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180B1 - 스마트 무선 충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무선 충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180B1
KR102233180B1 KR1020167032924A KR20167032924A KR102233180B1 KR 102233180 B1 KR102233180 B1 KR 102233180B1 KR 1020167032924 A KR1020167032924 A KR 1020167032924A KR 20167032924 A KR20167032924 A KR 20167032924A KR 102233180 B1 KR102233180 B1 KR 102233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mobile device
charging system
request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2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7923A (ko
Inventor
아비 아프리에브 프리에브
올레그 포고렐릭
샤하르 포라트
알렉스 네이쉬투트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47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7/02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7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a programmable sche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력 분배 할당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시스템과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에 제1 무선 연결을 수립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충전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고, 제1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충전 시스템 정책을 식별할 수도 있다. 시스템은 제1 충전 요청 및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1 충전 프로그램은 충전 시스템에 연결되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할당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제1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무선 충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WIRELESS CHARGING}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 무선 충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컴퓨팅 환경(computing landscape)의 필수 부품이 되었다. 모바일 장치가 더 많이 유능해짐에 따라, 종래에는 비모바일 컴퓨터에서 수행되었던 태스크(task)를 수행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가 바뀌었다. 일 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미디어를 스트리밍하거나,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아니면 하루 동안 많은 양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능력을 가질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걸친 소비 전력의 높은 동적 범위와 함께, 소비자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의 증가는, 배터리 또는 전원(power source)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정의 컴포넌트를 닳게 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많은 부분을 소비할 수도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충전할 필요가 빈번하게 나타날 수도 있다. 소비자는 또한 충전을 필요로 하는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가질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할 제한된 양의 시간만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충전 시스템은 충전 시스템에 연결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최적으로 충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스마트 무선 충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요구될 수도 있다.
이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할 것인데, 첨부의 도면은 반드시 동일 축척에 따라 도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충전 시스템의 예시적 환경의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분배 할당(power distribution allocation)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도 2의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데이터플로우(dataflow)를 예시하는 데이터플로우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몇몇 실시형태가 도시되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로, 본 개시의 실시형태가 더 완전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본원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선 안되며; 대신, 이들 실시형태는, 본 개시가 완벽하고 완전해지도록, 그리고 본 개시의 범위를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완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같은(like) 도면 부호는, 전체에 걸쳐 같은, 그러나, 반드시 똑같거나 또는 동일하지는 않은 엘리먼트를 가리킨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 랩탑, 스마트폰, 태블릿,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 예컨대 어플라이언스, 웨어러블(헤드셋, 손목시계, 헬스 모니터 등을 포함함) 또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전력 분배 할당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은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하도록, 또는 단위 시간당 에너지로서 정의되는 전력을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충전 시스템은,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해, 또는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해 자기 공명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거나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충전 시스템은 제한된 충전 용량을 가질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에 혼잡이 존재하는 경우, 예컨대 충전 시스템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의한 충전에 대한 높은 요구가 존재하는 경우, 충전 시스템은 연결된 디바이스에 대한 효율적인 무선 충전에 최적화되지 않을 수도 있다. 소정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불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충전될 수도 있거나, 또는 소정의 디바이스의 충전이 지연될 수도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충전 시스템은 최적화된 스마트 또는 무선 충전을 제공하고, 유저가 소망의 디바이스를 충전하기 위한 우선 순위를 지정할 수도 있기 때문에 충전 시스템에서 향상된 유저 경험으로 나타나게 된다. 무선 충전의 다른 형태가 활용될 수도 있는데, 그 예는 본원에서 설명되며, 용량 충전, 유도 충전, 및 다른 무선 충전 방법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충전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충전 요청 및 충전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충전할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 정책은, 전력 할당과 관련되는 규칙, 우선 순위 등급(priority ranking),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인증(authentication)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충전 규칙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충전 규칙과 관련될 수도 있는데, 하나 이상의 충전 규칙은 저장될 수도 있고/있거나, 정보 기술 관리자 또는 충전 시스템 소유자와 같은 충전 시스템 유저로부터 취출될(retrieve)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은, 각각의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충전 요청 중 하나 이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각각의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고유의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충전 요청은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 및/또는 전력 할당분(allotment)에 대한 요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에 의해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는,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하는 현재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런타임 컨텍스트(몇몇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활용 정보를 포함함), 현재 배터리 충전 레벨, 충전 가용 시간,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 유저 식별자,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 및/또는 사양(specification)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은, 각각의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결정된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은,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업데이트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에 대한 응답에 기초하여, 충전 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리프레시할 수도 있거나 또는 수정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충전 시스템은, 충전 시스템의 가용 충전 용량(available charging capacity)의 사용을 최적화할 수도 있고 소정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충전을 우선시키는 것에 의해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도 있으며, 그 결과 우선된 모바일 디바이스는 충전 시스템으로부터 균형이 맞지 않은 양의 전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할당받는다. 예를 들면, 제한된 충전 용량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더 큰 충전 용량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보다 더 적은 에너지 또는 전력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몇몇 경우에서, 제한된 충전 용량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더 큰 충전 용량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고 있는 에너지보다 여전히 더 작은 최대 수용가능한 충전량(charge)을 받아들일 수도 있고, 균형이 맞지 않은 양의 전력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충전은 보다 효율적일 수도 있고 충전 시간이 단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충전 시스템 유저는 충전 시스템에 연결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충전 시스템 정책을 정의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 정책은, 특정한 모바일 디바이스 타입 또는 소정의 런타임 컨텍스트(예를 들면, 유저 정의 우선 순위의 애플리케이션)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예를 들면 특정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또는 특정한 타입/클래스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충전하는 것에 관련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예에서, 충전 시스템 정책은, 충전 시스템에 연결되는 스마트폰이 우선되어야 하고 더 빠른 충전 속도(charge rate)에서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앞서 최대 수신가능한 전력에서 완전히 충전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충전 시스템은,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스마트폰이 최대 전력을 수신하고 스마트폰이 아닌 다른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우선되는, 스마트폰에 대한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충전 시스템 정책은, 충전 시스템 유저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음악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중요한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다른 런타임 컨텍스트를 액티브하게(actively) 실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우선되어야 하고 중요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지 않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최대 충전 속도에서 충전되기 이전에 적어도 80%까지 충전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충전 시스템이 혼잡되는 경우, 더 높은 우선 순위 모바일 디바이스가 추가되면, 전력은 더 낮은 우선 순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더 높은 우선 순위 모바일 디바이스로 재할당될 수도 있다. 더 낮은 우선 순위 디바이스가 추가되면, 전력은, 예를 들면, 유저가 충전 시스템을 오버라이딩하지 않는 한, 재할당되지 않을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 정책은 또한, 로열티(loyalty) 카드 소유자 또는 회사 직원과 같은 특정 유저와 관련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소정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비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충전 시스템 정책은, 다른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중요도의 순서, 전력 할당, 또는 우선 순위 등급을 설정하기 위해, 충전 시스템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충전 시스템은, 우선순위 등급을 구체적으로 결정하지 않거나 아니면 순서 또는 충전 우선 순위를 생성하지 않고,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전력 할당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충전 시스템은 총 15 와트의 충전 용량을 가질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은 아무런 모바일 디바이스도 충전하고 있지 않을 수도 있고, 15 와트의 가용 충전 용량을 남길 수도 있다.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유저는 스마트폰을 충전 시스템에 위치시킬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스마트폰은,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충전 시스템 유저에 의해 관리되는 로열티 프로그램의 멤버일 수도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 유저와 관련된다. 충전 시스템은 임의의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하기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비컨 또는 핸드쉐이크 프로세스를 통해, 스마트폰과의 무선 연결을 수립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충전 시스템은 비컨을 방출하고 스마트폰은 무선 연결을 수립하기 위해 비컨에 대해 응답한다. 일단 연결되면, 스마트폰은 충전 요청을 충전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충전 요청은, 최소 전력 할당분(allotment) 요청, 예를 들면 5 와트, 및 최대 전력 할당분 요청, 예를 들면 10 와트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최소 및 최대 전력 할당분 요청은, 충전 동안 스마트폰이 수신할 수도 있는 전력의 양과 관련된다. 충전 요청은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 유저, 예를 들면, 로열티 보상 멤버와 관련되는 유저 식별자,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타입과 관련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할 수도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는, 이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를 스마트폰으로서 식별할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는 또한 스마트폰 상에서 실행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되는 런타임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런타임 컨텍스트 정보는 예를 들면 비디오를 스트리밍하는 것, 및 80%일 수도 있는 현재 배터리 충전 레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은 스마트폰으로부터 충전 요청 및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은,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을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충전 시스템은 스마트폰 디바이스, 로열티 멤버, 액티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 배터리 충전 레벨과 관련되는 충전 시스템 정책을 식별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충전 시스템 정책은,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가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최대 충전 속도에서 최대 충전량을 수신하기 이전에, 스마트폰이 최대 충전 속도에서 최대 충전량에서 적어도 95%까지 충전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스마트폰 디바이스와 관련되는 충전 규칙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 정책은 또한, 비로열티(non-loyalty) 멤버에 속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앞서, 로열티 멤버와 관련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타입과 무관하게, 최대 전력에서 완전히 충전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로열티 멤버와 관련되는 충전 규칙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은, 충전 요청 및 식별된 충전 시스템 정책 또는 정책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스마트폰에 대한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충전 프로그램은 또한, 충전 시스템 정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우선 순위 등급 또는 전력 할당, 예를 들면, 다른 연결된 디바이스에 비해 스마트폰을 우선하는 것을 설정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은 결정된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충전 시스템은, 스마트폰이 최고 우선 순위 충전의 권리를 부여받았기 때문에, 따라서 스마트폰은 스마트폰이 적어도 95%까지 충전될 때까지 최대 충전량을 수신해야 하는데, 그 95%에서 충전 프로그램은 수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어떠한 추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도 충전 시스템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 충전 시스템은, 스마트폰이 95%까지 충전될 때까지, 스마트폰이 수신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인 10 와트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 대한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무선 충전 시스템은, 최대 충전량과 함께, 또는 최대 충전량과 무관하게, 우선된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최대 충전 속도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 예시에서 더 나아가서, 제2 모바일 디바이스 유저가 태블릿 컴퓨터를 충전 시스템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제2 모바일 디바이스 유저는 충전 시스템 유저의 로열티 보상 프로그램의 멤버가 아닐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은 태블릿 컴퓨터와의 제2 무선 연결을 수립할 수도 있고, 태블릿 컴퓨터는, 5 와트의 최소 전력 할당분 및 20 와트의 최대 전력 할당분을 나타내는 충전 요청을 충전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충전 요청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태블릿 컴퓨터이고, 50%의 현재 배터리 충전 레벨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 및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은 태블릿 컴퓨터로부터 충전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고 태블릿 컴퓨터에 적용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을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충전 시스템은, 로열티 보상 멤버가 아닌 유저에게 속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충전 규칙을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정책, 모바일 디바이스 타입, 또는 이 경우에서는 태블릿 컴퓨터와 관련되는 다른 충전 시스템 정책, 및 소정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런타임 컨텍스트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관련되는 다른 충전 시스템 정책을 식별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은, 업데이트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하여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업데이트된 모바일 정보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현재 충전 레벨, 현재 수신되는 충전 속도 등에 관한 업데이트된 모바일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업데이트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는, 스마트폰 배터리가 지금 90%의 충전 레벨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은, 하기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 및/또는 다른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함에 있어서, 업데이트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고려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은, 충전 요청 및 태블릿 컴퓨터에 대한 식별된 충전 시스템 정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태블릿 컴퓨터에 대한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은 또한, 스마트폰으로부터의 업데이트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고려할 수도 있다. 태블릿 컴퓨터에 대한 충전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기준으로 하는 태블릿 컴퓨터에 대한 우선 순위 등급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그 우선 순위 등급은, 스마트폰 및 태블릿 컴퓨터 둘 다에 대한 충전 정책에 기초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은 태블릿 컴퓨터에 대한 전력 할당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 예시에서, 충전 정책은, 모바일 디바이스 타입 정책이 로열티 멤버 정책에 대해 우선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는데, 로열티 멤버 정책은 배터리 충전 레벨 정책에 대해 우선된다. 충전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 타입 때문에 스마트폰이 태블릿 컴퓨터에 비해 우선된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충전 시스템 정책은 스마트폰이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타입에 비해 우선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충전 시스템은, 스마트폰이 95%에 도달할 때까지, 또는 충전 정책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스마트폰에 최대 전력을 계속 제공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충전 시스템은 태블릿 컴퓨터에 대한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태블릿 컴퓨터는 스마트폰에 대해 더 낮은 우선 순위 레벨을 갖는다. 예를 들면, 태블릿 컴퓨터에 대한 충전 프로그램은, 스마트폰이 95% 충전에 도달할 때까지, 충전 시스템의 충전 용량으로부터 스마트폰에 할당된 전력을 감산하는 것에 의해 계산되는 5 와트의 가용 충전량을 태블릿 컴퓨터가 수신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는데, 95%에서는, 태블릿 컴퓨터에 대한 충전 프로그램이 태블릿 컴퓨터에 최대 전력을 제공하도록 업데이트될 수도 있고 스마트폰에 대한 충전 프로그램은 나머지 전력을 스마트폰에 제공하도록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은 태블릿 컴퓨터 및 스마트폰을 동시에 무선으로 충전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서, 충전 시스템 정책은, 로열티 보상 멤버와 관련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우선될 수도 있거나, 또는 80% 이상의 배터리 충전 레벨과 같은 소정의 배터리 충전 레벨 임계치를 넘는 디바이스가 우선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다른 충전 시스템 정책은, 모바일 디바이스 인증에 기초한 충전 규칙, 예를 들면, 인증된 유저만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충전하도록 허용될 수도 있다는 것, 전체 또는 소정의 디바이스에 걸친 최소 충전 레벨에 기초한 충전 규칙, 예를 들면, 50% 미만으로 충전된 모바일 디바이스가 우선된다는 것, 충전 가용 시간에 기초한 충전 규칙,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거되기 10분 이전의 기간 동안만 모바일 디바이스가 연결될 수도 있는 경우, 또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다른 충전 규칙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스마트 무선 충전을 위한 추가적인 시스템 및 방법이 본원에서 설명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원에서 논의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서로 및/또는 충전 시스템과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 및/또는 트랜시버(예를 들면, 무선부(radio))와 같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 및/또는 트랜시버를 구비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의 샘플 형태는, 와이파이, WiFi Direct™, BLUETOOTH™, BLUETOOTH LE™, 근접장 통신, 및 다른 적절한 형태의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충전 시스템으로부터 에너지를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충전 시스템과 함께 공진 자기 유도 에너지 전송에 참여하기 위한 공진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시스템 및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증가된 기능성을 제공할 수도 있고 그리고 증가된 기능성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및/또는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 정책을 활용하는 것에 의해 충전 시스템에 대한 충전 용량의 최적을 사용을 제공할 수도 있고 그리고 최적의 사용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서 개시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의 동작에서 수반되는 몇몇 예시적인 엘리먼트는 도면을 참조로 더 잘 이해될 수도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충전 시스템(100)을 예시하는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충전 시스템(100)은 전력 송신 유닛(102)을 포함한다. 도 1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 및 충전 정책 구성기(charging policy configurator; 400)를 묘사한다. 이 실시형태는 예시에 불과한데, 그 이유는 임의의 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포함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충전 시스템(100)은 충전 정책 구성기(4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 및 충전 정책 구성기(400)는 충전 시스템(100)의 전력 송신 유닛(102)과 무선 통신(104)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제1 무선 연결(106)을 통해 전력 송신 유닛(102)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제2 무선 연결(108)을 통해 전력 송신 유닛(102)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추가적인 또는 더 적은 모바일 디바이스 및/또는 전력 송신 유닛이 포함될 수도 있다.
전력 송신 유닛(102)은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를 무선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전력 송신 유닛(102)은 무선 충전 연합(Alliance for Wireless Power; A4WP) 표준에 의해 수립되는 충전 프로토콜을 통합할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전력 송신 유닛(102)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110), 무선부(112),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I/O)(114)를 포함한다. 각각의 컴포넌트(110, 112, 114)는 메모리(116)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도 있다. 메모리(116)는 충전 정책 모듈(118), 충전 프로그램 모듈(120), 충전 분배 모듈(122), 및 통신 모듈(124)을 포함한다. 충전 정책 모듈(118)은 충전 정책 구성기(400)로부터 충전 정책을 수신하도록 및/또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 충전 정책 모듈(118)은 충전 정책 및/또는 충전 규칙을,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력 송신 유닛(102)의 유저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충전 프로그램 모듈(120)은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충전 분배 모듈(122)은 지정된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력을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24)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을 송신하도록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력 송신 유닛(102)은 몇몇 실시형태에서 오퍼레이팅 시스템(126)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오퍼레이팅 시스템(126)은 유저에게 가이드식 유저 인터페이스(guided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도 있고/있거나 충전 시스템(100) 및/또는 전력 송신 유닛(102)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로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전력 송신 유닛(102)의 메모리(116) 상에 저장되는 모듈 중 하나 이상은, 원격으로, 예를 들면 원격 서버에, 웹 인터페이스에, 또는 클라우드에 저장될 수도 있고, 원격 서버는, 명령어를 수신하기 위해 및/또는 송신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전력 송신 유닛(102)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력 송신 유닛(102)은, 무선부(112)와 통신하는 안테나(128)를 포함한다. 전력 송신 유닛(102)은 또한,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로 전력을 무선으로 제공하도록 또는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공진기(132)를 포함한다. 전력 송신 유닛(102)은 또한,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 136) 및 공진기(132)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전력 증폭기(13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 유닛(102)은 외부 전원(138)에 연결될 수도 있는데, 전력 송신 유닛(102)은 외부 전원(138)으로부터 에너지를 수신한다. 전력 송신 유닛(102)은, 배터리(140) 또는 외부 전원(138)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컴포넌트의 각각이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도시되지만, 다른 실시형태는 추가적인 또는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송신 유닛(102)은, 용량성 충전 기술, 접촉 초음파 또는 비접촉 초음파 기술, 적외선 기술, 또는 다른 무선 전력 분배 기술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 유닛(102)은 임의의 형상, 사이즈, 또는 형태로 다가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송신 유닛(102)은, 매트 또는 시트의 형태일 수도 있거나, 또는 매트 또는 시트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테이블 또는 책상과 같은 가구, 벽, 비행기 좌석, 의자, 암레스트(armrest), 랩탑 또는 컴퓨터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일반적으로 놓이는 다른 표면에 통합될 수도 있다. 전력 송신 유닛(102)은, 높은 우선 순위 충전 영역(130) 내에 위치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높은 우선 순위 충전을 제공하는 지정된 물리적 위치(130)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송신 유닛(102)은, 높은 우선 순위로 지정된 에지 부분을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높은 우선 순위 에지 부분 내에 위치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우선된 충전을 수신한다. 높은 우선 순위 충전 영역(130)은, 높은 우선 순위 충전 영역(130)에 걸쳐 상이한 우선 순위 레벨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표시기(indicator), 예를 들면, LED 등(light)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표시기는 컬러 코딩될 수도 있거나 아니면 유저에 대한 우선 순위 또는 연결성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하나의 LED는 각각의 연결된 디바이스에 대해 조명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는, 충전 시스템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유저에게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는,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다양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전자 디바이스, 통신 디바이스, 및/또는 다른 유저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는, 태블릿 컴퓨팅 디바이스, 전자 책(이북(ebook)) 리더, 넷북 컴퓨터, 울트라북™,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손목 시계 또는 다른 웨어러블, 헬스 모니터, 개인 휴대형 디지털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폰, 웹 가능 텔레비전(web-enabled televisions), 비디오 게임 콘솔, 셋탑 박스(set top boxes; STB) 등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면 및/또는 명세서가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를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랩탑 컴퓨터로 가장하여 묘사할 수도 있지만, 본 개시는 이러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 본원에서 설명되는 시스템 및 방법은, 충전 시스템(100)의 전력 송신 유닛(102)과 통신할 수 있는 및/또는 충전 시스템(100)의 전력 송신 유닛(102)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유저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웹 브라우징과 같은 기능성, 비지니스 기능, 통신, 그래픽, 워드 프로세싱, 퍼블리싱,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 게이밍, 교육,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프로젝트 플래닝, 엔지니어링, 드로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다양한 목적을 위해 유저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202), 입/출력 인터페이스(204), 무선부(206), 및 배터리(208)를 포함한다. 각각의 컴포넌트(202, 204, 206, 208)는 메모리(210)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도 있다.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무선부(206)와 통신하는 안테나(212)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210)는 충전 요청 애플리케이션(214), 통신 모듈(216), 및 오퍼레이팅 시스템(218)을 포함한다. 충전 요청 애플리케이션(214)은 메모리(210) 상에 저장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고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와 관련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취출하도록 또는 결정하도록 뿐만 아니라,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의해, 예를 들면, 충전 시스템(100)으로 송신될 충전 요청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 모듈(216)은 전자 통신을 송신하도록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오퍼레이팅 시스템(218)은 유저에게 가이드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있거나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로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또한, 충전 시스템(100)의 전력 송신 유닛(102)으로부터 공진 자기 유도 에너지를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공진기(220)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한,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배터리(208)를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들 컴포넌트의 각각이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도시되지만, 다른 실시형태는 추가적인 또는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용량성 충전과 같은, 다른 형태의 무선으로 전달된 에너지를 수신 및 저장하는 데 필요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302), 입/출력 인터페이스(304), 무선부(306), 및 배터리(308)를 포함한다. 각각의 컴포넌트(302, 304, 306, 308)는 메모리(310)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도 있다.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무선부(306)와 통신하는 안테나(312)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310)는 충전 요청 애플리케이션(314), 통신 모듈(316), 및 오퍼레이팅 시스템(318)을 포함한다. 충전 요청 애플리케이션(314)은 메모리(310) 상에 저장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고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와 관련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취출하도록 또는 결정하도록 뿐만 아니라,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의해, 예를 들면, 충전 시스템(100)으로 송신될 충전 요청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 모듈(316)은 전자 통신을 송신하도록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오퍼레이팅 시스템(318)은 유저에게 가이드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있거나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로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또한, 충전 시스템(100)의 전력 송신 유닛(102)으로부터 공진 자기 유도 에너지를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공진기(320)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한,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배터리(308)를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들 컴포넌트의 각각이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도시되지만, 다른 실시형태는 추가적인 또는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용량성 충전과 같은, 다른 형태의 무선으로 전달된 에너지를 수신 및 저장하는 데 필요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 정책 구성기(400)는, 충전 시스템 유저가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충전 정책 및/또는 충전 규칙을 생성하거나, 구현하거나, 아니면 수정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적절한 전자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충전 정책 구성기(400)는 충전 시스템(100)에 원격일 수도 있거나 또는 로컬일 수도 있고 임의의 충전 시스템 유저에 의해 액세스가능할 수도 있거나 또는 액세스는 직원 또는 비용을 지불한 고객과 같은 소정의 인원으로 제한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충전 정책 구성기(400)는 정보 기술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원격 컴퓨터일 수도 있고, 한편 다른 실시형태에서, 충전 정책 구성기(400)는 전력 송신 유닛(102)의 메모리(116)에 포함될 수도 있다. 충전 정책 구성기(400)는, 예를 들면, 충전 규칙, 우선 순위 레벨 또는 등급, 및/또는 충전 정책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또는 충전 시스템(100)에 다른 수정을 가하는 것에 의해, 유저가 충전 시스템(100)의 양태를 구성하고/구성하거나 커스터마이징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408)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 정책 구성기(400)는, 예를 들면 충전 정책 모듈(118)을 통한 전력 송신 유닛(102)과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에 적합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 정책 구성기(400)에서 충전 정책에 가해진 변경은 전력 송신 유닛(102)에 푸시될 수도 있거나, 또는 전력 송신 유닛(102)의 충전 정책 모듈(118)은 충전 정책 구성기(400)에게 업데이트를 주기적으로 요청할 수도 있다. 충전 정책 구성기(400)는 메모리(405)를 포함할 수도 있는데, 메모리(405) 상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408)뿐만 아니라, 통신 모듈(407) 및 충전 정책 구성 모듈(406)이 저장된다. 충전 정책 구성기(4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02), 입출력 인터페이스(I/O)(403), 무선부(404), 및 안테나(409)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 유닛(102)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의 각기 각각의 프로세서(110, 202, 302)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적절히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 202, 302)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구현예는,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컴퓨터 실행가능 또는 머신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 202, 302)의 하드웨어 구현예는,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실행가능 또는 머신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 202, 302)는, 제한 없이,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축약형 명령어 세트 컴퓨터(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RISC), 복합 명령어 세트 컴퓨터(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CISC),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 유닛(102)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는 또한, 전력 송신 유닛(102)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의 다른 컴포넌트 중 하나 이상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202, 302)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칩셋(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 202, 302)는 또한, 특정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 또는 태스크를 핸들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애플리케이션 고유의 표준 제품(application specific standard product; ASSP)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전력 송신 유닛(102)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는 Intel® 아키텍쳐 시스템에 기초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110, 202, 302) 및 칩셋은 Intel® 프로세서 및 칩셋의 패밀리, 예컨대 Intel® Atom® 프로세서 패밀리로부터 유래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 유닛(102) 및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에 포함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14, 204, 304)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및/또는 출력을 유저에게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유저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14, 204, 304), 예컨대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가이드식 유저 인터페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력 송신 유닛(102)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와 상호작용하는 것에 의해, 본원에서 개시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관리하거나 감독할 수 있을 수도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4, 204, 304)는, 터치 스크린, 마이크, 가속도계 센서, 스피커, 또는 전력 송신 유닛(102)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유저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14, 204, 304)의 형태일 수도 있다
전력 송신 유닛(102)의 메모리(116)뿐만 아니라,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메모리(210, 310)는,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 리드 온리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동적 RAM(dynamic RAM; DRAM), 정적 RAM(static RAM; SRAM), 동기식 동적 RAM(synchronous dynamic RAM; SDRAM), 더블 데이터 레이트(double data rate; DDR) SDRAM(DDR-SDRAM), 램버스(RAM-BUS) DRAM(RDRAM),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리드 온리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비휘발성(nonvolatile) RAM(NVRAM),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착탈식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를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 유닛(102)의 메모리(116)뿐만 아니라,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메모리(210, 310)는, 각기 각각의 프로세서(110, 202, 302) 상에 로딩가능하고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뿐만 아니라, 이들 프로그램의 실행 동안 생성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각각 저장할 수도 있다. 각각의 메모리(116, 210, 310)의 컨텐츠를 상세히 참조하면, 각각의 메모리(116, 210, 310)는 여러 개의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모듈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각각은, 프로세서(110, 202, 302)에 의한 실행시, 전력 송신 유닛(102)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에 대한 기능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모듈 및/또는 소프트웨어는 각각의 메모리(116, 210, 310)에서의 물리적 위치 및/또는 어드레스에 대응할 수도 있거나 또는 대응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모듈의 각각의 컨텐츠는 서로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실제로는, 각각 메모리(116, 210, 310) 상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터리빙된(interleaved) 위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각각의 전력 송신 유닛(102),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메모리(116, 210, 310)는 각각의 오퍼레이팅 시스템(126, 218, 318)을 포함한다. 전력 송신 유닛(102) 또는 대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의 프로세서(110, 202, 302) 각각은, 전자 디바이스의 시스템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해 각각의 오퍼레이팅 시스템(126, 218, 31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액세스하도록 및/또는 그 하나 이상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바와 같은 시스템 기능은,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 리소스 관리, 드라이버 관리,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관리, 시스템 구성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Google® Android®, Microsoft® Windows®, Microsoft® Windows® Server®, 리눅스(Linux), Apple® OS-X® 등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임의의 여러 적절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일 수도 있다.
각각의 전력 송신 유닛(102),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 및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메모리(116, 210, 310)는 각각의 통신 모듈(124, 216, 316)을 포함한다. 각각의 통신 모듈(124, 216, 316)은, 무선 신호의 지향적 분배와 수신 및 태스크 프로세싱과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각기 각각의 프로세서(110, 202, 302)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 명령어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명령어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은, 소정의 양태에서, 각기 각각의 오퍼레이팅 시스템(126, 218, 318) 및/또는 전력 송신 유닛(102)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의 다른 모듈과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각각의 통신 모듈(124, 216, 316)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및 그와 관련되는 기능성을 실행하기 위해, 프로세서(110, 202, 302)에 의해 론칭될 수도 있고/있거나 실행될 수도 있는 명령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코드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들 애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징과 같은 기능성, 비지니스, 통신, 그래픽, 워드 프로세싱, 퍼블리싱,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 게이밍, 교육,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프로젝트 플래닝, 엔지니어링, 드로잉,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력 송신 유닛(102)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의 무선부(112, 206, 306)는 송신/수신 컴포넌트, 예컨대 트랜시버일 수도 있다. 무선부(112, 206, 306)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 서로 간에 통신하기 위해 또는 다른 유저 디바이스 및/또는 전력 송신 유닛(102) 또는 충전 시스템(100)의 다른 컴포넌트와 통신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에 의해 활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대역폭 및/또는 채널에서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무선부(들) 및/또는 트랜시버(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부(112, 206, 306)는, 사전 수립된 분배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부(112, 206, 306)는, 미국 전기전자 학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 표준에 의해 표준화되는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Wi-Fi) 및/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서, 무선부(112, 206, 306)는, 그들 각각의 안테나(128, 212, 312)와 협력하여, 2.4 GHz 채널(예를 들면, 802.11b, 802.11g, 802.11n), 5 GHz 채널(예를 들면, 802.11n, 802.11ac), 또는 60 GHz 채널(예를 들면, 802.11ad)을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전력 송신 유닛(102)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 사이의 통신을 위해, BLUETOOTH™, BLUETOOTH(TM) LE, 근접장 통신, 전용 단거리 통신(dedicated short-range communication; DSRC), 또는 다른 패킷화된 무선 통신과 같은 비와이파이(non-Wi-Fi)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도 있다. 무선부(112, 206, 306)는 전력 송신 유닛(102)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기지의 수신기 및 베이스밴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부(112, 206, 306)는, 저노이즈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추가적인 신호 증폭기, 아날로그 디지털(analog-to-digital; A/D) 변환기, 하나 이상의 버퍼, 및 디지털 베이스밴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 유닛(102) 및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에 포함되는 안테나(128, 212, 312)는, 서로 간에 또는 충전 시스템(100)의 다른 컴포넌트, 예컨대 충전 정책 구성기(400)로부터/로 통신 신호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수신하도록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안테나(128, 212, 312)는, 안테나(128, 212, 312)를 통해 수신되는 및/또는 송신되는 특정한 신호에 대해 전력 송신 유닛(102)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안테나일 수도 있다. 적절한 안테나(128, 212, 312)의 몇몇 비제한적인 예는, 지향성 안테나, 비지향성 안테나, 다이폴 안테나, 접이식 다이폴 안테나(folded dipole antenna), 패치 안테나,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안테나 등을 포함한다. 각각의 안테나(128, 212, 312)는, 신호, 예컨대 통신 신호를, 전력 송신 유닛(102)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로 및/또는 전력 송신 유닛(102)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로부터 송신하기 위해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무선 컴포넌트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될 수도 있다.
안테나(128, 212, 312)는, 2.4 GHz 채널(예를 들면, 802.11b, 802.11g, 802.11n), 5 GHz 채널(예를 들면, 802.11n, 802.11ac), 또는 60 GHz 채널(예를 들면, 802.11ad)을 통하는 것을 비롯하여, 수립된 표준 및 프로토콜, 예컨대 미국 전기전자 학회(IEEE) 802.11 패밀리의 표준에 따라 신호를 수신하도록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안테나(128, 212, 312)는, 비와이파이 프로토콜 신호, 예컨대 BLUETOOTH™, BLUETOOTH™ LE, 근접장 통신, 전용 단거리 통신(DSRC), 또는 다른 패킷화된 무선 통신을 수신하도록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뿐만 아니라, 전력 송신 유닛(102)은,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예컨대 배터리(140, 208, 308)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배터리(140, 208, 308)는, 각기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에게 에너지 아니면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배터리(140, 208, 308)는, 임의의 적절한 전압 및/또는 출력 전류의 Ÿ‡(wet) 셀, 드라이 셀, 납산, 리튬, 수소화리튬, 리튬 이온 등을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배터리일 수도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서, 배터리(140, 208, 308)는 재충전가능할 수도 있고, 전력 송신 유닛(102)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전원에 의해 재충전될 수도 있다. 각각의 배터리(140, 208, 308)는 에너지를 수신하도록 그리고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력 송신 유닛(102) 및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는 각각의 공진기(132, 220, 3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공진기(132, 220, 320)는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분배하도록, 송신하도록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적절한 공진기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송신 유닛(102)의 공진기(132)는 에너지를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방출하거나 아니면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의 공진기(220, 320)는 전력 송신 유닛(102)의 공진기(132)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공진기(132, 220, 320)는 일 예에서 전자기 공진기일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의 공진기(220, 320)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의 각기 각각의 배터리(208, 308)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도 있고, 배터리(208, 308)에 에너지를 충전하도록, 재충전하도록, 및/또는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외선(infrared; IR), 용량성, 또는 다른 기술을 비롯한 다른 무선 충전 기술이 전력 송신 유닛(102)에 통합될 수도 있다.
전력 송신 유닛(102)은 전력 증폭기(134) 및 파워 서플라이(13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 증폭기(134) 및 파워 서플라이(136)는 전력 송신 유닛(102)의 공진기(132)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도 있고, 공진기(132)가 전력을 무선으로 전달할 수도 있도록 공진기(132)에 에너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파워 서플라이(136)는 배터리, 예를 들면, 배터리(140)일 수도 있고/있거나, 외부 전원(138)으로의 연결일 수도 있다. 파워 서플라이(136)는 AC/DC 전력 변환 성능 및/또는 변환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외부 전원(138)은,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력 콘센트(142)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일 수도 있다. 전력 송신 유닛(102)과 외부 파워 서플라이(138) 사이의 연결은 표준 벽 콘센트, 범용 직렬 버스 연결, FIREWIRE™ 또는 LIGHTNING™ 연결, 또는 전력을 전력 송신 유닛(102)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다른 연결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파워 서플라이(136)는 전력 송신 유닛(102)과 외부 파워 서플라이(138) 사이의 중간물(intermediary)일 수도 있다. 전력 증폭기(134)는, 공진기(132)가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분배하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갖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파워 서플라이(136)로부터의 에너지를 증폭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력 증폭기(134)는 플럭스를 생성하기 위해 전류를 제공할 수도 있고, 그에 의해 공진기(132)에서 전압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충전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410) 및 예시적인 데이터 플로우(430)가 예시되고 서로 연계하여 논의될 것이다. 먼저, 도 2를 먼저 참조하면, 방법(4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본원에서 개시되는 피쳐를 구비하는 충전 시스템, 예를 들면, 충전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무선 충전을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플로우(430)는, 충전 시스템(100)(도 1에서 도시됨)과의 제1 무선 연결(106)을 통해 무선 통신하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데이터 플로우(430)는 또한, 충전 시스템(100)과의 제2 무선 연결(108)을 통해 무선 통신하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포함한다. 도 3은, 수직 축에 표기되는 시간에 걸쳐 컴포넌트 사이에서 흐르는 데이터를 예시한다.
계속 도 2 및 도 3 둘 다를 참조하면, 도 2의 블록 412에서, 충전 시스템(100)은 충전 시스템(100)과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 사이에 제1 무선 연결(106)을 수립할 수도 있다. 제1 무선 연결(106)은 다수의 방법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수립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을 참조하면, 블록 412의 일 실시형태는 교환(432)에 포함되는 통신 및/또는 동작에 의해 예시된다. 교환(432)은, 범위 내의 임의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충전 시스템(100)에 연결하기를 원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100)으로부터의 통신, 예를 들면 비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비컨은, 상기 설명된 하드웨어 및/또는 통신 모듈(124)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에서 충전 시스템(100)의 전력 송신 유닛(102)에 의해 방출될 수도 있거나 또는 송신될 수도 있다. 교환(432)을 계속 참조하면,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상기 설명된 하드웨어 및/또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통신 모듈(216)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비컨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응답에서,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통신 모듈(216)을 사용하여 교환(432) 동안 충전 시스템(100)으로 응답 또는 확인을 송신할 수도 있고, 그에 의해 충전 시스템(100)과의 제1 무선 연결(106)을 수립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100)과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에 무선 연결을 수립하는 다른 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핸드쉐이크 또는 인증 프로세스가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전력 송신 유닛(102)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200, 300) 중 임의의 것을 비롯한 임의의 디바이스가 각각의 무선 연결을 개시할 수도 있고, 제1 무선 연결(106)을 수립하기 위해, 추가적인 또는 더 적은 통신 및/또는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의 블록 414에서, 충전 시스템(100)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제1 충전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434)에서,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통신 모듈(216)을 사용하여 제1 충전 요청을 충전 시스템(100)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제1 충전 요청은 전력 할당 정보, 예컨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수신할 수도 있는 최소 및 최대 전력에 대응하는, 최소 수신가능한 충전량 또는 전력 할당분 및 최대 수신가능한 충전량 및 전력 할당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전력 할당분은 하드웨어 구성에 기초할 수도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예컨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오퍼레이팅 시스템(218)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제1 충전 요청은, 제1 충전 요청이 송신되는 시간에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수신하기를 원하는 전력 할당분에 대응하는 소망의 전력 할당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소망의 전력 할당분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충전 사이클에 기초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정전류/정전압 충전 사이클에서 정전류 위치에 있는지 또는 정전압 위치에 있는지에 기초할 수도 있다.
제1 충전 요청은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 유저 식별자, 현재 충전 레벨, 가용 충전 시간, 런타임 컨텍스트(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최대 수신가능한 충전량, 또는 최소 수신가능한 충전량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는, 유저가 단지 10분만 충전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다른 정보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 예컨대 캘린더 정보로부터 자동으로 가져올 수도 있다. 캘린더 정보를 사용하여, 충전 시스템(100)은, 충전 시스템(100)이 위치되는 방에서 유저가 한 시간의 기간 동안의 미팅을 갖는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100)은 디바이스에 대한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함에 있어서 캘린더 정보를 고려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한 시간 동안 방에 있을 것이면, 충전 시스템(100)은 그 시간 기간 내에 디바이스를 완전히 충전시키기를 시도할 수도 있다. 유저 식별자의 예는, 직원 또는 관리에 속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도 있다. 유저 식별자를 사용하는 것은, 충전 시스템(100)이, 손님에 비해 직원에게만 또는 직원에 비해 관리자에게만 충전을 제공하는 것 또는 손님에 비해 직원에 대한 또는 다른 직원에 비해 관리자에 대한 충전을 우선시키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런타임 컨텍스트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현재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 유저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중요한" 것으로 지정할 수도 있고 중요한 것으로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충전을 우선시하는 충전 시스템 정책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독점적(proprietary) 소프트웨어, 또는 이메일, 또는 스트리밍 비디오가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충전 요청 모듈(214)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충전 요청 모듈(214)은,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하거나 또는 수신하기 위해,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엘리먼트 및/또는 다른 전자 인터페이스와 통신할 수도 있거나 또는 인터페이싱할 수도 있다. 충전 요청 모듈(214)은 제1 충전 요청을 충전 시스템(100)으로 송신하기 위해 통신 모듈(216)과 통신할 수도 있다. 제1 충전 요청은 데이터 송신의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충전 시스템(100)으로 송신될 수도 있거나 또는 전달될 수도 있고, 집성하여 또는 다수의 통신에서 전달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100)이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제1 충전 요청을 수신하지만, 충전 시스템(100)은, 예시되지는 않지만,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추가적인 충전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충전 요청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배터리 충전 레벨이 낮기 때문에 10 와트의 소망의 전력 할당분을 요청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지만, 배터리 충전 레벨이 80%에 도달하면,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5 와트의 소망의 전력 할당분을 나타내는 다른 충전 요청을 송신할 수도 있다. 수직의 시간 축을 따라 상이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상기에서 설명되는 동작 또는 단계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부분은, 상기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다른 동작 또는 단계의 임의의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100)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 제1 충전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고, 방법(410)의 블록 416에서, 충전 시스템(100)은 제1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을 식별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적용가능한 하나 이상의 충전 규칙과 관련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100)은 충전 정책 또는 정책들을 식별하기 위해 충전 정책 모듈(118)을 사용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 정책은, 충전 시스템(100)에서 로컬하게 또는 원격으로, 충전 시스템 유저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충전 시스템 유저는 충전 정책 구성기(400)에서 충전 정책 및/또는 충전 규칙을 입력할 수도 있는데, 충전 정책 구성기(400)는 충전 시스템(100)으로 푸시될 수도 있거나 또는 충전 시스템(100)으로 자동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충전 정책은 우선 순위 등급 정보, 전력 할당 정보, 충전 규칙, 모바일 디바이스 파라미터 정보, 및 다른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의 방법(410)의 블록 418에서, 충전 시스템(100)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대한 제1 충전 프로그램을, 제1 충전 요청, 및 식별된 충전 시스템 정책 또는 정책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제1 충전 프로그램은, 충전 시스템(100)에 연결되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우선 순위 등급 및/또는 전력 할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100)은 제1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하기 위해 충전 프로그램 모듈(12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우선 순위 등급 및/또는 전력 할당은, 일 예에서는, 충전 정책 모듈(118)에서, 다른 예에서는, 충전 프로그램 모듈(120)에서 결정될 수도 있다. 우선 순위 등급 및/또는 전력 할당은 채점 프로세스(scoring process)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소정의 파라미터, 예컨대 디바이스 타입 또는 디바이스 소유자는 소정의 점수를 할당받고, 최고 점수를 갖는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에 비해 우선된다. 우선 순위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가 충전 시스템(100)에 연결되었던 시간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10분의 가용 충전 시간을 갖는다는 것을 모바일 디바이스가 나타내면, 10분이 경과한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는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할당받을 수도 있고, 시간에 민감한 충전 정책의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충전은 중지될 수도 있거나 또는 억제될 수도 있다. 제1 충전 프로그램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고유한 충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충전 프로그램은, 충전을 위한 전력 할당분, 지정된 충전 시간, 다른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우선 순위 등급 및/또는 전력 할당, 지정된 배터리 충전 레벨(예를 들면, 완충가지의 또는 소정의 비율까지의 충전), 따른 다른 충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충전 시스템(100)은, 제1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함에 있어서, 충전 시스템(100)의 가용 충전 용량을 고려할 수도 있다. 가용 충전 용량은,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어떠한 충전도 없는 한, 충전 시스템(100)의 총 충전 용량 또는 출력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충전 시스템(100)은, 충전 시스템(100)의 총 충전 용량으로부터, 충전 시스템으로부터 인출되고 있는 전력을 차감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충전 시스템(100)은 15 와트의 총 충전 용량을 가질 수도 있고,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는, 5 와트의 가용 충전 용량을 남기고, 충전 시스템(100)으로부터 10 와트를 인출하고 있을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충전 시스템(100)은 충전 시스템(100)에 대한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물리적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제1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하는 것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물리적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충전 시스템(100)은, 전력 송신 유닛(102)에 대한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물리적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 유닛(102)의 소정의 영역은 소정의 우선 순위 등급 또는 전력 할당량과 관련될 수도 있다. 하나의 경우에서, 전력 송신 유닛(102)의 높은 우선 순위 충전 영역(130)은, 높은 우선 순위 충전 영역(130)에 위치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충전 시스템(100)에 연결되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블록 420에서, 충전 시스템(100)은 블록 418에서 결정되는 제1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충전 프로그램 모듈(120)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충전을 조정하기 위해, 전력 송신 유닛(102)의 충전 분배 모듈(122)과 통신할 수도 있다. 충전 분배 모듈(122)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로 에너지를 제공할 것을, 전력 송신 유닛(102)의 충전 컴포넌트에게 지시할 수도 있다. 충전 컴포넌트는, 전력 송신 유닛(102)의 공진기(132), 전력 증폭기(134), 및 파워 서플라이(136)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동작 436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충전 시스템(100)이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충전하는 것을 예시한다.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면, 공진기(220)를 통해, 전력 송신 유닛(102)으로부터 충전량 또는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고, 상응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배터리(208)를 충전할 수도 있다. 수직의 시간 축을 따라 상이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상기에서 설명되는 동작 또는 단계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부분은, 상기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다른 동작 또는 단계의 임의의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충전 시스템(100)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와의 제2 무선 연결(108)을 수립할 수도 있다. 제1 무선 연결(106)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제2 무선 연결(108)은 교환(438)에 포함되는 통신 및/또는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교환(438)은 충전 시스템(100)으로부터의 통신, 예를 들면, 비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상기 설명된 하드웨어 및/또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통신 모듈(316)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비컨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응답에서,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통신 모듈(316)을 사용하여 교환(438) 동안 충전 시스템(100)으로 응답 또는 확인을 송신할 수도 있고, 그에 의해 충전 시스템(100)과의 제2 무선 연결(108)을 수립할 수도 있다.
통신(440)에서,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통신 모듈(316)을 사용하여 제2 충전 요청을 충전 시스템(100)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제2 충전 요청은, 제1 충전 요청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 요청 모듈(314)은,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하거나 또는 수신하기 위해,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엘리먼트 및/또는 다른 전자 인터페이스와 통신할 수도 있거나 또는 인터페이싱할 수도 있다. 충전 요청 모듈(314)은 제2 충전 요청을 충전 시스템(100)으로 송신하기 위해 통신 모듈(316)과 통신할 수도 있다. 제2 충전 요청은 데이터 송신의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충전 시스템(100)으로 송신될 수도 있거나 또는 전달될 수도 있고, 집성하여 또는 다수의 통신에서 전달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100)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로부터 제2 충전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고, 제2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을 식별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충전 정책을 식별하기 위해 충전 정책 모듈(118)을 사용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충전 시스템(100)은, 신규의 충전 요청을 위해,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폴링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신규의 충전 요청은 업데이트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한다. 폴링은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거나 또는 이벤트에 의해, 예컨대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충전 완료 통지의 수신시 트리거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충전 시스템(100)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로부터의 제3 충전 요청에 대한 요청을 송신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3 충전 요청은 업데이트된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한다. 충전 시스템(100)은, 제3 충전 요청에 포함되는 업데이트된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통해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현재 배터리 충전 레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100)은 또한, 상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충전 시스템(100)의 가용 충전 용량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2 충전 요청 및 식별된 충전 시스템 정책 또는 정책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충전 시스템(100)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대한 제2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2 충전 프로그램은, 충전 시스템(100)에 연결되는 임의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대한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우선 순위 등급 및/또는 전력 할당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제2 충전 프로그램은, 충전 시스템(100)의 가용 충전 용량 및/또는 제3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는, 이들 엘리먼트 중 임의의 조합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2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도 있고, 추가적인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100)은 제2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하기 위해 충전 프로그램 모듈(120)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2 충전 프로그램은 상기에서 논의되는 제1 충전 프로그램과 유사한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2 충전 프로그램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보다 더 높은 상위 우선 순위 및/또는 전력 할당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고, 따라서, 완충까지 소망의 충전 할당분을 수신할 것이다.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가 충전 시스템(100)의 가용 충전 용량을 초과하는 전력의 양을 수신하도록 결정되는 경우, 제1 충전 프로그램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할당된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수정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100)은 이탈된 전력을,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가 우선되기 때문에,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로 재지향시킬(redirect)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충전 분배 모듈(122)은 하위 우선 순위를 갖는 특정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전력이 감소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할 수도 있고 충전 시스템(100)에게 이들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전력을 감소시킬 것을 그리고 우선된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전력을 증가시킬 것을 지시할 수도 있다.
제2 충전 프로그램의 결정시, 충전 시스템(100)은, 동작 450에서 결정되는 제1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도 있다. 충전 프로그램 모듈(120)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충전을 조정하기 위해, 전력 송신 유닛(102)의 충전 분배 모듈(122)과 통신할 수도 있다. 충전 분배 모듈(122)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로 에너지를 제공할 것을, 전력 송신 유닛(102)의 충전 컴포넌트에게 지시할 수도 있다. 충전 컴포넌트는, 전력 송신 유닛(102)의 공진기(132), 전력 증폭기(134), 및 파워 서플라이(13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예를 들면, 공진기(320)를 통해, 전력 송신 유닛(102)으로부터 충전량 또는 전력을 수신할 수도 있고, 상응하여,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배터리(308)를 충전할 수도 있다. 수직의 시간 축을 따라 상이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상기에서 설명되는 동작 또는 단계 중 임의의 것의 임의의 부분은, 상기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다른 동작 또는 단계의 임의의 부분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100)은 또한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계속 충전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면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대해 우선되는 경우, 충전 시스템(100)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대한 업데이트된 제1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100)은, 동작 452에서, 업데이트된 제1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충전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에서, 제1 충전 프로그램은 변경되지 않고 유지될 수도 있고, 충전 시스템(100)은, 동작 452에서, 제1 충전 프로그램에 따라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계속 충전할 수도 있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통신(454)에서,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는 제4 충전 요청을 충전 시스템(100)으로 송신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4 충전 요청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배터리(208)의 완충 또는 100% 충전 레벨을 나타낼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100)은 제4 충전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고 제1 충전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거나 또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에 대한 신규의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업데이트된 충전 프로그램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미리 결정된 충전 임계치, 예를 들면, 95%의 용량 미만으로 떨어질 때까지,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를 더 이상 충전하지 않거나 아니면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에게 전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충전 시스템(100)은 또한, 예를 들면, 458에서, 제4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대한 신규의 제2 충전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거나 또는 결정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충전 시스템(100)은, 통신(456)에서, 업데이트된 정보에 대한 요청을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가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대해 우선되었다면, 그리고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가 최대 미만의 충전량을 수신하고 있었다면, 제1 모바일 디바이스(200)의 완충시, 제2 충전 프로그램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최대 충전량을 할당하도록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충전 시스템(100)은, 458에서, 제2 모바일 디바이스(300)를 제2 모바일 디바이스가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충전량에서 충전할 수도 있다.
방법(410)은 본 개시의 소정의 실시형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방법(410)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거될 수도 있거나 또는 다른 순서로(out-of-order) 실행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다른 동작이 방법(410)에 추가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시스템 및 방법은, 충전 시스템의 가용 용량의 사용을 극대화하는 것에 의해, 증가된 기능성 또는 충전 시스템의 최적의 전력 분배 할당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충전 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되는 최소 에너지 충전량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력 또는 에너지를 할당할 수도 있고, 디바이스에 의해 행해지는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전력 또는 에너지를 재할당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방법 및/또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소정의 실시형태는, 머신에 의한 실행시, 머신으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되는 방법 및/또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머신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tangible) 머신 판독가능 매체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유형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플로피 디스크, 광학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리 메모리(compact disk read-only random access; CD-ROM), 컴팩트 디스크 리라이트블(compact disk rewritable; CD-RW), 및 광자기 디스크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디스크, 리드 온리 메모리(ROM)와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 동적 및 정적 RAM과 같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소거가능 프로그래머블 리드 온리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리드 온리 메모리(EEPROM), 플래시 메모리, 자기 또는 광 카드, 또는 전자적 명령을 저장하는 데 적합한 임의의 타입의 유형의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머신은,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싱 또는 컴퓨팅 플랫폼,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고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어는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고 임의의 적절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방법 및/또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머신 실행가능 명령어는 펌웨어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소정의 실시형태에서, 작동된 입력 엘리먼트를 식별하고 식별을 프로세싱하기 위해, 특수 목적의 컴퓨터 또는 특정한 머신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피쳐, 양태, 및 실시형태가 본원에서 설명되었다. 피쳐, 양태, 및 실시형태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서로와의 조합뿐만 아니라 변형예 및 수정예를 허용한다. 따라서, 본 개시는 이러한 조합예, 변형예, 및 수정예를 포괄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활용된 용어 및 표현은 제한이 아니라 설명의 용어로서 사용된 것이며, 이러한 용어 및 표현의 사용에 있어서, 도시되고 설명된 피쳐(또는 그 일부)의 임의의 등가물을 배제하려는 의도가 없으며, 따라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예가 가능하다는 것이 인식된다. 다른 수정예, 변형예, 및 변경예도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청구범위는 모든 이러한 등가물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본 개시의 소정의 실시형태가, 현 시점에서 가장 실용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 및 다양한 실시형태와 연계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는 개시된 실시형태로 제한되지 않아야 하고, 오히려,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수정예 및 등가적인 배치예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특정 용어가 활용되지만, 이들은, 제한적인 목적이 아닌, 일반적이고 설명적인 의미에서만 사용된다.
이 작성된 설명은, 본 개시의 최상의 모드를 비롯한 소정의 실시형태를 개시하기 위해, 그리고 또한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가,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을 만들고 사용하는 것 및 임의의 통합된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비롯하여, 본 개시의 소정의 실시형태를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를 사용한다. 본 개시의 소정의 실시형태의 특허가능한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며,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가 떠올리는 다른 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예는, 이러한 다른 예가 청구범위의 문자적 언어와는 상이하지 않은 구조적 엘리먼트를 가지면, 또는 이러한 다른 예가 청구범위의 문자적 언어와는 비실질적 차이(insubstantial difference)를 갖는 등가의 구조적 엘리먼트를 포함하면,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방법이 존재할 수도 있다.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에 의해, 제1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제1 무선 연결을 수립하는 것, 및 충전 시스템에 의해,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1 충전 요청 - 제1 충전 요청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함 - 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방법은, 충전 시스템에 의해, 제1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을 식별하는 것, 및 충전 시스템에 의해, 제1 충전 요청 및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1 충전 프로그램은 충전 시스템에 연결되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할당을 포함한다. 방법은, 충전 시스템에 의해, 제1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방법은, 충전 시스템에 의해, 제2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제2 무선 연결을 수립하는 것, 및 충전 시스템에 의해, 제2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2 충전 요청 - 제2 충전 요청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함 - 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방법은, 충전 시스템에 의해, 제2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을 식별하는 것, 및 충전 시스템에 의해, 제2 충전 요청 및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2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2 충전 프로그램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 및 충전 시스템에 연결되는 임의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할당을 포함한다. 방법은, 충전 시스템에 의해, 제2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2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서, 방법은, 제2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충전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서, 방법은, 충전 시스템에 의해, 충전 시스템의 가용 충전 용량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은 충전 규칙을 포함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의 식별은, 제1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충전 규칙을 식별한다. 몇몇 경우에서, 방법은, 충전 시스템에 의해, 신규의 충전 요청을 위해,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폴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신규의 충전 요청은 업데이트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한다. 몇몇 경우에서, 방법은, 충전 시스템에 의해, 충전 시스템에 대한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하는 것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제1 충전 요청의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 유저 식별자, 현재 충전 레벨, 가용 충전 시간, 런타임 컨텍스트, 최대 수신가능한 충전량, 또는 최소 수신가능한 충전량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에서, 방법은, 충전 시스템에 의해, 제1 무선 연결의 제1 시간 길이를 결정하는 것, 및 충전 시스템에 의해, 제1 시간 길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충전 프로그램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충전 시스템이 존재할 수도 있다. 충전 시스템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무선 연결을 수립하기 위해,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1 충전 요청 - 제1 충전 요청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함 - 을 수신하기 위해, 그리고 제1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을 식별하기 위해,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충전 요청 및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충전 프로그램 - 제1 충전 프로그램은 충전 시스템에 연결되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할당을 포함함 - 을 결정하도록, 그리고 제1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제2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제2 무선 연결을 수립하도록, 제2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2 충전 요청- 제2 충전 요청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함- 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제2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2 충전 요청 및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2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충전 프로그램 - 제2 충전 프로그램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 및 충전 시스템에 연결되는 임의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할당을 포함함 - 을 결정하도록, 그리고 제2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2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제2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충전 프로그램을 수정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충전 시스템의 가용 충전 용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은 충전 규칙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의 식별은, 제1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충전 규칙을 식별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신규의 충전 요청을 위해,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폴링하도록 구성되는데, 이 경우 신규의 충전 요청은 업데이트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충전 시스템에 대한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데, 이 경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1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하는 것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제1 충전 요청의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 유저 식별자, 현재 충전 레벨, 가용 충전 시간, 런타임 컨텍스트, 최대 수신가능한 충전량, 또는 최소 수신가능한 충전량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제1 무선 연결의 제1 시간 길이를 결정하도록, 그리고 제1 시간 길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충전 프로그램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전력 분배 장치가 존재할 수도 있다. 전력 분배 장치는, 파워 서플라이,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분배 디바이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제1 무선 연결을 수립하기 위해,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1 충전 요청 - 제1 충전 요청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함 - 을 수신하기 위해, 그리고 제1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을 식별하기 위해,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충전 요청 및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충전 프로그램 - 제1 충전 프로그램은 충전 시스템에 연결되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할당을 포함함 - 을 결정하도록, 그리고 제1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1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제2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제2 무선 연결을 수립하도록, 제2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2 충전 요청- 제2 충전 요청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함- 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제2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2 충전 요청 및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2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충전 프로그램 - 제2 충전 프로그램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 및 충전 시스템에 연결되는 임의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할당을 포함함 - 을 결정하도록, 그리고 제2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2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에 의해, 제1 모바일 디바이스 -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1 충전 용량을 갖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 타입임 - 와의 제1 무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1 충전 요청 - 상기 제1 충전 요청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함 - 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1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 -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은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2 충전 용량을 갖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 타입의 제2 모바일 디바이스를 충전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함 - 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시스템에 의해, 상기 충전 시스템의 가용 충전 용량(available charging capacity) - 상기 가용 충전 용량은 상기 제1 충전 용량까지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를 충전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충전 용량까지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를 충전하도록 할당될 수 있는 전력의 총량임 - 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1 충전 요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충전 프로그램 - 상기 제1 충전 프로그램은 상기 충전 시스템에 연결되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할당을 포함함 - 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1 충전 프로그램 및 상기 충전 시스템의 상기 가용 충전 용량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제2 무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2 충전 요청 - 상기 제2 충전 요청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함 - 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2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2 충전 요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충전 프로그램 - 상기 제2 충전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충전 시스템에 연결되는 임의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할당을 포함함 - 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2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1 충전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은 충전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의 식별은, 상기 제1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충전 규칙을 식별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시스템에 의해, 신규의 충전 요청을 위해,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폴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규의 충전 요청은 업데이트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시스템에 의해, 상기 충전 시스템에 대한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물리적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요청의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는, 유저 식별자, 현재 충전 레벨, 가용 충전 시간, 런타임 컨텍스트, 최대 수신가능한 충전량, 또는 최소 수신가능한 충전량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1 무선 연결의 제1 시간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시스템에 의해, 상기 제1 시간 길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충전 프로그램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충전 시스템으로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 -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1 충전 용량을 갖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 타입임 - 와의 제1 무선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1 충전 요청 - 상기 제1 충전 요청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함 - 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 -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은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2 충전 용량을 갖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 타입의 제2 모바일 디바이스를 충전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함 - 을 식별하고,
    상기 충전 시스템에 의해, 상기 충전 시스템의 가용 충전 용량 - 상기 가용 충전 용량은 상기 제1 충전 용량까지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를 충전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충전 용량까지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를 충전하도록 할당될 수 있는 전력의 총량임 - 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충전 요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충전 프로그램 - 상기 제1 충전 프로그램은 상기 충전 시스템에 연결되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할당을 포함함 - 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충전 프로그램 및 상기 충전 시스템의 상기 가용 충전 용량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제2 무선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2 충전 요청 - 상기 제2 충전 요청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함 - 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을 식별하고,
    상기 제2 충전 요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충전 프로그램 - 상기 제2 충전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충전 시스템에 연결되는 임의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할당을 포함함 - 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2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1 충전 프로그램을 수정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시스템.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은 충전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의 식별은, 상기 제1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충전 규칙을 식별하는
    충전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신규의 충전 요청 - 상기 신규의 충전 요청은 업데이트된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함 - 을 위해,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폴링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충전 시스템에 대한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충전 프로그램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물리적 위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충전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요청의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는, 유저 식별자, 현재 충전 레벨, 가용 충전 시간, 런타임 컨텍스트, 최대 수신가능한 충전량, 또는 최소 수신가능한 충전량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 시스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무선 연결의 제1 시간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시간 길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충전 프로그램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시스템.
  19. 전력 분배 장치로서,
    파워 서플라이(power supply)와,
    연결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분배 디바이스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 -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1 충전 용량을 갖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 타입임 - 와의 제1 무선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1 충전 요청 - 상기 제1 충전 요청은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함 - 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 -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은 충전 규칙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은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 및 제2 충전 용량을 갖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 타입의 제2 모바일 디바이스를 충전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함 - 을 식별하고,
    상기 충전 시스템의 가용 충전 용량 - 상기 가용 충전 용량은 상기 제1 충전 용량까지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를 충전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충전 용량까지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를 충전하도록 할당될 수 있는 전력의 총량임 - 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충전 요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1 충전 프로그램 - 상기 제1 충전 프로그램은 상기 충전 시스템에 연결되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할당을 포함함 - 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충전 프로그램 및 상기 충전 시스템의 상기 가용 충전 용량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분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제2 무선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2 충전 요청 - 상기 제2 충전 요청은 제2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함 - 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충전 요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을 식별하고,
    제3 충전 요청 - 상기 제3 충전 요청은 업데이트된 제1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를 포함함 - 을 위해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를 폴링하고,
    상기 제2 충전 요청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충전 시스템 정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제2 충전 프로그램 - 상기 제2 충전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충전 시스템에 연결되는 임의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할당을 포함함 - 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충전 프로그램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2 모바일 디바이스를 무선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분배 장치.
KR1020167032924A 2014-06-27 2015-06-04 스마트 무선 충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233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16,912 US9692250B2 (en) 2014-06-27 2014-06-27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wireless charging
US14/316,912 2014-06-27
PCT/US2015/034235 WO2015199938A1 (en) 2014-06-27 2015-06-04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wireless charg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923A KR20160147923A (ko) 2016-12-23
KR102233180B1 true KR102233180B1 (ko) 2021-03-29

Family

ID=54931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924A KR102233180B1 (ko) 2014-06-27 2015-06-04 스마트 무선 충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92250B2 (ko)
EP (1) EP3161937A4 (ko)
KR (1) KR102233180B1 (ko)
CN (1) CN106575876B (ko)
TW (1) TWI614965B (ko)
WO (1) WO20151999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8128B (en) * 2013-06-20 2021-02-10 Nokia Technologies Oy Charging rechargeable apparatus
KR102048327B1 (ko) * 2014-01-14 2019-11-25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근거리 무선 통신(nfc) 무선 충전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263548A1 (en) * 2014-03-14 2015-09-17 Emily Cooper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distribution allocation
KR20160011944A (ko) * 2014-07-23 201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시스템
US20160141908A1 (en) * 2014-11-14 2016-05-19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cy compliance in wireless charging systems
KR102341531B1 (ko) * 2014-12-24 2021-1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충전 장치 및 방법
US10230252B2 (en) * 2015-01-30 2019-03-12 Symbo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charging a battery based on an identifier of a power cable
KR102342855B1 (ko) * 2015-03-05 2021-12-22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코일 위치 조절 방법 및 그 장치
US10263450B2 (en) * 2015-05-13 2019-04-16 Intel IP Corporation Power regulation in wireless charging
US20170104357A1 (en) * 2015-10-07 2017-04-13 Intel Corporation Dominant power receiving unit selection
US10705583B2 (en) * 2016-02-05 2020-07-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ement of finite electrical cells
JP6738016B2 (ja) * 2016-07-27 2020-08-12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拡張装置、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06450533A (zh) * 2016-09-21 2017-02-22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充电方法、充电装置和终端设备
KR102328712B1 (ko) * 2017-03-03 2021-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전송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8075579B (zh) * 2017-04-07 2020-01-07 中惠创智无线供电技术有限公司 一种可智能配对的无线供电系统及供电方法
TW201911193A (zh) 2017-07-27 2019-03-16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傳感模組之驅動及資訊傳輸系統
US11106260B2 (en) 2018-02-13 2021-08-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mart charging platform
TWI669603B (zh) * 2018-02-23 2019-08-21 宏碁股份有限公司 適應性調整充電目標的方法及智慧型裝置
US11329522B2 (en) 2018-03-07 2022-05-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wirelessly charging a wireless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03677B2 (en) * 2018-07-31 2021-01-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oritizing an inductive charging of each device of multiple devices based on power preferences
CN111835098B (zh) * 2019-04-22 2022-04-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充电系统、无线充电设备及无线受电设备
CN111082499A (zh) * 2020-01-17 2020-04-28 深圳市一讯达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装置及无线充电控制方法
TWI785397B (zh) * 2020-10-14 2022-12-01 國立中央大學 微電網能源管理系統及其方法
WO2022126568A1 (en) * 2020-12-18 2022-06-23 Robert Bosch Gmbh Wireless charg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13472096A (zh) * 2021-08-17 2021-10-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充电管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230172081A (ko) * 2022-06-14 2023-12-2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충전관리 시스템 및 충전관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2483A (ja) * 2009-03-28 2012-09-20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電力領域内での受信機デバイスの追跡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9650B2 (en) * 2008-05-13 2014-01-14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using multiple transmit antennas
US8970180B2 (en) * 2009-04-07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cheduling
US9312728B2 (en) * 2009-08-24 2016-04-12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Physical and virtual identification in a wireless power network
US20130076299A1 (en) * 2011-09-23 2013-03-28 Wu Chin Chao Charg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distributing charging current
KR20140076626A (ko) * 2011-10-14 2014-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 환경에서 복수의 전력 수신기들을 충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99819B1 (ko) * 2012-07-09 2020-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방법, 무선 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462993B1 (ko) 2012-12-27 2014-11-19 전자부품연구원 다수 기기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2483A (ja) * 2009-03-28 2012-09-20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電力領域内での受信機デバイスの追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11466A (zh) 2016-03-16
TWI614965B (zh) 2018-02-11
WO2015199938A1 (en) 2015-12-30
EP3161937A4 (en) 2018-01-17
EP3161937A1 (en) 2017-05-03
US9692250B2 (en) 2017-06-27
US20150380971A1 (en) 2015-12-31
CN106575876A (zh) 2017-04-19
CN106575876B (zh) 2019-11-08
KR20160147923A (ko) 201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180B1 (ko) 스마트 무선 충전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212074B1 (ko) 무선 전력 분배 할당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7646161B (zh) 一种用于管理功率分发的设备和方法
US9742221B2 (en) Power supply device, power supply method, and program
US956477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timizing location-based wireless charging
US20190280528A1 (en) Power supply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622840B2 (en)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power wireless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EP3349330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20130020021A (ko) 무선 디바이스의 에너지 공유 방법 및 장치
US102910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CN106655381B (zh) 无线充电方法及装置
KR102186552B1 (ko) 통신 모듈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218228B2 (en) Detecting an object on a wireless charg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