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047B1 -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polarizing plate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polarizing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047B1
KR102234047B1 KR1020167034018A KR20167034018A KR102234047B1 KR 102234047 B1 KR102234047 B1 KR 102234047B1 KR 1020167034018 A KR1020167034018 A KR 1020167034018A KR 20167034018 A KR20167034018 A KR 20167034018A KR 102234047 B1 KR102234047 B1 KR 102234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upport
stretching
retardation
retarda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0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16354A (en
Inventor
미츠루 스즈키
다쿠야 모리
다이스케 하야시
아츠시 무라오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6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3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0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2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 B05D7/0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to surfaces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은, 지지체 필름 (1) 상에 수지 용액이 도포되는 공정, 및 수지 용액이 가열에 의해 건조되어, 지지체 필름 (1) 상에 도막이 밀착 적층된 적층체 (2) 가 형성되는 공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적층체 (2) 가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되어, 도막에 광학 이방성이 부여되는 공정을 추가로 갖고, 연신 후의 적층체로부터 지지체가 박리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지지체 필름은, 도포 공정 전에 있어서, 140 ℃ 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이 200 ㎫ ∼ 1200 ㎫ 이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tardatio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in which a resin solution is applied on a support film 1, and a resin solution is dried by heating, and a coating film is closely laminated on the support film 1 Has a process in which it is formed. Preferably, the laminated body 2 is stretched in at least one direction to further have a step of imparting optical anisotropy to the coating film, and the support is peeled from the laminated body after stretching. The support film used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nsile elastic modulus at 140°C of 200 MPa to 1200 MPa before the application step.

Description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적층 편광판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POLARIZING PLATE}A manufacturing method of a retardation film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TECHNICAL FIELD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이 적층된 적층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tardation film.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olarizer and a retardation film are laminated.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디스플레이에는, 콘트라스트 향상이나 시야각 확대 등의 광학 보상을 실시할 목적에서, 위상차 필름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위상차 필름은, 면내 방향의 굴절률 (nx, ny)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 (nz) 의 대소 관계에 의해, 포지티브 A 플레이트 (nx > ny = nz), 네거티브 A 플레이트 (nz = nx > ny), 포지티브 C 플레이트 (nx = ny < nz), 네거티브 C 플레이트 (nx = ny > nz) 등의 1 축성 필름이나, 포지티브 B 플레이트 (nz > nx > ny), 네거티브 B 플레이트 (nx > ny > nz), Z 플레이트 (nx > nz > ny) 등의 2 축성 필름으로 분류된다.In a display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retardation film is used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optical compensation such as enhancement of contrast or enlargement of a viewing angl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The retardation film has a positive A plate (nx> ny = nz), a negative A plate (nz = nx> ny), and a positive A plate according to a large and small relationship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nx, ny) in the in-plane direction and the refractive index (nz) in the thickness direction. Monolayer films such as C plate (nx = ny <nz) and negative C plate (nx = ny> nz), positive B plate (nz> nx> ny), negative B plate (nx> ny> nz), Z They are classified into bilayer films such as plates (nx> nz> ny).

포지티브 A 플레이트, 네거티브 C 플레이트, 네거티브 B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정 (正) 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가 사용된다. 한편, 네거티브 A 플레이트, 포지티브 C 플레이트, 포지티브 B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부 (負) 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가 사용된다. 또, 「정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다」란, 폴리머를 연신 등에 의해 배향시킨 경우에, 그 배향 방향의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것을 가리킨다. 「부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다」란, 폴리머를 연신 등에 의해 배향시킨 경우에, 그 배향 방향의 굴절률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가리킨다.As the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positive A plate, negative C plate, and negative B plate, a polymer having positive intrinsic birefringence is generally used. On the other hand, as the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negative A plate, the positive C plate, and the positive B plate, a polymer having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is generally used. In addition, "having a positive intrinsic birefringence" refers to a relatively large refractive index in the orientation direction when the polymer is oriented by stretching or the like. "It has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refers to a relatively small refractive index in the orientation direction when the polymer is oriented by stretching or the like.

광학 보상에 사용되는 위상차 필름에는, 막두께나 광학 특성의 균일성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위상차 필름의 제막 (製膜) 에는 용액 제막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용액 제막법에서는, 용매 중에 폴리머를 용해시킨 수지 용액 (도프) 을 지지체 상에 도포한 후, 가열 건조 등에 의해 용매가 제거되어, 지지체 상에 도막이 밀착 적층된 적층체가 형성된다.The retardation film used for optical compensation is required to have uniformity in film thickness and optical properties. Therefore, a solution film-forming method is widely used for film-forming of a retardation film. In the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a resin solution (dope) in which a polymer is dissolved in a solvent is applied on a support, and then the solvent is removed by heat drying or the like to form a laminate in which the coating film is closely laminated on the support.

용액 제막법에 의한 제막에서는, 지지체 상에서 수지 용액이 건조될 때의 체적 수축에 의해 응력이 생겨, 폴리머의 분자 사슬이 면내 방향으로 배향하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수지 재료로서 복굴절 발현성이 높은 폴리머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건조시의 수축 작용에 의해, 지지체 상에 형성된 도막이 큰 두께 방향 복굴절을 갖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당해 도막을 그대로 포지티브 C 플레이트나 네거티브 C 플레이트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에서는, 소정의 치환기를 갖는 폴리알릴레이트가 높은 복굴절 발현성을 갖고, 당해 폴리머를 기재 상에 도포 후의 도막을, 네거티브 C 플레이트로서 사용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In film formation by the solution film-forming method, stress is generated due to volume contraction when the resin solution is dried on the support, and molecular chains of the polymer tend to be oriented in the in-plane direction. Therefore, when a polymer having high birefringence expression is used as the resin material, the coating film formed on the support may have large birefringe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due to the shrinking action during drying. In this case, the coating film may be used as it is as a positive C plate or a negative C plat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discloses that a polyallylate having a predetermined substituent has high birefringence expression, and that a coating film after applying the polymer onto a substrate can be used as a negative C plate.

용액 제막법에 의해 제막된 도막 (필름) 을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 또는 수축함으로써, 다양한 광학적인 이방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용액 제막법에 의해 형성된 도막을 연신하여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로부터 지지체를 박리하여, 도막을 단체 (單體) 로 연신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특히, 엔드리스 벨트나 제막 드럼 등의 무단 (無端) 지지체 상에 수지 용액이 도포되는 경우에는, 지지체로부터 도막을 박리 후에 연신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Various optical anisotropy may be imparted by stretching or contracting the coating film (film) formed by the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in at least one direction.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retardation film by stretching the coating film formed by the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generally, a method of peeling the support body from the laminated body of the support body and the coating film and stretching the coating film as a single body is employed. In particular, when a resin solution is applied onto an endless support such as an endless belt or a film forming drum, it is necessary to perform stretching after peeling the coating film from the support.

한편, 용액 제막의 지지체로서 수지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단 (有端) 의 지지체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를 연신 또는 수축시켜 광학 이방성을 부여하는 방법도 실시되고 있다. 특히, 도막의 막두께가 작은 경우 (예를 들어 30 ㎛ 이하) 나, 전연성 (展延性) 이 낮은 (약한) 수지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도막의 자기 지지성이 낮아 핸들링이 곤란하기 때문에, 제막에 사용한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를 연신 또는 수축시키는 방법이 채용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oil-end support made of a resin film or the like is used as a support for solution film formation, a method of providing optical anisotropy by stretching or contracting a laminate of a support and a coating film is also implemented. In particular,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s small (for example, 30 µm or less) or when a (weak) resin material having low electrical conductivity is used, the self-support of the coating film is low and handling is difficult. A method of stretching or contracting a laminate of a support and a coating film used for film formation is employed.

제막에 사용한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를 연신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광학 이방성을 부여하는 경우,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층체로부터 지지체를 박리하지 않고,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를 그대로 적층 위상차판으로서 실용에 제공하는 방법과, 연신 후의 적층체로부터 지지체를 박리하여, 연신 후의 도막만을 위상차 필름으로서 실용에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 에는, 열수축 필름을 지지체로 하여 용액 제막에 의해 도막을 형성하고, 이 적층체를 가열 수축시킨 후, 지지체를 박리함으로써, nx > nz > ny 의 광학 이방성을 갖는 위상차 필름 (Z 플레이트) 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When optical anisotropy is imparted by stretching or contracting the laminate of the support and the coating film used for film formation,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without peeling the support from the laminate, the laminate of the support and the coating film is laminated as it is, phase difference. There are a method of providing practical use as a plate, and a method of removing the support from the laminated body after stretching, and providing only the stretched coating film as a retardation film for practical use. 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4, a coating film was formed by solution film formation using a heat-shrinkable film as a support, and after heating and shrinking this laminated body, the support was peeled off, whereby a retardation film having optical anisotropy of nx> nz> ny (Z Plate) is disclosed.

용액 제막에 사용하는 지지체는, 용매에 대한 내용제성이나, 가열 건조시의 내열성이 요구된다. 또한, 지지체와 도막을 박리하지 않고, 연신 후의 적층체를 그대로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지지체는 광학적으로 균일한 것이 요구된다.The support used for solution film formation is required to have solvent resistance to a solvent and heat resistance during heating and drying. In addition, when using the laminated body after stretching as it is as a retardation film without peeling off a support body and a coating film, it is required that a support body is optically uniform.

한편, 연신 후의 적층체로부터 지지체를 박리하여, 연신 후의 도막만을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지지체는 최종 제품인 위상차 필름에는 포함되지 않는 공정 부재이다. 이 경우, 지지체는 반드시 광학적으로 균일할 필요는 없고, 제막이나 연신 등의 가공에 견딜 수 있는 내용제성이나 내열성을 갖는 범위에서, 가능한 저렴한 것이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port is peeled from the laminated body after stretching and only the coated film after stretching is used as a retardation film, the support is a step member not included in the retardation film as a final product. In this case, the support is not necessarily optically uniform, and it is required to be inexpensive as much as possible within a range having solvent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that can withstand processing such as film forming or stretching.

그 때문에, 용액 제막에 의해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체로는,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N), 폴리프로필렌 (PP) 등이 사용된다. 특히, PET 필름은 범용성이 높고, 또한 내열성이나 내용제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용액 제막의 지지체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4 에서는, 비정질 폴리에스테르 (A-PET) 필름을 용액 제막의 지지체로서 사용한 예가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propylene (PP), and the like are generally used as a support for forming a retardation film by solution film formation. In particular, PET films are widely used as a support for solution film formation because of their high versatility and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solvent resistance. 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4, an example in which an amorphous polyester (A-PET) film is used as a support for solution film formation is disclosed.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39747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9-139747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80440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9-80440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46068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4-46068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27430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1-227430

최근, 디스플레이의 고화질화가 진행됨과 함께, 위상차 필름에 대한 요구 성능도 높아지고 있다. 동시에, 디스플레이의 경량화나 박형화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어, 종래보다 막두께가 작은 위상차 필름이 사용되도록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막두께가 작은 필름은 일반적으로 자기 지지성이 부족하여, 필름의 핸들링이 곤란해지기 쉽다. 또한, 부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를 사용한 네거티브 A 플레이트, 포지티브 C 플레이트, 포지티브 B 플레이트 등도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부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는 그 분자 구조에서 기인하여 기계 강도가 작아, 자기 지지성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In recent years, along with the progress of high-definition display, the required performance for a retardation film is also increasing. At the same time, the demand for lighter weight and thinner display is also increasing, and a retardation film having a smaller film thickness than the conventional one is being used. However, a film having a small film thickness generally lacks self-support, and thus handling of the film is liable to be difficult. In addition, a negative A plate, a positive C plate, and a positive B plate using a polymer having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are also being put into practical use. However, a polymer having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has a low mechanical strength due to its molecular structure and often lacks self-support.

자기 지지성이 낮은 필름을 연신에 제공하면, 필름에 주름이 생기거나, 연신 도중에 파단을 일으키는 등의 핸들링성에 관계된 문제가 생기기 쉽다. 그 때문에, 막두께가 작은 필름이나 기계 강도가 작은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름의 제조에는, 상기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지 필름 지지체 상에 도프를 도포하고, 지지체 상에 도막을 형성하여, 이 도막과 지지체의 적층체를 일체로 연신한 후, 지지체를 박리하는 방법이 적합하다.If a film having low self-support is provided for stretching, problems related to handling properties such as wrinkles or breakage during stretching are liable to occur. Therefore, in the production of a film made of a film having a small film thickness or a resin material having a low mechanical strength,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a dope is applied on a resin film support and a coating film is formed on the support. , After stretching the laminate of the coating film and the support integrally, a method of peeling the support is suitable.

일반적으로, 수지 필름 지지체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의 범용 필름이 사용된다. 그러나, 범용 PET 필름 등의 지지체 상에 막두께가 작은 도막을 형성한 경우에는, 도막과 지지체의 적층체를 연신할 때에, 연신 가공성이 부족하여 연신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거나, 웨이브 등의 외관 불량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이 판명되었다.In general, a general purpose film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is used as the resin film support. However, when a coating film having a small thickness is formed on a support such as a general-purpose PET film, when stretching a laminate of the coating film and the support, stretching may not be performed due to insufficient stretching workability, or a wave or the like. It was found that a problem such as causing a defect in appearance occurred.

한편, 지지체로서 A-PET 등의 비정질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을 사용한 경우,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위상차 필름의 복굴절 발현성이 작아지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그 때문에, 소기의 리타데이션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막두께를 크게 하지 않을 수 없어, 박형화의 요구 특성에 역행한다는 과제가 존재하는 것이 판명되었다.On the other hand, when an amorphous polyester film such as A-PET was used as the support, the tendency of birefringence expression of the retardation film formed on the support to be small was observed.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a retardation film having a desired retarda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ilm thickness must be increased, which is contrary to the required characteristics of thinning.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복굴절이 크고, 박형화된 경우라도 높은 리타데이션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고수율로 생산하기 위한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for producing a retardation film having a high retardation even in the case of having a large birefringence and being thinner with a high yield.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소정의 기계 특성을 갖는 수지 필름 지지체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가 해결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은, 지지체 필름 상에 수지 용액이 도포되는 공정 (도포 공정), 및 수지 용액이 가열에 의해 건조되어, 지지체 필름 상에 도막이 밀착 적층된 적층체가 형성되는 공정 (건조 공정) 을 이 순서대로 갖는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지지체 필름은, 도포 공정 전에 있어서, 140 ℃ 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이 200 ㎫ ∼ 1000 ㎫ 이다.As a result of investigation by the present inventors, it was found that the above problem was solved by using a resin film support having predetermined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reach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etardatio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in which a resin solution is applied on a support film (coating process), and a process in which the resin solution is dried by heating to form a laminate in which the coating film is closely laminated on the support film (drying Process) in this order. The support film used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nsile elastic modulus at 140°C of 200 MPa to 1000 MPa before the application step.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특히 막두께가 작은 위상차 필름의 제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지체가 박리된 후의 도막, 즉 위상차 필름의 막두께는 30 ㎛ 이하이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manufacturing a retardation film having a small film thicknes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m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after the support is peeled, that is, the retardation film is 30 µm or less.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건조 공정에 있어서, 100 ℃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가 실시된다. 100 ℃ 이상의 고온에서 건조가 실시됨으로써, 단시간에 건조가 가능해져, 위상차 필름의 생산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장 탄성률이 상기 범위 내인 지지체가 사용되기 때문에, 고온에서 건조가 실시된 경우라도, 건조 후의 도막은 큰 두께 방향 복굴절을 갖는다. 그 때문에, 작은 막두께라도 큰 리타데이션을 갖는 위상차 필름이 얻어진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ying step, drying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00°C or higher. By drying at a high temperature of 100° C. or higher, drying is possible in a short time,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the retardation film.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upport having a tensile modulus within the above range is used, even when drying is performed at a high temperature, the coated film after drying has a large birefringe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fore, a retardation film having a large retardation even with a small film thickness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일 형태에서는, 건조 공정 후에, 적층체가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되어, 도막에 광학 이방성이 부여되는 공정 (연신 공정) 이 실시된다. 지지체 필름과 도막의 적층체를 연신 후에는, 적층체로부터 지지체가 박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drying step, the layered product is stretched in at least one direction to impart optical anisotropy to the coating film (stretching step). After stretching the laminate of the support film and the coating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is peeled from the laminate.

일 실시형태에서는, 연신 공정에 있어서, 자유단 1 축 연신이 실시된다. 또한 일 실시형태에서는, 연신 후의 지지체 상의 도막, 즉 위상차 필름이, nx > ny > nz, 또는 nz > nx > ny 의 광학 이방성을 갖도록 연신이 실시된다. 또, nx 및 ny 는, 각각 도막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 및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z 는 도막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In one embodiment, in the stretching process, the free end uniaxial stretching is performed.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stretching is performed so that the coating film on the support body after stretching, that is, the retardation film, has optical anisotropy of nx> ny> nz, or nz> nx> ny. In addition, nx and ny are refractive indices in the slow axis direction and fast axis direction in the plane of the coating film, respectively, and nz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ating film.

그리고 본 발명은,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이 적층된 적층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위상차 필름 상에 편광자가 적층된다. 또, 상기 연신 공정 후라면, 상기 박리 공정의 전후의 어느 지점에서 위상차 필름과 편광자의 적층을 실시해도 상관없다.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olarizer and a retardation film are laminat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laminated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arizer is laminated on the retardation film manufactured by the above method. Moreover, if it is after the said extending|stretching process, you may laminate|stack the retardation film and a polarizer at any point before and after the said peeling process.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 환경하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이 소정 범위의 지지체 필름 상에 용액 제막법에 의해 도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막 후의 도막은 큰 두께 방향 복굴절을 갖는다. 그 때문에, 막두께가 작은 경우라도, 큰 리타데이션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고수율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가열 환경하에서의 지지체의 탄성률이 소정 범위 내이기 때문에, 연신시의 가공성이 우수하고, 균일성이 높으며, 또한 외관 불량이 억제된 위상차 필름이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oating film is formed by a solution film-forming method on a support film having a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in a predetermined range under a heating environment, the coating film after film-forming has a large birefringe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fore, even when the film thickness is small, a retardation film having a large retardation can be produced with a high yield. 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modulus of the support in a heating environment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 retardation film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t the time of stretching, high uniformity, and suppressed appearance defects can be obtained.

도 1 은 도포 공정 및 건조 공정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연신 공정 및 박리 공정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ating process and a drying process.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retching process and a peeling process.

본 발명에 있어서, 위상차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이 우수한 폴리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폴리머의 구체예로는, 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말레이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폴리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retardation film, a polymer excellent in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and thermal stability is preferably used. Specific examples of such polymers include cellulose resins such as acetyl cellulose, polyester resins, polycarbonate resins, polyamide resins, polyimide resins, maleimide resins, polyolefin resins, and (meth)acrylic resins. , Cyclic polyolefin resin (norbornene resin), polyallylate resin, polystyrene resin, polyvinyl alcohol resin, polysulfone resin, and mixtures or copolymers thereof.

상기 폴리머는, 정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것이어도 되고, 부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위상차 필름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nx 보다 두께 방향의 굴절률 nz 쪽이 작은 위상차 필름, 즉, 포지티브 A 플레이트 (nx > ny = nz), 네거티브 C 플레이트 (nx = ny > nz), 및 네거티브 B 플레이트 (nx > ny > nz) 의 제조에는, 정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한편, 위상차 필름의 면내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 ny 보다 두께 방향의 굴절률 nz 쪽이 큰 위상차 필름, 즉, 네거티브 A 플레이트 (nz = nx > ny), 포지티브 C 플레이트 (nx = ny < nz), 및 포지티브 B 플레이트 (nz > nx > ny) 의 제조에는, 부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polymer may have positive intrinsic birefringence or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The retardation film having a smaller refractive index nz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an the refractive index nx in the slow axis direction in the plane of the retardation film, that is, a positive A plate (nx> ny = nz), a negative C plate (nx = ny> nz), and a negative B In the manufacture of the plate (nx>ny>nz), a polymer having positive intrinsic birefringence is preferably used. On the other hand, the retardation film having a larger refractive index nz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an the refractive index ny in the fast axis direction in the plane of the retardation film, that is, a negative A plate (nz = nx> ny), a positive C plate (nx = ny <nz), and In the production of the positive B plate (nz>nx>ny), a polymer having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is preferably used.

여기서, nx 및 ny 는, 각각 도막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 및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z 는 도막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면내 복굴절 Δnin, 면내 리타데이션 Re, 두께 방향 복굴절 Δnout,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 Rth, 및 Nz 계수는, 각각 이하의 관계를 갖는다.Here, nx and ny are refractive indices in the slow axis direction and fast axis direction in the plane of the coating film, respectively, and nz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ating film. In this specification, the in-plane birefringence Δn in , the in-plane retardation Re, the thickness direction birefringence Δn out ,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and the Nz coefficient each have the following relationship.

Re = Δnin × d = (nx - ny) × dRe = Δn in × d = (nx-ny) × d

Rth = Δnout × d = (np - nz) × dRth = Δn out × d = (np-nz) × d

Nz = (nx - nz)/(nx - ny)Nz = (nx-nz)/(nx-ny)

단, nx 및 ny 중, nz 와의 차가 큰 쪽을 np 로 한다.However, among nx and ny, the one with a larger difference from nz is set to np.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지티브 A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ny = nz」라는 기재, 또는 네거티브 A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nz = nx」의 기재는, 면내의 굴절률 (nx 또는 ny) 과 두께 방향의 굴절률 (nz) 이 반드시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다. 상기 Nz 계수가 0.97 ∼ 1.03 의 범위 내이면, ny = nz 의 포지티브 A 플레이트로 간주할 수 있고, Nz 계수가 -0.03 ∼ 0.03 의 범위 내이면, nz = nx 의 네거티브 A 플레이트로 간주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네거티브 C 플레이트 및 포지티브 C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nx = ny」라는 기재는,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 (nx) 과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 (ny) 이 반드시 완전히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Nz 계수가 20 이상 또는 -20 이하이면, nx = ny 의 C 플레이트로 간주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굴절률이나 리타데이션의 값은 파장 590 ㎚ 에서의 값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scription of "ny = nz" in the positive A plate or the description of "nz = nx" in the negative A plate is an in-plane refractive index (nx or ny) and a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nz )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perfect match. If the Nz coefficient is in the range of 0.97 to 1.03, it can be regarded as a positive A plate of ny = nz, and if the Nz coefficient is in the range of -0.03 to 0.03, it can be regarded as a negative A plate of nz = nx. Similarly, in the description of ``nx = ny'' in the negative C plate and the positive C plate, the refractive index (nx) in the slow axis direction in the plane and the refractive index (ny) in the fast axis direction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mpletely identical, and Nz If the coefficient is 20 or more or -20 or less, it can be regarded as a C plate of nx = ny.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value of a refractive index and retardation is a value at a wavelength of 590 nm.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먼저 지지체 필름 상에, 위상차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의 용액 (도프) 이 도포된다 (도포 공정). 지지체 상에 도포된 도프는 가열에 의해 건조되어, 지지체 필름 상에 수지 재료의 도막이 밀착 적층된 적층체가 형성된다 (건조 공정). 건조시에 도막 중의 폴리머의 분자 배향이 생기기 때문에, 건조 후의 도막은 그대로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lution (dope) of a resin material constituting a retardation film is first applied onto a support film (application step). The dope applied on the support is dried by heating to form a laminate in which a coating film of a resin material is closely laminated on the support film (drying step). Since molecular orientation of the polymer in the coating film occurs during drying, the dried coating film can be used as a retardation film as it is.

바람직하게는, 지지체 상에 도막이 형성된 적층체가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됨으로써, 도막에 광학 이방성이 부여된다 (연신 공정). 연신 후의 적층체는 그대로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신 후의 적층체로부터 지지체가 박리되고 (박리 공정), 박리 후의 도막을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Preferably, optical anisotropy is imparted to the coating film by stretching the laminate in which the coating film is formed on the support body in at least one direction (stretching step). The laminated body after stretching can be used as it is as a retardation film. Moreover, the support body is peeled from the laminated body after extending|stretching (peeling process), and the coating film after peeling can also be used as a retardation film.

위상차 필름의 생산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각 공정은 롤·투·롤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투·롤에서는, 장척상 (長尺狀) 의 지지체 필름이 사용된다. 이 지지체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반송시키면서, 상기한 도포, 건조 및 연신이 실시된다. 또한, 지지체로부터의 도막의 박리도, 롤·투·롤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롤·투·롤법에 의한 실시형태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각 공정을 따라서 설명한다.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the retardation film, it is preferable that each step is performed by roll-to-roll. In roll-to-roll, a long support film is used. The above-described coating, drying and stretching are performed while conveying this suppo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eeling of the coating film from the support is also performed by roll-to-roll. 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along each process, focusing on the embodiment by the roll-to-roll method.

[지지체] [Support]

롤·투·롤법에서는, 지지체 필름을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반송시키면서 제막이 실시된다. 그 때문에, 지지체 필름으로서 장척상 필름의 권회체 (롤) 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용액 제막법에 의해 지지체 상에 도막이 형성된 후,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가 연신 공정에 제공된다. 그 때문에, 지지체 필름은 가요성을 갖고, 열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또한 연신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지체 필름으로는, 수지 필름이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지지체 필름을 간단히 「지지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In the roll-to-roll method, film formation is performed while conveying the support film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as a support film, a winding body (roll) of a long film is used. Further,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ating film is formed on the support by the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a laminate of the support and the coating film is provided in the stretching step.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film has flexibility, is excellent in thermal st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and can be stretched. From this viewpoint, a resin film is used as the support film. Hereinafter, the support film may be simply described as a "support".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지체는, 140 ℃ 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이 100 ㎫ ∼ 10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140 ℃ 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은 200 ㎫ ∼ 900 ㎫ 가 보다 바람직하고, 300 ㎫ ∼ 800 ㎫ 가 더욱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body used for this invention has a tensile elastic modulus in 140 degreeC of 100 MPa-1000 MPa. The tensile modulus of the support at 140°C is more preferably 200 MPa to 900 MPa, and still more preferably 300 MPa to 800 MPa.

지지체의 140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100 ㎫ 이상이면, 그 위에 형성되는 수지 도막의 두께 방향 복굴절이 커지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100 ℃ 이상의 고온에서 건조가 실시되는 경우에 그 경향이 현저하다. 한편, 지지체의 140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1000 ㎫ 이하이면, 연신시의 가공성이 우수하여, 연신 방향의 웨이브의 발생 등의 외관 불량이 억제된다.When the elastic modulus at 140°C of the support is 100 MPa or more, the birefringe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esin coating film formed thereon tends to increase, and the tendency is particularly remarkable when drying is performed at a high temperature of 100°C or mo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astic modulus at 140°C of the support is 1000 MPa or less, the workability at the time of stretching is excellent, and appearance defects such as generation of waves in the stretching direction are suppressed.

지지체가 연신 필름인 경우, 길이 방향 (MD) 과 폭 방향 (TD) 의 연신 배율이 서로 다름 등 에서 기인하여, 탄성률이 이방성을 갖는 경우가 있다. 지지체의 MD 와 TD 의 인장 탄성률이 상이한 경우, MD 의 인장 탄성률이 상기 범위이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MD 및 TD 의 140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모두 상기 범위 내이다.When the support is a stretched film, the elastic modulus may have anisotropy due to different draw ratio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and the width direction (TD). When the tensile modulus of MD and TD of the support are different, the tensile modulus of MD may be within the above range, but preferably both the modulus of elasticity at 140°C of MD and TD are within the above range.

범용되는 2 축 연신 PET 필름의 140 ℃ 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은, 1200 ㎫ 정도이다. 이와 같이, 고온에서의 탄성률이 높은 필름을 지지체로서 사용한 경우, 도막과 지지체의 적층체를 연신할 때의 연신 가공성이 부족하여, 연신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거나, 웨이브 등의 외관 불량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쉽다.The tensile modulus at 140°C of a universal biaxially stretched PET film is about 1200 MPa. In this way, when a film having a high elastic modulus at a high temperature is used as a support, the stretching processability when stretching the laminate of the coating film and the support may be insufficient, so that stretching may not be performed, or appearance defects such as waves may occur. It is easy to have problems such as back.

한편, A-PET 등의 비정질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40 ℃ 까지 가열되면 유리 전이점을 넘어 고무 상태가 되고, 인장 탄성률이 수 ㎫ ∼ 수십 ㎫ 정도까지 저하된다. 이러한 저탄성률의 지지체 상에 도포된 수지 용액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건조시켜 얻어지는 도막은, 두께 방향의 복굴절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지지체의 140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과도하게 작으면, 작은 막두께이면서 큰 리타데이션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얻기가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n amorphous polyester film such as A-PET is heated to 140° C., it exceeds the glass transition point and becomes a rubbery state, and the tensile modulus decreases to about several MPa to several tens of MPa. A coating film obtained by heating and drying a resin solution applied on such a support having a low elastic modulus at a high temperature tends to have a small birefringe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elastic modulus at 140°C of the support is excessively small, it tends to be difficult to obtain a retardation film having a small film thickness and a large retardation.

지지체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는, 140 ℃ 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이 상기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폴리시클로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이미드계 폴리머, 술폰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부터, 용액 제막시의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resin material constituting the suppo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tensile modulus at 140° C. is within the above range. For example, polyester, polyolefin, polycycloolefin, polyamide, polycarbonate, vinyl chloride, vinylidene chloride, Imide-based polymers, sulfone-based polymers, and the like. Among these, those that do not dissolve in the solvent at the time of solution film formation are preferably used.

특히, 상기 인장 탄성률을 갖고 또한 높은 내용제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서,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N) 등의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의 글리콜 성분 및/또는 디카르복실산의 일부를 다른 모노머 성분으로 치환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글리콜 성분을 치환한 폴리에스테르로는, PET 의 에틸렌글리콜이나 PBT 의 1,4-부탄디올 등의 직사슬형 글리콜의 일부를,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나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치환한 글리콜 변성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치환한 폴리에스테르로는, PET 의 테레프탈산이나 PEN 의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을,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2,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으로 치환한 디카르복실산 변성 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In particular, as a resin material having the above tensile modulus and high solvent resistance, a crystalline polyester resin is preferably used. As the crystalline polyester resin, a glycol component of a monomer unit constituting a polyester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nd/or dicarboxylic acid Copolymerized polyester in which a part is substituted with another monomer component is preferably used. As the polyester substituted with the glycol component, a part of linear glycol such as ethylene glycol of PET or 1,4-butanediol of PBT is used as 1,2-cyclohexanedimethanol or 1,4-cyclohexanedimethanol. And substituted glycol-modified polyester. In addition, as the polyester substituted with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terephthalic acid of PET or 2,6-naphthalenedicarboxylic acid of PEN, isophthalic acid, orthophthalic acid, 2,5-naphthalenedicarboxylic acid, 1, And dicarboxylic acid-modified polyesters substituted with 4-naphthalenedicarboxylic acid and 1,5-naphthalenedicarboxylic acid.

상기 중에서도, PET 의 테레프탈산의 일부를 이소프탈산으로 치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테레프탈산 성분과 이소프탈산 성분의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탄성률 등의 기계 특성이나 열 특성 등을 조정 가능하고, 이소프탈산 성분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140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을 PET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는, PET 와 동일하게 연신에 의해 결정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계 강도가 우수함과 함께, 높은 내용제성을 갖는 점에서도 용액 제막의 지지체로서 바람직하다.Among the above, a polyethylene-terephthalate/isophthalate copolymer in which a part of terephthalic acid in PET is substituted with isophthalic acid is preferably used. The polyethylene-terephthalate/isophthalate copolymer is capable of adjustin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elastic modulus, thermal properties, etc. by changing the ratio of the terephthalic acid component and the isophthalic acid component, and increasing the ratio of the isophthalic acid component at 140°C.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can be made smaller than that of PET. Further, since the polyethylene-terephthalate/isophthalate copolymer can be crystallized by stretching in the same manner as PET, it is preferable as a support for solution film formation from the viewpoint of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nd high solvent resistance.

지지체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지지체에 자기 지지성을 갖게 하는 점이나, 연신시의 웨이브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30 ㎛ 이상이 바람직하고, 35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체의 두께가 과도하게 크면, 연신시의 장력이 높아져, 위상차 필름의 광학 특성이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지지체의 두께는 2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5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suppo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30 µm or more, more preferably 35 µm or more, and 40 µm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providing self-support to the support or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waves during stretching. More preferable.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is excessively large, the tension at the time of stretching increases, and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retardation film may become uneven.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is preferably 200 µm or less, more preferably 150 µm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100 µm or less.

지지체는 무색 투명이어도 되고, 유색 또는 불투명한 것이어도 된다. 지지체의 표면에는 접착 용이 처리, 이형 처리, 대전 방지 처리, 블로킹 방지 처리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 블로킹 방지 등의 목적에서, 지지체의 폭 방향의 단부에는 엠보스 가공 (널링)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The support may be colorless and transparent, or may be colored or opaque. The surface of the support may be subjected to an easy adhesion treatment, a release treatment, an antistatic treatment, an anti-blocking treatment, or the like. Further,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blocking or the like, embossing (knurling) or the like may be applied to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 in the width direction.

지지체는, 자기 지지성과 가요성을 겸비하는 것이면 그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체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20 ㎛ ∼ 200 ㎛ 정도이고, 30 ㎛ ∼ 150 ㎛ 가 바람직하고, 35 ㎛ ∼ 10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300 ㎜ 이상이 바람직하고, 50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0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0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폭을 크게 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의 양산성이 높아진다.The thickness of the suppo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both self-support and flexibility.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is generally about 20 µm to 200 µm, preferably 30 µm to 150 µm, and more preferably 35 µm to 100 µm. Although the width of the suppo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300 mm or more is preferable, 500 mm or more is more preferable, 700 mm or more is still more preferable, and 1000 mm or more is particularly preferable. By increasing the width of the support, the mass-producibility of the retardation film is increased.

지지체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된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지지체를 구성하는 재료가 결정성 폴리머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이 연신됨으로써 폴리머의 결정성이 높아져, 기계 강도와 동시에 내열성이나 내용제성 등도 향상될 수 있다. 특히, 기계 강도나 내열성, 내용제성 등을 높이는 관점에서, 지지체는 길이 방향 (MD) 및 폭 방향 (TD) 의 양방으로 연신된 2 축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관점에서 MD, TD 의 각각 2 배 이상으로 연신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is a stretched film stretched in at least one direction. In particular, when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support is a crystalline polymer, as described above, the film is stretched to increase the crystallinity of the polymer, so that the mechanical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and solvent resistance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from the viewpoint of enhancing mechanical strength, heat resistance, solvent resistance, and the like, the support is preferably a biaxially stretched film stretched in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and the width direction (TD). The draw ratio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the above viewpoint, those stretched by two or more times MD and TD are preferably used.

[제막 공정 및 건조 공정] [Film forming process and drying process]

제막 공정에서는, 상기 지지체를 길이 방향 (MD) 을 따라 반송시키면서, 그 위에 수지 용액 (도프) 이 도포된다. 그 후, 가열에 의해 수지 용액이 건조되고, 지지체 상에 도막이 밀착 적층된 장척상의 적층체가 형성된다. 도 1 은, 롤·투·롤법에 의한 제막 공정 및 건조 공정의 일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개념도이다.In the film forming step, a resin solution (dope) is applied thereon while conveying the suppo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After that, the resin solution is dried by heating, and a long laminate is formed in which the coating film is closely laminated on the support. 1 is a process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one embodiment of a film forming process and a drying process by a roll-to-roll method.

먼저, 제막 장치의 조출부 (11) 에 장척상의 지지체 (1) 의 권회체 (10) 가 세팅된다. 권회체 (10) 로부터 풀려나온 지지체 (1) 는, 조출부 (11) 로부터, 제막 장치의 하류측으로 연속적으로 반송되고, 가이드 롤러 (201 ∼ 205) 를 거쳐, 하류측에 형성된 제막부 (110) 로 반송되어, 제막이 이루어진다. 또, 가이드 롤러는, 롤러 (203, 204) 와 같이, 닙롤 쌍을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First, the winding body 10 of the elongate support body 1 is set in the delivery part 11 of a film forming apparatus. The support 1 unwound from the winding 10 is continuously conveyed from the feeder 11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lm forming apparatus, and passes through the guide rollers 201 to 205, the film forming unit 110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It is conveyed to, and film formation is formed. In addition, the guide roller may constitute a pair of nip rolls, like the rollers 203 and 204.

제막부 (110) 에서는, 지지체 (1) 에 도프 (118) 가 펴 발라지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제막이 실시된다. 도 1 에서는, 나이프 롤 코터가 도시되어 있다. 이 롤 코터에서는, 지지체 (1) 를 백업 롤 (112) 과 접촉시키면서, 액 댐 (117) 내의 도프 (118) 와 접촉시키고, 나이프 롤 (111) 로 도프의 액 커팅을 실시함으로써, 도막의 두께가 조정된다. 제막부 (110) 에 있어서의 제막 방법은 나이프 롤 코트에 한정되지 않고, 키스 롤 코트, 그라비어 코트, 리버스 코트, 스프레이 코트, 메이어바 코트, 에어나이프 코트, 커튼 코트, 립 코트, 다이 코트 등의 각종 방법이 사용된다.In the film-forming part 110, the dope 118 is spread on the support body 1, and film-form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In Fig. 1 a knife roll coater is shown. In this roll coater,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s made by bringing the support 1 into contact with the backup roll 112, contacting the dope 118 in the liquid dam 117, and performing liquid cutting of the dope with the knife roll 111. Is adjusted. The film forming method in the film forming part 110 is not limited to a knife roll coat, such as a kiss roll coat, a gravure coat, a reverse coat, a spray coat, a Mayer bar coat, an air knife coat, a curtain coat, a lip coat, a die coat, etc. Various methods are used.

도프 (118) 는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재료의 용액으로, 수지 재료 (폴리머) 및 용매를 함유한다. 도프에는, 필요에 따라서 레벨링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열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재료로는, 목적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광학 이방성에 따라, 정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및 부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의 광학 특성 등에 따라, 복수의 수지 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프의 고형분이나 점도 등은, 수지의 종류나 분자량, 위상차 필름의 두께, 제막 방법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The dope 118 is a solution of a resin material for forming a retardation film, and contains a resin material (polymer) and a solvent. Additives, such as a leveling agent, a plasticizer, an ultraviolet absorber, and a deterioration inhibitor, may be contained in the dope as needed. As the resin material for forming the retardation film, either a polymer having a positive intrinsic birefringence and a polymer having a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optical anisotropy of the target retardation film. In addition, a plurality of resin materials may be mixed and used depending on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target retardation film. The solid content and viscosity of the dope are appropriately set depending on the type and molecular weight of the resin, the thickness of the retardation film, and the film forming method.

제막 두께는, 위상차 필름에 요구되는 광학 특성 (리타데이션값) 등에 따라, 예를 들어 건조 후의 막두께가 1 ㎛ ∼ 100 ㎛ 정도가 되도록 설정된다. 본 발명은 지지체와 그 위에 제막된 도막의 적층체를 연신하기 때문에, 도막 단체로는 막두께가 작아 핸들링이 곤란한 경우라도, 연신 등의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막의 막두께가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인 경우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적용하면, 막두께가 작고, 또한 광학 특성 및 외관 특성이 우수한 위상차 필름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The film forming thickness is set such that the film thickness after drying is, for example, about 1 µm to 100 µm, depending on the optical properties (retardation value) required for the retardation film.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laminate of a support and a coating film formed thereon is stretched, processing such as stretching can be facilitated even when handling is difficult because the film thickness is small with the coating film alone. Therefore, when the film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s preferably 30 µm or less, more preferably 20 µ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15 µm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10 µm or less,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film. It is possible to easily obtain a retardation film having a small thickness and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and external appearance properties.

[건조 공정] [Drying process]

지지체 (1) 상에 도포된 도프층은, 지지체 (1) 와 함께 건조로 (120) 내로 반송되어, 용매가 제거되고, 지지체 (1) 상에 도막이 밀착 형성된 적층체 (2) 가 얻어진다. 적층체 (2) 는, 건조로 (120) 로부터 하류측으로 반송되고, 가이드 롤러 (211 ∼ 215) 를 거쳐, 권취부 (21) 에서 권취되어, 지지체와 도막의 적층체 (2) 의 권회체 (20) 가 얻어진다.The dope layer applied on the support 1 is conveyed together with the support 1 into the drying furnace 120, the solvent is removed, and the laminate 2 in which the coating film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1 is obtained. The laminate 2 is conveyed to the downstream side from the drying furnace 120, and is wound up in the take-up part 21 via guide rollers 211 to 215, and a winding body of the laminate 2 of a support body and a coating film ( 20) is obtained.

건조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 (건조 온도) 나 건조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건조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기포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건조 온도는 가능한 한 고온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건조 온도는 100 ℃ 이상이 바람직하고, 11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2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건조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용제의 돌비 (突沸) 에 의해 도막에 기포가 발생하거나, 지지체의 탄성률이 저하되기 때문에, 반송 장력에 의해 기재의 치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건조 온도는 230 ℃ 이하가 바람직하고, 2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8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heating temperature (drying temperature) and drying time in the drying proces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From the viewpoint of shortening the drying time and increasing productivity, the dry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as high as possible within a range in which appearance defects such as air bubbles do not occur. Specifically, the dry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100°C or higher, more preferably 110°C or higher, and even more preferably 120°C or high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drying temperature is excessively high,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coating film due to the protrusion of the solvent, or the elastic modulus of the support is lowered, so that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substrate may occur due to the conveyance tension. Therefore, the dry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230°C or less, more preferably 200°C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80°C or less.

건조 온도를 높게 하면, 건조 시간의 단축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 건조 후의 도막의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온 (140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소정치 이상인 지지체를 사용함으로써, 100 ℃ 이상에서 건조를 실시한 경우라도 리타데이션의 저하가 억제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고온에서 건조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면서, 리타데이션이 큰 위상차 필름이 얻어진다.When the drying temperature is increase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by shortening the drying time, while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ating film after drying becomes small. In contrast,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support having an elastic modulus of at least a predetermined value at a high temperature (140°C), even when drying is performed at 100°C or more, a decrease in retardation is suppress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tardation film having a large retardation is obtained while increasing productivity by drying at a high temperature.

건조 공정에서의 가열 온도는, 열풍 또는 냉풍이 순환되는 공기 순환식 항온 오븐, 마이크로파 또는 원적외선을 이용한 히터, 온도 조절용으로 가열된 롤, 히트 파이프 롤 등의 적절한 가열 수단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노내 온도는, 노내 전체에서 일정할 필요는 없고, 단계적으로 승온 또는 강온되는 온도 프로파일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노내를 복수의 존으로 분할하고, 각 존마다 설정 온도를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열로의 입구나 출구에서의 온도 변화에 따른 지지체의 급격한 치수 변화 등에서 기인하는 주름 등의 외관 불량이나, 반송 불량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가열로의 입구 및 출구 부근에서의 온도 변화가 완만해지도록, 예비 가열존이나 냉각존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heating temperature in the drying process may be adjusted by appropriate heating means such as an air circulation constant temperature oven in which hot or cold air is circulated, a heater using microwave or far-infrared rays, a roll heated for temperature control, a heat pipe roll, or the like. The furnace temperature does not have to be constant throughout the furnace, and may have a temperature profile in which temperature is raised or lowered in stage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ivide the furnace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to change the set temperature for each zone.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appearance defects such as wrinkles or poor conveyance caused by rapid dimensional changes of the support due to temperature changes at the inlet or outlet of the heating furnace, temperature changes in the vicinity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heating furnace are gentle. A preliminary heating zone or a cooling zone may be formed so as to dissolve.

또, 건조로 내 전체의 온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건조 온도란, 가장 고온이 되는 부분에서의 노내 온도 (즉, 노내의 분위기 온도) 를 가리키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노내의 최고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10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이다. 건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온도 범위에서의 가열 시간은 10 초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초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초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열 시간은, 가열로 중의 지지체의 반송 경로의 길이 (노 길이) 나, 지지체의 반송 속도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verall temperature in the drying furnace is not constant, the drying temperature refers to the furnace temperature at the highest temperature (i.e., the atmosphere temperature in the furnac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ximum temperature in the furnace is preferable. Preferably, it is 100°C or more, more preferably 110°C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120°C or more. In the drying step, the heating time in the above temperature range is preferably 10 seconds or more, more preferably 20 seconds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30 seconds or more. The heating time can be adjusted by the length of the conveyance path of the support body in the heating furnace (the furnace length) and the transport speed of the support body.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정의 기계 특성을 갖는 지지체가 사용되기 때문에, 건조 후의 도막의 두께 방향 복굴절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지지체 상에 당해 도막이 밀착 적층된 적층체, 또는 적층체로부터 지지체를 박리 후의 피막을 위상차 필름으로서 실용에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upport having predetermined mechanical properties is used, birefringe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ried coating film can be increased. Therefore, the laminated body in which the said coating film was closely laminated|stacked on the support body, or the film after peeling the support body from a laminated body can be provided as a phase difference film for practical use.

[연신 공정] [Stretching process]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체 (1) 상에 도막이 밀착 형성된 적층체 (2) 는, 연신 공정에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는, 연신 공정 및 박리 공정의 일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연신 장치의 조출부 (22) 에 적층체 (2) 의 권회체 (20) 가 세팅되어 있다. 권회체 (20) 로부터 풀려나온 적층체 (2) 는, 조출부 (22) 로부터 가이드 롤러 (221, 222) 를 거쳐, 하류측의 연신부 (130) 의 가열로 (139) 로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또, 도 1 및 도 2 에서는, 제막 장치의 권취부 (21) 에서, 도프를 건조 후의 적층체 (2) 가 일단 권취된 후, 적층체 (2) 의 권회체 (20) 가 연신 장치의 조출부 (22) 에 세팅되고, 풀려나오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제막 및 건조 공정 후에 적층체를 권취하지 않고, 적층체가 그대로 연신 공정에 제공되어도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aminate 2 in which the coating film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1 is stretched in at least one direction in the stretching step.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retching process and a peeling process. In the form shown in FIG. 2, the winding body 20 of the laminated body 2 is set in the feeding part 22 of an extending|stretching apparatus. The laminated body 2 unwound from the winding body 20 is continuously conveyed from the feeding part 22 through the guide rollers 221 and 222 to the heating furnace 139 of the extending part 130 on the downstream side. . In addition, in FIGS. 1 and 2, in the take-up part 21 of the film-forming device, after the layered product 2 after drying the dope is once wound up, the winding body 20 of the layered product 2 is fed out of the stretching device. Although the form in which it is set in the part 22 and released is shown, the laminated body may be provided as it is in the extending|stretching process, without winding up a laminated body after a film-forming and drying process.

적층제 (2) 는, 연신부 (130) 에서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된다.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된다란, 면내의 적어도 일 방향에 있어서, 2 점간 거리가 커지도록 가공되는 것을 가리킨다. 도 2 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연신부 (130) 에 있어서, 플로트법에 의해 길이 방향 (MD) 으로 자유단 1 축 연신 (세로 연신) 을 실시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연신부 (130) 는 가열로 (139) 를 구비하고, 가열로 (139) 의 상류측 (입구) 에 닙롤 (231, 232) 이 형성되어 있고, 하류측 (출구) 에 닙롤 (236, 237) 이 형성되어 있다.The laminate 2 is stretched in at least one direction in the stretched portion 130. Stretching in at least one direction refers to processing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s increases in at least one direction in the plane. In the form shown in FIG. 2, an example in which the free end uniaxial stretching (vertical stretching) is per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by the float method is illustrated in the stretching portion 130. The stretching portion 130 is provided with a heating furnace 139, nip rolls 231, 232 are formed on the upstream side (inlet) of the heating furnace 139, and nip rolls 236, 237 on the downstream side (outlet) Is formed.

자유단 1 축 연신에서는, 적층체의 폭 방향의 단부를 파지하지 않고, 길이 방향으로 필름이 연신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가열로 (139) 의 하류측의 닙롤 (236, 237) 의 주속도를, 상류측의 닙롤 (231, 232) 의 주속도보다 크게 함으로써, 적층체 (2) 가 길이 방향으로 연신된다.In the free end uniaxial stretching, the film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out gripping the end portion of the laminate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orm shown in FIG. 2, by making the peripheral speed of the nip rolls 236 and 237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heating furnace 139 larger than the peripheral speed of the nip rolls 231 and 232 on the upstream side, the length of the laminate 2 It is stretched in the direction.

자유단 1 축 연신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적층체가 연신됨에 따라,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는 수축 작용이 생긴다. 그 때문에, 도막을 구성하는 폴리머가, 정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경우, 길이 방향의 굴절률 (nx) 이 커지고, 폭 방향의 굴절률 (ny)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 (nz) 은 작아진다. 한편, 도막을 구성하는 폴리머가 부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경우, 길이 방향의 굴절률 (ny) 이 작아지고, 폭 방향의 굴절률 (nx)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 (nz) 은 커진다.In the free end uniaxial stretching, as the laminate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ontraction action occur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coating film has positive intrinsic birefringence, the refractive index (nx)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creases, and the refractive index (ny)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refractive index (nz) in the thickness direction decrease.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coating film has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the refractive index n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comes small, and the refractive index nx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refractive index nz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crease.

도 2 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 가열로 (139) 내에는, 적층체의 반송 경로의 상하에 열풍 분사 노즐 (플로팅 노즐) (131 ∼ 137) 이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되고, 열풍에 의한 가열하에서 연신이 실시된다. 가열로 (연신로) (139) 내에서의 필름의 반송 방법은 플로트법에 한정되지 않고, 롤 반송법이나, 텐터 반송법 등의 적절한 반송 방법이 채용된다. 텐터 반송에 의해 필름을 길이 방향 (MD) 으로 반송시키면서, 폭 방향 (TD) 의 연신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가열로 (139) 내에서 반송 방향과 폭 방향의 동시 2 축 연신이나, 경사 방향 연신을 실시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가열로 (139)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신한 후, 별도의 가열로 (도시 생략) 에서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 등에 의해 축차 2 축 연신을 실시해도 된다.In the form shown in FIG. 2, in the heating furnace 139, hot air jet nozzles (floating nozzles) 131 to 137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above and below the conveying path of the laminate, and stretching is performed under heating by hot air. It is carried out. The conveying method of the film in the heating furnace (stretching furnace) 139 is not limited to the float method, and an appropriate conveying method such as a roll conveying method or a tenter conveying method is adopted. Stretching in the width direction (TD) can also be performed while conveying the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by tenter conveyance. In addition, in the heating furnace 139,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in the width direction or stretching in the oblique direction may be performed. Further, after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heating furnace 139, successive biaxial stretching may be performed by stretching in the width direction in a separate heating furnace (not shown) or the like.

연신 공정에서의 가열 온도 (연신 온도)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지지체와 그 위에 형성된 도막을 함께 연신 가능한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지지체 상에 형성된 도막의 유리 전이 온도를 Tg 로 한 경우, 연신 온도는, (Tg-50) ℃ 이상이 바람직하고, (Tg-4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Tg-3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지지체로부터의 도막의 박리가 일어나거나, 리타데이션이 불균일해지거나, 헤이즈 상승 등의 외관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한편, 연신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도막을 구성하는 폴리머의 배향성이 저하되어, 소기의 리타데이션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The heating temperature (stretching temperature) in the stretching ste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y a temperature at which the support and the coating film formed thereon can be stretched together. Specifically,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oating film formed on the support is Tg,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Tg-50)°C or higher, more preferably (Tg-40)°C or higher, and (Tg-30 ) ℃ or more is more preferable. If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too low, peeling of the coating film from the support may occur, retardation may become uneven, or appearance defects such as an increase in haze may occur.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too high, the orientation of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coating film is lowered, and a desired retardation may not be obtained.

또, 연신 온도는, 도막 (위상차 필름) 을 구성하는 폴리머의 종류나 지지체의 열 특성 등에 따라서 설정된다. 연신 온도는, 일반적으로는 100 ℃ ∼ 220 ℃ 정도, 바람직하게는 120 ℃ ∼ 200 ℃ 정도이다. 가열로 (139) 내의 온도는 노내 전체에서 일정할 필요는 없고, 단계적으로 승온 또는 강온하는 온도 프로파일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노내를 복수의 존으로 분할하고, 존마다 설정 온도를 바꿀 수도 있다. 또한, 가열로 (139) 의 입구나 출구에서의 온도 변화에 의해 적층체 (2) 가 급격히 치수 변화되어 주름을 발생시키거나 반송 불량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가열로의 입구 및 출구 부근에서의 온도 변화가 완만해지도록, 예비 가열 존이나 냉각 존을 형성하거나, 가열 롤이나 냉각 롤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set according to the type of polymer constituting the coating film (phase difference film),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support, and the like.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generally about 100°C to 220°C, preferably about 120°C to 200°C. The temperature in the heating furnace 139 need not be constant throughout the furnace, and may have a temperature profile in which temperature is raised or lowered in stages. For example, the furnace interior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the set temperature can be changed for each zone.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problems such as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laminate 2 due to a temperature change at the inlet or outlet of the heating furnace 139 to cause wrinkles or poor conveyance, the inlet of the heating furnace and A preheating zone or a cooling zone may be formed, or a heating roll or a cooling roll may be formed so that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vicinity of the outlet becomes gentle.

연신 공정에서의 연신 배율은, 1.01 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1.03 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유단 1 축 연신에서는, 연신 배율이 클수록 면내 복굴절 (Δnin) 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연신 배율이 과도하게 크면, 도막의 파단을 발생시키거나, 광학 특성이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연신 배율은 3 배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 배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draw ratio in the stretching step is preferably 1.01 time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03 times or more. In the free end uniaxial stretching, the in- plane birefringence (Δn in) tends to increase as the stretching ratio increases. When the draw ratio is excessively large, fracture of the coating film may occur or the optical properties may become uneven. Therefore, the draw ratio is preferably 3 times or less, more preferably 2.5 times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2 times or less.

위상차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 Rth, 및 Nz 계수 등의 광학 특성은, 위상차 필름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고, 연신 공정에서의 연신 방법이나 연신 배율은, 목적으로 하는 광학 특성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Optical properties such as in-plane retardation R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and Nz coefficient of the retardation film ar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retardation film, and the stretching method and stretching ratio in the stretching step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sired optical properties. So it can be adjusted.

전술한 바와 같이, 자유단 1 축 연신 (종연신) 에서는, 연신 방향의 굴절률이 증가 (또는 감소) 하는 데 반하여,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의 굴절률은 감소 (또는 증가) 한다. 일반적으로, 자유단 1 축 연신에서는 폭 방향의 수축률과 두께 방향의 수축률은 동등하고, 폭 방향의 굴절률과 두께 방향의 굴절률의 감소율 (또는 증가율) 은 동등해진다. 그 때문에, 위상차 필름의 재료로서 정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를 사용하는 경우, 자유단 1 축 연신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은, 일반적으로는 nx > ny = nz 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포지티브 A 플레이트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ree end uniaxial stretching (longitudinal stretching), the refractive index in the stretching direction increases (or decreases), wherea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that i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decreases (or increases). ) do. In general, in the uniaxial stretching of the free end, the contraction r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contraction 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re equal, and the reduction rate (or increase rate) of the refractive index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becomes equal. Therefore, when a polymer having positive intrinsic birefringence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retardation film,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by uniaxial stretching at the free end is generally a positive A plate having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nx> ny = nz.

또한, 용액 제막시에 폴리머의 분자 사슬이 면내 방향으로 배향함으로써, 도막의 두께 방향 복굴절이 큰 경우, 즉 도막이 nx = ny > nz 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인 경우, 이 도막을 지지체로부터 박리 후에, 박리 후의 도막을 단독으로 자유단 1 축 연신에 제공하면, 폭 방향의 수축률이 두께 방향의 수축률보다 커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연신시의 폭 방향의 굴절률 ny 의 감소율이 두께 방향의 굴절률 nz 의 감소율보다 커지고, ny > nz 의 굴절률 이방성이 해소되기 때문에, 연신 후의 위상차 필름은, nx > ny = nz 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포지티브 A 플레이트가 된다.In addition, when the molecular chains of the polymer are oriented in the in-plane direction during solution film formation, when the thickness direction birefringence of the coating film is large, that is, when the coating film is a negative C plate having a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nx = ny> nz, this coating film is peeled from the support. Later, when the peeled coating film is provided for uniaxial stretching at the free end alone, the shrinka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tends to be greater than the shrinkage rat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fore, since the reduction ratio of the refractive index ny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time of stretching becomes larger than the reduction ratio of the refractive index nz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ny> nz is eliminated, the retardation film after stretching has a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nx> ny = nz. It becomes a positive A plate to have.

한편, 지지체 상에 도막이 밀착 적층된 적층체를 자유단 1 축 연신에 제공하는 경우, 적층체의 폭 방향의 수축률은 지지체의 기계 특성이나 열 특성에 크게 좌우되고, 도막의 굴절률 이방성에 의한 영향은 작다. 그 때문에, 지지체 상에 형성된 정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도막이 nx = ny > nz 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경우에는, ny > nz 의 굴절률 이방성이 연신의 전후에서 유지되어, nx > ny > nz 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네거티브 B 플레이트가 얻어진다. 같은 원리에 의해, 위상차 필름의 재료로서 부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가 사용되는 경우, 자유단 1 축 연신에 의해, nz > nx > ny 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포지티브 B 플레이트가 얻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a laminate in which a coating film is closely laminated on a support is provided for uniaxial stretching at the free end, the shrinka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minate is largely dependent on the mechanical or thermal properties of the support, and the effect of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the coating film is small. Therefore, when the coating film made of a polymer having positive intrinsic birefringence formed on the support has a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nx = ny> nz,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ny> nz is maintained before and after stretching, and the refractive index of nx> ny> nz A negative B plate with anisotropy is obtained.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when a polymer having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retardation film, a positive B plate having a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nz> nx> ny is obtained by uniaxial stretching at the free en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소정의 기계 특성을 갖는 지지체가 사용되기 때문에, 건조 후의 도막의 두께 방향 복굴절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지지체 상에 당해 도막이 밀착 적층된 적층체를 자유단 1 축 연신에 제공함으로써, 네거티브 B 플레이트나 포지티브 B 플레이트가 얻어진다. 또한, 연신시의 장력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이 억제되기 때문에, 웨이브 등의 외관 불량이 잘 발생하기 않아, 외관 및 광학 특성의 균일성이 우수한 위상차 필름이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support having predetermined mechanical properties is used, birefringe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ried coating film can be increased. Therefore, a negative B plate or a positive B plate is obtained by providing a laminate in which the coating film is closely laminated on a support body for uniaxial stretching at the free end. In addition, since excessive increase in tension during stretching is suppressed, appearance defects such as waves are less likely to occur, and a retardation film excellent in uniformity of appearance and optical properties is obtained.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nx > ny > nz 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네거티브 B 플레이트가 제조되는 경우, 위상차 필름의 Nz 계수는 1.03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1.0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nz > nx > ny 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포지티브 B 플레이트가 제조되는 경우, 위상차 필름의 Nz 계수는 -0.03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0.0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네거티브 B 플레이트나 포지티브 B 플레이트를 얻기 위한 연신 방법은 자유단 1 축 연신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단 1 축 연신 (횡연신) 이나, 축차 또는 동시 2 축 연신이어도 된다.When a negative B plate having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nx> ny> nz is produc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z coefficient of the retardation film is preferably greater than 1.03, more preferably 1.05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1.10 or more. Do. When a positive B plate having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nz> nx> ny is produc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z coefficient of the retardation film is preferably smaller than -0.03, more preferably -0.05 or less, and -0.10 The following are more preferable. In addition, the stretching method for obtaining the negative B plate or the positive B plate is not limited to the free end uniaxial stretching, but may be a fixed end uniaxial stretching (transverse stretching) or sequential or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연신 공정에서의 연신 배율은, 1.01 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1.03 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유단 1 축 연신에서는, 연신 배율이 클수록 면내 복굴절 (Δnin) 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연신 배율이 과도하게 크면, 도막의 파단을 일으키거나, 광학 특성이 불균일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연신 배율은 3 배 이하가 바람직하고, 2.5 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 배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draw ratio in the stretching step is preferably 1.01 time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03 times or more. In the free end uniaxial stretching, the in- plane birefringence (Δn in) tends to increase as the stretching ratio increases. When the draw ratio is excessively large, the coating film may be broken or the optical properties may become uneven. Therefore, the draw ratio is preferably 3 times or less, more preferably 2.5 times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2 times or less.

[박리 공정][Peeling process]

연신 후의 적층체 (3) 는 그대로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신 후의 적층체 (3) 로부터, 연신 후의 지지체 (6) 가 박리되고, 지지체를 박리한 후의 도막 (4) 이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 지지체는, 최종 제품인 위상차 필름에는 포함되지 않는 공정 부재이다. 그 때문에, 지지체는 광학적으로 균일할 필요는 없어, 저가의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다.The laminated body 3 after stretching can be used as it is as a retardation film. Preferably, the support 6 after stretching is peeled from the laminate 3 after stretching, and the coating film 4 after peeling the support is used as a retardation film. In this case, the support is a process member not included in the retardation film as a final product. Therefore, the support does not need to be optically uniform, and an inexpensive support can be used.

연신 후의 적층체 (3) 는, 일단 롤상으로 권취해도 되고, 연신 공정부터 연속적으로 박리 공정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 에서는, 연신 공정 후에 연속하여, 박리부 (160) 에서 박리 공정이 실시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연신 후의 지지체 (6) 와 도막 (위상차 필름 (4)) 의 박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균일하게 박리를 실시할 수 있는 관점에서는, 적층체 (3) 를 닙롤 (261, 262) 로 협지하고, 그 하류측에서, 지지체 (6) 및 위상차 필름 (4) 의 각각을 상부 롤 (261) 및 하부 롤 (262) 을 따르도록 반송시켜,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후의 지지체 (6) 는, 적절한 방식에 의해 권취부 (61) 에서 권취된다.The layered product 3 after stretching may be rolled up once in a roll shape, or may be provided to the peeling step continuously from the stretching step. In FIG. 2, an embodiment in which a peel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peeling part 160 continuously after an extending|stretching process is shown. The peeling method of the support 6 and the coating film (phase difference film 4) after stretch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the viewpoint of uniformly peeling, the laminate 3 is sandwiched by nip rolls 261 and 262. , It is preferable to convey and peel each of the support body 6 and the retardation film 4 along the upper roll 261 and the lower roll 262 from the downstream side. The support 6 after peeling is wound up by the winding part 61 by an appropriate method.

[기타 공정][Other processes]

연신 공정 후나 박리 공정 후에, 위상차 필름을 추가로 다른 공정에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지지체 (6) 를 박리 후의 위상차 필름 (4) 이 검사부 (170) 에서 검사된 후, 첩합부 (貼合部) (190) 에서 다른 필름 (9) 과 첩합된 후, 위상차 필름 (4) 과 필름 (9) 의 적층체 (5) 가 권취부 (51) 에서 권취되어, 권회체 (50) 가 형성된다.After the stretching process or after the peeling process, the retardation film may be further provided to other processes. For example, in the form shown in FIG. 2, after the retardation film 4 after peeling the support body 6 is inspected by the inspection part 170, the film 9 and another film 9 in the bonding part 190 and After bonding, the laminated body 5 of the retardation film 4 and the film 9 is wound up by the winding part 51, and the winding body 50 is formed.

<검사 공정><Inspection process>

검사부는, 위상차 필름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를 구비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검사부 (170) 는, 위상차계 (171) 및 결점 검출부 (172) 를 구비한다. 위상차계 (171) 는, 위상차 필름 (4) 의 리타데이션이나 지상축의 배향 각도를 검출한다. 측정된 리타데이션값을, 연신부 (130) 에 있어서의 롤 주속 등에 피드백시킴으로써, 리타데이션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 (4) 의 리타데이션을 정확히 측정하는 관점에서, 지지체 (6) 를 박리한 후에 위상차 측정이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pection unit includes an inspection device for inspecting the retardation film. In the form shown in FIG. 2, the inspection unit 170 includes a phase difference meter 171 and a defect detection unit 172. The retardation meter 171 detects retardation of the retardation film 4 and an orientation angle of a slow axis. The retardation can be kept constant by feeding back the measured retardation value to the circumferential speed of the roll in the stretching unit 130 or the like. From the viewpoint of accurately measuring the retardation of the retardation film 4, it is preferable that the retardation measurement is performed after the support 6 is peeled off.

결점 검출부는, 위상차 필름의 내부 또는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이나, 타흔 (打痕) 등의 요철상 결함, 흠집 등의 결점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 (6) 를 박리한 후에 결점 검출을 실시함으로써, 지지체 (6) 에만 포함되는 결점을 검출하지 않고, 위상차 필름 (4) 의 결점을 선택적으로 검출 가능해지기 때문에, 결점 검출 정밀도가 높아진다.The defect detection unit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detecting defects such as foreign matter existing inside or on the surface of the retardation film, irregular defects such as dents, and scratches. By performing defect detection after peeling the support 6, defects contained only in the support 6 are not detected, and defects of the retardation film 4 can be selectively detected, so that defect detection accuracy is increased.

<첩합 공정><Coupling process>

첩합부 (190) 에서는, 위상차 필름 (4) 이 다른 필름 (9) 과 첩합되고, 적층체 (5) 가 형성된다. 필름 (9) 으로는, 예를 들어, 위상차 필름 (4) 에 임시 접착되는 보호 필름 (세퍼레이터) 이나, 다른 광학 필름 (위상차 필름, 편광자 등) 을 들 수 있다. 위상차 필름과 다른 필름의 적층은, 적절한 접착제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onding portion 190, the retardation film 4 is bonded to another film 9, and the laminate 5 is formed. As the film 9, a protective film (separator) temporarily adhered to the retardation film 4 and other optical films (phase difference film, polarizer,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tardation film and other films are laminated through an appropriate adhesive.

위상차 필름 상에 편광자를 적층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는 적층 편광판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위상차 필름 상에는 편광자가 단체로 적층되어도 되고, 편광자 상에 투명 보호 필름이나 다른 위상차 필름이 첩합된 것이 적층되어도 된다.By laminating a polarizer on the retardation film,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a retardation film can be formed. Moreover, a polarizer may be laminated alone on the retardation film, or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or another retardation film may be laminated on the polarizer.

위상차 필름 상에 적층되는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1 ㎛ ∼ 50 ㎛ 정도이다. 특히, 박형의 적층 편광판을 얻는 관점에서, 편광자의 두께는 15 ㎛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8 ㎛ 이하가 바람직하다. 편광자의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열이나 습도 등의 주위의 환경 변화에 따른 편광자의 치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이, 인접하는 위상차 필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위상차 필름에 적층되는 편광자의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의 두께가 작은 경우라도, 주위의 환경 변화에 의한 광학 특성의 변화가 작은 적층 편광판이 얻어진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laminated on the retardation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generally about 1 µm to 50 µm. In particular,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thin laminated polarizing plat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s preferably 15 µm or less, more preferably 10 µm or less, and 8 µm or less.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stress generated by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polarizer due to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heat or humidity on the adjacent retardation film. Therefore,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laminated on the retardation film,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retardation film is small,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with small changes in optical properties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can be obtained.

위상차 필름 (4) 의 표면에는, 다른 광학 필름이나 액정 셀 등과의 첩합을 위한 점착제층이 적층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적당한 세퍼레이터 상에 점착제층이 부설된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측의 면과 위상차 필름을 첩합함으로써, 위상차 필름 상에 점착제층을 적층할 수 있다.On the surface of the retardation film 4,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 bonding with other optical films or liquid crystal cells may be laminated. For examp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laminated on the retardation film by bonding the surface on the si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retardation film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provided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a suitable separator.

적층체 (3) 로부터 지지체 (6) 를 박리한 후의 위상차 필름 (4) 의 두께가 30 ㎛ 이하인 경우, 위상차 필름 (4) 단체로는 자기 지지성이 작아 핸들링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필름이나 점착제층과 첩합함으로써, 핸들링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도 2 에서는, 위상차 필름 (4) 의 편면에만 필름 (9) 이 첩합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위상차 필름 (4) 의 양면에 필름이나 점착제층 등이 첩합되어도 된다.When the thickness of the retardation film 4 after peeling the support 6 from the laminate 3 is 30 μm or less, the retardation film 4 alone has low self-supporting property and insufficient handling properties, so other films Or, by bonding with an adhesive layer, handling proper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n FIG. 2, the form in which the film 9 is bonded only to one side of the retardation film 4 is illustrated, but a film, an adhesive layer, or the like may be bonded to both sides of the retardation film 4.

또한, 박리부 (160) 에서 적층체 (3) 로부터 지지체 (6) 가 박리되기 전에, 적층체 (3) 의 위상차 필름 (4) 측의 면에 다른 필름이나 점착제층이 첩합되어도 된다. 지지체 (6) 가 박리되기 전에, 위상차 필름 (4) 상에 다른 필름이나 점착제층 등이 첩합됨으로써, 위상차 필름을 단체로 반송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때문에, 위상차 필름의 두께가 작은 경우라도 핸들링성이 높아진다. 적층체 (3) 의 위상차 필름 (4) 측의 면에 다른 필름이나 점착제층을 적층한 후, 지지체 (6) 를 박리하고, 지지체를 박리 후의 위상차 필름 (4) 의 노출면에, 추가로 다른 필름이나 점착제층을 적층해도 된다.In addition, before the support 6 is peeled from the laminate 3 in the peeling portion 160, another film or an adhesive layer may be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laminate 3 on the phase difference film 4 side. Before the support 6 is peeled off, another fil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the like is pasted on the retardation film 4,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convey the retardation film by itself. Therefore,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retardation film is small, handling property is improved. After laminating another film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side of the phase difference film 4 of the laminate 3, the support 6 is peeled, and the support is remov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retardation film 4 after peeling. You may laminate a film or an adhesive layer.

<권취 공정><winding process>

지지체 (6) 를 박리한 후의 위상차 필름 (4) 은, 필요에 따라서 검사 공정이나 첩합 공정에 제공된 후, 권취부 (51) 에서 권취되어, 위상차 필름의 권회체가 형성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상차 필름 (4) 은, 다른 필름 (9) 과 적층된 적층체 (5) (예를 들어, 적층 편광판) 로서 권취부 (51) 에서 권취되어도 된다. 또한, 지지체 (6) 를 박리한 후의 위상차 필름 (4) 은, 권취 공정에 제공하지 않고, 그대로 매엽체로 커트되어도 된다. 또, 도 2 에서는, 지지체 상에 도막이 밀착 적층된 적층체 (3) 를 연신 후, 권회체로 권취하지 않고, 박리부 (160) 에서 지지체 (6) 를 박리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적층체 (3) 를 일단 권회체로 권취한 후, 연신 공정과는 다른 장치에서 박리 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다.The retardation film 4 after peeling the support 6 is wound up by the winding unit 51 after being provided to the inspection process or the bonding process as necessary, and a wound body of the retardation film is formed. As shown in FIG. 2, the retardation film 4 may be wound up in the winding portion 51 as a laminate 5 (eg,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laminated with another film 9. In addition, the retardation film 4 after peeling the support 6 may be cut into a sheet as it is without being provided in the winding process. In addition, in FIG. 2, a form in which the support body 6 is peeled from the peeling portion 160 after stretching the laminate 3 in which the coating film is closely laminated on the support body is stretched and then not wound up with a winding body is shown. 3) After winding up with a winding body once, a peeling process can also be performed in an apparatus different from an extending|stretching process.

[위상차 필름의 용도 및 광학 특성][Use of phase difference film and optical properties]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위상차 필름의 용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보상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위상차 필름이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보상에 사용되는 경우, 액정 셀과 편광자 사이에 위상차 필름이 배치된다.Although the use of the retardation film obtained by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referably used for optical compensa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en the retardation film is used for optical compensa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retardation film is disposed between the liquid crystal cell and the polarizer.

위상차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 나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 Rth 등의 광학 특성은, 액정 셀의 구동 방식이나 셀의 리타데이션값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된다. 예를 들어, 인·플레인·스위칭 (IPS)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편광판의 흡수축 방향에 대하여 방위각 45°의 경사 방향으로부터 화면을 시인했을 때에 흑색 휘도가 커지는데, 액정 셀과 편광자 사이에 위상차 필름을 배치함으로써, 경사 방향의 흑색 휘도를 작게 하여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IPS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보상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39747호)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 장 이상의 위상차 필름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Optical properties such as in-plane retardation Re and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of the retardation film ar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cell,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cell, and the like. For example, in a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in-plane switching (IPS) system, the black luminance increases when the screen is visually recognized from an inclined direction of 45° azimuth with respect to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but between the liquid crystal cell and the polarizer. By arranging the retardation film, the contrast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black luminance in the oblique direction. In the optical compensation of the IPS system liquid crystal display, for example,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9-139747), two or more retardation films may be used in combination.

액정 표시 장치의 광학 보상에 2 장 이상의 위상차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적어도 1 장의 위상차 필름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한 위상차 필름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3974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포지티브 B 플레이트와 네거티브 B 플레이트가 사용되는 경우, 어느 일방의 B 플레이트 또는 양방의 B 플레이트에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자유단 1 축 연신에 의해 포지티브 B 플레이트나 네거티브 B 플레이트를 제조할 수도 있다. When two or more retardation films are used for optical compensation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retardation film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at least one retardation film. For example,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139747, when a positive B plate and a negative B plate are us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either B plate or both B plates. hav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sitive B plate or a negative B plate can also be manufactured by uniaxial stretching at the free end.

액정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과, 편광자 등의 다른 광학 필름, 액정 셀, 및 백라이트 등의 광학 부재를 적절히 조립하여 구동 회로를 장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과 액정 셀의 첩합시에는, 배향축 방향의 균일성 향상이나, 제조 공정 간략화의 관점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위상차 필름과 편광자 등을 첩합한 적층 편광판과 액정 셀을, 점착제 등의 적절한 접착층을 개재하여 첩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be manufactured, for example, by properly assembling the retardation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optical films such as polarizers, and optical members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and a backlight, and attaching a drive circuit. When bonding the retardation film and the liquid crystal cell,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uniformity in the orientation axis direction or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cell in which a retardation film and a polarizer are bonded together are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adhesive layer such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It is preferable to bond through.

실시예Example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측정 방법][How to measure]

필름의 두께는, 막두께 측정 시스템 (오오츠카 전자 제조 MCPD) 을 사용하여, 반사율의 간섭 패턴으로부터 계산에 의해 구했다. 편광·위상차 측정 시스템 (Axometrics 제조 제품명「AxoScan」) 을 사용하여, 23 ℃ 의 환경하에, 측정 파장 590 ㎚ 에서 정면 방향의 리타데이션 및 지상축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필름을 40°경사진 상태의 리타데이션을 측정하고, 이들 측정치로부터 필름의 복굴절 및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을 산출하였다.The thickness of the film was calculated from the interference pattern of reflectance using a film thickness measurement system (MCPD manufactured by Otsuka Electronics). Using a polarization/phase difference measurement system (product name “AxoScan” manufactured by Axometrics), the film is inclined by 40° with the retardation in the front direction and the slow axis direction as the rotation center at a measurement wavelength of 590 nm under an environment of 23°C. The retardation was measured, and the birefringence and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of the film were calculated from these measured values.

기재 필름의 탄성률은, 항온조가 부착된 오토그래프 (시마즈 제작소 제조) 를 사용하고, 온도 140 ℃, 인장 속도 10 ㎜/분의 조건으로, JIS K 7127 에 준하여 측정하였다.The elastic modulus of the base film was measured according to JIS K 7127 under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140°C and a tensile speed of 10 mm/min using an autograph equipped with a thermostat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합성예 A] 푸마르산에스테르계 수지 (부의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의 합성 및 도프의 조제[Synthesis Example A] Synthesis of fumaric acid ester resin (polymer having negative birefringence) and preparation of dope

교반기, 냉각관, 질소 도입관 및 온도계를 구비한 오토클레이브에,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신에츠 화학 제조, 상품명 메트로즈 60SH-50) 48 g, 증류수 15601 g, 푸마르산디이소프로필 8161 g, 아크릴산3-에틸-3-옥세타닐메틸 240 g 및 중합 개시제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45 g 을 넣고, 질소 버블링을 1 시간 실시한 후, 200 rpm 으로 교반하면서 49 ℃ 에서 24 시간 유지함으로써, 라디칼 현탁 중합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생성된 폴리머 입자를 함유하는 현탁액을 원심 분리하였다. 얻어진 폴리머 입자를 증류수로 2 회 및 메탄올로 2 회 세정한 후, 80 ℃ 에서 감압 건조시켰다 (수율 80 %).In an autoclave equipped with a stirrer, cooling tube, nitrogen inlet tube and thermometer, 48 g of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brand name Metroz 60SH-50), 15601 g of distilled water, 8161 g of diisopropyl fumarate, 3 of acrylic acid -240 g of ethyl-3-oxetanylmethyl and 45 g of t-butylperoxypivalat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added, nitrogen bubbling was carried out for 1 hour, and then stirred at 200 rpm for 24 hours at 49°C, whereby radicals Suspension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Then, it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the suspension containing the resulting polymer particles was centrifuged. The obtained polymer particles were washed twice with distilled water and twice with methanol, and then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at 80°C (yield 80%).

얻어진 푸마르산에스테르계 수지를, 톨루엔·메틸에틸케톤 혼합 용액 (톨루엔/메틸에틸케톤 50 중량%/50 중량%) 에 용해하여 20 % 용액으로 하였다. 또한, 푸마르산에스테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로서 트리부틸트리멜리테이트 5 중량부를 첨가하여, 도프를 조제하였다.The obtained fumaric acid ester-based resin was dissolved in a toluene-methylethylketone mixed solution (toluene/methylethylketone 50% by weight/50% by weight) to obtain a 20% solution. Further, 5 parts by weight of tributyl trimellitate as a plasticizer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fumaric acid ester resin to prepare a dope.

[참고예 A] 유리판 상에 대한 도포[Reference Example A] Application on a glass plate

상기 도프를, 어플리케이터로 두께 1 ㎜ 의 유리판 상에 도포하고, 유리판째로 140 ℃ 의 열풍 오븐에서 5 분간 건조시켰다. 건조 후의 필름을 유리판으로부터 박리하고, 막두께 및 리타데이션의 측정을 실시하였다.The dope was applied on a glass plate having a thickness of 1 mm with an applicator, and the glass plate was dried in a hot air oven at 140° C. for 5 minutes. The film after drying was peeled off from the glass plate, and the film thickness and retardation were measured.

[비교예 A1] [Comparative Example A1]

두께 50 ㎛ 의 2 축 연신 PET 필름을, MD 를 장변으로 하는 A4 사이즈로 잘라내고, 그 단변을 유리판 상에 내열 테이프를 사용하여 첩합하였다. 유리판에 첩합된 PET 필름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도프를 도포하고, 유리판째로 140 ℃ 의 열풍 오븐에서 5 분간 건조시켜, PET 필름 상에 도막이 형성된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이 적층체를, 길이 20 ㎝, 폭 10 ㎝ 의 단책상 (短冊狀) 으로 잘라내었다. 단책상 시료의 단변을 척 사이에 고정시키고, 165 ℃ 의 열풍 오븐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의 연신을 시도하였지만, 시료가 척으로부터 빠져나가, 연신을 실시할 수 없었다.A 50 µm-thick biaxially stretched PET film was cut out into A4 size having MD as a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was pasted onto a glass plate using a heat-resistant tape. The dope was applied on the PET film bonded to the glass plate using an applicator, and the glass plate was dried in a hot air oven at 140° C. for 5 minutes to prepare a laminate having a coating film on the PET film. This laminate was cut out into a strip of 20 cm in length and 10 cm in width. The short sides of the strip-shaped sample were fixed between the chucks, and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as attempted in a hot air oven at 165°C, but the sample was pulled out of the chuck and stretching was not possible.

[실시예 A1 ∼ A3, 및 비교예 A2][Examples A1 to A3, and Comparative Example A2]

2 축 연신 PET 필름을 대신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의 2 축 연신 필름을 사용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2 축 연신 필름의 탄성률은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이 필름 상에, 비교예 A1 과 동일하게 하여 도프의 도포 및 건조를 실시하였다.In place of the biaxially stretched PET film, a biaxially stretched film of a polyethylene-terephthalate/isophthalate copolymer was used. The elastic modulus of the biaxially stretched film used in each Examp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was as shown in Table 1. On this film, dope was applied and dri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A1.

<연신 및 박리> <Elongation and peeling>

상기 적층체를, 길이 20 ㎝, 폭 10 ㎝ 의 단책상으로 잘라내고, 단책상 시료의 단변을 척 사이에 고정시키고, 165 ℃ 의 열풍 오븐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1.05 배로 자유단 1 축 연신을 실시한 결과, 모두 문제없이 연신할 수 있었다.The laminate was cut out into strips having a length of 20 cm and a width of 10 cm, and the short sides of the strip samples were fixed between the chucks, and in a hot air oven at 165°C, uniaxial stretching of the free end was performed by 1.05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result of carrying out, all were able to extend without a problem.

[합성예 B] 폴리알릴레이트계 수지 (정의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의 합성[Synthesis Example B] Synthesis of polyallylate resin (polymer having positive birefringence)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 중,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4-메틸펜탄 54.0 g,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1.2 g 을 1 M 수산화나트륨 용액 500 ㎖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테레프탈산클로라이드 30.4 g 과 이소프탈산클로라이드 10.2 g 을 600 ㎖ 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킨 용액을 교반하면서 한번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90 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중합 용액을 가만히 정지시켜 두어 분리시켜 폴리머를 포함한 클로로포름 용액을 분리하고, 이어서 아세트산수로 세정하고, 이온 교환수로 세정한 후, 메탄올에 투입하여 폴리머를 석출시켰다. 석출된 폴리머를 순수 및 메탄올로 세정한 후, 감압하에서 건조시켜, 백색의 폴리머 68.2 g (수율 92 %) 을 얻었다.In a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stirring device, 54.0 g of 2,2-bis(4-hydroxyphenyl)-4-methylpentane and 1.2 g of benzyltriethylammonium chloride were dissolved in 500 ml of a 1 M sodium hydroxide solution. To this solution, a solution in which 30.4 g of terephthalic acid chloride and 10.2 g of isophthalic acid chloride were dissolved in 600 ml of chloroform was added at once while stirring, followed by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90 minutes. Thereafter, the polymerization solution was allowed to stand still and separated to separate a chloroform solution containing a polymer, followed by washing with acetic acid water, washing with ion-exchanged water, and pouring into methanol to precipitate a polymer. After washing the precipitated polymer with pure water and methanol, it was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68.2 g (yield: 92%) of a white polymer.

얻어진 폴리알릴레이트계 수지를 시클로펜타논에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 20 % 의 도프를 조제하였다.The obtained polyallylate resin was dissolved in cyclopentanone to prepare a dope having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20%.

[참고예 B] 유리판 상에 대한 도포[Reference Example B] Application on a glass plate

상기 도프를 어플리케이터로 유리판 상에 도포하고, 유리판째로 140 ℃ 의 열풍 오븐에서 5 분간 건조시키고, 건조 후의 필름을 유리판으로부터 박리하여, 막두께 및 리타데이션의 측정을 실시하였다.The dope was applied on a glass plate with an applicator, and the glass plate was dried in a hot air oven at 140° C. for 5 minutes, and the dried film was peeled from the glass plate, and the film thickness and retardation were measured.

[실시예 B1 ∼ B3 및 비교예 B1, B2][Examples B1 to B3 and Comparative Examples B1 and B2]

상기 합성예 B 에서 얻어진 도프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A1 ∼ A3 및 비교예 B1, B2 와 동일하게 하여 도프의 도포 및 건조를 실시하고, 얻어진 적층체의 연신 가공성을 확인하였다.Except having used the dope obtained in Synthesis Example B,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A1 to A3 and Comparative Examples B1 and B2, dope was applied and dried, and the stretch workability of the obtained laminate was confirmed.

[평가 결과] [Evaluation results]

상기 각 실시예에서 사용한 지지체의 기계 특성, 140 ℃ 에서 5 분간 건조 후의 도막의 광학 특성, 및 적층체의 연신 가공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에 있어서, Δn 은 두께 방향 복굴절 Δnout 의 절대값이다. 푸마르산에스테르계 수지 (부의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를 사용한 참고예 A, 실시예 A1 ∼ A3, 및 비교예 A1, A2 에서는, Δnout 은 부이고, 폴리알릴레이트계 수지 (정의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 를 사용한 참고예 B, 실시예 B1 ∼ B3, 및 비교예 B1, B2 에서는, Δnout 은 정이었다.Table 1 show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upport used in each of the above examples,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film after drying at 140° C. for 5 minutes, and the stretch processability of the laminate. In Table 1, Δn is the absolute value of the birefringence Δn out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Reference Examples A, Examples A1 to A3, and Comparative Examples A1 and A2 using fumaric acid ester resin (polymer having negative birefringence), Δn out is negative, and polyallylate resin (polymer having positive birefringence) is used. In the used Reference Example B, Examples B1 to B3, and Comparative Examples B1 and B2, Δn out was positive.

표 1 에 있어서의 Δn/Δn0 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도막의 Δn 과, 유리판 상에 도포를 실시한 참고예의 도막의 Δn0 의 비이다. 또한, 표 1 에서는, 각 참고예 및 실시예에 있어서의 건조 조건을 50 ℃ 에서 30 분간으로 변경한 경우의 도막의 두께 방향 복굴절의 절대값 Δn 도 함께 나타내고 있다.Δn/Δn 0 in Table 1 is a ratio of Δn of the coating film in each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and Δn 0 of the coating film of a reference example applied on a glass plate. In Table 1, the absolute value Δn of birefringen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ating film when the drying conditions in each of the reference examples and examples are changed from 50° C. to 30 minutes are also shown.

표 1 에 있어서의 연신 가공성은, 연신이 가능했던 것을 양호, 연신할 수 없었던 것을 불량으로 하였다.As for the stretching workability in Table 1, what was possible was made good, and what was not able to be stretched was made bad.

Figure 112016118938416-pct00001
Figure 112016118938416-pct00001

부의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가 사용된 참고예 A, 실시예 A1 ∼ A3, 및 비교예 A1, A2 의 모두에 있어서, 건조를 50 ℃ 에서 실시한 경우의 Δn 에 큰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지지체 상에서의 건조를 고온 (140 ℃) 에서 실시한 경우에는, 140 ℃ 에 있어서의 지지체의 탄성률이 작아짐에 따라서 Δn 이 작아지는 경향이 보이고, 비교예 A2 에서는, Δn 이 참고예 A 의 절반 정도까지 저하되어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작은 막두께이면서 큰 복굴절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얻기 위해서는, 건조 온도 부근에서의 탄성률이 높은 지지체를 사용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In all of Reference Examples A, Examples A1 to A3, and Comparative Examples A1 and A2 in which a polymer having negative birefringence was us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Δn when drying was performed at 50°C. On the other hand, when drying on the support is performed at a high temperature (140°C), Δn tends to decrease as the elastic modulus of the support at 140°C decreases, and in Comparative Example A2, Δn is about half of that of Reference Example A. It was lowered to. From this result, it is understood that in order to obtain a retardation film having a small film thickness and a large birefringence, it is necessary to use a support having a high elastic modulus near the drying temperature.

한편, 140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이 1000 ㎫ 를 초과하는 비교예 A1 은, 지지체와 도막을 일체로 연신하기가 곤란하였다. 비교예 B1 도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A1 in which the elastic modulus at 140°C exceeded 1000 MPa, it was difficult to extend the support and the coating film integrally. The same is true for Comparative Example B1.

정의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가 사용된 실시예 B1 ∼ B3 및 비교예 B2 에 있어서도, 상기한 실시예 A1 ∼ A3 및 비교예 A2 와 동일하게, 지지체의 140 ℃ 에 있어서의 탄성률의 저하에 수반하여 140 ℃ 에서 건조 후의 도막의 Δn 의 저하가 관찰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폴리머의 종류에 상관없이 소정의 탄성률을 갖는 지지체를 사용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이 높은 복굴절을 갖고, 또한 지지체와 도막을 일체로 연신할 때의 연신 가공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In Examples B1 to B3 and Comparative Example B2 in which polymers having positive birefringence were us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A1 to A3 and Comparative Example A2 described above, 140° C. accompanied by a decrease in the elastic modulus of the support at 140° C. A decrease in Δn of the coating film after drying was observed at.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by using a support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modulus irrespective of the type of polymer, the retardation film has high birefringence and is excellent in stretching workability when the support and the coating film are integrally stretched.

1, 6 : 지지체
2, 3 : 적층체
4 : 위상차 필름
9 : 필름
5 : 적층체
10 : 지지체 권회체
20 : 적층체 권회체
50 : 위상차 필름 적층체 권회체
11, 22 : 조출부
21, 51 : 권취부
110 : 제막부
120 : 건조로
130 : 연신부
139 : 가열로
160 : 박리부
170 : 검사부
171 : 위상차계
172 : 결점 검출부
190 : 첩합부
1, 6: support
2, 3: laminated body
4: retardation film
9: film
5: laminated body
10: support winding body
20: laminated winding body
50: retardation film laminate winding body
11, 22: feeder
21, 51: winding part
110: production section
120: drying furnace
130: extension
139: heating furnace
160: peeling part
170: inspection unit
171: phase difference meter
172: defect detection unit
190: bonding part

Claims (8)

지지체 필름 상에, 부 (負) 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의 수지 용액이 도포되는 도포 공정;
상기 수지 용액이 가열에 의해 건조되고, 상기 지지체 필름 상에 부의 고유 복굴절을 갖는 폴리머의 도막이 밀착 적층된 적층체가 형성되는 건조 공정; 및
상기 적층체가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신되어, 상기 도막에 광학 이방성이 부여되는 연신 공정을 이 순서대로 갖고,
상기 지지체 필름은,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며, 상기 도포 공정 전에 있어서 140 ℃ 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이 200 ㎫ ∼ 1000 ㎫ 인,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A coating process in which a resin solution of a polymer having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is applied onto the support film;
A drying process in which the resin solution is dried by heating, and a laminate in which a coating film of a polymer having negative intrinsic birefringence is closely laminated is formed on the support film; And
The laminated body is stretched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has a stretching step in which optical anisotropy is imparted to the coating film in this order,
The support film is a crystalline polyester film, and the tensile modulus at 140°C is 200 MPa to 1000 MPa before the coating ste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인,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for producing a retardation film, wherein the crystalline polyester is a polyethylene-terephthalate/isophthalate copoly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로부터 지지체가 박리되는 박리 공정을 추가로 갖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for producing a retardation film, further comprising a peeling step in which the support is peeled from the lamin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공정에 있어서, 자유단 1 축 연신이 실시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retching step, the free end uniaxial stretching is performed, the method for producing a retardation fil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 공정에 있어서, 상기 도막이, nz > nx > ny 의 광학 이방성을 갖도록 연신이 실시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단, nx 및 ny 는 각각 도막의 면내의 지상축 방향 및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z 는 도막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retching step, a method for producing a retardation film in which stretching is performed so that the coating film has optical anisotropy of nz>nx> ny (however, nx and ny are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in-plane slow axis direction and fast axis direction of the coating film, respectively And nz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ating fil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공정에 있어서 건조 후의 도막의 막두께가 30 ㎛ 이하인,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for producing a retardation film, wherein the film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after drying in the drying step is 30 µm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공정에 있어서, 100 ℃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가 실시되는,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drying step, drying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00° C. or higher.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이 적층된 적층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위상차 필름이 제조되고,
상기 위상차 필름 상에, 편광자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편광판의 제조 방법.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olarizer and a retardation film are laminated,
A retardation film is produc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polarizing plate, wherein an optical film including a polarizer is laminated on the retardation film.
KR1020167034018A 2014-06-05 2015-02-10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polarizing plate KR10223404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17130 2014-06-05
JP2014117130A JP6376849B2 (en) 2014-06-05 2014-06-05 Method for producing retardation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polarizing plate
PCT/JP2015/053694 WO2015186379A1 (en) 2014-06-05 2015-02-10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polarizing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354A KR20170016354A (en) 2017-02-13
KR102234047B1 true KR102234047B1 (en) 2021-03-30

Family

ID=54766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018A KR102234047B1 (en) 2014-06-05 2015-02-10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polarizing plat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76849B2 (en)
KR (1) KR102234047B1 (en)
CN (1) CN106415340B (en)
WO (1) WO201518637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438B1 (en) * 2016-07-01 2020-03-2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Optical laminate and display device
JP7327390B2 (en) * 2018-05-08 2023-08-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SUBSTRATE FILM FOR LIQUID CRYSTAL COATING, OPTICAL FILM WITH TEMPORARY SUPPORT CONTAIN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CONTAINING THE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SE
JP7145954B2 (en) * 2018-08-17 2022-10-03 大阪ガスケミカル株式会社 Retardation film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426168B1 (en) * 2019-03-12 2022-07-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7317549B2 (en) * 2019-04-02 2023-07-31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8545A (en) 2003-11-18 2005-06-09 Nitto Denko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optical film,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5181451A (en) * 2003-12-16 2005-07-07 Nitto Denko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birefringent film and optical fil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1118421A (en) 2004-05-18 2011-06-16 Fujifilm Corp Optical compensa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1227430A (en) 2009-06-19 2011-11-10 Nitto Denko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JP2012027260A (en) 2010-07-23 2012-02-09 Dainippon Printing Co Ltd Polarizing sheet laminat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6068A (en) 2002-01-23 2004-02-12 Nitto Denko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birefringent layer, and optical film including the birefringent layer
JP2007007901A (en) * 2005-06-28 2007-01-18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Identification card
JP5064738B2 (en) * 2005-08-22 2012-10-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Transparent polymer film, production method thereof, retardation film us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096865B2 (en) 2007-09-07 2012-12-12 日東電工株式会社 Optical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938632B2 (en) 2007-12-07 2012-05-23 日東電工株式会社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324316B2 (en) * 2008-05-27 2013-10-23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540863B2 (en) * 2010-04-22 2014-07-02 住友化学株式会社 RESIN FILM WITH ADHESIVE AND OPTICAL LAMINAT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8545A (en) 2003-11-18 2005-06-09 Nitto Denko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optical film,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5181451A (en) * 2003-12-16 2005-07-07 Nitto Denko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birefringent film and optical fil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1118421A (en) 2004-05-18 2011-06-16 Fujifilm Corp Optical compensa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1227430A (en) 2009-06-19 2011-11-10 Nitto Denko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
JP2012027260A (en) 2010-07-23 2012-02-09 Dainippon Printing Co Ltd Polarizing sheet lami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230415A (en) 2015-12-21
CN106415340A (en) 2017-02-15
WO2015186379A1 (en) 2015-12-10
CN106415340B (en) 2019-02-19
KR20170016354A (en) 2017-02-13
JP6376849B2 (en)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8929B2 (en) Method for producing retardation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polarizing plate
TWI514042B (en) An optical function film continuous ro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an optical function film bonding apparatus
TWI545017B (en) An optical function film continuous ro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an optical function film bonding apparatus
KR10223404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differenc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yered polarizing plate
TWI805917B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56337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60002902A (en) Polyester film, polaris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201400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polarizer,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9223163A (en) Retardation film
KR20170110675A (en) Method for producing oblique stretched film
TWI679118B (en)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TW201543087A (en)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91747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er, polarizer,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103934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tardation plate, retardation plate and polarizing plate
TW202200685A (en) Polyester film for protecting polarizer,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202012976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polarizing film roll
KR20240019846A (en) Retardation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629158B (en) Phase differenc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0651205B (en) Circular polarizing film, circular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TW202405068A (en) Polyester film for protecting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202026152A (en) Polarizing plate with retard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