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371A -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과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과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371A
KR20170027371A KR1020150123768A KR20150123768A KR20170027371A KR 20170027371 A KR20170027371 A KR 20170027371A KR 1020150123768 A KR1020150123768 A KR 1020150123768A KR 20150123768 A KR20150123768 A KR 20150123768A KR 20170027371 A KR20170027371 A KR 20170027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
optical fiber
unit
sensor
fib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4400B1 (ko
Inventor
김재민
이성철
최송이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3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400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4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 D07B1/145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comprising elements for indicating or detecting the rope or cable statu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6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aple fibr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05Composite ropes, i.e. 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and metal wir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2Ropes or cables with a hollow co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6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aple fibres
    • D07B5/08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aple fibres agglutinated by adhes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93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strand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95Auxiliary components, e.g. electric conductors or light guides
    • D07B2201/2096Light guid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301/00Controls
    • D07B2301/55Sensors
    • D07B2301/5531Sensors using electric means or elements
    • D07B2301/5577Sensors using electric means or elements using light guid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15Construction industries
    • D07B2501/2023Concrete enforc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Transform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과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된 7연선은 중앙부에 위치되는 센터강연선과, 상기 센터 강연선의 주위에 상호 꼬여 센터 강연선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재1단위강연선들과 적어도 하나의 제 2단위강연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 2단위강연선에 센터강연선의 주위를 따라 꼬이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부로 이루어진 센서장착부와, 상기 센서장착부에 인장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광섬유센서와, 광섬유센서가 설치되는 제2단위강연선의 양단부의 광섬유장착부에 광섬유센서의 단부와 제 2단위강연선의 단부를 고정하는 접합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과 이의 제조방법.{7-wire strand with fiber-optic sensor encapsulated helical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7연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센터강연선의 주위에 나선형으로 꼬인 제 2단위강연선에 광섬유센서가 설치된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에는 교량, 건축구조물, 토목구조물 등과 같이 기둥 사이의 보의 길이를 증가시키려는 건축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간 철골 구조 시스템은 기둥과 기둥 사이에 긴장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여 경간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한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는 기존의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비해 그 지간을 크게 하고 단면의 크기를 대폭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건설현장에 매우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기술로 자체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압축력이 작용하고 있어 하중이 작용하는 순간부터 인장을 발생하여 균열이 생기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비해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다.
PSC빔은 강선 또는 강연선 도입되는 압축응력이 외력에 대응하는 응력을 가지도록 하면 교량의 지간 간격이 넓어지면서도 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빔으로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는 콘크리트 단면에 압축응력을 도입하는 프리스트레싱의 시공단계에 따라 프리텐션방식(Pretension Method)과 포스트텐션방식(Post-tension Method)으로 나눌 수 있다. 포스트텐션방식(Post-tension Method)의 경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자 하는 구조체가 미리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콘크리트 구조체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방식이다.
반면, 프리텐션방식(Pretension Method)의 경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자 하는 구조체가 형성되기 전에 미리 강선 또는 강연선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인장력이 발생한 상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되면 강선 또는 강연선과 콘크리트가 일체로 제작되는 방식이며, 미리 긴장력이 도입된 강선 또는 강연선이 릴리즈 되면, 강선 내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이 콘크리트 구조체와 부착에 의해 압축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한편,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체 즉, 교량이나 빌딩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정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교량이나 빌딩 등의 구조물의 열화 정도나 문제 발생 여부 판단을 위해서는, 구조물에 배치된 강연선에 가해지는 긴장력을 측정하거나 구조물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등의 여러 구조적인 물리량의 계측과 수집이 필요하다. 특히, 구조물의 변형률이나 강연선에 가해지는 긴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센서로는, 측정값의 신뢰성이 높은 광섬유 센서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광섬유 센서의 일예로서 널리 알려진 것으로는 FBG센서(FiberBragg Grating Sensor)가 있다.
이러한 광섬유 센서와 같은 선형센서를 강연선에 이식하여 강연선에 작용하는 응력 등을 측정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이를 위하여 강연선에 선형센서를 배치하는 종래기술의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56056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강연선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강연선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강선과 그 제1강선의 주위를 둘러싸며 서로 꼬여서 제1강선에 부착되는 여섯 가닥의 제2강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강선은 '킹케이블'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제2강선처럼 꼬여 있는 형태가 아니라 강연선의 길이방향으로 곧게 형성된다. 즉 강연선은 곧게 뻗은 제1강선의 주위를 여섯 가닥의 제2강연선들이 서로 꼬여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강선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강선의 관통공에는 광섬유에 일정간격으로 감지부가 마련된 광섬유센서가 설치되고, 광섬유센서가 차지하는 공간 외의 나머지 공간에는 그라우팅재인 에폭시가 주입된다.
이러한 강연선은 구조물에 인장력이 가하여진 상태에서 설치되거나 설치된 상태에서 당겨지게 되는데,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 단부를 파지하는 클램프는 외주면에 테이퍼진 콜릿부재(11)와, 상기 콜릿부재(1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테이퍼부(12)를 가지는 콜릿본체(13)를 구비하여, 강연선(15)의 외주면에 설치된 콜릿부재(11)가 콜릿본체(13)의 테이퍼부를 따라 후퇴되면서 강연선(15)의 단부를 조임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강연선(15) 즉, 7연선이 콜릿부재(11)와 콜릿본체(13)에 의해 파지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릿부재(11)의 파지력에 의해 강연선(15)이 조여지게 되고, 이 조임력이 강연선의 중앙에 위치되는 제 1강연선(16)의 광섬유센서에 작용하게 되어 광섬유센서(18)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제1강연선(16)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6개의 제 2강연선(17)들에 의해 심선인 제1강연선(16)을 구속하는 가하게 되므로 제 1강연선(16)에 상대적으로 큰 구속응력이 작용하게 되어 과동한 변형을 유발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신호를 전달하는 광섬유의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제 1강연선(16)에 광섬유센서의 고정은 광섬유센서의 외주면과 제 1강연선(16)의 내주면 사이에 고정을 위해 에폭시를 주입하여야 하므로 제조가 상대적으로 어렵고, 강연선의 생산을 위한 길이의 제한을 받게 된다.
한편, 종래와 같이 강연선에 설치된 선형센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센서에 변형률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선형센서가 설치된 강연선과 구조체를 이루는 콘크리트의 부착력의 신뢰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광센서는 선형센서가 중앙에 위치되는 제 1강연선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와 직접적으로 접촉 및 부착되고 강연선 단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 2강연선 변형률을 알 수 없어 구조물의 설계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56056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섬유센서의 고정으로 인한 7연선의 생산길이의 제한 극복할 수 있으며, 7연선의 고정 또는 설치를 위해 강연선의 파지 시 광섬유센서에 가하여지는 과도한 구속력에 의해 광섬유 및 광섬유센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광섬유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된 7연선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섬유센서가 설치된 강연선이 콘크리트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므로 콘크리트의 변형력이 광섬유센서에 정확하게 전달되어 센싱에 따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과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은 중앙부에 위치되는 센터강연선과, 상기 센터 강연선의 주위에 상호 꼬여 센터 강연선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단위강연선들과 적어도 하나의 제 2단위강연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 2단위강연선에 센터강연선의 주위를 따라 꼬이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부로 이루어진 센서장착부와, 상기 센서장착부에 인장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광섬유센서와,
광섬유센서가 설치되는 제2단위강연선의 양단부의 광섬유장착부에 광섬유센서의 단부와 제 2단위강연선의 단부를 고정하는 접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2단위강연선에 형성된 센서장착부의 내주면과 상기 광섬유센서의 외주면 사이에 주입되는 접착제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는 에폭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의 제조방법은 중앙부에 위치되는 센터강연선의 제조단계와, 상기 센터 강연선의 주위에 상호 꼬여 센터 강연선과 결합되는 제1단위강연선들을 제조하는 단위강연선 제조단계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공부로 이루어지는 센서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장착부에 인입선이 설치되는 제 2단위강연선 제조단계와,
상기 센터강연선과 5개의 제 1단위강연선들과 상기 제 2단위강연선을 꼬아 7연선을 제조하는 7연선제조단계와,
상기 7연선을 이루는 제 2단위강연선의 인입선의 단부에 광섬유센서를 연결하고, 인입선을 당겨 광섬유센서가 상기 광섬유장착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광섬유센서 설치단계와,
제 2단위강연선의 센서착부에 설치된 광섬유센서의 양단부를 당겨 광섬유센서에 길이 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하여진 상태에서 제 2단위강연선의 양단부와 광섬유센서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하는 광섬유센서 고정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과 이의 제조방법은 7연선의 제조 시 제조의 어려움으로 인한 길이제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7연선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고정하는 부위에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구속력(압력)에 의해 광섬유센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작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7연선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하는 경우, 광섬유센서가 설치된 제 2단위강연선이 콘크리트 구조물과 밀착 고정되게 되므로 광섬유센서에 의한 콘크리트의 변형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7연선의 단부가 클램프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도시된 클램프에 의해 7연선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은 광섬유센서가 제 2단위강연선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사시도,
도 4는 제 2단위강연선을 발췌하여 도시한 것으로, 접합부를 나타내 보인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7연선이 클램프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클램프에 의해 7연선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7연선의 제조방법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7연선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일부절제 사시도.
본 발명은 복합강연선인 7연선은 교량, 빌딩, 댐, 등의 건축구조물과 토목구조물에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강연선 즉, 7연선(10)은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센터강연선(20)과, 상기 센터 강연선(20)의 주위에 상호 꼬여 센터강연선(20)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단위 강연선(30)들과 제 2단위강연선(40)들을 구비한다. 상기 센터강연선(20)와 제1,2단위강연선(30)(40)은 와이어들이 꼬여 이루어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센터강연선(20)의 주위에 상호 꼬이는 제 2단위강연선(40)은 길이 방향으로 센서장착부(41)가 형성되는데, 상기 센서장착부(41)는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튜브가 삽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장착부(41)에는 광섬유센서(100)가 삽입되어 설치되며, 센서장착부(41)에 설치되는 광섬유센서(100)의 양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하여진 상태에서 접합부(5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접합부(50)는 상기 제 2단위강연선(40) 단부의 센서장착부(41)을 이루는 중공부의 내주면과 광섬유센서(200)의 외주면 사이에 주입되는 접착재(5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착재는 에폭시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접합부(50)는 센서장착부(41)의 중공부 내주면과 광섬유센서(100)의 단부측 사이에 접착제(51)를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단위강연선(40)의 단부 측에 상기 센서장착부(41)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접착제주입홀(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섬유센서(100)의 실시예로서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광원에 의해 광을 광섬유에 격자 감지부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광섬유센서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격자감지부에 의해 일부 반사되고 나머지 파장 성분은 그대로 통과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반사되는 광 및 통과한 광을 광검출기로 측정하여 각종 물리량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격자 감지부에서 반사되는 광의 파장인 브래그 파장은 유효 굴절률과 격자 간격의 함수인데, 광섬유격자 감지부의 간격이 온도나 하중 등의 외부 물리량에 의해 변경될 경우, 격자 감지부에서 반사되는 광의 파장인 브래그 파장 역시 변하게 되므로, 브래그 파장의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광섬유 격자 감지부에 가해진 미지의 물리량 (온도, 변형률)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된 7연선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7연선(10)을 이루는 중앙부에 위치되는 센터강연선의 제조단계(61)와, 상기 센터 강연선(20)의 주위에 상호 꼬여 센터 강연선(20)과 결합되는 제1,2단위강연선(30)(40)들을 제조하는 제1,2단위강연선 제조단계(62)(63)를 수행한다.
상기 제 2단위강연선의 제조단계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부에 의해 이루어진 센서장착부(41)를 형성하는 센서장착부형성단계(64)와, 상기 센서장착부(41)에 광섬유센서(100)를 견인하기 위해 견인선(50)을 설치하는 견인선(50)을 설치하는 견인선설치단계(65)를 수행한다. 상기 경인선(50)은 제 2단위강연선(4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여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단위강연선제조단계(63)에 있어서, 광섬유센서(200)를 센서장착부(41)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제 2단위강연선(40)의 외주면에 상기 센서장착부(41)와 연통되는 접착제주입홀(52)이 형성된다. 상기 접착제주입홀(52)은 제 2단위강연선(40)의 양단부측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단위강연선(4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접착제주입홀(52)은 광서유센서의 센서형성부가 어긋난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경사방향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2단위강연선(30)(40)의 제조가 완료되면, 상기 센터강연선(20)과 5개의 제 1단위강연선(30)들과 하나의 상기 제 2단위강연선을 꼬아 7연선을 제조하는 7연선제조단계(66)를 수행한다. 이때에 상기 5개의 제1단위강연선(30)과 하나의 제 2단위강연선(40)은 센터강연선(20)을 중심으로 외주면에 배열되어 나선으로 꼬이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7연선을 이루는 제 2단위강연선(40)의 인입선의 단부에 광섬유센서(200)를 연결하고, 인입선을 당겨 상기 제2단위강연선(40)의 센서장착부(41)에 광섬유센서가 위치되도록 하는 광섬유센서 설치단계(67)를 수행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단위강연선(40)의 센서장착부에 설치된 광섬유센서의 양단부를 당겨 광섬유센서에 길이 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하여진 상태에서 제 2단위강연선(40)의 양단부와 광섬유센서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하는 광섬유센서 고정단계(68)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광섬유센서고정단계(68)는 제 2단위강연선(40)의 단부의 센서장착부에 상기 접착재주입홀(52)을 통하여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재를 주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된 7연선의 작용과 이를 통한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7연선(10)은 각종 교량, 건축구조물, 토목구조물 등에 사용 시 7연선의 단부를 파지하게 되는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7연선을 파지하는 경우, 클램프(70)의 콜릿부재(71)가 7연선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7연선에 인장력이 가하여지게 되면 콜랫부재(71)가 콜릿본체(72)을 따라 이동되면서 7연선의 외면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파지력이 가하여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 1단위강연선(30)과 제 2단위강연선(40) 및 센터강연선(20)에 압축력이 가하여지게 되는데, 종래와 같이 광섬유센서(100)가 센터강연선(20)의 주위에 설치되는 제 2단위강연선(4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클램프(70)의 의한 파지력에 의해 광섬유센서의 구속응력이 과다하게 작용하여 광섬유센서가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클램프에 의한 구속력이 제1,2단위강연선으로 분산되게 됨으로써 구속응력이 제 2단위강연선(40)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원 발명의 7연선은 제 2단위강연선(40)에 인장력이 가하여진 상태로 광섬유센서(10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조 시 광섬유센서(100)의 설치에 따른 7연선의 길이 제한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제 2단위강연선(40)이 센터강선선과 같이 7연선이 제조된 상태에서 광섬유센서(100)을 설치하게 되므로 제조 시 불량 발생율을 줄일 수 있다.
광섬유센서(100)은 제 2단위강연선(40)은 센터강연선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꼬인 상태에서 인장력이 가하여진 후 고정되므로 제 2단위강연선(40)을 따라 나선형으로 꼬안 센서장착부(41)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즉, 제 2단위강연선(40) 양단부로부터 광섬유센서(100)를 당기게 되면, 나선형의 센서장착부(41)의 단거리를 따라 광섬유센서(100)은 센서장착부(41)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7연선에 길이 방향으로 외력이 가하여지게 되면 이 외력이 광섬유센서에 바로 전달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광섬유센서의 검출감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7연선이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내부에 매립되는 경우, 광섬유센서(100)이 설치된 제 2단위강연선(40) 콘크리트와 직접 접촉 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물리적인 변화가 제 2단위 강연선(40)에 그대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물리적인 변화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광섬유센서(100)에 의해 검출되는 정보의 축적으로 인해 구조물의 설계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7연선은 보, 교량, 토목 및 건축구조물 및 각종 산업시설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Claims (4)

  1. 중앙부에 위치되는 센터강연선과, 상기 센터 강연선의 주위에 상호 꼬여 센터 강연선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재1단위강연선들과 적어도 하나의 제 2단위강연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 2단위강연선에 센터강연선의 주위를 따라 꼬이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공부로 이루어진 센서장착부와, 상기 센서장착부에 인장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광섬유센서와,
    광섬유센서가 설치되는 제2단위강연선의 양단부의 광섬유장착부에 광섬유센서의 단부와 제 2단위강연선의 단부를 고정하는 접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제2단위강연선에 형성된 센서장착부의 내주면과 상기 광섬유센서의 외주면 사이에 주입되는 접착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제 2단위강연선의 양단부측에는 센서장착부에 접착제 주입을 위한 접착제주입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
  4. 중앙부에 위치되는 센터강연선의 제조단계와, 상기 센터 강연선의 주위에 에 상호 꼬여 센터 강연선과 결합되는 제1단위강연선들을 제조하는 단위강연선 제조단계와,
    상기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공부로 이루어지는 센서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장착부에 인입선이 설치되는 제 2단위강연선 제조단계와,
    상기 센터강연선과 5개의 제 1단위강연선들과 상기 제 2단위강연선을 꼬아 7연선을 제조하는 7연선제조단계와,
    상기 7연선을 이루는 제 2단위강연선의 인입선의 단부에 광섬유센서를 연결하고, 인입선을 당겨 광섬유센서가 상기 광섬유장착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광섬유센서 설치단계와,
    제 2단위강연선의 센서착부에 설치된 광섬유센서의 양단부를 당겨 광섬유센서에 길이 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하여진 상태에서 제 2단위강연선의 양단부와 광섬유센서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하는 광섬유센서 고정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의 제조방법.
KR1020150123768A 2015-09-01 2015-09-01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과 이의 제조방법. KR101754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768A KR101754400B1 (ko) 2015-09-01 2015-09-01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과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768A KR101754400B1 (ko) 2015-09-01 2015-09-01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과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371A true KR20170027371A (ko) 2017-03-10
KR101754400B1 KR101754400B1 (ko) 2017-07-06

Family

ID=58411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768A KR101754400B1 (ko) 2015-09-01 2015-09-01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과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4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3897A (zh) * 2017-08-21 2019-03-05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钢丝绳
KR101990295B1 (ko) * 2018-03-14 2019-06-18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열수축성을 가지는 형상기억고분자 섬유 번들 조립체 및 그를 활용한 자기치유형 콘크리트 급속 보수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056B1 (ko) 2006-11-21 2007-09-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광섬유 복합 강연선. 그 광섬유 복합 강연선의 제조방법 및변형률 측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6440A (ja) * 2006-02-22 2007-09-06 Fujikura Ltd 光ファイバ侵入監視装置
JP2008298672A (ja) 2007-06-01 2008-12-11 Fujikura Ltd 歪みセンシング用光ケーブル
KR101408954B1 (ko) * 2012-10-22 2014-06-19 (주)카이센 구조물 강연선의 변형률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센싱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056B1 (ko) 2006-11-21 2007-09-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광섬유 복합 강연선. 그 광섬유 복합 강연선의 제조방법 및변형률 측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3897A (zh) * 2017-08-21 2019-03-05 北新集团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钢丝绳
KR101990295B1 (ko) * 2018-03-14 2019-06-18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열수축성을 가지는 형상기억고분자 섬유 번들 조립체 및 그를 활용한 자기치유형 콘크리트 급속 보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400B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00305B (zh) 耦合光纤光栅的大量程智能高强钢丝及其制作方法
KR101344722B1 (ko) 광섬유 변형률계를 이용한 교량 처짐 측정 시스템
KR20100026145A (ko) 광섬유 브래그 격자 센서를 이용한 긴장력 또는 변형량 측정 방법
CN104196258B (zh) 一种基于光纤光栅传感技术的后张预应力智能加固体系
JP6293035B2 (ja) ケーブル
CN103292721B (zh) 一种监测预应力钢绞线应变的光纤光栅大量程应变传感器
KR10120128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변형측정용 광섬유격자센서 패키지
JPH02228531A (ja) 小さな引張り力又は圧縮力のための光導波体一センサ
CN103411713B (zh) 大量程基于光纤光栅传感技术的钢筋锈蚀监测传感器
KR101110350B1 (ko) 센서 유니트를 가진 복합강연선과 이의 제조방법
KR101754400B1 (ko) 광섬유센서 내장 중공나선이 구비되어 콘크리트 부착부 변형률 계측이 용이한 7연선과 이의 제조방법.
KR101408954B1 (ko) 구조물 강연선의 변형률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센싱 시스템
CN204252026U (zh) 一种光纤光栅后张预应力智能加固结构
CN102032965B (zh) 折线配筋T梁的光纤Bragg光栅应力测量方法
CN209353151U (zh) 一种可换监测元件的智能拉索
KR100965001B1 (ko) 센서 유니트를 가진 복합강연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22416A (ko) 직렬 연결을 통한 동시 다점 계측이 가능한 광섬유 브래그 격자 가속도 센서
CN110749538B (zh) 一种多芯光纤光栅金属锈蚀传感监测方法及装置
KR101754399B1 (ko) 광섬유 센서 내장형 복합 강연선
KR20180002946A (ko) 복합강연선용 광섬유센서유닛과 광섬유센서유닛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강연선
JP2019203332A (ja) プレグラウトpc鋼材、そのプレグラウトpc鋼材を用いたモニタリング装置およびモニタリング方法
CN205677155U (zh) 预应力混凝土结构的智能锚头
KR101713190B1 (ko) 광섬유 센서를 가진 복합강연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21053A (ko) 복합강연선용 광섬유센서유닛과 광섬유센서유닛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강연선
CN211904174U (zh) 一种内置传感元件的结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