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868B1 - 태양전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868B1
KR102233868B1 KR1020140013196A KR20140013196A KR102233868B1 KR 102233868 B1 KR102233868 B1 KR 102233868B1 KR 1020140013196 A KR1020140013196 A KR 1020140013196A KR 20140013196 A KR20140013196 A KR 20140013196A KR 102233868 B1 KR102233868 B1 KR 102233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lamp
hole
body portion
cel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2613A (ko
Inventor
우병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3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868B1/ko
Publication of KR20150092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20Collapsible or foldable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어셈블리는, 둘레를 감싸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이웃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을 서로 결속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후면으로 형성되며, 결합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플랜지에 마주하며, 상기 결합구멍과 마주하는 제1 구멍을 포함하는 바디부와, 상기 플랜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바디부와 마주하며, 상기 결합구멍과 마주하는 제2 구멍을 포함하는 다리부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Description

태양전지 어셈블리{a solar cell assembly}
본 발명은 클램프를 사용해서 이웃한 태양전지 모듈을 연결한 채 이를 거치대(또는, 다른 구조물)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태양전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신 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태양 에너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전지가 주목 받고 있다.
일반적인 태양전지는 p형과 n형처럼 서로 다른 도전성 타입(conductive type)의 반도체로 각각 이루어지는 기판(substrate) 및 에미터부(emitter layer), 그리고 기판과 에미터부에 각각 연결된 전극을 구비한다. 이때, 기판과 에미터부의 계면에는 p-n 접합이 형성된다.
이러한 태양전지에 빛이 입사되면 반도체 내부의 전자가 광전 효과(photoelectric effect)에 의해 자유전자(free electron)(이하, '전자'라 함)가 되고, 전자와 정공은 p-n 접합의 원리에 따라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 쪽으로, 예를 들어 에미터부와 기판 쪽으로 각각 이동한다. 그리고 이동한 전자와 정공은 기판 및 에미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각의 전극에 의해 수집된다.
이러한 태양전지는 다수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한 후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으로 팩키징(packaging)해서 물리적 충격이나, 바람, 비와 같은 자연 환경에서 태양전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받아야 발전할 수 있으므로, 거치대에 설치한 채 건물의 옥상이나, 들판 등 실외에 놓아 두고, 사용한다.
거치대는 통상적으로 지주, 이 지주에 설치되는 세로바 및 가로바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세로바 및 가로바는 태양전지 모듈을 받치기 위한 프레임으로 사각 파이프, 앵글, 찬넬 등으로 이뤄진다.
태양전지 모듈은 거치대에 클램프를 이용해서 조립되는데, 클램프는 기계적으로 태양전지 모듈과 거치대 사이를 구속해, 태양전지 모듈을 안전하게 거치대에 고정한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클램프 체결 방식은 태양전지 모듈 전면에서, 태양전지 모듈과 모듈 사이에 클램프를 배치해 둘 사이를 기계적으로 연결시키고, 이를 거치대에 결합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태양전지 모듈의 크기가 제조사마다 틀리기 때문에, 이에 맞춰 클램프 역시도 다양하게 존재한다. 때문에, 설치시 마다 다양한 종류의 클램프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창안된 것으로, 태양전지 모듈의 크기에 상관없이 하나의 클램프로 태양전지 모듈을 연결하고, 이를 거치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어셈블리는, 둘레를 감싸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이웃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을 서로 결속시키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후면으로 형성되며, 결합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플랜지에 마주하며, 상기 결합구멍과 마주하는 제1 구멍을 포함하는 바디부와, 상기 플랜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바디부와 마주하며, 상기 결합구멍과 마주하는 제2 구멍을 포함하는 다리부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바디부에 마련된 제1 구멍과, 상기 다리부에 마련된 제2 구멍, 그리고 상기 플랜지에 마련된 결합구멍에 고정부재를 체결해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의 바디부가 서로 이웃한 두 태양전지 모듈의 프레임에 각각 마련된 두 플랜지에 대응하게 위치하고, 상기 다리부는 각각의 플랜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바디부와 각각 마주해, 서로 이웃한 두 태양전지 모듈은 하나의 클램프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바디부는 평면 모습이 "I"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구멍은 4곳 모퉁이에서 각각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다리부는 상기 돌출된 부분에서 안쪽으로 접힐 수 있게 상기 바디부에 힌지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는 일정한 너비를 갖는 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디부 위에 위치하는 간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부의 중앙에서 간격부재 및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는 제3 구멍 역시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어셈블리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을 지지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제3 구멍에 고정부재를 체결해 상기 거치대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클램프는 현재까지 제안된 다른 클램프와 다르게, 모든 종류의 모듈이 다 가지고 있는 프레임에 마련된 플랜지를 이용해서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클램프 하나만 사용해서 모든 종류의 모듈을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클램프는 모듈의 후면에 결합이 되므로, 종전처럼 모듈의 전면에서 작업 중 발생하는 사고로 인해 모듈이 깨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램프는 이웃한 두 장의 모듈을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4개의 태양전지 모듈이 모이는 코너에 대응하게 설치돼 4개의 태양전지 모듈을 결속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클램프들은 2개의 태양전지 모듈을 결속할 수 만 있었지만, 본 발명의 클램프는 이보다 2배 많은 4개의 태양전지 모듈을 결속할 수 있으므로, 태양전지 모듈 설치시 클램프의 개수를 종전보다 반으로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작업 시간 역시 반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태양전지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도시한 클램프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클램프가 두 장의 태양전지 모듈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클램프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이 거치대에 결합된 단면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클램프가 4장의 태양전지 모듈을 연결하는 모습을 평면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어셈블리(10)는 거치대(20)와 이 거치대(20)에 설치되는 태양전지 모듈(100)을 포함한다.
거치대(20)는 지주(21), 세로바(23) 및 가로바(25)를 포함하며, 지주(21)는 원통파이프, 빔, 앵글 등으로 할 수 있다. 이 지주(21)는 지반, 지붕, 옥상, 빛을 받을 수 있는 곳에 브라켓(21a)을 통해 설치되고, 태양광을 받을 수 있는 환경요건에 따라 고정형 형태로 구성되거나, 또는 태양전지 모듈(100)이 태양의 위치에 맞춰 움직이는 추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형은 태양전지 모듈의 경사 각도가 고정된 형태이고, 추적형은 태양전지 모듈이 태양의 위치에 맞춰 움직이는 형태이다.
세로바(23) 및 가로바(25)는 태양전지 모듈(100)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사각 파이프, 앵글, 찬넬 등으로 일정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것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중 세로바(23)는 2개가 쌍을 이루고 있으며, 서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세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돼, 태양전지 모듈(100)의 세로 방향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그리고, 가로바(25)는 세로바(23)와 교차하게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며, 세로바(23)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태양전지 모듈(100)에 대해 2 개가 쌍을 이루며 배치돼 있고, 또한 서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태양전지 모듈(100)의 가로 방향 가장 자리를 지지한다.
이처럼, 세로바(23) 및 가로바(25)는 사각 틀 형태로 배치돼 태양전지 모듈(100)을 지지하므로, 설치 및 조립 등이 쉽게 사각파이프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 같은 세로바(23) 및 가로바(25)는 지지하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개수에 맞춰 그 개수가 결정되며, 이 실시예에서는 태양전지 모듈(100)이 2개인 경우를 설명한다. 따라서, 가로 방향으로 2개의 가로바(25)가 사용되며, 세로 방향으로 각 태양전지 모듈(100)의 좌, 우측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4개가 사용된다.
이처럼, 세로바(23) 및 가로바(25)에 의해 지지되는 태양전지 모듈(100)은 클램프(30)를 이용해서 이웃한 것끼리 체결된 채, 세로바(23) 또는 가로바(25)에 고정된다.
한편,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태양전지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서, 태양전지 모듈(100)은 복수의 태양전지(110)들, 인접한 태양전지(1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커넥터(120), 태양전지(110)들을 보호하는 보호막(130), 태양전지(110)들의 수광면 쪽으로 보호막(130) 위에 배치되는 투명 부재(140), 및 수광면 반대 쪽으로 보호막(130)의 하부에 배치되는 불투명 재질의 후면 시트(back sheet)(150)와, 이들의 테두리를 감싸 보호하는 프레임(160)을 포함한다.
후면 시트(150)는 태양전지 모듈(100)의 후면에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태양전지(11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이와 같이, 후면 보호 부재로 기능하는 후면 시트(150)는 수분과 산소 침투를 방지하는 층, 화학적 부식을 방지하는 층, 절연 특성을 갖는 층과 같은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호막(130)은 태양전지(110)들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라미네이션 공정에 의해 태양전지(110)들과 일체화 되는 것으로, 습기 침투로 인한 부식을 방지하고 태양전지(11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이와 같이, 밀봉 부재로 기능하는 보호막(130)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막(130) 위에 위치하는 투명 부재(140)는 투과율이 높고 파손 방지 기능이 우수한 강화 유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강화 유리는 철 성분 함량이 낮은 저 철분 강화 유리(low iron tempered glass)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면 보호 부재로 기능하는 투명 부재(140)는 빛의 산란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내측면이 엠보싱(embossing) 처리될 수 있다.
복수의 태양전지(110)는 행렬 구조로 배열되어 있으며, 행과 열 방향으로 배치되는 태양전지(11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이처럼 행렬 구조로 배열된 태양전지(110)는 이웃한 것과 인터커넥터(12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이처럼 구성되는 태양전지 모듈(100)을 서로 연결하는 클램프(30)를 보여주며, 도 4는 클램프(30)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 모습을 보여준다.
도 3 및 도 4에서, 클램프(30)는 태양전지 모듈(100)을 구속해 거치대(100)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바디부(31) 및 4 모퉁이에 형성된 다리부(33)를 포함한다. 바디부(31)는 "I"자 평면 형상을 갖는 다면체로, 평탄한 바닥면을 갖고 있으며, 그 중앙에는 볼트 결합을 위한 제1 구멍(31a)이 형성돼 있다.
다리부(33)는 힌지(33a)를 통해 바디부(31)의 양단에서 돌출된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힌지(33a)가 경첩으로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나, 다리부(33)가 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처럼 다리부(33)가 힌지(33a)를 매개로 바디부(31)에 연결돼 있으므로, 다리부(33)는 힌지(33a)를 축으로 회전해 바디부(31)쪽으로 접힌다.
다리부(33)의 끝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주름(33b)이 형성되거나, 주름(33b)을 대신해 미끄럼 방지 패드(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이 다리부(33)의 중앙에는 볼트 결합을 위한 제2 구멍(33c)이 형성돼 있다. 그리고, 다리부(33)를 힌지(33a)를 중심으로 접었을 때, 제2 구멍(33c)과 마주하는 위치로 제3 구멍(31b)이 바디부(31)에도 형성돼 있다.
선택적으로, 클램프(30)는 바디부(3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떨어져 구성되는 간격부재(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이 간격부재(35)가 바디부(31)와 별도로 구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간격부재(35)는 직육면체로, 그 중앙에 관통구(35a)가 형성돼 있다. 관통구(35a)는 간격부재(35)가 바디부(31)에 조립됐을 때, 바디부(31)의 제1 구멍(31a)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간격부재(35)는 클램프(30)로 이웃한 두 태양전지 모듈을 연결할 때, 모듈과 모듈 사이에 위치해 모듈 사이가 최소한의 간격은 떨어져 있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이처럼 구성되는 클램프(30)를 이용해서 이웃한 태양전지 모듈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태양전지 모듈이 클램프에 의해 거치대에 결합된 단면 모습을 예시한다.
도 4 및 도 5에서, 태양전지 모듈(100)의 일부로 구성되는 프레임(160)은 후면으로 위치하는 플랜지(flange)(160a)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플랜지(160a)는 소정의 너비를 가진 얇은 부재이며, 클램프(3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구멍(160b)이 형성돼 있다.
바디부(31)의 평탄한 바닥면을 이웃한 두 모듈의 플랜지(160a)에 걸쳐 맞닿게 한 상태로, 제3 구멍(31b)이 플랜지(160a)의 결합 구멍(160b)과 각각 마주하게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다리부(33)를 안쪽으로 접어 바디부(31)와 다리부(33) 사이에 프레임의 플랜지(160a)가 위치하도록 조립한다.
이에 따라, 바디부(31)의 제3 구멍(31b), 플랜지(160a)의 결합 구멍(160b), 다리부(33)의 제 2 구멍(33c)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클램프(30)를 프레임(160)의 플랜지(160a)에 고정한 상태에서, 볼트(또는, 나사)와 고정부재(51)를 구멍들에 너트(53)로 체결해 클램프(30)를 고정시킨다.
이때, 간격부재(35)가 모듈과 모듈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모듈은 최소한 간격부재(35)의 너비(w)만큼 떨어져 결속이 되므로, 모듈끼리 부딪쳐 깨지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클램프(30)를 사용해서 태양전지 모듈(100)을 연결한 다음에, 바디부(31)에 마련된 제1 구멍(31a)에 고정부재(51)를 체결해 거치대(20)에 고정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100)을 거치대(20)에 고정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클램프(30)는 지금까지 제안된 다른 클램프와 다르게, 모든 종류의 모듈이 다 가지고 있는 프레임에 마련된 플랜지(160a)를 이용해서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클램프(30) 하나만 사용해서 모든 종류의 모듈을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클램프(30)는 모듈의 후면에 결합이 되므로, 종전처럼 모듈의 전면에서 작업 중 발생하는 사고로 인해 모듈이 깨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웃한 두 태양전지 모듈을 클램프(30)로 구속한 경우를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클램프는 도 5에서는 예시하는 바처럼 4개의 태양전지 모듈이 모이는 코너에 대응하게 설치돼 4개의 태양전지 모듈을 결속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클램프들은 2개의 태양전지 모듈을 결속할 수 만 있었지만, 본 발명의 클램프는 이보다 2배 많은 4개의 태양전지 모듈을 결속할 수 있으므로, 태양전지 모듈 설치시 클램프의 개수를 종전보다 반으로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작업 시간 역시 반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다리부(33)가 힌지(33a)를 매개로 바디부(31)에 연결된 것으로 설명했으나, 다리부(33)는 바디부(31)와 별개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힌지(33a)는 당연히 필요가 없다. 나아가, 상술한 실시예는 바디부(31)가 "I"자 모양의 다면체로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클램프로 이웃한 모듈을 결속한 후, 이를 거치대에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거치대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다른 구조물에 결합해 태양전지 어셈블리를 구성하거나, 아니면 두 모듈만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둘레를 감싸도록 프레임이 설치된 태양전지 모듈과,
    이웃한 두 태양전지 모듈의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이웃한 두 태양전지 모듈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결합 구멍이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결합구멍과 마주하는 제1 구멍을 포함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단부에 힌지로 연결되고, 제2 구멍이 형성된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바디부가 이웃한 두 태양전지 모듈의 프레임에 각각 마련된 두 플랜지에 대응하게 위치하고, 상기 다리부가 상기 각각의 플랜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바디부와 각각 마주하게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에 마련된 제1 구멍, 상기 다리부에 마련된 제2 구멍, 그리고 상기 플랜지에 마련된 결합구멍에 제1 고정부재를 채결해 상기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떨어져 상기 플랜지에 체결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바디부에 마련된 제3 구멍에 제2 고정부재를 체결해 거치대에 고정되는 태양전지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평면 모습이 "I"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구멍은 4곳 모퉁이에서 각각 돌출된 부분에 형성되는 태양전지 어셈블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일정한 너비를 갖는 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이웃한 두 태양전지 모듈 사이로 상기 바디부 위에 위치하는 간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멍은 상기 바디부의 중앙에서 간격부재 및 상기 바디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태양전지 어셈블리..
  8. 삭제
KR1020140013196A 2014-02-05 2014-02-05 태양전지 어셈블리 KR102233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196A KR102233868B1 (ko) 2014-02-05 2014-02-05 태양전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196A KR102233868B1 (ko) 2014-02-05 2014-02-05 태양전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613A KR20150092613A (ko) 2015-08-13
KR102233868B1 true KR102233868B1 (ko) 2021-03-30

Family

ID=54056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196A KR102233868B1 (ko) 2014-02-05 2014-02-05 태양전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540B1 (ko) * 2023-07-25 2024-02-20 제이케이이앤에스 주식회사 태양광모듈 설치용 신속 체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346B1 (ko) * 2020-06-03 2021-01-22 정철규 태양광 패널 고정용 클램핑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378Y1 (ko) * 2003-04-16 2003-07-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자재용 태양전지 모듈 고정 프레임
KR101213439B1 (ko) * 2012-08-22 2012-12-18 (주) 정암씨엔에스 유로폼 고정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의 일체적 지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482U (ko) * 2008-08-28 2010-03-10 우리에너지뱅크(주) 태양전지모듈 고정 클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378Y1 (ko) * 2003-04-16 2003-07-3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건자재용 태양전지 모듈 고정 프레임
KR101213439B1 (ko) * 2012-08-22 2012-12-18 (주) 정암씨엔에스 유로폼 고정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의 일체적 지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540B1 (ko) * 2023-07-25 2024-02-20 제이케이이앤에스 주식회사 태양광모듈 설치용 신속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613A (ko)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6977B2 (ja) 太陽電池の分極のモジュールレベルの解決法
KR100990117B1 (ko) 태양 전지 패널
US20150171788A1 (en) Solar module junction box bypass diode
JP6216504B2 (ja) 太陽光発電装置
JP2012138533A (ja) 太陽電池ストリング、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50031885A (ko) 태양전지 모듈
KR102233868B1 (ko) 태양전지 어셈블리
US9972726B2 (en) Photovoltaic apparatus
JP2018046204A (ja) 太陽光発電ユニットと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補修方法
KR20120035515A (ko) 태양광 발전장치
US20110146761A1 (en) Solar module array and grounding structure thereof
JP201407866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50096984A (ko) 태양전지 모듈 고정용 클램프
KR20150031975A (ko) 태양전지 모듈
KR101327014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2012251304A (ja) 太陽光発電装置および太陽光発電装置用スペーサ
TWI630788B (zh) 混合式太陽能模組
KR101393219B1 (ko) 태양전지 패널 및 이의 설치 구조
US20150303866A1 (en) Concentrating solar cell module panel having stiffness and concentrating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same
TWI525846B (zh) 太陽電池模組
KR101364541B1 (ko) 태양광 발전장치
US20160285413A1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Solar Panel Module
JP2011155217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10006351A (ko) 태양 전지 패널
US202002952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olar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