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769B1 - 이중컵 - Google Patents

이중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769B1
KR102233769B1 KR1020190092008A KR20190092008A KR102233769B1 KR 102233769 B1 KR102233769 B1 KR 102233769B1 KR 1020190092008 A KR1020190092008 A KR 1020190092008A KR 20190092008 A KR20190092008 A KR 20190092008A KR 102233769 B1 KR102233769 B1 KR 102233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inner cup
outer cup
rib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4022A (ko
Inventor
이병국
조경식
이상봉
김그레이스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2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7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4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65D81/38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with doub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 기능이 향상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 이중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컵{DUAL CUP}
본 발명은 이중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 기능이 향상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 이중컵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로 조리하거나 뜨거운 물을 붓고 조리하는 제품에 있어서, 내용물이 뜨겁게 조리되어야 보다 우수한 맛과 식감을 갖고 취식할 수 있다. 그러나, 내용물이 뜨거우면 포장재도 뜨거워 취식 시 어려움이 있고 잡을 수 없어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이 이중컵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여전히 그 기능 면에서 한계가 존재하여, 내용물과 이중컵 바깥쪽의 뜨거움은 동일함을 나타내었다. 즉, 내용물이 뜨거우면 이중컵 바깥쪽 또한 뜨거워서 사용자가 사용할 때 불편함을 느꼈다.
특히,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종이 이중컵의 경우 내면 재질에 따라서 전자레인지 조리가 가능하고 뜨거운 물을 부어서 조리하여 취식이 가능하나, 표면이 손으로 잡을수 있을 정도의 온도로 단열이 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조리 후 테이블 위에 놓고 취식하거나 내용물이 없는 상단 부분을 잡게 된다. 이럴 경우 종이컵의 경우 외경이 작은 컵은 괜찮으나 컵 직경이 100mm 가 넘을 경우 힘이 없어 변형이 되거나 찌그러져서 손안에서 이탈하여 떨어뜨려 소비자가 취식 시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내용물을 고온으로 할 경우에도 사용자가 이중컵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안쪽과 바깥쪽 온도를 차이 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 과정에서 형태 변형이 방지되는 이중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14-006835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안쪽과 바깥쪽 온도를 차이 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중컵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컵은, 바닥면부, 및 측면부를 포함하는 내컵; 및 상하 관통된 중공을 갖는 외컵;을 포함하며, 상기 내컵과 상기 외컵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내컵과 외컵이 결합되면 상기 외컵은 상기 내컵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며, 상기 내컵은,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연장되며, 측면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바(bar) 형상을 갖는 입체 구조로 구성되는 리브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측면부는, 상부분, 및 상기 상부분 아래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분의 외면은 상기 중간 부분보다 내컵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분과 중간 부분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부는 상기 상부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간 부분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리브부는, 제1 리브와 제2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제2 리브보다 짧은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리브의 하부에는 상기 내컵과 상기 외컵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외컵의 적어도 일 부분이 맞닿는 끼움 영역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컵의 하단부는, 모서리에 라운딩이 형성된 다각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모서리 사이에 위치하는 이중컵.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컵은, 바닥면부, 및 측면부를 포함하는 내컵; 및 상하 관통된 중공을 갖는 외컵;을 포함하며, 상기 내컵과 상기 외컵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내컵과 외컵이 결합되면 상기 외컵은 상기 내컵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며, 상기 내컵은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외컵은 상단부에 구비되는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내컵과 외컵이 결합되면 상기 하부 플랜지의 상부에 상기 상부 플랜지가 위치하여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가 서로 맞닿게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상부 플랜지는, 상기 측면부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측면부의 상단부에서 내컵의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측면부보다 더 돌출되는 플랜지 바디, 상기 플랜지 바디의 외측 방향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소정 폭 만큼 돌출되는 돌출 윙, 및 상기 돌출 윙의 하단에서 내컵의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폭 만큼 돌출되는 앵커 돌부를 포함하여, 상기 내컵과 외컵이 결합되면 상기 하부 플랜지가 상기 앵커 돌부에 걸려져서 상기 상부 플랜지 내에 상기 하부 플랜지가 끼워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컵은, 바닥면부, 및 측면부를 포함하는 내컵; 및 상하 관통된 중공을 갖는 외컵;을 포함하며, 상기 내컵과 상기 외컵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내컵과 외컵이 결합되면 상기 외컵은 상기 내컵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며, 상기 외컵은,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외컵의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 게이트는, 상기 내컵과 외컵이 결합되면 상기 내컵의 적어도 일 부분을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눌러 가압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 게이트는, 상기 외컵의 하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상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컵의 측면부는, 상기 외컵과 결합될 때 상기 돌출 게이트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끼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끼움 영역은, 상기 내컵의 측면부의 다른 영역과 상이한 기울기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끼움 영역은, 기울기각이 수직인 수직 구간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컵의 하단부는, 모서리에 라운딩이 형성된 다각 형상을 갖고, 상기 끼움 영역은 상기 모서리 사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컵의 상하 방향 높이는 상기 내컵의 상하 방향 높이의 1/3 내지 3/4 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컵 및 외컵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프로필렌 소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컵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중컵과 비교하였을 때, 내부에 비해 외부의 온도가 비교적 낮게 유지되며, 조리 후 시간이 지나도 이중컵 내부의 온도가 비교적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컵은 리브부가 구비됨에 따라서, 내컵의 강도가 보강되어, 사용 과정에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내컵 내에 충진된 고온의 음식물 등에 의한 열이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고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양각 구조의 리브부를 구비함으로서, 외컵과 내컵 사이의 이격 거리가 더 커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이중컵은, 별도의 동작이나 접착제가 필요없이, 외컵 상에 내컵을 하방향으로 투입시키면 자연스럽게 외컵과 내컵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컵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게이트를 이용하여 외컵과 내컵 사이를 이격시키고 외컵과 내컵 사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컵은, 사출 성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컵의 내컵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내컵을 아래에서 비스듬하게 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내컵을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은 내컵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내컵을 아래에서 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컵의 외컵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외컵을 아래에서 비스듬하게 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은 외컵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외컵을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컵의 외컵의 제조 형태와, 비교예에 의한 외컵의 제조 형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컵의 외컵과 내컵의 결합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컵의 외컵과 내컵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a) 는 외컵과 내컵이 결합된 상태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b) 는 외컵과 내컵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및 12 는, 외컵의 돌출 게이트와 내컵 사이의 접촉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컵의 온도 구배와 종래 기술에 의한 종이 이중컵의 온도 구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컵은 내컵(100), 및 외컵(200)을 포함한다.
먼저, 내컵(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컵의 내컵(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울러, 도 2 는 내컵(100)을 위에서 아래로 본 도면이고, 도 3 은 내컵(1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는 내컵(100)을 아래에서 위로 본 도면이다. 이하의 내컵(100)에 관한 설명에서, 상, 하 방향은 도 1 에 표시된 상, 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내컵(100)은 바닥면부(102), 및 측면부(104)를 포함하는 컵 형상을 갖는다. 아울러, 측면부(104)에는 상부 플랜지(120)가 구비된다.
내컵(100)은 플라스틱 소재일 수 있으며, 일 예로 폴리프로필렌 소재일 수 있다.
바닥면부(102)는 내컵(100)의 바닥부를 구성하며, 소정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바닥면부(102)는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바닥면부(102)는 모서리에 라운딩이 형성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닥면부(102)의 형상이 모서리에 라운딩이 형성된 사각형 형상을 가짐에 따라서, 내용물이 투입된 후, 내컵(100)이 지면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측면부(104)는 내컵(100)의 측면을 구성하며, 바닥면부(102)의 외측 둘레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된다. 측면부(104)의 하단은 바닥면부(102)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측면부(104)의 하단은 바닥면부(102)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사각형, 또는 모서리에 라운딩이 형성된 사각형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측면부(104)의 상단 또한 원형, 사각형, 또는 모서리에 라운딩이 형성된 사각형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측면부(104)의 상단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측면부(104)의 상단이 원형 형상을 가짐에 따라서, 사용자가 음식물을 음용하는 것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부(104)는 상부 플랜지(120)에 인접한 상부분(104a), 상부분(104a) 아래의 중간 부분(104b), 및 바닥면부(102)에 인접한 하부분(104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분(104a)의 외면은 중간 부분(104b)보다 내컵(10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분(104a)과 중간 부분(104b) 사이에는 단차(104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104d)는 사용자가 내컵(100)의 내부, 및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함으로서, 예컨대 물 양을 조절하는 물 부음 선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리브부(110)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연장되며, 측면부(104)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바(bar) 형상의 입체 구조로 구성된다. 리브부(110)는 내컵(100)의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양각 입체일 수 있다.
리브부(1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리브부(110)는 측면부(104)의 둘레를 따라서 둘레 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사이 간격을 가지며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리브부(110)는 서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리브부(110)가 구비됨에 따라서, 내컵(100)의 강도가 보강되어,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이중컵을 손으로 잡았을 때, (특히 상부분을 잡았을 때) 이중컵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리브부(110)에 의해서 외컵(200)과 내컵(100)을 결합시켰을 때, 외컵(200)과 내컵(100) 사이의 접촉 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특히, 리브부(110)가 내컵(100)의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입체 구조로 구성될 경우, 리브부(110)에 의해서 외컵(200)과 내컵(100) 사이에 소정의 간격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컵(100) 내에 충진된 고온의 음식물 등에 의한 열이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고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리브부(110) 중 일부의 리브부(110)는 다른 리브부(110)에 비해서 상하 방향으로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리브부(110)를 제1 리브(110a)라고 하고, 긴 길이를 갖는 리브부(110)를 제2 리브(110b)라고 할 경우, 상기 제1 리브(110a)의 하부에는 끼움 영역(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컵(100)의 바닥면부(102)는 모서리에 라운딩이 형성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내컵(100)은 둥근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각각 구획되는 4 개의 외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 영역(112)은, 각각 내컵(100)의 4 개의 외면의 중간 부분(모서리 부분이 아닌 평면 부분으로서, 모서리 사이의 중간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리브(110a)는 내컵(100)의 4 개의 외면의 중간 부분(모서리 부분이 아닌 평면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컵(100)은 복수 개의 모서리를 갖는 비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끼움 영역(112)은 상기 모서리 사이의 중간 위치에 위치한다고 설명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끼움 영역(112)은 상기 측면부(104)의 다른 부분과 상이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끼움 영역(112) 에는 수직 구간(114, 도 12 에 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리브부(110)는 내컵(100)을 사출 성형할 때 걸려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리브부(110)는 상기 측면부(104)의 중간 부분(104b)에 형성되며, 리브부(110)의 상단은 상기 상부분(104a)와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부분(104a)과 리브부(110)는 양각 부분이며, 중간 부분(104b)의 다른 부분은 음각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하부분(104c)에는 리브부(11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부 플랜지(120)는 플랜지 바디(122), 돌출 윙(124), 및 앵커 돌부(126)를 포함한다.
플랜지 바디(122)는 측면부(104)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측면부(104)의 상단부에서 내컵(100)의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측면부(104)보다 더 돌출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내컵(100)을 위, 아래 방향에서 볼 때, 플랜지 바디(122)는 측면부(104)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는 고리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 윙(124)은 플랜지 바디(122)의 외측 방향 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소정 폭 만큼 돌출되게 구성된다.
앵커 돌부(126)는 돌출 윙(124)의 하단에 구비된다. 앵커 돌부(126)는 돌출 윙(124)의 하단에서 내컵(100)의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폭 만큼 돌출되게 구성된다.
앵커 돌부(126)는 돌출 윙(124)의 일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돌출 윙(124)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각각의 앵커 돌부(126)는 돌출 윙(124)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크기의 폭을 갖는다. 아울러, 앵커 돌부(126)는 복수 개 마련되고, 복수 개의 앵커 돌부(126)는 서로 소정의 이격폭을 갖고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플랜지(120)부에 있어서, 앵커 돌부(126)가 형성된 부분의 단면은,'ㄷ' 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앵커 돌부(126)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단면은 '┍' 자 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측면부(104)의 내면에는 내컵 스택용 돌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내컵 스택용 돌부(130)는 예컨대 측면부(104)의 내면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내컵(100)의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소정의 돌출 리브일 수 있다. 내컵 스택용 돌부(130)는, 제조된 내컵(100)을 쌓아 올릴 때, 내컵(10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내컵(100)들이 서로 밀착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스택킹 된 내컵(100)이 서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외컵(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는 외컵(20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은 외컵(20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 은 외컵(200)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이하의 외컵(200)에 관한 설명에서, 상, 하 방향은 도 5 에 표시된 상, 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외컵(200)은 바닥면이 없는 컵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외컵(200)은 둘레면부(202)와, 둘레면부(20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공(204)을 갖는다. 아울러, 둘레면부(202)의 내측면에는 돌출 게이트(210)가 구비될 수 있다.
외컵(200)은 플라스틱 소재일 수 있으며, 일 예로 폴리프로필렌 소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컵(200)은 단일 소재로 구성되며, 사출 성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외컵(200)의 외측면에 제품명, 상표 등을 표시하는 라벨(미도시)이 외컵(200)의 외면에 외컵(200)과 일체로 성형(인쇄 등)될 수 있다. 따라서, 외컵(200)을 사용한 후 폐기할 때, 라벨과 외컵(200)을 별도로 처리(분리 수거)할 필요가 없다. 예컨대, 라벨이 종이 재질 등으로 구성되어, 외컵(200)의 외측에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외컵(200)과 라벨을 별도로 처리(각각 별개로 분리수거)해야 하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라벨이 외컵(200)에 일체로 처리되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개선된다.
둘레면부(202)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컵(200)의 높이는 내컵(100)의 높이의 1/3 내지 3/4 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컵(200)의 높이는 내컵(100)의 높이의 2/3 일 수 있다. 따라서, 외컵(200)을 내컵(100)에 결합시켰을 때, 외컵(200)은 내컵(100)의 측면부(104)의 2/3 만큼을 덮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컵(200)은 내컵(100)의 상부분의 일부분(예컨대 2/3 만큼)만을 감싸므로, 플라스틱 사용량이 절감될 수 있다.
외컵(200)의 상단은 내컵(100)의 상단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하컵의 상단은 원형, 사각형, 또는 모서리에 라운딩이 형성된 사각형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컵(100)의 상단이 원형 형상을 가짐에 따라서 하컵의 상단 또한 내컵(100)의 상단에 대응하여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컵(200)의 하단은 내컵(100)의 하부분(내컵(100)에 외컵(200)을 결합시켰을 때 외컵(200)의 하단이 위치하는 부분)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외컵(200)의 하단은 원형, 사각형, 또는 모서리에 라운딩이 형성된 사각형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컵(100)의 하부분이 모서리에 라운딩이 형성된 사각형 형상을 가짐에 따라서 하컵의 하단 또한 내컵(100)의 해당 부분에 대응하여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 게이트(210)는 외컵(20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돌출 게이트(210)는 외컵(20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돌출 게이트(210)가 구비됨에 따라서, 외컵(200)과 내컵(100)이 결합되었을 때, 외컵(200)과 내컵(10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돌출 게이트(210)가 내컵(100)을 눌러서 내컵(100)이 돌출 게이트(210) 사이에 끼워지며, 내컵(100)이 외컵(20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돌출 게이트(210)는 복수 개가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 개의 돌출 게이트(210)는 각각 내컵(100)의 끼움 영역(112)을 각각 눌러줄 수 있다. 예컨대, 돌출 게이트(210)는 끼움 영역(112)의 수에 대응하여, 4 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 게이트(210)가 내컵(100)을 눌러줄 때, 내컵(100)의 끼움 영역(112)이 위치한 부분이 자연스럽게 탄성 변형하며 내컵(100)과 외컵(200)이 큰 저항 없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컵(100)과 외컵(200) 사이의 이격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상기 돌출 게이트(210)는 사출 성형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구비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돌출 게이트(210)는 사출 성형 과정에서 사출 재료가 금형에 주입되는 부분(노즐이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돌출 게이트(210)가 복수 개 구비되면 사출 성형시 사출 재료가 금형으로 주입되는 부분이 여러 개가 되므로, 사출 성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외컵(200)의 사출 성형시, 돌출 게이트(210)의 아래방향으로부터 사출 재료의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돌출 게이트(210)의 아래면에 사출 성형 돌기(210a)(노즐을 통해 사출 재료가 금형에 주입된 후, 절단됨으로서 남는 흔적)가 잔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출 성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돌출 게이트(210)는 외컵(200)의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컵(200)의 하단과 상기 돌출 게이트(210)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이격거리 D 를 가질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여, 상기 구성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컵의 외컵(200)의 제조 형태와, 비교예에 의한 외컵의 제조 형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8 의 (a) 는 외컵(200)의 하단에 주입용 게이트(G1)가 위치하는 경우의 사출 성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비교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에는, 금형(M1) 내부의 외측부에 라벨(L)을 위치시키고 성형 재료를 주입(화살표 F)하면, 라벨(L)의 상단을 넘어서 라벨(L)의 외측으로 성형 재료가 유출(화살표 F1)될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 따라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도 8 의 (b) 는 외컵(200)의 하단과 돌출 게이트(210)가 이격되게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실시예와 같은 경우의 사출 성형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에서는 돌출 게이트(210)가 외컵(200)의 하단에 위치하지 않고, 외컵(200)의 하단과 약간의 거리(D)를 갖는다. 즉, 주입용 게이트(G2)가 외컵(200)의 하단과 거리(D)를 갖는다. 따라서, 성형 재료가 주입(F)되어 유동(F2)할 때, 라벨(L)의 상단을 넘어서 라벨(L)의 외측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불량 발생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외컵(200)의 상단에는 하부 플랜지(220)가 구비된다. 하부 플랜지(220)는 둘레면부(202)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되, 둘레면부(202)의 상단부에서 외컵(200)의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둘레면부(202)보다 더 돌출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외컵(200)을 위, 아래 방향에서 볼 때, 하부 플랜지(220)는 둘레면부(202)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는 고리 형태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외컵(200)의 내면에는 외컵 스택용 돌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외컵 스택용 돌부(230)는 외컵(200)의 내면 하부분에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외컵(200)의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소정의 돌출 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외컵 스택용 돌부(230)는, 제조된 외컵(200)을 쌓아 올릴 때, 외컵(20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외컵(200)들이 서로 밀착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스택킹 된 외컵(200)이 서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컵의 외컵(200)과 내컵(100)의 결합을 나타낸 것이며,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컵의 외컵(200)과 내컵(100)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 는 외컵(200)과 내컵(100)이 결합된 상태를 위에서 본 도면이고, (b) 는 외컵(200)과 내컵(10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울러, 도 11 및 12 는, 외컵(200)의 돌출 게이트(210)와 내컵(100) 사이의 접촉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외컵(200)의 중공(204) 내에 내컵(100)이 투입되는 형태로 외컵(200)과 내컵(100)이 서로 결합된다. 상기 내컵(100)과 외컵(200)이 결합되면, 상기 하부 플랜지(220)의 상부에 상기 상부 플랜지(120)가 위치하여 상기 상부 플랜지(120)와 상기 하부 플랜지(220)가 서로 맞닿는다. 내컵(100)의 상부 플랜지(120) 아래 위치까지 외컵(200)의 하부 플랜지(220)가 도달하면, 하부 플랜지(220)의 상면과 외측면이 상부 플랜지(120)와 윙에 의해서 감싸지게 된다. 아울러, 하부 플랜지(220)의 적어도 일 부분이 앵커 돌부(126)에 의해서 걸려져서 외컵(200)과 내컵(100)이 서로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외컵(200)과 내컵(100) 사이의 결합에 있어서, 별도의 동작이나 접착제가 필요없이, 외컵(200) 상에 내컵(100)을 하방향으로 투입시키면 자연스럽게 외컵(200)과 내컵(100)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컵(200)에 구비된 돌출 게이트(210)가 내컵(100)을 눌러주게 된다. 따라서, 외컵(200)과 내컵(100)이 결합되었을 때, 외컵(200)과 내컵(100) 사이의 간격이 더욱 이격되어 이격공간(V)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외컵(200)에 구비된 돌출 게이트(210)가 내컵(100)을 눌러 주므로, 내컵(100)과 외컵(200)이 서로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내컵(100)의 모서리 사이 부분을 돌출 게이트(210)가 눌러 주므로, 상기 부분이 자연스럽게 탄성 변형하며 내컵(100)과 외컵(200)이 큰 저항 없이 결합될 수 있고, 내컵(100)과 외컵(200) 사이의 이격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는 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 영역(112)에는 수직 구간(114)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 구간(114)이 상기 돌출 게이트(210)와 접하여 끼움이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 게이트(210)와 끼움 영역(112) 사이의 접촉 면적이 비교적 넓어지며, 안정적인 고정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내컵(100)의 외면에는 내컵(100)의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부(11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내컵(100)과 외컵(200) 사이가 서로 더욱 이격될 수 있다. 즉, 내컵(100)의 리브부(11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상대적으로 음각 부분이므로, 리브부(11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외컵(200) 사이의 거리는. 내컵(100)의 리브부(110)가 형성된 부분과 외컵(200) 사이의 거리보다 더욱 크다.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컵의 온도 구배와 종래 기술에 의한 종이 이중컵의 온도 구배를 나타낸 도면이며, 아래 표 1 은 개별 조리(2분 30초) 후 동일 지점의 온도를 측정한 비교 자료이다.
구분 조리직후 5분 경과후
내부 외부 내부 외부
종이 이중컵 53.2 49.8 49.7 45.4
본 발명에 의한 이중컵 56.9 36.2 53.0 32.8
차이 3.7 13.6 3.3 12.6
<표 1 : 개별 조리(2분 30초) 후 본 발명에 의한 이중컵과 종래 기술에 의한 종이 이중컵의 동일 지점의 온도를 측정한 비교 자료>
도 13 및 표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중컵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중컵과 비교하였을 때, 내부에 비해 외부의 온도가 비교적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조리 직후와 조리 후 5 분이 경과된 후의 온도를 비교하여 보았을 경우에도 이중컵 내부의 온도가 비교적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종이 이중컵의 경우, 잡았을 때 이중컵임에도 뜨거움을 느끼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즉, 내컵(100)과 외컵(200) 사이에 공간은 있으나 잡을 때 내컵(100)과 외컵(200)이 붙어서 바로 내용물 온도가 전달되는 구조인 것과, 하단은 외컵(200)과 내컵(100)이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나 상단부는 하나로 ?u쳐지(Reaming)기 때문에 유격없이 붙어있는 것 때문이다. 이것은 종이컵의 생산적 특성상 발생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전자레인지 조리가 가능하면서 단열성을 갖는 소재(예컨대, 폴리프로필렌)를 사용함으로서, 이를 극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이중컵은 상기 소재를 사용함으로서, 사출 성형방법에 의해서 생산 가능하다. 아울러, 사출 성형 과정에서 발생한 돌출 게이트(210)를 이용하여 외컵이 내컵을 고정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내컵
102: 바닥면부
104: 측면부
104a: 상부분
104b: 중간 부분
104c: 하부분
104d: 단차
110: 리브부
110a: 제1 리브
110b: 제2 리브
112: 끼움 영역
114: 수직 구간
120: 상부 플랜지
122: 플랜지 바디
124: 돌출 윙
126: 앵커 돌부
130: 내컵 스택용 돌부
200: 외컵
202: 둘레면부
204: 중공
210: 돌출 게이트
210a: 사출 성형 돌기
220: 하부 플랜지
230: 외컵 스택용 돌부

Claims (13)

  1. 바닥면부, 및 측면부를 포함하는 내컵; 및
    상하 관통된 중공을 갖는 외컵;을 포함하며,
    상기 내컵과 상기 외컵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내컵과 외컵이 결합되면 상기 외컵은 상기 내컵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며,
    상기 내컵은,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연장되며, 측면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바(bar) 형상을 갖는 입체 구조로 구성되는 리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컵은,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외컵의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 게이트는,
    상기 내컵과 외컵이 결합되면 상기 내컵의 적어도 일 부분을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눌러 가압하며,
    상기 리브부는, 제1 리브와 제2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제2 리브보다 짧은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리브의 하부에는 상기 내컵과 상기 외컵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외컵의 돌출 게이트가 맞닿는 끼움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내컵의 하단부는
    모서리에 라운딩이 형성된 다각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리브는 상기 모서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끼움 영역이 상기 모서리 사이에 위치하는 이중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부분, 및 상기 상부분 아래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분의 외면은 상기 중간 부분보다 내컵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분과 중간 부분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부는 상기 상부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이중컵.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바닥면부, 및 측면부를 포함하는 내컵; 및
    상하 관통된 중공을 갖는 외컵;을 포함하며,
    상기 내컵과 상기 외컵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내컵과 외컵이 결합되면 상기 외컵은 상기 내컵의 측면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감싸며,
    상기 외컵은,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외컵의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 게이트는,
    상기 내컵과 외컵이 결합되면 상기 내컵의 적어도 일 부분을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눌러 가압하며,
    상기 돌출 게이트는,
    상기 외컵의 하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상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이중컵.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의 측면부는,
    상기 외컵과 결합될 때 상기 돌출 게이트와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끼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끼움 영역은,
    상기 내컵의 측면부의 다른 영역과 상이한 기울기각을 갖는 이중컵.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영역은,
    기울기각이 수직인 수직 구간을 갖는 이중컵.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의 하단부는,
    모서리에 라운딩이 형성된 다각 형상을 갖고,
    상기 끼움 영역은 상기 모서리 사이에 위치하는 이중컵.
  12. 제1, 2, 7, 9, 10,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컵의 상하 방향 높이는 상기 내컵의 상하 방향 높이의 1/3 내지 3/4 인 이중컵.
  13. 제1, 2, 7, 9, 10,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컵 및 외컵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프로필렌 소재를 포함하는 이중컵.
KR1020190092008A 2019-07-29 2019-07-29 이중컵 KR102233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008A KR102233769B1 (ko) 2019-07-29 2019-07-29 이중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008A KR102233769B1 (ko) 2019-07-29 2019-07-29 이중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022A KR20210014022A (ko) 2021-02-08
KR102233769B1 true KR102233769B1 (ko) 2021-03-30

Family

ID=74560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008A KR102233769B1 (ko) 2019-07-29 2019-07-29 이중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7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088B1 (ko) * 2022-05-20 2024-03-20 현진제업주식회사 핫멜트를 이용하여 내컵과 외컵을 결합시켜 이중 종이컵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5154Y2 (ja) * 1992-04-24 1997-08-25 日清食品株式会社 二重断熱容器
KR101785878B1 (ko) * 2016-10-07 2017-10-13 최지윤
JP6471216B2 (ja) * 2017-12-21 2019-02-13 厚木プラスチック株式会社 二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383B1 (ko) 2012-11-28 2014-10-23 주식회사 에스제이피 이중 용기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5154Y2 (ja) * 1992-04-24 1997-08-25 日清食品株式会社 二重断熱容器
KR101785878B1 (ko) * 2016-10-07 2017-10-13 최지윤
JP6471216B2 (ja) * 2017-12-21 2019-02-13 厚木プラスチック株式会社 二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022A (ko)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8175B1 (en) Cup
CN102356030B (zh) 用于制备饮料的容器和与容器一起使用的容器支撑单元
US10479544B2 (en) Reusable cup with integrated ribbed heat sink sheath
US3169689A (en) Thin walled container
KR200464363Y1 (ko) 강제체결 방식을 이용한 단열용 삼중용기
KR102233769B1 (ko) 이중컵
WO2006008772A1 (en) Improved pizza container
EP1115319A1 (en) Improved baby spo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70009699A (ko) 아이스크림 용기
US9204743B2 (en) Reversible food plate having a slop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50342380A1 (en) Recyclable, thermally insulated plastic container
US20190217997A1 (en) Disposable lid for beverage containers
US20030209556A1 (en) Introduced in disposable cup
KR101907061B1 (ko) 캡의 조립 및 분해가 안전하고 용이한 음료용기
WO2017201575A1 (en) Insulated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JP5580078B2 (ja) 包装用容器
ITMI990693U1 (it) Contenitore per alimenti particolarmente studiato per gelati e simili
US776363A (en) Service-tableware.
KR200473714Y1 (ko) 플라스틱제 이중 단열용기
KR101007066B1 (ko) 떡 제조용 압출 금형 및 이를 갖는 떡 제조 장치
CA2944290C (en) An improved three-layer bowl and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reof
US20120298675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heating or cooling insert and method of making same
CN214156186U (zh) 一种米糕模具
DE102013013736B4 (de) Kompakttablett
US20050045791A1 (en) Cupholding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