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596B1 -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596B1
KR102233596B1 KR1020190021506A KR20190021506A KR102233596B1 KR 102233596 B1 KR102233596 B1 KR 102233596B1 KR 1020190021506 A KR1020190021506 A KR 1020190021506A KR 20190021506 A KR20190021506 A KR 20190021506A KR 102233596 B1 KR102233596 B1 KR 102233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back data
data
image
transmission system
managemen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261A (ko
Inventor
남기원
Original Assignee
남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원 filed Critical 남기원
Priority to KR1020190021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59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3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메신저나 문자메시지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열람시 자동으로 카메라가 작동되어 수신자의 이미지를 촬상하고 분석하여 그 이미지와 매칭되는 표정이나 행동, 배경으로 이루어진 피드백 데이터인, 아바타 이미지를 추출하여 답장에 첨부하여 전송되게 함으로써 텍스트로 소통하는 상대방의 소통 깊이를 더욱 깊게 한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TRANSMITTING AUTOMATICALLY SYSTEM FEEDBACK DATA}
본 발명은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메신저나 문자메시지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열람시 자동으로 카메라가 작동되어 수신자의 이미지를 촬상하고 분석하여 그 이미지와 매칭되는 표정이나 행동, 배경으로 이루어진 피드백 데이터인, 아바타 이미지를 추출하여 답장에 첨부하여 전송되게 함으로써 텍스트로 소통하는 상대방의 소통 깊이를 더욱 깊게 한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10대나 20대들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거침이 없다.
또한, 10대나 20대들은 소통 방식으로 전화보다 문자에 훨씬 친숙하다. 특히, 해외의 젊은이들은 이러한 현상이 더 두드러진다.
또한, 현재의 메신저나 SNS의 경우 문자외에 이모티콘을 사용한다거나 하는 정도에 국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모티콘은 송신자가 직접 선택해서 입력하는 것으로, 슬픈 텍스트 내용이라도 입력하는 유저가 웃는 표정의 이모티콘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감정을 전달할 수 없고, 입력하는 유저가 자신의 감정을 감출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대방도 전송되어온 이모티콘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텍스트를 통한 소통에는 소통 깊이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만약, 특별한 경우 상대방과 SNS를 하면서 내 감정을 상대에게 전달할 수 있고, 상대의 감정을 내가 알 수 있다면, 즉, 감정까지 공유할 수 있다면 매우 강력한 감정적 소통의 수단이 될 것이고, 깊은 소통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메신저나 문자메시지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열람시 자동으로 카메라가 작동되어 수신자의 이미지를 촬상하고 분석하여 그 이미지와 매칭되는 표정이나 행동, 배경으로 이루어진 피드백 데이터인, 아바타 이미지를 추출하여 답장에 첨부하여 전송되게 함으로써 텍스트로 소통하는 상대방의 소통 깊이를 더욱 깊게 한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 단말기(2a,2b)의 내부에 탑재되고, 메신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전송과, 수신된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메신저 툴(10)과; 유저 단말기(2a,2b)의 내부에 탑재되고, 카메라(16)의 촬상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모듈(18)과; 유저 단말기(2a,2b)의 내부에 탑재되고,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의 열람시 자동으로 상기 카메라 제어모듈(18)을 제어하여 수신자의 이미지를 촬상하고 분석하며, 그 이미지와 매칭되는 피드백 데이터를 추출하여 수신자가 입력한 텍스트 데이터에 첨부하여 전송되게 처리하는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신저 툴(10)은 문자메시지 툴 또는 MMS 툴일 수 있고, 페이스북이나 인스타 그램과 같은 데이터 공유 서버에 업로드된 데이터의 게시영역에도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을 통해 피드백 데이터를 자동으로 게시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아바타 데이터 또는 실사 데이터 또는 실사 데이터를 편집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의 열람시 자동으로 상기 카메라 제어모듈(18)에 촬상신호를 발생시키는 촬상신호 발생부(24)와; 상기 카메라 제어모듈(18)로부터 전송된 촬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촬상데이터 수신부(26)와; 수신된 촬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신자의 감정이나 행동 상태를 판단하는 이미지 판단부(28)와; 상기 이미지 판단부(28)에서 판단된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자의 답장 텍스트에 포함시키는 피드백 데이터 입력부(4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다수 표정과 배경 및 모션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아바타가 저장된 아바타 저장부(42)와; 수신자의 판단 이미지에 대응되는 아바타 데이터를 추출하는 아바타 추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촬상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판단에 대응하여 실사데이터를 필터 처리하는 필터 처리부(44)와; 다수의 영상 편집 필터링 처리데이터를 저장하는 필터 데이터 저장부(46)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상기 피드백 데이터의 패턴을 유저가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수동 선택부(52)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이미지 분석 대신, 텍스트 내용을 판단하는 내용 판단부(56)가 더 포함되고, 내용에 관련된 피드백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분석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 내용에 관련된 음원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음원 데이터 추출부(5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메신저 툴(10)과 연동되어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의 브라우저 출력을 감지하는 브라우저 출력 감지부(22)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상대 유저를 그룹단위로 분류하여, 각 그룹별로 전송할 피드백 데이터의 패턴 조건을 미리 설정하기 위한 조건 설정부(5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상기 필터 처리부(44)에 대한 실사 유사도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 설정부(5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 판단부(28)는 유저의 표정을 판단하는 표정 판단부(30)와; 배경을 판단하는 배경 판단부(32)와; 유저의 행동을 판단하는 모션 판단부(34)와; 유저의 표정과, 배경 및 행동을 조합하여 추출할 아바타의 패턴을 판단하는 추출 아바타 판단부(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수신자의 이미지를 촬상할 때, 텍스트 열람시부터 일정시간 동안 복수 횟수의 촬상을 수행하고, 평균 패턴에 해당하는 피드백 데이터를 추출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수신자의 이미지를 촬상할 때, 촬상음이 발생되지 않게 카메라 제어모듈(18)에 촬상음 묵음 설정을 하며, 촬상후 묵음 설정이 해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은 수신자와 발신자는 전화통화와는 다르게 감정을 느낄 수 없는 문자데이터의 송수신을 통해서도 상대방의 감정을 아바타를 통해 소통할 수 있고, 특히 상대방이 문자데이터를 열람하는 순간의 표정을 자동으로 포착하여 그 표정이 반영된 아바타를 매개로 소통할 수 있으므로 상대방의 감정을 아바타를 매개로 고스란히 느낄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기존의 텍스트 기반의 소통을 더욱 풍성한 수단으로 변모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에 포함된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장치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에 포함된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이미지 판단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에 포함된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장치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에 포함된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이미지 판단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은 메신저나 문자메시지의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열람시 자동으로 카메라가 작동되어 수신자의 이미지를 촬상하고 분석하여 그 이미지와 매칭되는 표정이나 행동, 배경으로 이루어진 피드백 데이터인, 아바타 이미지를 추출하여 답장에 첨부하여 전송되게 함으로써 텍스트로 소통하는 상대방의 소통 깊이를 더욱 깊게 한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은 문자메시지 또는 메신저 등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상대방 유저와의 데이터 통신에서, 상대방이 전송한 데이터를 열람할 때, 수신자의 이미지를 자동으로 촬상하여 해당 촬상 이미지자체 또는 해당 촬상 이미지에 대응되는 패턴의 아바타를 추출해서 답장 데이터와 함께 첨부하여 전송함으로써, 편의성이 높으면서 진실성 높은 상대방의 감정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수신자의 이미지 촬상시 자동으로 촬상되게 되므로 임의대로 수신자가 선택해서 입력하는 아바타나 이모티콘과는 다르게, 수신자의 실제 표정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은 유저 단말기(2a,2b)의 내부에 탑재되고, 메신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전송과, 수신된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메신저 툴(10)과; 유저 단말기(2a,2b)의 내부에 탑재되고, 카메라(16)의 촬상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모듈(18)과; 유저 단말기(2a,2b)의 내부에 탑재되고,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의 열람시 자동으로 상기 카메라 제어모듈(18)을 제어하여 수신자의 이미지를 촬상하고 분석하며, 그 이미지와 매칭되는 피드백 데이터를 추출하여 수신자가 입력한 텍스트 데이터에 첨부하여 전송되게 처리하는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신저 툴(10)은 문자메시지 툴 또는 MMS 툴일 수 있고, 페이스북이나 인스타 그램 등 서버에 열람 가능하게 업로드된 데이터의 게시영역에도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피드백 데이터를 자동으로 편집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아바타 데이터 또는 실사 데이터 또는 실사 데이터를 편집한 데이터인 것으로,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다양한 패턴을 갖는 데이터로서, “찡그린 표정, 웃는 표정, 우는 표정, 무심한 표정, 익살스러운 표정, 아픈 표정”과 같은 감정 패턴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며,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이 수신 데이터를 열람하는 수신자의 이미지를 포착하여 그 때의 수신자 감정와 일치되는 피드백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피드백 데이터는 수신자의 실사 데이터이거나 또는 실사 데이터에서 편집 툴을 이용하여 편집된 편집데이터 이거나, 아바타일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자신이 전송하는 피드백 데이터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특히, 유저는 자신의 개인 전화번호부 기반의 그룹별로 피드백 데이터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거래처 지인들에는 아바타가 피드백 데이터로 전송되게 설정하고, 가족, 친지들에게는 실사 데이터가 전송되게 설정하고, 친구들에게는 실사 편집데이터가 전송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상대 유저를 그룹단위로 분류하여, 각 그룹별로 전송할 피드백 데이터의 패턴 조건을 미리 설정하기 위한 조건 설정부(54)가 더 포함된다.
한편,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의 열람시 자동으로 상기 카메라 제어모듈(18)에 촬상신호를 발생시키는 촬상신호 발생부(24)와; 상기 카메라 제어모듈(18)로부터 전송된 촬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촬상데이터 수신부(26)와; 수신된 촬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신자의 감정이나 행동 상태를 판단하는 이미지 판단부(28)와; 상기 이미지 판단부(28)에서 판단된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자의 답장 텍스트에 포함시키는 피드백 데이터 입력부(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를 수신자가 열람하게 되면, 그 열람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카메라 제어모듈(18)로 촬상신호를 발생하는 촬상신호 발생부(24)가 내부에 구성되어져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수신자의 이미지를 촬상할 때, 촬상음이 발생되지 않게 카메라 제어모듈(18)에 촬상음 묵음 설정을 하고, 촬상 후에는 묵음 설정이 해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판단부(28)는 수신된 촬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신자의 감정이나 행동 상태를 판단하는 구성으로, 기존의 다른 표정과 비교하여 현재 수신된 수신자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수신자의 표정이 “찡그린 표정, 웃는 표정, 우는 표정, 무심한 표정, 익살스러운 표정, 아픈 표정”중 어느 감정 패턴에 속하는 지를 판단한다.
또, 상기 이미지 판단부(28)는 유저의 표정을 판단하는 표정 판단부(30)와; 배경을 판단하는 배경 판단부(32)와; 유저의 행동을 판단하는 모션 판단부(34)와; 유저의 표정과, 배경 및 행동을 조합하여 추출할 아바타의 패턴을 판단하는 추출 아바타 판단부(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 판단부(28)는 수신자의 표정이나 행동 및 배경도 함께 판단해서 실사 또는 실사 편집 데이터 또는 아바타 데이터 또는 아바타와 실사의 혼합 데이터로 구성해서 발신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다수 표정과 배경 및 모션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아바타가 저장된 아바타 저장부(42)와; 수신자의 판단 이미지에 대응되는 아바타 데이터를 추출하는 아바타 추출부(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촬상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판단에 대응하여 실사데이터를 필터 처리하는 필터 처리부(44)와; 다수의 영상 편집 필터링 처리데이터를 저장하는 필터 데이터 저장부(4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수신자의 자동 피드백 데이터로 실사 또는 실사 편집 데이터 또는 아바타 데이터 또는 아바타와 실사의 혼합 데이터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발신자로 전송하는 답장데이터에 자동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상기 피드백 데이터의 패턴을 유저가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수동 선택부(5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수신자는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아바타 데이터를 직접 선택할 수도 있는 바, 비록 현재 감정이 슬프지만 웃는 표정의 아바타를 발신자에게 수동으로 선택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이미지 분석 대신, 텍스트 내용을 판단하는 내용 판단부(56)가 더 포함되고, 내용에 관련된 피드백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이미지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자동으로 분석된 수신자의 감정 패턴과 동일한 패턴의 아바타를 추출하고 자동으로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시스템이지만, 내용 분석을 설정하여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내용 분석으로 설정된 경우, 내용 판단부(56)는 답장으로 수신자가 입력한 텍스트 내용에 포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그 키워드들을 종합하여 수신자의 현재 감정상태에 대한 패턴을 판단하고, 그 패턴에 일치되는 아바타를 추출하여 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 내용 판단부(56)는 이미지 판단부(28)와 유사하게, 수신자가 입력한 텍스트 내용에 포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그 키워드들을 종합하여 수신자의 현재 감정상태에 대한 패턴을 판단하는 것까지만 처리하고, 아바타 추출은 아바타 추출부(40)가 담당한다.
한편,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분석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 내용에 관련된 음원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음원 데이터 추출부(50)가 더 포함되는 바, 상기 이미지 판단부(28)를 통해 수신자의 표정이 슬픈 표정으로 판단된 경우라면 슬픈 음악을 추출해서 발신자에게 전송하는 답장데이터에 첨부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원데이터는 MP3와 같은 다운로드 완료된 데이터일 수도 있지만, 스트리밍 데이터처럼 소정 간격으로 분할된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수신하여 재생하는 음원데이터일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메신저 툴(10)과 연동되어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의 브라우저 출력을 감지하는 브라우저 출력 감지부(22)가 더 포함되는 바, 브라우저 출력 감지부(22)는 수신자가 메신저나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궁극적으로 수신자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시점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브라우저 출력 감지부(22)가 수신된 해당 메신저나 문자메시지에 대한 열람을 감지하면 상기 촬상신호 발생부(24)에 구동신호를 인가시켜서 촬상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한편,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상기 필터 처리부(44)에 대한 실사 유사도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 설정부(54)가 더 포함되는 바, 이러한 조건 설정부(54)는 포토샵 기능에 속하는 것으로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수신자의 이미지를 촬상할 때, 텍스트 열람시부터 일정시간 동안 복수 횟수의 촬상을 수행하고, 평균 패턴에 해당하는 피드백 데이터를 추출하게 구성되어져 있다.
즉, 수신자가 답장 문자를 작성하는 시간으로 1분이 소요되었다고 가정한다면, 그 1분동안 수신자의 이미지를 3회 정도 촬상하고 이미지 패턴을 분석하여, 2회가 웃는 표정이었다면, 평균 패턴이 웃는 표정이라고 판단하고 웃는 표정의 아바타를 추출하도록 처리한다.
미설명부호 6은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로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4)에 저장된 아바타 이미지 등에 대한 갱신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의 기본적인 과정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과 시스템 구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에 포함된 수신자 단말기(2b)의 커뮤니케이션 툴은 데이터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바, 커뮤니케이션 툴은 SMS 툴(8) 또는 메신저 툴(10)과 같은 공지의 툴이다.
만약, 상기 커뮤니케이션 툴이 발신자가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한 상태라고 판단하면, 그 커뮤니케이션 툴과 연동된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의 브라우저 출력 감지부(22)는 해당 수신 데이터를 열람하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수신자가 해당 수신데이터를 브라우저에 출력시켜서 열람하게 되면 상기 브라우저 출력감지부(22)는 상기 촬상신호 발생부(24)에 신호 발생을 명령한다.
그러면, 상기 촬상신호 발생부(24)는 상기 카메라 제어모듈(18)에 촬상 제어신호를 발생시켜서 카메라가 구동될 수 있게 하여 유저 영상이 촬상되게 한다.
유저 이미지가 촬상되면, 상기 이미지 판단부(28)는 해당 촬상 이미지를 분석하는 바, 해당 유저의 표정이, “찡그린 표정, 웃는 표정, 우는 표정, 무심한 표정, 익살스러운 표정, 아픈 표정”중 어느 감정 패턴에 속하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이미지 분석은 단지 표정뿐만 아니고, 배경이나 행동에 대한 분석도 함께 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미지 분석이 완료되면, 분석 결과에 따른 매칭 피드백 데이터를 추출하는 바, 피드백 데이터가 아바타인 경우라면 해당하는 표정의 아바타를 추출한다.
그 상태에서, 수신자가 답장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면, 그 답장 텍스트 데이터에 상기 추출된 아바타 데이터가 자동으로 첨부되어 전송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을 통해, 수신자와 발신자는 전화통화와는 다르게 감정을 느낄 수 없는 문자데이터의 송수신을 통해서도 상대방의 감정을 아바타를 통해 소통할 수 있고, 특히 상대방이 문자데이터를 열람하는 순간의 표정을 자동으로 포착하여 그 표정이 반영된 아바타를 매개로 소통할 수 있으므로 상대방의 감정을 아바타를 매개로 고스란히 느낄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기존의 텍스트 기반의 소통을 더욱 풍성한 수단으로 변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a,2b:발신, 수신자 단말기. 6: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
10:메신저 툴, 16:카메라,
18:카메라 제어모듈, 20: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
24:촬상신호 발생부, 26:촬상데이터 수신부,
28:이미지 판단부, 40:아바타 추출부,
42:아바타 저장부, 48:피드백데이터 입력부.

Claims (15)

  1. 유저 단말기(2a,2b)의 내부에 탑재되고, 메신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전송과, 수신된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메신저 툴(10)과;
    유저 단말기(2a,2b)의 내부에 탑재되고, 카메라(16)의 촬상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모듈(18)과;
    유저 단말기(2a,2b)의 내부에 탑재되고,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의 열람시 자동으로 상기 카메라 제어모듈(18)을 제어하여 수신자의 이미지를 촬상하고 분석하며, 그 이미지와 매칭되는 피드백 데이터를 추출하여 수신자가 입력한 텍스트 데이터에 첨부하여 전송되게 처리하는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신저 툴(10)은 문자메시지 툴 또는 MMS 툴일 수 있고, 페이스북이나 인스타 그램과 같은 데이터 공유 서버에 업로드된 데이터의 게시영역에도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을 통해 피드백 데이터를 자동으로 게시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의 열람시 자동으로 상기 카메라 제어모듈(18)에 촬상신호를 발생시키는 촬상신호 발생부(24)와; 상기 카메라 제어모듈(18)로부터 전송된 촬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촬상데이터 수신부(26)와; 수신된 촬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신자의 감정이나 행동 상태를 판단하는 이미지 판단부(28)와; 상기 이미지 판단부(28)에서 판단된 피드백 데이터를 수신자의 답장 텍스트에 포함시키는 피드백 데이터 입력부(4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아바타 데이터 또는 실사 데이터 또는 실사 데이터를 편집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다수 표정과 배경 및 모션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아바타가 저장된 아바타 저장부(42)와;
    수신자의 판단 이미지에 대응되는 아바타 데이터를 추출하는 아바타 추출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촬상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판단에 대응하여 실사데이터를 필터 처리하는 필터 처리부(44)와;
    다수의 영상 편집 필터링 처리데이터를 저장하는 필터 데이터 저장부(46)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상기 피드백 데이터의 패턴을 유저가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수동 선택부(52)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분석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 내용에 관련된 음원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음원 데이터 추출부(5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메신저 툴(10)과 연동되어 수신된 텍스트 데이터의 브라우저 출력을 감지하는 브라우저 출력 감지부(22)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상대 유저를 그룹단위로 분류하여, 각 그룹별로 전송할 피드백 데이터의 패턴 조건을 미리 설정하기 위한 조건 설정부(5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12. 제 6항에 있어서,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그 내부에,
    상기 필터 처리부(44)에 대한 실사 유사도를 설정하기 위한 조건 설정부(5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판단부(28)는 유저의 표정을 판단하는 표정 판단부(30)와;
    배경을 판단하는 배경 판단부(32)와;
    유저의 행동을 판단하는 모션 판단부(34)와;
    유저의 표정과, 배경 및 행동을 조합하여 추출할 아바타의 패턴을 판단하는 추출 아바타 판단부(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수신자의 이미지를 촬상할 때, 텍스트 열람시부터 일정시간 동안 복수 횟수의 촬상을 수행하고, 평균 패턴에 해당하는 피드백 데이터를 추출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 관리 어플리케이션(20)은 수신자의 이미지를 촬상할 때, 촬상음이 발생되지 않게 카메라 제어모듈(18)에 촬상음 묵음 설정을 하며, 촬상후 묵음 설정이 해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KR1020190021506A 2019-02-25 2019-02-25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KR102233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506A KR102233596B1 (ko) 2019-02-25 2019-02-25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506A KR102233596B1 (ko) 2019-02-25 2019-02-25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261A KR20200103261A (ko) 2020-09-02
KR102233596B1 true KR102233596B1 (ko) 2021-03-30

Family

ID=7246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506A KR102233596B1 (ko) 2019-02-25 2019-02-25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5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856B1 (ko) * 2005-08-12 2007-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의 배경효과 제공 방법
JP2007280074A (ja) * 2006-04-07 2007-10-25 Hitachi Ltd 携帯端末および制御方法
US20150350125A1 (en) * 2014-05-30 2015-12-03 Cisco Technology, Inc. Photo Avatar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251B1 (ko) * 2007-08-29 2009-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개인정보 노출 방지 기능을 갖는애칭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시스템 및방법
KR101988279B1 (ko) * 2013-01-07 2019-06-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얼굴 인식 기반 사용자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856B1 (ko) * 2005-08-12 2007-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의 배경효과 제공 방법
JP2007280074A (ja) * 2006-04-07 2007-10-25 Hitachi Ltd 携帯端末および制御方法
US20150350125A1 (en) * 2014-05-30 2015-12-03 Cisco Technology, Inc. Photo Avata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261A (ko)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17932B (zh) 照片分享方法及装置
US20180203584A1 (en) Selectively augmenting communications transmitted by a communication device
JP3784289B2 (ja) メディア編集方法及びその装置
US7486969B2 (en) Transmitting portable terminal
US8750678B2 (en) Conference recording method and conference system
KR2018005736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095873A (zh) 照片共享方法、装置
JP2009273118A (ja) 感情認識メッセージシステム、移動通信端末及びメッセージ蓄積サーバ
CN104918223B (zh) 基于智能穿戴设备的信息互动方法、装置及设备
US10367931B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of cognitive communication assistant for enhancing ability and efficiency of users communicating comprehension
JP2007280074A (ja) 携帯端末および制御方法
CN109714646A (zh) 即时通信的发送方法和接收方法、发送装置和接收装置
US20160275108A1 (en) Producing Multi-Author Animation and Multimedia Using Metadata
CN110113251A (zh) 消息合并方法及装置
CN107222398B (zh) 社交消息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10603805B (zh) 呼叫者预览数据和基于呼叫者预览数据的呼叫消息
CN111949116A (zh) 虚拟物品包的领取方法、发送方法、装置、终端及系统
KR102233596B1 (ko) 자동 피드백 데이터 전송시스템
KR100686076B1 (ko) 피사체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메시지 출력 기능을 갖는무선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시지 출력 방법
CN113079326A (zh) 视频剪辑方法及装置、存储介质
CN114222995A (zh) 图像处理方法、装置以及电子设备
CN109688258B (zh) 一种多媒体信息的传输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07104878A (zh) 用户状态变更方法及装置
CN107025043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101776660B1 (ko) 다이얼 방식으로 음성메세지 송수신이 가능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