installazione
KR20110122416A (ko) 직렬 연결을 통한 동시 다점 계측이 가능한 광섬유 브래그 격자 가속도 센서
KR101754400B1 (ko)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과 이의 제조방법.
JP2002048517A (ja) 歪みセンシング用ケーブル及び歪み計測方法
KR101754399B1 (ko) 광섬유 센서 내장형 복합 강연선
CN2716315Y (zh) 带传感光纤光缆的锚索索体
JP3224762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KR100301774B1 (ko) 다각형 도르래를 갖는 광변형센서
KR100301776B1 (ko) 리본형 광변형센서
KR100301775B1 (ko) 광변형센서
JP3939081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KR100812309B1 (ko) 성분 분포형 변형률 측정용 광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변형방향 및 그에 대한 곡률 측정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