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524B1 - Dual emo switch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ual emo switch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524B1
KR102233524B1 KR1020200127673A KR20200127673A KR102233524B1 KR 102233524 B1 KR102233524 B1 KR 102233524B1 KR 1020200127673 A KR1020200127673 A KR 1020200127673A KR 20200127673 A KR20200127673 A KR 20200127673A KR 102233524 B1 KR102233524 B1 KR 102233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drain pipe
unit
driving circui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낙희
Original Assignee
(주)엔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씨테크 filed Critical (주)엔씨테크
Priority to KR1020200127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5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5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Landscapes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al emergency switching off (EMO) switch and a leak detection easy-view system including the same. The leak detection easy-view system comprises: a leak detection unit having a long rectangular shape and thinly formed to be bent roundly; and a dual EMO switch. Therefore, equipment can be more reliably controlled.

Description

듀얼 이엠오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DUAL EMO SWITCH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DUAL EMO SWITCH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듀얼 이엠오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실수로 EMO스위치를 누르거나 오작동으로 인하여 회로의 정지를 방지하고,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EMO스위치를 동시에 누르는 경우 회로를 OPENLOOP되도록 하여 장비를 정지시키는 듀얼 이엠오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EMO switch, which prevents a circuit from being stopped due to accidental pressing of an EMO switch or malfunction, and when pressing an EMO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at the same time, the circuit is OPENLOOP to stop the equipment. It relates to an O switch and a system including the same.

통상적으로, 상해의 위험이 존재하는 장비는 피상차단(EMO)회로를 가져야 하며, EMO 액츄에이터(또는 버튼)는 작동 시에 인력이나 설비에 어떠한 추가의 위험을 발생시키지 않고 장비를 안전 차단이 가능한 조건에 위치시켜야 한다.In general, equipment with a risk of injury must have an EMO circuit, and the EMO actuator (or button) is a condition in which the equipment can be safely shut off without causing any additional risk to manpower or equipment during operation. Should be placed in.

반도체 제조장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MO 스위치는 비상시에 손쉽게 반도체 제조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사람의 손에 쉽게 닿을 수 있는 곳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수로 푸시 버튼이 눌려지기가 쉽다.Since the EMO switch generally used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is installed in a place that can be easily reached by human han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can be easily stopped in an emergency, it is easy to accidentally push a push button.

정상적인 반도체 제조작업 중에 실수로 푸시버튼이 눌려진 경우, 반도체 제조장치에 전류가 흐르지 못하여 갑자기 반도체 제조장치의 작동이 정지되어 작업이 중단되고 다시 반도체 제조장치를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연속성이 낮아져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클리닝(cleaning)장치에서 웨이퍼를 세정할 때에 실수로 EMO 스위치의 푸시 버튼을 누른 경우, 진공펌프가 정지하고 처리 중인 웨이퍼에 불순물이 달라붙어 웨이퍼에 손상이 가해져 웨이퍼를 다시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손실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If the push button is accidentally pressed during the normal semiconductor manufacturing operation, the operation of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suddenly stops due to the failure of current to flow through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and the operation is stopped and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vice must be operated again, resulting in a low continuity of wor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is lowered. For example, if you accidentally press the push button of the EMO switch when cleaning a wafer in a cleaning device, the vacuum pump stops and impurities adhere to the wafer being processed, causing damage to the wafer, requiring replacement of the wafe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economic loss occurs.

한국등록특허 제 10-110720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07202

본 발명은 실수로 EMO스위치를 누르거나 오작동으로 인하여 회로의 정지를 방지하고,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EMO스위치를 동시에 누르는 경우 회로를 OPENLOOP되도록 하여 장비를 정지시키는 듀얼 이엠오 스위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al EMO switch that prevents the circuit from being stopped due to accidental pressing of an EMO switch or malfunction, and stops the equipment by opening the circuit when pressing the EMO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이엠오 스위치는, 회전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al EMO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witch that is driven to be rotat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이엠오 스위치는, 회로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수동 소자 또는 능동 소자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전원이 입력되어 상기 수동 소자 또는 능동 소자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는 구동회로; 및 상기 구동회로에 연결되어 있어 위험시에 상기 구동회로의 전류를 차단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A dual EMO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circuit in which a plurality of passive elements or active elements constituting a circu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power is input, and a current flows through the passive element or the active element; And a switch connected to the driving circuit to cut off the current of the driving circuit in case of danger.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위치는, 일단은 상기 구동회로(MAIN FRAME)의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구동회로(MAIN FRAME)의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치; 및 일단은 상기 구동회로(MAIN FRAME)의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있되 상기 제1 스위치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구동회로(MAIN FRAME)의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있되 상기 제1 스위치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 스위치와 병렬의 구조로 위치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swit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driving circuit (MAIN FRAM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driving circuit (MAIN FRAM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driving circuit (MAIN FRAME), bu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witch,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driving circuit (MAIN FRAME). And a second switch connected to the end and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witch.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회전함으로 상기 구동회로(MAIN FRAME)를 open loop 형태로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ntrol the driving circuit MAIN FRAME in an open loop form by rotating by external pressur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평상시에는 구동회로를 close loop하여 회로를 연결하여 전류의 흐름을 이어주고,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는 위험시에는 구동회로를 open loop하여 회로를 끊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nnect the circuit by closing the driving circuit in a normal case when pressure is not applied from the outside to connect the circuit, and when there is a risk that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drive circuit can be opened looped to cut off the circuit to block the flow of current.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단은 원기둥보다 넓은 지름을 갖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and the upper end may be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having a diameter wider than that of the cylinder.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상단이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구동회로를 open loop할 수 있다.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open loop the driving circuit when the upper end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rotates clockwise by external pressur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상단이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여 open loop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 상단이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회전 할 수 있다.In the second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n upper end of the first switch is rotated by external pressure to form an open loop, the upper end may be rotated by external press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은, 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둥글게 굽혀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얇게 형성되는 누설감지부; 및 상기 듀얼 이엠오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A leak detection easy vie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ak detection unit that has a long rectangular shape and is formed thinly to be bent in a round shape; And the dual EMO switc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기둥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비어 있는 내부로 물이 이동 가능하고, 상기 물의 흐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속을 견디는 세라믹, 플라스틱 또는 단단한 파이프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단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수관의 파열에 의하여 상기 배수관의 내부의 비어 있는 공간을 이동하는 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감지하고, 누설 발생 신호를 발생하는 누설감지부; 상기 배수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면에 밀착되어 고정 연결되어 있고, 상기 누설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누설 발생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발광하여 상기 배수관의 누설을 알리는 LED발광부; 상기 누설감지부로부터 상기 배수관의 누설이 감지되어 발생하는 상기 누설 발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LED발광부와 타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LED발광부의 발광이 가능하도록 LED발광부로 전원을 제공하는 누설센서부; 및 상기 누설감지부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누설센서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누설감지부와 누설센서부를 연결하여 상기 누설감지부에서 발생하는 상기 누설 발생 신호를 상기 누설센서부로 제공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on easy vie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circular or rectangular column and is formed in an empty shape, water can move into the empty interior, and a flow rate generated by the flow of water. A drain pip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ceramic, plastic, or rigid pipe that withstands the pressure; A leakage detection unit provided at a lowe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ain pipe, detecting leakage of water moving in an empty space inside the drain pipe due to the rupture of the drain pipe, and generating a leak generation signal; An LED light-emitting uni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and fixedly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drain pi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rain pipe, and emits light when the leakage gener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leakage detection unit to notify the leakage of the drain pipe; A leakage sensor that receives the leakage generation signal generated by detecting the leakage of the drain pipe from the leakage dete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LED emission unit and the other end, and supplies power to the LED emission unit to enable the LED emission unit to emit light. part;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eakage detection part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eakage sensor part to connect the leakage detection part and the leakage sensor part to provide the leakage gene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leakage detection part to the leakage sensor part. It may includ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누설감지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누설센서부로부터 전원을 입력 받아 상기 배수관으로부터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to receive power from the leakage sensor unit to detect a leakage from the drain pip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누설감지부는, 양단에 전류가 이동하는 전선이 연결되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누설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상기 전선을 통하여 공급받을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on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have a device connected to a wire through which electric current moves at both ends, and power supplied from the leakage sensor unit may be supplied through the electric wire.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LED발광부는, 상기 누설감지부가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배수관의 외측면을 따라 밀착되어 고정 연결될 수 있다.The LED light-emit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fixedly connect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a drain pip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eakage detecting unit.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누설센서부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의하여 온(ON)/오프(OFF)가 가능한 스위치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로 입력이 들어와 온(ON)되는 경우 상기 LED발광부로 전원을 제공하여 상기 LED발광부를 발광시키고, 온(ON)되어 있는 스위치에 입력이 들어와 오프(OFF)되는 경우 상기 LED발광부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LED버튼; 상기 누설감지부로부터 상기 누설 발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LED버튼으로의 입력과 무관하게 상기 LED발광부가 발광하도록 전원을 제공하고, 상기 누설감지부로부터 상기 누설 발생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LED버튼으로의 전원을 차단하는 누설제어부; 외부의 밝기를 감지하고, 상기 외부의 밝기에 따라 상기 LED발광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조광부;The leakage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formed in the form of a switch that can be turned on/off by an external input, and when an input is input to the switch and is turned on, the LED light-emitting unit is An LED button that provides power to emit light of the LED light-emitting unit, and cuts off power to the LED light-emitting unit when an input is input to the switch that is turned on and is turned off; When the leakage gene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leakage detection unit, power is provided to the LED light emitting unit to emit light regardless of the input to the LED button, and when the leakage gener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leakage detection unit, the LED button A leakage control unit that cuts off power to the device; A dimming unit detecting external brightness and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LED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external brightness;

상기 LED발광부, 상기 누설감지부 또는 상기 누설제어부의 과열을 감지하고, 상기 LED발광부, 상기 누설감지부 또는 상기 누설제어부의 과열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LED발광부, 상기 누설감지부 또는 상기 누설제어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 및 상기 LED버튼, 누설제어부, 전원차단부 및 조광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n overheating of the LED light-emitting unit, the leakage detecting unit or the leakage control unit is detected, and overheating of the LED light-emitting unit, the leakage detecting unit or the leakage control unit is detected, the LED light-emitting unit, the leakage detecting unit or the leakage A power cut-off unit that cuts off the power of the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ED button, the leakage control unit, the power cut-off unit, and the dimming unit.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부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상기 누설감지부의 일단 및 상기 누설센서부의 타단이 삽입 가능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groove into which one end of the leakage detection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leakage sensor unit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on a front and a rear surface, respectively.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광부는, 상기 외부의 밝기가 광도 또는 조도와 같이 빛의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밝기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LED발광부의 밝기를 기준 밝기보다 밝게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외부의 밝기가 광도 또는 조도와 같이 빛의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밝기 이하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LED발광부의 밝기를 기준 밝기보다 어둡게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dimm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LED light-emitting unit to emit light brighter than a reference brightness when the external brightness is detected to be more than a certain brightness based on a unit of light such as luminous intensity or illuminance, and , When the external brightness is detected to be less than a certain brightness based on a unit of light such as luminance or illuminance, the brightness of the LED light-emitting unit may be controlled to emit light darker than a reference brightness.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듀얼 EMO 스위치를 이용하여 실수로 EMO스위치를 누르거나 오작동으로 인하여 회로의 정지를 방지하고,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EMO스위치를 동시에 누르는 경우 회로를 OPENLOOP되도록 하여 장비를 정지시킬 수 있어 평상시 또는 위험시에 장비를 보다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dual EMO switch is used to prevent the circuit from being stopped due to accidental pressing of the EMO switch or malfunction, and when the EMO switch connected in parallel is pressed at the same time, the circuit is opened and closed. Can be stopped, so that the equipment can be controlled more stably in normal or dangerous situations.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a range that is apparent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below.

도 1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이엠오 스위치의 회로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엠오 스위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이엠오 스위치가 구동회로에 연결되는 회로도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이엠오 구동 회로가 적용된 장비의 외부에 설치 가능한 스위치의 외부 형상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연결부의 형상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누설감지부의 형상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누설센서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배수관 및 누설감지부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배수관의 일부에 마련되는 배관보호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배관보호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배수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1 and 3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ircuit diagram of a dual EMO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4 are diagrams showing circuit diagrams of a commonly used EMO switch.
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ircuit diagram in which a dual EMO switch is connected to a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exemplary views showing examples of external shapes of switches that can be installed outside the equipment to which the dual EMO driving circuit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eak detection easy-vie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hape of a connection part, which is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leak detection easy-vie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hape of a leakage detection unit, which is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leakage detection easy vie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eak detection easy-vie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eak sensor unit, which is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leak detection easy vie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rain pipe and a leak detection unit, which are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leak detection easy vie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ipe protection unit provided in a part of a drain pipe, which is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leak detection easy view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ipe protection unit shown in FIG. 16.
18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ain pipe that is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leak detection easy view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detail sufficient to enab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fasten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fasten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fasten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ppropriate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ranges equivalent to those claim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over several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엠오(EMO, Emergensy Switching Off) 스위치는 비상정지 또는 차단장치로서 위험한 작동을 초래하는 동력원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The EMO (Emergensy Switching Off) switch can be used as an emergency stop or shut-off device to cut off a power source that causes dangerous operation.

더욱 구체적으로, 이엠오 스위치는 감전 또는 기타 전기적 위험과 관련된 경우 설비의 일부 또는 전체에서 전기 에너지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비상 스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EMO switch may refer to an emergency switch for cutting off the supply of electric energy in part or all of the facility in case of electric shock or other electrical hazards.

즉, 이엠오 스위치는 안전에 최우선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스위치로서 회로 또는 장비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EMO switch is a switch that provides a function that prioritizes safety and can stop the operation of circuits or equipment.

일반적으로 이엠오 스위치는 회로 또는 장비가 Reset을 해도 재가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위험방지를 위하여 기계에는 1개 이상의 비상정치 장치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양팔간격으로 3m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general, the EMO switch prevents reactivation even if the circuit or equipment is reset, and to prevent danger, one or more emergency stop devices may be attached to the machine and may be installed at intervals of 3m with both arms spaced apart.

이엠오 스위치는 비상시에 작업자가 누르는 수동 누름 버튼으로 스위치의 형태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고, 장비의 모든 기능 및 모든 모드에서 어떤 조작보다도 우선시되어 작동할 수 있다.The EMO switch is a manual push button pressed by an operator in an emergency, and can be attached in the form of a switch, and can be operated with priority over any operation in all functions and modes of the equipment.

이러한 이엠오 스위치는 장비 또는 기계를 재시동하기 전에 시스템의 안전 점검이 이루어진 후 수동 또는 키에 의한 스위치 리셋이 필요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These EMO switches may be designed to require manual or key switch reset after a safety check of the system prior to restarting the machine or machine.

본 발명은 듀얼 이엠오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EMO switch and a system including the same. The system may include all components implemented in hardware and/or software, and may be a leak detection easyview system.

도 1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이엠오 스위치의 회로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1 and 3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ircuit diagram of a dual EMO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4에 개시된 이엠오 스위치의 회로도와 같이 이엠오 스위치는 보통 하나의 스위치로 설치되어 한번의 제어에 의하여 회로를 open loop의 형태로 만들 수 있다.As shown in the circuit diagrams of the EMO switch disclosed in FIGS. 2 and 4, the EMO switch is usually installed as one switch, so that the circuit can be made in the form of an open loop by one control.

그러나, 도 1 및 도 3에 개시된 본 발명이 제안하는 듀얼 이엠오 스위치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두번의 제어에 의하여 회로를 open loop의 형태로 만들되 두 개의 이엠오 스위치로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에 한하여 open loop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However, since the dual EMO switche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FIGS. 1 and 3 are connected in parallel, the circuit is made in the form of an open loop by two times of control, but is opened only when the two EMO switches are input at the same time. It can be made in the form of a loop.

즉, 본 발명이 제안하는 듀얼 이엠오 스위치의 경우 하나의 이엠오 스위치를 제어하더라도 회로가 open loop되지 않아 구동중인 장비가 멈추지 않고, 제조 등의 구동이 그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dual EMO switch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single EMO switch is controlled, the circuit is not open looped, so that the operating equipment does not stop, and the manufacturing or the like can be driven as it is.

따라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듀얼 이엠오 스위치의 경우 하나의 이엠오 스위치를 제어한 후 다른 하나의 이엠오 스위치를 제어하여야 전체 회로가 open loop의 형태로 되어 구동중인 장비가 멈출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dual EMO switch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circuit must be controlled after controlling one EMO switch and then the other EMO switch so that the entire circuit is in the form of an open loop, so that the running equipment can be stopped.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이엠오 스위치가 구동회로에 연결되는 회로도가 도시된 도면이다.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circuit diagram in which a dual EMO switch is connected to a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구동회로(600)의 양단에 병렬 연결되어 있는 듀얼 이엠오 스위치(500)가 연결되어 있는 회로도를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a circuit diagram in which dual EMO switches 500 connected in parallel to both ends of the driving circuit 600 are connected can be seen.

구동회로(600)는 회로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수동 소자 또는 능동 소자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전원이 입력되어 상기 수동 소자 또는 능동 소자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는 회로를 의미할 수 있다.The driving circuit 600 may mean a circuit in which a plurality of passive elements or active elements constituting a circu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power is input and current flows through the passive elements or active elements.

여기서, 듀얼 이엠오 스위치가 연결되는 회로를 구동회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회로 등의 다수 개의 소자가 서로 연결되어 회로의 특징을 띄는 회로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ircuit to which the dual EMO switch is connected has been described as a driving circuit,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circuit having characteristics of a circuit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elements such as a control circuit to each other can be included regardless of the name. have.

듀얼 이엠오 스위치(500)는 구동회로(600)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어 위험시에 구동회로의 전류를 차단 가능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Since the dual EMO switch 50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driving circuit 600, it may be driven to cut off the current of the driving circuit in case of danger.

스위치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이엠오 스위치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제1 스위치(511) 및 제2 스위치(5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 may include a first switch 511 and a second switch 513 respectively for driving EMO switches connected in parallel.

제1 스위치(511)의 일단은 구동회로(600, MAIN FRAME)의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타단은 구동회로(600, MAIN FRAME)의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switch 511 may be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driving circuit 600 (MAIN FRAME),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driving circuit 600 (MAIN FRAME).

제2 스위치(513)의 일단은 구동회로(600, MAIN FRAME)의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되 제1 스위치(511)의 일단과 동시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타단은 구동회로(600, MAIN FRAME)의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되 제1 스위치(511)의 타단과 동시에 연결되어 있어 제1 스위치(511)와 병렬의 구조로 위치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switch 513 may be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driving circuit 600 (MAIN FRAME), but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witch 511 at the same time, and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circuit 600, MAIN It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RAME), bu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511 at the same time, so that it may be located in a parallel structure with the first switch 511.

제1 스위치(511) 및 제2 스위치(513)는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구동되어 구동회로(600, MAIN FRAME)를 open loop 형태로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switch 511 and the second switch 513 may be driven by external pressure to control the driving circuit 600 (MAIN FRAME) in an open loop form.

제1 스위치(511) 및 제2 스위치(513)는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평상시에는 구동회로를 close loop하여 회로를 연결하여 전류의 흐름을 이어주고,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는 위험시에는 구동회로를 open loop하여 회로를 끊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The first switch 511 and the second switch 513 connect the circuit through a close loop of the driving circuit when pressure is not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when there is a risk that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driving circuit The furnace is open looped to cut the circuit to cut off the flow of current.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이엠오 구동 회로가 적용된 장비의 외부에 설치 가능한 스위치의 외부 형상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7 to 9 are exemplary views showing examples of external shapes of switches that can be installed outside the equipment to which the dual EMO driving circuit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스위치(511) 및 제2 스위치(513)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되 상단은 원기둥보다 넓은 지름을 갖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witch 511 and the second switch 513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but the upper end may be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having a diameter wider than that of the cylinder.

제1 스위치(511) 및 제2 스위치(513)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상단이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구동회로(600)를 open loop 회로의 형태로 만들 수 있다.When the top of the first switch 511 and the second switch 513 is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d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by external pressure, the driving circuit 600 may be made in the form of an open loop circuit. .

제2 스위치(513)는 제1 스위치(511)의 상단이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여 open loop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 상단이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witch 513 may be formed such th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switch 511 is rotated by external pressure to form an open loop,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switch 511 is rotatable by external pressure.

즉, 제2 스위치(513)는 제1 스위치(511)가 회전되어 있는 경우에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스위치(511)가 회전되지 않는 경우 제2 스위치(513)만 단독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switch 513 may be formed to be rotated only when the first switch 511 is rotated, and when the first switch 511 is not rotated, only the second switch 513 is alone. It can be formed so that it cannot be rotat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10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eak detection easy-vie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10)은 배수관(130), 누설감지부(150), LED발광부(170), 누설센서부(190) 및 연결부(180)를 포함할 수 있고, 배수제어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leakage detection easy view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ain pipe 130, a leakage detection unit 150, an LED light-emitting unit 170, a leakage sensor unit 190, and a connection unit. It may include 180, and may further include a drainage control unit 110.

배수제어부(110)는 배수관(130)을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외부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배수관(130)의 내부로 흐르는 물을 주기적으로 차단하여 물의 유속을 제어할 수 있다.The drainage control unit 11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drain pipe 130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and may periodically block water flowing into the drain pipe 130 to control the flow rate of water.

즉, 배수제어부(110)는 배수관(130)의 내부로 물을 흐르게 하는 밸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drainage control unit 110 may serve as a valve that allows water to flow into the drain pipe 130.

배수관(130)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비어 있는 내부로 물이 이동 가능하고, 물의 흐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속을 견디는 세라믹, 플라스틱 또는 단단한 파이프와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drain pipe 130 may be formed as a circular or square pillar, and may be formed in an empty shape, and water can move into the empty interior, and ceramic, plastic, or rigid material that withstands the flow rate generated by the flow of water. It can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pipe.

누설감지부(150)는 배수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단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배수관(130)의 파열에 의하여 배수관(130)의 내부의 비어 있는 공간을 이동하는 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누설 발생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on unit 15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ain pipe 130, and water that moves through the empty space inside the drain pipe 130 leaks to the outside due to the rupture of the drain pipe 130 Can be detected, and a leak generation signal can be generated.

LED발광부(170)는 배수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면에 밀착되어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누설감지부(150)에 의하여 누설 발생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배수관(130)의 누설을 알리기 위하여 발광할 수 있다.The LED light-emitting unit 17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and fixedly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ain pipe 130, and when a leakage gener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leakage detection unit 150, the leakage of the drain pipe 130 You can emit light to inform you.

누설센서부(190)는 누설감지부(150)로부터 배수관(130)의 누설이 감지되어 발생하는 누설 발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LED발광부(170)와 타단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LED발광부(170)의 발광이 가능하도록 LED발광부(170)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The leakage sensor unit 190 may receive a leakage generating signal generated by detecting a leakage of the drain pipe 130 from the leakage detecting unit 150, and the LED light emitting unit 17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and the LED Power may be provided to the LED light-emitting unit 170 so that the light-emitting unit 170 can emit light.

연결부(180)는 누설감지부(150)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누설센서부(190)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어 누설감지부(150)와 누설센서부(190)를 연결하여 누설감지부(150)에서 발생하는 누설 발생 신호를 누설센서부(190)로 제공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180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eakage detection unit 15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eakage sensor unit 190, so that the leakage detection unit 150 and the leakage sensor unit 19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leakage gene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leakage detection unit 150 may be provided to the leakage sensor unit 19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연결부의 형상이 도시된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hape of a connection part, which is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leak detection easy-vie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연결부(180)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누설감지부(150)의 일단 및 누설센서부(190)의 타단이 삽입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connection part 18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grooves into which one end of the leakage detection unit 150 and the other end of the leakage sensor unit 190 can be inserted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I ca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누설감지부의 형상이 도시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hape of a leakage detection unit, which is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leakage detection easy vie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부(150)는 연결부(180)와 연결되어 누설센서부(190)로부터 전원을 입력 받아 배수관(130)으로부터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the leakage detection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180 to receive power from the leakage sensor unit 190 to detect a leakage from the drain pipe 130. have.

누설감지부(150)는 양단에 전류가 이동하는 전선이 연결되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누설센서부(19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전선을 통하여 공급받을 수 있다.The leakage detection unit 150 may be provided with a device connected to a wire through which a current moves at both ends, and through this, power provided from the leakage sensor unit 190 may be supplied through the wire.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13 and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eak detection easy-vie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 설비로부터 폐수가 배출되는 배수관(130)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13 and 14, a drain pipe 130 through which wastewater is discharged from a facility provided at the top may be provided.

설비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배수관(130)의 하단은 폐수가 흐르는 배관로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배수관(130)의 외측면을 따라 LED발광부(170)가 밀착되어 있을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13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acility may be connected to a pipe path through which wastewater flows, and the LED light-emitting unit 170 may be in close contact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 pipe 130.

도 13은 배수관(130)을 통하여 폐수가 흐를 때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는 배수관(130)에 누설이 발생하여 배수관(13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폐수가 밖으로 흘렀을 때에 발광하는 LED발광부(170)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a situation when wastewater flows through the drain pipe 130, and FIG. 14 is a LED light emission that emits light when a leakage occurs in the drain pipe 130 and the wastewater moving from the inside of the drain pipe 130 flows out. It is a view showing the unit 170.

도 14와 같이, 배수관(130)의 일부분에서 누설이 발생할지라도 배수관(130)에 전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LED발광부(170)가 발광함으로 배수관(130)의 전체적인 정비가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even if a leakage occurs in a portion of the drain pipe 130, the LED light emitting unit 170 connected to the drain pipe 130 as a whole emits light, so that the overall maintenance of the drain pipe 130 can be performed.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누설센서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leak sensor unit, which is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leak detection easy view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센서부(190)는 LED버튼(191), 누설제어부(197), 조광부(199), 전원차단부(193) 및 전원공급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leakage sensor unit 1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LED button 191, a leakage control unit 197, a dimming unit 199, a power cut-off unit 193, and a power supply unit 195. ) Can be included.

LED버튼(191)은 외부로부터의 입력에 의하여 온(ON)/오프(OFF)가 가능한 스위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LED button 19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witch capable of ON/OFF by an external input.

LED버튼(191)은 스위치를 통하여 외부로부터의 입력이 들어와 온(ON)되는 경우 LED발광부(170)로 전원을 제공하여 LED발광부(170)를 발광시킬 수 있고, 온(ON)되어 있는 스위치에 외부로부터의 입력이 들어와 오프(OFF)되는 경우 LED발광부(170)로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The LED button 191 can provide power to the LED light-emitting unit 170 to emit light when an external input is input through a switch and is turned on. When an external input is input to the switch and is turned off, power to the LED light emitting unit 170 may be cut off.

누설제어부(197)는 누설감지부(150)로부터 누설 발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LED버튼(191)으로의 입력과 무관하게 LED발광부(170)가 발광하도록 전원을 제공할 수 있고, 누설감지부(150)로부터 누설 발생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LED버튼(191)으로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The leakage control unit 197 may provide power so that the LED light-emitting unit 170 emits light regardless of an input to the LED button 191 when a leakage gene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leakage detection unit 150, and the leakage detection unit When the leakage generation signal is not received from 150, the power to the LED button 191 may be cut off.

조광부(199)는 외부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고, 외부의 밝기에 따라 LED발광부(17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dimming unit 199 may detect external brightness and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LED light emitting unit 170 according to the external brightness.

더욱 구체적으로, 조광부(199)는 외부의 밝기가 광도 또는 조도와 같이 빛의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밝기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LED발광부(170)의 밝기를 기준 밝기보다 밝게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dimming unit 199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ED light-emitting unit 170 to emit brighter than the reference brightness when external brightness is detected to be more than a certain brightness based on a unit of light such as luminous intensity or illuminance. can do.

또한, 조광부(199)는 외부의 밝기가 광도 또는 조도와 같이 빛의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밝기 이하로 감지되는 경우, LED발광부(170)의 밝기를 기준 밝기보다 어둡게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mming unit 199 can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LED light emitting unit 170 to emit light darker than the reference brightness when external brightness is detected to be less than a certain brightness based on a unit of light such as luminance or illuminance. have.

전원차단부(193)는 LED발광부(170), 누설감지부(150) 또는 누설제어부(197)의 과열을 감지할 수 있고, LED발광부(170), 누설감지부(150) 또는 누설제어부(197)의 과열이 감지되는 경우 LED발광부(170), 누설감지부(150) 또는 누설제어부(197)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The power cut-off unit 193 can detect overheating of the LED light-emitting unit 170, the leakage detection unit 150, or the leakage control unit 197, and the LED light-emitting unit 170, the leakage detection unit 150, or the leakage control unit When overheating of the 197 is detected, the power of the LED light emitting unit 170, the leakage detecting unit 150, or the leakage control unit 197 may be cut off.

전원공급부(195)는 LED버튼(191), 누설제어부(197), 전원차단부(193) 및 조광부(199)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5 may supply power to the LED button 191, the leakage control unit 197, the power cut-off unit 193, and the dimming unit 199.

한편, 누설센서부(190)의 일측에는 듀얼 이엠오 스위치(50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위험 시에 듀얼 이엠오 스위치(500)를 이용하여 누설감지부(150) 또는 LED발광부(170)로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dual EMO switch 5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akage sensor unit 190, so in case of danger, the leakage detection unit 150 or the LED light emitting unit 170 may be Power can be cut off.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배수관의 일부에 마련되는 배관보호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ipe protection unit provided in a part of a drain pipe, which is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leak detection easy view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130)의 외측면을 따라 배관보호부(30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a pipe protection part 300 may be provid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 pipe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배수관(130)은 상술한 도 10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The drain pipe 130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6, and thus will be omitted.

배관보호부(300)는 배수관(130)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고, 배수관(130)의 하단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다수 개가 배수관(13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pipe protection part 300 may b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 pipe 130,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130, but a plurality of pipe protection parts 30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 pipe 130.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배관보호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ipe protection unit shown in FIG. 16.

도 17을 참조하면, 배관보호부(300)는 상단부(310), 제1 연결부(315), 구동부(360), 중앙부(350), 기둥부(330), 하단부(370), 배출부(380) 및 지탱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pipe protection part 300 includes an upper end 310, a first connection part 315, a driving part 360, a central part 350, a column part 330, a lower part 370, and a discharge part 380. ) And a support portion 390 may be included.

상단부(310)는 상단에 평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배수관(130)의 외측면 모양을 따라 둥글거나 각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배수관(130)의 하단과 밀착되어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end 310 may be formed to be flat on the top, may be formed in a round or angled shape along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 pipe 130, and may be formed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130 .

제1 연결부(315)는 상단부(310)와 하단에 마련되는 구동부(360) 및 기둥부(33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부(310)를 구동부(360) 및 기둥부(330)의 상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315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310 and the driving part 360 and the column part 330 provided at the lower end, and the upper part 31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part 360 and the column part 330. Can be fixed on.

제1 연결부(315)는 너트 및 볼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단부(310)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홈에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315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nut and a bolt, and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end 310.

구동부(360)는 배수관(130)이 흔들림에 의하여 수축 또는 이완하는 스프링 등의 장치로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수관(130)의 미세한 흔들림도 흡수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360 may be provided with a device such as a spring that contracts or relaxes the drain pipe 130 by shaking, and accordingly, may absorb a minute shaking of the drain pipe 130.

구동부(360)는 중앙부(350)를 중심으로 하여 상단과 하단으로 각각 나누어져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중앙부(350)는 상단과 하단으로 나누어져 마련되어 있는 구동부(360)를 연결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360 may b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with the central portion 350 as the center, and the central portion 350 may connect the driving unit 360 which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중앙부(350)는 구동부(360)의 외형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부(360)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The central part 350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driving part 360, and thus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driving part 360.

기둥부(330)는 구동부(360)와 중앙부(35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하단이 지탱부(390)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중앙에 길게 마련되어 배수관(130)의 압력에 의하여 흔들리는 구동부(360)의 중심을 잡아줄 수 있다.The column part 3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driving part 360 and the central part 350, and the lower end may be fixedly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390, and provided at a long center by the pressure of the drain pipe 130. It is possible to hold the center of the shaking driving unit 360.

한편 기둥부(330)는 구동부(360)가 수축하거나 이완 구동하는 경우, 이에 따라 수축 또는 이완 구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둥부(330)는 수축 또는 이완이 가능한 실린더 등의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driving unit 360 contracts or relaxes, the column part 330 may be driven to contract or relax accordingly, and the column part 330 may be provided with a device such as a cylinder capable of contracting or relaxing. have.

여기서, 구동부(360) 및 기둥부(330)는 스프링 및 실린더의 장치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한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 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riving unit 360 and the pillar unit 330 have been described as devices of a spring and a cylind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any device capable of contraction and relaxation may include all of the devices without being limited by their names.

하단부(370)는 구동부(360)의 하단에 마련되어 구동부(360)를 지탱부(390)와 연결 고정시킬 수 있고, 구동부(360)의 외형에 맞추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부(360)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The lower end 37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riving part 360 to connect and fix the driving part 360 to the supporting part 390, and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driving part 360. It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여기서, 중앙부(350) 및 하단부(370)는 구동부(360)의 외형에 맞추어 형성되는 것은 구동부(360)가 일정한 지름을 갖는 원형의 기둥으로 형성되는 경우, 중앙부(350) 및 하단부(370)는 구동부(360)와 같은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central part 350 and the lower part 370 are formed accor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driving part 360 when the driving part 360 is formed as a circular column having a constant diameter, the central part 350 and the lower part 370 are It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driving part 360.

배출부(380)는 지탱부(390)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배수관(130)으로부터 누설되어 흐르는 물을 하단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The discharge part 38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rt 390, and discharge water leaking from the drain pipe 130 to the lower end.

더욱 구체적으로, 배관보호부(300)가 배수관(130)의 하단에 마련되되 누설감지부(150)의 상단에 마련될 수 있으므로, 배관보호부(300)의 하단에는 배출부(380)가 마련되어 있어 배수관(130)으로부터 누설되어 흐르는 물을 하단의 누설감지부(150)로 배출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since the pipe protection unit 30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130 but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leakage detection unit 150, a discharge unit 38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ipe protection unit 300 Thus, water leaking and flowing from the drain pipe 130 can be discharged to the leak detection unit 150 at the bottom.

이로부터, 배수관(130)의 하단에 배관보호부(300)와 누설감지부(150)가 동시에 마련되어 있을지라도 다른 위치에 마련되지 않고, 누설감지부(150)의 상단에 배관보호부(300)가 마련될 수 있고, 배관보호부(300)의 배출부(380)에 의해 누설감지부(150)는 배수관(130)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다.From this, although the pipe protection unit 300 and the leakage detection unit 150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rain pipe 130 at the same time, they are not provided at different positions, and the pipe protection unit 300 at the upper end of the leakage detection unit 150 May be provided, and the leakage detection unit 150 may detect the leakage of the drain pipe 130 by the discharge unit 380 of the pipe protection unit 300.

지탱부(390)는 기둥부(330), 하단부(370) 및 배출부(380)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바닥면과 밀착되어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The support part 39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olumn part 330, the lower part 370, and the discharge part 38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may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

지탱부(390)의 바닥면과 밀착되는 부분은 접착제가 마련되어 있어 바닥면에 부착 고정될 수 있고, 각 모서리에 바닥면과 연결 가능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바닥면에 연결 고정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support part 390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may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s an adhesive is provided, and a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floor surface may be provided at each corner and thus may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floor surface.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의 구성 중 일부인 배수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18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ain pipe that is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a leak detection easy view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130)은 제1 지지부(131), 제2 지지부(1311), 제3 지지부(1312), 제4 지지부(1313), 제1 내부지지부(135), 제2 내부지지부(1351), 제3 내부지지부(1352), 제4 내부지지부(1353), 제1 연결지지부(1371), 제2 연결지지부(1372), 제3 연결지지부(1373) 및 길이조정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a drain pipe 1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131, a second support part 1311, a third support part 1312, a fourth support part 1313, and a first support part 131. Inner support (135), second internal support (1351), third internal support (1352), fourth internal support (1353), first connection support (1371), second connection support (1372), third connection support It may include (1373) and a length adjustment unit (139).

제1 지지부(131), 제2 지지부(1311), 제3 지지부(1312) 및 제4 지지부(1313)는 배수관(130)의 외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되어 있는 제1 지지부(131) 내지 제4 지지부(1313)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131, the second support part 1311, the third support part 1312, and the fourth support part 1313 may be formed as an outer surface of the drain pipe 130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131. The fourth to fourth support portions 131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가장 타단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지지부(131)는 타단이 막혀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내부에 물이 흐르는 경우 오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131 provided at the other end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other end is blocked, and may be formed to be open when water flows inside.

제1 지지부(131)의 일단은 각각 외부로 꺽이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단의 일단은 '┘'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하단의 일단은 '┐'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131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is bent to the outside, so that one end of the upper end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nd one end of the lower end may be formed in a form of'┐'.

제2 지지부(1311)는 제1 지지부(131)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지지부(131)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로 형성되어 제1 지지부(131)의 일단에 고정 지지되어 있을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art 1311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131, and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wider than that of the first support part 131, and may be fixedly supported at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131. .

제2 지지부(1311)의 타단은 각각 내부로 꺽이는 '┌', '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일단은 각각 외부로 꺽이는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1311 may be formed in a form such as'┌' and'b' that are bent inward, and one end may be formed in a form of'┘' and'┐' that are bent outward, respectively.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1311)의 '┌', '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타단은 제1 지지부(131)의 '┘', '┐'의 형태로 형성되는 일단의 외측에 마련되어 서로 탈착이 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other end formed in the form of'┌' and'b' of the second support part 1311 is provided outside one end formed in the form of'┘' and'┐' of the first support part 131 It can be installed to be fixed to each other so that it is impossible to detach.

제3 지지부(1312)는 제2 지지부(1311)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지지부(1311)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로 형성되어 제2 지지부(1311)의 일단에 고정 지지되어 있을 수 있다.The third support part 1312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1311, and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wider than that of the second support part 1311 and fixedly supported at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1311. .

제3 지지부(1312)의 타단은 각각 내부로 꺽이는 '┌', '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일단은 각각 외부로 꺽이는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third support 1312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as'┌' and'b' that are bent inward, and one end may be formed in a form of'┘' and'┐' that are bent outward, respectively.

더욱 구체적으로, 제3 지지부(1312)의 '┌', '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타단은 제2 지지부(1311)의 '┘', '┐'의 형태로 형성되는 일단의 외측에 마련되어 서로 탈착이 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other end formed in the form of'┌' and'b' of the third support part 1312 is provided outside one end formed in the form of'┘' and'┐' of the second support part 1311. It can be installed to be fixed to each other so that it is impossible to detach.

제4 지지부(1313)는 제3 지지부(1312)의 일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제3 지지부(1312)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로 형성되어 제3 지지부(1312)의 일단에 고정 지지되어 있을 수 있다.The fourth support part 1313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part 1312, and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wider than that of the third support part 1312 and be fixedly supported at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part 1312. .

제1 지지부(131) 내지 제4 지지부(1313)는 서로 타단에 마련되어 있는 지지부를 수용할 수 있는 너비로 형성될 수 있어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배수관(13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support portions 131 to 1313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capable of accommodating support portions provided at the other ends of each other, and thus the length of the drain pipe 130 may be adjusted by external pressure.

제4 지지부(1313)의 타단은 각각 내부로 꺽이는 '┌', '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일단은 막혀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내부에 물이 흐르는 경우 오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fourth support part 1313 may be formed in a form such as'┌' and'b' that are bent inside, and one end may be formed in a closed form, so that it can be opened when water flows inside. Can be formed.

제1 내부지지부(135)는 제1 지지부(13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내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톱니의 모양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first internal support part 135 may be located inside the first support part 131,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side, respectively,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a sawtooth.

제2 내부지지부(1351)는 제2 지지부(131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내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톱니의 모양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second inner support part 1351 may be located inside the second support part 1311,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side, respectively,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as a shape of a sawtooth.

제3 내부지지부(1352)는 제3 지지부(131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내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톱니의 모양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third internal support 1352 may be located inside the third support 1312,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terior, respectively,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a sawtooth.

제4 내부지지부(1353)는 제4 지지부(131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내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톱니의 모양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fourth internal support part 1352 may be located inside the fourth support part 1313,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terior, respectively, and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a sawtooth.

제1 내부지지부(135) 내지 제4 내부지지부(1353)는 톱니의 모양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되, 굽혀지거나 펴질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이에 따라 수축 및 이완구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ternal support part 135 to the fourth internal support part 1352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sawtooth,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bent or unfolded, and thus may be formed to allow contraction and relaxation driving.

한편, 제1 연결지지부(1371)는 제1 내부지지부(135)의 일단에 연결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내부지지부(1351)의 타단에 연결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내부지지부(135)와 제2 내부지지부(1351)의 수축 및 이완에 따라 양단에 마련되어 있는 제1 내부지지부(135)와 제2 내부지지부(1351)의 구동을 지지해줄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connection support part 1371 may be connected and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internal support part 135, may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ternal support part 1351, and the first internal support part 135 ) And the second inner support part 1351 may support driving of the first inner support part 135 and the second inner support part 1351 provided at both ends according to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second inner support part 1351.

제2 연결지지부(1372)는 제2 내부지지부(1351)의 일단에 연결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제3 내부지지부(1352)의 타단에 연결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2 내부지지부(1351)와 제3 내부지지부(1352)의 수축 및 이완에 따라 양단에 마련되어 있는 제2 내부지지부(1351)와 제3 내부지지부(1352)의 구동을 지지해줄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support 1372 may be connected and fixed to one end of the second internal support 1351, may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third internal support 1352, and the second internal support 1351 and According to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third inner support portion 1352, driving of the second inner support portion 1351 and the third inner support portion 1352 provided at both ends may be supported.

제3 연결지지부(1373)는 제3 내부지지부(1352)의 일단에 연결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제4 내부지지부(1353)의 타단에 연결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3 내부지지부(1352)와 제4 내부지지부(1353)의 수축 및 이완에 따라 양단에 마련되어 있는 제3 내부지지부(1352)와 제4 내부지지부(1353)의 구동을 지지해줄 수 있다.The third connection support part 1373 may be connected and fixed to one end of the third inner support part 1352, may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ourth internal support part 1352, and According to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the fourth inner support portion 1352, driving of the third inner support portion 1352 and the fourth inner support portion 1352 provided at both ends may be supported.

길이조정부(139)는 제4 지지부(1313)의 내부 중앙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접이식 지지대와 같이 굽혀지거나 펴지는 것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가 굽혀져 서로 맞닿을 수 있다.The length adjustment part 139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fourth support part 1313,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bent or unfolded, such as a folding support, so that the supports connected to each other may be bent to contact each other. .

길이조정부(139)는 외부의 압력으로부터 배수관(1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축 또는 이완 구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최소한으로 수축하였을 때 제1 지지부(131), 제2 지지부(1311) 및 제3 지지부(1312)가 제4 지지부(131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The length adjustment part 139 may be formed to be contracted or relax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drain pipe 130 from external pressure, and the first support part 13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311 when contracted to a minimum And the third support part 1312 may be inserted into the fourth support part 1313.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concept of equivalents thereof. .

10: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
500: 듀얼 이엠오 스위치
10: Leak detection easy view system
500: dual EMO switch

Claims (2)

회전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회로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수동 소자 또는 능동 소자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전원이 입력되어 상기 수동 소자 또는 능동 소자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는 구동회로; 및
상기 구동회로에 연결되어 있어 위험시에 상기 구동회로의 전류를 차단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일단은 상기 구동회로(MAIN FRAME)의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구동회로(MAIN FRAME)의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스위치; 및
일단은 상기 구동회로(MAIN FRAME)의 입력단자와 연결되어 있되 상기 제1 스위치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구동회로(MAIN FRAME)의 출력단자와 연결되어 있되 상기 제1 스위치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 스위치와 병렬의 구조로 위치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회전함으로 상기 구동회로(MAIN FRAME)를 open loop 형태로 제어하고,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평상시에는 구동회로를 close loop하여 회로를 연결하여 전류의 흐름을 이어주고,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는 위험시에는 구동회로를 open loop하여 회로를 끊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되 상단은 원기둥보다 넓은 지름을 갖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상단이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구동회로를 open loop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상단이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여 open loop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 상단이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누설감지 이지뷰 시스템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기둥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비어 있는 내부로 물이 이동 가능하고, 상기 물의 흐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속을 견디는 세라믹, 플라스틱 또는 단단한 파이프와 같은 소재로 형성되는 배수관; 및
상기 배수관의 외측면에 위치하되, 하단에 위치할 수도 있거나 다수 개가 배수관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는 배관보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관보호부는,
상기 배수관의 외측면 모양을 따라 둥글거나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수관의 하단과 밀착되어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상단부;
상기 상단부와 연결되어 있되 너트 및 볼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단부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홈에 삽입되는 제1 연결부;
상기 배수관의 흔들림을 흡수하는 스프링과 같이 수축 또는 이완하는 장치로 마련될 수 있고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외형에 맞추어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어 상단과 하단으로 나누어져 마련되어 있는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중앙부;
상기 구동부와 상기 중앙부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고, 중앙에 길게 마련되어 상기 배수관의 압혁에 의하여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심을 잡아주는 기둥부;
상기 구동부의 외형에 맞추어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의 하단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하단부;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누설되어 흐르는 물을 하단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 상기 하단부 및 상기 배출부의 하단에 마련되고 바닥면과 밀착되는 지탱부;를 포함하는, 듀얼 이엠오 스위치.



Including a switch driven to be rotatable,
A driving circuit in which a plurality of passive elements or active elements constituting a circu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power is input, and current flows through the passive elements or active elements; And
Includes; a switch connected to the driving circuit to drive the current of the driving circuit to be cut off in case of danger,
Leak detection easy view system; further includes,
The switch,
A first swit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of the driving circuit (MAIN FRAM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driving circuit (MAIN FRAM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driving circuit (MAIN FRAME), bu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switch,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driving circuit (MAIN FRAME), but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 and Including; a second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 and positioned in a parallel structure,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By rotating by external pressure, the driving circuit (MAIN FRAME) is controlled in an open loop type,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When pressure is not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driving circuit is closed looped to connect the circuit to connect the current, and when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driving circuit is open looped to cut the circuit to block the flow of current. ,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but the upper end is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with a diameter wider than that of the cylinder,
The first switch and the second switch,
When the upper end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rotates clockwise by external pressure, the driving circuit is open looped,
The second switch,
Wh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switch is rotated by external pressure to form an open loop, the upper end is rotatable by external pressure,
The leak detection easy view system,
A drain pip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ceramic, plastic, or rigid pipe that is formed as a circular or square column, is formed in an empty shape, allows water to move into the empty interior, and withstands the flow rate generated by the flow of water. ; And
It is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 pipe, but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r a plurality of pipe protection units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drain pipe; further includes,
The pipe protection unit,
An upper end portion formed in a round or angled shape along the outer surface shape of the drain pipe, and formed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drain pipe;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upper part, formed in the form of a nut and a bolt, and inserted into a groov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rt;
It may be provided with a device that contracts or relaxes, such as a spring that absorbs the shaking of the drain pipe, and includes a driving unit;
A central portion configured to fit the outer shape of the driv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driving unit to connect the driving unit divided into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A column part provided inside the driving part and the central part, and provided in the center to hold the center so as to prevent shaking by the pressure leather of the drain pipe;
A lower end formed to fit the outer shape of the driving unit and provided to b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driving unit;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water leaking from the drain pipe and flowing to the lower end; And
Containing, a dual EMO switch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olumn part, the lower part and the discharge part,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삭제delete
KR1020200127673A 2020-10-02 2020-10-02 Dual emo switch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22335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673A KR102233524B1 (en) 2020-10-02 2020-10-02 Dual emo switch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673A KR102233524B1 (en) 2020-10-02 2020-10-02 Dual emo switch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524B1 true KR102233524B1 (en) 2021-03-29

Family

ID=75249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673A KR102233524B1 (en) 2020-10-02 2020-10-02 Dual emo switch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524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296A (en) * 2004-04-09 2005-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Emergency switch of semiconductor fabricating apparatus by two push way
KR20060012465A (en) * 2004-08-03 2006-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Emergency off switch
KR101107202B1 (en) 2011-04-06 2012-01-25 윤대훈 Sensing device for sensing leakage of pipe connecting portion
KR101118219B1 (en) * 2009-10-20 2012-03-19 우리산업 주식회사 Dual type switch
KR200464758Y1 (en) * 2011-08-26 2013-01-16 황현승 Emergency stop switch unit
KR101675468B1 (en) * 2014-03-11 2016-11-11 치치부 후지 가부시키가이샤 Push-button switch for emergency stop
JP6681111B2 (en) * 2016-09-26 2020-04-15 Nkkスイッチズ株式会社 Rotary switch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9296A (en) * 2004-04-09 2005-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Emergency switch of semiconductor fabricating apparatus by two push way
KR20060012465A (en) * 2004-08-03 2006-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Emergency off switch
KR101118219B1 (en) * 2009-10-20 2012-03-19 우리산업 주식회사 Dual type switch
KR101107202B1 (en) 2011-04-06 2012-01-25 윤대훈 Sensing device for sensing leakage of pipe connecting portion
KR200464758Y1 (en) * 2011-08-26 2013-01-16 황현승 Emergency stop switch unit
KR101675468B1 (en) * 2014-03-11 2016-11-11 치치부 후지 가부시키가이샤 Push-button switch for emergency stop
JP6681111B2 (en) * 2016-09-26 2020-04-15 Nkkスイッチズ株式会社 Rotary swi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82930B (en) For substituting the lamp of fluorescent tube
ES2544827T3 (en) Lighting means, especially for operation in lampholders for fluorescent lamps
JP2015515725A (en) Lamp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lamp device
US9942955B2 (en) LED lamp using switching circuit
AR011352A1 (en) EXCITATION CIRCUIT AND METHOD TO OPERATE IT
WO2013052405A1 (en) Overcurrent handling for a lighting device
EP2385623A3 (en) Motor drive device
KR102233524B1 (en) Dual emo switch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ES2293544T3 (en) FAILURE PROOF CIRCUIT FOR GAS VALVES.
KR102422865B1 (en) Modules to provide intrinsically safe electrical output power and explosion-proof luminaires
JP6502375B2 (en) Fluorescent lamp compatible type LED lighting device and electric shock protection device therefor
KR102225700B1 (en) Leakage detection easy view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9839093B1 (en) Self-healing overtemp circuits in LED lighting systems
KR101000401B1 (en) Lighting equipment having a function of self diagnostic test
KR102052116B1 (en) Circuit for improving surge and eliminating ripple light of AC LED illumination apparatus
JP2009170341A (en) Luminaire
JP6146970B2 (en) Light source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fixture
ES2779200T3 (en) Frequency converter, method of braking a synchronous motor and drive unit
US20190387636A1 (en)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for cooling
JP2010205440A (en) Lighting system
WO2018097858A1 (en) Linear solid-state lighting with electric shock current sensing
TWM526647U (en) Lamp with multiple connecting points
US8068318B2 (en) Apparatus for ground fault current interrupter with overall end-of-life indication and shutdown protection function
KR101810426B1 (en) Dual mode power supply
JP2017016979A (en) Hot-swap protection circuit, and constant current power supp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